KR101456985B1 -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985B1
KR101456985B1 KR1020130036922A KR20130036922A KR101456985B1 KR 101456985 B1 KR101456985 B1 KR 101456985B1 KR 1020130036922 A KR1020130036922 A KR 1020130036922A KR 20130036922 A KR20130036922 A KR 20130036922A KR 101456985 B1 KR101456985 B1 KR 101456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play
tilting
slid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709A (ko
Inventor
구재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03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98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54Slidable panels o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부와, 받침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지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및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에 대응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를 탄성 지지하는 슬라이딩감쇄부를 포함하고, 슬라이딩감쇄부의 탄성 한계 내에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을 감쇄시킴에 따라 슬라이딩구동부의 구동력이 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강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절함에 있어서, 방향 조절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크게 낮출 수 있고, 저전력으로 고중량의 디스플레이부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고정부로 구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부를 원하는 위치와 각도에 맞추어 고정시킬 수 있다.
최근 멀티미디어 장치의 급속한 발전으로 디스플레이부를 원하는 위치와 각도에 맞추기 위한 방향 조절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665호 (2012. 03. 09. 등록, 발명의 명칭 : 디스플레이 승하강 장치)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절함에 있어서, 방향 조절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크게 낮출 수 있고, 저전력으로 고중량의 디스플레이부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에 대응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탄성 지지하는 슬라이딩감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감쇄부의 탄성 한계 내에서 상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을 감쇄시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구동부의 구동력이 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감쇄부는, 상기 탄성복원력에 대응하여 이완 또는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는 탄성부재;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의 하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틸팅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틸팅부; 및 상기 받침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를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감쇄부의 제2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에 대응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탄성 지지하는 틸팅감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승강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절함에 있어서, 방향 조절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크게 낮출 수 있고, 저전력으로 고중량의 디스플레이부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하 틸팅 구조에서도 저전력으로 고중량의 디스플레이부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감쇄부에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이 디스플레이부의 하중과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의 구동력이 작용함에 따라 슬라이딩부가 동작할 때,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이 부하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틸팅부가 동작할 때,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이 부하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예서 지지부와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부와 틸팅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감쇄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예서 지지부와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부와 틸팅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감쇄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부(100)와, 받침부(200)와, 슬라이딩부(400)와, 슬라이딩감쇄부(500)를 포함하고, 틸팅부(600)와, 연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틸팅감쇄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디스플레이부(10)가 승강 이동될 때, 디스플레이부(10)의 높이 방향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은 디스플레이부(10)가 틸팅될 때,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영상이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나타낼 수 있다.
지지부(10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에 구비된다.
지지부(100)는 판재를 재단하거나 타공하고, 절곡시켜 나사 결합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받침부(200)는 디스플레이부(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받침부(200)는 판재를 재단하거나 타공하고, 절곡시켜 디스플레이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400)는 받침부(200)에 구비되어 슬라이딩구동부(410)의 구동력에 의해 지지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슬라이딩부(400)는 슬라이딩구동부(410)와, 승강가이드부(420)와, 슬라이더부(430)를 포함하고, 슬라이딩전달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부(450)와 제2가이드부(4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구동부(41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지지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슬라이딩구동부(410)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슬라이딩감쇄부(500)의 구성에 따라 낮은 전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구동부(410)의 출력을 감소시켜 슬라이딩구동부(410)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고, 지지부(100)와 받침부(200) 사이에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0)와 받침부(200)의 크기가 소형화 또는 슬림화되고, 그 형상을 단순화시켜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단가를 절감시킴은 물론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절할 때, 필요한 소비전력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승강가이드부(420)는 슬라이딩구동부(410)의 구동력에 의해 지지부(10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승강가이드부(420)는 슬라이딩구동부(4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슬라이더부(430)는 슬라이딩구동부(410)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가이드부(42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일예로, 승강가이드부(420)는 슬라이딩구동부(410)에 의해 회전되는 TM스크류로 구성되고, 슬라이더부(430)는 TM스크류에 나사 결합되고 TM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TM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가이드부(420)가 TM스크류로 구성되는 경우, 승강가이드부(42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슬라이딩구동부(410)와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부는 슬라이딩구동부(410)가 결합되는 받침부(200) 또는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가이드부(420)가 회전될 때, 승강가이드부(420)의 요동을 방지하고, 슬라이더부(430)가 안정되게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구동부(410)가 받침부(200)에 결합되는 경우, 슬라이더부(430)는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구동부(410)가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에 결합되는 경우, 슬라이더부(430)는 받침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전달부(440)는 승강가이드부(420)가 회전되는 경우, 슬라이딩구동부(410)의 구동력을 승강가이드부(420)에 전달한다.
슬라이딩전달부(440)는 복수의 기어들을 치합함으로써, 모터로 구성된 슬라이딩구동부(410)의 회전력을 승강가이드부(420)에 전달하여 승강가이드부(420)가 안정되게 회전되도록 한다.
제1가이드부(450)와 제2가이드부(4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슬라이딩구동부(410)의 구동력에 의해 지지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가 안정되게 받침부(20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제1가이드부(450)는 받침부(200)에 구비되어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1안내부(451)와,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에 구비되어 제1안내부(45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안내부(45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이동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가이드부(450)는 제1이동부(452)에 결합되어 받침부(20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이탈방지부(4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1이탈방지부(453)는 제1이동부(452)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제1이동부(452)가 제1안내부(45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이탈방지부(453)는 승강가이드부(420)가 회전될 때, 받침부(200)에서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가이드부(450)는 슬라이딩구동부(410)의 회전에 따라 승강가이드부(4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2점이 지지됨으로써, 받침부(200)에서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가 회전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460)는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에 구비되어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2안내부(461)와, 받침부(200)에 구비되어 제2안내부(46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안내부(46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이동부(4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가이드부(460)는 인접한 받침부(200)와 지지부(100) 사이 또는 받침부(200)와 연결부(300) 사이에서 제2이동부(462)에 결합되는 간격유지부(4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463)는 인접한 받침부(200)와 지지부(100) 사이 또는 받침부(200)와 연결부(300)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쇄시키고, 지지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간격유지부(463)는 받침부(200)에서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가 유동될 때,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가 받침부(200)에 가하는 충격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받침부(200)에서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격유지부(463)는 승강가이드부(420)가 회전될 때, 받침부(200)에서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가이드부(460)는 슬라이딩구동부(410)의 회전에 따라 승강가이드부(4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2점이 지지됨으로써, 받침부(200)에서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가 회전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감쇄부(500)는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에 대응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를 탄성 지지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감쇄부(500)의 탄성 한계 내에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을 감쇄시킬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이 감쇄됨에 따라 낮은 전력으로도 슬라이딩구동부(410)에서 구동력이 발생되어 슬라이더부(4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감쇄부(500)는 탄성복원력에 대응하여 이완 또는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510)와, 받침부(200)에 구비되어 제1탄성부재(510)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고정부(520)와, 제1고정부(520)의 하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0) 또는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에 구비되어 제1탄성부재(510)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고정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쇄안내부(540)는 지지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제1고정부(5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감쇄안내부(540)는 제1고정부(520)가 통과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탄성부재(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에 대응하여 이완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제1탄성부재(510)에는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에 대응되는 탄성복원력이 항상 작용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탄성부재(510)는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에 대응하여 압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쇄되어 디스플레이부(10)에 작용하는 외력이 "0"이 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는 공중에 부양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0)의 상하 방향 슬라이드 이동에서 슬라이딩부(400)에 의한 구동력만이 디스플레이부(10)에 작용함으로써, 슬라이딩구동부(410)의 구동력은 출력을 50% 까지 현저하게 낮출 수 있게 된다.
틸팅부(600)는 틸팅구동부(610)의 구동력에 의해 지지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킨다.
틸팅부(600)는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에 구비될 수 있다.
틸팅부(600)는 틸팅구동부(610)와, 틸팅축부(620)를 포함하고, 틸팅전달부(6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가이드부(640)와 제4가이드부(6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틸팅구동부(61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지지부(100)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틸팅구동부(610)는 정역 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틸팅축부(620)는 틸팅구동부(6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여기서, 틸팅축부(620)가 지지부(100)에 고정되는 경우, 연결부(300)는 틸팅축부(6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틸팅축부(620)가 연결부(300)에 고정되는 경우, 지지부(100)는 틸팅축부(6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특히, 틸팅구동부(610)와 틸팅축부(620)는 모두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고, 틸팅구동부(610)와 틸팅축부(620)는 모두 연결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력의 전달 상태를 명확하게 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부(10)의 틸팅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틸팅전달부(630)는 틸팅축부(620)가 회전되는 경우, 틸팅구동부(610)의 구동력을 틸팅축부(620)에 전달한다.
틸팅전달부(630)는 틸팅구동부(610)의 회전축과 틸팅축부(620)에 각각 고정되는 웜기어(631)와 평기어(633)가 치합함으로써, 모터로 구성된 틸팅구동부(610)의 회전력을 틸팅축부(620)에 전달하여 지지부(100)가 안정되게 틸팅되도록 한다.
제3가이드부(640)와 제4가이드부(6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틸팅구동부(610)의 구동력에 의해 지지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틸팅될 때,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가 안정되게 받침부(20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한다. 제3가이드부(640)와 제4가이드부(650)는 틸팅축부(620)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가이드부(640)는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에 구비되어 지지부(100)의 틸팅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3안내부(641)와, 제3안내부(6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3안내부(64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3이동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안내부(641)는 지지부(100)의 틸팅 각도에 대응하여 틸팅축부(620)를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지지부(100)가 원활하게 틸팅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3가이드부(640)는 제3이동부(642)에 결합되어 지지부(10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이탈방지부(6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2이탈방지부(643)는 제3이동부(642)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제3이동부(642)가 제3안내부(6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이탈방지부(643)는 틸팅축부(620)가 회전될 때, 연결부(300)에서 지지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틸팅되면서 연결부(300) 또는 지지부(1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가이드부(640)는 틸팅구동부(610)의 회전에 따라 틸팅축부(6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2점이 지지됨으로써, 지지부(100)에서 연결부(30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가이드부(650)는 지지부(100) 또는 연결부(300)에 구비되어 지지부(100)의 틸팅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4안내부(651)와, 제4안내부(65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4안내부(65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4이동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안내부(651)는 지지부(100)의 틸팅 각도에 대응하여 틸팅축부(620)를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지지부(100)가 원활하게 틸팅되도록 한다. 또한, 제4안내부(651)는 틸팅축부(620)를 중심으로 제3안내부(641)와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4가이드부(650)는 제4이동부(652)에 결합되어 지지부(100)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이탈방지부(6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3이탈방지부(653)는 제4이동부(652)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어 제4이동부(652)가 제4안내부(65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이탈방지부는 고정와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이탈방지부(653)는 틸팅축부(620)가 회전될 때, 연결부(300)에서 지지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틸팅되면서 연결부(300) 또는 지지부(10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4가이드부(650)는 틸팅구동부(610)의 회전에 따라 틸팅축부(6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2점이 지지됨으로써, 지지부(100)에서 연결부(300)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받침부(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부(100)를 틸팅 가능하게 지지한다. 연결부(300)는 슬라이딩부(400)와 틸팅부(600) 사이에서 지지부(100)와 받침부(200)를 상호 연결 지지하고, 디스플레이부(10)의 슬라이드 이동과 틸팅 이동을 조합하여 묶음으로 모듈화할 수 있게 되어 컴팩트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틸팅감쇄부(700)는 디스플레이부(10)의 하중에 대응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지부(100)와 연결부(300) 사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10)를 탄성 지지한다.
틸팅감쇄부(700)는 탄성복원력에 대응하여 이완 또는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710)와, 지지부(100)에 구비되어 제2탄성부재(710)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3고정부(720)와, 연결부(300)에 구비되어 제2탄성부재(71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4고정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감쇄부(700)는 디스플레이부(10)의 틸팅 과정에서 발생되는 제3고정부(720)와 제4고정부(730) 사이의 단차를 활용하여 제2탄성부재(71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틸팅구동부(610)는 낮은 전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 틸팅구동부(610)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고, 지지부(100)와 연결부(300) 사이에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00)와 연결부(300)의 크기가 소형화 또는 슬림화되고, 그 형상을 단순화시켜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단가를 절감시킴은 물론 디스플레이 방향을 조절할 때, 필요한 소비전력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슬라이딩감쇄부(500)의 제1탄성부재(510)의 작용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는 바닥에 대하여 부양된 상태에서 받침부(200)와 지지부(100)를 매개로 지지되고, 외력이 "0" 인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0)를 상승시키는 경우, 상승을 위한 슬라이딩구동부(410)의 구동력만으로 슬라이더부(430)를 상승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는 슬라이딩감쇄부(500)의 탄성 한계 내에서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를 하강시키는 경우, 하강을 위한 슬라이딩구동부(410)의 구동력만으로 슬라이더부(430)를 하강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는 슬라이딩감쇄부(500)의 탄성 한계 내에서 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 틸팅 이동에 대하여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1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정역 회전 중 어느 하나를 통한 틸팅구동부(610)의 구동력으로 틸팅축부(620)를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는 틸팅감쇄부(700)의 탄성 한계 내에서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정역 회전 중 다른 하나를 통한 틸팅구동부(610)의 구동력으로 틸팅축부(620)를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는 틸팅감쇄부(700)의 탄성 한계 내에서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틸팅감쇄부(700)의 결합 구조를 통해 연결부(300)에서 지지부(100)가 부양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로써,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부(100)와, 받침부(200)와, 슬라이딩부(400)와, 슬라이딩감쇄부(500)를 포함하고, 틸팅부(600)와, 연결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틸팅감쇄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슬라이딩감쇄부(500)에 따르면, 제1고정부(520)가 받침부(200)에 구비되고, 제2고정부(530)가 디스플레이부(10)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감쇄부(500)가 구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감쇄부(500)와 틸팅감쇄부(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을 제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디스플레이부 100: 지지부
200: 받침부 300: 연결부
400: 슬라이딩부 410: 슬라이딩구동부
420: 승강가이드부 430: 슬라이더부
440: 슬라이딩전달부 450: 제1가이드부
451: 제1안내부 452: 제1이동부
453: 제1이탈방지부 460: 제2가이드부
461: 제2안내부 462: 제2이동부
463: 간격유지부 500: 슬라이딩감쇄부
510: 제1탄성부재 520: 제1고정부
530: 제2고정부 540: 감쇄안내부
600: 틸팅부 610: 틸팅구동부
620: 틸팅축부 630: 틸팅전달부
631: 웜기어 633: 평기어
640: 제3가이드부 641: 제3안내부
642: 제3이동부 643: 제2이탈방지부
650: 제4가이드부 651: 제4안내부
652: 제4이동부 653: 제3이탈방지부
700: 틸팅감쇄부 710: 제2탄성부재
720: 제3고정부 730: 제4고정부

Claims (5)

  1.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에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부; 및
    탄성복원력에 대응하여 이완 또는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받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하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고정부로 이루어진 슬라이딩감쇄부;를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감쇄부의 탄성 한계 내에서 상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을 감쇄시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구동부의 구동력이 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틸팅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틸팅부; 및
    상기 받침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를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감쇄부의 제2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중에 대응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탄성 지지하는 틸팅감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36922A 2013-04-04 2013-04-04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6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922A KR101456985B1 (ko) 2013-04-04 2013-04-04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922A KR101456985B1 (ko) 2013-04-04 2013-04-04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09A KR20140120709A (ko) 2014-10-14
KR101456985B1 true KR101456985B1 (ko) 2014-11-04

Family

ID=5199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922A KR101456985B1 (ko) 2013-04-04 2013-04-04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9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3004A (ja) * 2006-07-28 2008-02-14 Berutekku Kk 平面型表示装置の移動装置
JP2011174968A (ja) 2010-02-23 2011-09-08 Dainippon Printing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20123974A (ko) * 2011-05-02 2012-11-12 (주)한국랩 거치대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3004A (ja) * 2006-07-28 2008-02-14 Berutekku Kk 平面型表示装置の移動装置
JP2011174968A (ja) 2010-02-23 2011-09-08 Dainippon Printing Co Ltd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20123974A (ko) * 2011-05-02 2012-11-12 (주)한국랩 거치대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709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3651B2 (en) Lens adjusting mechanism capable of two-dimensional adjustment
US10240717B1 (en) Projector lift
KR100793754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126197B1 (ko) 리프트장치
KR20070091467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20040048472A (ko)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
KR20070081731A (ko)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82795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KR20080105402A (ko)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CN106314303B (zh) 一种中控屏组件及车辆
GB2475977A (en) Height and rotatably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KR101456985B1 (ko) 디스플레이 방향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51999B1 (ko) 디스플레이 틸팅장치
KR100726813B1 (ko) 벽걸이형 텔레비젼의 시청각 조절장치
KR100838592B1 (ko) 디스플레이 틸팅장치 및 디스플레이 회동장치
KR20210016239A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의 틸팅장치
JP4965186B2 (ja) 平面ディスプレイの駆動装置
CN104534242A (zh) 电视机角度自动调节托架
KR101052824B1 (ko) 광학기기의 방향 조절 장치
KR101460751B1 (ko) 다수 개의 배치모드 제어가 가능한 모니터 승하강장치
KR20100012517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CN117882367A (zh) 显示设备
KR100845597B1 (ko) 평판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 시스템
KR102642048B1 (ko) 디스플레이 업/다운 및 틸팅 가능한 이동식 거치대
KR100666329B1 (ko) 벽걸이형 텔레비젼의 시청각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