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944B1 -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944B1
KR101456944B1 KR20140047812A KR20140047812A KR101456944B1 KR 101456944 B1 KR101456944 B1 KR 101456944B1 KR 20140047812 A KR20140047812 A KR 20140047812A KR 20140047812 A KR20140047812 A KR 20140047812A KR 101456944 B1 KR101456944 B1 KR 101456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y photographing
ray
conveyor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완
Original Assignee
김성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완 filed Critical 김성완
Priority to KR2014004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fluoroscopic examination, with visual observation or video transmission of fluoroscopic im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5/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the use of ionising radiation, e.g. of natural or induced radioactivity
    • G01V5/20Detecting prohibited goods, e.g. weapons, explosives, hazardous substances, contraband or smuggled objects
    • G01V5/22Active interrogation, i.e. by irradiating objects or goods using external radiation sources, e.g. using gamma rays or cosmic 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24Suit-cases, other lugg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1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1N2223/1016X-r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40Imaging
    • G01N2223/413Imaging sensor array [CC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3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object on convey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Multimedi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스선 주제어부로부터 수화물 엑스레이작동을 이양받아 별도로 구성되어진 수화물엑스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전.후방에 감지센서가 형성되고 감지센서로부터 검색대상 물품의 유/무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엑스선촬영장치를 운전, 대기모드로 자동전환되는 수화물엑스레이 제어장치이다. 또한 제품 설치시 최소작업 공간확보를 하게 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해 손쉽게 설치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작동선택부를 통해 자동/수동 세트하고; 방향선택부을 통해 정방향/역방향을 세트하고, 구동설정부를 통해 입력되는 엑스선 작동시간 및 엑스선촬영 지연시간을 세트하고 동시에 구동표시부로부터 엑스선촬영시간을 육안으로 즉시 파악할 수 있는 구동표시부을 제공하고; 상기 세트된 값에 의해 엑스선 촬영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도록 수화물 엑스레이 제어장치을 제공하여 검색요원의 피로누적을 제거함과 동시에 검색에만 최선을 다하도록 된 수화물 엑스레이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Control circuit of X-ray photographing device for luggag}
본 발명은 수화물 엑스선(X-ray) 촬영장치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회로부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장치의 설정(set) 및 조작이 간단하며 유용한 기능을 구비하여 장치 운용에 편리를 극대화한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는 공항이나 빌딩 등 보안을 요구하는 장소에 출입하는 사람들이 소지한 소지품(수화물)을 투시 검색하는 장치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99120에는 수화물의 자동 이송기능을 갖는 엑스선 검색기가 개시된다.
상기 기술은 엑스선 검색기의 입구에 설치된 컨베이어 위로 수화물이 올려지면 자동으로 감지하여 엑스선 검색기 내로 수화물을 이송하여 검색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검색요원이 여행객이 휴대한 가방이나 짐 등의 검색대상물을 X선 검색기의 선단에 마련된 이송수단위로 올려놓았는지를 감시한 후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던 검색요원들의 업무 부하를 경감시켜 검색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검색의 지체를 방지할 수 있어 검색에 대한 여행객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대부분의 수화물 엑스선 촬영 장치는 수입에 의존되는 데, 우선 제품이 고가이고, 또 조작 방법도 제작사가 제공한 특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정(SET) 및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이는 실무자들에게는 매우 난처하고 어려운 작업이 되어 왔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99120,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0-0024020, 한국등록특허공보 10-099747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회로부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장치의 설정(set) 및 조작이 간단하며 유용한 기능을 구비하여 장치 운용에 편리를 극대화한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화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수화물을 투시 촬영하는 엑스레이 촬영부와, 촬영된 수화물의 투시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컨베이어부 구동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구동부와, 운전조작 및 설정을 수행하는 키입력부와,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인회로부를 포함하는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전면부에 형성되는 전방센서부를 3개의 감지센서로 구성하고, 후면부에 형성되는 후방센서부를 3개의 감지센서로 구성하며; 수화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송 및 촬영을 수행하는 자동모드와, 메인회로부로 제어권한을 넘겨주는 수동모드를 선택하는 자동/수동선택스위치와, 컨베이어부의 회전방향을 정역으로 선택하는 정/역방향선택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부와; 컨베이어부의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작동시간설정볼륨과, 수화물이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되어 전면부의 단부 또는 후면부의 단부에 위치하면 컨베이어부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는 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시간설정볼륨으로 이루어진 설정부와; 상기 작동시간설정볼륨의 설정을 표시하는 작동시간표시부와; 상기 지연시간설정볼륨의 설정을 표시하는 지연시간표시부와; 컨베이어부 구동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하는 정/역회전구동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를 검출하여 자동/수동모드 및 정/역회전을 세트하고, 상기 설정부를 통해 입력되는 컨베이어부 작동시간 및 지연시간을 세트하고 동시에 작동표시부 및 지연시간표시부로 설정값을 표시 출력하며, 상기 세트된 값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부를 제어하여 구동모터를 구동제어하는 보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보조제어부는 컨베이어부가 동작 개시되면 설정된 작동시간을 카운트 개시한 후, 후속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카운트 중이던 작동시간을 리세트하고, 다시 설정된 작동시간을 카운트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회로부와는 별도로 구성되어 장치의 설정(set) 및 조작이 간단하며 유용한 기능을 구비하여 장치 운용에 편리를 극대화한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화물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외형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의 제어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화물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외형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물 엑스레이 촬영장치는,
엑스레이 촬영이 수행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수화물을 이송시키는 전면부(20) 및 후면부(30)와, 촬영된 엑스레이 투시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40)와, 장치의 설정 및 조작을 수행하는 키보드(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엑스레이 촬영을 수행하는 공간인 촬영부(11)와, 수화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부(20)는 수화물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21~23)와, 로울러부(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부(30)에도 복수개의 감지센서(31~33)와 로울러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감지센서(21~23, 31~33)는 수화물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발광부와 수광부가 쌍을 이루는 포토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감지센서는 포토센서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잠지센서들 중 가장 외곽에 있는 센서인 전면부(20)의 감지센서(23)와 후면부(30)의 감지센서(33)를 편의상 제3센서라고 한다.
상기 감지센서들을 복수개 설치한 이유는 수화물을 올려놓았을 때 보다 정확한 감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는 메인회로부(100)와는 별도로 구성되는 서브회로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메인회로부(100)는 수화물을 투시 촬영하는 엑스레이(X-ray) 촬영부(110)와, 촬영된 수화물의 투시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컨베이어부(12) 구동모터(M)의 정/역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정/역회전 구동부(130)와, 운전조작 및 설정을 수행하는 키입력부(140)와,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서브회로부(200)는 상기 메인회로부(10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수화물을 감지하는 센서부(110)와, 자동/수동선택스위치(221)와 정/역방향선택스위치(222)로 이루어진 스위치부(220)와, 작동시간설정볼륨(231)과 지연시간설정볼륨(232)로 이루어진 설정부(230)와, 표시부(240)와, 보조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부(110)는 전면부(20)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감지센서(21~23)로 구성되는 전방센서부(111)와, 후면부(20)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감지센서(31~33)로 구성되는 후방센서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부(220)의 자동/수동선택스위치(221)는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로, 자동모드는 수화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송 및 촬영을 수행하는 모드이고, 수동모드는 메인회로부(100)로 제어권한을 넘겨 메인회로부(100)에서 제어를 수행하도록 하는 모드이다.
상기 스위치부(220)의 정/역방향선택스위치(222)는 컨베이어부(12)의 회전방향을 정역으로 선택 회전시켜 전면부(20)부터부터 수화물이 이송되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후면부(30)로부터 수화물이 이송되도록 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이러한 기능은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수화물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출될 때 편리하게 이용되는 기능이다.
상기 설정부(230)의 작동시간설정볼륨(231)은 컨베이어부(12)의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볼륨스위치로, 예를 들어 전면부(20)에서 출발한 수화물이 촬영부(11)를 거쳐 후면부(30)에 도착하는 시간을 설정한다.
이러한 작동시간은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컨베이어부(12)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게 된다.
상기 설정부(230)의 지연시간설정볼륨(232)은 컨베이어부(12)의 작동 중지시간을 설정하는 볼륨스위치로, 수화물이 이송되어 반대편에 도착되었을 때 수화물을 인출한 시점부터 일정시간 컨베이어부(12)의 구동을 중지하는 시간을 설정한다.
이러한 지연시간(구동중지시간)은 상기 수화물이 컨베이어부(12)를 통해 이송되어 전면부(20)의 단부 또는 후면부(30)의 단부에 위치하면, 즉 제3센서(23,33)에 의해 수화물이 감지되면, 컨베이어부(12)의 구동시간과 관계없이 컨베이어부(12)의 동작을 정지시켜주는데, 이때 수화물이 이탈되면 수화물이 이탈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컨베이어부(12)의 구동을 중지시킨 후 다시 구동시켜주게 된다.
상기 지연시간은, 초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2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전면부(20) 또는 후면부(30)의 단부에 수화물이 도착하여 수화물을 인출할 때, 수화물의 구조(가방의 끈 등)에 따라 제3센서의 불필요한 감지로 컨베이어부(12)가 불필요한 온, 오프 구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작동시간설정볼륨(231) 또는 상기 지연시간설정볼륨(232)의 조작에 의해 초단위로 표시되는 표시부이다.
상기 보조제어부(250)는 상기 스위치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를 검출하여 자동/수동모드 및 정/역회전을 세트하고, 상기 설정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컨베이어부(12) 작동시간 및 지연시간을 세트하고 동시에 표시부(240)로 해당 설정값을 표시 출력하며, 상기 세트된 값에 의해 상기 메인회로부(100)의 정/역회전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구동모터(M)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의 전체 동작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위치부(220)의 자동/수동선택스위치(221)를 통해 수동모드가 선택되면 보조제어부(250)는 메인회로부(100)의 주제어부(160)로 제어권한을 넘겨준다.
따라서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는 메인회로부(100)의 조작에 의해 구동된다.(S11,S12 단계)
그러나 상기 판단단계(S11)에서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보조제어부(250)는 정/역방향선택스위치(222)를 통해 입력된 키 신호를 검출하여 정방향이 선택되었다면 정방향 운전을 세트하고, 역방향이 선택되었다면 역방향 운전을 세트한다.(S13~S15단계).
이하 정방향 운전이 세트된 것으로 가정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역방향 운전은 이의 역방향으로 운전으로 생각하면 된다.
이와 같은 설정이 완료되면, 보조제어부(250)는 전면부(20)의 감지센서(21~23)로부터 물체, 즉 수화물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16 단계)
여기서 물체가 감지되면 않으면 대기모드로 진행하고, 물체가 감지되면 정/역회전구동부(130)로 구동모터(M) 구동신호를 출력한다.(S17,S18 단계)
따라서 구동모터(M)는 구동되고 컨베이어부(12)는 회전된다.
상기 컨베이어부(12)가 동작 개시되면 설정된 작동시간을 카운트 개시한다.(S19 단계)
상기 작동시간 카운트 중, 전면부(20)의 전방센서부(111), 즉 감지센서(21~23)를 통해 후속 물체가 감지되는 지를 판단한다.(S20 단계)
여기서 상기 후속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카운트 중이던 작동시간을 리세트하고, 다시 설정된 작동시간을 카운트 개시한다.(S21 단계)
이러한 이유는 후속 물체를 기준으로 컨베이어부(12)를 구동시켜 줌으로써 정확하게 물체가 후면부(30)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판단단계(S20)에서 후속 물체가 감지되지 않는다면 설정된 작동시간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2 단계)
여기서 설정된 작동시간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컨베이어부(12)를 통해 이송된 물체가 후면부(30)의 제3센서(33)에 감지되는 가를 판단한다.(S23 단계)
상기 판단단계(S23)에서 물체가 후면부(30)의 제3센서(33)에 의해 감지되지 않으면 모터구동을 계속하고, 제3센서에 의해 검출되면 모터(M)를 정지하고 카운트를 중지 대기상태로 전환한다.(S24 단계)
이와 같이 컨베이어부(12)가 정지되면 사용자는 후면부(30)에 위치한 수화물을 인출한다.
이때 보조제어부(250)는 제3센서(33)를 통해 수화물(물체)의 감지유무를 판단하여, 수화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설정된 지연시간을 카운트 개시한다.(S25,S26 단계)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모터(M)를 구동하여 컨베이어부(12)를 구동하여 준다.(S27 단계)
따라서 후면부(30)에 도착한 수화물이 인출된 다음에도 일정 지연시간만큼 컨베이어부(12)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2)의 불필요한 작동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S22)에서 설정된 작동시간이 종료되었다면 모터(M)의 구동을 정지시켜 컨베이어부(12)를 중지시키고 프로그램 리턴된다.(S25 단계)
100: 메인회로부 200: 서브회로부
210: 센서부 211: 전방센서부
21~23: 감지센서 212: 후방센서부
31~33: 감지센서 220: 스위치부
221: 자동/수동선택스위치 222: 정/역방향선택스위치
230: 설정부 231: 작동시간설정볼륨
232: 지연시간설정볼륨 240: 표시부
250: 보조제어부

Claims (2)

  1. 수화물을 투시 촬영하는 엑스레이(X-ray) 촬영부(110)와, 촬영된 수화물의 투시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컨베이어부(12) 구동모터(M)의 정/역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정/역회전 구동부(130)와, 컨베이어부(12) 구동모터(M)를 구동 제어하는 구동부(130)와, 운전조작 및 설정을 수행하는 키입력부(140)와,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50)를 포함하는 메인회로부(100)를 포함하는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에 있어서,
    전면부(20)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감지센서(21~23)로 구성되는 전방센서부(111)와, 후면부(20)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감지센서(31~33)로 구성되는 후방센서부(112)를 포함하는 센서부(110)와;
    수화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이송 및 촬영을 수행하는 자동모드와, 메인회로부(100)로 제어권한을 넘겨주는 수동모드를 선택하는 자동/수동선택스위치(221)와, 컨베이어부(12)의 회전방향을 정역으로 선택하는 정/역방향선택스위치(222)로 이루어진 스위치부(220)와;
    수화물 감지 시 컨베이어부(12)의 작동시간을 설정하는 작동시간설정볼륨(231)과, 수화물이 컨베이어부(12)를 통해 이송되어 전면부(20)의 단부 또는 후면부(30)의 단부에 위치하면 수화물이 인출된 이후 컨베이어부(12)의 동작을 일정시간 중지시키는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시간설정볼륨(232)으로 이루어진 설정부(230)와;
    상기 작동시간설정볼륨(231) 및 상기 지연시간설정볼륨(232)의 설정을 표시하는 표시부(240)와;
    상기 스위치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를 검출하여 자동/수동모드 및 정/역회전을 세트하고, 상기 설정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컨베이어부(12) 작동시간 및 지연시간을 세트하고 동시에 표시부(240)로 설정값을 표시 출력하며, 상기 세트된 값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구동모터(M)를 구동제어하는 보조제어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제어부(250)는 컨베이어부(12)가 동작 개시되면 설정된 작동시간을 카운트 개시한 후, 후속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카운트 중이던 작동시간을 리세트하고, 다시 설정된 작동시간을 카운트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
  2. 삭제
KR20140047812A 2014-04-22 2014-04-22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 KR101456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7812A KR101456944B1 (ko) 2014-04-22 2014-04-22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7812A KR101456944B1 (ko) 2014-04-22 2014-04-22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944B1 true KR101456944B1 (ko) 2014-11-04

Family

ID=5228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7812A KR101456944B1 (ko) 2014-04-22 2014-04-22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9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212B1 (ko) * 2016-10-04 2019-02-08 (주)젬스메디컬 전산단층촬영장치 및 방법
CN113805242A (zh) * 2021-08-25 2021-12-17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安检机射线源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700A (en) 1995-09-25 1997-02-04 Vivid Technologies, Inc. Detecting explosives or other contraband by employing transmitted and scattered X-rays
JP2006518039A (ja) 2003-02-13 2006-08-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オブジェクト検査方法及び装置
KR20090099120A (ko) * 2008-03-17 2009-09-22 (주)대동하이텍 수화물의 자동 이송기능을 갖는 엑스선 검색기
KR20130110546A (ko) * 2012-03-29 2013-10-1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수하물 보안검색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0700A (en) 1995-09-25 1997-02-04 Vivid Technologies, Inc. Detecting explosives or other contraband by employing transmitted and scattered X-rays
JP2006518039A (ja) 2003-02-13 2006-08-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オブジェクト検査方法及び装置
KR20090099120A (ko) * 2008-03-17 2009-09-22 (주)대동하이텍 수화물의 자동 이송기능을 갖는 엑스선 검색기
KR20130110546A (ko) * 2012-03-29 2013-10-1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수하물 보안검색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212B1 (ko) * 2016-10-04 2019-02-08 (주)젬스메디컬 전산단층촬영장치 및 방법
CN113805242A (zh) * 2021-08-25 2021-12-17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安检机射线源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944B1 (ko) 수화물 엑스선 촬영장치의 제어회로
WO2017119682A3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2092318A3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ximity detection verification
RU2016137328A (ru) Управление освещением на основе близости
WO2014134930A1 (zh) 触摸屏解锁方法、触摸屏解锁系统及电子设备
DE60308541D1 (de) Mensch-maschine-schnittstelle unter verwendung einer deformierbaren einrichtung
EP2778853A3 (en) Objec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user device
CN104994240B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接近传感器节电控制方法及系统
TW20073265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s in wafer using line sensor camera
WO2014159339A3 (en) Single infrared emitter vessel detector
CN106463034B (zh) 双检测器能力入侵检测系统和方法及其配置系统和方法
CN104407050A (zh) 一种pvc板自动检测系统
WO2018205742A1 (zh) 基板残材检测方法、装置以及系统
CN103977445A (zh) 一种公共厕所自动消毒装置
MY197261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heart rate based on infrared rays sensor using the same
CN105105992B (zh) 一种障碍物检测方法、装置及智能手表
TW201504130A (zh) 電梯控制系統及方法
WO2018107791A1 (zh) 驱动芯片的传递交接平台的自动测量方法、设备
JP5631648B2 (ja) トイレ使用表示装置
CN109269767A (zh) 显示板显示效果的检测方法及检测设备
EP2610677A3 (en) Document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documen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ocument conveying device
JP2007049633A5 (ko)
FR3035150B1 (fr) Procede, systeme et appareil pour detecter un instant de fermeture d'un injecteur
JP2018012004A5 (ko)
JP200408783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