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756B1 -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756B1
KR101456756B1 KR1020120150237A KR20120150237A KR101456756B1 KR 101456756 B1 KR101456756 B1 KR 101456756B1 KR 1020120150237 A KR1020120150237 A KR 1020120150237A KR 20120150237 A KR20120150237 A KR 20120150237A KR 101456756 B1 KR101456756 B1 KR 101456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transformer
anion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980A (ko
Inventor
유현종
Original Assignee
유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종 filed Critical 유현종
Priority to KR102012015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7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사용공간에 알맞게 최적화시키기 위해 음이온 방출량을 대, 중, 소로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공간의 대소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음이온 발생장치는 교류 220V 상용전원을 받아 음이온을 공중에 발생시키는 방전핀을 구비하는 함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을 받아 220V를 감압하고 정류시켜 직류 12V를 출력하는 어댑터와, 상기 직류 12V를 6V, 9V, 12V로 선택적으로 가변시켜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전압을 출력하는 가변 감압트랜스와, 상기 가변 감압트랜스의 직류 출력전압을 일정한 주파수의 교류전압으로 인버팅하여 상응하는 전압의 교류전원을 출력하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서 출력되는 6V, 9V, 12V 중 어느 하나를 각각 대응되는 500V, 750V, 1000V로 승압시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구동트랜스와, 상기 구동트랜스로부터 승압된 구동전압을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4배로 배압 및 정류시키며, 이를 공기와 접촉되어 있는 상기 방전핀에게 인가하여 음이온의 방출량을 차등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는 배압정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nagative ion(anion) generator enabling adjustment}
본 발명은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공간에 알맞게 최적화시키기 위해 음이온 방출량을 대, 중, 소로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이온 발생장치는 콘덴서, 다이오드, TR(트랜지스터), 트랜스, 저항 및 방전핀 등에 의해서 음이온발생을 위한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전핀에 코팅된 TiO₂물질에 의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음이온 발생기는 LED램프와 같은 발광체와 같이 연결되어 동작되고 있으며, LED램프가 발광하는 동안에 소정 량의 음이온을 일정하게 발생시켜 실내의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LED램프와 상기 음이온 발생기에게 동시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공급장치와 상기 음이온발생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소정의 케이스에 내설하고, 강절연체 세라믹으로 함침시켜 상기 LED램프를 발광시키기 위한 음이온발생유닛을 형성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음이온 발생장치는 음이온 방출량이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사용공간의 면적에 따라 대응된 각 방출량으로 결정된 음이온 발생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고, 더욱이, 작은 집에서 사용하다가 큰집으로 이사를 가든지 또는 작은 방에서 큰방으로 옮기든지 이와 같이 사용공간이 보다 크게 확장된 공간으로 이동될 경우 음이온 방출량과 공간면적의 불일치가 형성되어 음이온 방출량이 과하게 공급되거나, 일부 또는 그 이상의 공간에서 음이온이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음이온의 효과가 부적절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일이 사용공간에 맞추어 음이온 발생장치를 배치할 경우 공간의 면적에 맞게 새로운 음이온 발생장치를 구비하여야 하고, 적은 방출량의 음이온 발생장치가 사용공간을 초과한 공간에 배치될 경우 음이온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거나 또 하나의 음이온 발생장치를 구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o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10-0175816호(공고:2000. 03. 15)
o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10-0177587호(공고:2000. 04. 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사용공간에 알맞게 최적화시키기 위해 음이온 방출량을 대, 중, 소로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공간의 대소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에 따라, 교류 220V 상용전원을 받아 음이온을 공중에 발생시키는 방전핀을 구비하는 함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을 받아 220V를 감압하고 정류시켜 직류 12V를 출력하는 어댑터와, 상기 직류 12V를 6V, 9V, 12V로 선택적으로 가변시켜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전압을 출력하는 가변 감압트랜스와, 상기 가변 감압트랜스의 직류 출력전압을 일정한 주파수의 교류전압으로 인버팅하여 상응하는 전압의 교류전원을 출력하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서 출력되는 6V, 9V, 12V 중 어느 하나를 각각 대응되는 500V, 750V, 1000V로 승압시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구동트랜스와, 상기 구동트랜스로부터 승압된 구동전압을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4배로 배압 및 정류시키며, 이를 공기와 접촉되어 있는 상기 방전핀에게 인가하여 음이온의 방출량을 차등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는 배압정류부를 포함하는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의 12V를 3V씩 차등적으로 감압시켜 6V, 9V, 12V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다중 감압트랜스와, 상기 다중 감압트랜스의 전단에 배치되어 출력되는 6V, 9V, 12V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가변전압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공간에 알맞게 최적화시키기 위해 음이온 방출량을 대, 중, 소로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공간의 대,소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감압트랜스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음이온 발생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3)와, 가변 감압트랜스(5)와, 인버터부(7)와, 구동트랜스(9)와, 배압정류부(11)와, 방전핀(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3)는 한전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220V(또는 `110)에 상응하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교류의 12V 전압으로 감압하고, 이로부터 교류성분을 제거하는 평활과 직류화하는 정류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직류 12V를 출력한다.
상기 가변 감압트랜스(5)는 상기 어댑터(3)로부터 상기 직류 12V를 감압시켜 6V, 9V, 12V로 선택적으로 가변시키고,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전압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3)에는 상기 가변 감압트랜스(3)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6V, 9V, 12V 전압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7)는 상기 가변 감압트랜스(5)로부터 출력된 직류 6V, 9V, 12V 전압 중 어느 하나를 일정한 주파수(또는 상용주파수)의 교류로 인버팅하여 교류전원을 출력한다.
상기 구동트랜스(9)는 상기 인버터부(7)에서 출력되는 교류 6V, 9V, 12V 전압 중 어느 하나를 각각 승압시켜 500V, 750V, 1000V 중 대응되는 구동전압으로 출력한다.
상기 배압정류부(11)는 상기 구동트랜스(9)로부터 승압된 구동전압을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평활하고 4배로 배압 및 정류시켜 각각 2000V, 3000V, 4000V 중 대응되는 어느 하나의 직류전압을 출력하고, 이를 공기와 접촉되어 있는 상기 방전핀(13)에게 인가하여 음이온의 방출량을 차등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방전핀(13)은 상기 배압정류부(11)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받아 미세하게 플라즈마를 일으키고, 상기 직류전압에 상응하는 음이온이 소, 중, 대의 방출량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 감압트랜스(5)는 상기 어댑터(3)의 12V를 3V씩 차등적으로 감압시켜 6V, 9V, 12V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다중 감압트랜스(15)와, 상기 다중 감압트랜스의 전단에 배치되어 출력되는 6V, 9V, 12V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가변전압 스위칭부(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전압 스위칭부(17)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음이온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변전압 스위칭부(17)를 대, 중, 소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출량으로 조정하여 선택하면, 가변 감압트랜스(5)에서 12V를 6V, 9V, 12V 중 해당하는 전압을 출력하고, 이를 인버터부(7)에서 교류화시키고, 구동트랜스(9)에서 500V, 750V, 1000V 중 상응하는 구동전압을 출력한다. 이어, 상기 구동전압은 상기 배압정류부(11)에서 4배압으로 정류시켜 2000V, 3000V, 4000V 중 어느 하나의 전압을 상기 방전핀(13)에 인하면, 음이온 방출량이 사용자가 조정한 대, 중, 소 중 어느 하나로 발생시킨다.
3 ; 어댑터
5 ; 가변 감압트렌스
7 ; 인버터부
9 ; 구동트랜스
11 ; 배압정류부
13 ; 방전핀
15 ; 다중 감압트랜스
17 ; 가변전압 스위칭부

Claims (2)

  1. 교류 220V 상용전원을 받아 음이온을 공중에 발생시키는 방전핀을 구비하는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을 받아 220V를 감압하고 정류시켜 직류 12V를 출력하는 어댑터와;
    상기 직류 12V를 6V, 9V, 12V로 선택적으로 가변시켜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전압을 출력하는 가변 감압트랜스와;
    상기 가변 감압트랜스의 직류 출력전압을 일정한 주파수의 교류전압으로 인버팅하여 상응하는 전압의 교류전원을 출력하는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에서 출력되는 6V, 9V, 12V 중 어느 하나를 각각 대응되는 500V, 750V, 1000V로 승압시켜 구동전압을 출력하는 구동트랜스와;
    상기 구동트랜스로부터 승압된 구동전압을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고 4배로 배압 및 정류시키며, 이를 공기와 접촉되어 있는 상기 방전핀에게 인가하여 음이온의 방출량을 차등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는 배압정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12V를 3V씩 차등적으로 감압시켜 6V, 9V, 12V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다중 감압트랜스와;
    상기 다중 감압트랜스의 전단에 배치되어 출력되는 6V, 9V, 12V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가변전압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
KR1020120150237A 2012-12-21 2012-12-21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 KR101456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237A KR101456756B1 (ko) 2012-12-21 2012-12-21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237A KR101456756B1 (ko) 2012-12-21 2012-12-21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980A KR20140080980A (ko) 2014-07-01
KR101456756B1 true KR101456756B1 (ko) 2014-10-31

Family

ID=5173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237A KR101456756B1 (ko) 2012-12-21 2012-12-21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7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587Y1 (ko) * 1997-09-13 2000-04-15 이명일 음이온 발생기의 전원 공급장치
EP1688151A1 (en) * 2005-02-03 2006-08-09 Se Kit Yuen Electro-optical air purifying and dust collecting device
KR20090067402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197306B2 (ja) * 2008-10-31 2013-05-15 オルガノ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587Y1 (ko) * 1997-09-13 2000-04-15 이명일 음이온 발생기의 전원 공급장치
EP1688151A1 (en) * 2005-02-03 2006-08-09 Se Kit Yuen Electro-optical air purifying and dust collecting device
KR20090067402A (ko) * 2007-12-21 200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온 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197306B2 (ja) * 2008-10-31 2013-05-15 オルガノ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980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6102B1 (en) Three-stage electronic ballast for metal halide lamps
US9190901B2 (en) Bridgeless boost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for constant current input
US9369053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40268966A1 (en) High-voltage inverter
EP2552004A3 (en) Power supply system with low power standby supply for control unit
EP2590308A3 (en) Power supply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low-capacity power supply circuit
US20140328096A1 (en) Active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for a constant current power converter
JP2017004735A (ja) 調光点灯回路及び照明器具
KR20150050120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JP6603763B2 (ja) 照明システム
KR101456756B1 (ko) 조절가능한 음이온 발생장치
JP6145678B2 (ja) 点灯装置、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7069180A (ja)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TWI542982B (zh) 電源輸出調節電路
US904976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rting alternating current to drive light-emitting diodes
KR101449305B1 (ko) 차량용 파워컨트롤모듈
JP2013021786A (ja) 電源装置
TWM423417U (en) Dynamically adjusting dimming range driving apparatus
WO2013183244A1 (ja) 点灯装置
WO2020021526A3 (en) Regulated current power source
JP6534090B2 (ja) 照明システム
JP5569729B2 (ja) キセノンランプ点灯装置及びキセノンランプの点灯方法
JP2012090418A (ja) 高電圧発生回路、イオン発生装置及び静電霧化装置
WO2009048092A1 (ja) 紫外線照射装置
JP6617544B2 (ja) 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