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621B1 -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621B1
KR101456621B1 KR1020140057543A KR20140057543A KR101456621B1 KR 101456621 B1 KR101456621 B1 KR 101456621B1 KR 1020140057543 A KR1020140057543 A KR 1020140057543A KR 20140057543 A KR20140057543 A KR 20140057543A KR 101456621 B1 KR101456621 B1 KR 101456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olysis furnace
gas
discharged
outlet
perforat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종식
전세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쓰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쓰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05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2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plastics, e.g. rub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물질계 폐기물 및 폐인조대리석을 혐기성 환경에서 열분해함으로써 가용 에너지원을 분리 추출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부에 피처리물 투입구(3)가 마련되고, 하부에 고체상태의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5)가 마련되며, 측부에 가스유입구(7)가 마련되고, 상부에 증기 상태의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9)가 마련되는 열분해로(1); 상기 피처리물 투입구(3)를 통해 상기 열분해로(1) 내부에 피처리물(W)을 공급하기 위한 피처리물 공급부(11); 제1배출구(5)를 통해 배출되는 고체 상태의 물질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부(25); 상기 제2배출구(9)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콘덴서(29); 상기 콘덴서(29)에서 배출되는 혼합액으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유수분리기(31); 상기 가스유입구(7)를 통해 상기 열분해로(1) 내부에 혐기성 가스를 가열한 후 공급하는 고온가스 공급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Waste Recycling System}
본 발명은 산업폐기물인 고분자 물질 또는 폐인조대리석 등을 혐기성 환경에서 열분해함으로써 가용 에너지원을 분리 추출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계 폐기물은 전세계적으로 발생되는 양 중 많은 양(30%)이 소각 및 매립되고 있고 폐고무류 또한 대부분(90%)이 소각 및 매립에 의존하고 있다.
한편 인조대리석은 1968년 미국의 듀퐁사에 의해 MMA(메틸메타크리레이트) 모노머를 매트릭스로 사용하여 개발한 소재이다. 현재 이를 기반으로 배합기술, 성형기술, BMC 가공기술이 뒷받침되면서 세면대, 욕조, 싱크대, 테이블 상판 등 다양한 품목이 생산되고 있다. 인조대리석의 국내 생산량은 연간 약 20만톤에 달하며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생산량에 못지않게 폐기물도 많이 배출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조대리석의 생산과정에 있어서도 최종 생산량 중 약 15 ~ 20%가 스크랩 및 분진으로 인해 발생되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많은량의 인조대리석이 폐기되어야 하는데, 현재 인조대리석은 전량 소각 또는 매립으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처리시 소요되는 비용은 물론 2차적 환경오염의 우려도 크다. 따라서 고분자 계 폐기물 및 폐인조대리석을 환경에 유익한 방법으로 폐기하는 방법 내지 시스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54431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056474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분자 폐기물 및 폐인조대리석을 환경에 유익한 방향으로 폐기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되, 여기서 더 나아가 그로부터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추출하기 위한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상부에 피처리물 투입구가 마련되고, 하부에 고체상태의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가 마련되며, 측부에 가스유입구가 마련되고, 상부에 증기 상태의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가 마련되는 열분해로;
상기 피처리물 투입구를 통해 상기 열분해로 내부에 피처리물을 공급하기 위한 피처리물 공급부; 상기 가스유입구를 통해 상기 열분해로 내부에 상기 피처리물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가스를 가열한 후 공급하는 고온 가스 공급부;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고체 상태의 물질 중의 미 분해된 고분자 성분을 완전 분해 혹은 연소 시키는 연소부;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콘덴서; 상기 콘덴서에서 배출되는 혼합액으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피처리물공급부는 이송스크류를 이용함으로써 연속적으로 피처리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열분해로의 중간 높이에는 공급되는 피처리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수단은 분상 물질을 하방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부재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열분해로의 중간 높이에는 공급되는 피처리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수단은;
다수의 받침판이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복수개의 다공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다공판유닛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층 설치되되;
상하로 배치된 상기 다공판유닛의 받침판은 상기 피처리물이 지그재그 형태로 하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은 평평한 형태 또는 버킷과 같이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다공판유닛중 일부 또는 전부의 받침판은 지면에 평행한 축에 연결되고; 상기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축회전기구에 의해 상기 열분해로 내부에서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열분해로의 중간 높이에는 공급되는 피처리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수단은;
상기 열분해로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 내부에 충전되는 것으로서,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된 알갱이 형태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콘덴서에서 추출되는 냉각된 가스는 상기 고온 가스 공급부로 공급됨으로써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반 고분자 물질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이로부터 열분해유등 열분해 물질의 회수하며 또한 폐인조대리석을 열분해하여 그로부터 MMA 및 산화알루미늄을 추출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따라서 고분자 물질 및 폐인조대리석을 소각 또는 매립하여 폐기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2차적 환경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의 열분해로 내의 받침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의 열분해로 내의 받침수단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의 열분해로 내의 받침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의 열분해로 내의 받침수단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의 열분해로 내의 받침수단의 측부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열분해로(1)는 사일로(Silo)와 유사한 외관을 가지며 직립 설치된다. 열분해로는 고온에 견딜 수 있는 소재로 되어 있어야 하며 단열수단을 가질 수 있다. 열분해로(1)는 상부에 피처리물 투입구(3)가 마련되고, 하부에 고체 상태의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5)가 마련되며, 측부에 가스유입구(7)가 마련되고, 상부에 증기 상태의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9)가 마련된다.
피처리물 공급부(11)는 열분해로(1)의 상부에 설치된 피처리물 투입구(3)를 통해 열분해로(1) 내부에 피처리물(W)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피처리물 공급부(11)는 저장탱크(13), 이송관(15) 및 이송관(15)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스크류(17)를 포함한다. 피처리물 공급부(11)는 피처리물(W)을 연속적으로 열분해로(1) 내부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송스크류(17)의 회전 속도에 의해 공급량도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피처리물 공급부(11)는 사전 가공부, 예를 들어 입자가 큰 피처리물을 가늘게 분쇄하기 위한 분쇄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처리물 공급부(11)는 덩어리 형태로 된 피처리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열분해로(1)의 중간 높이에는 공급되는 피처리물(W)을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수단(19)이 설치된다. 받침수단은 분상 물질을 하방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부재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피처리물(W)은 받침수단(19) 상면에 적층되도록 공급되며, 열분해 후 잔존하는 분상 물질(W')은 받침수단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떨어져 제1배출구(5)를 향하게 된다.
혐기성 가스 공급부(21)는 가스유입구(7)를 통해 상기 열분해(1)로 내부에 피처리물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반응을 일으키는 가스, 특히 혐기성 가스(또는 무산소 가스)를 가열한 후 공급한다. 이를 위해 혐기성 가스 공급부(21)는 가스버너(22)를 포함한다. 혐기성 가스의 공급온도는 400 ~ 700℃가 될 수 있다. 혐기성 가스는 열분해로 내부를 고온의 환경으로 조성하며 시스템을 순환하며 재활용된다. 어떠한 물질을 열분해하는가에 따라 열분해로(1)의 온도는 조정될 수 있다. 누설 등으로 소모되는 혐기성 가스는 운반가스로서의 역할을 하며 소진되지 않지만, 시스템 가동 중 부족시에는 예를 들어 탱크와 같은 가스공급원(23)으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혐기성 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가 될 수 있으며, 열분해시 발생되는 가스일 수도 있다. 혐기성 가스의 종류에 대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열분해로(1) 내부는 이처럼 산소가 공급되지 아니하는, 즉 혐기적 환경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이 무산소 상태에서 피처리물(W)로 하여금 열분해반응을 일으키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연소부(25)는 제1배출구(5)를 통해 배출되는 고체 상태의 분상 물질(W')을 연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연소부(25)는 산소를 공급하면서 고체 상태의 분상 물질(W')을 600 ~ 1,000℃의 온도로 연소시킨다. 분상 물질(W')은 이송관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연소되고, 연소부(25)로부터는 연소생성물이 배출된다.
연소생성물은 고온의 상태에 있기 때문에 냉각부(27)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냉각부(27) 역시 연속적으로 연소생성물을 이송시키면서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열분해로(1)의 제2배출구(9)는 콘덴서(29)에 연결된다. 콘덴서(29)는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시켜 액체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응축되는 액체는 콘덴서(29)의 후방에 연결되는 유수분리기(31)에 공급되며, 혐기성 가스는 회수되어 고온 가스공급부(21)로 공급됨으로써 시스템을 재순환하게 된다. 유수분리기(31)는 배출되는 배출용액으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유수분리기(31)는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배출용액으로부터 물을 분리한다. 본 발명에서 배출용액은 물과 열분해유(혹은 MMA)의 혼합물을 예정하고 있다.
위와 같은 시스템의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인조대리석의 성분 내지 물성을 파악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단초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인조대리석이 PMMA와 수산화알루미늄(Al(OH)3))의 특성을 모두 나타냄을 X-선 회절분석법(XRD)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는 이로부터 인조대리석에 대한 열분해의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판단하였다.
PMMA(폴리메틸메타크리레이트)를 대략 400℃의 열로써 해중합반응(depolymerization, unzip 반응)하게 되면 모노머, 즉 MMA로 거의 완전히 분해된다. PMMA를 열분해할 경우에 최대 95w%에 이르는 MMA를 회수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회수되는 MMA는 현탁 또는 용액 중합을 통해 PMMA로 제조하여 인조대리석, 아크릴 등의 원료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열분해공정에서 얻어진 크루드(crude) MMA는 증류공정을 통하여 탈색과 순도를 높이고 흡착 또는 흡수공정을 통하여 색도 및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수산화알루미늄을 열분해하게 되면,
Al(OH)3(s) --> 1/2Al2O3(S) + 3/2H2O(g)
의 반응식에 의해 산화알루미늄(Al2O3)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산화알루미늄은 타일, 내화물, 세라믹 등의 원료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원리를 전술한 시스템에 적용하게 되면, 피처리물인 인조대리석은열분해로(1)에 공급되어 열분해되어 하방향으로는 제1배출구(5)를 통해 산화알루미늄 혼합물로 배출되고, 상방향으로는 제2배출구(9)를 통해 MMA 혼합물로 배출된다.
제1배출구(5)를 통과한 산화알루미늄 혼합물은 순수한 산화알루미늄이 아니며, 각종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 혼합물을 연소부(25)에서 산소를 공급하면서 연소시키면 불순물은 연소에 의해 산화되어 연도를 통해 빠져나가고, 순도가 높은 산화알루미늄은 정제된 상태로 냉각부(27)로 공급된다.
한편 제2배출구(9)를 통해 배출되는 MMA 혼합물은 물(H2O)을 포함하고 있는 바, 이 물은 유수분리기(31)를 통해 분리된다. 물의 비중이 MMA보다 높으므로 물이 아래에 가라앉게 될 것이다. 물은 유수분리기(31)의 아래에서 배출되어 버려지고, MMA는 위에서 배출되어 회수된다. 혐기성 가스는 콘덴서(29)에서 회수되어 혐기성 가스 공급부(21)로 공급된다.
본 발명은 열분해로의 내부 구성, 특히 받침수단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인 제안을 하고 있다. 이하, 이 받침수단을 설명한다.
받침수단(19)은 열분해로(1)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피처리물(W)을 안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받침수단(19)은 분상 물질을 하방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공성 부재로 되어 있거나 아니면 적절한 방법으로 개구를 형성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받침수단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받침수단(19)은 다수의 받침판(33)이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복수개의 다공판 유닛(35)을 포함한다. 다공판 유닛(35)은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하로 간격을 두고 적층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받침판(33)은 사각형 판재로 되어 있으며 그 위에 피처리물이 안착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하로 배치된 다공판유닛의 받침판(33)은 상하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즉 상하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맨 위에 놓인 피처리물(W)은 열분해되어 분상으로 형태가 변화되면서 받침판(33) 사이의 공간을 통해 화살표(A)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하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판(33) 사이의 간격(t)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아래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아래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다공판유닛(35)을 구성하는 받침판(33) 중 같은 열에 있는 것들은 하나의 축(3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축(37)을 회전시키기 위한 축회전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축회전기구는 각 축(37)의 단부에 설치되는 휠(39), 이 휠(39)을 서로 연결하는 체인(41) 및 체인구동모터(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받침판(33)들은 열분해로(1) 내부에서 축(3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받침판(33)을 열분해로(1)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의해 받침판(33) 상면에 적재된 피처리물(W)을 하방향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판(33)은 평평한 판재 형태로 되어 있다. 모든 받침판(33)을 회전시킬 필요는 없을 수도 있다. 또한 받침판(33)을 설치하기 위한 사각 프레임(45)이 열분해로(1)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33')은 버킷과 같이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받침판(33')은 접시와 같은 용기 형태이거나(도 5(a) 참조), 반원통 형태일 수 있다(도 5(b) 참조). 이러한 형태의 받침판(33')은 좀 더 많은 양의 피처리물을 보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받침판(33') 역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공판유닛(35)은 회전 대신 진동발생기(미도시됨)를 통해 진동 또는 요동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받침수단(19)의 측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표면적 소재로서 입자형 충전소재(47, packing material, Raschig ring, Pall ring 혹은 Berl Saddle)가 사용된다. 충전소재(47)는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된 알갱이 또는 덩어리 형태의 소재이며, 다공성 바닥판(49)을 가지며 열분해로(1)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바스켓(51) 내에 충전된다.
그리고 바스켓(51)에는 초음파 또는 편심모터 등을 이용한 진동발생기(53, vibrator)가 연결될 수 있다. 충전소재(47)를 진동시켜 피처리물(W)이 용이하게 하방으로 투과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충전소재(47)의 입자의 크기는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충전소재(47)에 의한 공극을 줄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은 비단 폐인조대리석 뿐만 아니라, 순수한 고분자 물질 내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각종 산업상 폐기물도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폐인조대리석이 아닌 다른 폐기물을 사용하는 것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 열분해로 3 : 피처리물 투입구
5 : 제1배출구 7 : 고온가스유입구
9 : 제2배출구 11 : 피처리물 공급부
13 : 저장탱크 15 : 이송관
17 : 이송스크류 19 : 받침수단
21 : 혐기성 가스 공급부 23 : 가스공급원
25 : 연소부 27 : 냉각부
29 : 콘덴서 31 : 유수분리기
33(33') : 받침판 35 : 다공판유닛
37 : 축 39 : 휠
41 : 체인 43 : 체인구동모터
45 : 사각 프레임 47 : 충전소재
49 : 바닥판 51 : 바스켓
53 : 진동발생기 W : 피처리물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부에 피처리물 투입구가 마련되고, 하부에 고체상태의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구가 마련되며, 측부에 가스유입구가 마련되고, 상부에 증기 상태의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구가 마련되는 열분해로;
    상기 피처리물 투입구를 통해 상기 열분해로 내부에 피처리물을 공급하기 위한 피처리물 공급부;
    상기 가스유입구를 통해 상기 열분해로 내부에 혐기성 가스를 가열한 후 공급하는 고온가스 공급부;
    제1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고체 상태의 물질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부;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콘덴서;
    상기 콘덴서에서 배출되는 혼합액으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유수분리기;를 포함하는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로의 중간 높이에는 공급되는 피처리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수단은;
    다수의 받침판이 간격을 두고 종횡으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복수개의 다공판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다공판유닛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적층 설치되되;
    상하로 배치된 상기 다공판유닛의 받침판은 상기 피처리물이 지그재그 형태로 하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평평한 형태 또는 버킷과 같이 절곡된 곡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유닛중 일부 또는 전부의 받침판은 지면에 평행한 축에 연결되고; 상기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축회전기구에 의해 상기 열분해로 내부에서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로의 중간 높이에는 공급되는 피처리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수단은;
    상기 열분해로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 내부에 충전되는 것으로서,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된 알갱이 형태의 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8. 삭제
KR1020140057543A 2014-05-14 2014-05-14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KR101456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43A KR101456621B1 (ko) 2014-05-14 2014-05-14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43A KR101456621B1 (ko) 2014-05-14 2014-05-14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621B1 true KR101456621B1 (ko) 2014-11-04

Family

ID=5228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43A KR101456621B1 (ko) 2014-05-14 2014-05-14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142A (ko) * 2019-05-21 2020-12-01 임대빈 아임계 포화증기처리를 통한 혼합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378B1 (ko) * 2008-08-27 2009-04-02 (주)알앤이 폐인조대리석으로부터 mma와 알루미나의 회수방법
JP2011137079A (ja) * 2009-12-28 2011-07-14 Bridgestone Corp 高分子系廃棄物の熱分解装置
KR101269966B1 (ko) * 2011-06-28 2013-05-31 홍승철 보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378B1 (ko) * 2008-08-27 2009-04-02 (주)알앤이 폐인조대리석으로부터 mma와 알루미나의 회수방법
JP2011137079A (ja) * 2009-12-28 2011-07-14 Bridgestone Corp 高分子系廃棄物の熱分解装置
KR101269966B1 (ko) * 2011-06-28 2013-05-31 홍승철 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142A (ko) * 2019-05-21 2020-12-01 임대빈 아임계 포화증기처리를 통한 혼합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및 장치
KR102295902B1 (ko) * 2019-05-21 2021-09-01 임대빈 아임계 포화증기처리를 통한 혼합 폐플라스틱의 자원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8600881A (nl) Afval-vernietiging.
JP2012136672A (ja) 減圧熱分解処理装置及び連続油化炭化設備
EP2997110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cessing plastic waste
ES2211176T3 (es) Procedimiento para la despolimerizacion de poli(metacrilato de metilo).
CN103693839A (zh) 污泥处理方法及其处理系统
TW202225296A (zh) 使塑膠廢料解聚合之方法
JP4465851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ケミカルリサイクル方法及び装置
CN103201325A (zh) Pvc和含有含卤素聚合物废物的其它废物的热降解方法
CN1724934A (zh) 垃圾转化方法
CN203781995U (zh) 污泥处理系统
KR101456621B1 (ko)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JP2006321851A (ja) 熱分解油化装置及び方法、熱分解廃棄物処理装置、有価金属回収装置
JPH05245463A (ja) 混合プラスチツク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CN112760119A (zh) 一种废塑料辐射热裂解工艺及系统
CZ2002374A3 (cs) Způsob a zařízení pro odstraňování odpadních produktů a odpadních látek
JP2004035851A (ja) 油化装置
CN215049937U (zh) 一种废塑料辐射热裂解系统
Yongrong et al. Technical advance on the pyrolysis of used tires in China
EP1511823B1 (en) Indirectly heated waste plastic pyrolysis device
CN110730814A (zh) 有机废物处理系统
AU2884897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energy of waste classification incineration
US584638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hrough waste classification and calcination
JP4337517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ケミカルリサイクル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31501B1 (ko) 폐합성수지 유화장치
KR101218127B1 (ko) 하수 슬러지를 이용한 활성화 물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