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537B1 - Braile block for the blind - Google Patents

Braile block for the bli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537B1
KR101456537B1 KR1020130033797A KR20130033797A KR101456537B1 KR 101456537 B1 KR101456537 B1 KR 101456537B1 KR 1020130033797 A KR1020130033797 A KR 1020130033797A KR 20130033797 A KR20130033797 A KR 20130033797A KR 101456537 B1 KR101456537 B1 KR 101456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marking
protrusion
groove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7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8240A (en
Inventor
심남구
Original Assignee
(주)한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나산업 filed Critical (주)한나산업
Priority to KR102013003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537B1/en
Publication of KR20140118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2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5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6Installations on the floor, e.g. special surfaces, to guide blin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로 형성되는 고무조성물로 블록몸체와 표식돌기를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함으로써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표식돌기 내부의 공간부에 탄성부 및 진동판을 설치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를 가압할 때 표식돌기의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bber composition which is formed from 75 to 85% by weight of nitrile rubber (NBR), 10 to 1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nd 5% of a master batch, and integrally molding inje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block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ich improves durability and allows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 accurately recognize the walking information of the marking protrusion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presses the marking protrusion by providing the elastic portion and the diaphragm in the space portion inside the marking projection.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Braile block for the blind}Braille block for the blin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 내지 10 중량%로 형성되는 고무조성물로 블록몸체와 표식돌기를 일체형으로 성형 사출함으로써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표식돌기 내부의 공간부에 탄성부 및 진동판을 설치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를 가압할 때 표식돌기의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ille block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ubber block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ich comprises 75 to 85% by weight of nitrile rubber (NBR), 10 to 1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nd 5 to 1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mpact resistance and durability by integrally molding the block body and the marking protrusion with the composition and to provide the elastic part and the vibration plate in the space inside the marking protrusion so that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presses the marking protrusion, To a braille block for the visually impaired.

점자블록은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유도하도록 보행로에 설치되는 특수블록으로서, 통상적으로 식별이 용이한 노란색으로 도색되며, 보행위치, 보행방향 및 위험물 등의 보행정보를 나타내는 표식돌기가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콘크리트 몸체로 구성된다.The Braille block is a special block installed on the walkway to induce safe walking of the visually impaired. It is usually painted in yellow which is easy to identify, and the marking protrusion indicating walking information such as the walking position, walking direction, .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보행할 때 표식돌기가 시각장애인의 지팡이 또는 발바닥에 접촉되어 시각장애인이 감촉을 통해 표식돌기에서 나타나는 보행정보를 인지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s walking, the marking protuberance touches the wand or the sole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recognizes the walking information appearing on the marking protrusion through the touch,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walk safely.

그러나 상기 점자블록은 콘크리트 몸체 및 표식돌기의 재질이 모두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표식돌기가 콘크리트 몸체의 전면에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노란색으로 도색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보행자의 신발이나 외부 물체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표식돌기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표식돌기의 파손은 점자블록의 본래의 기능인 보행정보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파손된 조각들이 하나의 장애물이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 However, since the braille block is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and the protrusion of the concrete body and the protrus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and is painted in yellow, The breakage of the marking protrusion frequently occurs, and the breakage of the marking protrusion can not perform the function of guiding the walking information, which is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braille block, and the broken pieces become one obstacle and cause a safety accident .

도 1은 콘크리트 재질의 표식돌기가 노란색으로 도색된 종래의 점자블록의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1 is an actual photograph showing a broken state of a conventional braille block in which a concrete protrusion of a concrete material is painted in yellow.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점자블록(100)은 몸체(101) 및 표식돌기(103)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되 표식돌기(103)가 노란색으로 도포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보행자 및 보행물체 등으로 인한 외부충격과, 물, 오존 등으로 인한 외부 환경에 의해 몸체(101)가 파손되거나 또는 표식돌기(103)가 몸체(101)로부터 떨어져나가거나 파손되는(P)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1, since the body 101 and the marking protrusion 103 are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and the marking protrusion 103 is formed by being coated with yellow, the conventional braille block 100 can be used as a pedestrian and a walking object The body 101 is broken by the external environment caused by external impacts due to water or ozone or the pawl 103 is separated from the body 101 or broken.

또한 상기 점자블록은 표식돌기가 단순히 콘크리트 몸체에 돌출 고정된 것이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이 착용한 신발의 쿠션층이 두꺼울 경우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를 촉감만으로 감지하지 못하거나 또는 표식돌기가 나타내는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ssed block is simply fixed to the concrete body, the braille block can not be detected by the tactile sens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only when the cushion layer of the shoe worn by the visually impaired is thick,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recognize occurs.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표식돌기를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하여 외부 충격으로 인한 표식돌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합성수지 본연의 성질인 인장력에 의해 외부에 의해 가압될 때 하향으로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정확하게 표식돌기를 인지하도록 하는 점자블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marking protrusio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prevent breakage of the marking protrusion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shrink downward when pressed by the outside due to tensile force, which is a nature of synthetic resin, Various researches on braille blocks for recognizing the projections are under way.

그러나 상기 점자블록은 표식돌기가 콘크리트 재질의 몸체의 상부면에 덮여 씌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보행자 및 보행물체의 충격으로 인해 표식돌기가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표식돌기는 물, 오존 등의 외부 환경으로 인해 쉽게 마모 및 변질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braille block is attached in such a manner that the marking protrusion is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body, the marking protrusion is frequently detached from the body due to the impact of the pedestrian and the walking obje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jecting protuberance is easily worn and deteriorated du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water and ozone.

도 2는 표식돌기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재질의 몸체에 덮어 씌워 결합된 점자블록의 파손상태를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a broken state of a braille block which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covered and covered with a concrete material.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점자블록을 살펴보면 합성수지 재질의 표식돌기가 외부 충격 및 환경요인으로 인해 쉽게 뜯어져 나가 도시 미관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시각장애인에게 전달하여야 할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braille block is viewed, the protrusions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are easily torn off due to external shocks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reby deteriorating the beauty of the city, and failing to accurately transmit the walking information to be delivered to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like.

도 3은 국내등록특허 제10-0949647호(발명의 명칭 :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점자블록)에 개시된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braille block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949647 (entitled "Method for manufacturing Braille block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its braille block").

도 3의 점자블록(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하기로 함)(200)은 케이스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210)가 구비되는 몸체(201)와, 몸체(201)의 상면에 형성되는 감지돌기(203), 내부 공간부(210)에 충진되는 충진재(205)로 이루어진다. 이때 충진재(205)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감지돌기(203)는 몸체(20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부(211)에 설치된다. The braille block 200 of FIG. 3 includes a body 201 formed with a case structure and having a space portion 210 therein, a sensing protrusion 2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1, (203), and a filling material (205) filled in the internal space part (2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ler material 205 is concrete or mortar. At this time, the detection protrusion 203 i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holes 2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1.

또한 홀부(211)에는 순차적으로 탄성스프링(231)과, 걸림턱(213)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233)가 형성되는 감지돌기(203)가 설치된다. A sensing protrusion 203 is formed in the hole 211 so as to sequentially form an elastic spring 231 and a support portion 233 supported by the engagement protrusion 213.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감지돌기(203)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31)에 의해 가압될 때 가 감지돌기(203)가 상하로 신축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감지돌기(203)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인지하여 감지돌기(203)가 나타내는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art 100, when the sensing protrusion 203 is pressed up by the elastic spring 231 installed inside the sensing protrusion 203, the sensing protrusion 203 is vertically expanded and contrac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walking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sensing projection 203. [

그러나 종래기술(20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몸체(201)가 충재(205)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며 몸체(201)가 충진재(205)로부터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발생할 때 몸체(201)와 충진재(205)의 결합이 해제되어 몸체(201)가 충진재(205)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감지돌기(203) 또한 몸체(201)와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홀부(211)의 걸림턱(231)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발생할 때 감지돌기(203)가 홀부(211)로부터 이탈하여 시각장애인에게 본래의 안내하고자 하는 보행정보와 전혀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body 201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s not made integrally with the body 205 and the body 201 is supported from the body 205, 201 and the filler 205 are released so that the body 201 is separated from the filler 205. The detection protrusion 203 is no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201, The detection protrusion 203 is detached from the hole 211 when the external impact is generated, thereby providing the blind person with information that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walking information to be guided by the blind person Lt; / RTI >

또한 상기 점자블록(100)은 감지돌기(203)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감지돌기(203) 내부 공간(211) 에 탄성스프링(213)이 설치되어 외부 압력에 의해 감지돌기(203)가 가압될 때 감지돌기(203)가 상하로 신축됨으로써 감지돌기(203)가 도 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때에 비교하여 시각장애인이 감지돌기(203)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감지돌기(203)는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비교적 작은 높이로 돌출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하향 신축되더라도 시각장애인이 실질적으로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The braille block 100 includes a sensing protrusion 203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n elastic spring 213 provided in the inner space 211 of the sensing protrusion 203 so that the sensing protrusion 203 is pressed The detection protrusion 203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when the sensing protrusion 203 is formed of a concrete material as shown in FIG. 1 when the sensing protrusion 203 is vertically expanded or contracted when the sensing protrusion 203 is vertically expanded or contracted. Since the detection protrusion 203 protrudes to a relatively small heigh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walking of the pedestrian, it is difficult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 accurately detect it, even if it is downwardly stretched due to the pressure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또한 시각장애인이 감지돌기(203)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것은 시각장애인의 불안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신호등, 교차로 등과 같이 위험지역이라는 보행정보를 알리는 감지돌기(205)가 설치될 때 시각장애인이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사고로 이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blind person can not accurately detect the detection protrusion 203 not only increases the anxiety of the blind, but also prevents the visually impaired from recognizing the blind when the detection protrusion 205 is installed to notify walking information such as a traffic light, an intersection, It is frequent that it leads to an accident without it.

또한 점자블록은 일반적으로 지면에 설치되고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습기, 물 및 오존 등의 외부 환경에 강한 성질을 가져야 하나, 종래기술(100)은 외부 환경에 대한 내구성, 수용성 및 내오존성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수단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짧은 단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braille block is generally installed on the ground and is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the braille block should have a strong resistanc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moisture, water and ozone. However, the prior art (100) Since there is no separate means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ozone resistance, it has a short life span.

이와 같이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를 가압할 때 표식돌기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표식돌기가 외부 충격에 의해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습기, 물 및 오존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점자블록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In this way, whe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presses the marking protrusion, the contact with the marking protrusion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marking protrusion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ody due to external impact and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moisture, water and ozone Braille blocks that can be used are urgently need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고무조성물을 용융하여 몸체와 표식돌기를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방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ille block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se productivity is remarkably improved by melting the rubber composition and injection molding the body and the marking protrusion integrally,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고무조성물이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 내지 10 중량%로 형성되어 수용성이 증가됨으로써 물이나 습기에 의해 변질되지 않고, 수명이 연장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75 to 85% by weight of nitrile rubber (NBR), 10 to 1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nd 5 to 10% by weight of a master batch,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braille block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not deteriorated by moisture and has an extended life spa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몸체 및 표식돌기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표식돌기가 몸체로부터 이탈하거나 또는 표식돌기가 파손되는 일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내충격성을 높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aille embroidery braill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ich is improved in dur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by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marking protrusion from the body or breakage of the marking protrusion due to external impact by integrally injection molding the body and the marker protrusion Block.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표식돌기의 내부 공간에 탄성부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탄성부의 압축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이 설치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의해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 진동판이 진동되고,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진동으로 인해 표식돌기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astic part in an inner space of a marking protrusion, and a diaphragm that vibrates in response to the compression of the elastic part is provided at a lower part thereof, thereby vibrating the diaphragm when the marking protrusion is pressed by a blind pers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raille block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enables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 accurately recognize the contact with the marker protrusion due to vibra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시각장애인에게 보행방향 및 위험정보를 포함하는 보행정보를 안내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하향된 바닥면을 갖는 홈들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융기되어 상기 홈들을 덮는 표식돌기들; 상기 표식돌기 및 상기 홈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홈의 바닥면의 상부에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판;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표식돌기를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 압축되어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및 상기 표식돌기들은 합성수지인 고무조성물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탄성부는 중앙부가 상향으로 만곡되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가 상기 홈의 대향되는 측벽에 결합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한 쌍의 연장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판은 중앙에 양면을 관통하는 통과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되어 상기 만곡부의 중앙부가 하강할 때 상기 연장부가 상기 통과공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부면의 일측을 가압하면서 상기 통과공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것이다.A braille block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guides walking information including a walking direction and a risk information to a visually impaired person, comprising: A hexahedral body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having bottom surfaces; Marking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cover the grooves;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by a plate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one side portion is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groove, and a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from the bottom surface At least one diaphrag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iaphragm; And an elastic portion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marking protrusion and being compressed when the marking protrusion is pressed to vibrate the diaphragm, wherein the body and the marking protrusions are integrally formed by a rubber composition as a synthetic resin Wherein the elastic portion is formed of a leaf spring whose center portion is curved upward and has both end portions bent to be coupled to opposite side walls of the groove and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bent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Wherein the diaphragm is formed of a plate having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both sides of the diaphragm, one side of the diaphragm is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groove, and when the center of the bending portion is lowered by the pressing of the mar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while pressing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forming the vibration plate It i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무조성물은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 내지 10 중량%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ubb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75 to 85% by weight of nitrile rubber (NBR), 10 to 1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nd 5 to 10% by weight of a master batch.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수단은 시각장애인에게 보행방향 및 위험정보를 포함하는 보행정보를 안내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하향된 바닥면을 갖는 홈들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융기되어 상기 홈들을 덮는 표식돌기들; 상기 표식돌기 및 상기 홈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홈의 바닥면의 상부에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판;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표식돌기를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 압축되어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및 상기 표식돌기들은 합성수지인 고무조성물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표식돌기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과, 탄성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면에 상기 스프링의 하부가 결합되며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판은 중앙에 양면을 관통하는 통과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되어 상기 지지판이 하강할 때 상기 지지판의 연장부가 상기 통과공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부면의 일측을 가압하면서 상기 통과공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것이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aille block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guides walking information including a walking direction and danger information to a visually impaired person, comprising: a floor surface provided on the ground surface and having a floor surface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A hexahedral body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herein; Marking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cover the grooves;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by a plate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one side portion is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groove, and a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from the bottom surface At least one diaphrag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iaphragm; And an elastic portion provided in the space portion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marking protrusion and being compressed when the marking protrusion is pressed to vibrate the diaphragm, wherein the body and the marking protrusions are integrally formed by a rubber composition as a synthetic resin Shaped spring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landing protrusion,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t least one or more spring-like elastic members, the spring-shaped spring member be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pring, Wherein the diaphragm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both sides in the center thereof, one side of the diaphragm being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groove, Wherein when the support plate is lowered, an extension of the support plate forms an opening The diaphragm is vibra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while pressing one side of the diaphragm.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통과공을 향할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경사부가 상기 통과공의 둘레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phragm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which is narrowed in thickness toward the through hole, around the through ho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진동판과 결합된 상기 홈의 측벽을 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연장부가 하강할 때 상기 돌출부의 단부가 일측 경사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일측부에 인접한 경사부가 상기 돌출부의 단부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one side surface of the one side face of the groove coupled to the diaphragm, wherein the diaphragm has an end of the protrusion at one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portion adjacent to the one side portion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end portion of the projected portion so as to press the inclined portion.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 및 표식돌기가 고무조성물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제조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증가하여 외부 충격으로 인한 몸체 및 표식돌기의 파손을 현저히 점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solutions, the body and the protrusion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by the rubber composition, so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is simple and the durability and the impact resistance are increase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무조성물이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 내지 10 중량%로 형성되어 수용성, 내오존성 및 내구성이 증가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ubber composition is formed of 75 to 85% by weight of nitrile rubber (NBR), 10 to 1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nd 5 to 10% by weight of a master batch to increase water solubility, ozone resistance and durability The damage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can be remarkab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식돌기의 내부 공간에 탄성부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탄성부의 압축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판이 설치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의해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 진동판이 진동되어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art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rking protrusion, and the diaphragm that vibrates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of the elastic part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thereof. Thus, when the marking protrusion is pressed by the blind person, the diaphragm is vibrated, It becomes 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contact.

도 1은 콘크리트 재질의 표식돌기가 노란색으로 도색된 종래의 점자블록의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
도 2는 표식돌기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재질의 몸체에 덮어 씌워 결합된 점자블록의 파손상태를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
도 3은 국내등록특허 제10-0949647호(발명의 명칭 :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 점자블록)에 개시된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형성하는 고무조성물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표식돌기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탄성부 및 진동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돌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진동판이 진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를 나타내는 표식돌기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1 is an actual photograph showing a broken state of a conventional braille block in which a concrete protrusion of a concrete material is painted in yellow.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a broken state of a braille block which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covered and covered with a concrete material.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braille block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949647 (entitled "Method for manufacturing Braille block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its braille block").
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rubber composition for forming a braille block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ille block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FIG.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5;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lastic part and a diaphragm provided in the space of the marking protrusion in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jection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aphragm of FIG.
1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vibrating the diaphragm of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a marking protrusion showing when the marking protrusion is pressed.
1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형성하는 고무조성물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4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rubber composition for forming a braille block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고무조성물(100)은 니트릴 고무(NBR)(101)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103)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105) 5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진다.The rubber composition 100 of Figure 4 comprises 75 to 85% by weight of nitrile rubber (NBR) 101, 10 to 1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103 and 5 to 10 By weight.

또한 고무조성물(100)의 혼합이 완료되면 고무조성물(100)은 용융공정을 통해 용융된 후 후술되는 도 5의 몸체(3) 및 표식돌기(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된다.When the mixing of the rubber composition 100 is completed, the rubber composition 100 is melted through the melting process and then injection-molded so that the body 3 and the marking protrusion 5 of FIG. 5 to be described later are integrally formed.

니트릴고무(NBR)(101)는 부타디엔(Butadiene)과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이 에멀션화중합법(Emulsion Polymerization)에 의하여 합성된 고무이며, 탄화수소에 대한 내유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내열성, 내오존성, 수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로니트릴 15 내지 50 중량%를 포함함으로써 외부 환경요인에 의하여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는 종래 점자블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Nitrile rubber (NBR) (101) is a rubber synthesiz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of butadiene and acrylonitrile, and is excellent in oil resistance to hydrocarbon and has heat resistance, ozone resistance, And 15 to 50% by weight of acrylonitrile excellent in abrasion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braille block in which breakage is easily caus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또한 니트릴고무(101)는 고무조성물(100)의 75 내지 85 중량%로 함유된다. 이때 니트릴고무(101)가 고무조성물(100)의 75 중량% 미만이면 내유성 및 수용성이 높은 아크릴로니트릴의 함유량이 너무 낮아져 내유성 및 수용성이 떨어지게 되고, 85 중량% 이상이면 아크릴로니트릴의 함유량이 높아 마찰계수가 증가하여 항장력, 내충격성, 인장강도 등이 떨어짐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하여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The nitrile rubber 101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75 to 85% by weight of the rubber composition 100. If the nitrile rubber 101 is less than 75 wt% of the rubber composition 100, the content of acrylonitrile having a high oil resistance and water solubility becomes too low to degrade oil resistance and water solubility. If the nitrile rubber 101 is 85 wt% or more, The tensile strength, the impact resistance, and the tensile strength are lowered by the increase of the friction coefficient, so that the breakage is easily caused by the external impact.

또한 고무조성물(100)은 탄산칼슘(103) 10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고, 만약 탄산칼슘(103)의 함유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탄산칼슘의 함유량이 너무 낮아져 내마모성 및 저항성이 떨어지게 되고, 탄산칼슘(103)의 함유량이 15 중량% 이상이면 탄산칼슘의 함유량이 높아 내유성 및 수용성이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rubber composition 100 includes 10 to 15% by weight of the calcium carbonate 103. If the content of the calcium carbonate 103 is less than 10%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calcium carbonate becomes too low to lower the abrasion resistance and resistance, If the content of the calcium (103) is 15% by weight or more, the content of the calcium carbonate is high and the oil resistance and the water solubility are deteriorated.

또한 고무조성물(100)은 마스터배치(105)가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만약 마스터배치(105)의 함유량이 5 중량% 미만이면 분산성이 과도하게 떨어지게 되고, 마스터배치(105)의 함유량이 10 중량% 이상이면 마스터배치의 함유량이 너무 높아 내유성 및 수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Also, the rubber composition 100 may contain 5 to 10% by weight of the master batch 105, and if the content of the master batch 105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dispersibility may be excessively decreased, If the content is 10% by weight or more, the content of the master batch is too high, and the oil resistance and water solubility are deterio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도 4의 고무조성물(100)에 의해 몸체(3) 및 표식돌기(5)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하여 표식돌기(5)가 몸체(3)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니트릴고무(101)의 특성에 따라 수용성, 내열성, 내마모성 및 내오존성이 높아 외부 환경에 의한 몸체(3) 및 표식돌기(5)의 마모 및 변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raille block 1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the body 3 and the marking protrusions 5 by the rubber composition 100 of FIG. 4, 5 can be removed from the body 3 or broken and the wat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ozone resistance of the nitrile rubber 101 are hig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itrile rubber 101, Wear and deterioration of the projection 5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표식돌기(5)가 신축성을 갖는 고무조성물(100)로 형성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에 의해 표식돌기가(5)가 가압되는 경우 표식돌기(5)가 하방으로 압축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rking protrusion 5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formed of the rubber composition 100 having elasticity, when the marking protrusion 5 is pressed by the blind person, the marking protrusion 5 is moved downward It can be cushioned to the visually impaired by being compress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aille block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and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of FIG.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두께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면에 상부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이는 복수개의 설치홈(33)들이 형성되는 몸체(3)와, 몸체(3)의 설치홈(33)들 각각에 몸체(3)의 상부면보다 융기되되 장방형으로 돌출되는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 또는 원 형상으로 돌출되는 위치표시용 표식돌기(53)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식돌기(5)로 이루어진다.5 to 7, the braille block 1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having a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installation grooves 33 A marking protrusion 51 protruding in a rectangular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 in each of the formed body 3 and the mounting grooves 33 of the body 3, And marking protrusions 5 including at least one of marking protrusions 53.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점자블록(1)의 몸체(3)의 상부면에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 및 위치표시용 표식돌기(53)들이 함께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공지된 바와 같이 몸체(3)의 상부면에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 및 위치표시용 표식돌기(53)들 중 어느 하나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marking projection 51 for positional indication and the marking projection 53 for position indication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 of the braille block 1, As is well known, the braille block 1 for the disabled pers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y one of the marking projections 51 for indicating orientation and the marking projections 53 for positioning marking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 .

몸체(3)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세하게로는 한국표준협회(KS)에 명시된 300 × 300 × 60 (mm)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3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size of 300 x 300 x 60 (mm) specified in th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또한 몸체(3)는 도 4의 고무조성물(100)에 의해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 및 설치작업 없이 일반 보도블록 사이에 끼움결합 방식으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시간 및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Since the body 3 is injection-molded by the rubber composition 100 of FIG. 4, it can be installed in a sandwich manner between general press blocks without additional concrete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work, .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는 몸체(3)의 설치홈(33)에 설치되되 장방형으로 몸체(3)의 상부면보다 융기되도록 설치되며, 길이방향이 시각장애인이 보행할 진행방향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보행방향 정보를 제공한다. The marking projections 51 for directional oil are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s 33 of the body 3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 in a rectangular shape and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traveling direction Provide walking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또한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융기되어 설치홈(33)의 바닥면과 이격됨으로써 내부에 공간(513)이 형성된다. Also, as shown in FIG. 7, the marking projections 51 for direction oil are protrud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groove 33, thereby forming a space 513 therein.

즉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신축성이 높은 고무조성물(100)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시각장애인의 신발 및 지팡이에 의해 가압될 때 융기된 돌출면이 내부 공간(513)을 향하여 하방으로 압축되게 된다.That is, since the marking projections 51 for the purpose of oiling are formed by the rubber composition 100 having a high elasticity at the same time as a space is formed therein, the protruding faces protruded when pressed by the shoes and the wand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As shown in Fig.

위치표시용 표식돌기(53)는 방향 전환지점, 횡단보도, 승강장, 신호등 및 위험지역 등에 설치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보행위치 및 위험여부 정보를 제공하며, 몸체(3)의 설치홈(33)에 설치되되 몸체(3)의 상부면보다 외측으로 원 형상으로 융기된다.The position indicating mark projecting projection 53 is installed in a direction switching point, a crosswalk, a landing platform, a traffic light, a dangerous area, etc., And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 in a circular shape.

또한 위치표시용 표식돌기(53)는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공간(533)이 형성된다. Further, the marking projections 53 for position indication are formed with spaces 533 therein as in the case of the marking projections 51 for directional casting.

도 8은 도 7의 표식돌기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탄성부 및 진동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돌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lastic portion and a diaphragm provided in the space of the marking protrusion of FIG. 7,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trusion of FIG.

도 8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유도용 표식돌기(51)는 몸체(3)의 설치홈(33)에 설치되되 몸체(3)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융기되어 내부에 공간(513)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513)에는 표식돌기(51)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91) 및 진동판(93). (93')이 설치된다. 8 and 9, the marking projections 51 for directional oil are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s 33 of the body 3, and are upwardly rai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3 to form a space 513 therein And an elastic portion 91 and a diaphragm 93 that elastically support the marking protrusion 51 in the inner space 513. (93 ').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부(91)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탄성부(91)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종류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art 91 is formed of a leaf spr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the elastic part 91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kinds and configurations having an elastic force in a vertical direction have.

탄성부(91)는 양측부가 몸체(3)에 고정되되 중앙부가 상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압력을 받을 때 하방으로 압축되며 압력이 해제될 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갖는 만곡부(911)와, 만곡부(911)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931), (931')들로 이루어진다. The elastic part 91 has a curved part 911 which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body 3 and has a central part curved upward and is compressed downward when pressure is applied and has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And extension portions 931 and 931 'extending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911. [

또한 만곡부(911)는 최상방으로 만곡된 영역인 중앙부가 표식돌기(51)의 상부 내면에 대접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의해 표식돌기(51)가 압력을 받아 하방으로 이동할 때 만곡부(911)도 하방으로 압축되고, 표식돌기(51)의 가압이 해제될 때 표식돌기(51)의 돌출면 및 만곡부(911)는 초기형상으로 복구된다.In addition, the curved portion 911 is provided with a central portion, which is a curved region in the uppermost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rking projection 51, so that when the marking projection 51 is moved downward by the blind, And when the pressing of the marking projection 51 is released, the projecting surface of the marking projection 51 and the curved portion 911 are restored to the initial shape.

또한 연장부(931), (931')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만곡부(911)의 저면 일측 및 타측 각각에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The extension portions 931 and 931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re bent downwar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911, respectively.

또한 연장부(93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93)에 인접한 하부 일측면에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33)가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9)는 설치 시 돌출부(933)가 만곡부(91) 및 진동판(93)이 결합된 설치홈(33)의 측벽을 향하도록 표식돌기(5)의 내부 공간(513)에 설치된다. 9, a protrusion 933 protruding outward from one side is formed on a lower side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adjacent to the diaphragm 93. As shown in Fig. The elastic portion 9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513 of the marking protrusion 5 so that the protrusion 933 faces the side wall of the mounting groove 33 to which the curved portion 91 and the vibration plate 93 are coupled .

또한 연장부(931)는 후술되는 도 10의 진동판(93)의 통과공(955)의 직상부에 위치하되 돌출부(933)의 하부면 중 진동판(93)의 일측부가 결합된 설치홈(33)의 측벽에 인접한 영역이, 진동판의 경사부(953)들 중 상기 일측부에 인접한 경사부(953)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연장부(931)가 하향 이동할 때 돌출부(933)의 하부면 단부가 경사부(953)에 걸리게 된다. 이때 연장부(931) 및 돌출부(933)는 하부면의 단면적이 진동판(93)의 통과공(955)의 면적보다 작은 넓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만곡부(911)가 가압될 때 통과공(955)을 관통할 수 있게 된다. The extended portion 931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through hole 955 of the diaphragm 93 of FIG. 10 to be described later, but the mounting groove 33, to which one side of the diaphragm 93 is coupled, A portion of the diaphragm 953 adjacent to the sidewall of the diaphragm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slope portion 953 adjacent to the one side portion of the diaphragm 953 so that when the extension portion 931 moves downward, The end portion is caught by the inclined portion 953. At this time, the extension portions 931 and the protruding portions 933 are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surfac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through hole 955 of the diaphragm 93, so that when the curved portion 911 is pressed, So that it can penetrate.

또한 탄성부(91)의 돌출부(933)에 의해 진동판(93)이 진동하는 동작 및 과정은 후술되는 도 11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and the process of vibrating the diaphragm 93 by the protrusion 933 of the elastic portion 91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은 도 8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진동판이 진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aphragm of FIG. 8, and FIG. 1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vibrating the diaphragm of FIG.

진동판(9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통과공(955)을 갖는 판재(951)로 형성되며, 표식돌기(51)의 내부 공간(513)에 설치된다. 이때 통과공(955)은 탄성부(91)의 연장부(931) 및 돌출부(933)의 하부면 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연장부(931) 및 돌출부(933)가 관통되도록 한다.The diaphragm 93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951 having a through hole 955 at its center as shown in Fig. 10 and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513 of the marking protrusion 51.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955 is formed to have a wider area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931 and the protruding portion 933 of the elastic portion 91 so that the extended portion 931 and the protruding portion 933 can be penetrated.

또한 진동판(93)은 판재(951)의 일측부가 몸체(3)의 일측에 고정된다. The diaphragm 93 has one side of the plate member 951 fixed to one side of the body 3.

또한 진동판(93)은 통과공(955)을 형성하는 둘레에 통과공(955)을 향할수록 두께가 줄어들도록 경사지는 경사부(953)가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압력에 따라 돌출부(933)가 통과공(955)으로 원활하게 관통되도록 한다. 이때 경사부(953)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diaphragm 93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953 which is inclined so that the thickness thereof is reduced toward the through hole 955 around the through hole 955 so that the protrusion 933 is pressed against the through- (955). At this time, the inclined portion 953 is formed in the shape of '<' when viewed from the sid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91)는 연장부(931) 및 돌출부(933)가 진동판(93)의 통과공(955)의 직상부에, 상세하게로는 돌출부(933)의 하부면 중 진동판(93)이 결합된 설치홈(33)의 측벽에 인접한 영역이 상기 측벽에 인접한 경사부(953)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11, the elastic portion 91 is formed so that the extending portion 931 and the projecting portion 933 are directly above the through hole 955 of the diaphragm 93, An area adjacent to the sidewall of the mounting groove 33 to which the vibration diaphragm 93 is coupled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slope portion 953 adjacent to the side wall.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게 되면, 외부 압력은 표식돌기(5) -> 탄성부(91)의 만곡부(911) -> 연장부(931) -> 돌출부(933)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933)의 하부면의 일측 단부가 경사부(953)에 걸리게 되고, 경사부(953)가 돌출부(933)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되어 진동판(93)이 기울어지게 된다. Whe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in this state, the external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bending portion 911, the extending portion 931, and the protruding portion 933 of the marking protrusion 5, the elastic portion 91, and the like. As a result,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933 is caught by the inclined portion 953, and the inclined portion 953 receives the force from the projecting portion 933, and the diaphragm 93 is inclined.

이때 만약 외부 압력이 한계치 이상을 초과하면 진동판(93)이 더욱 경사짐에 따라 경사부(953)에 대접되는 돌출부(933)의 단부는 경사부(953)를 따라 하향 이동하여 통과공(955)을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진동판(93)은 순간적으로 압력이 해제되어 진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if the external pressure exceeds the limit value, the diaphragm 93 is further inclined, so that the end of the protrusion 933, which is received in the inclined portion 953, moves downward along the inclined portion 953, So that the diaphragm 93 instantaneously releases pressure and vibrates.

도 12는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를 나타내는 표식돌기의 확대도이다.12 is an enlarged view of a marking protrusion showing when the marking protrusion is press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식돌기(5)가 시각장애인에 의해 가압되지 않을 때 만곡부(91)의 만곡진 중앙부는 표식돌기(5)의 상부 내면에 대접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12, when the marking protrusion 5 is not pressed by a person with visual impairment, the curved central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91 is positioned on the marking protrusion 5 as shown in FIG. 12,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또한 돌출부(93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부가 진동판(93)의 경사부(953)의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Further, the protruding portion 933 is provided so that the end portion thereof is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inclined portion 953 of the diaphragm 93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상태에서 시각장애인에 의해 표식돌기(5)가 가압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식돌기(5)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표식돌기(5)의 하방 이동에 따라 탄성부(91)의 만곡부(911) 및 연장부(931) 또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돌출부(933)는 연장부(931)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진동판(93)의 경사부(953)에 걸려 경사부(953)를 하방으로 밀어내어 진동판(93)의 몸체(3)에 고정되지 않은 타측부가 하향된다. 9, when the marking protrusion 5 is pressed by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n this state, the marking protrusion 5 moves downward, and the marking protrusion 5 moves downward as the marking protrusion 5 moves downward, The curved portion 911 and the extending portion 931 are also moved downward. At this time, the protruding portion 933 is hooked on the inclined portion 953 of the diaphragm 93 as the extending portion 931 is moved downward, so that the inclined portion 953 is pushed downward and fixed to the body 3 of the diaphragm 93 And the other non-side portion is downward.

이러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연장부(931) 및 돌출부(933)에 힘이 가해지면 돌출부(933)의 단부는 경사부(953)의 경사면을 따라 통과공(955)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진동판(93)은 하방으로 힘을 받은 상태에서 돌출부(933)가 순간적으로 통과공(955)을 통과함에 따라 순간적으로 가압이 해제되어 진동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a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extended portion 931 and the protruded portion 933, the end of the protruded portion 933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955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953. At this time, when the diaphragm 93 receives the downward force, the protrusion 933 momentarily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955, so that the pressure is instantaneously released, and the diaphragm 93 is vibrated.

이때 진동판(93)은 통과공(955) 둘레에 경사부(953)가 형성됨에 따라 돌출부(933)에 의해 진동판(93)이 한계치 이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돌출부(933)가 경사부(953)를 따라 통과공(955)을 원활하게 통과하게 되고, 반대로 가압이 해제되어 표식돌기(5) 및 탄성부(91)의 만곡부(911)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 통과공(955)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933)는 경사부(953)를 따라 원활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diaphragm 93 is moved downward beyond the limit by the protrusion 933 as the inclined portion 953 is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955, the protrusion 933 is inclined to the inclined portion The through hole 955 is made to pass smoothly through the through hole 955 along the guide projection 953 and conversely when the pressurization is released and the bump portion 911 of the marking projection 5 and the elastic portion 91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protrusion 933 protru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slope portion 953 smoothly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long the slope portion 953.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표식돌기(5)의 내부 공간에 탄성부(91) 및 진동판(93)이 설치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점자블록(1)의 표식돌기(5)를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망의 보행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That is, in the braille block 1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astic portion 91 and the diaphragm 93 ar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rking projection 5, (5), as well as accurately conveying the desired walking information to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n advance.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1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200)은 도 5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과 동일한 구성의 몸체(3), 도 10의 진동판(93)이 설치되는 표식돌기(5)로 구성되고, 표식돌기(5) 내부에 탄성부(201)가 설치된다.The braille block 200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FIG. 13 comprises a body 3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braille block 1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FIG. 5 and the marking protrusions 5 on which the diaphragm 93 of FIG. 10 is installed , And the elastic part (201) is provided inside the marking projection (5).

탄성부(201)는 상하 방향의 탄성력을 갖는 코일스프링(211)과, 판재로 형성되어 상부면이 코일스프링(21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1 지지판(213) 및 제2 지지판(2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지지판(213)은 일측부가 몸체()의 내측벽에 결합되며, 제2 지지판(213')은 대향되는 타측부가 상기 제1 지지판(213)이 결합된 몸체()의 내측벽에 대향되는 내측벽에 결합된다.The elastic part 201 includes a coil spring 211 having a vertical elastic force and a first support plate 213 and a second support plate 213 'formed of a plate material and having an upper surfac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211, Lt; / RTI &gt; 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plate 213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wall of the body,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13 'has the other opposite side conne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to which the first support plate 213 is coupled And is coupled to the opposing inner side wall.

제1 지지판(213) 및 제2 지지판(213')은 하부면 중앙으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연장부(231)가 형성되고, 연장부(231)의 일측면에는 돌출부(233)가 형성된다.The first support plate 213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213 'have extension parts 231 that are vertically bent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and protrusions 233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parts 231.

이때 연장부(231) 및 돌출부(23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점자블록(1)의 연장부(231) 및 돌출부(233)와 같이 진동판(93)의 직상부에 위치하되 돌출부(233) 단부가 진동판(93)의 경사부(933)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The extended portion 231 and the protruded portion 233 ar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diaphragm 93 such as the extended portion 231 and the protruded portion 233 of the braille bloc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nd portion is located at an inclined portion 933 of the diaphragm 93.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201)에 의해 진동판(93)이 진동하는 원리 및 과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탄성부(9)와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진다.The principle and process of vibrating the diaphragm 93 by the elastic part 20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elastic part 9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1)은 표식돌기(5) 내부에 탄성부(9), (201) 및 진동판(93)이 설치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의해 표식돌기(5)가 가압될 때 하방으로 신축되고, 진동판(93)에 의해 진동되어 시각장애인이 표식돌기(5)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식돌기(5)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보행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raille block 1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elastic protrusions 9, 201 and the diaphragm 93 are provided inside the marking protrusion 5, so that the marking protrusion 5 is pressed by the blind person And is visibly handled by the diaphragm 93 so that the visually handicapped person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contact with the marking protrusion 5 and accordingly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walk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from the marking protrusion 5 do.

몸체 및 표식돌기가 고무조성물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기 때문에 제조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증가하여 외부 충격으로 인한 몸체 및 표식돌기의 파손을 현저히 점감시킬 수 있다.Since the body and the marker projections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by the rubber composition, not only the manufacturing method is simple but also the durability and the impact resistance are increased, so that the breakage of the body and the marker projection due to the external impact can be marked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고무조성물이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로 형성되어 수용성, 내오존성 및 내구성이 증가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ubber composition comprising 75 to 85% by weight of nitrile rubber (NBR), 10 to 1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nd 5% of master batch to increase water solubility, ozone resistance and durability, The breakage can be remarkably reduced.

1: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3:몸체
5:표식돌기 9:탄성부
51:방향유도형 표식돌기 53:위치표시용 표식돌기
93:진동판 911:만곡부
931:연장부 933:돌출부
1: Braille block for the visually impaired 3: Body
5: Marking projection 9: Elastic part
51: Orientation oil type marking projection 53: Marking projection for position indication
93: diaphragm 911:
931: Extension portion 933:

Claims (7)

시각장애인에게 보행방향 및 위험정보를 포함하는 보행정보를 안내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하향된 바닥면을 갖는 홈들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융기되어 상기 홈들을 덮는 표식돌기들;
상기 표식돌기 및 상기 홈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홈의 바닥면의 상부에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판;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표식돌기를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 압축되어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및 상기 표식돌기들은 합성수지인 고무조성물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탄성부는 중앙부가 상향으로 만곡되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가 상기 홈의 대향되는 측벽에 결합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하부면으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한 쌍의 연장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판은 중앙에 양면을 관통하는 통과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되어 상기 만곡부의 중앙부가 하강할 때 상기 연장부가 상기 통과공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부면의 일측을 가압하면서 상기 통과공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A braille block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guides walking information including a walking direction and a risk information to a visually impaired person:
A hexahedral body provided on the ground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bottom surface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Marking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cover the grooves;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by a plate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one side portion is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groove, and a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from the bottom surface At least one diaphrag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iaphragm;
And an elastic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space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marking protrusion and is compressed when the marking protrusion is pressed to vibrate the vibration plate,
The body and the protrusions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by a rubber composition which is a synthetic resin,
Wherein the elastic portion comprises a curved portion formed by a leaf spring whose center portion curves upward and whose opposite ends are coupled to opposite side walls of the groove and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bent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Wherein the diaphragm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both sides in the center, one side of the diaphragm is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arking projection is pressed and the central part of the curved part is lowered, the extens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hole while pressing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passage hole so that the diaphragm vibrates.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무조성물은 니트릴 고무(NBR) 75 내지 85 중량%, 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및 마스터배치(Master batch) 5 내지 10 중량%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2. The blin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ubber composition comprises 75 to 85% by weight of nitrile rubber (NBR), 10 to 15%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and 5 to 10% by weight of a master batch. block. 삭제delete 삭제delete 시각장애인에게 보행방향 및 위험정보를 포함하는 보행정보를 안내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며, 상부면에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하향된 바닥면을 갖는 홈들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면보다 상향으로 융기되어 상기 홈들을 덮는 표식돌기들;
상기 표식돌기 및 상기 홈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홈의 바닥면의 상부에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판;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표식돌기를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될 때 압축되어 상기 진동판을 진동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 및 상기 표식돌기들은 합성수지인 고무조성물에 의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표식돌기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과, 탄성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면에 상기 스프링의 하부가 결합되며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판은 중앙에 양면을 관통하는 통과공을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일측부가 상기 홈의 측벽에 결합되고,
상기 표식돌기가 가압되어 상기 지지판이 하강할 때 상기 지지판의 연장부가 상기 통과공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부면의 일측을 가압하면서 상기 통과공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진동판이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A braille block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guides walking information including a walking direction and a risk information to a visually impaired person:
A hexahedral body provided on the ground and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bottom surface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Marking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cover the grooves;
Wherein the groove is formed by a plate member having an elastic force, one side portion is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groove, and a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from the bottom surface At least one diaphrag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iaphragm;
And an elastic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space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marking protrusion and is compressed when the marking protrusion is pressed to vibrate the vibration plate,
The body and the protrusions are integrally injection-molded by a rubber composition which is a synthetic resin,
Wherein the elastic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support plate formed of a plate member having elasticity and having a lower portion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having one side portion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groove, And an extens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Wherein the diaphragm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both sides in the center, one side of the diaphragm is coupled to a side wall of the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ark projection is pressed and the support plate is lowered, the extension of the support plate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hole while pressing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forming the periphery of the passage hole, thereby vibrating the diaphragm block.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통과공을 향할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경사부가 상기 통과공의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The braille block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an inclined portion of the diaphragm having a smaller thickness toward the passage hole is formed around the passage hol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진동판과 결합된 상기 홈의 측벽을 향하는 일측면에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연장부가 하강할 때 상기 돌출부의 단부가 일측 경사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일측부에 인접한 경사부가 상기 돌출부의 단부의 직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7.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xtend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one side surface on one side of the groove coupled to the diaphragm,
Wherein the diaphragm is positioned immediately under the end of the projection so that the end of the projection presses the one inclined portion when the extension is lowered.
KR1020130033797A 2013-03-28 2013-03-28 Braile block for the blind KR1014565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797A KR101456537B1 (en) 2013-03-28 2013-03-28 Braile block for the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797A KR101456537B1 (en) 2013-03-28 2013-03-28 Braile block for the bli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240A KR20140118240A (en) 2014-10-08
KR101456537B1 true KR101456537B1 (en) 2014-10-31

Family

ID=5199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797A KR101456537B1 (en) 2013-03-28 2013-03-28 Braile block for the bli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5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727B1 (en) * 2017-11-16 2019-12-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 braille block for the person with a visual impair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148A (en) * 2008-01-21 2009-07-24 정계숙 The method of a raised block for visual handicapped persons and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148A (en) * 2008-01-21 2009-07-24 정계숙 The method of a raised block for visual handicapped persons and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240A (en)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2872B2 (en) Detectable guidance markers for tactile navigation, including indicia of obstacle presence, type, dimensions, direction, and/or proximity
KR101456537B1 (en) Braile block for the blind
KR102054727B1 (en) A braille block for the person with a visual impairment
KR100949647B1 (en) The method of a raised block for visual handicapped persons and the same
JP4153008B2 (en) Road block manufacturing method
KR101894416B1 (en) Non-slip Scaffold
KR101773393B1 (en) Guide apparatus for blind peop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94334B1 (en) Raised letters block for blind man
MXPA000070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individuals of unsafe zones.
CN216428076U (en) Building site boundary touch warning ground box and warning area
KR200171376Y1 (en) The braille brick for the blind
KR20170141510A (en) Vertical ladders
KR200324258Y1 (en) Course induce block and tile
KR102469670B1 (en) Fence with braille display
KR200442733Y1 (en) A Raised Letters Block For Blind Man
KR20090015529A (en) A blind person walk block
KR200375119Y1 (en) Pneumatic tire with wear indicator
JP2012012173A (en) Decking of outrigger jack
KR101603783B1 (en) Mat switch
JP2015194016A (en) Block for guiding visually impaired person
KR200403161Y1 (en) Safety net for preventing misstep
KR200453578Y1 (en) Pavement block for a blind person
KR200188037Y1 (en) a raised linear type-block to be attached useful for a blind person
KR200418596Y1 (en) The braille brick for the blind
KR20220009010A (en) Speed Bump with Alar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