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047B1 -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047B1
KR101456047B1 KR1020070088621A KR20070088621A KR101456047B1 KR 101456047 B1 KR101456047 B1 KR 101456047B1 KR 1020070088621 A KR1020070088621 A KR 1020070088621A KR 20070088621 A KR20070088621 A KR 20070088621A KR 101456047 B1 KR101456047 B1 KR 101456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urrent
capacitance
generated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924A (ko
Inventor
추세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8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047B1/ko
Priority to US12/229,835 priority patent/US8909195B2/en
Publication of KR20090022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047B1/ko
Priority to US14/564,211 priority patent/US10114541B2/en
Priority to US14/880,023 priority patent/US1040208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2Calling substations, e.g. by rin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 발생 시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과정과, 측정된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이 설정값 이상이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특정 영역에 높은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이 측정되도록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시킬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전류, 정전 용량, 잠금, 매너 모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ORDER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 내에서 터치 발생 시,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여 설정값 이상이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은 사용자가 터치를 통해 단말에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팜 피씨(Palm PC),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 다양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단말의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터치 스크린도 점차로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는 종래의 푸시 버튼(push button) 타입의 키입력부에 비해 살짝 눌려지는 것으로도 터치 입력으로 인식된다.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지만 키가 입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이나 매너 모드 기능의 경우, 해당 기능을 수 행시키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메뉴 중에서 해당 기능을 찾아서 선택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여러 번의 키 입력을 통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발생 시,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여, 설정값 이상이면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스크린에서 일부 영역에 강한 전류나 정전 용량이 측정되거나, 여러 영역에서 한꺼번에 전류나 정전 용량이 측정되거나, 넓은 영역 내에서 전류나 정전 용량이 측정되는 경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화 모드 시, 사용자의 얼굴과 터치 스크린이 접촉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으로서,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 발생 시, 상기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값 이상이면,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서,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 발생 시, 상기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전류 또 는 정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값 이상이면,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특정 영역, 예컨대 일부 영역, 여러 영역 또는 넓은 영역에서 높은 전류나 정전 용량을 측정하게 되면, 설정된 기능 예컨대 잠금 또는 매너 모드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 단말기의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강하게 압력을 주어 터치를 수행하거나, 여러 영역에 한꺼번에 터치를 수행하거나, 손바닥 등을 이용하거나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바닥을 향하도록 뒤집어 놓는 행위를 통하여 넓은 영역에 터치를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기능, 예컨대 잠금 또는 매너 모드 기능을 용이하게 수행시킬 수 있다.
특히, 통화 모드 시, 사용자의 얼굴과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접촉되어, 터치 스크린의 넓은 영역에서의 터치 발생으로 설정값 이상의 전류나 정전 용량을 감지함으로써, 통화 중에는 휴대 단말기를 잠금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의 중이거나 음악 재생 모드 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바닥을 향하도록 뒤집어 놓는 행위만으로도 잠금 또는 매너 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상 및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 구조를 갖는 기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수행을 위한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RF 부(101), 키입력부(103), 메모리부(105), 터치 스크린(107) 및 제어부(113)의 구성을 갖는다.
RF 부(101)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RF 부(10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RF 부(101)는 본 실시예에 따라 다른 휴대 단말기와 통화를 수행한다.
키입력부(103)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키입력부(103)는 본 실시예에 통화를 위하여 상대방 휴대 단말기의 번호 입력 또는 번호 검색, 통화 시도, 통화 종료 등의 조작을 수행한다.
메모리부(105)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부(105)는 본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여러 종류의 기능들을 저장한다. 메모리부(105)는 터치 스크린(107)에 터치 발생 시, 측정부(115)로부터 측정된 터치 발생 영역의 전류나 정전 용량과 비교할 수 있는 설정값을 저장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휴대 단말기의 출하 시, 설정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값일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107)은 표시부(109)와 터치 패널(111)을 포함한다. 표시부(109)는 단말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 표시부(109)는 LCD로 구현되며, LCD 제어부,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111)은 표시부(109)의 일면에 장착되며, 터치 감지부와 신호 변환부를 구비한다. 터치 감지부는 터치가 발생하면, 그에 따른 물리량, 예컨대 저항, 정전용량 등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의 발생을 감지한다. 또한 신호 변환부는 물리량의 변화를 터치 신호로 변환한다. 즉, 터치 감지부는 터치에 따른 압력을 인지하거나, 전류나 정전 용량(capacity, 전기 용량)을 인지한다. 또는 터치 감지부는 압력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나 정전 용량을 인지한다.
터치 스크린(107)은 본 실시예에 따라 터치 발생에 따른 설정값 이상의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 발생 시, 설정된 기능이 수행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설정된 기능이 잠금 기능인 경우,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이 수행됨을 표시하고, 설정된 기능이 매너 모드 기능인 경우, 휴대 단말기의 매너 모드 기능이 수행됨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두 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13)는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13)는 본 실시예에 따라 기능 수행을 제어한다. 제어부(113)는 측정부(115)를 포함한다. 제어부(113)는 터치 스크린(107) 상에서 터치 발생 시, 측정부(115)를 구동시켜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한다. 여기서, 측정부(115)는 전류나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또는 정전 용량 측정부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터치가 발생된 영역은 터치 스크린(107)의 일부 영역(도 4b 참조), 여러 영역(도 5b 참조) 또는 넓은 영역(도 6b 참조)일 수 있다. 일부 영역은 사용자가 터치를 위하여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를 터치 스크린(107)에 접촉 시, 터치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여러 영역은 전술한 일부 영역이 여러 개인 경우를 의미한다. 넓은 영역은 터치 스크린(107)의 전체 영역의 반 이상을 의미한다.
일부 영역에서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강한 압력을 주고 터치하는 경우이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07)의 일부 영역을 일정 시간동안 강한 압력으로 터치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터치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압력에 따른 전류나 정전 용량을 측정부(115)가 측정한다.
그리고 여러 영역에서 한꺼번에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07)을 한 번에 터치하는 경우이다. 즉, 사용자가 복수 개의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107)을 한꺼번에 터치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측정부(115)는 터치가 발생된 각 영역들의 전류나 정전 용량을 모두 측정하고, 이들의 합을 산출한다.
또한 넓은 영역에서 한꺼번에 터치가 발생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손바닥 등을 이용하여 한꺼번에 넓은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이다. 또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7)이 바닥을 향하도록 뒤집어 놓는 경우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측정부(115)는 터치가 발생된 영역 내에서의 전류나 정전 용량을 모두 측정하고, 이들의 합을 산출한다.
제어부(113)는 측정부(115)로부터 측정된 전류나 정전 용량이 메모리부(105)에 저장된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설정값 이상이면, 제어부(113)는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설정된 기능은 잠금 기능 또는 매너 모드 기능일 수 있다. 특히, 제어부(113)는 통화 모드 시, 터치 스크린(107)에서 터치가 발생되고, 측정부(115)로부터 측정된 전류나 정전 용량이 설정값 이상이면,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3)는 사용자로부터 강한 압력을 통해 터치 스크린(107)의 일부 영역이 터치되거나, 복수 개의 손가락이 한꺼번에 터치되거나, 손바닥, 얼굴 등이 터치되거나,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107)이 바닥을 향하도록 뒤집어 놓는 등의 행위를 통해, 설정된 기능을 수행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어부(113)와 측정부(115)를 구분하여 터치 가 발생된 터치 스크린(107) 영역의 전류나 정전 용량을 측정하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3)가 측정부(115)를 구비하거나, 제어부(113)와 별도로 측정부(115)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115)가 전류나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온도, 압력 또는 전압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방법에서 일부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3)가 터치 스크린(107) 상에서 터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201). 여기서, 본 과정은 휴대 단말기의 어느 모드에서든지 적용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대기 모드 또는 음악 재생 모드 등에서 적용될 수 있다.
터치 발생 시, 제어부(113)는 터치가 발생된 영역을 확인하고, 측정부(115)를 구동시켜 그 영역에서 발생되는 전류나 정전 용량을 측정한다(S203). 본 과정은 도 4a와 도 4b, 도 5a와 도 5b,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과정은 측정부(115)가 터치 발생 영역의 전류나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제어부(113)는 측정부(115)를 통해 측정된 전류나 정전 용량이 메모리부(105)에 저장된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05). 즉, 터치 스크린(107) 상에서 발생된 터치로 인해, 높은 전류나 정전 용량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높은 전류나 정전 용량이 발생되는 경우는 터치 스크린(107)의 일부 영역을 강하게 터치함으로써 발생되거나, 터치가 복수 개의 영역에 발생되거나 넓은 영역에 발생되는 경우이다.
측정된 전류나 정전 용량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13)는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S207). 여기서, 설정된 기능은 잠금 기능 또는 매너 모드 기능일 수 있다. 잠금 기능이 수행된 화면이 도 3a에 도시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7)에 터치가 발생되고,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전류나 정전 용량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13)는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S205 과정에서 측정된 전류나 정전 용량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113)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술한 S201 과정에서 사용자가 강한 전류나 정전 용량이 흐르도록 터치를 한 것이 아니라, 원하는 기능 수행을 위하여 일반적인 터치를 발생시킨 경우이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단축키(shortcut)를 터치(301)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중에서 터치 발생 영역 확인과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측정 과정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와 도 4b, 도 5a와 도 5b, 도 6a와 도 6b는 도 2의 방법에서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측 정 과정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에서 터치 발생 영역 확인과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측정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3)가 터치 스크린(107)의 일부 영역에서 전류나 정전 용량이 발생됨을 감지한다(S401). 터치 스크린(107)의 일부 영역에 사용자로부터 강한 터치가 발생된 화면이 도 4b에 도시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일부 영역(405)을 강하게 터치함으로써, 터치 감지부가 압력을 인지한다. 즉,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07)의 일부 영역(405)을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강한 압력을 주어 터치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3)는 측정부(115)를 구동시켜, 감지된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한다(S403). 인지된 압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류나 정전 용량을 측정부(115)를 통해 측정하고, 제어부(1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S205 과정을 거쳐 S207과정으로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도 1,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에서 터치 발생 영역 확인과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측정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3)가 터치 스크린(107)의 여러 영역에서 전류나 정전 용량이 발생됨을 감지한다(S501). 터치 스크린(107)의 여러 영역에 사용자로부터 터치가 발생된 화면이 도 5b에 도시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여러 영역(505)을 한꺼번에 터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가락을 모두 한꺼번에 터치 스크린(107)에 터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3)는 측정부(115)를 구동시켜, 감지된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한다(S503). 측정부(115)는 터치가 발생된 각 영역(505)의 전류나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나 정전 용량의 합을 산출한다. 측정부(115)를 통해 측정된 전류나 정전 용량을 통하여, 제어부(1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S205 과정을 거쳐 S207과정으로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감지부가 터치 스크린(107)의 여러 영역에서 한꺼번에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부(115)가 측정할 수도 있다.
도 1,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에서 터치 발생 영역 확인과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측정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3)가 터치 스크린(107)의 넓은 영역 내에서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이 발생됨을 감지한다(S601). 터치 스크린(107)의 넓은 영역에 사용자로부터 터치가 발생된 화면이 도 6b에 도시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넓은 영역(605)을 한꺼번에 터치할 수 있다. 이 과정은 사용자가 손바닥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07)을 접촉시키거나, 통화 모드 시, 얼굴에 터치 스크린(107)이 접촉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7)이 바닥을 향하도록 휴대 단말기를 뒤집어 놓음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13)는 측정부(115)를 구동시켜, 감지된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한다(S603). 측정부(115)는 터치가 발생된 영역(605) 내에서 감지된 모든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의 합을 산출한다. 측정부(115)를 통해 측정된 전류나 정전 용량을 통하여, 제어부(1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S205 과정을 거쳐 S207과정으로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감지부가 터치 스크린(107)의 넓은 영역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전류나 정전 용량을 측정부(115)가 측정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이 적용된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시 기능 수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모드 중에(S701) 제어부(113)가 터치 스크린(107) 상에서 터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703).
터치 발생 시, 제어부(113)는 터치 스크린(107)의 넓은 영역 내에서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이 발생됨을 감지한다(S705).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07)의 넓은 영역에서 터치가 발생되고, 제어부(113)는 이를 감지한다. 즉, 통화 모드 시, 터치 스크린(107)에 사용자의 얼굴이 접촉된다.
이어서, 제어부(113)는 측정부(115)를 구동시켜, 감지된 전류나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의 합을 산출한다(S707). 측정부(115)는 터치가 발생된 영역 내에서의 전류 또는 정전 용량들을 측정하여, 측정된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의 합을 산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13)는 측정부(115)를 통해 측정된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이 메모리부(105)에 저장된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709). 전술한 S705 과정에서 터치 스크린(107)의 넓은 영역, 즉 전체 영역의 반 이상의 영역에 터치가 발생되었으므로 측정되는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은 설정값 이상이 될 수 있다.
측정된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13)는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을 수행한다(S711). 여기서, 설정된 기능이 잠금 기능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잠금 기능이 수행된 화면이 도 3a에 도시된다.
그 후에, 제어부(113)는 통화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S713), 통화 종료 요청 시, 제어부(113)는 잠금을 해제 한 뒤(S719), 통화를 종료시킨다.
한편, S713 과정에서 통화 종료 미요청 시, 제어부(113)는 터치 발생이 해제되었는지 확인한다(S715). 사용자는 통화 중에, 터치 스크린(107)에 얼굴을 접촉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을 수행시킨 후에, 얼굴과 터치 스크린(107)의 접촉을 해제시킬 수 있다. 통화 중에 휴대 단말기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즉, 사용자는 통화 중에, 메시지 전송 또는 전화번호 검색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발생 해제가 확인되면, 제어부(113)는 해제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717). 사용자는 통화 중에 다른 기능 수행을 위하여 접촉을 해제시킬 수도 있지만, 통화 중에 움직임 등을 통해 접촉이 해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13)가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한 임의적 접촉 해제인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터치 발생 해제가 일정 시간동안 지속되는지 확인한다.
해제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제어부(113)는 휴대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한다(S719).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발생 시, 측정부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함으로써,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발생 시, 터치가 발생된 좌표를 측정하고, 측정된 좌표를 통해 터치 스크린 상에서 터치가 발생된 영역을 계산하여, 계산된 영역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발생 시,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온도, 압력, 전압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수행을 위한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방법에서 일부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 도 5a와 도 5b, 도 6a와 도 6b는 도 2의 방법에서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측정 과정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시 기능 수행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4)

  1.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터치 발생 시, 상기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의 합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의 합이 설정값 이상이면,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수행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기능을 수행하면서 매너 모드로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수행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과정은,
    상기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압력에 따른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수행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과정은,
    상기 터치가 발생된 여러 영역들의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수행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과정은,
    상기 터치가 발생된 설정된 크기 이상의 넓이를 가지는 영역 내의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수행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일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수행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통화 모드 시, 상기 산출된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값 이하가 되면, 사용 가능한 메뉴들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수행 방법.
  8.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터치 발생 시, 상기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류 또는 정전용량의 합을 산출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값 이상이면,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기능을 수행하면서 매너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터치가 발생된 영역의 압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압력에 따른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터치가 발생된 여러 영역들의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류들 또는 정전 용량들의 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터치가 발생된 설정된 크기 이상의 넓이를 가지는 영역 내의 전류 또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전류들 또는 정전 용량들의 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8 항에 있어서,
    다른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RF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 부를 통한 통화 모드에서 상기 측정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모드 시, 상기 측정되는 압력, 전류 또는 정전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값 이하가 되면, 사용 가능한 메뉴들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088621A 2007-08-31 2007-08-3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10145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621A KR101456047B1 (ko) 2007-08-31 2007-08-3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US12/229,835 US8909195B2 (en) 2007-08-31 2008-08-27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lecting lock function
US14/564,211 US10114541B2 (en) 2007-08-31 2014-12-0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lecting lock function
US14/880,023 US10402082B2 (en) 2007-08-31 2015-10-09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electing lock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621A KR101456047B1 (ko) 2007-08-31 2007-08-3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924A KR20090022924A (ko) 2009-03-04
KR101456047B1 true KR101456047B1 (ko) 2014-11-03

Family

ID=4040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621A KR101456047B1 (ko) 2007-08-31 2007-08-3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8909195B2 (ko)
KR (1) KR101456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5418A (ko) 2008-12-08 201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US8638311B2 (en) * 2008-12-08 2014-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data displaying method thereof
US8030914B2 (en) * 2008-12-29 2011-10-04 Motorola Mobility,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elf-calibrating proximity sensors
US8275412B2 (en) 2008-12-31 2012-09-25 Motorola Mobility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directional proximity sensors based on device orientation
US20100271312A1 (en) * 2009-04-22 2010-10-28 Rachid Alameh Menu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on an Electronic Device
US8391719B2 (en) 2009-05-22 2013-03-0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devices
US8294105B2 (en) 2009-05-22 2012-10-23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interpreting offset gestures
US8269175B2 (en) 2009-05-22 2012-09-1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detecting gestures of geometric shapes
US8788676B2 (en) 2009-05-22 2014-07-2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to or from a mobile device
US8619029B2 (en) 2009-05-22 2013-12-31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interpreting consecutive gestures
US8344325B2 (en) * 2009-05-22 2013-01-01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detecting basic gestures
US8304733B2 (en) * 2009-05-22 2012-11-06 Motorola Mobility Llc Sensing assembly for mobile device
US8542186B2 (en) 2009-05-22 2013-09-24 Motorola Mobility Llc Mobile device with user interaction capab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8319170B2 (en) * 2009-07-10 2012-11-2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adapting a pulse power mode of a proximity sensor
US9338274B2 (en) 2009-10-02 2016-05-10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interacting with electronic devices in a locked stat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mit interaction when in a locked state
US8924893B2 (en) * 2009-10-14 2014-12-30 At&T Mobility Ii Llc Locking and unlocking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sloped lock track
US9424444B2 (en) * 2009-10-14 2016-08-23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facilitating integrated messaging, contacts and social media for a selected entity
KR20110041110A (ko) * 2009-10-15 201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
US8665227B2 (en) 2009-11-19 2014-03-0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icating physical key function with soft keys in an electronic device
US9146669B2 (en) * 2009-12-29 2015-09-29 Bizmodeline Co., Ltd. Password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1082645A1 (zh) 2010-01-06 2011-07-14 华为终端有限公司 显示图片/界面的方法及终端
KR101304321B1 (ko) * 2010-01-22 2013-09-11 전자부품연구원 싱글 터치 압력에 기반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DE102011006344B4 (de) 2010-03-31 2020-03-12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Insassenmesssystem
JP5805974B2 (ja) 2010-03-31 2015-11-10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センサ
JP5759230B2 (ja) 2010-04-02 2015-08-05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手センサを有する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1642725B1 (ko) 2010-04-14 2016-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8963845B2 (en) 2010-05-05 2015-02-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obile device with temperature sensing capab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110283241A1 (en) 2010-05-14 2011-11-17 Google Inc. Touch Gesture Actions From A Device's Lock Screen
US9103732B2 (en) 2010-05-25 2015-08-1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User computer device with temperature sensing capabiliti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8751056B2 (en) 2010-05-25 2014-06-10 Motorola Mobility Llc User computer device with temperature sensing capabiliti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120062501A1 (en) * 2010-09-10 2012-03-15 Sunrex Technology Corp. System and method of recognizing a touch event on touch pad by measuring touch area of touch sensitive surface of the touch pad
US9262002B2 (en) * 2010-11-03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Force sensing touch screen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063591B2 (en) 2011-11-30 2015-06-2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ctive styluses for interacting with a mobile device
US8963885B2 (en) 2011-11-30 2015-02-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obile device for interacting with an active stylus
WO2013154720A1 (en) 2012-04-13 2013-10-17 Tk Holdings Inc. Pressure sensor including a pressure sensitive material for use with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DE112013004512T5 (de) 2012-09-17 2015-06-03 Tk Holdings Inc. Einzelschicht-Kraftsensor
CN102929525B (zh) * 2012-09-24 2016-03-30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解锁单元及其屏幕解锁方法以及移动通讯设备
CN104184881A (zh) * 2013-05-27 2014-12-03 龙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在通话过程中通过触摸屏设置音量的方法
EP3108345B1 (en) 2014-02-18 2019-12-25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imited Dynamic switching of power modes for touch screens using force touch
EP2977853A1 (fr) 2014-07-24 2016-01-27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Objet portable tactile ayant une extinction des touches tactiles simplifiée
GB2533667B (en) 2014-12-23 2017-07-19 Cambridge Touch Tech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KR102615384B1 (ko) 2014-12-23 2023-12-19 케임브리지 터치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압력감지 방식 터치 패널
CN105279407A (zh) * 2015-11-02 2016-01-27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触摸屏的加/解密方法、系统及设备
GB2544307B (en) 2015-11-12 2018-02-07 Cambridge Touch Tech Ltd Processing signals from a touchscreen panel
GB2544353B (en) 2015-12-23 2018-02-21 Cambridge Touch Tech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US10282046B2 (en) 2015-12-23 2019-05-07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Pressure-sensitive touch panel
GB2547031B (en) 2016-02-05 2019-09-25 Cambridge Touch Tech Ltd Touchscreen panel signal processing
CN107346201B (zh) * 2016-05-04 2021-03-16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解除终端屏幕锁定的方法及装置
CN106886337A (zh) * 2017-01-23 2017-06-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参数调整的方法及终端
GB2565305A (en) 2017-08-08 2019-02-13 Cambridge Touch Tech Ltd Device for processing signals from a pressure-sensing touch panel
US11093088B2 (en) 2017-08-08 2021-08-17 Cambridge Touch Technologies Ltd. Device for processing signals from a pressure-sensing touch panel
CN108196816A (zh) * 2017-12-28 2018-06-22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熄屏状态下的音乐播放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CN110381208A (zh) * 2019-07-22 2019-10-25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屏幕控制方法和移动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060A (ko) * 2005-01-04 2006-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20070024165A (ko) * 2005-08-26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70027191A (ko) * 2005-09-06 2007-03-0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및장치
US20070152984A1 (en) 2005-12-30 2007-07-05 Bas Or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ulti-touch inpu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9122B2 (en) * 2004-07-30 2013-07-02 Apple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7730401B2 (en) * 2001-05-16 2010-06-0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US7231231B2 (en) * 2003-10-14 2007-06-1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 mobile telephone touch screen
US8164573B2 (en) * 2003-11-26 2012-04-24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interpretation of input from a touch-sensitive input device
CN101268436A (zh) * 2004-08-02 2008-09-1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设置浮点值的触摸屏滑块
EP1758345B1 (en) 2005-08-26 2016-1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US20070151842A1 (en) 2005-12-15 2007-07-05 Fluens Corporation Apparatus for reactive sputtering
US7657849B2 (en) *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US7706903B2 (en) * 2006-04-13 2010-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 muting of applications
JP2008033739A (ja) * 2006-07-31 2008-02-14 Sony Corp 力覚フィードバックおよび圧力測定に基づくタッチスクリーンインター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装置
US8564543B2 (en) * 2006-09-11 2013-10-22 Apple Inc. Media player with imaged based browsing
US20090006958A1 (en) * 2007-06-29 2009-01-01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n Object Selection Mechanism for Display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060A (ko) * 2005-01-04 2006-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키버튼 잠금/해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KR20070024165A (ko) * 2005-08-26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70027191A (ko) * 2005-09-06 2007-03-0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 알림 모드 자동 전환 방법 및장치
US20070152984A1 (en) 2005-12-30 2007-07-05 Bas Or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ulti-touch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61823A1 (en) 2009-03-05
US20150095780A1 (en) 2015-04-02
KR20090022924A (ko) 2009-03-04
US20160034135A1 (en) 2016-02-04
US8909195B2 (en) 2014-12-09
US10402082B2 (en) 2019-09-03
US10114541B2 (en) 201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04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US9904410B2 (en) Touch-sensitive button with two levels
TWI397842B (zh) 可攜式電子裝置及控制其之電腦可讀取媒體及方法
US8875037B2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 thereof
KR101424259B1 (ko) 휴대단말에서 입력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JP4764918B2 (ja) 電子デバイスおよびタッ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
US9024892B2 (en) Mobile device and gesture determination method
US20130091468A1 (en) Individualized method for unlocking display screen on mobile comput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US201002594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a dual point user input on a touch based user input device
US20130201131A1 (en) Method of operating multi-touch panel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10006984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및 그 방법
EP3488328B1 (en) Stylus communication channels
CN101098533A (zh) 小键盘触摸用户接口方法与使用其的移动终端
CN105892927A (zh) 一种移动终端控制方法及装置
US201300500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touchpad in electronic device
CN102725710A (zh) 便携式信息终端及其按键布置变更方法
KR20090015259A (ko) 단말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JP2012174247A (ja) 携帯電子機器、接触操作制御方法および接触操作制御プログラム
WO2018076384A1 (zh) 一种锁屏方法、终端及锁屏装置
CN108427534B (zh) 控制屏幕返回桌面的方法和装置
US20200050314A1 (en) Touch sens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device
CN105868594A (zh) 一种终端的控制方法及装置
KR100859882B1 (ko) 터치 기반 사용자 입력 장치상의 듀얼 포인트 사용자입력을 인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80930B1 (ko) 터치 스크린 입력장치
CN103713840B (zh) 可携式装置及其按键点击范围调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