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018B1 -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 - Google Patents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6018B1
KR101456018B1 KR1020140038835A KR20140038835A KR101456018B1 KR 101456018 B1 KR101456018 B1 KR 101456018B1 KR 1020140038835 A KR1020140038835 A KR 1020140038835A KR 20140038835 A KR20140038835 A KR 20140038835A KR 101456018 B1 KR101456018 B1 KR 10145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seesaw
fixing bracket
horizontal support
rotat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파크개발
주식회사 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파크개발, 주식회사 한광 filed Critical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to KR102014003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1/00See-saws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효과를 극대화하며 소음 등의 발생을 최소화한 시소용 완충모듈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시소를 이루는 수평지지대의 양단부에 부착되며 전후가 개방되고 양측으로 폐쇄된 윙부가 구비되며 상기 윙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양측 윙부의 장홈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휠 및 상기 회전휠을 가압하도록 상기 윙부 사이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시소용 완충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DAMPING MODULE FOR SEESAW AND SEESAW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에서 사용되는 놀이기구는 블록형, 그네형, 뛰기형, 차량형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뛰기형 기구는, 널판지 판넬이나 긴 봉의 양단을 지지하고 그 위를 넘어 뛰거나 판넬 위를 걸을 수 있도록 하는 놀이기구로서, 보통 널뛰기, 중심잡기, 시소놀이 등이 있다.
이러한 놀이기구는 구조적으로 조립과 분해 등의 사용이 쉽고, 고장 및 손상이나 파손이 쉽게 되지 않으며, 놀이기구 사용 중 사용자가 다치게 될 수 있는 부분을 고려해서 만들어져야 하고, 실내사용이 가능하도록 소음이 적고 실내 바닥 등을 훼손하지 않는 구조를 구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시소는, 양쪽 끝단에 안장이 있고 철재로 된 막대 판 형태의 수평지지대 중심 하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중심축을 힌지로 연결해서 상기 안장에 사용자가 앉아 상기 수평지지대 양끝단이 승강 및 하강 되면서 사용자가 즐거움을 얻게 되는 운동 놀이기구 이다.
이러한 시소 놀이는, 시소의 무게와 거리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한국의 민속놀이인 널뛰기와 원리가 같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몸의 평형기능, 리듬감, 협동심 등을 기르는 데 적합한 운동 놀이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놀이용 시소는 양단부가 상하로 승강 후 하강 시 지면에 부딪히는 경우에 큰 소음 및 충격이 발생함은 물론 이에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제품 자제의 내구성도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시소가 지면에 부딪히는 경우에 발생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운영이 간편하며 내구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소음 발생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시소가 하강된 측에 있어서 지면과 수평지지대 사이의 거리가 법적 기준인 소정 거리 이상(230mm)의 간격을 완충모듈 자체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소를 이루는 수평지지대의 양단부에 부착되며 전후가 개방되고 양측으로 폐쇄된 윙부가 구비되며 상기 윙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양측 윙부의 장홈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휠 및 상기 회전휠을 가압하도록 상기 윙부 사이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시소용 완충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 내측 상부와 상기 탄성부재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안정적으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지지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 시 소음 및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상부완충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삭제
또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 외부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휠과 접촉되게 배치되는 하부지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부지지부의 상기 회전휠과 접촉되는 부위는 상기 회전휠이 일측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경사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부지지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시 소음 및 충격을 완화시키는 하부완충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회전휠은 원주 둘레를 따라서 기 설정된 이격 간격마다 배치되는 가압회전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중앙부가 힌지 연결되며 지반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완충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모듈은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부에 부착되며 전후가 개방되고 양측으로 폐쇄된 윙부가 구비되며 상기 윙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양측 윙부의 장홈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휠 및 상기 회전휠을 가압하도록 상기 윙부 사이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완충모듈이 구비된 시소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지지대의 양단에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이 적용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회전휠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스프링을 통한 완충작용과 함께 회전휠의 회전에 따른 보조적 완충작용 또한 가능하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의 상하 양측으로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부가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면서 추가적인 완충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휠과 맞닿는 하부지지부의 접촉면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회전휠이 일측 원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서 회전휠의 안정적 회전을 유도하며 마모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다섯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스프링 방식의 탄성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완충효과와 더불어 시소의 상승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완충부재로 사용하였던 타이어 등 별도의 부속품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현장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모듈이 적용된 시소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소용 완충모듈을 이루는 주요 구성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소용 완충모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소용 완충모듈의 요부 측단면도; 및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모듈이 적용된 시소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모듈(100)은 시소를 이루는 수평지지대(10)의 양단부에 부착되며, 상부에는 사용자용 시트(20) 및 손잡이부(30)가 배치된다.
상기 수평지지대(10)의 중앙부는 힌지(50)에 의하여 지지부(15)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15)의 힌지(50)를 중심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0)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소용 완충모듈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소용 완충모듈을 이루는 주요 구성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소용 완충모듈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소용 완충모듈(100)은 고정브라켓(110)과, 회전축(130)과, 회전휠(120) 및 탄성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10)은 상부가 수평지지대(10)의 양단부 하측에 부착되며 전후로 상부 일부 구간에 걸쳐 폐쇄부(1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하부는 개방된 상태를 이루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서 윙부(1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상부는 상기 수평지지대(10)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대(10)에 용접 방식 등에 따라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10) 윙부(111)의 길이방향인 상하방향을 따라서 장홈(114)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130)은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양측 윙부(111) 장홈(114)을 동시에 관통하되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윙부(111)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130)의 양단부에는 고정볼트(135)가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축(130)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장홈(114)을 따라서 이동 가능할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회전휠(120)은 중앙부인 허브가 상기 회전축(130)에 관통되며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휠(120)의과 상기 회전축(130) 사이에 베어링(140)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140)은 상기 회전휠(120)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탄성부재(150)는 상기 회전휠(120)을 가압하도록 상기 윙부(111) 사이로 상기 고정브라켓(110) 내측에 설치된다. 도시된 것처럼, 코일형 스프링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110) 내측 상부와 상기 탄성부재(150)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150)가 안정적으로 상기 고정브라켓(110) 내측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부지지부(161)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지지부(161)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상기 탄성부재(150)의 상부가 내설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부(161)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150)가 압축 시 발생 가능한 소음 및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부완충부(171)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완충부(171)는 실리콘 또는 고무류의 합성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110)과 상기 상부지지부(161)는 대응되는 위치로 관통부(118,168)가 각각 구비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회전휠(120)과 상기 탄성부재(150) 하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150)가 안정적으로 상기 고정브라켓(110)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하부지지부(162)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지지부(162)는 상부가 폐쇄되고 상기 탄성부재(150)의 하부 외부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부(162)의 상기 회전휠(120)과 접촉되는 부위는 상기 회전휠(120)이 일측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경사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모듈(100)이 지반에 부딪히는 경우에 상기 하부지지부(162)가 상기 회전휠(120)이 일측 원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마찰력이 작용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부(162)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150)의 압축 시 발생 가능한 소음 및 충격을 완화시키는 하부완충부(172)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완충부(172) 또한 상기 상부완충부(171)와 마찬가지로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30)의 양단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35)의 외부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상기 고정브라켓(110)의 윙부(111)에 커버부(180)가 결합된다. 상기 윙부(111)와 커버부(180)는 용접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80)는 상기 장홈(114)을 따라서 모래 등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수리를 고려하여 밑면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휠(120)은 원주 둘레를 따라서 기 설정된 이격 간격마다 배치되는 가압회전홈(123)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소 놀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두 명이 상기 수평지지대(10)의 양측 시트(20)에 각각 앉게 된다. 이 경우, 수평지지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두 개 이상의 시트(20)가 적용되고, 이에 따라 더 많은 사용자가 시소 놀이를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대(10)의 일측이 지면에 닿은 경우 수평지지대(10)의 타측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상부에 위치될 것이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다시 수평지지대(10)의 타측이 힌지(5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반에 닿게 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휠(120)과 회전축(130)이 장홈(114)을 따라서 탄성부재(150)인 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회전휠의 이동에 따른 탄성부재의 완충작용에 의하여 사용자가 지변에 닿는 경우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휠(120) 자체의 회전을 통하여도 추가적으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지지부(162)가 소정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경사방향에 따라서 상기 회전휠(120)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회전휠(120)의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회전휠(120) 자체의 마모 정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가져온다.
한편, 상기 회전휠(120)과 고정브라켓(110)의 윙부(111) 등 사이로 이물질이 끼어 회전휠(120)이 원활하게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가압회전홈(123)에 별도의 공구 등을 끼워 회전휠(120)을 억지 회전시킴으로써 이물질을 빼내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시소용 완충모듈 110: 고정브라켓
111: 윙부 114: 장홈
116: 폐쇄부 120: 회전휠
123: 가압회전홈 130: 회전축
135: 고정볼트 140: 베어링
150: 탄성부재 161: 상부지지부
162: 하부지지부 171: 상부완충부
172: 하부완충부 180: 커버부

Claims (9)

  1. 시소를 이루는 수평지지대의 양단부에 부착되며 전후가 개방되고 양측으로 폐쇄된 윙부가 구비되며 상기 윙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양측 윙부의 장홈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휠; 및
    상기 회전휠을 가압하도록 상기 윙부 사이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시소용 완충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 내측 상부와 상기 탄성부재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안정적으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지지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용 완충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 시 소음 및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상부완충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용 완충모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 외부를 둘러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회전휠과 접촉되게 배치되는 하부지지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용 완충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의 상기 회전휠과 접촉되는 부위는,
    상기 회전휠이 일측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경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용 완충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시 소음 및 충격을 완화시키는 하부완충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용 완충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휠은,
    원주 둘레를 따라서 기 설정된 이격 간격마다 배치되는 가압회전홈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소용 완충모듈.
  9.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중앙부가 힌지 연결되며 지반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완충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완충모듈은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부에 부착되며 전후가 개방되고 양측으로 폐쇄된 윙부가 구비되며 상기 윙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장홈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양측 윙부의 장홈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휠 및 상기 회전휠을 가압하도록 상기 윙부 사이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완충모듈이 구비된 시소.
KR1020140038835A 2014-04-01 2014-04-01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 KR101456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35A KR101456018B1 (ko) 2014-04-01 2014-04-01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835A KR101456018B1 (ko) 2014-04-01 2014-04-01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018B1 true KR101456018B1 (ko) 2014-11-04

Family

ID=5228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835A KR101456018B1 (ko) 2014-04-01 2014-04-01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0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131B1 (ko) * 2017-02-20 2017-05-19 박용호 탄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소
KR20220026321A (ko) * 2020-08-25 2022-03-04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시소용 충격흡수패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917U (ko) * 2007-09-19 2009-03-24 박영철 시소용 의자
KR20110028411A (ko) * 2009-09-12 2011-03-18 (주)조인조경 어린이 놀이용 시소
KR20110089920A (ko) * 2010-02-02 2011-08-10 신영태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시소
KR20130005626U (ko) * 2013-05-21 2013-09-25 주영훈 시이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917U (ko) * 2007-09-19 2009-03-24 박영철 시소용 의자
KR20110028411A (ko) * 2009-09-12 2011-03-18 (주)조인조경 어린이 놀이용 시소
KR20110089920A (ko) * 2010-02-02 2011-08-10 신영태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시소
KR20130005626U (ko) * 2013-05-21 2013-09-25 주영훈 시이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131B1 (ko) * 2017-02-20 2017-05-19 박용호 탄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소
KR20220026321A (ko) * 2020-08-25 2022-03-04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시소용 충격흡수패드
KR102479252B1 (ko) 2020-08-25 2022-12-20 주식회사 명진아이노리 시소용 충격흡수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4385B2 (en) Massage apparatus
US6953418B1 (en) Shock absorption device of a running apparatus
US10449412B2 (en) Low noise direct drive treadmill
KR101221857B1 (ko) 런닝머신용 완충장치
ES2699087T3 (es) Aparato de entrenamiento de tenis
KR101456018B1 (ko) 시소용 완충모듈 및 이를 구비한 시소
CN209921459U (zh) 底盘总成以及机器人
CN207018430U (zh) 一种儿童安全鼓减震支架
CN213269539U (zh) 一种静音式推拉木门
KR101559718B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캐스터
CN103009921B (zh) 一种减震脚轮
CN201031909Y (zh) 洗衣机地台的减震装置
CN107012656B (zh) 衣物取放口活动式滚筒洗衣机
KR101497417B1 (ko) 런닝머신용 완충장치
CN211930413U (zh) 一种电机用具有减震功能的底座
CN211076219U (zh) 滑板车的减震结构
KR101498483B1 (ko) 런닝머신
CN212521052U (zh) 一种粗糙水泥路面拉杆箱滑轮保护机构
KR200295807Y1 (ko) 런닝머신의 런닝벨트 완충구조
CN210048058U (zh) 一种调心托辊
EP3247476B1 (en) Basket swing comprising a seat section having a double/single walled impact surface
JP2021142107A (ja) 自転車用トレーニング装置
CN213724782U (zh) 一种感觉统合训练用滑板
CN219848008U (zh) 一种减震跑步机
CN219908967U (zh) 一种露天煤矿矿坑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