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154B1 -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설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설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154B1
KR101455154B1 KR1020120096727A KR20120096727A KR101455154B1 KR 101455154 B1 KR101455154 B1 KR 101455154B1 KR 1020120096727 A KR1020120096727 A KR 1020120096727A KR 20120096727 A KR20120096727 A KR 20120096727A KR 101455154 B1 KR101455154 B1 KR 101455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et
mobile device
ses
pps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059A (ko
Inventor
전영환
제윤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1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7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using secure elements embedded in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2Contactless payments by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6Aspects of software for card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설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pplet 발급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Applet을 발급받아 다수의 SE들 중 하나를 지정하여 설치한다. 이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수의 SE들이 존재하는 멀티-SE 환경에서, 다수의 SE들 중 원하는 SE를 지정하여 발급받은 Applet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설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디바이스{Method for Mobile Payment Card Deployment/Installation in Multi-SE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SE(Secure Element)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결제카드와 같은 Applet을 모바일 디바이스가 발급받아 SE에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SE는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와 이를 이용하는 Applet들을 안전하게 저장하는 저장매체로, SIM/UICC(Subscriber Identity Module /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e-SE(embedded SE) 및 Micro SD 카드(Micro Secure Digital Card) 등이 있다.
SIM/UICC가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Micro SD 카드가 선택적으로 사용됨이 일반적이었지만, 근래에 이르러 e-SE를 탑재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다수의 SE들이 장착/탑재 가능하다. 하지만, 전자 결제에 사용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Chipset에는 오직 하나의 SE만이 연결가능하다. 이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수의 SE들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모바일 결제카드와 같은 Applet은 NFC Chipset에 연결된 SE에 설치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SE들 중 원하는 SE를 지정하여 발급받은 Applet을 설치하는 Applet 발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plet 발급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Applet을 발급받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발급된 Applet을 다수의 SE들 중 하나를 지정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plet 발급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가능한 SE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SE 리스트에 나열된 SE들 중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단계는, 다수의 SE들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SE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E 리스트에는, 상기 다수의 SE들의 속성들로 표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SE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장착되어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SE,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SE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착탈가능한 S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급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Applet 발급 신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Applet 발급자에 상기 입력된 Applet 발급 신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발급 신청의 응답으로 상기 Applet 발급자로부터 상기 신청된 Applet을 발급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단계는, 상기 Applet 발급자가 발급한 Applet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pplet은, 모바일 카드 Applet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단계는, 발급된 Applet의 속성을 기초로 다수의 SE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수의 SE들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Applet을 발급받으면, 다수의 SE들 중 하나를 지정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Applet을 설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다수의 SE들이 존재하는 멀티-SE 환경에서, 다수의 SE들 중 원하는 SE를 지정하여 발급받은 Applet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에 의해 Applet들이 SE들에 산재되어 설치되더라도, 모바일 디바이스가 SE들에 산재되어 있는 Applet들을 모두 활용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장착된 SE 모두를 유의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받아 설치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도 2의 S220단계 및 S230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제공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한 도면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재발급받아 재설치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은 Applet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관련 블럭들과 스위칭 관련 블럭들을 생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다소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EMV 결제시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EMV 결제시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예들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13은 멀티-SE 환경에서 Applet을 발급/설치할 SE를 자동 설정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멀티- SE 환경을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다수의 SE(Secure Element)가 장착되었거나 탑재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SIM/UICC(Subscriber Identity Module /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130)가 장착되고, e-SE(embedded SE)(140)가 탑재되며, Micro SD 카드(Micro Secure Digital Card)(150)가 장착된 멀티-SE 환경을 상정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발급받은 Applet을 다수의 SE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 CIC(Contact Interface Controller)(120), SIM/UICC(130), e-SE(140), Micro SD 카드(150), CM(Contactless Module)(160) 및 CA 모듈(Controller Access Module)(180)을 구비한다.
프로세서(110)에서는 OTA 프록시(Over The Air Proxy)(111)와 m-Wallet(112)가 실행된다.
OTA 프록시(111)는 TSM(Trusted Service Manager), m-Wallet(112) 및 SE들(130, 140, 150)의 중심에서 이들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즉, OTA 프록시(111)는 1) TSM과 m-Wallet(112) 간의 통신, 2) TSM과 SE들(130, 140, 150) 간의 통신 및 3) m-Wallet(112)과 SE들(130, 140, 150)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TSM은 금융기관으로부터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 권한을 위임받고, 이동통신사로부터 이동통신망 사용허가를 받아, 모바일 디바이스에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을 대행한다.
모바일 결제카드는 SE들(130, 140, 150)에 발급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리더 간의 비접촉식 통신을 통해 대금결제를 위한 결제정보를 전송하면서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Applet으로, 모바일 신용카드와 모바일 선불카드를 모두 포함한다.
m-Wallet(112)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SE들(130, 140, 150)에 발급된 모바일 결제카드를 이용하여 대금을 비접촉식으로 결제하기 위한 모바일 지갑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자 지갑, 스마트 지갑 등으로 호칭 되기도 한다.
CIC(120)는 '프로세서(110)에서 실행되는 OTA 프록시(111)'와 'SE들(130, 140, 15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SIM/UICC 게이트(121), e-SE 게이트(122) 및 Micro SD 카드 게이트(123)를 포함한다.
SIM/UICC 게이트(121)는 OTA 프록시(111)와 SIM/UICC(130)를 연결/차단하기 위한 게이트이고, e-SE 게이트(122)는 OTA 프록시(111)와 e-SE(140)를 연결/차단하기 위한 게이트이고, Micro SD 카드 게이트(123)는 OTA 프록시(111)와 Micro SD 카드(150)를 연결/차단하기 위한 게이트이다.
OTA 프록시(111)는, 1) SIM/UICC 게이트(121)를 통해 SIM/UICC(130)와, 2) e-SE 게이트(122)를 통해 e-SE(140)와, 3) Micro SD 카드 게이트(123)를 통해 Micro SD 카드(150)와, ISO 7816 인터페이스에 따라 통신 연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SE들(130, 140, 150)에는 모바일 결제카드가 Applet으로 설치되어 있다.
CM(160)은 리더와 비접촉식 통신(예를 들면, NFC)을 지원하는 모듈로, 여러 SE들(130, 140, 150)에 산재 되어 있는 모바일 신용카드들을 선택적으로 모두 사용가능하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160)은 통신 모듈(165)과 CEM(Card Emulation Module)(170)을 구비한다. 통신 모듈(165)은 리더와 근거리로 비접촉식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CEM(170)은 비접촉식 통신에서 Card Emulation 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SWP 모듈(Single Wire Protocol Module)들(171, 172, 173) 및 컨트롤러(174)를 구비한다.
SWP 모듈들(171, 172, 173)은 SE들(130, 140, 150)과 하나씩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통신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SWP 모듈-1(171)은 SIM/UICC(130)에 직접 연결되어 SIM/UICC(130)과 직접 통신하고, 2) SWP 모듈-2(172)는 e-SE(140)에 직접 연결되어 e-SE(140)과 직접 통신하며, 3) SWP 모듈-3(173)은 Micro SD 카드(150)에 직접 연결되어 Micro SD 카드(150)와 직접 통신한다.
컨트롤러(174)는 선택기(Selector)(175)와 Applet 테이블(Applet Table)(176)을 구비하는데, 선택기(175)는 Applet 테이블(176)을 참조로 SWP 모듈들(171, 172, 173) 중 하나를 선택하여 SIM/UICC(130), e-SE(140) 및 Micro SD 카드(150)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SE에 존재하는 모바일 신용카드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Applet 테이블(176)은 SE들(130, 140, 150)에 설치된 Applet들에 대한 우선순위(Priority), AID(Applet ID), SE Type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테이블이다. SE Type은 Applet이 설치된 SE의 Type(SIM/UICC, e-SE 및 Micro SD 카드)를 나타내는 항목이다.
CA 모듈(180)은 m-Wallet(112)이 컨트롤러(174)의 Applet 테이블(176)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CA 모듈(180)에 의해, m-Wallet(112)은 Applet 테이블(176)에 액세스하여 모바일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업데이트 할 수 있다.
2. 멀티- 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설치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받아 설치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프로세서(110)에서 실행중인 m-Wallet(112)이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 신청을 입력받는다(S210).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 신청은, 사용자가 m-Wallet(112)의 발급 신청 메뉴를 통해 결제카드 번호, 유효기간 PIN 번호 등의 요구사항을 입력하는 절차에 의해 수행된다.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 신청이 입력되면, m-Wallet(112)은 SE 리스트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모바일 결제카드를 발급받을 SE를 사용자에 문의한다(S220). SE 리스트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장착된 SE들(130, 140, 150)의 목록을 말한다.
이후, m-Wallet(112)은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결제카드를 발급받을 SE를 선택받는다(S230).
도 3에는 S220단계 및 S230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제공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을 예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모바일 결제카드를 발급받을 SE 문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장착된 SE 리스트 및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체크 박스가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는 S220단계 및 S230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제공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화면의 다른 예를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서는, SE 리스트에서, SIM/UICC가 "장착형" SE로, e-SE가 "내장형" SE로, Micro SD 카드가 "착탈형" SE로 표기되었다는 점에서, 도 3과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SE 리스트에 SE의 명칭/종류 대신 SE의 속성을 표기한 것은, SE type을 잘 알지 못하는 일반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1) e-SE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탑재)되어 있으므로 내장형 SE로 표현하였고,
2) SIM/UICC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통신을 위해 항상 장착하고 있어야 하므로 장착형 SE로 표현하였으며,
3) Micro SD 카드는 장착과 탈거가 자유로우므로 착탈형 SE로 표현하였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한 SE 선택이 완료되면, m-Wallet(112)은 OTA 프록시(111)를 통해 TSM(10)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 신청을 전송하여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을 요청하고(S240), S240단계에 대한 응답으로 TSM(10)은 OTA 프록시(111)에 사용자가 신청한 모바일 결제카드를 발급한다(S250).
그러면, OTA 프록시(111)는 S250단계에서 발급받은 모바일 결제카드를 S230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SE에 설치한다(S260). 구체적으로,
1) S230단계에서 사용자가 SIM/UICC(130)를 선택한 경우 OTA 프록시(111)는 SIM/UICC(130)를 지정하여 S250단계에서 발급된 모바일 결제카드를 설치하고(S261),
2) S230단계에서 사용자가 e-SE(140)를 선택한 경우 OTA 프록시(111)는 e-SE(140)를 지정하여 S250단계에서 발급된 모바일 결제카드를 설치하며(S262),
3) S230단계에서 사용자가 Micro SD 카드(150)를 선택한 경우 OTA 프록시(111)는 Micro SD 카드(150)를 지정하여 S250단계에서 발급된 모바일 결제카드를 설치한다(S263).
3. 멀티- 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재발급/재설치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재발급받아 재설치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여기서, 재발급과 재설치는 모바일 결제카드가 설치된 SE를 다른 SE로 교체하기 위한 절차로 상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프로세서(110)에서 실행중인 m-Wallet(112)이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결제카드 재발급을 신청받는다(S310). 모바일 결제카드 재발급 신청은, 사용자가 m-Wallet(112)의 재발급 신청 메뉴를 통해 결제카드 번호, 유효기간 PIN 번호 등의 요구사항을 입력하는 절차에 의해 수행된다.
모바일 결제카드 재발급 신청이 입력되면, m-Wallet(112)은 SE 리스트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모바일 결제카드를 재발급 받을 SE를 사용자에 문의하고(S320), 사용자로부터 SE를 선택받는다(S330).
S320단계 및 S330단계를 수행함에 있어 제공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은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구현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한 SE 선택이 완료되면, m-Wallet(112)은 OTA 프록시(111)를 통해 TSM(10)에 사용자가 신청한 모바일 결제카드에 대한 재발급을 요청하고(S340), S340단계에 대한 응답으로 TSM(10)은 OTA 프록시(111)에 사용자가 신청한 모바일 결제카드를 재발급한다(S350).
모바일 결제카드가 재발급되면, OTA 프록시(111)는 이전에 발급/설치되어 있는 모바일 결제카드를 SE에서 삭제한다(S360). 구체적으로,
1) 모바일 결제카드가 이전에 SIM/UICC(130)에 발급/설치되어 있었던 경우 OTA 프록시(111)는 SIM/UICC(130)에서 해당 모바일 결제카드를 삭제하고(S361),
2) 모바일 결제카드가 이전에 e-SE(140)에 발급/설치되어 있었던 경우 OTA 프록시(111)는 e-SE(140)에서 해당 모바일 결제카드를 삭제하며(S362),
3) 모바일 결제카드가 이전에 Micro SD 카드(150)에 발급/설치되어 있었던 경우 OTA 프록시(111)는 Micro SD 카드(150)에서 해당모바일 결제카드를 삭제한다(S363).
이후, OTA 프록시(111)는 S350단계에서 재발급 받은 모바일 결제카드를 S330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SE에 설치한다(S370). 구체적으로,
1) S330단계에서 사용자가 SIM/UICC(130)를 선택한 경우 OTA 프록시(111)는 S350단계에서 재발급된 모바일 결제카드를 SIM/UICC(130)에 설치하고(S371),
2) S330단계에서 사용자가 e-SE(140)를 선택한 경우 OTA 프록시(111)는 S350단계에서 재발급된 모바일 결제카드를 e-SE(140)에 설치하며(S372),
3) S330단계에서 사용자가 Micro SD 카드(150)를 선택한 경우 OTA 프록시(111)는 S350단계에서 재발급된 모바일 결제카드를 Micro SD 카드(150)에 설치한다(S373).
4. 멀티- 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도 2/도 5에 의해 발급/재발급 받은 모바일 결제카드들을 사용하는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에 표기된 Applet 또는 CA(Contactless Applet)는 모바일 결제카드를 의미함에 유념하여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110)에서 실행된 m-Wallet(112)이 OTA 프록시(111)를 통해 SIM/UICC(130), e-SE(140) 및 Micro SD 카드(150)로부터 CA(Contactless Applet)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410). 구체적으로 m-Wallet(112)은,
1) SIM/UICC(130)의 SECM(Secure Element Contactless Management)에 "Get Status" 커맨드를 전송하여(S411), SECM로부터 SIM/UICC(130)에 설치된 CA(Contactless Applet)들의 리스트를 수신하고(S412),
2) e-SE(140)의 SECM에 "Get Status" 커맨드를 전송하여(S413), SECM로부터 e-SE(140)에 설치된 CA들의 리스트를 수신하며(S414),
3) Micro SD 카드(150)의 SECM에 "Get Status" 커맨드를 전송하여(S415), SECM로부터 Micro SD 카드(150)에 설치된 CA들의 리스트를 수신한다(S416).
CA(Contactless Applet) 리스트는, SIM/UICC(130), e-SE(140) 및 Micro SD 카드(150)의 PPSE(Proximity Payment System Environment)(미도시)에 AID 리스트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S412단계, S414단계 및 S416단계에서, SECM은 PPSE에 저장된 AID 리스트를 OTA 프록시(111)를 통해 m-Wallet(112)에 CA 리스트로 전달한다.
다음, m-Wallet(112)은 S412단계, S414단계 및 S416단계를 통해 수신한 CA들을 통합하여, AID와 SE type을 Applet 테이블(176)에 저장/업데이트 한다(S420). 저장/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CM(160)은 m-Wallet(112)에 "OK"를 전송하여 저장/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S425).
이에 의해, Applet 테이블(176)에는, SIM/UICC(130), e-SE(140) 및 Micro SD 카드(150)의 CA 리스트들이 통합된다. 도 7에는 Applet 테이블(176)에 수록 내용을 예시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plet 테이블(176)에는 Applet들에 대한 AID와 SE Type이 수록된다.
이후, CM(160)이 리더(20)에 비접촉식 통신이 가능한 정도로 근접한 이후의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리더(20)가 Applet을 선택하여 CM(160)에 비접촉식 통신으로 AID를 통보하면(S440), CM(160)은 Applet 테이블(176)을 참조하여 리더(20)에 의해 선택된 Applet을 선택한다(S441, S443 또는 S445).
S441, S443 또는 S445단계를 위해, CM(160)의 CEM(170)에 마련된 컨트롤러(174)의 선택기(175)는, 리더(20)가 통보한 AID를 갖는 Apple이 설치된 SE를 Applet 테이블(176)에서 검색하고, 찾아낸 SE가 연결된 SWP 모듈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러(174)는 활성화된 SWP 모듈에 연결된 SE에 AID를 전송함으로써, Applet을 선택한다.
이후, 컨트롤러(174)가 S441, S443 또는 S445단계에 대한 응답을 선택된 Applet으로부터 수신하면(S442, S444 또는 S446), CM(160)은 S440단계에 대한 응답을 리더(20)에 전송한다(S450).
S430단계 내지 S450단계에 의해, 리더(20)가 통보한 AID를 갖는 Applet이 설치된 SE가 연결된 SWP 모듈이 선택기(175)에 의해 통신 모듈(165)에 연결되며, 궁극적으로 Applet과 리더(20) 간의 통신 연결이 설정된다.
5. EMV 결제시 멀티- 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
도 6을 통해 설명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 전자결제의 일종인 EMV 결제(Europay-Master-Visa Payment) 시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방법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도, 표기되는 Applet 또는 CA(Contactless Applet)는 모바일 결제카드를 의미함에 유념하여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관련 블럭들과 스위칭 관련 블럭들을 생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를 다소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단,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1) CM(160)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Chipset'으로 구체화하였고, 2) SIM/UICC(130), e-SE(140) 및 Micro SD 카드(150)에 CRS(131-1, 141-1, 151-1), PPSE(131-2, 141-2, 151-2)이 마련되고 모바일 VISAR 카드(132-1, 142-1, 152-1)와 모바일 MasterCardR(133-1, 143-1, 153-1)가 발급/설치된 것을 상정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방법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EMV 결제시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110)에서 실행되는 m-Wallet(112)가 OTA 프록시(111)를 통해 SIM/UICC(130), e-SE(140) 및 Micro SD 카드(150)로부터 CA(Contactless Applet)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510). 구체적으로 m-Wallet(112)는,
1) SIM/UICC(130)의 CRS(131-1)에 "Get Status" 커맨드를 전송하여(S511), CRS(131-1)로부터 SIM/UICC(130)에 설치된 CA(Contactless Applet)들의 리스트를 수신하고(S512),
2) e-SE(140)의 CRS(141-1)에 "Get Status" 커맨드를 전송하여(S513), CRS(141-1)로부터 e-SE(140)에 설치된 CA들의 리스트를 수신하며(S514),
3) Micro SD 카드(150)의 CRS(151-1)에 "Get Status" 커맨드를 전송하여(S515), CRS(151-1)로부터 Micro SD 카드(150)에 설치된 CA들의 리스트를 수신한다(S516).
CA(Contactless Applet) 리스트는, SIM/UICC(130), e-SE(140) 및 Micro SD 카드(150)의 PPSE(131-2, 141-2, 151-2)에 AID 리스트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S512단계, S514단계 및 S516단계에서, CRS(131-1, 141-1, 151-1)는 PPSE(131-2, 141-2, 151-2)에 저장된 AID 리스트를 OTA 프록시(111)를 통해 m-Wallet(112)에 CA 리스트로 전달한다.
다음, m-Wallet(112)은 S512단계, S514단계 및 S516단계를 통해 수신한 CA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통합하여 디스플레이한다(S520). 이후, 사용자(User)에 의해 S520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CA들에 대한 우선순위 설정이 이루어진다(S525).
m-Wallet(112)은, "Switch Mode" 커맨드로 S525단계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Highest Priority)로 설정된 Applet이 설치되어 있는 SE의 PPSE를 External Mode로 설정하고, "Put Template" 커맨드로 External Mode로 설정된 PPSE에 '모든 SE들(130, 140, 150)에 설치된 CA들(132, 133, 142, 143, 152, 153)의 AID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기록한다(S530). 구체적으로 S530단계에서 m-Wallet(112)는,
1) S525단계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설정된 Applet이 SIM/UICC(13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SIM/UICC(130)의 PPSE(131-2)를 External Mode로 설정하고, PPSE(131-2)에 '모든 SE들(130, 140, 150)에 설치된 CA들(132, 133, 142, 143, 152, 153)의 AID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기록하고(S531),
2) S525단계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설정된 Applet이 e-SE(14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e-SE(140)의 PPSE(141-2)를 External Mode로 설정하고, PPSE(141-2)에 '모든 SE들(130, 140, 150)에 설치된 CA들(132, 133, 142, 143, 152, 153)의 AID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기록하고(S533),
3) S525단계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설정된 Applet이 Micro SD 카드(15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Micro SD 카드(150)의 PPSE(151-2)를 External Mode로 설정하고, PPSE(151-2)에 '모든 SE들(130, 140, 150)에 설치된 CA들(132-1, 133-1, 142-1, 143-1, 152-1, 153-1)의 AID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기록한다(S535).
기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PPSE(131-2, 141-2, 151-2)는 OTA 프록시(111)를 통해 m-Wallet(112)에 "OK"를 전송하여 기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S532, S534 또는 S536).
이후, m-Wallet(112)는 'External Mode로 설정된 PPSE의 SE type'을 Applet 테이블(176)에 저장/업데이트 한다(S540). 저장/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NFC Chipset(160)은 m-Wallet(112)에 "OK"를 전송하여 저장/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S541).
또한, m-Wallet(112)는 S525단계에서 설정된 우선순위를 AID 및 SE type과 함께 Applet 테이블(176)에 저장/업데이트 한다(S545). 저장/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NFC Chipset(160)은 m-Wallet(112)에 "OK"를 전송하여 저장/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S546).
이후, EMV 결제를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NFC Chipset(160)을 POS(Point Of Sale) 단말(20)에 비접촉식 통신이 가능한 정도로 근접시킨 이후의 절차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POS 단말(20)이 PPSE를 선택하면(S550), NFC Chipset(160)은 External Mode로 설정된 PPSE가 있는 SE를 선택하고(S561, S563 또는 S565), 선택된 SE의 CRS로부터 PPSE를 응답 받는다(S562, S564 또는 S566).
S561, S563 또는 S565단계를 위해, NFC Chipset(160)의 선택기(175)는 Applet 테이블(176)을 참조하여 External Mode로 설정된 PPSE가 있는 SE를 검색하고, 찾아낸 SE가 연결된 SWP 모듈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NFC Chipset(160)는 활성화된 SWP 모듈에 연결된 SE의 CRS에 PPSE를 요청한다.
이후, NFC Chipset(160)은 S550단계에 대한 응답으로 S562, S564 또는 S566단계를 통해 전달받은 PPSE를 POS 단말(20)에 전송한다(S570).
다음, POS 단말(20)이 S570단계를 통해 전달받은 PPSE를 참조로 Applet을 선택하여 NFC Chipset(160)에 비접촉식 통신으로 AID를 통보하면(S575), NFC Chipset(160)은 Applet 테이블(176)을 참조하여 POS 단말(20)이 선택한 Applet을 선택한다(S581, S583 또는 S585).
S581, S583 또는 S585단계를 위해, NFC Chipset(160)의 선택기(175)는, POS 단말(20)이 통보한 AID를 갖는 Applet들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Applet이 설치된 SE를 Applet 테이블(176)에서 검색하고, 찾아낸 SE가 연결된 SWP 모듈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NFC Chipset(160)은 활성화된 SWP 모듈에 연결된 SE에 AID를 전송함으로써, Applet을 선택한다.
이후, NFC Chipset(160)이 S581, S583 또는 S585단계에 대한 응답을 선택된 Applet으로부터 수신하면(S582, S584 또는 S586), NFC Chipset(160)은 S575단계에 대한 응답을 POS 단말(20)에 전송한다(S590).
S575단계 내지 S590단계에 의해, POS 단말(20)이 통보한 AID를 갖는 Applet들 중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Applet이 설치된 SE가 연결된 SWP 모듈이 선택기(175)에 의해 통신 모듈(165)에 연결되어, 궁극적으로 Applet과 POS 단말(20) 간의 EMV 결제를 위한 통신 연결이 설정된다.
이하에서, EMV 결제시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 과정에 대해, 도 11 및 도 12에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1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SE들에 설치된 Applet들인 모바일 결제카드들의 AID가 모두 상이한 경우의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1) SIM/UICC(130)에는 A-은행으로부터 발급받은 모바일 VISA 카드(AID : A0000003101001)와 모바일 마스터 카드(AID : A0000004101001)가 설치되어 있고,
2) e-SE(140)에는 B-은행으로부터 발급받은 모바일 VISA 카드(AID : A0000003101002)와 모바일 마스터 카드(AID : A0000004101002)가 설치되어 있으며,
3) Micro SD 카드(150)에는 C-은행으로부터 발급받은 모바일 VISA 카드(AID : A0000003101003)와 모바일 마스터 카드(AID : A0000004101003)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였으며, 이는 SE들(130, 140, 150)의 PPSE(131-2, 141-2, 151-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m-Wallet(112)이 "Get Status" 커맨드로 SE들(130, 140, 150)에 설치된 모바일 결제카드들의 리스트를 수집하는 과정이 "①~③"에 나타나 있고, 수집된 모바일 결제카드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의한 우선순위 설정이 이루어진 결과가 "④"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m-Wallet(112)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Priority = 1)의 모바일 결제카드(AID : A0000003101001)가 설치되어 있는 SIM/UICC(130)의 PPSE(A)(131-2)를 선택하여 External Mode로 설정하고, "Put Template" 커멘드로 PPSE(A)(131-2)에 '모든 SE들(130, 140, 150)에 설치된 모바일 결제카드들(132-1, 133-1, 142-1, 143-1, 152-1, 153-1)의 AID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기록한 결과가 "⑤~⑦"에 나타나 있다.
또한, m-Wallet(112)이 "④"에서 설정된 우선순위를 AID 및 SE type과 함께 Applet 테이블(176)에 저장/업데이트한 결과가 "⑧"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EMV 결제를 위해 POS 단말(20)이 PPSE를 선택하여, NFC Chipset(160)이 External Mode로 설정된 PPSE(A)를 POS 단말(20)에 응답하면, POS 단말(20)이 PPSE(A)를 참조로 "A0000003101001"를 선택하여 궁극적으로 NFC Chipset(160)가 AID가 "A0000003101001"인 모바일 결제카드를 선택하게 되는 결과가 "⑨~⑪"에 나타나 있다.
도 12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SE들에 설치된 모바일 결제카드들의 AID가 일부 중복되는 경우의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사용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1) SIM/UICC(130)에는 A-은행으로부터 발급받은 모바일 VISA 카드(AID : A0000003101001)와 모바일 마스터 카드(AID : A0000004101001)이 설치되어 있고,
2) e-SE(140)에는 B-은행으로부터 발급받은 모바일 VISA 카드(AID : A0000003101001)과 모바일 마스터 카드(AID : A0000004101001)가 설치되어 있으며,
3) Micro SD 카드(150)에는 C-은행으로부터 발급받은 모바일 VISA 카드(AID : A0000003101001)와 모바일 마스터 카드(AID : A0000004101001)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였으며, 이는 SE들(130, 140, 150)의 PPSE(131-2, 141-2, 151-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A-은행으로부터 SIM/UICC(130)에 발급받은 모바일 VISA 카드, B-은행으로부터 e-SE(140)에 발급받은 모바일 VISA 카드 및 C-은행으로부터 Micro SD 카드(150)에 발급받은 모바일 VISA 카드의 AID가 모두 "A0000003101001"로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은행으로부터 SIM/UICC(130)에 발급받은 모바일 마스터 카드, B-은행으로부터 e-SE(140)에 발급받은 모바일 마스터 카드 및 C-은행으로부터 Micro SD 카드(150)에 발급받은 모바일 마스터 카드의 AID가 모두 "A0000004101001"로 동일함을 SE들(130, 140, 150)의 PPSE(131-2, 141-2, 151-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m-Wallet(112)이 "Get Status" 커맨드로 SE들(130, 140, 150)에 설치된 모바일 결제카드들의 리스트를 수집하는 과정이 "①~③"에 나타나 있고, 수집된 모바일 결제카드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의한 우선순위 설정이 이루어진 결과가 "④"에 나타나 있다.
그리고, m-Wallet(112)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Priority = 1)의 모바일 결제카드가 설치되어 있는 Micro SD 카드(150)의 PPSE(C)(151-2)를 선택하여 External Mode로 설정하고, "Put Template" 커맨드로 PPSE(C)(151-2)에 '모든 SE들(130, 140, 150)에 설치된 CA들(132-1, 133-1, 142-1, 143-1, 152-1, 153-1)의 AID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기록한 결과가 "⑤~⑦"에 나타나 있다.
한편, "Put Template" 커맨드에 의한 기록시 동일한 AID는 한 번만 기록된다. 도 9에서 AID의 개수는 6개이지만, 상이한 AID는 "A0000003101001"와 "A0000004101001" 2개이므로, PPSE(C)(151-2)에는 2개의 AID들만이 기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m-Wallet(112)이 "④"에서 설정된 우선순위를 AID 및 SE type과 함께 Applet 테이블(176)에 업데이트한 결과가 "⑧"에 나타나 있다. PPSE(C)(151-2)와 달리 Applet 테이블(176)에서는 AID 외에 SE type도 함께 기록되므로, 중복되는 AID들이 모두 기록된다.
EMV 결제를 위해 POS 단말(20)이 PPSE를 선택하여, NFC Chipset(160)이 External Mode로 설정된 PPSE(C)를 POS 단말(20)에 응답하면, POS 단말(20)이 PPSE(C)를 참조로 "A0000003101001"를 선택하여 궁극적으로 NFC Chipset(160)가 AID가 "A0000003101001"인 모바일 결제카드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Micro SD 카드(150)에 설치된 AID가 "A0000003101001"인 모바일 결제카드를 선택하게 되는 결과가 "⑨~⑪"에 나타나 있다.
6. 변형예
지금까지,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설치 과정과 사용 과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언급한 NFC는 비접촉식 통신의 일종으로 다른 종류의 비접촉식 통신으로 대체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리더와 POS 단말 이외의 다른 종류의 외부기기와 비접촉식 통신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가능하다.
한편, 위 실시예에서 제시한 모바일 결제카드는 Applet의 일종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모바일 결제카드 이외의 다른 Applet을 발급/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위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설치될 SE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자동 선택으로 구현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모바일 결제카드를 Applet으로 확장하여, 멀티-SE 환경에서 Applet을 발급/설치할 SE를 자동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Applet이 발급/설치될 SE를 구체적으로 지정하지 않고 자동 설치를 명령한 경우(S610-Y), 프로세서(110)는 발급된 Applet의 속성을 파악한다(S620).
Applet의 속성은 프로세서(110)가 Applet에 대한 세부 정보를 참조하여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Applet 발급자가 Applet 속성 정보를 Applet 내에 부가할 수도 있다.
S620단계에서의 속성 파악 결과, Applet이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Applet으로 판단되면(S630-Y), 프로세서(110)는 발급된 Applet을 SIM/UICC(130)에 설치한다(S640). SIM/UICC(130)에 이동통신 서비스 관련한 정보들과 Applet들이 저장되어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반면, Applet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과 관련한 Applet으로 판단되면(S650-Y), 프로세서(110)는 발급된 Applet을 e-SE(140)에 설치한다(S660). e-SE(140)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탑재)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Applet이 금융과 관련한 Applet으로 판단되면(S670-Y), 프로세서(110)는 발급된 Applet을 Micro SD 카드(150)에 설치한다(S680). 이는, Micro SD 카드(150)로 금융 관련 Applet을 사용자 소유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Applet이 위에서 언급한 Applet들이 아닌 경우(S670-N), 프로세서(110)는 발급된 Applet을 저장 공간이 가장 많이 남은 SE에 설치한다(S690). 현재까지, Applet의 용량은 비교적 작고 SE들의 저장공간은 비교적 크기 때문에, S690단계는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향후 대용량의 Applet이 등장할 경우를 대비하여, S690단계를 추가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가 Applet이 발급/설치될 SE를 지정한 경우(S610-N), 프로세서(110)는 발급된 Applet을 사용자가 지정한 SE에 설치한다(S695).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방법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데이터 저장 장치이더라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간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프로세서 111 : OTA 프록시(Over The Air Proxy)
112 : m-Wallet 120 : CIC(Contact Interface Controller)
130 : SIM/UICC 140 : e-SE
150 : Micro SD 카드
160 : CM(Contactless Module) / NFC(Near Field Communication) Chipset
165 : 통신 모듈 170 : CEM(Card Emulation Module)
171, 172, 173 : SWP 모듈(Single Wire Protocol Module)
174 : 컨트롤러(Controller) 175 : 선택기(Selector)
176 : Applet 테이블
180 : CA 모듈(Controller Access Module)

Claims (8)

  1. Applet 발급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Applet을 발급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발급된 Applet을 복수의 SE(Secure Element)들 중 하나를 지정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SE들 각각에 설치된 Applet 리스트들을 상기 SE들 각각으로부터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집된 리스트들을 통합하여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Applet들의 ID들'과 'Applet들이 저장된 SE 정보들'을 포함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할 Applet을 선택하는데 참고하며,
    상기 Applet 발급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Applet이 설치된 SE에 저장된 PPSE(Proximity Payment System Environment)를 External Mode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External Mode로 설정된 PPSE에 상기 Applet들의 AID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External Mode로 설정된 PPSE가 저장된 SE type을 상기 테이블에 수록하는 단계;
    외부기기로부터 PPSE를 선택 받으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External Mode로 설정된 PPSE가 저장된 SE를 상기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검색된 SE에 저장된 PPSE에 기록된 AID들 중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통보 받은 AID를 갖는 Applet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Applet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선택한 Applet이 설치된 SE를 상기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검색된 SE에 AID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plet 발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가능한 SE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SE 리스트에 나열된 SE들 중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단계는,
    복수의 SE들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SE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plet 발급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E 리스트에는,
    상기 복수의 SE들의 속성들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plet 발급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SE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장착되어 이동통신에 사용되는 SE,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내장된 SE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착탈가능한 S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plet 발급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급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Applet 발급 신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Applet 발급자에 상기 입력된 Applet 발급 신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발급 신청의 응답으로 상기 Applet 발급자로부터 상기 신청된 Applet을 발급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단계는,
    상기 Applet 발급자가 발급한 Applet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plet 발급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Applet은,
    모바일 카드 Appl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plet 발급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단계는,
    발급된 Applet의 속성을 기초로 복수의 SE들 중 하나를 자동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plet 발급 방법.
  8. 복수의 SE(Secure Element)들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Applet을 발급받으면, 복수의 SE들 중 하나를 지정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Applet을 설치하는 프로세서; 및
    외부기기와 비접촉식으로 통신하는 비접촉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SE들 각각에 설치된 Applet 리스트들을 상기 SE들 각각으로부터 수집하고, 수집된 리스트들을 통합하여 테이블에 저장하고,
    상기 테이블은,
    'Applet들의 ID들'과 'Applet들이 저장된 SE 정보들'을 포함하여, 사용할 Applet을 선택하는데 참고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Applet이 설치된 SE에 저장된 PPSE(Proximity Payment System Environment)를 External Mode로 설정하고,
    상기 External Mode로 설정된 PPSE에 상기 Applet들의 AID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기록하며,
    상기 External Mode로 설정된 PPSE가 저장된 SE type을 상기 테이블에 수록하고,
    상기 비접촉식 모듈은,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PPSE를 선택 받으면, 상기 External Mode로 설정된 PPSE가 저장된 SE를 상기 테이블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SE에 저장된 PPSE에 기록된 AID들 중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통보 받은 AID를 갖는 Applet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순위의 Applet을 선택하며,
    상기 선택한 Applet이 설치된 SE를 상기 테이블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SE에 AID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20096727A 2012-08-31 2012-08-31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설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디바이스 KR101455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727A KR101455154B1 (ko) 2012-08-31 2012-08-31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설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727A KR101455154B1 (ko) 2012-08-31 2012-08-31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설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059A KR20140029059A (ko) 2014-03-10
KR101455154B1 true KR101455154B1 (ko) 2014-10-27

Family

ID=5064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727A KR101455154B1 (ko) 2012-08-31 2012-08-31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설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1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3986B2 (en) 2011-12-30 2018-03-20 Mozido Corfire—Korea, Ltd. Master TSM
KR20210043418A (ko) 2020-05-26 2021-04-21 정재철 복수의 지급 수단을 이용하는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3417A (ko) 2019-10-11 2021-04-21 정재철 상품 구매 추천 및 결제 시스템
KR20210133920A (ko) 2020-05-26 2021-11-08 정재철 상품 구매 추천 및 결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184B1 (ko) * 2014-04-25 2016-08-23 에스케이 주식회사 비표준-se 카드 발급 및 가상화 방법
KR102288630B1 (ko) * 2014-07-28 2021-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카드 처리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679A (ko) * 2009-08-20 2011-02-28 브이피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드 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110103822A (ko) * 2010-03-15 2011-09-21 주식회사 아테나스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5491A (ko) * 2011-01-24 2012-08-01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결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679A (ko) * 2009-08-20 2011-02-28 브이피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드 운용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110103822A (ko) * 2010-03-15 2011-09-21 주식회사 아테나스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5491A (ko) * 2011-01-24 2012-08-01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결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기사, '[디지털 산책] 스마트폰 보안, 플랫폼 분리로 가능' (디지털타임즈, 2012.01.11.) *
인터넷기사, ‘[디지털 산책] 스마트폰 보안, 플랫폼 분리로 가능’ (디지털타임즈, 2012.01.11.)*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3986B2 (en) 2011-12-30 2018-03-20 Mozido Corfire—Korea, Ltd. Master TSM
KR20210043417A (ko) 2019-10-11 2021-04-21 정재철 상품 구매 추천 및 결제 시스템
KR20210043418A (ko) 2020-05-26 2021-04-21 정재철 복수의 지급 수단을 이용하는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3920A (ko) 2020-05-26 2021-11-08 정재철 상품 구매 추천 및 결제 시스템
KR20230153328A (ko) 2020-05-26 2023-11-06 정재철 복수의 지급 수단을 이용한 최적의 결제 조합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059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154B1 (ko)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발급/설치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디바이스
US111204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KR101487517B1 (ko) 근접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US106575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ard application in electronic device
EP3118796A1 (en) Payment information op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20160364719A1 (en) User equipment for reverse nfc payment, nfc payment terminal, reverse nfc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455155B1 (ko) 멀티-se 환경에서 모바일 결제카드 우선순위 자동 설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디바이스
JPWO2014068737A1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US20160292675A1 (en) Portabl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KR20160022431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hce 기반의 교통카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9956A (ko) 카드 약관 동의 및 발급을 제공하는 단말과 서비스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1581994A (zh) 近场通信nfc通信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163749B1 (ko) 쿠폰을 제공하는 단말과 쿠폰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2019541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915331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32795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1503018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ecure element
CN104091188A (zh) 穿戴式设备和智能卡系统
CN108205754B (zh) 电子支付方法以及用于支持该电子支付方法的电子设备
KR102354802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473527B1 (ko) 멀티-se 운용 방법 및 이를 적용한 cm과 모바일 디바이스
KR20150044618A (ko)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6123539B2 (ja) 識別子生成装置、識別子生成方法、及び識別子生成プログラム
KR102198211B1 (ko) 단말,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67662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