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029B1 - 이모티콘 출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모티콘 출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029B1
KR101455029B1 KR1020140045056A KR20140045056A KR101455029B1 KR 101455029 B1 KR101455029 B1 KR 101455029B1 KR 1020140045056 A KR1020140045056 A KR 1020140045056A KR 20140045056 A KR20140045056 A KR 20140045056A KR 101455029 B1 KR101455029 B1 KR 101455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con
terminal
window
controlle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응
Original Assignee
유재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응 filed Critical 유재응
Priority to KR1020140045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모티콘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이모티콘을 제1단말기로부터 제2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제2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모티콘 출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제1단말기의 제1제어기가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제2이모티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수신창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모티콘 출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MOTICON}
본 발명은 메신저 또는 이메일 등에서 사용자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모티콘을, 단말기에 출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무선 단말기에서도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모바일 메신저나 SNS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2인 이상의 의사소통에서는, 다양한 이모티콘 또는 캐릭터를 사용함으로 인해, 감정의 시각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이모티콘과 캐릭터의 다양화로 인해, 모바일 메신저나, SNS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모티콘 또는 캐릭터를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변화가 거의 없는 이모티콘 또는 캐릭터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메시지의 송수신이 수차례 반복하다보면, 흥미가 반감되고 있다.
둘째, 종래의 이모티콘 또는 캐릭터를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은, 감정에 대한 여러 상황을 선택할 수 있으나, 하나의 상황에 대한 다양한 수준을 표현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가 ‘사랑’이라는 감정을 하트로 표현할 때, 그것에 대한 응답으로 제2단말기가 하트, 눈속의 하트, 손으로 표현하는 하트 등 사랑의 여러 상황을 표현한 이모티콘 또는 캐릭터를 선택할 수는 있으나, 더 사랑하거나 덜 사랑하는 등의 사랑에 대한 다양한 수준을 선택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이모티콘 또는 캐릭터를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은 표현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셋째, 종래의 이모티콘 또는 캐릭터를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은, 의사결정시 찬성과 반대를 문자로 표시하거나 정적 이모티콘으로 표현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의사결정이 이루어져가는 과정과 결과 표시가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제1이모티콘을 제1단말기로부터 제2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제2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모티콘 출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제1단말기의 제1제어기가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제2이모티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수신창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장치는, 제1단말기로부터 제1이모티콘을 수신하여 제2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가 링크되어 있는 제2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모티콘 출력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가, 자신의 감정에 대한 반응을 다양한 형태의 이모티콘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신자는 다양하고 정확한 감정이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적으로 변화된 이모티콘이 의사소통에 참여한 모든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의사소통의 결과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모티콘 출력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이 실행되는 단말기의 출력기에 메신저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앱들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도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도들.
도 7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모티콘 출력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이모티콘을 관리하는 이모티콘 출력 장치(이하, 간단히 '서버'라 함)(10) 및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로부터 상기 이모티콘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키는 단말기(20)를 포함한다.
첫째, 상기 단말기(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에 접속하여 상기 이모티콘을 다운로드받아 실행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기(20)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PC 등과 같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20)는, 개인용 컴퓨터(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이,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한 유선 단말기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단말기(20)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이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는, 송수신기, 메모리, 제어기, 입력기 및 출력기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10)와 접속하여 상기 서버(10)로부터 상기 이모티콘을 다운로드 한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다운로드되는 상기 이모티콘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모티콘을 실행시킨다. 상기 입력기는 키패드, 키보드, 터치스크린 또는 마우스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출력기는 액정표시장치(LCD) 또는 유기발광표시장(OLED) 등과 같은 표시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의 구성은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단말기의 구성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상기 단말기(20)들 중, 제1이모티콘을 발송하는 단말기를 제1단말기(21)라 하며, 상기 제1이모티콘을 수신한 후, 상기 제1이모티콘에 응답하는 제2이모티콘을 발송하는 단말기를 제2단말기(22)라 한다.
이 경우, 도 1에는 상기 제1단말기(21)와 상기 제2단말기(22)는 무선 단말기로 표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단말기(21) 및 상기 제2단말기(22) 각각은, 무선 단말기 또는 유선 단말기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서버(이모티콘 출력 장치)(10)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서버가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상기 단말기(20)로 상기 이모티콘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10)는, 상기 단말기(20)로, 모바일 또는 유선 메신저나, SNS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서비스(이하, 간단히 '메신저'라 함)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서버(10)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상기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메신저를 이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메신저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모티콘 또는 캐릭터 등(이하, 간단히 '이모티콘'이라 함)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서버(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20)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11), 관리자로부터 다양한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3), 상기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들을 출력하는 출력부(14), 상기 이모티콘과 상기 메신저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15) 및 상기 인터페이스, 상기 입력부, 상기 출력부, 상기 저장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인터페이스(11)는, 상기 제1단말기(21)로부터 제1이모티콘을 수신하여 상기 제2단말기(22)로 전송하며,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가 링크되어 있는 제2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22)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단말기(2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인터페이스(11)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이 실행되는 단말기의 출력기에 메신저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앱들이 출력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말기(21) 및 제2단말기(22)에, 이모티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S100), 상기 제1단말기의 제1제어기가 제1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하는 단계(미도시),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22)로 전송하는 단계(S200), 상기 제1단말기(21)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수신한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2이모티콘을 수신하는 단계(S300),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수신창에 출력하는 단계(미도시), 및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 1. 이모티콘 및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과정(S100) >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20)에서 실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단말기(21) 및 상기 제2단말기(22) 각각은,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유선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단말기(21) 및 상기 제2단말기(22) 모두가,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인 경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된 내용은, 스마트폰 이외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이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앱이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2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들이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 제1단말기(21)를 이용하는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단말기(22)를 이용하는 제2사용자 각각은, 상기 제1단말기(21) 및 상기 제2단말기(22)를 이용해 상기 서버(이모티콘 출력 장치)(10)에 접속하여, 상기 이모티콘 및 상기 이모티콘이 실행되는 메신저를 상기 제1단말기(21) 및 상기 제2단말기(22)에 다운로드 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모티콘이 포함되어 있는 상기 메신저는, 메신저앱 형태로, 앱스토어를 통해 상기 단말기(20)들 각각에 다운로드된다.
여기서, 상기 앱스토어는 상기 메신저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앱스토어는 상기 서버(10)로부터 전송된 상기 메신저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앱(App)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단말기(20)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메신저앱을 상기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즉, 상기 앱스토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Application Store)'의 준말로 이용되는 용어로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휴대폰에 탑재되는 일정관리, 주소록, 알람, 계산기, 게임, 동영상, 인터넷접속, 음악재생, 내비게이션, 워드, 액셀 등의 콘텐츠 응용프로그램)(이하, 간단히 '앱'이라 함)을 자유롭게 사고 팔 수 있도록 한 온라인상의 '모바일 콘텐츠(소프트웨어) 장터'를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앱스토어는 상기 서버(10)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모티콘은, 상기 메신저앱이 상기 단말기(20)에 다운로드되어 실행된 후, 상기 서버(10)로부터 상기 단말기(20)로 직접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2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메신저앱을 다운로드받아 상기 단말기(20)에 인스톨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20)의 출력기에 상기 메신저앱(21)이 표시된다.
상기 단말기(20)에 상기 메신저앱(21)을 인스톨한 사용자가, 상기 메신저앱(21)을 실행시키면, 상기 단말기(20)의 제어기가, 상기 메신저앱(21)을 실행시켜, 메신저를 상기 단말기(20)의 출력기를 통해 출력한다.
사용자는 상기 메신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또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이용하여 대화를 할 수 있다.
< 2. 제1단말기가 제1이모티콘을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S200) >
제1사용자는 상기 메신저앱을 실행시켜 상기 제1단말기(21)의 출력기에 상기 메신저를 출력시킨다.
제1사용자는 이모티콘 제공 메뉴를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제1이모티콘을 선택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단말기(21)의 제1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한다.
상기 발신창에 출력된 상기 제1이모티콘을 확인한 제1사용자가 전송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22)로 전송한다. 이 경우, 제1사용자는 상기 제1이모티콘과 함께, 간단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이모티콘은, 상기 서버(10)를 통해 상기 제2단말기(22)로 전송된다.
< 3. 제2단말기가 제2이모티콘을 제1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S300) >
상기 제1이모티콘이 상기 제2단말기(22)로 전송되면, 상기 제2단말기(22)의 제2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22)에서 실행되는 메신저의 수신창에 출력한다.
제2사용자는 상기 수신창에 출력된 상기 제1이모티콘을 확인한 후, 상기 제1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는, 제2이모티콘을 선택한다.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된 상기 제2이모티콘을 확인한 제2사용자가 전송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제1단말기(21)로 전송한다. 이 경우, 제2사용자는 상기 제2이모티콘과 함께, 간단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이모티콘은, 상기 서버(10)를 통해 상기 제1단말기(21)로 전송된다.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이모티콘을 수신한다.
상기 과정(S3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제1이모티콘을 수신한다.
다음,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수신창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는 선택창을, 상기 제2단말기의 출력기에 출력하며, 상기 선택창을 통해 선택된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수신창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색 또는 모양을 변경시킬 수 있는 도구들이 링크되어 있는 상기 선택창을 출력하고, 상기 도구들 중 어느 하나가 제2이모티콘으로 선택되면,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발신창에 출력하고, 선택된 상기 제2이모티콘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색 또는 모양을 변경시키며, 색 또는 모양이 변경된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발신창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2이모티콘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창에 출력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직접 변경시킬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기가, 상기 제2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를, 상기 제2이모티콘과 함께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는,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메신저의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 상기 제1이모티콘의 모양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색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 상기 제1이모티콘에 추가 이모티콘을 추가시키는 제어신호, 상기 제1이모티콘을 커버하고 있는 커버창을 제거하는 제어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4. 제1단말기가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과정(S400) >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수신창에 출력한다.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방법(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상기 제1이모티콘의 모양을 변경시키는 방법(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색을 변경시키는 방법(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상기 제1이모티콘에 추가 이모티콘을 추가시키는 방법(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 상기 제1이모티콘을 커버하고 있는 커버창을 제거하는 방법(제4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이, 각 실시예별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도들로서, 상기 제1단말기(21)와 상기 제2단말기(22)의 출력기에 표시되는 이모티콘들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하트 모양의 제1이모티콘이 전송된 후, 상기 제1이모티콘이, 상기 제2이모티콘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를 일예로 하여, 설명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이모티콘에 의해, 하트 모양의 상기 제1이모티콘에는 큐피트의 화살이 꽃힌다. 즉, 상기 제1이모티콘의 모양은 날아오는 큐피트 화살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제1이모티콘에는 추가 이모티콘(큐피트 화살)이 추가될 수 있고, 상기 큐피트 화살이 꽂히는 경우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색이 노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큐피트 화살이 꽂히는 경우 상기 상기 하트 모양의 제1이모티콘의 크기가 커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한 후,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22)로 전송하는 단계(S200), 상기 제1단말기(21)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수신한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2이모티콘을 수신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첫째,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사용자가, 이모티콘 선택창(미도시)을 통해 하트 모양의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선택한 후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제1단말기(21)의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22)로 전송한다(S200). 상기 제1이모티콘(211)은, 하트이다.
여기서, 상기 발신창은, 상기 메신저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 중, 상기 제1사용자가 선택한 메시지 또는 제1이모티콘(211)이 출력되는 영역을 말한다. 이 경우, 상기 발신창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력기의 우측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단말기는, 제1사용자(A)에 의해 이용되는 것임으로, 상기 발신창에는 제1사용자를 지시하는 발신자의 이름 또는 닉네임 등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메신저의 상단(212)에는, 제1사용자(A)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전송하고자 하는 제2사용자의 이름 또는 닉네임(이하, 간단히 '이름'이라 함)(212)이 표시된다. 제2사용자의 이름(212)은 'B'로 표시되어 있다.
둘째,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말기(22)의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1단말기(21)로부터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수신한 후,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22)의 상기 수신창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는 선택창(221)을, 상기 제2단말기의 출력기에 출력하며, 상기 선택창을 통해 선택된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상기 수신창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이모티콘에 응용될 수 있는 큐피트 화살(224) 또는 야구공(225) 등의 도구들이 링크되어 있는 상기 선택창(221)을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수신창은, 상기 메신저의 각 부분들 중 상기 제1이모티콘(221)이 출력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수신창에는, 제1사용자의 이름(A)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메신저의 상단에는 제1사용자의 이름(222)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창(221)은 상기 제1이모티콘의 출력과 동시에 출력될 수도 있으나, 제2사용자가 상기 제1이모티콘(211) 또는 상기 제2이모티콘(211)의 주변에 표시되는 선택버튼(223)을 선택한 경우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선택버튼(223)에는 제2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도구의 갯수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큐피트 화살(224)은, 상기 제1이모티콘(하트)(211)에 긍정적인 답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야구공(225)은 부정적인 답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큐피트 화살(224)이 선택되면, 상기 제1이모티콘(211)은 큐피트 화살과 일체로 되는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야구공(225)이 선택되면, 상기 제1이모티콘(211)은 상기 야구공(225)에 의해 두 쪽으로 부서지는 이모티콘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셋째,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사용자가 상기 선택창(221)에 표시된 도구들 중 상기 큐피트 화살(224)을 선택하면, 상기 발신창에는, 상기 큐피트 화살(224)이 상기 제2이모티콘(226)으로 표시된다.
넷째,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2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를, 상기 제2이모티콘과 함께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한다.
다섯째, 상기 제2이모티콘(226)이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되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말기(22)에서 실행되는 상기 메신저의 상기 수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도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모양이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신창에 표시된 상기 제2이모티콘(큐피트 화살)(226)이, 상기 수신창에 표시된 상기 제1이모티콘(하트)(211)으로 날아가는 모양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큐피트 화살(226)이 꽃힌 상기 하트(211)의 모양, 색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변경은,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된 이후에 표시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이모티콘이 제2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직후, 제2사용자에게 미리 보기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여섯째, 상기 제1단말기(21)의 제1제어기는, 상기 제2단말기(22)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이모티콘(226)을 수신한다(S300).
일곱째,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수신창에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말기의 수신창에 표시된 상기 제2이모티콘(큐피트 화살)(226)이, 상기 제1단말기의 수신창에 표시된 상기 제1이모티콘(하트)(211)으로 날아가는 모양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큐피트 화살(226)이 꽃힌 상기 하트(211)의 모양, 색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예들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이모티콘(211)은, 좌우로 이동될 수도 있고, 상하로 이동될 수도 있고, 원급법을 이용하여 앞뒤로 이동될 수 있고, 회전될 수도 있고,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졌다가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는 과정을 반복할 수도 있으며, 큐피트 화살과 같은 추가 이모티콘이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모티콘이 사람의 얼굴인 경우,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사람의 얼굴에 묻어 있는 땀이 흘러내릴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이모티콘이 하트인 경우, 상기 하트에 달려있는 날개가 움직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도들로서, 상기 제1단말기(21)와 상기 제2단말기(22)의 출력기에 표시되는 이모티콘들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또는 간단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N등분된 박스 모양의 제1이모티콘이 전송된 후, 상기 제1이모티콘이, 상기 제2이모티콘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를 일예로 하여, 설명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이모티콘에 의해, N등분된 박스 모양의 각 칸에는 색이 채워질 수도 있고, 각 칸의 모양이 변경될 수도 있으며, 각 칸이 깜빡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이모티콘의 모양은 상기 제2이모티콘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제1이모티콘에는 추가 이모티콘(예를 들어, 'OK' 또는 "YES' 또는 "NO" 등과 같은 텍스트 또는 긍정을 나타내는 이모티콘, 또는 부정을 나타내는 이모티콘 등)이 추가될 수 있고, 상기 제1이모티콘의 각 칸의 색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칸의 크기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한 후,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22)로 전송하는 단계(S200), 상기 제1단말기(21)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수신한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2이모티콘을 수신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상기 제1단말기의 상기 제1제어기가, 의사결정을 요구하는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한 후, 상기 제1이모티콘을 제2단말기 내지 제n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00), 상기 제2단말기 내지 상기 제n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2이모티콘이 수신되면(S300),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출력기의 의사결정창에, 상기 제1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는 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이모티콘이 찬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에 찬성표시를 출력하는 단계(S400), 상기 제2이모티콘이 반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에 반대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단말기 내지 상기 제n단말기들 모두로부터 상기 제2이모티콘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찬성 정보와 상기 반대 정보를 분석한 후, 상기 의사결정에 대한 최종 결과를, 상기 의사결정창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첫째, 도 6의 (a)를 참조하면, 제1사용자가 4등분된 박스 모양의 제1이모티콘(211)을 선택한 후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제1단말기(21)의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로 전송한다(S200). 상기 제1이모티콘(211)은, 4등분된 박스 모양이다. 이 경우, 제1사용자는, 상기 제1이모티콘을 전송한 이유를 상기 제1이모티콘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에는, '오늘 번개팅은 찬성, 내일 번개팅은 반대를 선택하세요'라는 메시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사용자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선택할 때, 자신의 의사를 미리 반영할 수도 있다. 상기 예에서, 제1사용자가 찬성을 선택한 경우, 상기 제1이모티콘에는 찬성을 나타내는 표시가 미리 추가되어, 다른 단말기들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사용자는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지 않고, 제1사용자가 제2단말기 내지 제5단말기를 이용하는 4명의 사용자, 즉, 제2사용자 내지 제5사용자(B, C, D, N)에게 상기 제1이모티콘을 전송하는 경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둘째,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말기(22)의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1단말기(21)로부터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수신한 후,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상기 제2단말기(22)의 상기 수신창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는 선택창(221)을, 상기 제2단말기의 출력기에 출력하며, 상기 선택창을 통해 선택된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수신창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이모티콘에 응용될 수 있는 찬성 도구, 반대 도구 또는 기권 도구 등이 링크되어 있는 상기 선택창(221)을 출력한다. 상기 도구들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모티콘 형태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찬성 도구(224)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에 긍정적인 답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반대 도구(225)는 부정적인 답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대 도구(225)가 선택되면, 상기 제1이모티콘(211)에는 부정적인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셋째, 제2사용자가 상기 선택창(221)에 표시된 도구들 중 상기 찬성 도구(224)를 선택하면, 상기 발신창에는, 상기 찬성 도구(224)가 상기 제2이모티콘(226)으로 표시된다.
넷째, 상기 제2이모티콘(226)을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2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를, 상기 제2이모티콘과 함께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한다.
다섯째, 상기 제2이모티콘(226)이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되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말기(22)에서 실행되는 상기 메신저의 상기 수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도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모양이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이모티콘(226)이 찬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제어기는, 4등분된 박스 모양의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하나의 칸에, 찬성을 나타내는 색상을 채울 수도 있고, 하나의 칸의 모양을 찬성을 의미하는 모양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으며, 하나의 칸에 찬성을 의미하는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c)에서는, 찬성을 의미하는 표시로 색이 칠해져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이모티콘(226)이 반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제어기는, 4등분된 박스 모양의 상기 제1이미토콘(211)의 하나의 칸에, 반대를 나타내는 색상을 채울 수도 있고, 하나의 칸의 모양을 반대를 의미하는 모양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으며, 하나의 칸에 반대를 의미하는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변경은,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된 이후에 표시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이모티콘이 제2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직후, 제2사용자에게 미리 보기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모양 또는 색이 변경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단말기의 상기 출력기에 표시되는 의사결정창에, 상기 제1이모티콘과 동일한 형태의 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이 표시될 수도 있다.
여섯째, 상기 제1단말기(21)의 제1제어기는, 상기 제2단말기(22)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이모티콘(226)을 수신한다(S300).
일곱째,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수신창에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이모티콘(226)이 찬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제어기는, 4등분된 박스 모양의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하나의 칸에, 찬성을 나타내는 색상을 채울 수도 있고, 하나의 칸의 모양을 찬성을 의미하는 모양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으며, 하나의 칸에 찬성을 의미하는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이모티콘(226)이 반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제어기는, 4등분된 박스 모양의 상기 제1이미토콘(211)의 하나의 칸에, 반대를 나타내는 색상을 채울 수도 있고, 하나의 칸의 모양을 반대를 의미하는 모양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으며, 하나의 칸에 반대를 의미하는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메신저의 상기 수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모양 또는 색이 변경될 수도 있으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말기의 상기 출력기에 표시되는 의사결정창(213)에, 상기 제1이모티콘(211)과 동일한 형태의 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214)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는 변경될 수도 있고, 변경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덟째, 상기에서 설명된 과정은, 상기 제1단말기와, 상기 제2단말기 내지 제n단말기들의 사이에서 동일하게 실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예에서는, 상기 제1단말기와, 제2단말기 내지 제5단말기들 사이에서 동일하게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기는, 제3사용자(C)에 의해 이용되는 제3단말기로부터 반대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상기 제2이모티콘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모티콘(211) 또는 상기 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214)에 반대 정보를 표시한다. (e)에 도시된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하나의 칸에는 반대 정보를 나타내는 X표사가 표시되어 있다.
아홉째, 상기 제2단말기 내지 상기 제5단말기들 모두로부터 상기 제2이모티콘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찬성 정보와 상기 반대 정보를 분석한 후, 상기 의사결정에 대한 최종 결과를, 상기 제1이모티콘(211) 또는 상기 의사결정창(213)에 표시되는 상기 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214)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제어기는,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사결정창(213)에, 텍스트 또는 별도의 이모티콘(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214))을 출력하여, 상기 최종 결과를 표시할 수도 있다. (f)에서는, 찬성이 3명, 반대가 1명임을 알리는 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텍스트)(214)이 상기 의사결정창(213)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을, 텍스트 또는 별도의 이모티콘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제어기는, 다수결에 의해 찬성이 결정되면,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 또는 상기 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214)을 꽃다발로 변경시킬 수도 있으며, 반대가 결정되면,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 또는 상기 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214)을 폭탄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이모티콘(211) 또는 상기 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214)이 변화되는 상태는, 자동적으로, 상기 제2단말기 내지 제5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단말기 내지 제5단말기에도, 상기 제1이모티콘(211) 또는 상기 의사결정 확인용 이모티콘(214)이 변화되는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종 결과도, 상기 제2단말기 내지 상기 제5단말기로 자동으로 전송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7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도들로서, 상기 제1단말기(21)와 상기 제2단말기(22)의 출력기에 표시되는 이모티콘들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하트 모양의 제1이모티콘이 전송된 후, 상기 제1이모티콘이, 상기 제2이모티콘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를 일예로 하여, 설명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이모티콘에 의해, 하트 모양의 상기 제1이모티콘은 아름다운 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색은 백색에서 빨간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라고 볼 수도 있으나, 추가적으로 제2사용자의 동작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는 다르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2사용자로 하여금 도구(제2이모티콘)를 선택한 후, 도구를 이용하여, 제1이모티콘의 색상을 직접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또는 간단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한 후,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22)로 전송하는 단계(S200), 상기 제1단말기(21)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수신한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2이모티콘을 수신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첫째,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제1사용자가 하트 모양의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선택한 후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제1단말기(21)의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로 전송한다(S200). 상기 제1이모티콘(211)은, 하트이다.
둘째,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말기(22)의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1단말기(21)로부터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수신한 후,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22)의 상기 수신창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는 선택창(221)을, 상기 제2단말기의 출력기에 출력하며, 상기 선택창(221)을 통해 선택된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수신창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이모티콘에 응용될 수 있는 붓 또는 주사기 등의 도구들이 링크되어 있는 상기 선택창(221)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붓(224)과 상기 주사기(225)는, 상기 제1이모티콘(하트)(211)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는 도구이다.
셋째, 제2사용자가 상기 선택창(221)에 표시된 도구들 중 상기 주사기(225)를 선택하면, 상기 발신창에는, 상기 주사기(225)가 상기 제2이모티콘(226)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신창에는, 상기 주사기(225)와 함께 상기 제1이모티콘(211)이 표시될 수도 있다.
넷째, (c)에는 상기 주사기(226)와 상기 제1이모티콘(211)이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2사용자가 상기 주사기(제2이모티콘)(226)를 터치하면, 상기 주사기(226)에 담겨져 있던 물감이 상기 제1이모티콘(211)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색이 상기 물감의 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창에 상기 주사기(226) 만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2사용자가 상기 주사기(226)를 상기 수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으로 이동시킨 후 길게 터치하면, 상기 수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색이 상기 물감의 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2사용자가 상기 붓(224)을 상기 제2이모티콘(226)으로 선택한 경우, 상기 붓(226)을 움직이면, 상기 붓(226)에 뭍어있던 물감의 색으로 상기 수신창 또는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색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주사기(226)에 담겨져 있는 물감의 색 또는 상기 붓(226)에 뭍어있는 물감의 색은, 제2사용자가 색선택창에 형성되어 있는 색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물감의 색으로 변경된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2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를, 상기 제2이모티콘과 함께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한다.
여섯째, 상기 제2이모티콘(226)이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되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말기(22)에서 실행되는 상기 메신저의 상기 수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도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모양이 변경될 수도 있다.
상기 예의 경우, 상기 수신창에 표시된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색이 상기 물감의 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사기(225)가 상기 수신창에 표시된 상기 제1이모티콘(211)에 삽입된 상태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색이 변하는 속도는 제2사용자가 상기 주사기(226)를 터치하는 패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제2제어기는 제2사용자가 상기 주사기(226)를 터치하는 패턴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패턴에 따라,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색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색이 변경되는 과정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변경은,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된 이후에 표시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이모티콘(226)이 제2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직후, 제2사용자에게 미리 보기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일곱째, 상기 제1단말기(21)의 제1제어기는, 상기 제2단말기(22)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이모티콘(226)을 수신한다(S300).
여덟째,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수신창에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링크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형태를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메신저의 상기 발신창에 표시된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색이 상기 물감의 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사기(226)가 상기 발신창에 표시된 상기 제1이모티콘(211)에 삽입된 상태가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도들로서, 상기 제1단말기(21)와 상기 제2단말기(22)의 출력기에 표시되는 이모티콘들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또는 간단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하트 모양의 제1이모티콘이 커버창에 의해 의해 가려진 상태로 전송된 후, 상기 제1이모티콘이, 상기 제2이모티콘에 의해 변경되는 경우를 일예로 하여, 설명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이모티콘에 의해, 상기 커버창이 제거될 수도 있고, 상기 커버창이 투명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창은 동전 또는 칼 등의 상기 제2이모티콘에 의해 제거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한 후,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22)로 전송하는 단계(S200), 상기 제1단말기(21)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수신한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2이모티콘을 수신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출력 방법은, 상기 제2단말기의 제2제어기가, 상기 제1단말기로부터 커버창에 의해 형태가 가려져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을 수신한 후, 형태가 가려져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메신저의 수신창에 출력하며, 상기 커버창을 제거시킬 수 있는 도구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창을, 상기 제2단말기의 출력기에 출력하는 단계(S200), 상기 도구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2제어기가, 선택된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창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창이 기 설정된 범위 이상 제거되면,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수신창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커버창이 제거된 상기 제1이모티콘이 상기 수신창에 출력되면,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메신저의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커버창을 제거하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를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S300),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커버창을 제거하여,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발신창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상기 제1이모티콘이 상기 커버창에 의해 커버되어 있다가, 상기 제2이모티콘에 의해 상기 커버창이 제거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상기 커버창(211b)에 의해 커버되고 있는 대상을 메인 이모티콘(211a)이라 하며, 상기 메인 이모티콘과 상기 커버창을 총칭하여 제1이모티콘(211)이라 한다. 즉, 커버창(211b)만으로 표시되고 있던 상기 제1이모티콘(211)은, 상기 제2이모티콘(221)에 의해 상기 메인 이모티콘(211a)으로 변경된다.
첫째, 도 8의 (a)를 참조하면, 제1사용자가 하트 모양의 메인 이모티콘(211a) 및 검은 색깔의 상기 커버창(211b)을 선택한 후 전송을 요청하면, 상기 제1단말기(21)의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커버창(211b)에 의해 상기 메인 이모티콘(211a)이 커버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로 전송한다(200).
둘째,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말기(22)의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1단말기(21)로부터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수신한 후,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상기 제2단말기(22)의 상기 수신창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는 선택창(221)을, 상기 제2단말기의 출력기에 출력하며, 상기 선택창(221)을 통해 선택된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상기 수신창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이모티콘(211)에 응용될 수 있는 동전 또는 칼 등의 도구 등이 링크되어 있는 상기 선택창(221)을 출력한다. 상기 도구들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형태일 수도 있으며, 이모티콘 형태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동전(224) 또는 상기 칼(225) 등은, 상기 커버창(211b)을 제거시킬 수 있는 도구이다.
셋째, 제2사용자가 상기 선택창(221)에 표시된 도구들 중 상기 동전(224)을 선택하면, 상기 발신창에는, 상기 동전(224)이 상기 제2이모티콘(226)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신창에는, 상기 동전(226)과 함께 상기 제1이모티콘(211)이 표시될 수도 있다.
넷째, (c)에는 상기 동전(226)과 상기 제1이모티콘(211)이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2사용자가 상기 동전(226)을 터치한 상태로 좌우 또는 상하로 움직이면, 상기 동전(226)에 의해 상기 커버창(211b)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창에 상기 동전(226) 만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2사용자가 상기 동전(226)을 상기 수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으로 이동시킨 후 좌우로 움직이면, 상기 커버창(211b)이 제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칼(225)을 상기 제2이모티콘(226)으로 선택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칼(226)을 움직이면, 상기 칼(226)에 의해, 상기 커버창(211b)이 제거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커버창(211b)이 제거된 후, 상기 제2이모티콘(226)을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기는, 상기 제2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를, 상기 제2이모티콘과 함께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커버창(211b)이 기 설정된 범위 이상 제거되면, 상기 제2제어기가, 상기 제2이모티콘과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제2이모티콘(226)이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제2단말기(22)에서 실행되는 상기 메신저의 상기 수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도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모양이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사용자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상기 커버창(211b)을 제거시킨 경우, 상기 제2이모티콘이 전송되면, 상기 제2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메신저의 상기 수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상기 커버창(211b)도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커버창(211b)이 제거되는 과정은, 제2사용자가 상기 동전(226)을 움직여 상기 커버창(211b)을 제거시킨 과정과 동일한 패턴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제어기는, 제2사용자가 상기 동전(226)을 움직이는 패턴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패턴으로 상기 수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커버창(211b)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변경은,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된 이후에 표시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2이모티콘(226)이 제2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직후, 제2사용자에게 미리 보기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일곱째, 상기 제1단말기(21)의 제1제어기는, 상기 제2단말기(22)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이모티콘(226)을 수신한다(S300).
여덟째,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수신창에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도 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형태를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메신저의 상기 발신창에 표시된 상기 제1이모티콘(211)의 상기 커버창(211b)이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동전(226)이 상기 발신창에 표시된 상기 제1이모티콘(211)을 제거하는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사용자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상기 커버창(211b)을 제거시킨 후,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단말기(21)로 전송되면,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기 메신저의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상기 커버창(211b)도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는, 제2사용자가 상기 동전(226)을 움직여 상기 커버창(211b)을 제거하는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제어기는, 상기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커버창(211b)을 제거하여,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이모티콘(211a)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서버 20 : 단말기
21 : 제1단말기 22 : 제2단말기

Claims (10)

  1. 제1단말기의 제1제어기가 하트 모양의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제2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도구를 제2이모티콘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수신창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이모티콘이,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와 링크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도구로 상기 하트의 색상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 상기 도구의 움직임 및 속도와 관련된 패턴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제어기가 상기 도구의 움직임 및 상기 하트의 색상이 변경되는 속도를 상기 패턴정보에 따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모티콘 출력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2단말기의 제2제어기가, 제1단말기로부터 하트 모양의 제1이모티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메신저의 수신창에 출력하고, 상기 제1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는 도구들이 포함되어 있는 선택창을, 상기 제2단말기의 출력기에 출력하며, 상기 선택창을 통해 선택된 제2이모티콘을, 상기 메신저의 발신창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기가, 상기 도구들 중 선택된, 상기 제2이모티콘의 움직임, 및 상기 제2이모티콘의 터치 패턴에 따라 상기 하트의 색상이 변경되는 속도와 관련된 패턴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제어기가, 상기 제2이모티콘과 링크되어 있으며,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메신저의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를, 상기 제2이모티콘과 함께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는, 상기 패턴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출력 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의 상기 발신창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수신창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색 또는 모양을 변경시킬 수 있는 도구들이 링크되어 있는 상기 선택창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도구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이모티콘으로 선택되면, 상기 제2제어기가,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발신창에 출력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제2이모티콘을 이용하여 상기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색 또는 모양을 변경시키는 단계; 및
    색 또는 모양이 변경된 상기 제1이모티콘을, 상기 발신창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는, 상기 제1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메신저의 발신창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제1이모티콘의 색 또는 모양을 변경시키는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출력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단말기로부터 제1이모티콘을 수신하여 제2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하는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가 링크되어 있는 제2이모티콘을 상기 제2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단말기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모티콘은 하트이고, 상기 제2이모티콘은 상기 제1이모티콘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도구이며,
    상기 제1이모티콘 제어신호에는, 상기 도구로 상기 하트의 색상을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도록 하는 정보 및 상기 도구의 움직임 및 속도와 관련된 패턴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모티콘 출력 장치.
KR1020140045056A 2014-04-15 2014-04-15 이모티콘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145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056A KR101455029B1 (ko) 2014-04-15 2014-04-15 이모티콘 출력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056A KR101455029B1 (ko) 2014-04-15 2014-04-15 이모티콘 출력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116A Division KR20150118879A (ko) 2014-08-14 2014-08-14 이모티콘 출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029B1 true KR101455029B1 (ko) 2014-11-04

Family

ID=5228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056A KR101455029B1 (ko) 2014-04-15 2014-04-15 이모티콘 출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61B1 (ko) * 2021-02-18 2021-07-19 전성훈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상호 작용하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595A (ko) * 2008-06-09 2009-1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아이콘 대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10274B1 (ko) * 2011-09-01 2013-09-24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JP2014063529A (ja) * 2012-06-12 2014-04-10 Line Corp メッセンジャープラットフォームの人間関係を基盤とするソーシャルグラフを活用したメッセンジャー連携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595A (ko) * 2008-06-09 2009-12-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아이콘 대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10274B1 (ko) * 2011-09-01 2013-09-24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JP2014063529A (ja) * 2012-06-12 2014-04-10 Line Corp メッセンジャープラットフォームの人間関係を基盤とするソーシャルグラフを活用したメッセンジャー連携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61B1 (ko) * 2021-02-18 2021-07-19 전성훈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상호 작용하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85662A1 (en) Automatic actions based on contextual replies
US9716680B2 (en) Expandable graphical icon for response to electronic text transmission
US20160259502A1 (en) Diverse emojis/emoticons
KR102447503B1 (ko)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전자기기가 컨텐트 제공하는 방법
US9674290B1 (en) Platform for enabling remote services
US10338793B2 (en) Messaging with drawn graphic input
CA2860833C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assignable user interface
KR101770937B1 (ko) 민감 정보의 보안 스크린 공유를 갖는 전자 통신
US20150281145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chatting area and server for managing chatting data
US20180210872A1 (en) Input System Having a Communication Model
CN104509080A (zh) 基于动态上下文的语言确定
CN111565143B (zh) 即时通信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301512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otional context to textual electronic communication
KR101455029B1 (ko) 이모티콘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40080788A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입력장치
US113366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ssaging in a networked setting
US10656793B2 (en) Providing personalized notifications
CN107431732B (zh) 一种计算机实现的方法、提供扫描选项的系统和存储介质
KR20150118879A (ko) 이모티콘 출력 방법 및 장치
KR102018321B1 (ko) 채팅 리스트 제공 사용자 단말
TW201624317A (zh) 訊息圖文顯示方法
JP201801040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201312970A (zh) 訊息整合方法與電子裝置
Haberman Designing for diverse users—A case study on touchscreen smartphone customization
CN112558848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