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675B1 - 지공 조절용 리코더 - Google Patents

지공 조절용 리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675B1
KR101454675B1 KR1020130080802A KR20130080802A KR101454675B1 KR 101454675 B1 KR101454675 B1 KR 101454675B1 KR 1020130080802 A KR1020130080802 A KR 1020130080802A KR 20130080802 A KR20130080802 A KR 20130080802A KR 101454675 B1 KR101454675 B1 KR 10145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er
protrusion
pitch
hole
midd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익
권성민
최정윤
권영남
Original Assignee
권오익
권성민
최정윤
권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익, 권성민, 최정윤, 권영남 filed Critical 권오익
Priority to KR102013008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코더의 각각의 음계 마디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닿는 지공부분이 회전되는 지공조절용 리코더에 관한 것으로, 입이 닿는 취부(311)와 공기가 배출되는 라비움(312)을 구비하며. 중관(320)과 연결되는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410)을 구비하는 상관(310)과; 상기 상관(310)과 연결되며, 음정의 변화를 만드는 관통홀(321)이 각기 1개씩 형성되고, 양 말단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410)이 형성된 다수의 음계 마디(322)로 이루어지는 중관(320)과; 상기 중관(320)에 연결되며, 음정의 변화를 만드는 하나의 관통홀(331)이 형성된 하나의 음계 마디(332)와, 상기 음계 마디(332)에 연결되며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410)이 형성된 말단부(333)로 이루지는 하관(330); 및 상기 상관(310)의 일측과 중관(320)의 음계마디(322)의 내측, 상기 중관(320)의 서로 인접하는 음계 마디(322)의 내측, 상기 중관(320)의 음계마디(322)와 하관(330)의 음계마디(332)의 내측 및 상기 하관(330)의 음계마디(332)와 하관(330)의 말단부(333) 내측에 각각 삽입되는 좌우 연결부(423)와, 상기 좌우연결부(423)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밀폐링(422)으로 이루어지는 환형의 연결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연결부(423)의 각각은, 연결부(423)의 외부둘레면에 상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홈(426)과, 상기 장착홈(426)에 삽입장착되는 탄성부재(510) 및 상기 탄성부재(5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홈(410)과 탄성결합되는 돌출부(421)를 구비함으로써, 리코더의 음계 마디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닿는 지공부분이 회전되게 구성되어, 선천적 장애로 인해 손가락이 짧거나 또는 후천적 사고로 인해 손가락의 짧은 사람도 손가락의 길이에 맞게 지공부분을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운지가 가능하여 보다 손쉽게 연주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공 조절용 리코더{RECORDER FOR ADJUSTING FINGER HOLES}
본 발명은 리코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코더의 각각의 음계 마디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닿는 지공부분이 회전되는 지공조절용 리코더에 관한 것이다.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리코더(recorder)는 플래절렛(flageolet:마개 플루트의 일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마개 플루트(fipple flute) 류의 관악기이다.
이러한 리코더는 원통형 윗관(head)에 부분적으로 마우스피스를 갖는 블록(마개, fippel, block)을 끼운 형태로서, 공기가 마개 옆의 가느다란 기도를 거치기 때문에, 일반 플루트보다 가장자리 음(edge tone)을 내기가 쉽다.
이러한 리코더에서, 가운데관(middle)은 점점 좁아지고 아랫관(foot)은 따로 떼어낼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7개의 손가락 구멍과 1개의 엄지손가락 구멍이 있고, 맨 아래 2개의 손가락 구멍은 쌍으로 되어 있어서 그중 1개를 열어놓으면 2개 모두 닫은 경우보다 반음 위의 소리를 내게 된다.
또한, 엄지손가락 구멍은 한 옥타브 이상의 음정을 위한 것으로, 음높이는 엄지손가락으로 구멍을 막는 정도에 따라 정해지며, 크기가 큰 리코더들은 손가락 구멍이 더 뚫린 경우도 있다.
일 예로서, 도 1은 일반적인 리코더를 예시한 도면으로, 리코더는 크게 3부분으로 구분되는데, 블록(102a), 취구(102b), 기도(102c), 라비움(102d) 등으로 구성되는 윗관(102), 음정의 변화를 만드는 다수의 홀(104a)을 갖는 가운데관(104), 음정의 변화를 만드는 하나의 홀(106a)을 갖는 아랫관(10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윗관(102)은 마우스피스가 끼워진 형태의 블록(102a)과, 공기가 투입되는 취구(102c)와, 공기가 흐르는 기도(102c, wind way)와, 공기가 배출되는 라비움(102d, lip, labium)으로 구성되는데, 라비움(102d)은 기도(102c)를 지난 공기가 마찰에 의해 음이 진동하게 되는 부분이므로 가장 중요하다.
또한, 블록(102a)은 몸체와는 달리 침이나 수분의 흡수가 잘되는 재질로 만들어지며, 가운데관(104)은 운지 구멍(finger hole)인 7개의 홀(104a) 있는데, 옥타브 주법을 위한 고음을 만들어내는 왼손 엄지손가락의 써밍홀과 나머지 6개의 구멍이 윗쪽에 뚫려 있고, 아랫관(106)은 홀(106a)이 한 개 뚫려 있으며, 각 관마다 접합하는 부분을 조인트(joint)라고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리코더는 블록(102a, 마개) 부분의 마우스피스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입으로 불어 리코더를 사용하게 되면, 침이 고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정확한 음을 내기 어려워 자주 청소해 주어야 하지만, 일체형의 마우스피스는 청소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324호이다.
상기 선행 실용은 리코더를 구성하는 블록(마개) 부분을 경첩형 구조 또는 슬라이드형 구조로 제조함으로써, 블록 부분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선행 실용은 리코더의 각각의 음계 마디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없으며, 손가락이 닿는 지공부분이 회전되지 않아, 선천적 장애로 인해 손가락이 짧거나 또는 후천적 사고로 인해 손가락이 절단된 사람의 경우에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324호 "리코더" (등록일자 : 2012. 01. 2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코더의 각각의 음계 마디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닿는 지공부분이 회전되어, 적절한 운지가 가능한 지공 조절용 리코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공 조절용 리코더는 입이 닿는 취부와 공기가 배출되는 라비움을 구비하며. 중관과 연결되는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을 구비하는 상관과; 상기 상관과 연결되며, 음정의 변화를 만드는 관통홀이 각기 1개씩 형성되고, 양 말단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된 다수의 음계 마디로 이루어지는 중관과; 상기 중관에 연결되며, 음정의 변화를 만드는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나의 음계 마디와, 상기 음계 마디에 연결되며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이 형성된 말단부로 이루지는 하관; 및 상기 상관의 일측과 중관의 음계마디의 내측, 상기 중관의 서로 인접하는 음계 마디의 내측, 상기 중관의 음계마디와 하관의 음계마디의 내측 및 상기 하관의 음계마디와 하관의 말단부 내측에 각각 삽입되는 좌우 연결부와, 상기 좌우 연결부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밀폐링으로 이루어지는 환형의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연결부의 각각은, 연결부의 외부둘레면에 상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삽입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홈과 탄성결합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공 조절용 리코더는 리코더의 음계 마디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닿는 지공부분이 회전되게 구성되어, 선천적 장애로 인해 손가락이 짧거나 또는 후천적 사고로 인해 손가락의 짧은 사람도 손가락의 길이에 맞게 지공부분을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운지가 가능하여 보다 손쉽게 연주를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코더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경첩형 구조를 갖는 리코더 블럭 부분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공 조절용 리코더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공 조절용 리코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공 조절용 리코더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지공 조절용 리코더의 작동상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지공 조절용 리코더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공 조절용 리코더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공 조절용 리코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공 조절용 리코더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지공 조절용 리코더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공 조절용 리코더는 서로 분리되는 상관(310), 중관(320) 및 하관(3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관(310)은 유저의 입이 닿는 취부(311)와, 공기가 흐르는 기도(도시되지 않음)와, 공기가 배출되는 및 공기가 배출되는 라비움(312)을 구비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421)를 구비한 연결부재(420)의 연결부(423)가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상관(310)의 일측 내측에 다수의 결합홈(410)을 구비하며, 그 외의 구성은 종래의 리코더의 구성과 동일하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중관(320)은 음정의 변화를 만드는 관통홀(321)이 다수의 환형의 음계 마디(322)에 각기 1개씩 형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음계 마디(322)의 말단 양측의 내측에는 다수의 결합홈(4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또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관(310)의 일측과 중관(320)의 음계마디(322) 사이, 상기 중관(320)의 서로 인접하는 음계 마디(322) 사이, 상기 중관(320)의 음계 마디(322)와 하관(330)의 음계 마디(332) 사이 및 상기 하관(330)의 음계 마디(332)와 하관(330)의말단부(333) 사이에는 상기 상관(310), 인접하는 중관(320)의 음계 마디(322), 하관(330)의 음계 마디(332) 및 말단부(333)를 연결시키기 위해, 복수의 환형의 연결부재(420)에 구비된 좌우 연결부(423)가 상기 음계 마디(322) 등의 내측에 삽입되는데, 상기 연결부재(420)의 연결부(423) 의 외경은 상기 음계 마디(322) 등의 내경 보다 작아, 상기 좌우 연결부(423)를 구비한 연결부재(420)의 연결부(423)가 상기 음계 마디(322) 등에 삽입되게 되면, 외부에서는 그 삽입 여부를 알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연결부재(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20)의 좌우 연결부(423) 각각의 외부둘레면에 상측으로 개구되는 다수의 장착홈(426)을 구비하고, 좌우 연결부(423) 사이의 중간에는 밀폐링(422)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음계 마디(322, 332) 등의 말단 양측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410)에 연결부재(420)의 밀폐링(422) 좌우에 구비된 돌출부(421)가 탄성부재(510)에 의해 탄성결합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426)의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4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424)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421)의 하단에는 상기 이탈방지턱(42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단턱(42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장착홈(426)에서 돌출부(42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421)의 하부측에는 장착홈(426)에 수용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10)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음계 마디(322) 등에 압력을 가해 돌리면, 상기 돌출부(421)에 장착된 탄성부재(510)에 압력이 가해져 상기 탄성부재(510)가 수축되고, 이로 인해 상기 돌출부(421)가 상기 결합홈(410)으로부터 분리되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계 마디(322)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음계 마디(322)에 형성된 관통홀(321)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각 음계 마디(322) 등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재(420)가 형성되어 있기에, 상기 각 음계 마디(322)가 각기 독립적으로 좌우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각 음계 마디(322)에 각기 형성된 상기 관통홀(321)도 각각 개별적으로 좌우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421)를 구비한 좌우 연결부(423) 사이의 중간에 형성된 상기 밀폐링(422)에 의해, 상기 취부(311)와 상기 관통홀(321)에 의해 형성된 음정이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정확한 음정이 형성된다.
한편, 하관(330)에는 음정의 변화를 만드는 하나의 관통홀(331)이 하나의 음계 마디(332)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관(330)의 말단부(333)의 일측의 내측에 돌출부(421)가 구비된 연결부재(420)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결합홈(410)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곤, 상기 하관(330)에 형성된 상기 음계 마디(332)가 좌우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음계 마디(332)에 형성된 관통홀(331)이 좌우로 이동되는 방식은 상기 중관(320)과 동일하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상관(310)과 중관(320), 중관(320)과 하관(330) 간에는 조인트(Joint)가 개재되어, 지공을 보다 손쉽게 해 준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공 조절용 리코더는 리코더의 음계 마디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닿는 지공부분이 회전되게 구성되어, 선천적 장애로 인해 손가락이 짧거나 또는 후천적 사고로 인해 손가락의 짧은 사람도 손가락의 길이에 맞게 지공부분을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운지가 가능하여 보다 손쉽게 연주를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선, 하관에 하나의 관통홀이 음계 마디에 형성되었으나, 2개의 관통홀이 쌍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선, 돌출부가 2개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선, 리코더가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리, 단소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10: 상관 311: 취부
312: 라비움 320: 중관
321: 관통홀 322: 음계 마디
330: 하관 331: 관통홀
332: 음계 마디 410: 결합홈
420: 연결부재 421: 돌출부
422: 밀폐링 510: 탄성부재

Claims (6)

  1. 입이 닿는 취부(311)와 공기가 배출되는 라비움(312)을 구비하며. 중관(320)과 연결되는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410)을 구비하는 상관(310)과;
    상기 상관(310)과 연결되며, 음정의 변화를 만드는 관통홀(321)이 각기 1개씩 형성되고, 양 말단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410)이 형성된 다수의 음계 마디(322)로 이루어지는 중관(320)과;
    상기 중관(320)에 연결되며, 음정의 변화를 만드는 하나의 관통홀(331)이 형성된 하나의 음계 마디(332)와, 상기 음계 마디(332)에 연결되며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410)이 형성된 말단부(333)로 이루지는 하관(330); 및
    상기 상관(310)의 일측과 중관(320)의 음계마디(322)의 내측, 상기 중관(320)의 서로 인접하는 음계 마디(322)의 내측, 상기 중관(320)의 음계마디(322)와 하관(330)의 음계마디(332)의 내측 및 상기 하관(330)의 음계마디(332)와 하관(330)의 말단부(333) 내측에 각각 삽입되는 좌우 연결부(423)와, 상기 좌우연결부(423)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는 밀폐링(422)으로 이루어지는 환형의 연결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 연결부(423)의 각각은, 연결부(423)의 외부둘레면에 상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홈(426)과, 상기 장착홈(426)에 삽입장착되는 탄성부재(510) 및 상기 탄성부재(5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홈(410)과 탄성결합되는 돌출부(4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공 조절용 리코더.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426)의 상부에는 상기 돌출부(42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424)이 더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421)의 하단에는 상기 이탈방지턱(424)의 내부로 삽입되는 단턱(42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공 조절용 리코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계 마디(322, 332)가 각기 독립적으로 좌우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각 음계 마디(322, 332)에 각기 형성된 상기 관통홀(321, 331)이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공 조절용 리코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링(422)은 상기 취부(311)와 상기 관통홀(321)에 의해 형성된 음정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음정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공 조절용 리코더.
KR1020130080802A 2013-07-10 2013-07-10 지공 조절용 리코더 KR101454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802A KR101454675B1 (ko) 2013-07-10 2013-07-10 지공 조절용 리코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802A KR101454675B1 (ko) 2013-07-10 2013-07-10 지공 조절용 리코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675B1 true KR101454675B1 (ko) 2014-11-04

Family

ID=52289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802A KR101454675B1 (ko) 2013-07-10 2013-07-10 지공 조절용 리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433A (ko) 2017-07-31 2019-02-11 권오익 수부장애용 리코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976A (ja) * 1993-09-07 1995-03-20 Yoshiko Toyama リコーダーの管体
JP4629245B2 (ja) * 2001-02-13 2011-02-09 エスアールジータカミヤ株式会社 パイプジョイント
JP4750667B2 (ja) * 2005-10-10 2011-08-17 マンド株式会社 操向装置のスリップジョイン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976A (ja) * 1993-09-07 1995-03-20 Yoshiko Toyama リコーダーの管体
JP4629245B2 (ja) * 2001-02-13 2011-02-09 エスアールジータカミヤ株式会社 パイプジョイント
JP4750667B2 (ja) * 2005-10-10 2011-08-17 マンド株式会社 操向装置のスリップジョイン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433A (ko) 2017-07-31 2019-02-11 권오익 수부장애용 리코더
KR102003384B1 (ko) * 2017-07-31 2019-07-24 권오익 수부장애용 리코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9866B2 (ja) 管楽器
EP3258466A1 (en) Breath pressure adjustment damper and adapter therefor
KR101454675B1 (ko) 지공 조절용 리코더
CN210984250U (zh) 一种键式管乐器和供乐器使用的键构件
CN108140367A (zh) 管乐器
US2780954A (en) Musical gloves
KR102003384B1 (ko) 수부장애용 리코더
JP6148998B2 (ja) リコーダー及びそれに用いるリング状部材
WO1988007252A1 (en) A musical instrument, a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a key therefor
KR20170001045U (ko) 바로크식 운지법과 독일식 운지법의 선택 적용이 가능한 리코더 링
KR200458324Y1 (ko) 리코더
KR20140109917A (ko) 색소폰과 클라리넷 마우스피스에 이용되는 클램프
JP5848967B2 (ja) 複数管オカリナ
US2388822A (en) Reed for musical instruments
KR20120000724U (ko) 리코더의 취구 보호커버
JP3188272U (ja) 管楽器のアダプター
KR20120121600A (ko) 관악기
US1741835A (en) Damping device for cornets
JP3204551U (ja) 木管楽器用消音器具
US578567A (en) keyes
JP6959810B2 (ja) リコーダー
JP3225343U (ja) 保持式頭部管付き管楽器
US899815A (en) Ausculta-phone.
US1089876A (en) Mouthpiece.
JP7039043B2 (ja) 息漏れ防止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