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653B1 - 엑스선 영상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선 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653B1
KR101454653B1 KR1020130001830A KR20130001830A KR101454653B1 KR 101454653 B1 KR101454653 B1 KR 101454653B1 KR 1020130001830 A KR1020130001830 A KR 1020130001830A KR 20130001830 A KR20130001830 A KR 20130001830A KR 101454653 B1 KR101454653 B1 KR 101454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guide rail
layer
magnetic body
contac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872A (ko
Inventor
김대수
윤형원
남재원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653B1/ko
Priority to US14/143,172 priority patent/US9277900B2/en
Priority to EP14150262.5A priority patent/EP2752159B1/en
Priority to CN201410007224.5A priority patent/CN103908274B/zh
Publication of KR20140089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1Handling means, e.g. transfer means, 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2Moulds having 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32Bowls, Cups,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고정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엑스선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발생부, 엑스선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엑스선 발생부의 일단부와 결합된 이동캐리지, 이동캐리지를 이동시켜 상기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 이동캐리지의 내측에 위치하며,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고정 유닛은,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이동캐리지를 고정시키는 접촉패드, 접촉패드를 자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자성체, 접촉패드에 결합되어 자성체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며, 소음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 재료를 포함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촉 패드와 가이드 레일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고정 플레이트와 자성체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엑스선 영상장치{X-RAY IMAGE APPARATUS}
본 발명은 엑스선 영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고정할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엑스선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영상을 얻는 기기이다. 엑스선 영상장치는 인체의 두부, 흉부 등의 촬영 부위에 엑스선을 조사하고 투과되는 엑스선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인체 내부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엑스선 영상장치는 촬영 부위에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X-RAY TUBE)와, 엑스선의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장치(High Voltage Generator)와 엑스선의 조사 위치 및 조사 방향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 등의 기구들을 구비한다. 또한, 엑스선 영상장치는 검사자가 이들 장치의 제어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작 장치를 구비한다.
엑스선 영상장치는 조사된 엑스선을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여 PC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엑스선 검출부를 포함한다. 엑스선 검출부는 환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엑스선 촬영을 하기 위한 스탠드나 환자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엑스선 촬영을 하기 위한 환자용 테이블에 설치될 수 있다. 엑스선 검출부는 고정되는 경우도 있으나, 요즘에는 착탈 가능하게 제작되어 스탠드나 환자용 테이블에 동시에 사용 가능한 엑스선 검출부도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 발생부 또는 엑스선 검출부의 이동 시, 가이드 레일 또는 자성체와 접촉하여 소음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엑스선 발생부 또는 엑스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킬 때에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발생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엑스선 발생부의 일단부와 결합된 이동캐리지, 상기 이동캐리지를 이동시켜 상기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 상기 이동캐리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이동캐리지를 고정시키는 접촉패드, 상기 접촉패드를 자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자성체, 상기 접촉패드에 결합되어 상기 자성체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며, 소음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 재료를 포함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층을 포함하며,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체의 이동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층은 자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층은 스틸(stee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체와 접촉하는 층과 상기 접촉패드와 접촉하는 층은 스틸로 마련되며, 상기 양 스틸 층의 사이에 고무 층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자성체가 접촉하는 층은 자성소재이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접촉패드가 접촉하는 층은 비자성소재일 수 있다.
상기 접촉패드는 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자성체의 작동에 따라 소정 간격 이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자성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며 상기 이동캐리지와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과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이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와, 상기 고정 유닛의 진동 또는 소음을 완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프트의 말단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제1가이드 레일과 제2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 레일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발생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 일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른 일 측은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결합되는 이동캐리지, 상기 이동캐리지의 내측에 위치하는 자성체, 상기 자성체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이동캐리지를 고정시키는 제1상태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이격되어 상기 이동캐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2상태를 포함하는 접촉패드, 상기 접촉패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자성체와 이격되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자성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자성체와 접하는 층과 상기 접촉패드와 접하는 층은 자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 층 사이에는 진동 또는 소음을 완충시킬 수 있는 고무 소재의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 브라켓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자성체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자성체가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일정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을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프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프트의 진동과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자성 소재는 스틸(steel)일 수 있다.
상기 접촉 패드는 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발생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엑스선 발생부를 고정시키는 접촉패드, 상기 접촉패드를 자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자성체, 상기 접촉패드에 결합되어 상기 자성체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고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패드와 접촉하는 제1층과 상기 자성체와 접촉하는 제3층은 자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층과 상기 제3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층은 점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자성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접촉패드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키는 제1상태와, 상기 접촉패드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이격되어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2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패드는 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제1층과 상기 제3층은 스틸(steel)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층은 고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프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와, 다른 샤프트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이동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는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촉 패드와 가이드 레일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고정 플레이트와 자성체의 접촉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캐리지의 내측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에 의해 엑스선 발생부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에 의해 엑스선 발생부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엑스선 영상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가이드 레일이 검사실의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엥 엑스선 영상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영상장치(1)는 가이드 레일(30)과, 이동 캐리지(40)와, 포스트프레임(50)과, 엑스선 발생부(70)와, 구동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30)은 서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가이드 레일(31)과 제2가이드 레일(32)을 포함한다. 제1가이드 레일(31)과 제2가이드 레일(32)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레일(31)은 엑스선 영상장치(1)가 배치되는 검사실의 천장에 설치된다. 제2가이드 레일(32)은 제1가이드 레일(31)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1가이드 레일(3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가이드 레일(31)에는 제1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가이드 레일(32)은 이 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 제1가이드 레일(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레일(3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1방향(D1)이 정의되고, 제2가이드 레일(3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2방향(D2)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1방향(D1)과 제2방향(D2)은 서로 직교하는 검사실의 천장과 평행할 수 있다.
이동캐리지(40)는 제2가이드 레일(32)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2가이드 레일(32)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동캐리지(40)에는 제2가이드 레일(32)을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50)은 이동캐리지(40)에 고정되어 이동캐리지(40)의 하측에 위치된다. 포스트프레임(50)은 복수 개의 포스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포스트는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포스트프레임(50)은 이동캐리지(40)에 고정된 채로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포스트프레임(50)의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제3방향(D3)이 정의된다. 따라서, 제3방향(D3)은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엑스선 발생부(70)는 피촬영체(미도시)에 엑스선(X-RAY)를 조사하는 장치이다. 엑스선 발생부(70)는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장치가 구비하는 엑스선 튜브일 수 있다. 엑스선 튜브는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발생원(71)과, 발생되는 엑스선을 피촬영체(미도시)를 향하여 안내하는 콜리메이터(72)를 구비할 수 있다.
엑스선 발생부(70)와 포스트프레임(50) 사이에는 회전조인트(75, 60)가 배치된다. 회전조인트(75, 60)는 엑스선 발생부(71)를 포스트 프레임(50)에 결합시키고 엑스선 발생부(71)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한다. 회전조인트(75, 60)는 포스트프레임(5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회전조인트(60)와, 엑스선 발생부(71)와 연결되는 제2회전조인트(7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회전조인트(60)는 검사실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프레임(5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1회전조인트(60)는 제3방향(D3)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1회전조인트(60)의 회전 방향을 정의할 수 있으며, 정의되는 제4방향(D4)은 제3방향(D3)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이다.
제2회전조인트(75)는 검사실의 천장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2회전조인트(75)는 제1방향(D1) 또는 제2방향(D2)과 평행한 축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제2회전조인트(75)의 회전 방향을 정의할 수 있으며, 정의되는 제5방향(D5)은 제1방향(D1) 또는 제2방향(D2)으로 연장되는 축의 회전 방향이다.
엑스선 발생부(70)는 회전조인트(60, 75)에 연결되어 제4방향(D4) 및 제5방향(D5)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엑스선 발생부(70)는 회전조인트(60, 75)에 의하여 포스트프레임(55)에 연결되어 제1방향(D1) 및 제2방향(D2) 및 제3방향(D3)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엑스선 발생부(70)를 제1방향(D1) 내지 제5방향(D5)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장치(미도시)가 마련된다. 구동장치(미도시)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일 수 있다. 각각의 구동장치(미도시)는 엑스선 발생부(70)를 제1방향(D1) 내지 제5방향(D5)로 직선 또는 회전 이동시키도록 동력전달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벨트와 풀리, 체인과 스프로킷, 샤프트 등일 수 있다.
엑스선 영상장치(1)는 엑스선 검출부(11, 21)를 구비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촬영 스탠드(10)와 환자용 테이블(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검출부(11, 21)는 촬영 스탠드(10)와 환자용 테이블(20)에 동시에 사용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환자용 테이블(20)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엑스선 검출부(11, 21)는 엑스선 영상장치(1)에서 발생되어 피촬영체(미도시)를 투과한 엑스선을 수신하며, 수신된 엑스선을 그 강도에 비례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실시간으로 결과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외에 엑스선의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장치(High Voltage Generator)(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캐리지의 내측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캐리지(40)의 내측에 고정 유닛(100)이 위치한다. 고정 유닛(100)은 가이드 레일(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가이드 레일(32)의 하측에 고정 유닛(100)이 위치한다. 따라서, 제2가이드 레일(32)과 고정 유닛(100)이 접촉하여 엑스선 발생부(70)와 결합된 이동캐리지(40)를 고정하여, 엑스선 발생부(70)의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유닛(100)의 상측에는 가이드 레일(30)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131)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엑스선 발생부(70)와 고정 유닛(100)은 함께 이동한다. 고정 유닛(70)의 상측에는 가이드 레일(30)과 접촉하여 마찰력으로 인해 엑스선 발생부(70)를 고정시키는 접촉패드(110)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천장형 엑스선 영상장치로, 가이드 레일(30)이 천장에 위치하여 접촉패드(110)가 고정 유닛(100)의 상측에 위치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패드(110)의 위치는 가이드 레일(30)과 접촉할 수 있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접촉패드(110)는 가이드 레일(30)과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유연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유연성과 내마모성을 지니고 있는 우레탄 고무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접촉패드(110)는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엑스레이 발생부(70)를 고정시키는 제1상태와, 엑스레이 발생부(70)를 해제시키는 제2상태로 변환 가능하다. 제1상태의 경우, 접촉패드(110)가 가이드 레일(30)에 접촉되기 때문에 마찰력에 의해 엑스선 발생부(70)를 고정시킨다.
고정 유닛(100)은 접촉패드(110)를 제1상태와 제2상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접촉패드(110)를 자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경우에 구동부는 자성체(1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 쌍의 자성체(106)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120)가 구동된다. 구동부가 자성체(106)를 포함하는 경우, 전류가 흐르면 자성체(106)가 작동하고,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 자성체(106)가 작동하지 않는다.
접촉패드(110)는 고정 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플레이트(120)의 이동에 의해 접촉패드(110)가 이동하게 된다. 구동부가 자성체(106)를 포함하는 경우, 고정 플레이트(120)가 자력에 의해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고정 플레이트(1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자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성체(106)의 작동으로 고정 플레이트(120)가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가이드 레일(30)이 자성 소재로 마련될 필요가 없으며, 비자성 소재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접촉패드(110)가 가이드 레일(30)과 접촉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고정 플레이트(120)는 완충 재료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20)는 완충 재료의 일 예로 점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20)는 복수개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층(121, 122, 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층(121, 122, 123)은 체결부재(10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자성체(106)는 브라켓(132)에 수용될 수 있다. 브라켓(132)에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131)가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32)은 이동 캐리지(4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캐리지(40)의 일측면에는 브라켓(132)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140)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돌기(140)의 표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제1그루브(141)와 제2그루브(142)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고정 유닛(100)과 이동캐리지(4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브라켓(132)과 고정 플레이트(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프트(10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32)과 고정 플레이트(120)를 고정시키는 샤프트를 제1샤프트(104)라 정의한다. 제1샤프트(104)에는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샤프트(104)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제1탄성부재(102)라 정의한다. 구동부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제1탄성부재(10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접촉패드(110)는 고정 플레이트(120)에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132)의 하측에는 구동부가 접촉패드(110)로부터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101)가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0)이 휘어져 접촉패드(110)와 자성체(106)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경우, 자력이 약화되어 자성체(106)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도 접촉패드(110)가 가이드 레일(30) 방향 또는 가이드 레일(30)의 반대 방향으로 즉각적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지지부(101)는 이를 방지하기 위함으로, 접촉패드(110)와 구동부인 자성체(106)가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 플레이트(120), 브라켓(130), 그리고 지지부(1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프트에 의해 결합된다. 고정 플레이트(120), 브라켓(130). 그리고 지지부(101)를 결합시키는 샤프트를 제2샤프트(105)라고 정의한다.
브라켓(130)의 외측에는 가이드 레일(30)로부터 자성체(106)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103)가 결합될 수 있다. 제 2탄성부재(103)의 일측은 이동캐리지(40)에 결합되며, 다른 일측은 브라켓(132)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돌기(140)의 제1그루브(141)와 제2그루브(142)에 제2탄성부재(103)가 결합되어, 고정 유닛(100)의 이동에도 이동캐리지(40)로부터 고정 유닛(1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132)의 일측에는 결합부재(133)가 결합되며, 결합부재(133)에 제2탄성부재(103)가 결합되어 브라켓(132)과 제2탄성부재(103)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탄성부재(103)에 의해 고정 유닛(100)은 일정 거리 이상 하측 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샤프트(104)와 제2샤프트(105)의 하측에는 체결부재가 결합할 수 있다. 일 예로 너트(107a)와 볼트(107b)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에 의해 엑스선 발생부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에 의해 엑스선 발생부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100)이 엑스선 발생부(70)를 고정하고 해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106)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 제1탄성부재(10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120)는 가이드 레일(30)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접촉패드(110) 또한 가이드 레일(30)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 레일(30)과 접촉한다. 접촉 패드(110)와 가이드 레일(3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엑스선 발생부(7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106)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자성체(106)가 작동하며 제1탄성부재(102)의 탄성 복원력보다 큰 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자력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120)를 끌어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접촉패드(110)도 함께 자성체(106)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접촉패드(110)와 가이드 레일(3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마찰력이 없기 때문에 엑스레이 발생부(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20)는 3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20)는 점탄성 재료를 포함하며, 이는 고정 유닛(100)의 이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완화시킬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20)는 자성체(106)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정 플레이트(120)의 적어도 한 층은 자성소재로 이루어진다. 고정 플레이트(120)의 최상층에 위치한 층을 제1층(121)으로 정의하고, 최하층에 위치한 층을 제3층(123)으로 정의하고 가운데 층을 제2층(122)으로 정의한다. 제1층(121)은 접촉패드(110)와 접촉하는 면이며, 제3층(123)은 자성체(106)의 작동에 의한 자력이 가장 강하게 작동하는 층이다.
제3층(123)의 경우, 자성체(106)의 자력에 의한 고정 플레이트(120)의 이동을 위해 자성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SS400과 같은 스틸(Steel)이 사용될 수 있다. 제1층(121)의 경우에도, 제3층(123)과 동일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층(122)의 경우, 진동, 소음 흡수를 위한 층이다. 진동, 소음흡수를 위해 제2층(122)은 고무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20)는 3층으로 마련되며, 가운데에 진동, 소음 흡수를 위한 층을 포함하는 샌드위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종래에 비해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도 2 내지 도 6과 도면부호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샤프트(150)의 일단부에는 고정 유닛(1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경감하기 위한 제3탄성부재(151)가 결합할 수 있다. 제3탄성부재(151)는 고정 플레이트(120)의 이동 시 제2샤프트(150)가 흔들려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제3탄성부재(151)는 지지부(101)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너트(152)가 결합하여 제2샤프트(15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아래의 <표1>은 고정 플레이트가 샌드위치 구조로 마련되고 제3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일반적인 고정 플레이트를 사용했을 때의 소음이 발생하는 정도를 실험한 표이다. 일반적인 고정 플레이트를 사용한 경우를 비교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실시예로 기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고정 플레이트(120)의 제1층(121)과 제3층(123)은 SS400을 사용하였으며, 제2층(122)은 고무를 사용하였다.
구분 비교예 실시예
자기체 온(on)인 경우의 소음 76.1dBA 63.8dBA
자기체 오프(off)인 경우의 소음 84.1dBA 56.9dBA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기존에 비해 자기체가 온(on)인 경우에 발생하는 접촉패드가 가이드 레일에서 이격되어서 발생하는 소음은 76.1dBA에서 63.8dBA로 12.3dBA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기체가 오프(off)인 경우에 접촉패드와 가이드 레일이 접촉하여서 발생하는 소음은 84.1dBA에서 56.9dBA로 27.2dBA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엑스선 영상 장치 10: 촬영 스탠드
20: 환자용 테이블 30: 가이드 레일
40: 이동캐리지 50: 포스트프레임
70: 엑스선 발생부 80: 고전압발생장치
100: 고정 유닛 101: 지지부
102: 제1탄성부재 103: 제2탄성부재
110: 접촉패드 120: 고정 플레이트
130: 브라켓 151: 제3탄성부재

Claims (23)

  1.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발생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엑스선 발생부의 일단부와 결합된 이동캐리지;
    상기 이동캐리지를 이동시켜 상기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
    상기 이동캐리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이동캐리지를 고정시키는 접촉패드;
    상기 접촉패드를 자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자성체;
    상기 접촉패드에 결합되어 상기 자성체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며, 소음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 재료를 포함하는 고정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층을 포함하며,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체의 이동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층은 자성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층은 스틸(steel)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자성체와 접촉하는 층과 상기 접촉패드와 접촉하는 층은 스틸로 마련되며, 상기 양 스틸 층의 사이에 고무 층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자성체가 접촉하는 층은 자성소재이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접촉패드가 접촉하는 층은 비자성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패드는 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자성체의 작동에 따라 소정 간격 이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자성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며 상기 이동캐리지와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과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이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와, 상기 고정 유닛의 진동 또는 소음을 완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프트의 말단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제1가이드 레일과 제2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 레일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제1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4.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발생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
    일측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다른 일 측은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결합되는 이동 캐리지;
    상기 이동 캐리지의 내측에 위치하는 자성체;
    상기 자성체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이동 캐리지를 고정시키는 제1상태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이격되어 상기 이동 캐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2상태를 포함하는 접촉패드;
    상기 접촉패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자성체와 이격되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자성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자성체와 접하는 층과 상기 접촉패드와 접하는 층은 자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 층 사이에는 진동 또는 소음을 완충시킬 수 있는 고무 소재의 층으로 이루어진 고정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 브라켓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자성체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자성체가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일정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브라켓을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프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프트의 진동과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자성 소재는 스틸(ste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패드는 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19.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발생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검출부;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엑스선 발생부를 고정시키는 접촉패드;
    상기 접촉패드를 자력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자성체;
    상기 접촉패드에 결합되어 상기 자성체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고정 플레이트를;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패드와 접촉하는 제1층과 상기 자성체와 접촉하는 제3층은 자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층과 상기 제3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층은 점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접촉패드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정시키는 제1상태와, 상기 접촉패드가 상기 가이드 레일과 이격되어 상기 엑스선 발생부와 상기 엑스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2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패드는 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기 제1층과 상기 제3층은 스틸(steel)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층은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자성체를 수용하는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샤프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와, 다른 샤프트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이동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는 제3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영상장치.
KR1020130001830A 2013-01-07 2013-01-07 엑스선 영상장치 KR101454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30A KR101454653B1 (ko) 2013-01-07 2013-01-07 엑스선 영상장치
US14/143,172 US9277900B2 (en) 2013-01-07 2013-12-30 X-ray imaging apparatus
EP14150262.5A EP2752159B1 (en) 2013-01-07 2014-01-07 X-ray imaging apparatus
CN201410007224.5A CN103908274B (zh) 2013-01-07 2014-01-07 X射线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30A KR101454653B1 (ko) 2013-01-07 2013-01-07 엑스선 영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72A KR20140089872A (ko) 2014-07-16
KR101454653B1 true KR101454653B1 (ko) 2014-10-27

Family

ID=5173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830A KR101454653B1 (ko) 2013-01-07 2013-01-07 엑스선 영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6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7119A (en) 1985-05-02 1988-05-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Ceiling mount for an X-ray radiator
JPH0642837U (ja) * 1992-11-18 1994-06-0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天井走行式x線管支持装置
KR200460289Y1 (ko) 2009-12-10 2012-05-15 (주)신영포엠 무전력 무소음 원터치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한 의료용 진단기기
KR20120090290A (ko) * 2011-02-07 2012-08-17 최용림 의료용 엑스선 촬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7119A (en) 1985-05-02 1988-05-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Ceiling mount for an X-ray radiator
JPH0642837U (ja) * 1992-11-18 1994-06-07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天井走行式x線管支持装置
KR200460289Y1 (ko) 2009-12-10 2012-05-15 (주)신영포엠 무전력 무소음 원터치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한 의료용 진단기기
KR20120090290A (ko) * 2011-02-07 2012-08-17 최용림 의료용 엑스선 촬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72A (ko)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019B1 (ko) 환자용 테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시스템
EP2228011A1 (en) Rail system and x-ray ima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6924889B (zh) 一种医疗设备
JP2008126073A (ja) イメージング装置用のガントリ・システム
EP3323345A1 (en) Radiographic imaging device
EP2752159A1 (en) X-ray imaging apparatus
JP4328764B2 (ja) 撮影装置およびトランスファボード移動装置
CN101287520B (zh) 用于固定放射治疗设备所用射线检测器的支架
KR101454654B1 (ko) 엑스선 영상 장치
KR101454653B1 (ko) 엑스선 영상장치
JP4373958B2 (ja) 撮影装置,被検体移動装置および走査ガントリ装置
US20180242930A1 (en) Brake system and med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9018162A (ja) X線装置
KR101389939B1 (ko) 엑스선 영상 장치
CN106334274A (zh) 一种直线加速器
CN109925605A (zh) 一种c臂影像装置
CN110507340B (zh) X射线ct装置以及医用诊床装置
KR101460535B1 (ko) 엑스선 영상 장치
JP5677058B2 (ja) 寝台装置及び画像診断装置
JP2006346274A (ja) X線ct装置
KR101996638B1 (ko) 압박 패들용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JP2015112257A (ja) X線撮影装置
KR102521549B1 (ko) 스마트 의료 영상 진단 장치
JP2022031087A (ja) 医用寝台装置および医用画像診断装置
KR101416082B1 (ko) 천장형 엑스선 촬영장치용 파이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