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384B1 -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384B1
KR101454384B1 KR1020130008557A KR20130008557A KR101454384B1 KR 101454384 B1 KR101454384 B1 KR 101454384B1 KR 1020130008557 A KR1020130008557 A KR 1020130008557A KR 20130008557 A KR20130008557 A KR 20130008557A KR 101454384 B1 KR101454384 B1 KR 101454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ibration damping
base frame
damping fil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425A (ko
Inventor
지상기
김승현
김세웅
김병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3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he substrate being rotated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는 기저프레임;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료 작업성 평가용 시편을 탈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가 마련된 회전프레임; 및 상기 몸체프레임 또는 상기 기저프레임에 지지되고 회전프레임의 주변에 위치된 방진막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APPARATUS FOR EVALUATING WORKABILITY OF PAINTING}
본 발명은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료를 도료 사용처에 적용하기 전에, 도료를 시편에 뿌려서 도료 작업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철판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선박의 철판표면을 부식으로부터 혹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스프레이 방식의 도장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장 작업의 종류에는 에어 스프레이 방식(air atomization),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airless atomization, hydraulic spraying), 에어어시스트에어레스 방식(air assisted airless atomization), 정전도장방식(electrostatic spraying) 등이 있다.
예컨대, 선박의 도장 작업에는 중방식 도료가 적용되고 있고,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장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은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에어레스 스프레이 건에 페인트를 공급하는 페인트 펌프를 사용한다. 이송된 도료는 작은 노즐 구멍으로 고속으로 분사되어, 무화가 이루어진다.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은 많은 영역을 단시간에 커버해야 하는 작업에 최적의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재도장에 이용될 경우에는 완벽한 무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가열장치를 이용한다.
특히, 선박의 도장 작업에 사용할 도료가 선박용 도장 작업으로서 신뢰성 있게 사용될 수 있는지 도료 작업성 평가가 실험실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료 작업성 평가란, 적용되는 도료가 표면에 평활하게 적용되는지, 도막두께에 따라 도막이 흘러내리지는 않는지, 도막을 적용하였을 때 표면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는지 등을 확인하는 일련의 테스트 프로세스일 수 있다.
이러한 도료 작업성 평가를 통해서, 해당 도료 제품이 선박용 철판 표면에적용 가능한지를 결정하게 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는 특허문헌에는 단순히 회전 도장을 위하여 피도장물, 즉 워크(work)를 회전시킬 수 있는 워크 공급 장치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의 장치는 단순히 워크를 회전시키는 기능만을 제공하는도장용 회전식 작업대일 뿐, 다수의 워크를 다수로 배열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도장이 필요한 워크만을 도장시킬 수 없고, 다수의 워크 중 특정 워크의 주변에 있는 워크에 도료입자가 묻어나지 않게 하는 수단이 부재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의 장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로서 사용될 수 없다. 부연 설명하면,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는 시편별로 서로 다른 도료를 분사하여 각각의 시편에 대한 도료 표면 평활도, 도막 흘러내림 정도, 도막 표면 결합 발생 여부를 비교 판단하게 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시편에 도료가 도포될 때, 그 도료의 분산 입자가 다른 하나의 시편 표면에 묻어날 경우, 오염으로 인하여 시편으로서의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즉, 특허문헌의 장치로는 도료 제품별 비교 평가가 이루어질 수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152785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저프레임, 몸체프레임, 회전프레임, 방진막을 포함하여서 회전프레임에 다수로 장착된 시편 중에서 특정 시편만이 표출될 수 있고, 나머지 시편들이 방진막에 의해 보호됨에 따라 도료 입자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저프레임;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료 작업성 평가용 시편을 탈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가 마련된 회전프레임; 및 상기 몸체프레임 또는 상기 기저프레임에 지지되고 회전프레임의 주변에 위치된 방진막을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막은, 상기 기저프레임 또는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LM가이드; 상기 LM가이드의 상기 가이드블록에 결합된 방진막 외곽테두리; 및 상기 방진막 외곽테두리의 내측 공간을 막는 방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막은, 상기 방진막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의 갭을 밀폐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에 연접하는 쪽의 상기 방진막의 테두리에 결합된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진막은, 상기 회전프레임의 정면쪽 저측테두리를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기저프레임의 정면의 LM가이드에 결합된 제 1 방진막; 상기 회전프레임의 정면쪽 좌측테두리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정면 좌측의 LM가이드에 결합된 제 2 방진막; 상기 회전프레임의 정면쪽 우측테두리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정면 우측의 LM가이드에 결합된 제 3 방진막;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정면쪽 상측테두리를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정면의 LM가이드에 결합된 제 4 방진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진막은, 상기 제 1 방진막의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방진막의 외곽테두리 배면에 마련된 수평토글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시편의 평면적에 대응하게 평활한 평면을 갖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모든 측면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시편을 자력에 의해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착부의 외측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프레임은, 상기 시편으로부터 흘러내릴 수 있는 도료를 수거하도록, 상기 기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기저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도료받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회전프레임의 저부에 위치한 회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는 다수의 시편을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부를 모든 측면에 마련한 회전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주변에 배치된 방진막을 제공함으로써, 부착부에 취부 가능하게 부착된 시편들 중 어느 하나의 시편만이 방진막의 안쪽 공간에서 표출되고, 나머지 시편들은 방진막에 의해 가려질 수 있음에 따라, 다수의 시편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도료 작업성 평가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편이 부착된 회전프레임을 방진막에 의해 임시 고정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해당 시편만이 스프레이건을 향하여 표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전프레임을 향하는 방진막의 외곽테두리에 씰링부가 더 마련되어 있어서, 방진막과 회전프레임 사이의 갭을 밀폐시킬 수 있어서, 일측면의 시편에 대한 도료 작업성 평가시 타측면의 시편에 대하여 도료입자에 의한 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는 기저프레임(100), 몸체프레임(200), 회전프레임(300), 방진막(4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프레임(100), 몸체프레임(200) 및 회전프레임(300)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프로파일 부재(101, 102, 201, 202, 301, 302)에 의해 직사각형 골격 구조물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기저프레임(100)은 기저프레임(100)의 코너측 저부에 위치하고, 스토퍼와 레벨러가 구비한 바퀴부(110)를 포함하여 이동식 구조물일 수 있다.
기저프레임(100)은 다수의 방진막(400) 중 아래쪽 부분[제 1 방진막(410)]의 지지 기반이 될 수 있다.
몸체프레임(200)은 기저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서, 다수의 방진막(400) 중 나머지 부분[제 2 내지 제 4 방진막(420, 430, 440)]의 지지 기반이 될 수 있다.
몸체프레임(200)은 회전프레임(300)과 간섭되지 않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의 내측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회전프레임(300)은 몸체프레임(20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고, 기저프레임(10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도료 작업성 평가용 시편(T)(도 4의 도면부호 T 또는 T1 ~ T4)을 탈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310)는 회전프레임(300)의 각 측면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방진막(400)은 몸체프레임(200) 또는 기저프레임(100)에 지지되고 회전프레임(300)의 주변에서 슬라이딩(S1 ~ S4)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 3의 좌측에는 스프레이 건(도 6의 도면부호 '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프레이 건의 분사 방향은 몸체프레임(200), 기저프레임(100) 및 회전프레임(300)의 정면과 직각을 이룰 수 있도록, 본 실시예가 도료 작업성 평가 작업 공간의 바닥에 놓여 있을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스프레이 건에서 평가시험을 위해 도료가 분사될 경우, 도료 입자가 회전프레임(300)을 기반으로 부착부(310)의 정면에 부착된 시편에 도달하고, 경우에 따라 시편으로부터 도료가 흘러내릴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기저프레임(100)은 시편으로부터 흘러내릴 수 있는 도료를 수거하도록, 기저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고, 기저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도료받이(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료받이(500)의 전방 부위(510)는 기저프레임(100)의 정면 또는 시편의 정면 위치보다 더 돌출되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시편으로부터 흘러내려 낙하된 도료를 수거할 수 있다.
또한, 기저프레임(100)의 상부와 회전프레임(300)의 저부에 위치한 회전장치(60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장치(600)는 기저프레임(100)의 상부 중앙에 결합된 베이스판(610)과, 베이스판(610)의 상부에 설치된 베어링 블록(620)과, 베어링 블록(620)의 내부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게 결합된 회전샤프트(630), 및 회전샤프트(630)의 상부 끝단에 연결되고, 회전프레임(300)의 저부에 결합된 회전판(640)(도 2 및 도 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장치(600)는 별도의 구동 수단없이 자유 회전 가능한 장치로서, 기저프레임(100)을 기반으로 회전프레임(300)이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회전프레임(300)과, 회전판(640) 및 회전샤프트(630)는 인력에 의해 회전샤프트(6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회전프레임(300)의 부착부(310)에 부착된 시편이 스프레이 건을 향하는 각도 위치에 있을 때, 인력에 의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몸체프레임(200)은 기저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기둥에 해당하는 수직 프로파일 부재(201)와, 수직 프로파일 부재(201)의 상부 끝단을 서로 연결시키는 보와 같은 수평 프로파일 부재(202)를 포함하여 골격 구조물을 이루고 있다.
도 1을 재 참조하면, 부착부(310)는 시편의 평면적에 대응하게 평활한 평면을 갖고, 예컨대 평활한 평면의 패널 부재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부착부(310)는 회전프레임(300)의 모든 측면, 예컨대 회전프레임(300)이 직육면체에 대응한 골격 구조물이므로, 4개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부착부(310)와 회전프레임(300)이 접촉되는 부위에는 볼트 또는 스크류 나사 등과 같은 체결 수단용 체결 구멍이 형성되고, 그 체결 구멍을 통해 체결 수단이 결합됨에 따라, 부착부(310) 자체도 회전프레임(300)으로부터 취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310)는 시편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부착부의 외측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3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311)이 자석으로 형성되어 자력에 의해 시편을 탈부착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클램프 또는 볼트/너트 등 다른 공지된 수단도 사용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311)을 자석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석(311)은 부착부(310)에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부착부(310)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로 설계 변경될 경우, 회전프레임(300)의 표면에 직접 부착되는 형태로도 설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에서의 경우, 자석(311)과 같은 원으로 표시된 다수의 위치가 모두 자석(311)이므로, 시편이 부착부(310)에 안정되게 밀착 및 고정될 수 있고, 자석(311)의 자력을 이기는 힘의 크기로 작업자가 시편을 잡아당길 경우, 시편이 부착부(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자석(311)의 자력 크기 및 개수는 시편의 중량 및 평면적으로 고려하여 시편을 안정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방진막(400)은 하나 이상의 LM가이드(411 ~ 44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LM가이드(411 ~ 441)는 기저프레임(100) 또는 몸체프레임(200)에 LM가이드(411 ~ 441)의 가이드레일을 결합시키고 있고, 그 가이드레일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블록을 갖고 있다.
이때, LM가이드(411 ~ 441)의 가이드블록은 각 방진막(400)[예: 제 1 내지 제4 방진막(410 ~ 440)]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각 방진막(400)은 LM가이드(411 ~ 441)에 의해 슬라이딩(S1 ~ S4)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LM가이드(411 ~ 441)는 각 방진막(400) 별로 쌍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방진막(400)은 LM가이드(411, 431, 441)의 가이드블록에 결합되어 있되, 예컨대 제 1 방진막(41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 1 방진막(410)의 외곽에 결합된 프로파일 부재인 외곽테두리(412)와, 방진막 외곽테두리(412)의 내측 공간을 막는 방진판(413)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 2 내지 제 4 방진막(420 ~ 440)도 위와 같은 구조의 외곽테두리 및 방진판을 가질 수 있다.
방진막(400)은 총 4개, 즉 제 1 내지 제 4 방진막(410 ~ 440)일 수 있다.
즉, 방진막(400)은 회전프레임(300)의 정면쪽 저측테두리를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 즉 슬라이딩(S1)되도록 기저프레임(100)의 정면의 LM가이드(411)에 결합된 제 1 방진막(4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진막(400)은 회전프레임(300)의 정면쪽 좌측테두리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 즉 슬라이딩(S2)되도록 몸체프레임(200)의 정면 좌측의 LM가이드(421)에 결합된 제 2 방진막(420)과, 회전프레임(300)의 정면쪽 우측테두리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 즉 슬라이딩(S3)되도록 몸체프레임(200)의 정면 우측의 LM가이드(431)에 결합된 제 3 방진막(4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진막(400)은 회전프레임(300)의 정면쪽 상측테두리를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 즉 슬라이딩(S4)되도록 몸체프레임(200)의 정면의 LM가이드(441)에 결합된 제 4 방진막(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 방진막(440)은 제 4 방진막(440)의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내려가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회전프레임(300)의 정면쪽 상측 테두리를 향하여 자연스럽게 밀착될 수 있다.
반면, 제 1 방진막(410)은 제 1 방진막(410)의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내려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회전프레임(300)의 정면쪽 저측테두리와 제 1 방진막(410) 사이에 갭이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 1 방진막(410)과 회전프레임(300)이 서로 연접되고, 그 때의 제 1 방진막(410)의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 1 방진막(410)의 외곽테두리 배면에서 하향을 향하도록 마련된 토글클램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토글클램프(700)는 클램핑 조작 또는 언클램핑 조작을 위한 핸드레버와, 핸드레버에 연결된 링크부재와, 링크부재에 연결되고 가이드구멍에서 직선 왕복될 수 있는 작동축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방진막(410)이 회전프레임(300)의 저부에 밀착된 후, 작업자가 토글클램프(700)의 핸드레버를 클램핑 조작할 경우, 작동축부재가 하강하여 기저프레임(100)의 상부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제 1 방진막(410)이 회전프레임(300)의 저부와의 밀착 상태(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작업자가 토글클램프(700)의 핸드레버를 언클램핑 조작할 경우, 작동축부재가 상승하여 기저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이격 거리를 유지하게 되고, 제 1 방진막(410)이 상기 이격 거리만큼 회전프레임(300)의 저부로부터 슬라이딩(S1) 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원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방진막(400)은 방진막(400)과 회전프레임(300) 사이의 갭을 밀폐하도록, 회전프레임(300)을 향하는 방진막(400)의 외곽테두리(414)에 구비된 씰링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씰링부(450)는 연성 플라스틱, 또는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재질로 제작되어 있는 일반적인 실링 부재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본 실시예의 평면 방향 우측 부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방진막(400)을 열고, 회전프레임(300)을 회전시키고, 방진막(400)을 닫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방진막(400)을 여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모든 방진막(400)을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밀어 낸다. 이에 따라 LM가이드(431)에 의해 각 방진막(400)이 슬라이딩 되어서 회전프레임(30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회전프레임(300)과 방진막(400)의 씰링부(450)가 서로 비접촉 상태가 되고, 회전프레임(300)의 회전시, 회전프레임(300)의 코너 부위가 방진막(40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다수의 시편(T) 중 제 1 시편(T1)을 회전프레임(300)의 제 1 측면쪽 부착부(310)에 밀착시킨다.
이런 경우, 부착부(310)의 고정수단(311)에 의해 제 1 시편(T1)이 고정될 수 있다.
이런 다음, 작업자는 회전프레임(300)을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회전프레임(300)을 회전(R)시키면, 제 1 시편(T1)은 방진막(400)의 뒤쪽으로 이동하고, 회전프레임(300)의 다른 측면(예: 제 2 측면)의 부착부가 작업자의 정면쪽에 나타난다.
같은 방식으로 작업자는 회전프레임(300)을 회전(R)시켜 가면서, 나머지 제 2 내지 제 4 시편(T2 ~ T4)을 각각 회전프레임(300)의 해당 측면(예: 제 2 ~ 제 4 측면)의 부착부에 각각 자석을 이용하여 각각 부착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후, 작업자는 방진막(400)을 닫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밀어낸 방향의 반대쪽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모든 방진막(400)을 잡아 당긴다. 이에 따라 LM가이드(431)에 의해 각 방진막(400)이 슬라이딩 되어서 회전프레임(300) 쪽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회전프레임(300)과 방진막(400)의 씰링부(450)가 서로 접촉 상태 또는 밀폐 상태가 된다. 또한, 회전프레임(300)은 방진막(400)의 실링부(450)와의 접촉에 의해 임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작업자는 제 1 방진막의 토글클램프(700)를 사용하여, 제 1 방진막과 제 1 시편(T1)의 저부간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시편(T1)은 스프레이 건(10)을 향하는 방향으로 표출되고, 나머지 시편(T2, T3)은 방진막(40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프레이 건(10)으로부터 도료가 제 1 시편(T1)을 향하여 분사되게 함으로써, 제 1 시편(T1)에 대한 도료 작업성 평가를 시작할 수 있다.
이후, 다른 종류의 도료가 스프레이 건(10)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준비될 경우, 작업자는 방진막(400)을 열고, 회전프레임(300)을 회전 각도 90도로 회전시키고, 방진막(400)을 닫고, 스프레이 건(10)을 분사시키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방진막(400)의 뒤쪽에 위치된 시편(T2, T3)들은 도료입자에 의해 오염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작업자는 도료 작업성 평가 과정에서 적용되는 도료가 시편(T1, T2, T3) 표면에 평활하게 적용되는지, 도막두께에 따라 도막이 흘러내리지는 않는지, 도막을 적용하였을 때 시편(T1, T2, T3) 표면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는지 등을 확인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저프레임 200 : 몸체프레임
300 : 회전프레임 400, 410, 420, 430, 440 : 방진막
500 : 도료받이 600 : 회전장치
700 : 토글클램프 T, T1, T2, T3, T4 : 시편

Claims (9)

  1. 기저프레임;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료 작업성 평가용 시편을 탈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가 측면에 마련된 회전프레임; 및
    상기 몸체프레임 또는 상기 기저프레임에 지지되고 회전프레임의 주변에 위치된 방진막을 포함하고,
    상기 방진막은,
    상기 기저프레임 또는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LM가이드;
    상기 LM가이드의 상기 가이드블록에 결합된 방진막 외곽테두리; 및
    상기 방진막 외곽테두리의 내측 공간을 막는 방진판을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막은, 상기 방진막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의 갭을 밀폐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에 연접하는 쪽의 상기 방진막의 테두리에 결합된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막은,
    상기 회전프레임의 정면쪽 저측테두리를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기저프레임의 정면의 LM가이드에 결합된 제 1 방진막;
    상기 회전프레임의 정면쪽 좌측테두리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정면 좌측의 LM가이드에 결합된 제 2 방진막;
    상기 회전프레임의 정면쪽 우측테두리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정면 우측의 LM가이드에 결합된 제 3 방진막;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정면쪽 상측테두리를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정면의 LM가이드에 결합된 제 4 방진막을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진막은, 상기 제 1 방진막의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방진막의 외곽테두리 배면에 마련된 수평토글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6.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시편의 평면적에 대응하게 평활한 평면을 갖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모든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시편을 자력에 의해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착부의 외측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8.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프레임은, 상기 시편으로부터 흘러내릴 수 있는 도료를 수거하도록, 상기 기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기저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도료받이를 더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9.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회전프레임의 저부에 위치한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KR1020130008557A 2013-01-25 2013-01-25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KR101454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557A KR101454384B1 (ko) 2013-01-25 2013-01-25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557A KR101454384B1 (ko) 2013-01-25 2013-01-25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425A KR20140096425A (ko) 2014-08-06
KR101454384B1 true KR101454384B1 (ko) 2014-10-24

Family

ID=5174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557A KR101454384B1 (ko) 2013-01-25 2013-01-25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1898B (zh) * 2021-07-13 2023-08-08 福建省智力电气股份有限公司 便于操作的配电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895Y1 (ko) * 1993-12-20 1997-02-13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열처리로의 냉각분사노즐(Nozzle)
KR20120120756A (ko) * 2011-04-25 2012-1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모듈 운반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895Y1 (ko) * 1993-12-20 1997-02-13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열처리로의 냉각분사노즐(Nozzle)
KR20120120756A (ko) * 2011-04-25 2012-1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모듈 운반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425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9954B2 (ja) コーティング材料を噴霧するための設備
KR102205687B1 (ko) 자동 중심 조절 실런트 도포기구
US87705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repair and painting
US9782787B2 (en) Spray gun washing device, method for placing the gun and a gun holder
Lorenc et al. Development of a robotic bridge maintenance system
KR101454384B1 (ko)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JP7282033B2 (ja) ロボットに取り付けられるクロージャー装置、及びロボット
ES2676020T3 (es) Sistemas portadores para paneles de revestimiento
CN111774214A (zh) 一种喷涂机器人及其作业方法
CN212975606U (zh) 一种喷涂机器人
CN203830189U (zh) 汽车喷涂车身遮挡工装
CN110813588A (zh) 用于喷涂工件的方法和设备
CN108107650A (zh) 一种高防护可调式相机安装装置
CN209255059U (zh) 一种基于视觉伺服的多枪混控喷漆机器人
KR20110135012A (ko) 선체 무인 도장장치
EP3209595B1 (en) Flange cover mounting and dismounting device and cooling device
KR101465738B1 (ko)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CN208172468U (zh) 一种高防护可调式相机安装装置
Leung et al. Real-world development of a cleaning CDPR for primary Lamella sedimentation tanks
JP2020179382A (ja) 塗工用マルチコプター
CN218282224U (zh) 一种喷涂作业成品保护板
KR101707899B1 (ko) 할바흐 자석 배열을 이용한 잔류 진동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광학 검사 장치 및 후가공 장치
CN217605673U (zh) 一种门板涂胶机器人喷前检测台
KR101236846B1 (ko) 도료 비산 방지 장치
CN220761560U (zh) 一种隔膜阀卡簧安装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