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738B1 -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738B1
KR101465738B1 KR1020130005482A KR20130005482A KR101465738B1 KR 101465738 B1 KR101465738 B1 KR 101465738B1 KR 1020130005482 A KR1020130005482 A KR 1020130005482A KR 20130005482 A KR20130005482 A KR 20130005482A KR 101465738 B1 KR101465738 B1 KR 101465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frame
specimen
paint
specimen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101A (ko
Inventor
지상기
김승현
김세웅
김병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7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93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는 기저프레임;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시편을 내장시키기 위해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프레임; 상기 박스프레임의 내부에서 외부로 출몰되도록, 상기 박스프레임의 내부의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결합된 시편장착부; 및 상기 시편장착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박스프레임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시편장착부를 상기 박스프레임의 내, 외부로 출몰시키기 위한 시편이동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APPARATUS FOR EVALUATING WORKABILITY OF PAINTING}
본 발명은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박스프레임의 내부에 다수의 시편을 장착하여 개별적으로 시편을 노출시킬 수 있음에 따라 다수의 시편에 순차적으로 도료를 뿌려서 원활하게 도료 작업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철판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선박의 철판표면을 부식으로부터 혹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스프레이 방식의 도장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장 작업의 종류에는 에어 스프레이 방식(air atomization),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airless atomization, hydraulic spraying), 에어어시스트에어레스 방식(air assisted airless atomization), 정전도장방식(electrostatic spraying) 등이 있다.
예컨대, 선박의 도장 작업에는 중방식 도료가 적용되고 있고,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장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은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에어레스 스프레이 건에 페인트를 공급하는 페인트 펌프를 사용한다. 이송된 도료는 작은 노즐 구멍으로 고속으로 분사되어, 무화가 이루어진다.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은 많은 영역을 단시간에 커버해야 하는 작업에 최적의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재도장에 이용될 경우에는 완벽한 무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가열장치를 이용한다.
특히, 선박의 도장 작업에 사용할 도료가 선박용 도장 작업으로서 신뢰성 있게 사용될 수 있는지 도료 작업성 평가가 실험실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료 작업성 평가란, 적용되는 도료가 표면에 평활하게 적용되는지, 도막두께에 따라 도막이 흘러내리지는 않는지, 도막을 적용하였을 때 표면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는지 등을 확인하는 일련의 테스트 프로세스일 수 있다.
이러한 도료 작업성 평가를 통해서, 해당 도료 제품이 선박용 철판 표면에적용 가능한지를 결정하게 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는 특허문헌에는 다수의 시편을 장착하고 개별적으로 각 시편을 노출시킬 수 있는 수단이 부재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은 도료를 분사하는 도장모듈을 와이어를 통해 이동시키며 도장 대상물의 외판을 도장하는 장치일 뿐, 그러나, 다수의 도장 대상물인 시편을 개별적으로 출몰시켜 가면서 다수의 시편에 대한 도료 작업성을 평가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되어 있다.
예컨대, 도료 작업성 평가는 시편별로 서로 다른 도료를 분사하여 각각의 시편에 대한 도료 표면 평활도, 도막 흘러내림 정도, 도막 표면 결합 발생 여부를 비교 판단하고 있다. 어느 하나의 시편에 도료가 도포될 때, 그 도료의 분산 입자가 다른 하나의 시편 표면에 묻어날 경우, 오염으로 인하여 시편으로서의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할 때, 특허문헌은 테스트 베드에 다수의 시편을 나열 및 부착할 수는 있을지언정, 도료 분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해당 시편만을 노출시키고, 다른 시편들을 도료 입자가 묻어나지 않게 보호할 수 없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0840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저프레임, 박스프레임, 시편장착부, 시편이동조작부를 포함하여서, 박스프레임의 내부에서 시편장착부의 부착플레이트에 부착된 다수의 시편 중 특정 시편만을 표출시킬 수 있고, 나머지 시편들을 박스프레임에 의해 보호시킴에 따라 도료 입자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저프레임;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시편을 내장시키기 위해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프레임; 상기 박스프레임의 내부에서 외부로 출몰되도록, 상기 박스프레임의 내부의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결합된 시편장착부; 및 상기 시편장착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박스프레임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시편장착부를 상기 박스프레임의 내, 외부로 출몰시키기 위한 시편이동조작부를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편장착부는, 상기 시편이동조작부의 끝단과 연결된 측면을 갖는 부착플레이트; 및 상기 부착플레이트의 정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편이동조작부는, 상기 시편장착부의 반대쪽 끝단에 마련된 레버;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박스프레임의 측면의 결합공에 삽입된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끝단에 마련된 조인트; 상기 조인트에 연결된 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프레임은, 상기 시편장착부의 출몰에 따라 개폐되도록, 상기 박스프레임의 측면 개구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측면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도어는, 상기 박스프레임의 측면 개구부의 상부 및 하부에 이격 배치된 하나 이상의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박스프레임의 측면 개구부에 위치된 다수의 절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프레임은, 상기 박스프레임에 관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시편장착부에 부착될 시편의 도료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박스프레임의 상부 코너에 위치한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박스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연장된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에 관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박스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박스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건조공기를 분사시키는 하나 이상의 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프레임은, 상기 건조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박스프레임의 저면에 마련된 저면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는 다수의 시편을 내장하여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박스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박스프레임의 측면 도어의 각 절편이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특정 시편만을 개별적으로 박스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도료 분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해당 시편만을 노출시키고, 다른 시편들을 도료 입자가 묻어나지 않게 보호할 수 있어서, 다수의 시편에 대한 도장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각 절편을 토션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 힌지와 같은 힌지부에 결합시키고 있음에 따라, 절편의 폐쇄가 반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접이식 시편이동조작부를 제공하여, 손잡이를 밀고 당김으로써, 시편을 박스프레임의 내, 외부로 출몰시킬 수 있고, 시편이동조작부의 레버 및 연장바가 조인트를 기준으로 접혀서 박스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되게 할 수 있음으로써, 보관 및 이동시 시편이동조작부의 취급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건조장치 및 저면 도어를 구비하여, 박스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된 시편의 도료를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다수의 시편이 박스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음으로, 평가자가 다수의 시편을 용이하게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박스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는 기저프레임(100), 박스프레임(200), 시편장착부(300), 시편이동조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프레임(100)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프로파일 부재(101, 102, 103)에 의해 "ㅗ" 자 형상의 지지대 구조물일 수 있다.
기저프레임(100)은 수평 프로파일 부재(102)의 양단부 저면에 마련되고, 스토퍼와 레벨러가 구비한 바퀴부(110)를 포함하여 이동식 구조물의 형태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기저프레임(100)은 박스프레임(200)을 지지하고, 지면으로부터 박스프레임(200)이 미리 정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박스프레임(200)은 기저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시편을 내장시키기 위해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시편장착부(300)는 박스프레임(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출몰되도록, 박스프레임(200)의 내부의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250)에 각각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250)은 일반적인 서랍장 등에서 서랍을 출몰시키는데 사용되는 신축형 가이드 수단일 수 있다. 또한, 각 가이드레일(250)은 레일홀더(251) 또는 레일서포트(252)에 의해 박스프레임(200)의 내표면을 기반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시편장착부(300)는 박스프레임(200)의 내부에서 하나 이상, 즉 다수의 쌍으로 위치될 수 있어서, 다수의 시편(T1 ~ T4)(도 6 참조)을 각각 부착에 의해 거치시킬 수 있다.
시편이동조작부(400)는 시편장착부(300)에 각각 연결되고, 박스프레임(2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시편장착부(300)를 박스프레임(200)의 내, 외부로 출몰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작업자가 시편이동조작부(400)를 밀거나 잡아당길 경우, 시편이동조작부(400)에 연결된 시편장착부(300)가 슬라이딩 작동(수평 이동)을 하여, 박스프레임(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표출되거나, 박스프레임(2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제 1 시편용 측면 도어(220)의 절편(221)에 관련된 해당 시편이동조작부(400)는 도 2의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된 상태이고, 측면 도어(220)의 다른 절편(222, 223)에 관련된 해당 시편이동조작부(400)는 도 2의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된 상태이고, 측면 도어(220)의 나머지 절편(224)에 관련된 해당 시편이동조작부(400)는 도 2의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된 상태에서 레버 및 연장바가 조인트를 기준으로 접혀져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작업자는 각 시편(T1 ~ T4)을 각 시편장착부(300)에 부착시킨 상태로 도료작업성 평가 준비를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각 시편(T1 ~ T4)간 비교 평가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시편장착부(300)는 시편이동조작부(400)의 끝단과 연결된 측면을 갖는 부착플레이트(310)와, 부착플레이트(310)의 정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32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플레이트(310)에는 시편의 탈부착을 돕거나, 구조적 강성은 유지하면서 무게를 감소시키는 효과 등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중공(G)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수단(320)은 자석으로 마련되어 금속 시편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도 있으나, 클램프 또는 볼트/너트 등 여러 공지된 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수단(320)을 자석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각 자석(320)은 부착플레이트(310)의 정면에 마련된 자석 안착홈에 결합되어 있고, 자력에 의해 시편(T1 ~ T4)을 부착프레이트(310)의 정면에 부착 또는 거치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시편이동조작부(400)는 시편장착부(300)의 반대쪽 끝단에 마련된 레버(410)와, 레버(410)에 연결되고, 박스프레임(200)의 측면의 결합공(201)에 삽입된 연장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바(420)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박스프레임(200)의 폭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축부재일 수 있다.
시편이동조작부(400)는 연장바(420)의 끝단에 마련된 힌지 또는 피봇과 같은 조인트(430)와, 조인트(430)에 연결된 고정바(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바(420)는 조인트(430)를 통해서 고정바(440)와 연결됨에 따라, 수평 위치된 고정바(440)의 연장선상에 놓일 수도 있고, 본 실시예의 사용, 이동 및 보관을 위해, 조인트(430)를 기준으로 접어져서, 박스프레임(200)의 높이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음에 따라, 시편이동조작부(400)의 취급 관리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시편이동조작부(400)는 조인트(430)가 위치한 단부의 반대쪽 단부인 고정바(440)의 끝단에 마련되고, 시편장착부(300)의 부착플레이트(310)의 측면에 결합되는 브래킷(450)(도 1 또는 도 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450)은 볼트 및 너트 결합 또는 나사 결합을 통해서 부착플레이트(310)의 측면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박스프레임(200)은 시편장착부(310)의 출몰에 따라 개폐되도록, 박스프레임(100)의 측면 개구부(210)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측면 도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도어(220)는 박스프레임(100)의 측면 개구부의 상부 및 하부에 이격 배치된 하나 이상의 힌지부(225)와, 힌지부(2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박스프레임(200)의 측면 개구부(210)에 위치된 다수의 절편(221 ~ 224)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힌지부(225)는 측면 개구부(21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고, 각 절편(221 ~ 224)에 연결되어 있는 토션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 힌지와 같은 피봇 수단으로서, 회전 이후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에 의해 측면 도어(220)의 해당 절편(221 ~ 224)을 반자동 방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손잡이부(400)의 레버(410)를 잡아서 상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레버(410)에 연결된 연장바(420)와 고정바(440)가 일직선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작업자가 밀듯이 손잡이부(400)의 레버(410)에 힘을 가할 경우, 그 미는 힘이 레버(410), 연장바(420), 조인트(430), 고정바(440) 및 브래킷(450)을 통해 시편장착부(300)의 부착플레이트(310)에 전달되고, 그 결과 부착플레이트(31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측면 도어(220)의 해당 절편(221)을 밀고 나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절편(221)은 회전되고, 힌지부(225)에서 탄성 반발력에 따른 복원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시편(T1)(도 6 참조)을 부착플레이트(310)에 부착시키고, 이후, 잡아당기듯이 손잡이부(400)의 레버(410)에 힘을 반대 방향으로 가할 경우, 그 잡아당기는 힘이 레버(410), 연장바(420), 조인트(430), 고정바(440) 및 브래킷(450)을 통해 시편장착부(300)의 부착플레이트(310)에 전달되고, 그 결과 부착플레이트(310)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측면 도어(220)의 해당 절편(221)은 반자동 개폐 방식과 같이, 힌지부(225)의 복원력에 의해 역회전 됨에 따라, 박스프레임(100)의 측면 개구부(210)의 개방된 면적을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박스프레임(200)은 박스프레임(200)에 관통하게 연결되고, 시편장착부(300)에 부착될 시편의 도료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장치(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장치(230)는 박스프레임(200)의 상부 코너에 위치한 송풍기(231)와, 송풍기(231)의 배출구로부터 박스프레임(200)의 상부를 따라 연장된 연결덕트(232)와, 연결덕트(232)에 관통하게 연결되고, 박스프레임(200)의 상부를 관통하여 박스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건조공기를 분사시키는 하나 이상의 분지관(233)을 포함할 수 있다.
박스프레임(200)의 내부로 유입된 건조공기는 박스프레임(200)의 저면 개구부가 저면 도어(240)에 의해 개방되었을 때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박스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박스프레임(200)은 건조공기를 배출시키도록 박스프레임(200)의 저면 개구부에 마련된 저면 도어(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면 도어(240)는 힌지 방식의 여닫이 문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록킹 장치(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각 시편이동조작부(400)를 일직선 형태로 편 다음, 각 시편이동조작부(400)를 수평하게 밀 경우(F), 시편이동조작부(400)에 연결된 시편장착부(300)가 슬라이드 이동되고, 측면 도어(220)의 해당 절편(222)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면 도어(220)의 해당 절편(222)이 회전되고, 박스프레임(200)의 측면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개방된 곳을 통해서, 시편장착부(300)의 해당 부착플레이트(310)가 박스프레임(200)의 외부로 표출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고정수단(320)을 이용하여, 각 시편(T1 ~ T4)를 각 부착플레이트(310)의 정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스프레이 건(10) 기준으로 최전방에 있는 시편(T1)을 제외하고, 나머지 시편(T2 ~ T4)를 박스프레임(200)의 내부로 각각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시편(T2 ~ T4)에 해당하는 시편이동조작부(400)를 각각 잡아 당긴다. 이럴 경우, 시편(T2 ~ T4)이 장착된 부착플레이트(310)가 가이드레일(250)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서, 박스프레임(200)의 내부로 위치될 수 있다. 이와 연동하여, 측면 도어(220)의 해당 절편(222)은 역회전되어 박스프레임(200)의 측면을 폐쇄될 수 있다.
즉, 제 1 시편(T1)은 스프레이 건(10)을 향하는 방향으로 표출되고, 나머지 시편(T2 ~ T4)는 박스프레임(200)의 내부에 위치하여, 박스프레임(20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프레이 건(10)으로부터 도료가 제 1 시편(T1)을 향하여 분사되게 함으로써, 제 1 시편(T1)에 대한 도료 작업성 평가를 시작할 수 있다.
이후, 다른 종류의 도료가 스프레이 건(10)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준비될 경우, 작업자는 시편이동조작부(400)를 사용하여, 제 1 시편(T1)을 박스프레임(200)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대신, 제 2 시편(T2)를 박스프레임(200)의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스프레이 건(10)으로부터 도료가 제 2 시편(T2)을 향하여 분사되게 함으로써, 제 2 시편(T2)에 대한 도료 작업성 평가도 시작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제 3, 제 4 시편(T3, T4)에 대하여 도료가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박스프레임(200)의 저면 도어를 개방하고, 건조장치(230)를 가동시켜서, 박스프레임(200) 내부의 시편(T1 ~ T4)의 도막을 건조시킬 수도 있다.
작업자는 도료 작업성 평가 과정에서 적용되는 도료가 시편(T1, T2, T3, T4) 표면에 평활하게 적용되는지, 도막두께에 따라 도막이 흘러내리지는 않는지, 도막을 적용하였을 때 시편(T1, T2, T3, T4) 표면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는지 등을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편(T1 ~ T4)은 스프레이 건(10)이 위치한 박스프레임(200)의 우측에서 출몰하고, 이러한 출몰을 조작하는 시편이동조작부(400)는 박스프레임(200)의 좌측에 위치하여, 스프레이 건(10)의 분사 방향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쪽에 작업자가 위치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작업자의 옷이 도료 입자에 의해 오염되는 것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저프레임 110 : 바퀴부
200 : 박스프레임 220 : 측면 도어
230 : 건조장치 240 : 저면 도어
300 : 시편장착부 400 : 시편이동조작부
T1, T2, T3, T4 : 시편

Claims (8)

  1. 기저프레임;
    상기 기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시편을 내장시키기 위해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프레임;
    상기 박스프레임의 내부에서 외부로 출몰되도록, 상기 박스프레임의 내부의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결합된 시편장착부; 및
    상기 시편장착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박스프레임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시편장착부를 상기 박스프레임의 내,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시편이동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편장착부는,
    상기 시편이동조작부의 끝단과 연결된 측면을 갖는 부착플레이트; 및
    상기 부착플레이트의 정면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이동조작부는,
    상기 시편장착부의 반대쪽 끝단에 마련된 레버;
    상기 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박스프레임의 측면의 결합공에 삽입된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끝단에 마련된 조인트;
    상기 조인트에 연결된 고정바를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프레임은, 상기 시편장착부의 출몰에 따라 개폐되도록, 상기 박스프레임의 측면 개구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측면 도어를 더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도어는,
    상기 박스프레임의 측면 개구부의 상부 및 하부에 이격 배치된 하나 이상의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박스프레임의 측면 개구부에 위치된 다수의 절편을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프레임은, 상기 박스프레임에 관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시편장착부에 부착될 시편의 도료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기를 공급하는 건조장치를 더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박스프레임의 상부 코너에 위치한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박스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연장된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에 관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박스프레임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박스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건조공기를 분사시키는 하나 이상의 분지관을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프레임은, 상기 건조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박스프레임의 저면에 마련된 저면 도어를 더 포함하는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KR1020130005482A 2013-01-17 2013-01-17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KR101465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82A KR101465738B1 (ko) 2013-01-17 2013-01-17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82A KR101465738B1 (ko) 2013-01-17 2013-01-17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01A KR20140093101A (ko) 2014-07-25
KR101465738B1 true KR101465738B1 (ko) 2014-11-27

Family

ID=5173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482A KR101465738B1 (ko) 2013-01-17 2013-01-17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7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31B1 (ko) * 2005-11-14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료용 고압세차성 평가장치
KR20120120756A (ko) * 2011-04-25 2012-1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모듈 운반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31B1 (ko) * 2005-11-14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료용 고압세차성 평가장치
KR20120120756A (ko) * 2011-04-25 2012-11-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모듈 운반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01A (ko) 201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9954B2 (ja) コーティング材料を噴霧するための設備
US5653805A (en) Vehicle body panel positioning apparatus for paint application
US87705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repair and painting
US20100047465A1 (en) Paint shop and corresponding method of operation
EP3012031B1 (de) Roboter mit einer reinigungseinrichtung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US20070056510A1 (en) Portable paint booth
US9669752B2 (en) Arms for translating a tarp roller across a trailer and a tarp stop for a tarp supported by the tarp roller
US10413929B2 (en) Protective shield device for a travel rail
KR101465738B1 (ko)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CN110732446A (zh) 门板喷涂工艺
KR102023346B1 (ko) 에이치빔 인출용 이형제 도포장치
EP4132726A1 (en) Spraying booth
DE102020001193B4 (de) Vorrichtung zum Bewegen, Führen und Bedienen einer Sprit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KR20130045677A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KR101454384B1 (ko) 도료 작업성 평가장치
US9789507B2 (en) Spray booth spray racks
CN210875995U (zh) 一种液压支架结构件喷漆装置
CN209393418U (zh) 一种涂料喷涂装置
CN214320689U (zh) 一种变压器蝶阀翻新喷漆工装
CN214347330U (zh) 自动喷涂装置及喷涂机构
CN213000800U (zh) 一种喷漆器
US11939199B2 (en) Extension arm accessory unit for a drywall crane fork assembly
CN211617725U (zh) 车体防护装置
DE102018108699B4 (de) Lackierfahrzeuganhänger
DE4314615C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servierung von Stahlsektio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