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454B1 -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454B1
KR101453454B1 KR1020140059026A KR20140059026A KR101453454B1 KR 101453454 B1 KR101453454 B1 KR 101453454B1 KR 1020140059026 A KR1020140059026 A KR 1020140059026A KR 20140059026 A KR20140059026 A KR 20140059026A KR 101453454 B1 KR101453454 B1 KR 101453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unit
message
forwarding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기영
서재민
이신혜
김신범
Original Assignee
㈜농협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협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농협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5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클라이언트로부터 푸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그 푸시 메시지를 재전송, 우회 전송, SMS 발송 등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들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고객사와, 상기 고객사로부터 푸시(push) 메시지를 수신하는 푸시 엔진 서버와, 상기 푸시 엔진 서버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복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INTEGRATED PUSH SERVICE SYSTEM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 클라이언트로부터 푸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그 푸시 메시지를 재전송, 우회 전송, SMS 발송 등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이 보급되고 스마트 폰 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등장함에 따라 무선 자원의 사용량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IM(Instant Messaging), 웹(Web), 위젯(Widget) 서비스와 같이 망으로부터 실시간 푸시 메시지 또는 푸시 통보(Push Notification) 등을 받기 위해 올웨이즈-온(Always-On 형태) 애플리케이션이 현재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올웨이즈-온 형태의 애플리케이션은 저마다 서비스 제공자와 연결을 유지하면서 푸시 서비스를 받도록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과다한 트래픽을 유발하고, 배터리 소모를 빠르게 하는 문제점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애플(Apple)"과 "구글(Google)"에서는 클라이언트 (Client) OS의 리시버(receiver)에 푸시 메시지를 전달한다.
중앙의 푸시 서버(예컨대, APNS 또는 GCM)는 올웨이즈-온 관리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로부터 전송된 푸시 메시지를 대표로 수신한다. 그리고 중앙의 푸시 서버는 이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애플(Apple)"과 "구글(Google)"에서의 중앙의 푸시 서버는 푸시 메시지에 대한 완결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즉, 클라이언트가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푸시 서버는 외부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푸시 서버는 클라이언트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푸시 서버는 푸시 메시지에 대한 수신 결과에 관계없이 추가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종래의 푸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푸시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클라이언트와의 접속을 확인하지 않고 푸시 메시지를 재전송하거나, 푸시 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는다.
종래의 푸시 서버는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고 일정 시간 동안 클라이언트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받지 못하면 푸시 메시지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푸시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응답을 받지 못하면 전송에 실패한 것으로 인지만 할 뿐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푸시 시스템 및 푸시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064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SMS 메시지 전송보다 비용 및 서비스적인 측면에서 양호함과 아울러 SMS 메시지 전송보다 보안쪽에서 더욱 유리한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고객사가 푸시 서비스 시스템을 운용하지 않고, 하나의 푸시 서비스 시스템에서 통합적으로 푸시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는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고객사와, 상기 고객사로부터 푸시(push) 메시지를 수신하는 푸시 엔진 서버와, 상기 푸시 엔진 서버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복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푸시 엔진 서버가,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와 TCP/IP 통신으로 연결되는 푸시 발송부와, 복수의 상기 고객사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고객 푸시 정보가 저장되는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고객사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한 푸시 요청을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고객사로부터 각각 제공받는 고객 푸시 정보를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푸시 관리부와,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푸시 발송부의 접속 여부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 접속 관리부와, 상기 푸시 관리부가 상기 푸시 요청을 수용하면 푸시 발송 대상을 선별하여 추출하는 푸시 발송 선별부와, 상기 푸시 엔진 서버를 관제하는 푸시 엔진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푸시 발송부는 자체 푸시 방식의 private 푸시와,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방식 또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방식의 public 푸시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푸시 관리부가, 복수의 상기 고객사로부터 상기 푸시 요청을 수신하는 푸시 요청 수신부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한 발송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사에게 송신하는 푸시 발송 결과 송신부와, 상기 public 푸시의 인증서 만료 기간을 관제함과 아울러 푸시 시스템 관리자에게 상기 만료 기간을 공지하는 public 정보 모니터링부와, 상기 private 푸시 및 상기 public 푸시를 주기적으로 발송하고, 이에 의한 실패 건수가 미리 설정된 건수를 넘어갈 경우, 푸시 발송 장애로 감지하여 상기 푸시 시스템 관리자에게 상기 푸시 발송 장애 알람을 전송하는 자동 푸시 장애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푸시 엔진 서버가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한 수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푸시 엔진 서버는 SMS 서비스 장치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푸시 메시지의 내용을 SMS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푸시 엔진 서버는 SMS 연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SMS 연동부는 상기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푸시 정보 데이터에서 SMS 메시지 수신을 동의한 고객에게만 상기 SMS 서비스 장치가 SMS을 발송하도록 연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는, 상기 푸시 발송부가 private 푸시와 public 푸시 중 어느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지를 판별하는 발송 방식 판별부와,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private 푸시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private 연결 감지부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로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의 발송이 이루어지면, 이에 대한 정상 발송 결과를 상기 고객사에 통지하는 발송 결과 통지부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로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의 발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private 푸시 방식으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재전송 요청부와, 상기 재전송 요청부의 요청에 의해 재전송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이 이루어지면, 이에 대한 정상 발송 결과를 상기 고객사에 통지하는 재전송 결과 통지부와, 상기 재전송 요청부의 요청에 의해 재전송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푸시 메시지를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을 요청하는 우회 처리 요청부와, 상기 우회 처리 요청부의 요청에 의해 상기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우회 발송 처리가 이루어지면, 이에 대한 정상 발송 결과를 상기 고객사에 통지하는 우회 처리 결과 통지부와, 상기 우회 처리 요청부의 요청에 의해 상기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우회 발송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푸시 메시지를 SMS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SMS 요청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는 푸시 수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푸시 수신부는 상기 푸시 엔진 서버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을시 발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오류로 발생하는 중복 푸시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푸시 수신부는 상기 푸시 엔진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푸시 메시지 발송을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클라이언트가 제공받는 푸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이용 방법은, 고객사로부터 푸시 발송 요청을 푸시 관리부가 수신하면 푸시 발송 선별부의 발송 방식 판별부가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푸시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지 public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지를 판별하는 제 1 단계(S100)와, 상기 제 1 단계(S100)에 의해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 경우,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private 연결 감지부가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푸시 발송부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 2 단계(S200)와, 상기 제 2 단계(S200)에 의해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상기 푸시 발송부가 연결되어 있으면 private 푸시 방식으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발송한 후,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발송 경과 통지부가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정상 발송 결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 3 단계(S300)와, 상기 제 2 단계(S200)에서 상기 private 연결 감지부가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푸시 발송부가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3 단계(S300)에서 상기 발송 경과 통지부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정상 발송 결과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가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를 판별하는 제 4 단계(S400)와, 제 4 단계(S400)에 의해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이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재전송 요청부에 의해 요청되면 상기 푸시 메시지를 재전송한 후,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재전송 결과 통지부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 정상 발송 결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 5 단계(S500)와, 상기 제 4 단계(S400)에서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가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을 허용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5 단계(S500)에서 상기 재전송 결과 통지부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 정상 발송 결과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가 상기 푸시 메시지를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하여 처리할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6 단계(S600)와, 상기 제 6 단계(S600)에 의해 상기 푸시 메시지의 우회 전송이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우회 처리 요청부에 의해 요청되면 상기 푸시 메시지를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한 후,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우회 처리 결과 통지부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우회 전송 정상 발송 결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 7 단계(S700)와, 상기 제 6 단계(S600)에서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가 상기 푸시 메시지의 우회 전송을 허용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7 단계(S700)에서 상기 우회 처리 결과 통지부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우회 전송 정상 발송 결과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가 상기 푸시 메시지를 SMS로 발송할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8 단계(S800)와, 제 8 단계(S800)에 의해, 상기 푸시 메시지의 SMS 발송이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SMS 요청부에 의해 요청되면 상기 푸시 메시지를 SMS 연동부에 의해 SMS 서비스 장치로부터 SMS로 고객에게 발송되도록 상기 SMS 서비스 장치에 등록되어 정상 종료되고, 상기 푸시 메시지의 SMS 발송이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SMS 요청부에 의해 요청되지 않으면 발송 오류로 종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SMS 메시지 전송보다 비용 및 서비스적인 측면에서 양호함과 아울러 SMS 메시지 전송보다 보안쪽에서 더욱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고객사가 푸시 서비스 시스템을 운용하지 않고, 하나의 푸시 서비스 시스템에서 통합적으로 푸시 서비스를 관리함으로써,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중복 개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에서 푸시 엔진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푸시 엔진 서버에서 푸시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푸시 엔진 서버에서 부시 발송 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의 이용 방법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어 차트.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1000)은 복수의 고객사(100)와, 고객사(100)로부터 푸시(push) 메시지를 수신하는 푸시 엔진 서버(200)와, 푸시 엔진 서버(20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복수의 클라이언트(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고객사(100)는 다수의 고객사 1, 2, …, N(100-1, 100-2, …, 100-N)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300)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1, 2, …, N(300-1, 300-2, …, 300-K)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객사(100)는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증권 회사, 보험 회사 등의 금융권 고객의 서버가 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300)는 푸시 엔진 서버(200)와 연동하여 푸시 서비스를 클라이언트의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하기 위한 단말 또는 단말에 구현된 데몬(Daemon)일 수 있다. 다수의 클라이언트(300)는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예컨대 PC, 노트북, 스마트 폰, PDA, 노트북, 네비게이션, PMP, 전자사전, MP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클라이언트(300)는 통신망에 접속하여 소정의 데이터(특히,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푸시 수신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푸시 엔진 서버(200)는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서버이다.
고객사(100)는 푸시 메시지를 푸시하여 푸시 서비스(Push Service)를 제공한다. 고객사(100)는 푸시 엔진 서버(200)와 내부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VPN 망이나 전용선 등의 내부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또한, 푸시 엔진 서버(200)는 클라이언트(300)와 인터넷 망으로 연결된다. 고객사(100)는 접속 후에 푸시 메시지를 푸시 엔진 서버(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푸시 메시지는 해당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할 메시지 내용 또는 푸시 통보(Push Notification)를 포함하고, 전송 대상인 해당 클라이언트(300)에 대한 푸시 정보가 포함된다. 예컨대, 푸시 메시지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 보내는 문자 내용과 문자 내용을 표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푸시 통보는 사용자에게 알려야 할 애플리케이션의 이벤트성 통보가 포함되어 있다. 푸시 메시지는 클라이언트(300)에 포함된 푸시 수신부(31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푸시 엔진 서버(200)는 푸시 메시지를 해당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하되, 클라이언트(300)로부터 푸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클라이언트(300)와 재접속을 위한 우회메시지 형태의 재접속 메시지 전송을 SMS 서비스 장치(400)로 요청하게 된다. 여기서, 우회메시지 형태의 재접속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외에 다른 우회 메시지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후술토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에서 푸시 엔진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1000)의 푸시 엔진 서버(200)는, 복수의 클라이언트(300)와 TCP/IP 통신으로 연결되는 푸시 발송부(210)와, 복수의 고객사(100)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고객 푸시 정보가 저장되는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와, 고객사(100)로부터 푸시 메시지에 대한 푸시 요청을 수신함과 아울러 고객사(100)로부터 각각 제공받는 고객 푸시 정보를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는 푸시 관리부(250)와, 복수의 클라이언트(300)와 푸시 발송부(210)의 접속 여부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 접속 관리부(240)와, 푸시 관리부(250)가 푸시 요청을 수용하면 푸시 발송 대상을 선별하여 추출하는 푸시 발송 선별부(230)와, 푸시 엔진 서버(200)를 관제하는 푸시 엔진 모니터링부(260)를 더 포함하되, 푸시 발송부(210)는 자체 푸시 방식의 private 푸시와,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방식 또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방식의 public 푸시를 가진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객사(100)로부터 푸시 요청을 받으면 푸시 엔진 서버(200)의 푸시 관리부(250)는 고객사(100)로부터 푸시 메시지에 대한 푸시 요청을 수신하고, 고객사(100)로부터 제공받는 고객 푸시 정보를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푸시 관리부(250)는 고객사(100)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은 후 접속 가능한 할당부를 선택하여 고객사(100)로 할당한다. 그리고, 푸시 엔진 서버(200)는 각 연동부를 통해 고객사(10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어서, 푸시 엔진 서버(200)는 해당 클라이언트(300)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고객사(100)에서 각각 제공하는 고객 푸시 정보(푸시 메시지 포함)를 푸시 관리부(250)를 통해 제공받아 저장하게 된다.
한편, 푸시 발송 선별부(230)는 클라이언트(300)로의 푸시 발송 대상을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선별하여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푸시 발송 대상의 선별은 우선, private로 발송할 것인지 또는 public으로 발송할 것인지를 판별하게 된다. 여기서, 후술할 푸시 발송부(210)는 클라이언트(300)로의 푸시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자체 푸시 방식의 private 푸시(211)와,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방식 또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방식의 public 푸시(212)를 갖는데, 푸시 발송 선별부(230)에서 클라이언트(300)로의 푸시 방식을 선별하게 된다.
또한, 푸시 발송 선별부(230)는 복수로 발송해야 하는 푸시 메시지가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우선 발송 순위를 선별한 후, 이러한 순위에 의거하여 우선 발송할 푸시 메시지를 우선적으로 추출하여 푸시 발송부(210)로 전송하게 된다. 즉, 클라이언트(300)에게 복수로 발송해야 할 푸시 메시지를 고객사(100)로부터 제공받을 경우, 푸시 발송 선별부(230)는 복수의 푸시 메시지 중 중요 내용을 우선적으로 발송해 달라는 고객사(100)의 요청에 의거하여 우선 순위를 선별하게 된다.
한편, 푸시 발송 선별부(230)는 푸시 발송부(210)로 전송해야 할 푸시 메시지가 중복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중복 여부를 판별한 후 필터링하게 된다. 또한, 푸시 발송 선별부는 푸시 발송 실패시 재전송을 위한 소정의 횟수를 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전송 횟수를 3회로 관리자에 의해 지정되면, 푸시 발송 선별부(230)는 푸시 메시지의 전송 실패시 총 3회의 재전송을 실행하게 된다.
다음, 클라이언트 접속 관리부(240)에 대해 설명한다. 클라이언트 접속 관리부(240)는 클라이언트가 푸시 엔진 서버(200)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관리하게 된다. 즉, 클라이언트(300)가 복수의 private 서버 중 어느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관리하게 된다. 이때, 클라이언트 접속 관리부(240)는 클라이언트(300)가 정상적으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푸시 엔진 서버(200)와 클라이언트(300) 간의 연결이 끊어졌다고 판단한다.
이때, 푸시 엔진 서버(200)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후 해당 클라이언트(300)로 신뢰성 있게 전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푸시 엔진 서버(200)는 클라이언트(300)가 푸시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컨대, 푸시 엔진 서버(20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라 푸시 메시지를 클라이언트(300)로 전송한 후, 푸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일정 기간 지나도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거나 푸시 메시지를 재전송한 후에도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가에 따라 클라이언트(300)와의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푸시 엔진 서버(200)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푸시 메시지의 전송 실패로 간주하여 재접속 메시지를 이용한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재접속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로 이루어지거나 특정 메시지 포맷이 될 수 있다.
즉, 푸시 발송부(210)의 private 서버(211)와 클라이언트(300) 간의 연결은 TCP/IP 통신 기반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클라이언트(300)가 음영 지역에 위치하거나 통신 연결이 단절된 곳에 위치하거나, 단말의 배터리가 제거되거나, 와이파이(WIFI) 망과 이동 통신망 사이에 위치한 경우 푸시 엔진 서버(200)와 클라이언트(300) 간의 연결이 끊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접속 여부 관리를 이러한 클라이언트 접속 관리부(240)에서 수행하게 된다.
다음, 푸시 엔진 모니터링부(260)는 복수의 고객사(100)에 대한 관리나, 클라이언트(300)의 단말에 제공되는 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리나, 클라이언트(300)에 발송되는 푸시 메시지의 발송 결과 내역을 조회할 수 있도록 상기 발송 결과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발송 결과에 대한 내역은 통계적으로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푸시 엔진 서버에 대한 시스템의 관제도 가능하다.
한편, SMS 연동부(270)는 푸시 발송부(210)를 통한 클라이언트(300)로의 푸시 메시지 발송이 모두 실패할 경우, 복수의 클라이언트(300) 중 푸시 메시지 내용을 SMS로 전송해달라 요청한 클라이언트(300)에 한해서만 SMS 서비스 장치(400)를 통해 발송할 수 있도록 연동하게 된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푸시 엔진 서버에서 푸시 관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1000)의 푸시 엔진 서버(200)에서 푸시 관리부(250)는, 복수의 고객사(100)로부터 푸시 요청을 수신하는 푸시 요청 수신부(251)와, 푸시 발송부(210)로부터 푸시 메시지에 대한 발송 결과를 수신하여 고객사(100)에게 송신하는 푸시 발송 결과 송신부(252)와, public 푸시의 인증서 만료 기간을 관제함과 아울러 푸시 시스템 관리자에게 만료 기간을 공지하는 public 정보 모니터링부(253)와, private 푸시 및 public 푸시를 주기적으로 발송하고, 이에 의한 실패 건수가 미리 설정된 건수를 넘어갈 경우, 푸시 발송 장애로 감지하여 푸시 시스템 관리자에게 푸시 발송 장애 알람을 전송하는 자동 푸시 장애 감지부(254)를 더 포함한다.
푸시 요청 수신부(251)는 복수의 고객사(100)로부터 푸시 메세지의 푸시 요청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푸시 발송 결과 송신부(252)는 푸시 발송부(210)로부터 클라이언트(300)로의 푸시 메시지를 발송한 결과를 수신하여 복수의 고객사(100)에게 각각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푸시 요청 수신부(251)는 On-line 푸시 요청 수신부와 파일 수신부로 이루어지며, 마찬가지로 푸시 발송 결과 송신부(252)는 On-line 푸시 발송 결과 송신부와, 파일 결과 송신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public 정보 모니터링부(253)는 public 푸시의 인증서 만료 기간을 관제함과 아울러 푸시 시스템 관리자에게 만료 기간을 공지하게 되며, 자동 푸시 장애 감지부(254)는 private 푸시 및 public 푸시를 주기적으로 발송하고, 이와 같이 발송한 결과 실패 건수가 미리 설정된 건수를 넘어갈 경우, 푸시 발송 장애로 감지하여 푸시 시스템 관리자에게 푸시 발송 장애 알람을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면, 예를 들어, 애플사의 아이폰의 경우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서버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APNS의 경우, 단말이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APNS 서버에 등록하면서 APNS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토큰(Token) 값을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시 이니시에이터(PI: Push Initiator)에게 디바이스 토큰(Token) 값을 전송한다. 이때, 푸시 이니시에이터는 APNS 서버에 서버 인증서, 디바이스 토큰(Token) 값 및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며, APNS 서버는 푸시 메시지를 해당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서버 인증서는 푸시 이니시에이터가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PNS 서버에 서버 등록하면서 발급받은 인증서를 말한다.
또한, 구글의 안드로이드 폰의 경우, GCM(Google Cloud Messaging) 서버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말은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GCM 서버에 등록하면서 GCM 서버로부터 등록 아이디, 즉 디바이스 별 고유한 등록키를 수신한다. 그리고, 등록키를 푸시 이니시에이터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푸시 이니시에이터는 GCM 서버로 인증키, 등록키 및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며, GCM 서버는 등록키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인증키는 푸시 이니시에이터가 GCM 서버에서 인증시 사용하는 키를 말한다.
이러한 public 푸시의 인증서 및 인증키는 public 정보 모니터링부(253)는 public 푸시의 인증서 만료 기간을 관제함과 아울러 푸시 시스템 관리자에게 만료 기간을 공지하게 된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푸시 엔진 서버에서 부시 발송 선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1000)의 푸시 엔진 서버(200)에서 푸시 발송 선별부(230)는, 푸시 발송부(210)가 private 푸시와 public 푸시 중 어느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지를 판별하는 발송 방식 판별부(231)와, 복수의 클라이언트(300)와 private 푸시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private 연결 감지부(232)와, 푸시 발송부(210)로부터 복수의 클라이언트(300)로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의 발송이 이루어지면, 이에 대한 정상 발송 결과를 고객사(100)에 통지하는 발송 결과 통지부(233)와, 푸시 발송부(210)로부터 복수의 클라이언트(300)로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의 발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재전송 요청부(234)와, 재전송 요청부(234)의 요청에 의해 재전송된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이 이루어지면, 이에 대한 정상 발송 결과를 고객사(100)에 통지하는 재전송 결과 통지부(235)와, 재전송 요청부(234)의 요청에 의해 재전송된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푸시 메시지를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을 요청하는 우회 처리 요청부(236)와, 우회 처리 요청부(236)의 요청에 의해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된 푸시 메시지의 우회 발송 처리가 이루어지면, 이에 대한 정상 발송 결과를 고객사(100)에 통지하는 우회 처리 결과 통지부(238)와, 우회 처리 요청부(236)의 요청에 의해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된 푸시 메시지의 우회 발송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푸시 메시지를 SMS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SMS 요청부(237)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푸시 발송 선별부(230)는, 발송 방식 판별부(231)와, private 연결 감지부(232)와, 발송 결과 통지부(233)와, 재전송 요청부(234)와, 재전송 결과 통지부(235)와, 우회 처리 요청부(236)와, SMS 요청부(237)와, 우회 처리 결과 통지부(238)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푸시 발송 선별부(230)는 푸시 엔진 서버(200)에서 제어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발송 방식 판별부(231)는 푸시 발송부(210)가 private 푸시와 public 푸시 중 어느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지를 판별한다. 이때, private 연결 감지부(232)는 복수의 클라이언트(300)와 private 푸시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푸시 발송부(210)로부터 복수의 클라이언트(300)로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의 발송이 이루어지면, 발송 결과 통지부(233)는 이에 대한 정상 발송 결과를 고객사(100)에 통지하게 된다.
한편, 푸시 발송부(210)로부터 복수의 클라이언트(300)로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의 발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재전송 요청부(234)는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을 요청하게 된다. 이때, 재전송 요청부(234)의 요청에 의해 재전송된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이 이루어지면, 재전송 결과 통지부(235)는 이에 대한 정상 발송 결과를 고객사(100)에 통지하고, 재전송 요청부(234)의 요청에 의해 재전송된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우회 처리 요청부(236)가 푸시 메시지를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 한편, 우회 처리 결과 통지부(238)는 우회 처리 요청부(236)의 요청에 의해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된 푸시 메시지의 우회 발송 처리가 이루어지면, 이에 대한 정상 발송 결과를 고객사(100)에 통지하고, 우회 처리 요청부(236)의 요청에 의해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된 푸시 메시지의 우회 발송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SMS 요청부(237)가 푸시 메시지를 SMS로 전송하도록 요청하게 된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1000)의 복수의 클라이언트(300)는 푸시 수신부(310)를 각각 더 포함하되, 푸시 수신부(310)는 푸시 엔진 서버(20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을시 발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오류로 발생하는 중복 푸시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푸시 수신부(310)는 푸시 엔진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푸시 메시지 발송을 수신함과 아울러 클라이언트(300)가 제공받는 푸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 이는 복수의 클라이언트(300)가 앱으로 설치된 하나의 푸시 수신부(310)를 포함하기 때문인데, 이는 고객사(100)마다 클라이언트(300)에 푸시 수신부(310)를 앱으로 설치하게 되면, 클라이언트(300)의 베터리의 소모량 및 메모리의 사용량이 크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푸시 엔진 서버(200)에서 통합적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게 되고, 클라이언트(300)는 하나의 푸시 수신부(310)를 통해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의해, 클라이언트(300)는 베터리의 소모량이 감소하게 됨과 아울러 메모리 사용량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푸시 수신부가 아닌 하나의 푸시 수신부(310)만을 구비하기 때문에, 이러한 푸시 수신부(310)의 제어 및 관리가 용이하고 개발 비용의 저감 효과가 크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의 이용 방법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어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의 이용 방법은, 고객사(100)로부터 푸시 발송 요청을 푸시 관리부(250)가 수신하면 푸시 발송 선별부(230)의 발송 방식 판별부(231)가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 푸시 정보를 이용하여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지 public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지를 판별하는 제 1 단계(S100)와, 제 1 단계(S100)에 의해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 경우, 푸시 발송 선별부(230)의 private 연결 감지부(232)가 복수의 클라이언트(300)와 푸시 발송부(210)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 2 단계(S200)와, 제 2 단계(S200)에 의해 복수의 클라이언트(300)와 푸시 발송부(210)가 연결되어 있으면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한 후, 푸시 발송 선별부(230)의 발송 경과 통지부가 푸시 발송부(210)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정상 발송 결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 3 단계(S300)와, 제 2 단계(S200)에서 private 연결 감지부(232)가 복수의 클라이언트(300)와 푸시 발송부(210)가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하거나 또는 제 3 단계(S300)에서 발송 경과 통지부가 푸시 발송부(210)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정상 발송 결과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푸시 발송 선별부(230)가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를 판별하는 제 4 단계(S400)와, 제 4 단계(S400)에 의해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이 푸시 발송 선별부(230)의 재전송 요청부(234)에 의해 요청되면 푸시 메시지를 재전송한 후, 푸시 발송 선별부(230)의 재전송 결과 통지부(235)가 푸시 발송부(210)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 정상 발송 결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 5 단계(S500)와, 제 4 단계(S400)에서 푸시 발송 선별부(230)가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을 허용하지 않거나 또는 제 5 단계(S500)에서 재전송 결과 통지부(235)가 푸시 발송부(210)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 정상 발송 결과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푸시 발송 선별부(230)가 푸시 메시지를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하여 처리할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6 단계(S600)와, 제 6 단계(S600)에 의해 푸시 메시지의 우회 전송이 푸시 발송 선별부(230)의 우회 처리 요청부(236)에 의해 요청되면 푸시 메시지를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한 후, 푸시 발송 선별부(230)의 우회 처리 결과 통지부(238)가 푸시 발송부(210)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우회 전송 정상 발송 결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 7 단계(S700)와, 제 6 단계(S600)에서 푸시 발송 선별부(230)가 푸시 메시지의 우회 전송을 허용하지 않거나 또는 제 7 단계(S700)에서 우회 처리 결과 통지부(238)가 푸시 발송부(210)로부터 푸시 메시지의 우회 전송 정상 발송 결과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푸시 발송 선별부(230)가 푸시 메시지를 SMS로 발송할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8 단계(S800)와, 제 8 단계(S800)에 의해, 푸시 메시지의 SMS 발송이 푸시 발송 선별부(230)의 SMS 요청부(237)에 의해 요청되면 푸시 메시지를 SMS 연동부(270)에 의해 SMS 서비스 장치(400)로부터 SMS로 고객에게 발송되도록 SMS 서비스 장치(400)에 등록되어 정상 종료되고, 푸시 메시지의 SMS 발송이 푸시 발송 선별부(230)의 SMS 요청부(237)에 의해 요청되지 않으면 발송 오류로 종료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1000)의 이용 방법을 요약하면, private 푸시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고, 이러한 발송이 실패할 경우 고객사(100)에서 고객이 선택한 재전송 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푸시 메시지를 재전송하게 되며, 이러한 재전송에 의한 푸시 메시지의 발송이 실패하게 되면 고객사(100)에서 고객의 선택에 의해 public 푸시 방식으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우회 발송하게 된다. 이러한 우회 발송도 실패하게 되면, 고객사(100)에서 고객의 선택에 의해 SMS로 상기 푸시 메시지의 내용을 발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재전송과, 우회 전송과, SMS 발송의 여부는 고객사(100)에서 고객의 직접적인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며, 본 시스템의 푸시 엔진 서버(200)는 단지 고객사(100)에서 제공한 푸시 정보(재전송과, 우회 전송과, SMS 발송의 선택 정보)에 의거하여 클라이언트(300)에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는 고객들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본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1000)은 고객사(100)에서 제공한 푸시 정보에 의거하여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게 되며, 별도의 고객 정보는 수집하지 않는데 본 발명의 의의가 있다. 즉, 시스템 보안에 강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푸시 엔진 서버(200)를 요약한다.
푸시 발송부(210)에서, private 푸시 또는 public 푸시로 선택하여 푸시 발송이 가능하다. 여기서, 푸시 방법의 우선 순위의 지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private 푸시 이후 public 푸시로 지정하거나 또는 public 푸시 이후 private 푸시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푸시 실패시 SMS 시스템으로 재요청이 가능하다. 이때, SMS로의 재요청은 고객사(100)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푸시 메시지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느데 이때, 메시지의 중복 방지는 메시지의 키(key)를 이용한 중복 방지와, 메시지 내용 비교를 통한 중복 방지 방식 중 하나를 고객사(100)에서 선택가능하다.
한편, 메시지의 재전송이 가능한데, 이때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를 설정할 수 있고, 메시지의 재전송 횟수의 설정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private 푸시의 경우 재전송 기간을 설정하고, 고객이 수산가능 상태일 때까지 계속적으로 재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메시지의 순서 보장 및 우선 순위의 지정이 가능하다. 즉, 메시지의 선입 선출도 가능하고, 특수한 메시지의 경우 이를 우선 순위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푸시 메시지 요청 및 리포팅은 온라인 요청이나, 대량(파일) 요청이 가능함과 아울러 온라인 리포팅(고객사(100)에서 선택 사항)이나 파일 리포팅(고객사(100)에서 선택 사항)이 가능하다. 이때, 리포팅은 온라인이나 파일 둘 다 받을 수 있다.
한편, 푸시 속도의 향상을 위한 DB 및 프로세스의 분리가 가능하다. 즉, 푸시 발송 테이블과, 푸시 재전송 테이블로 분리하여 푸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7일 이전 데이터 백업 테이블로 이동을 통한 통계 및 발송 내역 조회 속도의 향상도 가능하고, 발송 프로세스와 재발송 프로세스를 분리함으로써 속도 향상도 가능하다.
또한, 각 프로세스 실행 감시를 통한 장애 감지 및 알림이 가능하다. 즉, 프로세스 실행 여부 및 프로세스 개수 체크가 가능하고, 디스크 공간, CPU 등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위한 서버 정보를 포함하여 감시가 가능하다.
또한, public 푸시의 인증서 만료일 알림이 가능하다. 즉, 인증서의 유효 기간이 1년이므로, 고객사 담당자 및 푸시 운영 담당자에게 인증서 만료 2주 전부터 알림 발송(기간은 설정 가능)하게 된다.
한편, 자동 푸시 발송을 통한 장애 감지가 가능하다. 즉, private 푸시, public 푸시를 주기적으로 발송하여 푸시 실패 건수가 설정된 회수를 넘어갈 경우 장애 알림을 전송하게 된다.
다음, 클라이언트(300)를 요약한다.
클라이언트(300)의 푸시 수신부(310)에서는 private 푸시를 통합 관리하고, 메시지 수신 처리를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메시지의 중복 방지와, 다수의 고객사(100) 관리(앱 ID, 고객사 명 등)가 가능하다. 또한, 세션 관리(특정 시간 간격으로 접속여부 체크 전문을 발송하고, 연결이 종료되면 재연결의 요청)이 가능하다. 또한, 서버 접속으로 인한 부하 분산 기능(시간차 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1, 100-2, …, 100-N : 고객사
200 : 푸시 엔진 서버
210 : 푸시 발송부
220 :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 푸시 발송 선별부
231 : 발송 방식 판별부
232 : private 연결 감지부
233 : 발송 결과 통지부
234 : 재전송 요청부
235 : 재전송 결과 통지부
236 : 우회 처리 요청부
237 : SMS 요청부
238 : 우회 처리 결과 통지부
240 : 클라이언트 접속 관리부
250 : 푸시 관리부
251 : 푸시 요청 수신부
252 : 푸시 발송 결과 송신부
253 : public 정보 모니터링부
254 : 자동 푸시 장애 감지부
260 : 푸시 엔진 모니터링부
270 : SMS 연동부
300, 300-1, 300-2, …, 300-N : 클라이언트
310 : 푸시 수신부
400 : SMS 서비스 장치
1000 :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Claims (9)

  1. 복수의 고객사와,
    상기 고객사로부터 푸시(push) 메시지를 수신하는 푸시 엔진 서버와,
    상기 푸시 엔진 서버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는 복수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되,
    상기 푸시 엔진 서버는,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와 TCP/IP 통신으로 연결되는 푸시 발송부와,
    복수의 상기 고객사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고객 푸시 정보가 저장되는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고객사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한 푸시 요청을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고객사로부터 각각 제공받는 고객 푸시 정보를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푸시 관리부와,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푸시 발송부의 접속 여부를 관리하는 클라이언트 접속 관리부와,
    상기 푸시 관리부가 상기 푸시 요청을 수용하면 푸시 발송 대상을 선별하여 추출하는 푸시 발송 선별부와,
    상기 푸시 엔진 서버를 관제하는 푸시 엔진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시 발송부는 자체 푸시 방식의 private 푸시와,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방식 또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방식의 public 푸시를 가지며,
    상기 푸시 관리부는,
    복수의 상기 고객사로부터 상기 푸시 요청을 수신하는 푸시 요청 수신부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한 발송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고객사에게 송신하는 푸시 발송 결과 송신부와,
    상기 public 푸시의 인증서 만료 기간을 관제함과 아울러 푸시 시스템 관리자에게 상기 만료 기간을 공지하는 public 정보 모니터링부와,
    상기 private 푸시 및 상기 public 푸시를 주기적으로 발송하고, 이에 의한 실패 건수가 미리 설정된 건수를 넘어갈 경우, 푸시 발송 장애로 감지하여 상기 푸시 시스템 관리자에게 상기 푸시 발송 장애 알람을 전송하는 자동 푸시 장애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엔진 서버는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에 대한 수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푸시 엔진 서버는 SMS 서비스 장치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푸시 메시지의 내용을 SMS로 제공하는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엔진 서버는 SMS 연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SMS 연동부는 상기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객 푸시 정보에서 SMS 메시지 수신을 동의한 고객에게만 상기 SMS 서비스 장치가 SMS을 발송하도록 연동하는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는,
    상기 푸시 발송부가 private 푸시와 public 푸시 중 어느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지를 판별하는 발송 방식 판별부와,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와 상기 private 푸시의 연결 여부를 감지하는 private 연결 감지부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로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의 발송이 이루어지면, 이에 대한 정상 발송 결과를 상기 고객사에 통지하는 발송 결과 통지부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로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의 발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private 푸시 방식으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재전송 요청부와,
    상기 재전송 요청부의 요청에 의해 재전송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이 이루어지면, 이에 대한 정상 발송 결과를 상기 고객사에 통지하는 재전송 결과 통지부와,
    상기 재전송 요청부의 요청에 의해 재전송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푸시 메시지를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을 요청하는 우회 처리 요청부와,
    상기 우회 처리 요청부의 요청에 의해 상기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우회 발송 처리가 이루어지면, 이에 대한 정상 발송 결과를 상기 고객사에 통지하는 우회 처리 결과 통지부와,
    상기 우회 처리 요청부의 요청에 의해 상기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된 상기 푸시 메시지의 우회 발송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푸시 메시지를 SMS로 전송하도록 요청하는 SMS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클라이언트는 푸시 수신부를 각각 더 포함하되,
    상기 푸시 수신부는 상기 푸시 엔진 서버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를 제공받을시 발생할 수 있는 네트워크 오류로 발생하는 중복 푸시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는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수신부는 상기 푸시 엔진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푸시 메시지 발송을 수신함과 아울러 상기 클라이언트가 제공받는 푸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9. 고객사로부터 푸시 발송 요청을 푸시 관리부가 수신하면 푸시 발송 선별부의 발송 방식 판별부가 푸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 푸시 정보를 이용하여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지 public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지를 판별하는 제 1 단계(S100)와,
    상기 제 1 단계(S100)에 의해 private 푸시 방식으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 경우,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private 연결 감지부가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푸시 발송부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별하는 제 2 단계(S200)와,
    상기 제 2 단계(S200)에 의해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상기 푸시 발송부가 연결되어 있으면 private 푸시 방식으로 상기 푸시 메시지를 발송한 후,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발송 경과 통지부가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정상 발송 결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 3 단계(S300)와,
    상기 제 2 단계(S200)에서 상기 private 연결 감지부가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푸시 발송부가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제 3 단계(S300)에서 상기 발송 경과 통지부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정상 발송 결과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가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 여부를 판별하는 제 4 단계(S400)와,
    제 4 단계(S400)에 의해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이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재전송 요청부에 의해 요청되면 상기 푸시 메시지를 재전송한 후,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재전송 결과 통지부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 정상 발송 결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 5 단계(S500)와,
    상기 제 4 단계(S400)에서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가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을 허용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5 단계(S500)에서 상기 재전송 결과 통지부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재전송 정상 발송 결과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가 상기 푸시 메시지를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하여 처리할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6 단계(S600)와,
    상기 제 6 단계(S600)에 의해 상기 푸시 메시지의 우회 전송이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우회 처리 요청부에 의해 요청되면 상기 푸시 메시지를 public 푸시 방식으로 우회 전송한 후,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우회 처리 결과 통지부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우회 전송 정상 발송 결과 여부를 수신하는 제 7 단계(S700)와,
    상기 제 6 단계(S600)에서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가 상기 푸시 메시지의 우회 전송을 허용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 7 단계(S700)에서 상기 우회 처리 결과 통지부가 상기 푸시 발송부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우회 전송 정상 발송 결과를 수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가 상기 푸시 메시지를 SMS로 발송할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 8 단계(S800)와,
    제 8 단계(S800)에 의해, 상기 푸시 메시지의 SMS 발송이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SMS 요청부에 의해 요청되면 상기 푸시 메시지를 SMS 연동부에 의해 SMS 서비스 장치로부터 SMS로 고객에게 발송되도록 상기 SMS 서비스 장치에 등록되어 정상 종료되고, 상기 푸시 메시지의 SMS 발송이 상기 푸시 발송 선별부의 SMS 요청부에 의해 요청되지 않으면 발송 오류로 종료되는 통합 푸시 서비스 이용 방법.
KR1020140059026A 2014-05-16 2014-05-16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KR101453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26A KR101453454B1 (ko) 2014-05-16 2014-05-16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026A KR101453454B1 (ko) 2014-05-16 2014-05-16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454B1 true KR101453454B1 (ko) 2014-10-23

Family

ID=5199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026A KR101453454B1 (ko) 2014-05-16 2014-05-16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45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304B1 (ko) * 2014-12-29 2015-07-01 주식회사 모비솔루션 메시지 송수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597977B1 (ko) * 2014-11-26 2016-02-29 주식회사 누리고 푸시 알림과 단문메시지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7034098A1 (ko) * 2015-08-27 2017-03-02 주식회사 지앤톡 정보 변경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758337B1 (ko) * 2016-04-07 2017-07-17 주식회사 파트너 메시지의 중복알림을 방지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이를 운용하는 사용자 장치
KR101831025B1 (ko) * 2015-04-27 2018-02-23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온라인 쇼핑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상품 주문 및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상품 주문 및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861507B1 (ko) * 2018-02-05 2018-05-25 구중완 푸시 메시지의 수신 확인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023A (ko) * 2011-04-04 2012-10-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재접속 메시지를 이용한 푸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0642A (ko) * 2012-03-02 2013-09-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역방향 다중 통신을 이용한 증권거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023A (ko) * 2011-04-04 2012-10-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재접속 메시지를 이용한 푸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0642A (ko) * 2012-03-02 2013-09-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역방향 다중 통신을 이용한 증권거래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77B1 (ko) * 2014-11-26 2016-02-29 주식회사 누리고 푸시 알림과 단문메시지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32304B1 (ko) * 2014-12-29 2015-07-01 주식회사 모비솔루션 메시지 송수신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831025B1 (ko) * 2015-04-27 2018-02-23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온라인 쇼핑에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상품 주문 및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상품 주문 및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WO2017034098A1 (ko) * 2015-08-27 2017-03-02 주식회사 지앤톡 정보 변경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758337B1 (ko) * 2016-04-07 2017-07-17 주식회사 파트너 메시지의 중복알림을 방지하는 방법, 저장 매체 및 이를 운용하는 사용자 장치
KR101861507B1 (ko) * 2018-02-05 2018-05-25 구중완 푸시 메시지의 수신 확인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454B1 (ko) 통합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CA2581062C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recovery and management of an email system
US9237077B2 (en) Monitoring persistent client connection status in a distributed server environment
CN111176873B (zh) 一种微服务自动下线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86669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computer devices
DK3235187T3 (en) INTERFACE, PROCEDURE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THE TRANSMISSION OF ELECTRONIC MESSAGES
CN102611642A (zh) 处理异步消息的系统及其发送消息、监听处理任务的方法
GB2533380A (en) An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of electronic messages
GB2537087A (en) A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ceiving electronic messages
CN108696831B (zh) 一种短信发送方法及装置
CN105165035B (zh) 兼具文本消息传输的多媒体消息传输
CN101188618B (zh) 取消推送消息的方法、系统及服务器、终端
US20040186893A1 (en)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bnormality detection program, server, computer
KR20090017595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를 분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5353714B2 (ja) サーバシステムとそのイベントメッセージ送信方法
KR20130108874A (ko) 스마트 단말의 향상된 알림 서비스 구현 방법 및 장치
CN104734886A (zh) 一种业务服务器的管理方法、装置及系统
US8880621B2 (en) Load balancing in broker-based messaging systems and methods
KR20190113200A (ko) 메시지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메시지 처리 장치
US201101670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real-time case exchange in a service management environment
CN114356810A (zh) 一种主机与存储系统的通信连接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1585914A (zh) 一种服务限流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1182892A1 (en) A short message method and system
KR20160110803A (ko) 고객 별 최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콘텐츠 중개 서비스 방법
JP3412542B2 (ja) データ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