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439B1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mpling and dumpling manufacture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mpling and dumpling manufactured by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439B1
KR101453439B1 KR1020100113590A KR20100113590A KR101453439B1 KR 101453439 B1 KR101453439 B1 KR 101453439B1 KR 1020100113590 A KR1020100113590 A KR 1020100113590A KR 20100113590 A KR20100113590 A KR 20100113590A KR 101453439 B1 KR101453439 B1 KR 101453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ling
dumplings
supply
dentifrice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52115A (en
Inventor
백종원
Original Assignee
(주)더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본코리아 filed Critical (주)더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113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439B1/en
Publication of KR2012005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1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4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는 만두소의 재료들을 혼합하는 만두소 공급부와, 만두피의 재료들을 혼합하며 상기 만두소 공급부의 전방에서 상기 만두소 공급부로부터 만두소를 상기 만두피와 섞이지 않게 받는 만두피 공급부와, 상기 만두피 공급부의 전방에서 상기 만두피 공급부로부터 만두소와 만두피를 별도로 공급받고 상기 만두피 속에 만두소를 넣어 반제품을 만드는 혼합 네크와, 상기 혼합 네크의 전방에서 상기 혼합 네크로부터 반제품을 받아 설정된 형태의 만두를 제조하는 만두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두 성형부는 원기둥 형상이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혼합 네크로부터 상기 반제품을 받아 이송시키는 만두 이송 롤러; 그리고 상기 제1축과 이격된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만두 이송 롤러에 대응하여 회전하며 상기 만두 이송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반제품을 설정된 형태의 만두로 성형하는 성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롤러는 원기둥 형상의 옆면에 해당하며 만두피를 접합하여 상기 만두의 양단에 접합면을 성형하도록 이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접합면 성형부와, 상기 접합면 성형부 사이에서 상기 옆면의 반경 내측으로 굴곡진 원기둥 형태의 곡률로서 형성되며 상기 만두의 몸통을 성형하는 몸통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mpling supply unit for mixing dumpling materials, a dumpling supply unit for mixing dumpling materials and receiving the dumpling from the dumpling supply unit in front of the dumpling supply unit without mixing the dumpling with the dumpling, A mixer for mixing dumplings and dumplings separately from the dumpling supply part in front of the dumpling supply part and mixing the dumpling into the dumpling to form a semi-finished product; and a dumpling And a shaping portion.
A dumpling conveying roller that is cylindrical in shape and rotates about a first axis and feeds the semi-finished product from the mixed necro and feeds the dumpling; And a shaping roller that rotat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with respect to a second axis spaced from the first axis and forms the semi-finished product with 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into a predetermined type of dumpling.
Wherein the shaping roller corresponds to a side surface of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t least two or more joining surface form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 joining surface at both ends of the dumplings, And a body shaping portion formed as a curved shape of a curved cylindrical shape for shaping the dumpling body.

Description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MPLING AND DUMPLING MANUFACTURED BY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dumpling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만두피 내에 만두소를 많이 채워 넣을 수 있고 만두의 조리 과정에서 만두피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만두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dumpling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filling a large amount of dumpling in a dumpling and preventing the dumpling from being torn during the dumpling ≪ / RTI >

일반적으로 만두는 밀가루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만두피의 내부에 고기, 채소, 두부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 만두소가 채워져 있으며, 사람들이 가장 많이 즐기는 음식 중 하나이다. In general, dumplings are filled with dumplings made of ingredients such as meat, vegetables, and tofu, and are one of the most popular foods that people enjoy.

만두는 통상적으로 찌거나 튀겨서 먹게 된다. 이 중, 종래의 튀김 만두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The dumplings are usually steak or fried. Among them, the conventional deep-fried dumplings are briefly described.

도 10은 종래의 만두의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umpling.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만두는 만두피와, 상기 만두피의 내부에 채워진 만두소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0, the conventional dumplings include dumplings and dumplings filled in the dumplings.

만두피는 밀가루 등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만두피는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면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그것들에 의하여 몸통(2)이 형성되게 된다. 이 몸통(2)의 내부에는 만두소가 채워진다. 또한, 상기 몸통(2)의 양단부에는 접합면(4)이 형성되어 있다. 접합면(4)은 만두피의 상면과 하면을 접합하여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접합면(4)의 끝단에 절단면(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절단면(6)은 사람이 만두 제조 기계에서 만들어진 만두들을 필요에 따라 하나씩 절단하기 편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얇게 형성된다. 필요한 경우, 절단면(6)을 형성하지 않고, 만두 제조 기계에서 만두가 하나씩 절단되도록 셋팅할 수도 있다. The dumpling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flour, and a sealed space is formed inside. The mandibles are formed flat on the lower surface and convex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body 2 is formed. The inside of the body (2) is filled with dumpling. In addition, a joining surface 4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2. The joint surface 4 is formed by join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ndrel so as to form a sealed space therein. On the other hand, a cutting surface 6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bonding surface 4 as required. This cut surface 6 is formed thinly so as to make it easier for a person to cut the dumplings made in the dumpling machine one by one as needed. If desired, the dumpling may be set to be cut one by one in the dumpling manufacturing machine without forming the cut surface 6. [

만두피와 만두소의 비율이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만두가 맛있으나, 종래의 만두는 만두피에 비하여 만두소의 양이 적어 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튀김만두의 경우 그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그 이유는 만두소를 많이 채우기 위해서는 몸통(2)을 두껍게 형성하여야 하는데, 튀김만두의 경우에는 열을 잘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므로 상면을 더욱 볼록하게 형성하여야 하였다. 그런데, 상면을 볼록하게 형성하면 만두를 튀기는 과정에서 몸통(2)과 접합면(4)의 경계 부근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만두피의 두께를 늘려야 하는데, 만두피의 두께가 늘어난 만큼 더 많은 만두소가 필요하게 되어 근본적인 해결이 될 수 없으며, 만두피가 두꺼워지는 만큼 식감이 떨어지고 튀기는 과정에서 만두피는 타나 만두소는 익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The dumplings are delicious when the ratio of dumplings and dumplings is appropriately adjusted, but the conventional dumpling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amount of dumplings is lower than that of dumplings, resulting in reduced taste. Especially, in the case of fried dumplings, the phenomenon becomes more prominen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n order to fill the dumplings, the body 2 should be thick. In the case of the fried dumplings, the upper surface should be formed more convex because it is formed flat so as to be able to receive heat well. However, when the top surface is formed convexly, a phenomenon that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body 2 and the bonding surface 4 is torn in the process of frying the dumplings has occurred.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dentifrice. As the thickness of the dentifrice is increased, more dumplings are needed and it can not be a fundamental solution. As the dentifrice becomes thicker, the texture is reduced and the dentifrice is in the process of frying.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튀기는 과정에서 만두피가 찢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만두소를 최대한 많이 채워 넣어 맛이 좋은 만두를 제조할 수 있는 만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producing a dumpling having a good flavor by filling the dumpling to a maximum extent while preventing the dumpling from being torn during the frying process will be.

또한, 그 구조를 단순히 하여 금형 제작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만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mplings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does not incur a large cost in the production of a mold by simply making the structure.

더 나아가, 만두의 몸통을 두껍게 하면서 만두피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장의 만두피가 서로 겹쳐지면서 만두가 제작되도록 하는 만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mplings production apparatus that allows dumplings to be produced while overlapping two dumplings in order to prevent the dumplings from tearing while thickening the dumplings body.

마지막으로, 상기 만두 제조 장치에 의하여 제조되어 맛이 좋고 튀길 때 만두피가 찢어지지 않는 만두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Finally,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mpling which is manufactured by the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astes good and does not tear the dumpling when it is splash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는 만두소의 재료들을 혼합하는 만두소 공급부와, 만두피의 재료들을 혼합하며 상기 만두소 공급부의 전방에서 상기 만두소 공급부로부터 만두소를 상기 만두피와 섞이지 않게 받는 만두피 공급부와, 상기 만두피 공급부의 전방에서 상기 만두피 공급부로부터 만두소와 만두피를 별도로 공급받고 상기 만두피 속에 만두소를 넣어 반제품을 만드는 혼합 네크와, 상기 혼합 네크의 전방에서 상기 혼합 네크로부터 반제품을 받아 설정된 형태의 만두를 제조하는 만두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umplings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mpling supply unit for mixing dumpling materials, and a dumpling unit for mixing the dumpling materials and feeding the dumpling from the dumpling supply unit in front of the dumpling supply unit, A mixer for mixing dumplings and dumplings separately from the dumplings supply unit in front of the dumpling supply unit and filling dumplings into the dumplings to produce a semi-finished product; And may include a dumpling portion for producing dumplings of a predetermined type.

상기 만두 성형부는 원기둥 형상이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혼합 네크로부터 상기 반제품을 받아 이송시키는 만두 이송 롤러; 그리고 상기 제1축과 이격된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만두 이송 롤러에 대응하여 회전하며 상기 만두 이송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반제품을 설정된 형태의 만두로 성형하는 성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A dumpling conveying roller that is cylindrical in shape and rotates about a first axis and feeds the semi-finished product from the mixed necro and feeds the dumpling; And a shaping roller that rotat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with respect to a second axis spaced from the first axis and forms the semi-finished product with 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into a predetermined type of dumpling.

상기 성형 롤러는 원기둥 형상의 옆면에 해당하며 만두피를 접합하여 상기 만두의 양단에 접합면을 성형하도록 이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접합면 성형부와, 상기 접합면 성형부 사이에서 상기 옆면의 반경 내측으로 굴곡진 원기둥 형태의 곡률로서 형성되며 상기 만두의 몸통을 성형하는 몸통 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haping roller corresponds to a side surface of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t least two or more joint surface form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 joint surface at both ends of the dumplings, And a body shaping portion formed as a curved shape of a curved cylindrical shape for shaping the dumpling body.

상기 혼합 네크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만두피 공급부로부터 만두피를 공급받아 얇게 펴서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1,2만두피 공급 슬롯과, 상기 제1,2만두피 공급 슬롯의 반경 내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두소 공급부로부터 만두소를 받아 공급하는 만두소 공급홀을 포함하는 제1포펫; 그리고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하며 그 사이에 틈을 두고 형성된 제2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만두피 속에 만두소가 들어간 반제품을 공급하는 반제품 공급홀을 포함하는 제2포펫;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ixing neck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mandrel supply slots which penetrate from the front to the back and supply the mandhod from the mandhodkid supplying part and thinly spread the supplied first and second mandhod, A first poppet including a first sloping surface and a dumpling supply hol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loping surface to receive and supply the dumpling from the dumpling supply portion;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with a gap therebetween and a semi-finished product supply hole formed in a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o supply a semi-finished product having a dumpling in the mandrel, 2 poppet. ≪ / RTI >

상기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은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제2만두피 공급 슬롯은 상기 제1만두피 공급 슬롯의 반경 내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mandrel supply slots may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mandrel supply slots may b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in a radius of the first mandrel supply slot.

상기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mandrel supply slot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제1,2만두피 공급 슬롯을 통과한 만두피는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만두소 공급홀을 통과한 만두소는 상기 만두피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The dentifric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ntifrice supply slots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nd is formed into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dumpling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umpling supply hole is inserted into the dentifrice .

상기 성형 롤러는 상기 접합면 성형부에서 반경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접합면에 절단면을 성형하는 절단면 성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orming roller may protrude radially outward from the bonding surface forming part and further include a cutting surface forming part for forming a cutting surface on the bonding surface to facilitate cutting.

상기 몸통 성형부는 그 단면이 하나의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ody shaping portion may have an arc shape having a single radius in cross section.

상기 몸통 성형부의 반경은 상기 원호의 양단 사이의 거리의 53%~65%일 수 있다. The radius of the body forming part may be 53% to 65% of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arc.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만두의 몸통의 형상을 최적화함으로써 보다 많은 만두소를 채워 넣을 수 있어 맛이 좋은 만두를 제조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ill more dumplings by optimizing the shape of the dumpling bod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dumplings having a good taste.

또한, 2장의 만두피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고, 몸통의 형상이 최적화되어 만두를 튀기는 과정에서 만두피가 찢어지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wo dentifrices are formed so as to overlap with each other, and the shape of the body is optimized so that the dentifrice is not torn in the process of dumpling.

더 나아가, 만두 제조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금형 제작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Furthermore, the structure of the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is simple, so that a great deal of cost is not incurred in the production of a mol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만두피 공급부와 혼합 네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평면에서 내려다 본 제1포펫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저면에서 올려다 본 제1포펫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배면에서 본 제2포펫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만두 성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만두 성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성형 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로 제조된 만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만두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dumpling supply unit and a mixed neck in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oppet viewed from above in a plan view in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oppet viewed from the bottom in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poppet viewed from the back side in the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mpling forming unit in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umpling forming unit in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a forming roller in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mplings made with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umpl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1)는 튀김용 만두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만두소 공급부(10), 만두피 공급부(20), 그리고 만두 성형부(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만두소 공급부(10)과 최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만두소 공급부(10)의 전방에 만두피 공급부(20)가 배치되며, 상기 만두피 공급부(20)의 전방에 만두 성형부(60)가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nufacturing dumplings for deep frying, and includes a dumpling supply unit 10, a dumpling supply unit 20, 60). The dumpling supply unit 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umpling supply unit 10 and the dumpling unit 6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umpling supply unit 20 Respectively.

만두소 공급부(10)는 만두의 만두소를 제조하여 이를 공급하는 것이다. 만두소 공급부(10)는 상부에 제1호퍼(12)가 형성되어 만두소의 재료(고기, 채소, 두부 등)를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호퍼(12)의 하부에는 제1바디(14)가 형성되어 제1호퍼(12)를 통해 공급받은 만두소를 혼합하여 상기 만두피 공급부(20)에 공급한다. 상기 제1바디(14)에는 스크류(도시하지 않음)가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만두소의 혼합 및 공급 역할을 수행한다.The dumpling supply unit 10 manufactures and supplies dumpling dumplings. A first hopper 12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umpling supply portion 10 to receive a dumpling material (meat, vegetables, tofu, etc.). A first body 14 is formed under the first hopper 12 to mix the dumplings supplied through the first hopper 12 and supply the dumplings to the dumpling supply unit 20. Screws (not shown) are rotatably disposed on the first body 14 to perform mixing and supplying of dumplings.

만두피 공급부(20)는 상기 만두소 공급부(10)로부터 만두소를 공급받고, 만두피를 제조하여 상기 만두소와 만두피를 별도로 공급하는 것이다. 만두피 공급부(20)는 상부에 제2호퍼(22)가 형성되어 만두피의 재료가 되는 밀가루 반죽 등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제2호퍼(22)의 하부에는 제2바디(24)가 형성되어 제2호퍼(22)를 통해 공급받은 밀가루 반죽을 만두 성형부(60)를 향해 공급한다. 이러한 제2바디(24)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스크류(24, 26)와 중공 스크류(28)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공 스크류(28)는 상기 제1,2스크류(24, 2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호퍼(22)를 통해 공급된 밀가루 반죽은 상기 중공 스크류(28)와 제1,2스크류(24, 28)에 의하여 곱게 반죽된다. 또한, 만두소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만두소는 상기 중공 스크류(28)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30)을 통해 만두 성형부(60)를 향해 공급된다. 만두피는 상기 중공 스크류(28)의 외주면을 통해서 공급되고 만두소는 상기 중공 스크류(28) 내부의 관통홀(30)을 통해 공급되므로 만두피와 만두소는 서로 섞이지 않고 별도로 공급되게 된다.The dumpling supply unit 20 receives the dumpling from the dumpling supply unit 10, manufactures dumpling, and separately supplies the dumpling and dumpling. The dentifrice supply unit 2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hopper 22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receive a dough or the like serving as a dentifrice material. A second body 24 is formed under the second hopper 22 to feed the dough supplied through the second hopper 22 toward the dumpling forming unit 60. As shown in FIG. 2, the first and second screws 24 and 26 and the hollow screw 28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second body 24. The hollow screw 28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crews 24 and 26. The dough supplied through the second hopper 22 is finely kneaded by the hollow screw 28 and the first and second screws 24 and 28. The dumplings fed from the dumpling feeder 10 are fed toward the dumpling forming unit 60 through the through holes 30 formed in the hollow screw 28. The dumpling is supplie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screw 28 and the dumpling is supplied through the through hole 30 in the hollow screw 28 so that the dumpling and the dumpling are supplied separately without being mixed with each other.

상기 만두피 공급부(20)의 전면에는 혼합 네크(32)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만두피 공급부(20)고부터 만두피와 만두소를 받아 만두피 속에 만두소를 넣음으로써 반제품을 형성하고, 이 반제품을 만두 성형부(60)에 공급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만두피 공급부(20)는 제1포펫(40)과 제2포펫(50)을 포함한다.Mixed necks 32 are projected forward from the dentifrice supply unit 20 to receive dumplings and dumplings from the dentifrice supply unit 20 to form dumplings in the dentifrices and form the dumplings so that the dumplings form the dumpling unit 60 . For this purpose, the dentifrice supply unit 20 includes a first poppet 40 and a second poppet 50.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펫(40)은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중앙부에 제1경사면(46)가 돌출되어 있다. 제1포펫(40)의 외주부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제1,2만두피 공급 슬롯(42, 44)이 형성되어 있다. 만두피는 이러한 복수개의 제1,2만두피 공급 슬롯(42, 44)을 통과하며 얇게 펴지게 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poppet 40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46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dentifrice supply slots 42, 44 penetrat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poppet 40. The dentifrice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dentifrice supply slots 42, 44 and is thinned.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42)은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42)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mandrel supply slots 42 are elong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first mandrel supply slots 42 are formed as one circular shape as a whole.

복수개의 제2만두피 공급 슬롯(44)은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만두피 공급 슬롯(44)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42)의 반경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The plurality of second mandrel supply slots 44 are elong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econd mandrel supply slots 44 are formed in one circle as a whole and are formed inside the radii of the plurality of first mandrel supply slots 42.

상기 복수개의 제1,2만두피 공급 슬롯(42, 44)은 서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포펫(40)의 중심에서 원주를 향하여 볼 때,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42) 사이의 틈은 복수개의 제2만두피 공급 슬롯(44)에 의하여 막혀 있으며, 복수개의 제2만두피 공급 슬롯(44) 사이의 틈은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42)에 의하여 막혀 있다. 이에 따라, 제1만두피 공급 슬롯(42)을 통과한 만두피와 제2만두피 공급 슬롯(44)을 통과한 만두피가 서로 교대로 적층되게 되며, 이에 따라 만두를 튀길 때 만두피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mandrel supply slots 42 and 44 are alternately formed. That is, as viewed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poppet 40 toward the circumference,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dentifrice supply slots 42 is block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dentifrice supply slots 44, The gap between the mandrel feed slots 44 is blocked by the plurality of first mandrel feed slots 42. [ Accordingly, the mandrel passing through the first mandrel feeding slot 42 and the mandrel passing through the second mandrel feeding slot 44 are alternately stacked, and accordingly, have.

제1경사면(46)은 상기 제1포펫(4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경사면(46)은 전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원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사면(46)의 내주면에는 만두소 공급홀(48)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있다. 제1,2만두피 공급 슬롯(42, 44)을 통과한 만두피는 상기 제1경사면(46)을 따라 이동하고 관통홀(30)을 통해 공급된 만두소는 만두소 공급홀(48)을 통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The first inclined surface 46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poppet 40. The diameter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46 decreases as it goes forward. That is, it has a conical shape. Further,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46, the dartmouth feeding holes 48 pass through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dentifric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ntifrice supply slots 42 and 44 moves along the first inclined plane 46 and the dumplings supplied through the through hole 30 are moved through the dumpling supply holes 48 hav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포펫(50)은 디스크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2포펫(50)의 후면 내주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46)에 대응하는 제2경사면(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경사면(52)의 전단에는 반제품 공급홀(54)이 형성된다. 제2포펫(50)은 상기 제1포펫(40)의 전방에 배치되는데, 이 때, 상기 제1경사면(46)과 제2경사면(52)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2만두피 공급 슬롯(42, 44)을 통과한 만두피는 상기 제1경사면(46)과 제2경사면(52) 사이의 틈을 통과하며 얇게 펴지고 이 과정에서 제1,2만두피 공급 슬롯(42, 44)을 통과한 만두피는 서로 교대로 적층되며 중공의 원기둥 형상의 만두피로 성형되게 된다. 또한, 만두소 공급홀(48)을 통과한 만두소는 상기 만두피의 내부로 자동적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에 따라 만두피의 내부에 만두소가 채워진 반제품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반제품은 상기 반제품 공급홀(54)을 통해 만두 성형부(60)에 공급된다.5, the second poppet 50 has a disk shap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52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46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oppet 50 And a semi-finished product supply hole 54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 The second poppet 5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poppet 40.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46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52. Accordingly, the dentifric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ntifrice supply slots 42 and 44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rst inclined face 46 and the second inclined face 52 and is thinly expanded. In this process, The mandrels having passed through the slots 42 and 44 are alternately stacked and molded into a hollow cylinder-shaped mandrel. In addition, the dumpling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dumpling supply holes 48 are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dumplings, so that semi-finished products filled with dumpling are formed inside the dumplings. The semi-finished product thus formed is supplied to the dumpling portion 60 through the semi-finished product supply hole 5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두 성형부(60)는 하부 프레임(64), 측면 프레임(66a, 66b), 그리고 상부 프레임(104)을 포함한다. 6 and 7, the dumpling forming portion 60 includes a lower frame 64, side frames 66a and 66b, and an upper frame 104. [

상기 하부 프레임(64)의 양 측면에는 상기 측면 프레임(66a, 66b)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 프레임(66a, 66b)의 상단에는 상부 프레임(104)이 볼트(B) 등으로 결합되어 상기 만두 성형부(6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다. The side frames 66a and 66b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64. The upper frame 104 is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side frames 66a and 66b with bolts B, The forming portion 60 is generally rectangular in shape.

또한, 상기 만두 성형부(60)는 만두 이송 롤러(76), 성형 롤러부(90), 그리고 위치 조절 손잡이(106a, 106b)를 더 포함한다.The dumpling forming portion 60 further includes a dumpling conveying roller 76, a forming roller portion 90, and positioning knobs 106a and 106b.

이를 위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66a, 66b)에는 각각 축 안착홀(68a, 68b)과 가이드부(70a, 70b)가 형성되어 있다. To this end, shaft receiving holes 68a and 68b and guide portions 70a and 70b are formed in the side frames 66a and 66b, respectively.

축 안착홀(68a, 68b)에는 만두 이송 롤러(76)가 장착되는 제1축(74)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A first shaft 74 on which the bunch feeding roller 76 is mounted is rotatably seated in the shaft receiving holes 68a and 68b.

가이드부(70a, 70b)는 제2축(92)의 양단에 위치하는 슬라이더(94a, 94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된다.Sliders 94a and 94b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shaft 92 are slidably seated in the guide portions 70a and 70b.

상기 제1축(74)에는 만두 이송 롤러(76)와 제1,2기어(82, 84)가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A dumpling conveying roller 76 and first and second gears 82 and 84 are fixedly mounted on the first shaft 74.

만두 이송 롤러(76)는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롤러면(80)이 형성되어 반제품을 상기 롤러면(80)을 따라 이송시킨다. 상기 롤러면(80)의 양단에는 롤러 측벽(78a, 78b)이 형성되어 반제품이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만두의 폭을 규제하게 된다.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76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roller surface 80 to convey the semi-finished product along the roller surface 80. Roller side walls 78a and 78b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oller surface 80 to prevent the semi-finished product from being separated to both sides and to regulate the width of the dumplings.

제1기어(82)는 상기 제1축(74)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모터 등의 동력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기어 결합한다. 따라서, 제1기어(82)는 동력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제1축(74)과 이에 고정 장착된 제2기어(84)를 회전시키게 된다. The first gear 82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shaft 74 and gears to a gear (not shown) connected to a power source (not shown) such as a motor. Accordingly, the first gear 82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ource and rotates the first shaft 74 and the second gear 84 fixedly mounted thereto.

제2기어(84)는 상기 제1축(74)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축(92)에 고정된 제3기어(102)와 기어 결합한다.The second gear 84 is fixed to the first shaft 74 and is gear-engaged with the third gear 102 fixed to the second shaft 92.

이러한 제1축(74)은 그 양단부가 상기 축 안착홀(68a, 68b)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제1기어(82)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한다.Both ends of the first shaft 74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shaft receiving holes 68a and 68b and are rotated by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gear 82. [

성형 롤러부(90)는 제2축(92), 한 쌍의 슬라이더(94a 94b), 성형 롤러(100), 그리고 제3기어(102)를 포함한다.The shaping roller portion 90 includes a second shaft 92, a pair of sliders 94a and 94b, a shaping roller 100, and a third gear 102. [

제2축(92)은 제1축(74)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second shaft 92 is dispos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haft 74.

한 쌍의 슬라이더(94a, 94b)의 전면과 후면에는 슬라이딩 홈(96)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측면 프레임(66a, 66b)의 가이드부(70a, 70b)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워 진다. 또한, 한 쌍의 슬라이더(94a, 94b)의 상면에는 각각 위치 조절 홈(98)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은 스프링(86a, 86b)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86a, 86b)은 상기 가이드부(70a, 70b)의 하면에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72a, 72b)에 안착된다. 제2축(92)의 일단부는 상기 슬라이더(94a)를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고, 제2축(92)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94b)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축(92)은 상기 슬라이더(94a, 94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Sliding grooves 96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air of sliders 94a and 94b so as to be slidably fitted to the guide portions 70a and 70b of the side frames 66a and 66b. Position adjusting grooves 98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air of sliders 94a and 94b and the lower surfaces of the sliders 94a and 94b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s 86a and 86b. The springs 86a and 86b are seated in the spring seating grooves 72a and 72b form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guide portions 70a and 70b. One end of the second shaft 92 protrudes through the slider 94a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haft 92 is inserted into the slider 94b. Accordingly, the second shaft 9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liders 94a and 94b.

성형 롤러(100)는 상기 만두 이송 롤러(76)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2축(92)의 중앙부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제2축(92)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성형 롤러(100)는 상기 롤러 측벽(78a, 78b)의 사이에서 상기 롤러면(80)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The forming roller 100 is fixedly moun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shaft 9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76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shaft 92. The forming roller 100 is disposed close to the roller surface 80 between the roller sidewalls 78a and 78b.

제3기어(102)는 상기 제2축(92)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2기어(84)에 기어 결합한다. 따라서, 제1기어(84)를 통해 입력된 동력은 상기 제2기어(84)를 통해 상기 제3기어(102)에 전달되며 이에 따라 제2축(92)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3기어(102)의 기어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만두 이송 롤러(76)와 성형 롤러(1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두 이송 롤러(76)의 회전 속도와 성형 롤러(100)의 회전 속도는 동일할 수 있다. The third gear 102 is fixedly mounted on one end of the second shaft 92 and gears to the second gear 84. Accordingly, the power inputted through the first gear 84 is transmitted to the third gear 102 through the second gear 84, and thus the second shaft 92 is rotate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76 and the forming roller 10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gear ratio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ears 102. Preferably, the rotating speed of 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76 and the rotating speed of the forming roller 100 may be the same.

위치 조절 손잡이(98)는 상기 상부 프레임(104)을 관통하여 상기 위치 조절 홈(98)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위치 조절 손잡이(98)를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더(94a, 94b)는 가이드부(70a, 70b)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만두 이송 롤러(76)와 상기 성형 롤러(100) 사이의 거리를 조절되게 된다. 이러한 위치 조절 손잡이(98)는 그 위치의 고정을 위하여 너트(N)와 나사 결합할 수도 있다. The position adjusting knob 98 is screwed into the position adjusting groove 98 through the upper frame 104. When the position adjusting knob 98 is rotated, the sliders 94a and 94b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portions 70a and 70b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76 and the forming roller 100 . The position adjustment knob 98 may be screwed with the nut N for fixing the position thereof.

이하,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 사용되는 성형 롤러(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8, the forming roller 100 used in the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에서 성형 롤러의 정면도이다.8 is a front view of a forming roller in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 롤러(100)는 원기둥의 일부를 반경 내측으로 곡률지게 형성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성형 롤러(100)는 몸통 성형부(150), 접합면 성형부(152), 그리고 절단면 성형부(15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shaping roller 100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cylinder is curved inwardly in radius. The forming roller 100 includes a body forming part 150, a bonding surface forming part 152, and a cutting surface forming part 154.

몸통 성형부(150)는 원기둥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그 단면이 하나의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통 성형부(150)를 중앙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작아지는 곡선으로 형성하게 되면 만두피에 비하여 만두소의 양이 작아져서 만두의 맛이 떨어지게 되고, 상기 몸통 성형부(150)를 중앙으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커지는 곡선으로 형성하게 되면 만두를 튀길 때 만두피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통 성형부(150)를 그 단면이 하나의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만두의 맛도 좋게 하고, 튀길 때 만두피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통(202)의 최적 형상을 위한 몸통 성형부(150)의 반경(D2)은 몸통 성형부(150)의 양단 사이의 거리(L)와 관계가 있다. 그 이유는 몸통(202)의 하면과 상면의 길이비가 앞에서 말한 인자에 의하여 정하여지기 때문이다. 수많은 실험 끝에 상기 몸통 성형부의 반경(D2)은 상기 원호의 양단 사이의 거리의 53%~65%이면 최적의 몸통 형상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 경우, 만두를 튀기는 과정에서 만두피가 찢어지지 않으면서 최대한 많은 만두소를 채워 넣을 수 있었다. The body forming part 150 is formed as a circular columnar shape inward from the cylinder and has an arc shape with a single radius in cross section. If the curvature of curvature of curvature of the body shaping part 150 toward the center becomes smaller, the amount of dumplings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dumplings, and the taste of the dumplings decreases. When the curvature radius of the body shaping part 150 increases toward the center If the curved line is formed, the dough becomes torn when the dumplings are fried. Therefore, by forming the body shaping portion 150 in the shape of an arc having a single radius in its cross sec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aste of the dumplings and to prevent the dentifrice from being torn when it is splashed. The radius D2 of the body forming part 150 for the optimal shape of the body 202 is related to the distance L between both ends of the body forming part 150. [ This is because the length ratio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2 is determined by the aforementioned factors. It has been found that the optimal body shape is formed when the radius D2 of the body forming part is 53% to 65% of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arc after many experiments. In this case, the dumplings were not torn in the process of frying the dumplings, so that the dumplings could be filled as much as possible.

접합면 성형부(152)는 상기 몸통 성형부(15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기둥의 옆면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상기 접합면 성형부(152)는 몸통(202)이 형성된 만두피의 양단을 접합하여 하나의 만두로 형성하는 부분이다. 즉, 만두 이송 롤러(76)의 롤러면(80)과 몸통 성형부(150) 사이에서 만두의 몸통(202)이 형성되면, 접합면 성형부(152)와 이송 롤러(76)의 롤러면(80) 사이에서 만두의 접합면(204)이 형성된다. 상기 접합면 성형부(152)와 이송 롤러(76)의 롤러면(80) 사이의 간격은 좁기 때문에 만두피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접합되게 된다. The joint surface forming part 152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forming part 150 and corresponds to the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The joining face forming part 152 is a part formed by joining both ends of a mandrel formed with the body 202 to form a single dumpling. That is, when the dumpling body 202 is formed between the roller face 80 of 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76 and the body forming part 150, the roller face of the contact face forming part 152 and the conveying roller 76 80, the dumpling joint surface 204 is formed. Since the gap between the bonding surface forming portion 152 and the roller surface 80 of the conveying roller 76 is narrow,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ndrel are joined to each other.

절단면 성형부(154)는 상기 접합면 성형부(152)의 중앙에서 반경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단면 성형부(154)는 완성된 만두를 하나씩 자르기 편하게 접합면(204)의 끝단에 접합면(204)보다 얇은 절단면(206)을 형성하게 된다. 절단면 성형부(154)와 이송 롤러(76)의 롤러면(80) 사이의 간격은 매우 좁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접촉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만두에는 절단면(206)이 형성되지 않고, 하나씩 자동으로 잘려서 나오게 된다. The cutting surface forming portion 154 is formed slightly protru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nding surface forming portion 152. The cutting surface forming section 154 forms a cutting surface 206 that is thinner than the bonding surface 204 at the end of the bonding surface 204 so that the finished dumpling can be cut one by one. The gap between the cutting surface forming portion 154 and the roller surface 80 of the conveying roller 76 is very narrow and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s required. In this case, the cutting face 206 is not formed in the buns, but is automatically cut out one by on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로 제조된 만두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mplings made with a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 장치(1)로 제조된 만두는 몸통(202), 접합면(204), 그리고 절단면(206)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만두를 종래의 만두(도 10 참조)와 비교하면 몸통(202)이 훨씬 두껍게 형성된다. 몸통(202)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은 만두소를 채울 공간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몸통(202)의 상면이 하나의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튀길 때 만두피가 찢어지지 않는다. 더 나아가, 혼합 네크(32)에서 2장의 만두피가 교대로 겹쳐지도록 하여 만두피가 찢어지는 현상을 더욱 더 방지하게 된다.
9, the dumplings made with the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body 202, a bonding surface 204, and a cutting surface 206. As shown in Fig. Comparing this dumpling to the conventional dumpling (see Fig. 10), the body 202 is formed much thicker. When the body 202 is formed thick, it means that the space for filling the dumpling is large. Further,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2 is formed into an arc shape having a single radius, the bumps are not torn when they are fried. Furthermore, two blades in the blend neck 32 are alternately overlapped to further prevent the blades from tearing.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Claims (9)

만두소의 재료들을 혼합하는 만두소 공급부와, 만두피의 재료들을 혼합하며 상기 만두소 공급부의 전방에서 상기 만두소 공급부로부터 만두소를 상기 만두피와 섞이지 않게 받는 만두피 공급부와, 상기 만두피 공급부의 전방에서 상기 만두피 공급부로부터 만두소와 만두피를 별도로 공급받고 상기 만두피 속에 만두소를 넣어 반제품을 만드는 혼합 네크와, 상기 혼합 네크의 전방에서 상기 혼합 네크로부터 반제품을 받아 설정된 형태의 만두를 제조하는 만두 성형부를 포함하는 만두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만두 성형부는
원기둥 형상이며,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혼합 네크로부터 상기 반제품을 받아 이송시키는 만두 이송 롤러; 그리고
상기 제1축과 이격된 제2축을 기준으로 상기 만두 이송 롤러에 대응하여 회전하며 상기 만두 이송 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반제품을 설정된 형태의 만두로 성형하는 성형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 롤러는 원기둥 형상의 옆면에 해당하며 만두피를 접합하여 상기 만두의 양단에 접합면을 성형하도록 이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접합면 성형부와, 상기 접합면 성형부 사이에서 상기 옆면의 반경 내측으로 굴곡진 원기둥 형태의 곡률로서 형성되며 상기 만두의 몸통을 성형하는 몸통 성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 성형부는 그 단면이 하나의 반경을 가진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통 성형부의 반경은 상기 원호의 양단 사이의 거리의 53%~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A dumpling supply unit which mixes the dumpling materials and mixes the dumpling materials and receives the dumpling from the dumpling supply unit in front of the dumpling supply unit so as not to mix with the dumpling; And a dumplings form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mi-finished product from the mixed necros on the front side of the mixed nec and to produce a dumpling formed in a predetermined form,
The dumpling forming part
A dumpling conveying roller which is cylindrical and rotates around a first axis and feeds the semi-finished product from the mixed necro; And
And a shaping roller that rotates in correspondence with 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with respect to a second axis spaced from the first axis and forms the semi-finished product into a predetermined type of dumpling between 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and the dumpling conveying roller,
Wherein the shaping roller corresponds to a side surface of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t least two or more joining surface forming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orm a joining surface at both ends of the dumplings, And a body shaping portion formed as a curved shape of a curved cylindrical shape for shaping the dumpling body,
Wherein the body shaping portion is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radius of one cross section,
And the radius of the body shaping portion is 53% to 65% of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ar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네크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만두피 공급부로부터 만두피를 공급받아 얇게 펴서 공급하는 복수개의 제1,2만두피 공급 슬롯과, 상기 제1,2만두피 공급 슬롯의 반경 내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만두소 공급부로부터 만두소를 받아 공급하는 만두소 공급홀을 포함하는 제1포펫; 그리고
원통 형상이며,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하며 그 사이에 틈을 두고 형성된 제2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만두피 속에 만두소가 들어간 반제품을 공급하는 반제품 공급홀을 포함하는 제2포펫;
을 포함하는 만두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end neck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mandrel supply slots penetrating from the front to the back and supplied with the mandibles from the mandrel supply portion and thinly spreading the same, A first poppet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including a dumpling supply hole for receiving and feeding a dumpling from the dumpling supply portion;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formed with a gap therebetween and a semi-finished product supply hole formed in a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inclined surface for supplying a semi-finished product having a dumpling Poppet;
. ≪ / RTI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은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제2만두피 공급 슬롯은 상기 제1만두피 공급 슬롯의 반경 내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dentifrice supply slots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second dentifrice supply slots are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in a radius of the first dentifrice supply slot Manufacturing apparatu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만두피 공급 슬롯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dentifrice supply slots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제1,2만두피 공급 슬롯을 통과한 만두피는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 사이의 틈을 통과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만두소 공급홀을 통과한 만두소는 상기 만두피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umpling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umpling supply slots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rst sloping surface and the second sloping surface and is formed into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dumpling having passed through the dumpling supply hole is inserted into the dumpling Wherein the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롤러는 상기 접합면 성형부에서 반경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접합면에 절단면을 성형하는 절단면 성형부를 더 포함하는 만두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aping roller further protrudes radially outward from the joining surface forming portion and further comprises a cutting surface forming portion for forming a cutting surface on the joining surface to facilitate cutt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만두피와, 상기 만두피 내부에 만두소가 채워진 만두에 있어서,
상기 만두피는 하면이 평평하고, 상면에 볼록하게 몸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의 양단부에 만두피를 접합하는 접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의 끝단에 절단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만두 제조 장치로 제조된 만두.
For dumplings and dumplings filled with dumpling inside the dumplings,
Wherein the dentifrice has a flat bottom surface and a convex bodic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entifrice, a joint surface for joining the dentifrices to both ends of the trunk is formed, a cut surface is formed at an end of the joint surface,
A dumpling made with the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KR1020100113590A 2010-11-15 2010-11-15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mpling and dumpling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14534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590A KR101453439B1 (en) 2010-11-15 2010-11-15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mpling and dumpling manufactur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590A KR101453439B1 (en) 2010-11-15 2010-11-15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mpling and dumpling manufactured by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115A KR20120052115A (en) 2012-05-23
KR101453439B1 true KR101453439B1 (en) 2014-10-21

Family

ID=4626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590A KR101453439B1 (en) 2010-11-15 2010-11-15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mpling and dumpling manufactured by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4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209B1 (en) * 2017-09-08 2019-07-25 (주)서원푸드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CN107712599B (en) * 2017-11-15 2021-02-09 华北科技学院 Equipment is used in dumpling production
KR102015293B1 (en) * 2017-12-08 2019-10-22 주식회사 아하그린푸드 Dumpling forming apparatus and dumpling
KR102040549B1 (en) * 2018-06-18 2019-12-06 방상봉 Dumpling forming apparatus and dumpling
KR102073612B1 (en) * 2018-08-21 2020-02-06 (주)대한기계 Device of molding dumpling
CN110583730A (en) * 2019-10-16 2019-12-20 东莞市银燕电气科技有限公司 Household automatic dumpling wrapper machine
KR102239050B1 (en) * 2020-09-02 2021-04-09 한병규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dumpl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9746A (en) * 1993-09-17 1995-03-28 Hisataka Okamochi Structure of molding drum of continuous production apparatus for gyouza
KR0123947Y1 (en) * 1995-05-04 1998-09-15 김건우 Shaping moulder of automatic bun processor
KR19980087693A (en) * 1998-09-08 1998-12-05 강한용 Dumpling Molding Machine
KR200355074Y1 (en) * 2004-02-20 2004-07-06 김건우 roller and unit for a leaf-type bun usable an automatic small bun manufact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9746A (en) * 1993-09-17 1995-03-28 Hisataka Okamochi Structure of molding drum of continuous production apparatus for gyouza
KR0123947Y1 (en) * 1995-05-04 1998-09-15 김건우 Shaping moulder of automatic bun processor
KR19980087693A (en) * 1998-09-08 1998-12-05 강한용 Dumpling Molding Machine
KR200355074Y1 (en) * 2004-02-20 2004-07-06 김건우 roller and unit for a leaf-type bun usable an automatic small bun manufact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115A (en)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439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mpling and dumpling manufactured by the same
US91136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led extrudate
TW201116213A (en) Donut-shaped food formation device and method
KR102003209B1 (en) Dumpling manufacturing apparatus
US99557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led extrudate
AU2011362612B2 (en) Apparatus for curled extruded food product
CN211983511U (en) Food cutting machine and steamed stuffed bun maker
CN211983521U (en) Steamed stuffed bun machine
CN103053922A (en) Steamed bun making machine
CN212813907U (en) Food processor and steamed stuffed bun maker
CN211703410U (en) Food cutting and processing machine and steamed stuffed bun machine
JP62967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mposite food dough piece having linear pattern
KR20040084642A (en) Machine for forming dumpling
CN203087394U (en) Steamed bun making machine
US9402401B1 (en) Extruded three loop pretzel having a twist-knot appearance at its middle portion, apparatus and die for making said pretzel, and method of forming said pretzel
KR20150117231A (en) A noodle formation devic
KR101871458B1 (en) Manufacturing system for noodle having slope embossing line
KR20150050293A (en) Roller manufacturing method for forming sujebi and roller thereof and device forming sujebi using roller thereof
KR100444296B1 (en) Apparatus to make noodle type stuffed bun
KR101657229B1 (en) Instant rice cake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221134B1 (en) Sujebi noodles manufacturing apparatus
CN116439266A (en) Overlap molding die, overlap molding device and overlap molding method
KR100484026B1 (en) Roll-type ricecake and the device
CN220631918U (en) Single four grinding knife tackle
CN109645046B (en) Machining method of three-dimensional flour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228

Effective date: 201408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100159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228

Effective date: 201408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