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309B1 -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309B1
KR101453309B1 KR1020140039771A KR20140039771A KR101453309B1 KR 101453309 B1 KR101453309 B1 KR 101453309B1 KR 1020140039771 A KR1020140039771 A KR 1020140039771A KR 20140039771 A KR20140039771 A KR 20140039771A KR 101453309 B1 KR101453309 B1 KR 101453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nlarged image
blade
optical lens
enl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구
Original Assignee
조성구
(주)미래광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구, (주)미래광기술 filed Critical 조성구
Priority to KR102014003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309B1/ko
Priority to US15/120,688 priority patent/US9869922B2/en
Priority to PCT/KR2015/002259 priority patent/WO20151525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0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 G02B15/1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by adding a part, e.g. close-up attach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6Pin-hol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4Single movable plate with two or more apertures of graded size, e.g. sliding plate or pivoting 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ou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구경스톱구역이 정의된 위치에 <전자기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른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자신의 개구 폭(또는, 투명영역의 폭)을 넓히거나, 좁히는 일련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선택적으로 결상/형성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스위칭 조리개>를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측에서, 예컨대, 확대이미지용 렌즈시스템을 추가로 탈/부착하여야 하는 어려움, 전체 길이가 증가하는 어려움 등을 겪지 않고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기본적인 촬영이미지 형성 기능은 물론, 일련의 확대이미지 형성 기능(즉, 물체 확대 기능)까지도 융통성 있게 추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각 전자기기 생산주체, 전자기기 사용주체 측에서 확대이미지 형성 기능의 불능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자기기의 품질 경쟁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 전자기기의 활용 폭이 크게 단순해지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The optical lens system for a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이 기본적인 촬영이미지 형성 기능은 물론, 일련의 확대이미지 형성 기능(즉, 물체 확대 기능)까지도 융통성 있게 추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전자기기 생산주체, 전자기기 사용주체 측에서, 예컨대, 확대이미지용 렌즈시스템을 추가로 탈/부착하여야 하는 어려움, 제품의 전체 길이가 증가하는 어려움 등을 겪지 않고서도, 제품의 확대이미지 형성 기능 불능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자기기의 품질 경쟁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 전자기기의 활용 폭이 크게 단순해지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관련기술이 폭 넓은 발전을 이루면서, 카메라(예컨대, 디지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을 장착하여, 일련의 카메라 기능을 다채롭게 수행할 수 있는 전자기기(예컨대, 데스크탑 컴퓨터, 모바일 폰, 테블릿 PC, 게임기, 노트북 등)의 보급 규모 또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0)은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이러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는 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CCD 소자, CMOS 소자 등이 배치된다)와, 이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렌즈(11,12,13,14)들과, 광학렌즈(11,12,13,14)들의 전면공간, 광학렌즈(11,12,13,14)들 간의 이격 공간, 광학렌즈(11,12,13,14)들의 후면공간 등에 위치하는 구경스톱구역(18)(Aperture Stop Area)과, 상기 구경스톱구역(18)에 배치되면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로 들어가는 광선의 광량을 조절하는 구경조리개(17)와,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불필요한 광선들을 차단하는 광학필터(15)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참고로, 상기 광학렌즈(11,12,13,14)들은 1개 이상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만약, 상기 광학렌즈가 1개 존재하게 될 경우, 상기 구경스톱구역(18)은 해당 광학렌즈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구경스톱구역(18)은 광학렌즈 시스템(10)(또는,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특징에 따라, 해당 광학렌즈 시스템(10)의 어느 곳에든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물론, 이러한 구경스톱구역(18)은 모든 광학렌즈 시스템(10)에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는 구경조리개의 위치로 지극히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참고로, 도 1에는 구경스톱구역(18)이 첫 번째 광학렌즈(11) 및 두 번째 광학렌즈(12)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가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각 광학렌즈(11,12,13,14)들을 통과하여 굴절된 후, 광학필터(15)를 통과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결상됨으로써,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참고로, 본 발명의 요지와 동떨어진 불필요한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광축위의 물체 점에서 나오는 광선만 그렸다).
한편, 상술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0)을 장착한 전자기기의 보급 규모가 증가되면서, 이에 맞추어, 해당 전자기기에 별도의 새로운 기능, 예컨대, 물체 확대 기능(현미경 기능, 확대경 기능 등)을 추가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0)을 물체확대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물체(P)와 광학렌즈 시스템(10)의 거리를 가깝게 근접시키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구경조리개(17)의 넓은 개구를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낮은 초점심도를 이루면서, 넓은 폭(H1)으로 벌어진 일련의 발산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매우 흐린 이미지를 형성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0)을 물체확대용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된다(물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P)와 광학렌즈 시스템(10)의 거리를 더 가깝게 근접시키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더 넓은 폭(H2)으로 벌어진 좀 더 심각한 발산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국제공개특허 WO 2006/083081(2006.8.10.자 공개), 미국공개특허 US2011/O292198(2011.12.1.자 공개) 등에서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의 전면에 별도의 물체확대용 렌즈시스템을 추가로 탈/부착 하고, 이를 통해,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이 일련의 물체 확대 기능(예컨대, 현미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기술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기본적으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과 분리된 별도의 물체확대용 렌즈시스템을 독립적으로 탈/부착 하는 지극히 원초적인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와 함께 휴대하며 사용하기에는 매우 부 적절한 치명적인 단점을 나타낼 수밖에 없게 된다.
결국,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 하에서, 종래의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측에서는 자신에게 주어진 기본적인 촬영이미지 형성 기능만을 단순 수행할 수 있었을 뿐, 일련의 확대이미지 형성 기능(즉, 물체 확대 기능)은 추가 수행할 수 없었으며, 그 결과, 각 전자기기 생산주체, 전자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확대이미지 형성 기능의 불능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자기기의 품질 경쟁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 전자기기의 활용 폭이 크게 단순해지는 문제점 등)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국제공개특허 WO 2006/083081(2006.8.10.자 공개) 미국공개특허 US2011/O292198(2011.12.1.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경스톱구역이 정의된 위치에 <전자기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른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자신의 개구 폭(또는, 투명영역의 폭)을 넓히거나, 좁히는 일련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선택적으로 결상/형성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스위칭 조리개>를 추가 배치하고, 이를 통해,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측에서, 예컨대, 확대이미지용 렌즈시스템을 추가로 탈/부착하여야 하는 어려움, 전체 길이가 증가하는 어려움 등을 겪지 않고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기본적인 촬영이미지 형성 기능은 물론, 일련의 확대이미지 형성 기능(즉, 물체 확대 기능)까지도 융통성 있게 추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각 전자기기 생산주체, 전자기기 사용주체 측에서 확대이미지 형성 기능의 불능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자기기의 품질 경쟁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 전자기기의 활용 폭이 크게 단순해지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와; 상기 확대이미지의 형성 시, 상기 물체에 광선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렌즈들과; 상기 광학렌즈들의 전면공간, 상기 광학렌즈들 간의 이격 공간, 또는, 상기 광학렌즈들의 후면공간에 위치하는 구경스톱구역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배치되는 스위칭 조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조리개는 촬영이미지용 개구가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에 설치되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을 좁혀, 상기 광선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핀홀이 중앙에 구비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구부려지거나 펴져, 상기 블레이드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 또는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를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확대이미지용 핀홀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가변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와; 상기 확대이미지의 형성 시, 상기 물체에 광선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렌즈들과; 상기 광학렌즈들의 전면공간, 상기 광학렌즈들 간의 이격 공간, 또는, 상기 광학렌즈들의 후면공간에 위치하는 구경스톱구역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바로 인접한 광학렌즈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배치되는 스위칭 조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조리개는 촬영이미지용 개구가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에 설치되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을 좁혀, 상기 광선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핀홀이 중앙에 구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구부려지거나 펴져, 상기 블레이드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 또는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를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 및 확대이미지용 핀홀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가변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연결부재 또는 블레이드의 일 측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가 상기 광선의 입사경로에 위치할 때,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을 블록킹하는 블록킹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와; 상기 확대이미지의 형성 시, 상기 물체에 광선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렌즈들과; 상기 광학렌즈들의 전면공간, 상기 광학렌즈들 간의 이격 공간, 또는, 상기 광학렌즈들의 후면공간에 위치하는 구경스톱구역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배치되는 스위칭 조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조리개는 촬영이미지용 개구가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에 설치되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을 좁혀, 상기 광선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핀홀이 중앙에 구비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연결된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를 매개로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 또는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를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확대이미지용 핀홀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와; 상기 확대이미지의 형성 시, 상기 물체에 광선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렌즈들과; 상기 광학렌즈들의 전면공간, 상기 광학렌즈들 간의 이격 공간, 또는, 상기 광학렌즈들의 후면공간에 위치하는 구경스톱구역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바로 인접한 광학렌즈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배치되는 스위칭 조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조리개는 촬영이미지용 개구가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에 설치되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을 좁혀, 상기 광선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핀홀이 중앙에 구비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연결된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를 매개로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 또는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를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 및 확대이미지용 핀홀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 또는 블레이드의 일 측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가 상기 광선의 입사경로에 위치할 때,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을 블록킹하는 블록킹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을 개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와; 상기 확대이미지의 형성 시, 상기 물체에 광선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렌즈들과; 상기 광학렌즈들의 전면공간, 상기 광학렌즈들 간의 이격 공간, 또는, 상기 광학렌즈들의 후면공간에 위치하는 구경스톱구역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배치되는 스위칭 조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조리개는 중앙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1 투명판과;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투명판과 일체로 결합되면서,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2 투명판과; 상기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투명판의 중앙에 배치되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을 좁혀, 상기 광선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과; 상기 제 1 투명판 및 제 2 투명판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중앙 투명전극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 또는 상기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규칙적인 배열상태 또는 불규칙적인 배열상태를 이루어,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 상응영역 또는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 상응영역을 투명상태 또는 불투명상태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을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고분자 분산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경스톱구역이 정의된 위치에 <전자기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른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자신의 개구 폭(또는, 투명영역의 폭)을 넓히거나, 좁히는 일련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선택적으로 결상/형성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스위칭 조리개>를 추가 배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측에서는 예컨대, 확대이미지용 렌즈시스템을 추가로 탈/부착하여야 하는 어려움, 전체 길이가 증가하는 어려움 등을 겪지 않고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기본적인 촬영이미지 형성 기능은 물론, 일련의 확대이미지 형성 기능(즉, 물체 확대 기능)까지도 융통성 있게 추가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결국, 각 전자기기 생산주체, 전자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확대이미지 형성 기능의 불능에 따른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자기기의 품질 경쟁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 전자기기의 활용 폭이 크게 단순해지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의 세부적인 구조 및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의 세부적인 구조 및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의 세부적인 구조 및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의 세부적인 구조 및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의 세부적인 구조 및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의 세부적인 구조 및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의 세부적인 구조 및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0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의 세부적인 구조 및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3 내지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의 세부적인 구조 및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00)은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이러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는 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CCD 소자, CMOS 소자 등이 배치된다)와, 이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렌즈(11,12,13,14)들과, 광학렌즈(11,12,13,14)들의 전면공간, 광학렌즈(11,12,13,14)들 간의 이격 공간, 광학렌즈(11,12,13,14)들의 후면공간 등에 위치하는 구경스톱구역(18)(Aperture Stop Area)과,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의 전방에 배치되면서, 불필요한 광선들을 차단하는 광학필터(15)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참고로, 상기 광학렌즈(11,12,13,14)들은 1개 이상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만약, 상기 광학렌즈가 1개 존재하게 될 경우, 상기 구경스톱구역(18)은 해당 광학렌즈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구경스톱구역(18)은 광학렌즈 시스템(100)(또는,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의 특징에 따라, 상기 광학렌즈 시스템(100)의 어느 곳에든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물론, 이러한 구경스톱구역(18)은 모든 광학렌즈 시스템(100)에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는 구경조리개의 위치로 지극히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참고로, 도 3 및 도 4에는 구경스톱구역(18)이 첫 번째 광학렌즈(11) 및 두 번째 광학렌즈(12)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가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각 광학렌즈(11,12,13,14)들을 통과하여 굴절된 후, 광학필터(15)를 통과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결상됨으로써,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도 3 참조).
물론, 상술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00)을 장착한 전자기기에 별도의 새로운 기능, 예컨대, 물체 확대 기능(현미경 기능, 확대경 기능 등)을 추가하려면, 그에 상응하는 독특한 추가 조치가 적절하게 취해져야 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경스톱구역(18)이 정의된 위치에 본 발명 고유의 스위칭 조리개(200)를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200) 측에서는 전자기기 제어모듈(20)의 제어에 따른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자신의 개구 폭을 넓히거나(도 3의 경우), 좁히는(도 4의 경우) 일련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도 3의 경우)> 또는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도 4의 경우)>가 선택적으로 결상/형성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참고로, 아래의 설명에서, 전자기기 제어모듈(20)의 전원 공급/차단을 위한 여러 회로적인 구성요소들은 편의 상 그 세부적인 기재를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200)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과 분리된 별도의 물체확대용 렌즈시스템을 독립적으로 탈/부착 하는 지극히 원초적인 종래의 방식>을 완전히 탈피하여,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00) 내에 안정적으로 내장된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사용자 측에서는 전자기기의 휴대성에 아무런 불편함을 겪지 않으면서도,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는 물론, 확대이미지까지도 자유롭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광원(30) 측에서는 스위칭 조리개(200)의 개구 폭이 좁아져,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도 4의 경우)>가 선택적으로 결상/형성되는 국면에서, 전자기기 제어모듈(20)의 제어에 맞추어, 턴-온(Turn-on)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물체(P) 측으로 일련의 광선이 공급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참고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상기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광원(30)은 상기 전자기기 제어모듈(20)의 제어에 따라, 턴-오프(Turn-off)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상기 스위칭 조리개(2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용 개구조리개의 개구 기능을 하는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 판(201)과, 상기 베이스 판(201)에 설치되며,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의 광폭을 좁혀, 광선(19)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상기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이 중앙에 구비된 블레이드(206)와, 상기 블레이드(206)와 일체로 연결되며, 전자기기 제어모듈(20)에 의한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구부려지거나 펴져(도 6 및 도 7 참조), 상기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 또는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202)를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도 3 및 도 6 참조), 상기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도 4 및 도 7 참조)하는 가변연결부재(207)가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판(201)의 한쪽 가장자리에는 가변연결부재(207)에 형성된 고정돌기(208)를 삽입시켜, 가변연결부재(207)를 베이스 판(201) 상에 움직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 삽입 홈(205)이 추가로 구비되며, 이 고정돌기 삽입 홈(205)의 양 쪽에는 전기선(도시 안됨) 등을 통해, 가변연결부재(20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203,204)가 추가로 구비된다.
여기서,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구부려지거나 펴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가변연결부재(207)는 예를 들어, 전기감응고분자(EAP: Electro-Active Polymers) 재질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변연결부재(207)는 전자성 전기감응고분자 재질(Unimorph 타입) 또는 이온성 전기감응고분자 등의 재질을 가지는 본체(207a)와, 이 본체(207a)의 좌/우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단자(203,2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207b,207c)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가변연결부재(207)에는 상기 블레이드(206)가 상기 베이스 판(201)에 대해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주름(207h)이 상기 베이스 판(20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더 형성된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 조리개(20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00)이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카메라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전극단자(203,204)를 매개로 하여, 가변연결부재(207)의 전극(207b,207c)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성 전기감응고분자 재질 또는 이온성 전기감응고분자 등의 재질을 가지는 가변연결부재(207)의 본체(207a)는 전자분극(전자성 전기감응고분자 재질의 경우), 이온의 이동-확산(이온성 전기감응고분자 재질의 경우) 등을 일으켜, 다수의 주름(207h)을 매개로 구부러지면서, 베이스 판(201)에 대해 평행하게 움직임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촬영이미지용 개구(2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3 및 도 6 참조).
다음으로,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광학렌즈 시스템(100)(또는, 전자기기)을 물체(P)에 근접시키는 절차 및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광원(3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광원(30)을 턴-온 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가변연결부재(207) 측으로의 전원은 차단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이 차단되면, 전자성 전기감응고분자 재질 또는 이온성 전기감응고분자 등의 재질을 가지는 가변연결부재(207)의 본체(207a)는 구부러짐 상태에서 펴짐 상태로 변형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키게 된다(이 경우,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 주변에는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추가 배치될 수도 있다)(이하의 케이스에서 모두 동일하므로, 반복 언급은 생략하기로 함).
물론, 이처럼,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블레이드(206)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블레이드(206)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4 및 도 7 참조).
이때, 본 발명의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은 바람직하게, 0.03mm~0.3mm의 좁은 지름을 형성하고 있어, 종래의 구경조리개와 달리,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의 광폭을 대폭 좁히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본 발명 고유의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의 좁은 개구를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깊은 초점심도를 이루면서, 좁은 폭(h1)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4 참조), 매우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00)을 물체확대용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어려움도 겪지 않게 된다.
여기서,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의 지름이 0.03mm 보다 더 작아지게 되면, 광원(30)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더 증가시켜줘야 함으로써, 전가기기의 전력 소모가 심해지는 단점이 야기될 수 있으며,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의 지름이 0.3mm 보다 더 커지게 되면, 광선의 확산 경향이 커지는 단점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의 지름을 바람직하게, 0.03mm~0.3mm로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정(즉,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전원의 공급/차단절차를 탄력적으로 변형시킬 수도 있다.
우선,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카메라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가변연결부재(207) 측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절차(또는, 전원 공급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또는, 전원 공급 차단상태가 유지되면), 전자성 전기감응고분자 재질 또는 이온성 전기감응고분자 등의 재질을 가지는 가변연결부재(207)의 본체(207a)는 자가 보유 중인 잔류 응력의 지속적인 유지를 통해, 구부려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 상태 유지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촬영이미지용 개구(2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3 및 도 6 참조).
다음으로,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광학렌즈 시스템(100)(또는, 전자기기)을 물체(P)에 근접시키는 절차 및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광원(3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광원(30)을 턴-온 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전극단자(203,204)를 매개로 하여, 가변연결부재(207)의 전극(207b,207c)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성 전기감응고분자 재질 또는 이온성 전기감응고분자 등의 재질을 가지는 가변연결부재(207)의 본체(207a)는 전자분극, 이온의 이동-확산 등을 일으켜, 다수의 주름(207h)을 매개로 펴지면서, 베이스 판(201)에 대해 평행하게 움직임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블레이드(206)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블레이드(206)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4 및 도 7 참조).
한편, 앞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위칭 조리개(200)의 구성요소 내에 <촬영이미지용 개구(202)에 상응하는 개구(211)를 중앙에 구비하면서, 상기 베이스 판(201)과 일체로 결합되는 캡(210)(Cap)>을 추가 배치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캡(210)에 구비된 개구(211)는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이미지용 개구(202)와 동일하거나 조금 큰 사이즈를 가져, 촬영이미지용 개구(202)의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캡(210)이 추가 구비되는 경우, 스위칭 조리개(200)는 베이스 판(201), 블레이드(206), 가변연결부재(207) 등이 캡(210)과 결합된 완성된 형태의 단품을 구성하게 되며, 결국, 단일화 된 상품으로 취급/유통되는데 있어서, 매우 유리한 이점을 폭 넓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캡(21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개구(211) 및 촬영이미지용 개구(2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3, 도 5, 도 6 참조).
또한, 캡(21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개구(211) 및 촬영이미지용 개구(202) 사이의 중간 면이 블레이드(206)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블레이드(206)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4, 도 5, 도 7 참조).
한편, 앞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206)에 구비된 확대이미지용 핀홀(209) 상에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을 수렴시키기 위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렌즈(212)>를 추가 장착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마이크로렌즈(212)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블레이드(206)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핀홀(209)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렌즈(212), 블레이드(206)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209) 등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4, 도 5, 도 7 참조).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 확대이미지용 핀홀(209) 상에는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을 수렴시키기 위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렌즈(212)>가 추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 또 다른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마이크로렌즈(212),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의 좁은 개구 등을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좀 더 좁은 폭(h2)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4 참조), 좀 더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250) 체제 하에서,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구부려지거나 펴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가변연결부재(207)는 예를 들어, 압전 소자 재질(Piezo-electric material)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변연결부재(207)는 압전물질 레이어(207d), 비 압전물질 레이어(207f), 상기 압전물질 레이어(207d) 및 비 압전물질 레이어(207f)에 각기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단자(203,2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207e,207g)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에도, 상기 가변연결부재(207)에는 상기 블레이드(206)가 상기 베이스 판(201)에 대해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주름(207h)이 상기 베이스 판(20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더 형성된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 조리개(250)를 구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10)이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카메라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전극단자(203,204)를 매개로 하여, 가변연결부재(207)의 전극(207e,207g)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절차(예를 들어, 전극(207e)에 (+) 전압을 공급, 전극(207g)에 (-) 전압을 공급)를 진행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압전물질 레이어(207d) 내에 존재하는 (-) 전하는 윗 방향(전극 207e 방향)으로, 또한, 압전물질 레이어(207d) 내에 존재하는 (+) 전하는 아랫 방향(전극 207g 방향)으로 분극되는 현상을 일으켜, 압전물질 레이어(207d)는 위/아래로 부피팽창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 반해, 비 압전물질 레이어(207f)는 별다른 부피변화를 보이지 않게 되며, 그 결과로, 가변연결부재(207)는 다수의 주름(207h)을 매개로 구부러지면서(또는, 휘어지면서), 베이스 판(201)에 대해 평행하게 움직임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지는 동작이 낮은 전압에서도 원활하게 유발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부도체(207m)가 구비된 가이드 전극(207n)을 추가하고, 이를 상기 베이스 판(201)에 결합 고정시켜 둘 수도 있다(도 9 참조). 이 상황에서, 전극(207e)이 (+)일 때, 가이드 전극(207n)으로 (-) 전압이 가해지게 되면, 일련의 정전기력이 발생하여, 전극(207e) 및 가이드 전극(207n)은 서로 당기게 되며, 결국, 상기 가변연결부재(207)는 좀 더 원활한 구부러짐 동작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휘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촬영이미지용 개구(2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3 및 도 9 참조).
다음으로,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광학렌즈 시스템(100)(또는, 전자기기)을 물체(P)에 근접시키는 절차 및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광원(3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광원(30)을 턴-온 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가변연결부재(207) 측으로의 전원은 차단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이 차단되면, 압전 소자 재질을 가지는 가변연결부재(207)는 구부러짐 상태에서 펴짐 상태로 변형되면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블레이드(206)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블레이드(206)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4 및 도 10 참조).
이때에도, 본 발명의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은 바람직하게, 0.03mm~0.3mm의 좁은 지름을 형성하고 있어, 종래의 구경조리개와 달리,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의 광폭을 대폭 좁히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본 발명 고유의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의 좁은 개구를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깊은 초점심도를 이루면서, 좁은 폭(h1)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4 참조), 매우 뚜렷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10)을 물체확대용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어려움도 겪지 않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상기 과정(즉,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전원의 공급/차단절차를 탄력적으로 변형시킬 수도 있다.
우선,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카메라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가변연결부재(207) 측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절차(또는, 전원 공급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된다(이 경우, 가변연결부재(207)는 압전물질 레이어(207d) 및 비 압전물질 레이어(207f)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있는 구조를 기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또는, 전원 공급 차단상태가 유지되면), 압전 소자 재질을 가지는 가변연결부재(207)는 자가 보유 중인 잔류 응력의 지속적인 유지를 통해, 구부려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 상태 유지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촬영이미지용 개구(2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3 및 도 9 참조).
다음으로,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광학렌즈 시스템(110)(또는, 전자기기)을 물체(P)에 근접시키는 절차 및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광원(3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광원(30)을 턴-온 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전극단자(203,204)를 매개로 하여, 가변연결부재(207)의 전극(207e,207g)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압전 소자 재질을 가지는 가변연결부재(207)는 다수의 주름(207h)을 매개로 펴지면서, 베이스 판(201)에 대해 평행하게 움직임으로써,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키게 된다.
여기서도, 상기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지는 동작이 낮은 전압에서도 원활하게 유발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부도체(207m)가 구비된 가이드 전극(207n)을 추가하고, 이를 상기 베이스 판(201)에 결합 고정시켜 둘 수도 있다(도 10 참조). 이 상황에서, 전극(207g)이 (+)일 때, 가이드 전극(207n)으로 (-) 전압이 가해지게 되면, 일련의 정전기력이 발생하여, 전극(207g) 및 가이드 전극(207n)은 서로 당기게 되며, 결국, 상기 가변연결부재(207)는 좀 더 원활한 펴짐 동작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블레이드(206)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블레이드(206)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4 및 도 10 참조).
한편, 앞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스위칭 조리개(250)의 구성요소 내에 <촬영이미지용 개구(202)에 상응하는 개구(211)를 중앙에 구비하면서, 상기 베이스 판(201)과 일체로 결합되는 캡(210)(Cap)>을 추가 배치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캡(210)에 구비된 개구(211)는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이미지용 개구(202)와 동일하거나 조금 큰 사이즈를 가져, 촬영이미지용 개구(202)의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캡(210)이 추가 구비되는 경우, 앞의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스위칭 조리개(250)는 베이스 판(201), 블레이드(206), 가변연결부재(207) 등이 캡(210)과 결합된 완성된 형태의 단품을 구성하게 되며, 결국, 단일화 된 상품으로 취급/유통되는데 있어서, 매우 유리한 이점을 폭 넓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캡(21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개구(211) 및 촬영이미지용 개구(2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3, 도 8, 도 9 참조).
또한, 캡(21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개구(211) 및 촬영이미지용 개구(202) 사이의 중간 면이 블레이드(206)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블레이드(206)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4, 도 8, 도 10 참조).
한편, 앞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도, 블레이드(206)에 구비된 확대이미지용 핀홀(209) 상에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을 수렴시키기 위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렌즈(212)>를 추가 장착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마이크로렌즈(212)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블레이드(206)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핀홀(209)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렌즈(212), 블레이드(206)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209) 등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4, 도 8, 도 10 참조).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 확대이미지용 핀홀(209) 상에는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을 수렴시키기 위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렌즈(212)>가 추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 또 다른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마이크로렌즈(212),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의 좁은 개구 등을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좀 더 좁은 폭(h2)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4 참조), 좀 더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260) 체제 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구경스톱구역(18)에 바로 인접한 광학렌즈면의 중앙, 예를 들어,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 및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각 중앙> 등에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을 추가 형성시키는 조치를 강구함과 아울러, 블레이드(206)의 일 측에,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상기 광선(19)의 입사경로에 위치할 때(도 12 참조),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을 블록킹하는 블록킹 부재(230)>를 추가 형성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이 추가 형성된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등은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이 형성되기 전의 원래의 광학렌즈면(11a)(12a) 보다 더 큰 굴절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앞의 블록킹 부재(230)는 블록킹 영역을 정의하는 블록킹 플레이트(232)와, 이 블록킹 플레이트(232)를 블레이드(206)와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로드(231)가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변연결부재(207)는 예를 들어, 전기감응고분자(EAP: Electro-Active Polymers) 재질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가변연결부재(207)는 전자성 전기감응고분자 재질 또는 이온성 전기감응고분자 등의 재질을 가지는 본체(207a)와, 이 본체(207a)의 좌/우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단자(203,2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207b,207c)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가변연결부재(207)에는 상기 블레이드(206)가 상기 베이스 판(201)에 대해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주름(207h)이 상기 베이스 판(20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더 형성된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 조리개(260)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20)이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카메라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전극단자(203,204)를 매개로 하여, 가변연결부재(207)의 전극(207b,207c)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성 전기감응고분자 재질 또는 이온성 전기감응고분자 등의 재질을 가지는 가변연결부재(207)의 본체(207a)는 전자분극, 이온의 이동-확산 등을 일으켜, 다수의 주름(207h)을 매개로 구부러지면서, 베이스 판(201)에 대해 평행하게 움직임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촬영이미지용 개구(2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2 참조).
이러한 촬영이미지의 형성 국면에서,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개방되게 되면, 블레이드(206)의 일 측에 구비되어 있던 블록킹 부재(230)의 블록킹 플레이트(232) 측에서는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 동작에 맞추어,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을 블록킹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12 참조).
물론, 이러한 블록킹 부재(230)의 블록킹 국면에서,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은 촬영이미지의 형성에 아무런 악영향도 미칠 수 없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광학렌즈 시스템(120)(또는, 전자기기)을 물체(P)에 근접시키는 절차 및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광원(3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광원(30)을 턴-온 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가변연결부재(207) 측으로의 전원은 차단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이 차단되면, 전자성 전기감응고분자 재질 또는 이온성 전기감응고분자 등의 재질을 가지는 가변연결부재(207)의 본체(207a)는 구부러짐 상태에서 펴짐 상태로 변형되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블레이드(206)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 및 블레이드(206)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3 참조).
물론, 이러한 확대이미지의 결상/형성 국면에서, 광선(19)의 입사경로 상에 위치한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 및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각 중앙> 등에는 원래의 광학렌즈면(11a)(12a) 때의 굴절능 보다 더 큰 굴절능을 가지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 또 다른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의 좁은 개구 등을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좀 더 좁은 폭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13 참조), 좀 더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확대이미지의 형성 국면에서,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블레이드(206)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블레이드(206)의 일 측에 구비되어 있던 블록킹 부재(230)의 블록킹 플레이트(232) 측에서는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 동작에 맞추어,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의 블록킹을 해제하게 된다(도 13 참조).
물론, 이러한 블록킹 해제 국면에서, 블록킹 부재(230) 측에서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에 의한 확대이미지의 형성에 아무런 악영향도 미칠 수 없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블록킹 부재(23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 및 블록킹 부재(230)를 구비하는 실시 양태)에서도 상기 과정(즉,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전원의 공급/차단절차를 탄력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지만, 편의상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한편, 앞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스위칭 조리개(260)의 구성요소 내에 <촬영이미지용 개구(202)에 상응하는 개구(211)를 중앙에 구비하면서, 상기 베이스 판(201)과 일체로 결합되는 캡(210)(Cap)>을 추가 배치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캡(210)에 구비된 개구(211)는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이미지용 개구(202)와 동일하거나 조금 큰 사이즈를 가져, 촬영이미지용 개구(202)의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캡(210)이 추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스위칭 조리개(200)는 베이스 판(201), 블레이드(206), 가변연결부재(207) 등이 캡(210)과 결합된 완성된 형태의 단품을 구성하게 되며, 결국, 단일화 된 상품으로 취급/유통되는데 있어서, 매우 유리한 이점을 폭 넓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편의 상, 캡(210)이 추가 구비되었을 때의 촬영이미지/확대이미지 형성과정은 생략하기로 함).
한편,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하에서, 스위칭 조리개(270)에 구비된 가변연결부재(207)는 예를 들어, 압전 소자 재질을 가지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가변연결부재(207)는 압전물질 레이어(207d), 비 압전물질 레이어(207f), 상기 압전물질 레이어(207d) 및 비 압전물질 레이어(207f)에 각기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단자(203,2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207e,207g)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되며, 이때에도, 상기 가변연결부재(207)에는 상기 블레이드(206)가 상기 베이스 판(201)에 대해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주름(207h)이 상기 베이스 판(20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더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구경스톱구역(18)에 바로 인접한 광학렌즈면의 중앙, 예를 들어,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 및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각 중앙> 등에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을 추가 형성시키는 조치를 강구함과 아울러, 블레이드(206)의 일 측에,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상기 광선(19)의 입사경로에 위치할 때(도 15 참조),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을 블록킹하는 블록킹 부재(230)>를 추가 형성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이 추가 형성된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등은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이 형성되기 전의 원래의 광학렌즈면(11a)(12a) 보다 더 큰 굴절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앞의 블록킹 부재(230)는 블록킹 영역을 정의하는 블록킹 플레이트(232)와, 이 블록킹 플레이트(232)를 블레이드(206)와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로드(231)가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 조리개(270)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30)이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카메라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전극단자(203,204)를 매개로 하여, 가변연결부재(207)의 전극(207e,207g)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절차(예를 들어, 전극(207e)에 (+) 전압을 공급, 전극(207g)에 (-) 전압을 공급)를 진행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압전물질 레이어(207d) 내에 존재하는 (-) 전하는 윗 방향(전극 207e 방향)으로, 또한, 압전물질 레이어(207d) 내에 존재하는 (+) 전하는 아랫 방향(전극 207g 방향)으로 분극되는 현상을 일으켜, 압전물질 레이어(207d)는 위/아래로 부피팽창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 반해, 비 압전물질 레이어(207f)는 별다른 부피변화를 보이지 않게 되며, 그 결과로, 가변연결부재(207)는 다수의 주름(207h)을 매개로 구부러지면서(또는, 휘어지면서), 베이스 판(201)에 대해 평행하게 움직임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시키게 된다(물론, 이 경우에도, 상술한 가이드 전극의 활용이 가능함)(편의 상, 이에 대한 세부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
물론, 이처럼,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휘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촬영이미지용 개구(2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5 참조).
이러한 촬영이미지의 형성 국면에서,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개방되게 되면, 블레이드(206)의 일 측에 구비되어 있던 블록킹 부재(230)의 블록킹 플레이트(232) 측에서는 가변연결부재(207)의 구부러짐 동작에 맞추어,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을 블록킹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15 참조).
물론, 이러한 블록킹 부재(230)의 블록킹 국면에서,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은 촬영이미지의 형성에 아무런 악영향도 미칠 수 없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광학렌즈 시스템(130)(또는, 전자기기)을 물체(P)에 근접시키는 절차 및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광원(3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광원(30)을 턴-온 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가변연결부재(207) 측으로의 전원은 차단하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원이 차단되면, 압전 소자 재질을 가지는 가변연결부재(207)는 구부러짐 상태에서 펴짐 상태로 변형되면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206)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블레이드(206)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 및 블레이드(206)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6 참조).
물론, 이러한 확대이미지의 결상/형성 국면에서, 광선(19)의 입사경로 상에 위치한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 및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각 중앙> 등에는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이 형성되기 전의 원래의 광학렌즈면(11a)(12a) 때의 굴절능 보다 더 큰 굴절능을 가지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 또 다른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 확대이미지용 핀홀(209)의 좁은 개구 등을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좀 더 좁은 폭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16 참조), 좀 더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확대이미지의 형성 국면에서,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206)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202)가 블레이드(206)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블레이드(206)의 일 측에 구비되어 있던 블록킹 부재(230)의 블록킹 플레이트(232) 측에서는 가변연결부재(207)의 펴짐 동작에 맞추어,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의 블록킹을 해제하게 된다(도 16 참조).
물론, 이러한 블록킹 해제 국면에서, 블록킹 부재(230) 측에서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에 의한 확대이미지의 형성에 아무런 악영향도 미칠 수 없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블록킹 부재(23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240) 및 블록킹 부재(230)를 구비하는 실시 양태)에서도 상기 과정(즉,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전원의 공급/차단절차를 탄력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지만, 편의상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한편, 앞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스위칭 조리개(270)의 구성요소 내에 <촬영이미지용 개구(202)에 상응하는 개구(211)를 중앙에 구비하면서, 상기 베이스 판(201)과 일체로 결합되는 캡(210)(Cap)>을 추가 배치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캡(210)에 구비된 개구(211)는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이미지용 개구(202)와 동일하거나 조금 큰 사이즈를 가져, 촬영이미지용 개구(202)의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캡(210)이 추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스위칭 조리개(270)는 베이스 판(201), 블레이드(206), 가변연결부재(207) 등이 캡(210)과 결합된 완성된 형태의 단품을 구성하게 되며, 결국, 단일화 된 상품으로 취급/유통되는데 있어서, 매우 유리한 이점을 폭 넓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편의 상, 캡(210)이 추가 구비되었을 때의 촬영이미지/확대이미지 형성과정은 생략하기로 함).
한편,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도, 상기 구경스톱구역(18)이 정의된 위치에 본 발명 고유의 스위칭 조리개(300)를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300) 측에서는 전자기기 제어모듈(20)의 제어에 따른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자신의 개구 폭을 넓히거나(도 17의 경우), 좁히는(도 18의 경우) 일련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도 17의 경우)> 또는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도 18의 경우)>가 선택적으로 결상/형성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에도, 광원(30) 측에서는 스위칭 조리개(300)의 개구 폭이 좁아져,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도 18의 경우)>가 선택적으로 결상/형성되는 국면에서, 전자기기 제어모듈(20)의 제어에 맞추어, 턴-온(Turn-on)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물체(P) 측으로 일련의 광선이 공급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참고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상기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광원(30)은 상기 전자기기 제어모듈(20)의 제어에 따라, 턴-오프(Turn-off)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상기 스위칭 조리개(3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용 개구조리개의 개구 기능을 하는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 판(301)과, 상기 베이스 판(301)에 설치되며,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의 광폭을 좁혀, 광선(19)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상기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핀홀(321)이 중앙에 구비된 블레이드(320)와, 상기 블레이드(320)와 일체로 연결된 링크부재(330)와, 상기 링크부재(330)를 매개로 상기 블레이드(320)와 일체로 연결되며, 전자기기 제어모듈(20)에 의한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330)를 회전시켜(도 21 및 도 22 참조),상기 블레이드(320)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 또는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302)를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도 17 및 도 21 참조), 상기 확대이미지용 핀홀(321)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도 18 및 도 22 참조)하는 액추에이터(310)가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링크부재(330)를 회전시키는 본 발명 고유의 액추에이터(310)는 예를 들어,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타입 액추에이터인 특징을 가지게 된다(통상, MEMS 타입 액추에이터는 실리콘 등의 재질과 전도성 물질(conductive material)을 토대로 광 리소그래프(photolithography), 마이크로 머시닝(micromaching), 도핑(doping), 본딩(bonding), 폴리싱(polishing)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 MEMS 타입 액추에이터(310)는 예컨대, 실리콘 판(311) 위에 형성된 빗살 드라이브(comb drive) 액추에이터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써,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끝이 빗살 모양의 전극(312a,312b)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들(314a,314b)>, <또 다른 전극(314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X' 모양의 힌지(hinge) 역할을 하는 탄성부재(315)>, <그 만나는 중심점(316)을 회전축(pivot)으로 하여 움직일 수 있는 또 다른 빗살 모양의 전극들(312c)을 갖는 회전 부재(317)>, <회전부재(317) 의 한쪽 끝에 형성된 고리(313)> 등을 그 구성요소로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15) 및 회전부재(317),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317)에 형성된 빗살전극(312c) 등은 모두 상기 실리콘 판(311)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참고로, 상기 빗살 모양의 전극들은 상황에 따라, 그 숫자, 모양 등이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상기 액추에이터(310)의 두 전극(314a,314c) 사이에 전압을 가하면, 빗살전극(312a,312c)은 커패시터가 되며, 이에 전압이 가해지므로,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317)는 상기 빗살전극(312a)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만약, 상기 전극(314a)을 전극(314c)(그라운드 전극)과 연결하고, 두 전극 (314b,314c) 사이에 전압을 가하면, 커패시터 역할을 하는 빗살전극(312a,312c) 사이에 저장된 정전에너지는 소멸되고, 이번에는 빗살전극(312c,312b)이 커패시터가 되어, 빗살전극(312b) 방향으로 회전부재(317)가 움직이게 된다.
이렇게 회전부재(317)가 움직이면, 상기 'X' 모양의 탄성부재(315)에는 원 위치하고자 하는 일련의 탄성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전압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회전부재(317)는 상기 'X' 모양의 탄성부재(315)의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상황에 따라서, 빗살 드라이브 액추에이터(310)의 움직이는 변위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재(330)를 촬영이미지용/확대이미지용 등으로 스위칭 시킬 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리콘 판(311) 위에 상기 링크부재(330)의 회전축(319)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317) 끝에 형성된 고리(313)의 작은 변위에 의하여, 링크부재(330)(또는, 블레이드(320))가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330)에는 상기 블레이드(320)가 액추에이터(310)에 구비된 회전축(319)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당 회전축(319)에 결합되는 회전중심축 결합부재(331)가 추가로 구비되며, 또한, 상기 링크부재(330)에는 회전부재(317)에 구비된 고리(313)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부재(317)가 회전하는 경우, 그에 상응하도록 블레이드(320)를 회전축(319)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멍(332)이 추가로 구비된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 조리개(300)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40)이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 전원의 공급이 없으면, 블레이드(320) 측에서는 촬영이미지용 개구(302)를 반쯤 가린 상태에서,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절반쯤 위치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카메라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액추에이터(310)의 두 전극(314b,314c) 사이로 전압을 가하는 전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액추에이터(310)의 두 전극(314b,314c) 사이로 전압이 가해지면, 빗살전극(312b,312c)은 커패시터가 되며, 그 결과,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회전부재(317)는 빗살전극(312b) 방향으로 움직여, 링크부재(330) 측 회전구멍(332)을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며, 그 여파로, 링크부재(330)는 회전축(319)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320)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액추에이터(310)에 기인한 링크부재(330)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20)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촬영이미지용 개구(3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7 및 도 21 참조).
다음으로,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광학렌즈 시스템(140)(또는, 전자기기)을 물체(P)에 근접시키는 절차 및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광원(3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광원(30)을 턴-온 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액추에이터(310)의 두 전극(314a,314c) 사이로 전압을 가하는 전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액추에이터(310)의 두 전극(314a,314c) 사이로 전압이 가해지면, 빗살전극(312a,312c)은 커패시터가 되며, 그 결과,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회전부재(317)는 빗살전극(312a) 방향으로 움직여, 링크부재(330) 측 회전구멍(332)을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며, 그 여파로, 링크부재(330)는 회전축(319)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320)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액추에이터(310)에 기인한 링크부재(330)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20)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블레이드(320)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블레이드(320)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321)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8 및 도 22 참조).
이때에도, 본 발명의 확대이미지용 핀홀(321)은 바람직하게, 0.03mm~0.3mm의 좁은 지름을 형성하고 있어, 종래의 구경조리개와 달리,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의 광폭을 대폭 좁히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본 발명 고유의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핀홀(321)의 좁은 개구를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깊은 초점심도를 이루면서, 좁은 폭(h1)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18 참조), 매우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40)을 물체확대용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어려움도 겪지 않게 된다.
여기서도, 확대이미지용 핀홀(321)의 지름이 0.03mm 보다 더 작아지게 되면, 광원(30)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더 증가시켜줘야 함으로써, 전가기기의 전력 소모가 심해지는 단점이 야기될 수 있으며, 확대이미지용 핀홀(321)의 지름이 0.3mm 보다 더 커지게 되면, 광선의 확산 경향이 커지는 단점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확대이미지용 핀홀(321)의 지름을 바람직하게, 0.03mm~0.3mm로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앞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위칭 조리개(300)의 구성요소 내에 <촬영이미지용 개구(302)에 상응하는 개구(341)를 중앙에 구비하면서, 상기 베이스 판(301)과 일체로 결합되는 캡(340)(Cap)>을 추가 배치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캡(340)에 구비된 개구(341)는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이미지용 개구(302)와 동일하거나 조금 큰 사이즈를 가져, 촬영이미지용 개구(302)의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캡(340)이 추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스위칭 조리개(300)는 베이스 판(301), 블레이드(320), 링크부재(330), 액추에이터(310) 등이 캡(340)과 결합된 완성된 형태의 단품을 구성하게 되며, 결국, 단일화 된 상품으로 취급/유통되는데 있어서, 매우 유리한 이점을 폭 넓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캡(34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액추에이터(310)에 기인한 링크부재(330)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20)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개구(341) 및 촬영이미지용 개구(3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7, 도 19, 도 21 참조).
또한, 캡(34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 액추에이터(310)에 기인한 링크부재(330)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20)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개구(341) 및 촬영이미지용 개구(302) 사이의 중간 면이 블레이드(320)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블레이드(320)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321)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8, 도 19, 도 22 참조).
한편, 앞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블레이드(320)에 구비된 확대이미지용 핀홀(321) 상에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을 수렴시키기 위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렌즈(350)>를 추가 장착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마이크로렌즈(35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액추에이터(310)에 기인한 링크부재(330)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20)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블레이드(320)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핀홀(321)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렌즈(350), 블레이드(320)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321) 등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8, 도 19, 도 22 참조).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 확대이미지용 핀홀(321) 상에는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을 수렴시키기 위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렌즈(350)>가 추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 또 다른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도,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마이크로렌즈(350), 확대이미지용 핀홀(321)의 좁은 개구 등을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좀 더 좁은 폭(h2)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18 참조), 좀 더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빗살 커패시터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력(electrostatic force)을 이용하는 액추에이터(310)>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31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액추에이터(310)는 예컨대, 스태퍼 마이크로 모터 액추에이터, 멤스 마그네틱 액추에이터, 전기감응 고분자 액추에이터, 압전소자 재질 액추에이터 등으로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운동하는 액추에이터를 선형운동으로 바꾸어 블레이드(320)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 또는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기술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이는, 선형운동 역시, 반지름이 매우 큰 회전운동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하에서도, 스위칭 조리개(360)는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 판(301)과, 상기 베이스 판(301)에 설치되며,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의 광폭을 좁혀, 광선(19)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상기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핀홀(372)이 중앙에 구비된 블레이드(371)와, 상기 블레이드(371)와 일체로 연결된 링크부재(374)와, 상기 링크부재(374)를 매개로 상기 블레이드(371)와 일체로 연결되며, 전자기기 제어모듈(20)에 의한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374)를 회전시켜(도 24 및 도 25 참조), 상기 블레이드(371)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 또는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302)를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도 17 및 도 24 참조), 상기 확대이미지용 핀홀(372)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도 18 및 도 25 참조)하는 액추에이터(380)가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374)를 회전시키는 본 발명 고유의 액추에이터(380)는 예를 들어, VCM(Voice Coil Motor) 타입 액추에이터인 특징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VCM 타입 액추에이터(380)는 <U자 형상의 보빈(374b)>, <보빈(374b) 상에 형성되면서, 평면코일(378), 전극(376a) 등을 구비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377)>, <보빈(374b)과 일체로 연결된 스프링(374c)>, <스프링(374c)에 연결된 상태에서, 베이스 판(301)에 설치되어, 스프링(374c)을 베이스 판(301)에 고정시키는 스프링 지지대(374d)>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보빈(374b)의 윗부분에는 <N극이 자기장 형성영역(379a)에 위치하고, S극이 자기장 형성영역(379b)에 위치하는 자석(도시 안됨)>이 배치되며, 보빈(374b)의 아래 부분에는 <N극이 자기장 형성영역(379b)에 위치하고, S극이 자기장 형성영역(379a)에 위치하는 자석(도시 안됨)>이 배치된다(이렇게 자석이 배치된 상황에서, 자기장 형성영역(379a)에서는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방향의 자기장이 형성되며, 자기장 형성영역(379b)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방향의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374)에는 액추에이터(380)에 구비된 보빈(374b)이 좌우 움직이는 동작패턴을 보이는 경우, 그에 상응하도록 블레이드(371)를 회전시키기 위한 피봇축(375)이 추가로 구비된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 조리개(360)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50)이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카메라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액추에이터(380) 측으로 공급되던 전류(전원)를 차단하는 절차(또는, 전류의 차단상태를 유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류가 차단되면(또는, 전류의 차단상태가 유지되면),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은 스프링(374c)에 의해 가해지는 잡아당기는 방향의 탄성력에 따라,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며(또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 여파로 링크부재(374)는 피봇축(375)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함으로써(또는, 좌측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371)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액추에이터(380)에 기인한 링크부재(374)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71)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촬영이미지용 개구(3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7 및 도 24 참조).
다음으로,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광학렌즈 시스템(150)(또는, 전자기기)을 물체(P)에 근접시키는 절차 및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광원(3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광원(30)을 턴-온 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형성영역(379a)에 상응하는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에는 보빈(374a)을 따라 아래에서 위로 흐르는 방향(화살표방향)의 전류(전원)를 인가하는 절차>, <자기장 형성영역(379b)에 상응하는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에는 보빈(374b)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방향의 전류(전원)를 인가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자기장 형성영역(379a)에 상응하는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 및 자기장 형성영역(379b)에 상응하는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에, 보빈(374b)을 따라, 아래에서 위로 흐르는 방향의 전류(전원) 및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방향의 전류(전원)가 각기 인가되면, 자기장 형성영역(379a) 및 자기장 형성영역(379b)에는 위에서 아래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자기장 및 아래에서 위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자기장이 각기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영향에 따라서(즉,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서), 각 자기장 형성영역(379a,379b)에 상응하는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으로는 왼쪽 방향의 힘이 강하게 가해지게 되며, 그에 따라,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 측에서는 스프링(374c)에 의해 가해지는 잡아당기는 방향의 탄성력을 거스르면서,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 여파로, 링크부재(374)는 피봇축(375)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371)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액추에이터(380)에 기인한 링크부재(374)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71)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블레이드(371)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블레이드(371)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372)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8 및 도 25 참조).
이때에도, 본 발명의 확대이미지용 핀홀(372)은 바람직하게, 0.03mm~0.3mm의 좁은 지름을 형성하고 있어, 종래의 구경조리개와 달리,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의 광폭을 대폭 좁히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본 발명 고유의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핀홀(372)의 좁은 개구를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깊은 초점심도를 이루면서, 좁은 폭(h1)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18 참조), 매우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50)을 물체확대용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어려움도 겪지 않게 된다.
한편, 앞의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위칭 조리개(360)의 구성요소 내에 <촬영이미지용 개구(302)에 상응하는 개구(341)를 중앙에 구비하면서, 상기 베이스 판(301)과 일체로 결합되는 캡(340)(Cap)>을 추가 배치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캡(340)에 구비된 개구(341)는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이미지용 개구(302)와 동일하거나 조금 큰 사이즈를 가져, 촬영이미지용 개구(302)의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캡(340)이 추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스위칭 조리개(360)는 베이스 판(301), 블레이드(371), 링크부재(374), 액추에이터(380) 등이 캡(340)과 결합된 완성된 형태의 단품을 구성하게 되며, 결국, 단일화 된 상품으로 취급/유통되는데 있어서, 매우 유리한 이점을 폭 넓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캡(34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액추에이터(380)에 기인한 링크부재(374)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71)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개구(341) 및 촬영이미지용 개구(3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7, 도 23, 도 24 참조).
또한, 캡(34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 액추에이터(380)에 기인한 링크부재(374)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71)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개구(341) 및 촬영이미지용 개구(302) 사이의 중간 면이 블레이드(371)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블레이드(371)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372)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8, 도 23, 도 25 참조).
한편, 앞의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블레이드(371)에 구비된 확대이미지용 핀홀(372) 상에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을 수렴시키기 위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렌즈(390)>를 추가 장착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마이크로렌즈(39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액추에이터(380)에 기인한 링크부재(374)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71)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블레이드(371)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핀홀(372) 상에 형성된 마이크로렌즈(390), 블레이드(371)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372) 등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18, 도 23, 도 25 참조).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 확대이미지용 핀홀(372) 상에는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을 수렴시키기 위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렌즈(390)>가 추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 또 다른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도,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마이크로렌즈(390), 확대이미지용 핀홀(372)의 좁은 개구 등을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좀 더 좁은 폭(h2)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18 참조), 좀 더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의 실시 예에 기재된 링크부재 구동용 자기장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액추에이터(380) 내에 막대자석 한 개만을 보빈(374b)의 위 또는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이 막대자석을 이용하여 링크부재 구동용 자기장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서는 액추에이터(380) 내에 외부 오토포커스 자석을 구비시킨 후, 이 외부 오토포커스 자석을 이용하여 링크부재 구동용 자기장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400) 체제 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구경스톱구역(18)에 바로 인접한 광학렌즈면의 중앙, 예를 들어,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 및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각 중앙> 등에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을 추가 형성시키는 조치를 강구함과 아울러(도 28 및 도 29 참조), 링크부재(330)의 일 측에, <블레이드(320)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상기 광선(19)의 입사경로에 위치할 때(도 28 참조),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을 블록킹하는 블록킹 부재(403)>를 추가 형성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이 추가 형성된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등은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이 형성되기 전의 원래의 광학렌즈면(11a)(12a) 보다 더 큰 굴절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앞의 블록킹 부재(403)는 블록킹 영역을 정의하는 블록킹 플레이트(402)와, 이 블록킹 플레이트(402)를 링크부재(330)와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로드(401)가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링크부재(330)를 회전시키는 본 발명 고유의 액추에이터(310)는 예를 들어,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타입 액추에이터인 특징을 가지게 되며, 이 경우에도, 상기 MEMS 타입 액추에이터(310)는 <한쪽 끝이 빗살 모양의 전극(312a,312b)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들(314a,314b)>, <또 다른 전극(314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X' 모양의 힌지(hinge) 역할을 하는 탄성부재(315)>, <그 만나는 중심점(316)을 회전축(pivot)으로 하여 움직일 수 있는 또 다른 빗살 모양의 전극들(312c)을 갖는 회전 부재(317)>, <회전부재(317) 의 한쪽 끝에 형성된 고리(313)> 등을 그 구성요소로 구비하게 된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 조리개(400)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60)이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 전원의 공급이 없으면, 블레이드(320) 측에서는 촬영이미지용 개구(302)를 반쯤 가린 상태에서,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절반쯤 위치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카메라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액추에이터(310)의 두 전극(314b,314c) 사이로 전압을 가하는 전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액추에이터(310)의 두 전극(314b,314c) 사이로 전압이 가해지면, 빗살전극(312b,312c)은 커패시터가 되며, 그 결과,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회전부재(317)는 빗살전극(312b) 방향으로 움직여, 링크부재(330) 측 회전구멍(332)을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며, 그 여파로, 링크부재(330)는 회전축(319)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320)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액추에이터(310)에 기인한 링크부재(330)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20)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촬영이미지용 개구(3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26 및 도 28 참조).
이러한 촬영이미지의 형성 국면에서, 액추에이터(310)에 의한 링크부재(330)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20)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개방되게 되면, 링크부재(33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있던 블록킹 부재(403)의 블록킹 플레이트(402) 측에서는 링크부재(330)의 회전 동작에 맞추어,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을 블록킹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28 참조).
물론, 이러한 블록킹 부재(403)의 블록킹 국면에서,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은 촬영이미지의 형성에 아무런 악영향도 미칠 수 없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광학렌즈 시스템(160)(또는, 전자기기)을 물체(P)에 근접시키는 절차 및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광원(3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광원(30)을 턴-온 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액추에이터(310)의 두 전극(314a,314c) 사이로 전압을 가하는 전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액추에이터(310)의 두 전극(314a,314c) 사이로 전압이 가해지면, 빗살전극(312a,312c)은 커패시터가 되며, 그 결과,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회전부재(317)는 빗살전극(312a) 방향으로 움직여, 링크부재(330) 측 회전구멍(332)을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며, 그 여파로, 링크부재(330)는 우측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320)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액추에이터(310)에 기인한 링크부재(330)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20)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블레이드(320)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 블레이드(320)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321) 등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26 및 도 29 참조).
물론, 이러한 확대이미지의 결상/형성 국면에서, 광선(19)의 입사경로 상에 위치한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 및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각 중앙> 등에는 원래의 광학렌즈면(11a)(12a) 때의 굴절능 보다 더 큰 굴절능을 가지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 또 다른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도,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 확대이미지용 핀홀(321)의 좁은 개구 등을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좀 더 좁은 폭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29 참조), 좀 더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확대이미지의 형성 국면에서, 액추에이터(310)에 의한 링크부재(330)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20)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블레이드(320)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링크부재(330)의 일 측에 구비되어 있던 블록킹 부재(403)의 블록킹 플레이트(402) 측에서는 링크부재(330)의 회전동작에 맞추어,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의 블록킹을 해제하게 된다(도 29 참조).
물론, 이러한 블록킹 해제 국면에서, 블록킹 부재(403) 측에서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에 의한 확대이미지의 형성에 아무런 악영향도 미칠 수 없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블록킹 부재(403)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도 스위칭 조리개(400)의 구성요소 내에 <촬영이미지용 개구(302)에 상응하는 개구(341)를 중앙에 구비하면서, 상기 베이스 판(301)과 일체로 결합되는 캡(340)(Cap)>을 추가 배치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캡(340)에 구비된 개구(341)는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이미지용 개구(302)와 동일하거나 조금 큰 사이즈를 가져, 촬영이미지용 개구(302)의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캡(340)이 추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스위칭 조리개(400)는 베이스 판(301), 블레이드(320), 링크부재(330), 액추에이터(310) 등이 캡(340)과 결합된 완성된 형태의 단품을 구성하게 되며, 결국, 단일화 된 상품으로 취급/유통되는데 있어서, 매우 유리한 이점을 폭 넓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편의 상, 캡(340)이 추가 구비되었을 때의 촬영이미지/확대이미지 형성과정은 생략하기로 함).
한편, 도 30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450) 체제 하에서도, 액추에이터(380)는 예를 들어, VCM(Voice Coil Motor) 타입 액추에이터인 특징을 가지면서, <U자 형상의 보빈(374b)>, <보빈(374b) 상에 형성되면서, 평면코일(378), 전극(376a) 등을 구비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377)>, <보빈(374b)과 일체로 연결된 스프링(374c)>, <스프링(374c)에 연결된 상태에서, 베이스 판(301)에 설치되어, 스프링(374c)을 베이스 판(301)에 고정시키는 스프링 지지대(374d)>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에도, 본 발명에서는 구경스톱구역(18)에 바로 인접한 광학렌즈면의 중앙, 예를 들어,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 및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각 중앙> 등에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을 추가 형성시키는 조치를 강구함과 아울러(도 31 및 도 32 참조), 링크부재(374)의 일 측에, <블레이드(371)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상기 광선(19)의 입사경로에 위치할 때(도 31 참조),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을 블록킹하는 블록킹 부재(403)를 추가 형성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이 추가 형성된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등은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이 형성되기 전의 원래의 광학렌즈면(11a)(12a) 보다 더 큰 굴절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앞의 블록킹 부재(403)는 블록킹 영역을 정의하는 블록킹 플레이트(402)와, 이 블록킹 플레이트(402)를 링크부재(374)와 일체로 연결시키는 연결로드(401)가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 조리개(450)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70)이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카메라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액추에이터(380) 측으로 공급되던 전류(전원)를 차단하는 절차(또는, 전류의 차단상태를 유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전류가 차단되면(또는, 전류의 차단상태가 유지되면),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은 스프링(374c)에 의해 가해지는 잡아당기는 방향의 탄성력에 따라, 오른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며(또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 여파로 링크부재(374)는 좌측으로 회전함으로써(또는, 좌측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371)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액추에이터(380)에 기인한 링크부재(374)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71)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개방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촬영이미지용 개구(302)를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31 참조).
이러한 촬영이미지의 형성 국면에서, 액추에이터(380)에 의한 링크부재(374)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71)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개방되게 되면, 링크부재(374)의 일 측에 구비되어 있던 블록킹 부재(403)의 블록킹 플레이트(402) 측에서는 링크부재(374)의 회전 동작에 맞추어,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을 블록킹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31 참조).
물론, 이러한 블록킹 부재(403)의 블록킹 국면에서,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은 촬영이미지의 형성에 아무런 악영향도 미칠 수 없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광학렌즈 시스템(170)(또는, 전자기기)을 물체(P)에 근접시키는 절차 및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광원(3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광원(30)을 턴-온 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장 형성영역(379a)에 상응하는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에는 보빈(374b)을 따라 아래에서 위로 흐르는 방향(화살표 방향)의 전류(전원)를 인가하는 절차>, <자기장 형성영역(379b)에 상응하는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에는 보빈(374b)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방향의 전류(전원)를 인가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자기장 형성영역(379a)에 상응하는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 및 자기장 형성영역(379b)에 상응하는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에, 상기 보빈(374b)을 따라 아래에서 위로 흐르는 방향의 전류(전원) 및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방향의 전류(전원)가 각기 인가되면, 자기장 형성영역(379a) 및 자기장 형성영역(379b)에는 위에서 아래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자기장 및 아래에서 위로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자기장이 각기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영향에 따라서(즉,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서), 각 자기장 형성영역(379a,379b)에 상응하는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으로는 왼쪽 방향의 힘이 강하게 가해지게 되며, 그에 따라, 액추에이터(380) 측 보빈(374b) 측에서는 스프링(374c)에 의해 가해지는 잡아당기는 방향의 탄성력을 거스르면서,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고, 그 여파로, 링크부재(374)는 피봇축(375)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과 일체로 연결된 블레이드(371)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시키게 된다.
물론, 이처럼, 액추에이터(380)에 기인한 링크부재(374)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71)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블레이드(371)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 블레이드(371)에 구비되어 있던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핀홀(372) 등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32 참조).
물론, 이러한 확대이미지의 결상/형성 국면에서, 광선(19)의 입사경로 상에 위치한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 및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각 중앙> 등에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이 형성되기 전 원래의 광학렌즈면(11a)(12a) 때의 굴절능 보다 더 큰 굴절능을 가지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 또 다른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도,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 확대이미지용 핀홀(372)의 좁은 개구 등을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좀 더 좁은 폭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32 참조), 좀 더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확대이미지의 형성 국면에서, 액추에이터(380)에 의한 링크부재(374)의 회전동작에 의해 블레이드(371)가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B)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개구(302)가 블레이드(371)에 의해 차단되게 되면, 링크부재(374)의 일 측에 구비되어 있던 블록킹 부재(403)의 블록킹 플레이트(402) 측에서는 링크부재(374)의 회전동작에 맞추어,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A)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의 블록킹을 해제하게 된다(도 32 참조).
물론, 이러한 블록킹 해제 국면에서, 블록킹 부재(403) 측에서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410)에 의한 확대이미지의 형성에 아무런 악영향도 미칠 수 없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블록킹 부재(403)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도 스위칭 조리개(450)의 구성요소 내에 <촬영이미지용 개구(302)에 상응하는 개구(341)를 중앙에 구비하면서, 상기 베이스 판(301)과 일체로 결합되는 캡(340)(Cap)>을 추가 배치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캡(340)에 구비된 개구(341)는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수행하는 촬영이미지용 개구(302)와 동일하거나 조금 큰 사이즈를 가져, 촬영이미지용 개구(302)의 촬영이미지용 구경조리개 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캡(340)이 추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스위칭 조리개(450)는 베이스 판(301), 블레이드(371), 링크부재(374), 액추에이터(380) 등이 캡(340)과 결합된 완성된 형태의 단품을 구성하게 되며, 결국, 단일화 된 상품으로 취급/유통되는데 있어서, 매우 유리한 이점을 폭 넓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편의 상, 캡(340)이 추가 구비되었을 때의 촬영이미지/확대이미지 형성과정은 생략하기로 함).
한편,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80) 체제 하에서도, 구경스톱구역(18)이 정의된 위치에는 스위칭 조리개(500)가 추가 배치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500) 측에서는 전자기기 제어모듈(20)의 제어에 따른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유효 투명영역의 폭을 넓히거나(도 33의 경우), 좁히는(도 34의 경우) 일련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도 33의 경우)> 또는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도 34의 경우)>가 선택적으로 결상/형성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500) 역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과 분리된 별도의 물체확대용 렌즈시스템을 독립적으로 탈/부착 하는 지극히 원초적인 종래의 방식>을 완전히 탈피하여,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80) 내에 안정적으로 내장된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사용자 측에서는 전자기기의 휴대성에 아무런 불편함을 겪지 않으면서도,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는 물론, 확대이미지까지도 자유롭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광원(30) 측에서는 스위칭 조리개(500)의 유효 투명영역 폭이 좁아져,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도 34의 경우)>가 선택적으로 결상/형성되는 국면에서, 전자기기 제어모듈(20)의 제어에 맞추어, 턴-온(Turn-on)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물체(P) 측으로 일련의 광선이 공급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참고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상기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광원(30)은 상기 전자기기 제어모듈(20)의 제어에 따라, 턴-오프(Turn-off)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위칭 조리개(500)는 중앙 투명전극(504) 및 중앙 투명전극(504)의 외곽을 감싸는 외곽 투명전극(503)을 구비하는 제 1 투명판(501)과(이 경우, 상기 중앙 투명전극과 외곽 투명전극은 상황에 따라, 하나의 투명전극으로 합체될 수도 있다), 제 1 투명판(501)의 테두리에 배치된 측판(502)과(이 경우, 측판(502)은 하기 제 2 투명판(511)의 테두리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일련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제 1 투명판(501)과 일체로 결합되면서,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및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의 외곽을 감싸는 외곽 투명전극(513)을 구비하는 제 2 투명판(511)과, 상기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제 2 투명판(511)의 중앙에 배치되며,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의 광폭을 좁혀, 광선(19)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상기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과, 상기 제 1 투명판(501) 및 제 2 투명판(511)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며, 중앙 투명전극(504)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또는 상기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규칙적인 배열상태 또는 불규칙적인 배열상태를 이루어,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상응영역(Q) 또는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을 투명상태 또는 불투명상태로 조절함으로써,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을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도 33의 경우), 상기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도 34의 경우)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제 1 투명판(501) 상에는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으로부터 출력/인가되는 전압(전원)을 중앙 투명전극(504)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극선(505)이 추가로 배치되며, 제 2 투명판(511) 상에도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으로부터 출력/인가되는 전압(전원)을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극선(516) 및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으로부터 출력/인가되는 전압(전원)을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극선(517)이 추가로 배치된다.
이 경우, 각 전극선(505,516,517)들은 제 1 투명판(501) 및 제 2 투명판(511)이 상/하(또는, 전/후) 결합되는 국면에서, 불필요한 투명영역이 생기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그 형성 방향을 서로 달리하거나, 불투명 코팅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투명판(501) 및 제 2 투명판(511)은 투명한 유리 재질 또는 투명한 고분자 재질(예컨대, 투명 폴리에스테르,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투명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투명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 투명전극(504), 외곽 투명전극(503,513),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등은 산화인듐주석, 그래핀(Graphene), PEDOT(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CNT(Carbon Nano Tube) 등의 재질을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은 액정입자와 안료가 분산된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고분자 화합물로는 폴리비닐 알콜계, 에폭시계,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계 폴리머 메트릭스 등이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액정입자로는 시아노-바이페닐(Cyano-Biphenyl) 계열의 단일 액정들이 혼합된 혼합액정, 바이페닐 메소겐(Biphenyl Mesogen)에 플루오르가 치환된 단일액정들이 혼합된 혼합액정, 터셔리 패닐(Ter-Phenyl) 및 바이패닐(Biphenyl) 계열의 단일액정들이 혼합된 혼합액정 등이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안료료는 중 크롬 안료(Dichromic pigment)가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에는 전압의 인가 시,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의 배향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계면활성제가 추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예컨대,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Stearyl Methacrylate)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 조리개(500)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80)이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카메라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카메라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전극선(505), 전극선(516) 등을 매개로 하여,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등으로 전압(전원)을 인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3 참조).
이렇게 하여,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등으로 전압(전원)이 인가되면, 그 영향으로 인해, 중앙 투명전극(504) 및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상응영역(Q)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은 분극을 이루어, 규칙적으로 배열하게 됨으로써,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상응영역(Q)을 투명상태로 조절하게 된다.
이때, 제 2 투명판(511)의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으로는 별도의 전압(전원)이 인가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은 불규칙적인 배열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을 불투명상태로 조절하게 된다.
물론, 이처럼,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등으로 전압(전원)이 인가되어, 그 상응영역(Q)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이 규칙적으로 배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상응영역(Q)이 투명상태를 이루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33 참조).
다음으로,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광학렌즈 시스템(180)(또는, 전자기기)을 물체(P)에 근접시키는 절차 및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광원(3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광원(30)을 턴-온 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전극선(505), 전극선(517) 등을 매개로 하여,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등으로 전압(전원)을 인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4 참조).
이렇게 하여,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등으로 전압(전원)이 인가되면, 그 영향으로 인해, 중앙 투명전극(504) 및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은 분극을 이루어, 규칙적으로 배열하게 됨으로써,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을 투명상태로 조절하게 된다.
이때, 제 2 투명판(511)의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으로는 별도의 전압(전원)이 인가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상응영역(Q)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은 불규칙적인 배열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상응영역(Q)을 불투명상태로 조절하게 된다.
물론, 이처럼,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등으로 전압(전원)이 인가되어, 그 상응영역(R)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이 규칙적으로 배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이 투명상태를 이루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34 참조).
이때, 본 발명의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은 앞의 확대이미지용 핀홀과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0.03mm~0.3mm의 좁은 지름을 형성하고 있어, 종래의 구경조리개와 달리,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의 광폭을 대폭 좁히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본 발명 고유의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에 의해 정의된 좁은 영역을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깊은 초점심도를 이루면서, 좁은 폭(h1)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34 참조), 매우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주체 측에서는 종래와 달리,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80)을 물체확대용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어려움도 겪지 않게 된다.
여기서도,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의 지름이 0.03mm 보다 더 작아지게 되면, 광원(30)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세기를 더 증가시켜줘야 함으로써, 전가기기의 전력 소모가 심해지는 단점이 야기될 수 있으며,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의 지름이 0.3mm 보다 더 커지게 되면, 광선의 확산 경향이 커지는 단점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의 지름을 바람직하게, 0.03mm~0.3mm로 유지시키게 된다.
한편, 앞의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에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을 수렴시키기 위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렌즈(530)>를 추가 장착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마이크로렌즈(53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등으로 전압(전원)이 인가되어, 그 상응영역(R)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이 규칙적으로 배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이 투명상태를 이루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마이크로렌즈(530) 등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에는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을 수렴시키기 위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렌즈(530)>가 추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 또 다른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마이크로렌즈(530) 등을 연이어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좀 더 좁은 폭(h2)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좀 더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서는 구경스톱구역(18)에 바로 인접한 광학렌즈면의 중앙, 예를 들어,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 및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각 중앙> 등에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540)을 추가 형성시키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 경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540)이 추가 형성된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등은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540)이 형성되기 전의 원래의 광학렌즈면(11a)(12a) 보다 더 큰 굴절능을 가지게 된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가지는 스위칭 조리개(500)를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190)이 전원의 공급 상태에 따라,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카메라 기능 을 활용하기 위해,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카메라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전극선(505), 전극선(516) 등을 매개로 하여,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등으로 전압(전원)을 인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5 참조).
이렇게 하여,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등으로 전압(전원)이 인가되면, 그 영향으로 인해, 중앙 투명전극(504) 및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상응영역(Q)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은 분극을 이루어, 규칙적으로 배열하게 됨으로써,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상응영역(Q)을 투명상태로 조절하게 된다.
이때, 제 2 투명판(511)의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으로는 별도의 전압(전원)이 인가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은 불규칙적인 배열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을 불투명상태로 조절하게 된다.
물론, 이처럼,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등으로 전압(전원)이 인가되어, 그 상응영역(Q)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이 규칙적으로 배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상응영역(Q)이 투명상태를 이루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넓은 폭의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35 참조).
이러한 촬영이미지의 형성 국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540)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은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상응영역(Q)과 달리, 불투명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540)(또는, 이를 통과하는 광선)을 블록킹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그 결과,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540)은 촬영이미지의 형성에 아무런 악영향도 미칠 수 없게 되고,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540)의 추가 구비 상황 하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촬영이미지를 정상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측에서,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광학렌즈 시스템(190)(또는, 전자기기)을 물체(P)에 근접시키는 절차 및 일련의 전산조작절차(예컨대, 전자기기의 물체확대기능 관련 버튼, 아이콘, 소프트웨어 등을 구동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키게 되면, 전자기기 제어모듈(20) 측에서는 광원(3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해당 광원(30)을 턴-온 시키는 절차를 진행시킴과 아울러, 전극선(505), 전극선(517) 등을 매개로 하여,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등으로 전압(전원)을 인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36 참조).
이렇게 하여,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등으로 전압(전원)이 인가되면, 그 영향으로 인해, 중앙 투명전극(504) 및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은 분극을 이루어, 규칙적으로 배열하게 됨으로써,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을 투명상태로 조절하게 된다.
이때에도, 제 2 투명판(511)의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으로는 별도의 전압(전원)이 인가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상응영역(Q)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은 불규칙적인 배열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514) 상응영역(Q)을 불투명상태로 조절하게 된다.
물론, 이처럼,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 제 2 투명판(511)의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등으로 전압(전원)이 인가되어, 그 상응영역(R)에 중간 배치되어 있던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의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안료 등이 규칙적으로 배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상응영역(R)이 투명상태를 이루게 되면,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540),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등을 경유하여,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에 물체(P)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를 결상/형성하게 되며, 결국, 전자기기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확대이미지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도 36 참조).
물론, 이러한 확대이미지의 결상/형성 국면에서, 광선(19)의 입사경로 상에 위치한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중앙>,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앞 광학렌즈면(11a) 및 구경스톱구역(18)의 바로 뒤 광학렌즈면(12a)의 각 중앙> 등에는 원래의 광학렌즈면(11a)(12a) 때의 굴절능 보다 더 큰 굴절능을 가지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54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 또 다른 확대이미지 구현환경 하에서, 물체(P)로부터 입사되는 광선(19)은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540), 좁은 폭의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 등을 연이어 통과한 후, 물체이미지 형성부재(16) 상에서 <좀 더 좁은 폭으로 모여진 일련의 수렴 형 초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도 36 참조), 좀 더 뚜렷한 확대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을 제 1 투명판(501)에 설치하는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투명판(501)의 중앙 투명전극(504)은 자신의 중앙에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515)을 추가 구비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이 경우, 상기 제 1 투명판과 제 2 투명판 모두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 뿐만 아니라 상기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의 중앙에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을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고분자 분산 액정층(52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상응영역을 투명상태 또는 불투명 상태로 조절하는 원리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편의 상,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블록킹 부재를 블레이드가 아닌 가변연결부재에 설치하거나, 링크부재가 아닌 블레이드에 설치하거나, 나아가, 보빈에 설치하는 등의 변화된 조치를 강구할 수도 있다(도 11,14,26,30 참조)(물론, 이러한 변화된 실시형태 이외에도, <블레이드와 일체가 되어 움직이는 별도의 부재를 스위칭 조리개 내에 추가로 설치하고, 이 별도의 부재에 블록킹 부재를 설치하는 변화된 조치>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블레이드/가변연결부재/링크부재의 정의/범위 내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100,110,120,130,140,150,160,170,180,190: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11,12,13,14: 광학렌즈 15: 광학필터 16: 물체이미지 형성부재
17: 구경조리개 18: 구경스톱구역 19: 광선
20: 전자기기 제어모듈 30: 광원 P: 물체
200,250,260,270,300,360,400,450,500; 스위칭 조리개
201,301: 베이스 판 202,302: 촬영이미지용 개구
A: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 영역 B: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
206,320,371: 블레이드 209,321,372: 확대이미지용 핀홀
207: 가변연결부재 330,374: 링크부재 310,380: 액추에이터
501: 제 1 투명판 502: 측벽 503,513: 외곽전극 504: 중앙전극
505,516,517: 전극선 514: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
515: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 520: 고분자 분산 액정층

Claims (16)

  1.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와;
    상기 확대이미지의 형성 시, 상기 물체에 광선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렌즈들과;
    상기 광학렌즈들의 전면공간, 상기 광학렌즈들 간의 이격 공간, 또는, 상기 광학렌즈들의 후면공간에 위치하는 구경스톱구역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배치되는 스위칭 조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조리개는 촬영이미지용 개구가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에 설치되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을 좁혀, 상기 광선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핀홀이 중앙에 구비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구부려지거나 펴져, 상기 블레이드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 또는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를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확대이미지용 핀홀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가변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2.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와;
    상기 확대이미지의 형성 시, 상기 물체에 광선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렌즈들과;
    상기 광학렌즈들의 전면공간, 상기 광학렌즈들 간의 이격 공간, 또는, 상기 광학렌즈들의 후면공간에 위치하는 구경스톱구역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바로 인접한 광학렌즈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배치되는 스위칭 조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조리개는 촬영이미지용 개구가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에 설치되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을 좁혀, 상기 광선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핀홀이 중앙에 구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구부려지거나 펴져, 상기 블레이드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 또는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를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 및 확대이미지용 핀홀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가변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연결부재 또는 블레이드의 일 측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가 상기 광선의 입사경로에 위치할 때,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을 블록킹하는 블록킹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연결부재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베이스 판에 대해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주름이 상기 베이스 판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연결부재는 전기감응고분자(EAP: Electro-Active Polymers) 재질 또는 압전 소자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5.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와;
    상기 확대이미지의 형성 시, 상기 물체에 광선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렌즈들과;
    상기 광학렌즈들의 전면공간, 상기 광학렌즈들 간의 이격 공간, 또는, 상기 광학렌즈들의 후면공간에 위치하는 구경스톱구역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배치되는 스위칭 조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조리개는 촬영이미지용 개구가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에 설치되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을 좁혀, 상기 광선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핀홀이 중앙에 구비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연결된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를 매개로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 또는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를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확대이미지용 핀홀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6.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와;
    상기 확대이미지의 형성 시, 상기 물체에 광선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렌즈들과;
    상기 광학렌즈들의 전면공간, 상기 광학렌즈들 간의 이격 공간, 또는, 상기 광학렌즈들의 후면공간에 위치하는 구경스톱구역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바로 인접한 광학렌즈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배치되는 스위칭 조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조리개는 촬영이미지용 개구가 중앙에 구비된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에 설치되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을 좁혀, 상기 광선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핀홀이 중앙에 구비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연결된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를 매개로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로 연결되며,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블레이드를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 또는 촬영이미지용 개구 형성영역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를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 및 확대이미지용 핀홀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 또는 블레이드의 일 측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 비 형성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가 상기 광선의 입사경로에 위치할 때, 상기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을 블록킹하는 블록킹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VCM(Voice Coil Motor) 타입 액추에이터, 또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타입 액추에이터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8.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조리개는 상기 촬영이미지용 개구에 상응하는 개구를 중앙에 구비하면서, 상기 베이스 판과 일체로 결합되는 캡(Ca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9.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은 0.03mm~0.3mm의 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이미지용 핀홀 상에는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수렴시키기 위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렌즈가 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11. 물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촬영이미지 또는 확대이미지의 형성을 위한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와;
    상기 확대이미지의 형성 시, 상기 물체에 광선을 공급하는 광원과;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렌즈들과;
    상기 광학렌즈들의 전면공간, 상기 광학렌즈들 간의 이격 공간, 또는, 상기 광학렌즈들의 후면공간에 위치하는 구경스톱구역과;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배치되는 스위칭 조리개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조리개는 중앙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1 투명판과;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투명판과 일체로 결합되면서,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을 구비하는 제 2 투명판과;
    상기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투명판의 중앙에 배치되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의 광폭을 좁혀, 상기 광선의 초점심도를 깊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물체이미지 형성부재에, 상기 물체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과;
    상기 제 1 투명판 및 제 2 투명판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중앙 투명전극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 또는 상기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에 따라, 규칙적인 배열상태 또는 불규칙적인 배열상태를 이루어,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 상응영역 또는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 상응영역을 투명상태 또는 불투명상태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이 상기 촬영이미지용 투명전극을 경유하여, 촬영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거나, 상기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을 경유하여, 확대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고분자 분산 액정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경스톱구역에 바로 인접한 광학렌즈면의 중앙에는 상기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에 상응하는 확대이미지용 마이크로렌즈면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은 0.03mm~0.3mm의 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이미지용 투명전극 상에는 물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을 수렴시키기 위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마이크로렌즈가 추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분산 액정층은 고분자 화합물, 액정입자 및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판에 구비된 상기 중앙 투명전극의 중앙에는 상기 확대이미지용 투명 전극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KR1020140039771A 2014-04-03 2014-04-03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KR101453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771A KR101453309B1 (ko) 2014-04-03 2014-04-03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US15/120,688 US9869922B2 (en) 2014-04-03 2015-03-09 Optical lens system for camera
PCT/KR2015/002259 WO2015152528A1 (ko) 2014-04-03 2015-03-09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771A KR101453309B1 (ko) 2014-04-03 2014-04-03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309B1 true KR101453309B1 (ko) 2014-10-22

Family

ID=5199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771A KR101453309B1 (ko) 2014-04-03 2014-04-03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69922B2 (ko)
KR (1) KR101453309B1 (ko)
WO (1) WO2015152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309B1 (ko) * 2014-04-03 2014-10-22 조성구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CN107894204B (zh) * 2016-10-04 2020-02-2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干涉仪及其成像方法
US20230262311A1 (en) * 2020-06-04 2023-08-17 Lg Electronics Inc. Camera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951A (ja) 2002-12-26 2004-07-22 Canon Inc 光量調整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5326777A (ja) 2004-05-17 2005-11-24 Fujinon Corp レンズ鏡胴
KR20090076635A (ko) * 2008-01-09 2009-07-13 (주)미래광기술 현미경용 광학 렌즈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3691B1 (en) * 1989-10-16 1995-06-07 Fuji Photo Film Co., Ltd. Camera
JPH10325972A (ja) * 1997-03-24 1998-12-08 Gokou Internatl Corp:Kk 全領域撮影用カメラ
JP2004333554A (ja) 2003-04-30 2004-11-25 Canon Inc 光量調節装置、撮影装置、及びフィルタ
KR20050006623A (ko) * 2003-07-09 2005-01-1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배율조절이 가능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1279B1 (ko) 2004-09-30 2007-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폰용 카메라모듈의 조리개 일체형 셔터
KR101058020B1 (ko) 2004-11-12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용 조리개장치
KR100513156B1 (ko) 2005-02-05 2005-09-07 아람휴비스(주) 휴대폰용 고배율 확대 영상 장치
US7832948B1 (en) * 2007-09-13 2010-11-16 Tessera MEMS Technologies, Inc. Impulse actuated MEMS devices
JP5479224B2 (ja) 2010-05-27 2014-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反射屈折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US20110292463A1 (en) 2010-05-31 2011-12-0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System for identifying physical page containing printed text
KR101453309B1 (ko) * 2014-04-03 2014-10-22 조성구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951A (ja) 2002-12-26 2004-07-22 Canon Inc 光量調整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5326777A (ja) 2004-05-17 2005-11-24 Fujinon Corp レンズ鏡胴
KR20090076635A (ko) * 2008-01-09 2009-07-13 (주)미래광기술 현미경용 광학 렌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69922B2 (en) 2018-01-16
US20170017134A1 (en) 2017-01-19
WO2015152528A1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67783B (zh) 驱动液态镜头的马达组件、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US7683968B2 (en) Image-taking apparatus
JP6832344B2 (ja) マルチチャネル撮像装置を備える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612362B2 (en) Thin active optical zoom len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1677363B (zh) 摄像机设备
WO2013140978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装置
JP2007256956A (ja) 可変焦点距離定倍率レンズアセンブリを備えた撮像装置、およびこの撮像装置を用いた撮像方法
US8773573B1 (en) Adjustable lens array with variable optical power
KR101453309B1 (ko)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CN115993751A (zh) 相机模块与电子装置
US20100277638A1 (en) Image space focus
CN112822346B (zh) 潜望式摄像模组和电子设备
WO2021171030A1 (en) A camera assembly
JP3875660B2 (ja) マルチ静電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550307B1 (ko) 카메라용 광학렌즈 시스템
EP3114518B1 (en) Camera and lens module
US20120056991A1 (en) Image sensor, video camera, and microscope
KR100562720B1 (ko) 통신기기용 소형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TWI510807B (zh) 變焦鏡頭及其應用的電子設備
JP5690076B2 (ja) 撮像レンズユニット機器
EP2160642B1 (en) Single motor and clutch unit for independently adjusting two lens assemblies
JP2015154223A (ja) 撮影装置
CN217087972U (zh) 一种获取超分辨率图像的装置
KR102066234B1 (ko) 박막형 능동 광학 줌 렌즈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113511B1 (ko) 반사형 초점 가변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