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985B1 -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985B1
KR101452985B1 KR1020140028692A KR20140028692A KR101452985B1 KR 101452985 B1 KR101452985 B1 KR 101452985B1 KR 1020140028692 A KR1020140028692 A KR 1020140028692A KR 20140028692 A KR20140028692 A KR 20140028692A KR 101452985 B1 KR101452985 B1 KR 101452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voltage
heate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구
Original Assignee
이근구
(주)그리에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구, (주)그리에이트 filed Critical 이근구
Priority to KR102014002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2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controlling or indicating the tempera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구동부(13)와 연결되어 외부의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속도센서(SS)와, 상기 가속도센서(SS)에서 얻은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구동부(13)에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MCU)가 구비된 충격제어부(30)가 구비되어, 상기 헤어아이론이 사용되지 않을 때 전원을 차단하여 헤어아이론의 히터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여 안정성이 높아지고, 상기 히터발열부의 과부하를 체크하고 히터발열부의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비교기를 구비함으로써, 추가적인 온도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히터발열부의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머리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Power Control unit having Acceleration sensor for hair iron}
본 발명은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헤어아이론에서 발생되는 변위변화 혹은 충격 등을 감지하여 공급전원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기소모를 감소하고, 전원코드에 접속된 헤어아이론의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위험성을 저하시킨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아이론은 전열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발열부로 머리카락을 압착하여 머리카락을 웨이브지게 형성하거나 또는 곱슬머리를 스트레이트의 직모로 펴는 데에 널리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여기서, 헤어아이론은 대부분 한 쌍의 손잡이의 일단부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집게 형상을 이루고, 각 손잡이의 타단 내측면에 전원을 인가 받아 발열되는 히터발열부가 대향 설치되고, 상기 히터발열부는 전열판으로 구성되어 일정한 열을 발열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 작동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스위치의 수동 작동을 전기적 작동으로 대체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한국 등록실용 제20-0358507호(2004.08.02)에는 온도센서를 부가하여 상기 히터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어하는 헤어아이론의 제어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온도에서 반응하는 TEMP퓨즈(T/F)를 거쳐 입력되는 AC전원을 맥류전원으로 변환하는 브릿지다이오드(BD)와, 브릿지다이오드(BD)와 연결되어 일정한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공급하면서 역류를 방지하는 제너다이오우드(ZD) 및 승압 DC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토록 하는 DC-DC 컨버터 기능을 하는 제어IC인 레귤레이터(Q1)를 갖는 전원공급부(1)와; 상기 전원공급부(1)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LCD(2)의 구동 제어가 가능하고 다수개의 조작스위치(SW1,2,3) 입력이 하나의 입력단에서 처리되도록 설계되어 IC칩화 된 CPU(3)와; AC전원을 직접 공급받아 히터(4)(4a)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실리콘정류제어기(SCR) 및 상기 CPU(3)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따라 실리콘정류제어기(SCR)의 게이트(G)에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실리콘정류제어기(SCR)의 ON/OFF를 제어하는 포토커플러(P/C)로 이루어진 히터구동부(5)와; 상기 히터(4)(4a)의 온도를 감지하여 CPU로 입력하는 센서(SEN)의 오차를 보정하도록된 가변저항(VR1)을 갖는 센서부(6)와; 상기 CPU(3)의 단자 하나에 접속된 전원스위치(SW1) 및 온도 UP/DOWN스위치(SW2)(SW3)로 이루어진 조작버튼부(7)로 구성된다.
상기의 종래 기술은 입력 전원을 브릿지다이오드가 받아들여 DC전원 적분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너다이오드와 레귤레이터를 구비하여 2차에 걸쳐 DC전원이 만들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DC전원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CPU(3)와 출력측 사이에 포토커플러와 실리콘정류제어기를 구비함으로써 출력측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상 현상으로부터 CPU(3)를 보호하여 회로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센서의 오차 및 회로의 오차를 감안하여 센서 셋팅값을 외부에서 V/R을 통해 1차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동작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회로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헤어아이론 사용 중 이동상황이 발생하여 헤어아이론이 전원이 인가된 상태로 이동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공급전원을 차단할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를 별도로 부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헤어아이론의 히터발열부를 제어하게 되어 복잡한 회로 구조로 이루어진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는 상기 CPU(3)와 같은 전력 소모가 많은 복잡한 회로 구조와 더불어 앞서 기술한 공급전원을 차단할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에너지소비효율을 개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준전압와 구동 전압를 비교하는 연산증폭기와 온도 설정 전압와 기준전압를 비교하는 연산증폭기를 구비하여 히터발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외부에서 발생된 충격을 감지하는 기능을 헤어아이론의 전원부와 연결하여 공급전원을 온오프하여 제어함에 따라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헤어아이론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2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는 외부 전원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이엠아이와, 상기 이엠아이의 전원을 반파정류하여 정전압으로 공급하는 정전압부가 구비된 전원입력부와; 상기 정전압부에서 생성된 정전압 전원을 온오프하여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구동부와; 상기 전원구동부에서 공급된 상기 구동전원을 전압승하강하여 비교전원으로 인가하는 가변저항이 구비된 온도조절부와; 상기 온도조절부에서 출력된 상기 비교전원의 전압과 상기 전원구동부에서 출력된 상기 구동전원의 전압을 비교하는 제1연산증폭기와, 상기 전원구동부에서 출력된 상기 구동전원의 전압과 그라운드 전압을 비교하는 제2연산증폭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1연산증폭기와 상기 제2연산증폭기의 전압차이를 출력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된 상기 전압차이를 게이트신호로 활용하여 상기 외부전원을 히터발열부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실리콘정류제어기가 구비된 히터제어부와; 상기 전원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토록 외부 충격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속도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에서 얻은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충격제어부와; 상기 히터발열부가 통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표시부; 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신호를 정해진 시간 동안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구동부와 상기 온도조절부와의 사이에는 외부 전원을 온오프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입력부에는 외부의 이상 전원으로부터 내부 장치를 보호하는 SVR바리스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아이론에 충격이나 위치 변화가 일어남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전원구동부의 베이스전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함으로써, 헤어아이론이 사용되지 않을 때 전원을 차단하여 헤어아이론의 히터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여 안정성이 높아지고
둘째, 입력부에 구비된 EMI 회로와 히터발열부에 연결된 실리콘정류제어기를 구비하여, 외부의 이상신호나 낙뢰를 차단하거나 바이패스하여 내부회로의 보호함으로써 내부회로 소자들의 수명이 증대되며,
셋째, 히터발열부의 과부하를 체크하고 히터발열부의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비교기를 구비함으로써, 추가적인 온도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히터발열부의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머리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넷째, 헤어아이론을 사용자가 사용시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컨트롤러와 전원구동부를 구성함으로써 히터발열부에서 소모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를 나타내 보인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따른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이엠아이(11)와, 상기 이엠아이(11)의 전원을 반파정류하여 정전압으로 공급하는 정전압부(12)가 구비된 전원입력부(10)와; 상기 정전압부(12)에서 생성된 정전압 전원을 온오프하여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구동부(13)와; 상기 전원구동부(13)에서 공급된 상기 구동전원을 전압승하강하여 비교전원으로 인가하는 가변저항이 구비된 온도조절부(14)와; 상기 온도조절부(14)에서 출력된 상기 비교전원의 전압과 상기 전원구동부(13)에서 출력된 상기 구동전원의 전압을 비교하는 제1연산증폭기(OP1)와, 상기 전원구동부(13)에서 출력된 상기 구동전원의 전압과 그라운드 전압을 비교하는 제2연산증폭기(OP2)가 구비되어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와 상기 제2연산증폭기(OP2)의 전압차이를 출력하는 비교부(15)와; 상기 비교부(15)에서 출력된 상기 전압차이를 게이트신호로 활용하여 상기 외부전원을 히터발열부(16)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실리콘정류제어기(SCR)가 구비된 히터제어부(17)와; 상기 전원구동부(13)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토록 외부 충격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속도센서(SS)와, 상기 가속도센서(SS)에서 얻은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MCU)가 구비된 충격제어부(30)와; 상기 히터발열부(16)가 통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다이오드(LED)가 구비된 표시부(1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전압부(12)는 역방향으로 연결되어 일정 전압이상에서 전류가 흐르는 제너다이오(ZD)로 특성을 이용한 구성이고, 이는 전압을 일정하게 하되, 상기 이엠아이(EMI)에서 입력된 노이즈가 제거된 AC전원의 양의 전압을 정류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구동부(13)은 상기 정전압부(12)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TR(Q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스위치TR(Q5)의 베이스에는 상기 베이스의 전류게인을 증폭시키기 위한 전류게인TR(Q2, Q3, Q4)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충격제어부(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MCU)와 상기 컨트롤러(MCU)의 구동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단이 부가되고, 상기 충격제어부(30)의 충격입력단자(GP4)에는 센서캡(C1)과 상기 센서캡(C1)과 병령연결된 가속도센서(SS)가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MCU)는 상기 제어신호를 정해진 시간 동안 발생시키되, 상기 컨트롤러(MCU)의 충격출력단자(GP1)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인가하게 된다.
즉, 상기 컨트롤러(MCU)의 상기 충격출력단자(GP1)는 제어TR(Q1)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TR(Q1)를 온오프시키게 되며, 이는 상기 전원스위치TR(Q5)과 상기 전류게인TR(Q2, Q3, Q4)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조절부(14)는 휘스톤브리지로 구성된 저항(R1, R2, R2, R4)와 가변저항(VR1, VR2, VR3)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구동부(13)에서 구동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저항(R1, R2, R2, R4)과 상기 가변저항(VR1, VR2, VR3)의 비율에 따라 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비교부(15)의 비교전압으로 인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변저항(VR1, VR2, VR3)은 외부에서 조정가능한 다이얼방식의 조절단자와 연결되어 구성되며 미세하게 비교전압을 사용자가 설정하여 상기 비교전압을 상기 비교부(15)에 인가시켜 상기 히터발열부(16)의 온도를 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구동부(13)와 상기 온도조절부(14)와의 사이에는 외부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SW)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전원을 온오프가 가능하게 되며, 이는 외부에서 상기 스위치(SW)가 상기 전원구동부(13)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위치되어 전원을 온오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입력부(10)에는 외부의 이상 전원으로부터 내부 장치를 보호하는 SVR바리스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VR바리스터는 비선형 반도체 저항소자로 특정 이상의 전압이 내부로 인가되는 것을 방지토록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SVR바리스터(SVR)는 외부의 전원에서 이상 고압의 전원이 들어오면 이를 흡수하여 내부의 회로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과 상기 제2연산증폭기(OP2)는 상기 온도조절부(14)에서 인가된 비교전압과 그라운드(기준)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출력하여 상기 히터제어부(17)의 실리콘정류제어기(SCR)의 구동을 온오프 시키게되며, 이는 상기 실리콘정류제어기(SCR)의 게이트 전류로 동작하여 상기 히터발열부(16)에 AC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인가시키게 한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정류제어기(SCR)는 게이트에 양의전류가 흐르면 온이되고 음의전류가 인가되면 오프가 되는 GTO실리콘정류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표시부(16)는 AC전원이 상기 히터발열부(16)이나 상기 구동전압이 인가될 시에 상기 발광다이오드(LED)가 구동되어 외부에서 전원인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입력부(10)의 앞단에는 외부 전원에 이한 노이즈가 심할 경우를 대비하여 노이즈감쇠부(B1, B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속도센서(SS)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을 감지하고 이를 전원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로 활용하여 헤어아이론에 미사용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며, 차단되지 않는 미사용 전원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2차사고를 미연에 방지한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입력부(10)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원구동부(13)의 구동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며, 상기 전원구동부(13)에 구비된 상기 전원스위치TR(Q5)의 온오프 스위치 동작은 상기 비교부(15)와 상기 히터제어부(17)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스위치TR(Q5)는 상기 충격제어부(30)에서 인가된 신호에 따라 온오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충격제어부(30)의 상기 가속도센서(SS)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온되면 센서캡(C1)이 방전이 되면서 상기 충격입력단자(GP4)에 음의 신호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충격출력단자(GP1)은 음의 신호를 제어TR(Q1)에 인가되어 상기 전원스위치TR(Q5)가 오프되도록 하게된다.
이때, 외부의 충격 발생시 상기 충격제어부(3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전류게인TR(Q2, Q3, Q4)에 연결되어 있지만 상기 전원구동부(13)의 동작에는 관여하지 않게된다.
반면, 상기 제어TR(Q1)이 온되면 상기 전류게인TR(Q4)의 베이스가 바로 접지되는 효과를 일으키게 되어 상기 전원스위치TR(Q5)을 오프 상태로 만들게 되며, 이는 상기 히터발열부(16)로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비교부(15)는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와 상기 제2연산증폭기(OP2)가 상기 온도조절부(14)에서 출력되는 상기 비교전압과 기준전압(그라운드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제어부(17)에 인가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히터제어부(17)의 실리콘정류제어기(SCR)는 양의 전류가 인가되면 온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AC전원을 상기 히터발열부(16)에 통전하게 되며, 음의 전류가 인가되면 오프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히터발열부(16)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교부(15)에 입력되는 상기 기준전압은 상기 히터발열부(16)의 온도변화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이는 코일을 온도상승에 따른 저항이 올라가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로 인한 상기 히터발열부(16)의 온도 상승은 상기 기준전압가 상승하게 되어 상기 비교전압과의 차이가 없어질 때 상기 실리콘정류제어기(SCR)를 열린(오프)상태로 만들게 된다. 즉, 상기 히터발열부(16)의 과열을 차단을 목적으로도 활용된다.
한편, 상기 전원구동부(13)에 구비된 전류게인TR(Q2, Q3, Q4)는 낮은 전압이 걸리는 베이스 전류를 증폭하게 되어, 이는 결국 상기 전원스위치TR(Q5)의 베이스 전류를 증대시키게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전원스위치TR(Q5)의 구동에 있어 전류 감쇠가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원입력부 11 : 이엠아이
12 : 정전압부 13 : 전원구동부
14 : 온도조절부 15 : 비교부
16 : 히터발열부 17 : 히터제어부
18 : 표시부 30 : 충격제어부
Q1 : 제어TR Q2, Q3, Q4 : 전류게인TR
Q5 : 전원스위치TR SVR : SVR바리스터
SCR : 실리콘정류제어기 OP1 : 제1연산증폭기
OP2 : 제2연산증폭기 MCU : 컨트롤러
SS : 가속도센서 SW : 스위치
C1 : 센서캡 B1, B2 : 노이즈감쇠부
ZD : 제너다이오드 VR1, VR2, VR3 : 가변저항
GP1 : 충격출력단자 GP4 : 충격입력단자

Claims (4)

  1. 외부 전원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는 이엠아이(11)와, 상기 이엠아이(11)의 전원을 반파정류하여 정전압으로 공급하는 정전압부(12)가 구비된 전원입력부(10)와;
    상기 정전압부(12)에서 생성된 정전압 전원을 온오프하여 구동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구동부(13)와;
    상기 전원구동부(13)에서 공급된 상기 구동전원을 전압승하강하여 비교전원으로 인가하는 가변저항이 구비된 온도조절부(14)와;
    상기 온도조절부(14)에서 출력된 상기 비교전원의 전압과 상기 전원구동부(13)에서 출력된 상기 구동전원의 전압을 비교하는 제1연산증폭기(OP1)와, 상기 전원구동부(13)에서 출력된 상기 구동전원의 전압과 그라운드 전압을 비교하는 제2연산증폭기(OP2)가 구비되어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와 상기 제2연산증폭기(OP2)의 전압차이를 출력하는 비교부(15)와;
    상기 비교부(15)에서 출력된 상기 전압차이를 게이트신호로 활용하여 상기 외부전원을 히터발열부(16)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실리콘정류제어기(SCR)가 구비된 히터제어부(17)와;
    상기 전원구동부(13)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토록 외부 충격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속도센서(SS)와, 상기 가속도센서(SS)에서 얻은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컨트롤러(MCU)가 구비된 충격제어부(30)와;
    상기 히터발열부(16)가 통전 상태임을 알리는 발광다이오드(LED)가 구비된 표시부(1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센서(SS)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MCU)는 상기 제어신호를 정해진 시간 동안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센서(SS)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구동부(13)와 상기 온도조절부(14)와의 사이에는 외부 전원을 온오프 하는 스위치(SW)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센서(SS)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부(10)에는 외부의 이상 전원으로부터 내부 장치를 보호하는 SVR바리스터(SVR)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도센서(SS)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
KR1020140028692A 2014-03-12 2014-03-12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 KR101452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92A KR101452985B1 (ko) 2014-03-12 2014-03-12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692A KR101452985B1 (ko) 2014-03-12 2014-03-12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985B1 true KR101452985B1 (ko) 2014-10-22

Family

ID=5199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692A KR101452985B1 (ko) 2014-03-12 2014-03-12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9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4594A (zh) * 2015-05-27 2015-08-05 深圳市奋达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美发装置
KR101546634B1 (ko) * 2014-11-14 2015-08-28 (주)한국메디칼 휴대용 온열 레이저 찜질기
CN105231632A (zh) * 2015-11-05 2016-01-13 新联电器厂有限公司 一种基于动作感应的电风筒
WO2023031030A1 (en) 2021-09-03 2023-03-09 L'oreal Hair treatment device that diffuses steam onto the hair
WO2024028369A1 (en) 2022-08-02 2024-02-08 L'oreal Device for treating the h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6506A (ja) * 1992-01-18 1993-08-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非接触型温度センサー及びこれを備えたヘアドライヤー
JPH05253014A (ja) * 1992-03-16 1993-10-05 Sanyo Electric Co Ltd ヘアドライヤ
KR200358507Y1 (ko) 2004-04-17 2004-08-11 이승수 헤어 아이론의 제어장치
KR20130012424A (ko) * 2011-07-25 2013-02-04 이승수 헤어 미용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6506A (ja) * 1992-01-18 1993-08-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非接触型温度センサー及びこれを備えたヘアドライヤー
JPH05253014A (ja) * 1992-03-16 1993-10-05 Sanyo Electric Co Ltd ヘアドライヤ
KR200358507Y1 (ko) 2004-04-17 2004-08-11 이승수 헤어 아이론의 제어장치
KR20130012424A (ko) * 2011-07-25 2013-02-04 이승수 헤어 미용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634B1 (ko) * 2014-11-14 2015-08-28 (주)한국메디칼 휴대용 온열 레이저 찜질기
CN104814594A (zh) * 2015-05-27 2015-08-05 深圳市奋达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美发装置
CN105231632A (zh) * 2015-11-05 2016-01-13 新联电器厂有限公司 一种基于动作感应的电风筒
WO2023031030A1 (en) 2021-09-03 2023-03-09 L'oreal Hair treatment device that diffuses steam onto the hair
FR3126602A1 (fr) 2021-09-03 2023-03-10 L'oreal Dispositif de traitement des cheveux diffusant de la vapeur sur ceux-ci
WO2024028369A1 (en) 2022-08-02 2024-02-08 L'oreal Device for treating the hair
FR3138608A1 (fr) 2022-08-02 2024-02-09 L'oreal Dispositif de traitement des cheveu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985B1 (ko) 가속도센서가 구비된 헤어아이론의 전원제어장치
JP406437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用半導体装置
US9078324B2 (en) LED driving device, LED lighting apparatus, and error amplification circuit
JP6280975B2 (ja) リレーの誤作動検出装置
JP2014204573A5 (ko)
US5838556A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US20090206776A1 (en) Led drive circuit and led illumination device using same
JP6171724B2 (ja) Led電源装置及びled照明装置
WO2012008002A1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及び発光ダイオード駆動用半導体装置
JP2013070598A (ja) 駆動電源及びこれを採用する電子装置
US9385615B2 (en) Isolated switching power supply
KR101135893B1 (ko) 전원공급장치
KR200445786Y1 (ko) 전기온열매트용 온도조절기
KR20180072384A (ko) 저발열 밸브 구동기
CN116251297A (zh) 美容仪
KR101296876B1 (ko) 엘이디 조명등용 디밍 회로 및 디밍 회로를 구비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JP4969204B2 (ja) 過電流保護回路
JP2003219635A5 (ko)
US9525353B2 (en) Switching power-supply device for performing control of output voltage switching operation
CN112764448B (zh) 过温度补偿控制电路
JP4603944B2 (ja) 節電装置
US8415928B2 (en) Power circuit
US6888390B2 (en) Timer circuit for valve activation in oil burner system
JP2004297927A (ja) 過電流保護回路
KR101312671B1 (ko) 저항값 측정을 통한 발열체의 발열 온도 조절용 컨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