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893B1 -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893B1
KR101135893B1 KR1020070084069A KR20070084069A KR101135893B1 KR 101135893 B1 KR101135893 B1 KR 101135893B1 KR 1020070084069 A KR1020070084069 A KR 1020070084069A KR 20070084069 A KR20070084069 A KR 20070084069A KR 101135893 B1 KR101135893 B1 KR 101135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transformer
output
uni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547A (ko
Inventor
이승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893B1/ko
Priority to US12/103,731 priority patent/US8085560B2/en
Priority to CN2008101471317A priority patent/CN101373925B/zh
Publication of KR2009001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3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of the forward type
    • H02M3/3354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of the forward typ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 H02M3/335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of the forward typ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공급장치는 1차측으로 공급되는 입력전원을 변환하여 2차측으로 유기하는 트랜스포머와; 트랜스포머의 2차측의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트랜스포머의 2차측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와; 트랜스포머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출력전류 및 출력전압의 곱으로 이루어진 출력에너지가 일정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이상 전압이 지속되는 상태 뿐 아니라 이상 전류가 지속되는 경우에도 피드백 작용에 의한 출력 에너지의 제한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전압 또는 과전류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전자제품의 각 부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서, 프린터를 비롯한 많은 전자제품에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정류부를 통해 직류전원으로 변환된 입력전원을 2차측으로 유기하는 트랜스포머(T1)와, 유기된 2차측 전원에 의해 발광 및 수광하는 포토커플러 발광부(PD1) 및 포토커플러 수광부(PT1)와, 포토 커플러 수광부(PT1)와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와 캐패시터(C1)의 전압을 센싱하는 CONTROL IC와, CONTROL IC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칭 소자(Q1)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종래의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는 트랜스포머 2차측 출력전압 과 출력전류의 곱인 출력에너지가 적절한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한한다.
이러한 출력 에너지를 제한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OCP(Over Current Protection)와 OVP(Over Voltage Protection)를 들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OCP와 OVP는 출력전류 또는 출력전압이 기준값과 비교하여 순간적으로 지나치게 높은 값에 도달하는 경우, Control IC가 스위칭 소자(FET)의 스위칭 동작을 멈춤으로써 출력 에너지를 제한하게 된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 출력전압 또는 출력전류가 스위칭 동작을 제한하는 기준값과 정상값 사이의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이상동작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적절한 출력에너지의 제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지속적인 과전압 또는 과전류에 의한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장치의 출력단에 연결된 회로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상 전압이 지속되는 경우 도 1을 참조하면, 트랜스포머(T1)의 2차측 출력의 양단에 과전압이 지속되면 포토커플러 발광부(PD1)가 광신호를 발생하여 포토커플러 수광부(PT1)로 광신호를 투사한다.
이에, 포토커플러 수광부(PT1)가 도통하게 되고, 이는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의 전압에 영향을 주게 된다.
Control IC는 이러한 캐패시터(C1)의 전압을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트랜스포머(T1) 2차측으로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신호(PWM)의 듀티비를 가변하는 등의 방식으로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피드백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는 이상 전압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적절한 출력에너지의 제한이 이루어지지만, 이상 전류가 지속되는 경우에 는 적절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전류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면 이로 인한 회로손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 전압이 지속되는 상태 뿐 아니라 이상 전류가 지속되는 경우에도 피드백 작용에 의한 출력 에너지의 제한이 가능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1차측으로 공급되는 입력전원을 변환하여 2차측으로 유기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의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와;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출력전류 및 출력전압의 곱으로 이루어진 출력에너지가 일정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출력전류에 따라 상기 출력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출력에너지가 일정 레벨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류감지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전류를 권선비에 따라 유기하는 전류 트랜스포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류감지부는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의 2차측 전류에 의해 발광 하는 포토커플러 발광부와, 상기 포토커플러 발광부의 광을 수광하며 상기 제어부의 피드백측에 연결되는 포토커플러 수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포토커플러 수광부와 병렬연결되며, 상기 포토커플러 수광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충전전압이 변동되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감지부는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의 2차측 전류의 레벨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도통되는 제너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는 상기 권선비에 의해 1차측 전류를 감소시켜 2차측으로 유기할 수 있다.
또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입력장치는 이상 전압이 지속되는 상태 뿐 아니라 이상 전류가 지속되는 경우에도 피드백 작용에 의한 출력 에너지의 제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과전압 또는 과전류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회로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류 트랜스포머는 출력측에 인턱터 성분을 추가한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리플전류를 감소시키고 부하에 전류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100)는 전원공급부(110), 정류부(120), 트랜스포머(130), 전류감지부(140), 전압감지부(150), 스위칭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110)는 외부로부터 교류전원을 공급받는다.
정류부(120)는 전원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된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트랜스포머(130)의 1차측 권선으로 유기한다.
트랜스포머(130)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가지며 정류부(120)를 통해 정류된 입력전원을 소정 레벨의 출력전원으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트랜스포머(130)는 1차측 권선으로부터 2차측 권선으로 교류형태의 에너지를 유기시키며, 2차측 권선으로 유기된 에너지는 1차측 및 2차측 권선비에 따른 직류전원으로 변환된다.
전류감지부(140)는 트랜스포머(130)의 2차측 전류(이하, "출력전류"라고도 한다)를 감지한다.
전압감지부(150)는 트랜스포머(130)의 2차측 전압(이하, "출력전압"이라고도 한다)을 감지한다.
스위칭부(160)는 출력전원의 레벨에 따라 트랜스포머(130)의 동작을 스위칭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부(160)는 트랜스포머(130)에 펄스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스포머(13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전원은 트랜스포머(130)의 1차측 뿐 아니라, 평활용 커패시터와, 기동저항을 통해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PWM))를 수행하는 스위칭부(160)에도 인가된다.
제어부(170)는 전류감지부(140) 및 전압감지부(150)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출력에너지가 소정 레벨을 유지하도록 트랜스포머(130)의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여기서, 출력에너지는 출력전압과 출력전류의 곱이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전류감지부(140) 및 전압감지부(150)의 출력값을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출력전류와 출력전압을 곱한 출력에너지를 연산하여 연산된 출력에너지를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한다.
이에, 출력에너지와 기준값과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출력에너지 값이 소정 레벨 이상인 경우 출력전압을 감소시켜 과전류 또한 과전압에 의한 출력에너지를 일정 레벨로 유지시키는 피드백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전류감지부(140) 및 전압감지부(150)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트랜스포머(T1) 2차측으로 인가되는 펄스폭 변조신호(PWM)의 듀티비를 가변하도록 스위칭부(16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출력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전류감지부(140), 전압감지부(150) 및 스위칭부(160) 와 접속 가능한 Control IC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전류감지부(140) 및 전압감지부(15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랜스포머(T1)는 정류부(120)에서 직류로 변환된 입력전압을 1차측의 권선비와 2차측의 권선비에 따라 소정 레벨로 변환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펄스폭 변조기(PWM)에서 출력되는 출력펄스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어 트랜스포머(T1)의 동작을 스위칭한다.
Control IC는 출력전류 및 출력전압의 감지결과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는 출력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감지부(150)로서 제1 포토커플러 발광부(PD1), 제1 포토커플러 발광부(PD1)의 동작전압을 결정하는 제1 제너다이오드(ZD1)가 구비되며, Control IC의 피드백 측에는 제1 포토커플러 발광부(PD1)의 광신호를 수광하는 제1 포토커플러 수광부(PT1)가 마련된다.
한편, 출력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감지부(140)로서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 접속된 전류 트랜스포머(CT), 전류 트랜스포머(CT)에 의해 유기된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제2 포토커플러 발광부(PD2), 제2 포토커플러 발광부(PD2)의 동작전류를 결정하는 제2 제너다이오드(ZD2)가 구비되며, Control IC의 피드백 측에는 제2 포토커플러 발광부(PD2)의 광신호를 수광하는 제2 포토커플러 수광부(PT2)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 포토커플러 수광부(PT1) 및 제2 포토커플러 수광부(PT2)와 병렬 연결되며, 제1 포토커플러 수광부(PT1) 또는 제2 포토커플러 수광부(PT2)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에 의해 충전전압이 변동하는 캐패시터(C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압제어의 경우, 출력전압이 제1 제너다이오드(ZD1)의 문턱값 이상이 되면, 제1 포토커플러 발광부(PD1)로 전원이 공급된다. 제1 제너다이오드(ZD)는 출력전압가 정상 상태인 경우 불필요하게 회로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출력전압은 5V 또는 24V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제1 포토커플러 발광부(PD1)가 발광을 시작한다.
이에, 제1 포토커플러 발광부(PD1)에서 발생한 광신호가 제1 포토커플러 수광부(PT1)로 투사된다. 이로써, 제1 포토커플러 수광부(PT1)가 도통하게 되고, 이는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의 충전전압에 영향을 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출력전압이 소정 레벨 이상을 유지하는 과전압 상태가 계속되면, 캐패시터(C1)의 충전전압이 순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Control IC는 캐패시터(C1)의 전압을 센싱하여 충전전압이 감소하는 것이 감지되면, 출력전압을 감소시키도록 스위칭 트랜지스터(Q1)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출력에너지는 소정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이로써, 전원공급장치(100)는 과전압으로부터 보호 가능하다.
다음, 전류제어의 경우, 전류 트랜스포머(CT)는 출력전류를 소정 권선비에 의해 전류 트랜스포머(CT) 2차측으로 유기한다. 권선비는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된다.
권선비(X) = 2차측 턴수 / 1차측 턴수
여기서, 전류 트랜스포머(CT)는 소정 권선비에 의해 1차측 전류를 일정 레벨로 감소시켜 2차측으로 유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권선비는 0.1로, 1차측 전류는 3A를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류 트랜스포머(CT) 2차측 전류는 전류 트랜스포머(CT)의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에 의해 결정된다.
2차측 전류 = (2차측 턴수 / 1차측 턴수) * 1차측 전류
여기서, 전류 트랜스포머(CT) 2차측 전류는 제2 포토커플러 발광부(PD2)의 최소 동작전류를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예컨대, 전류 트랜스포머(CT)의 권선비가 0.1로 설정된 경우, 전류 트랜스포머(CT)의 1차측 전류가 3A라면 2차측으로는 수학식 2에 의해 30mA의 전류가 유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류 트랜스포머(CT)의 1차측에 3.5A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를 과전류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2차측 전류를 35mA로 제어하기 위해 권선비는 0.1이 된다.
즉, 2차측 전류는 1차측에 비해 작은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전류 센싱에 있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전류 트랜스포머(CT) 2차측 전류가 제2 제너다이오드(ZD2)의 문턱값 이상이 되면, 제2 포토커플러 발광부(PD2)로 전류가 공급된다. 제2 제너다이오드(ZD)는 출력전류가 정상 상태인 경우 불필요하게 회로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R2 = 10 ohm 인 경우, 2차측 전류 35mA 이상을 과전류로 설정하기 위해 제2 제너다이오드(ZD)의 문턱값은 35mA * 10 Ω = 3.5V 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급되는 전류가 소정 레벨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제2 포토커플러 발광부(PD2)가 발광을 시작한다.
이에, 제2 포토커플러 발광부(PD2)에서 발생한 광신호가 제2 포토커플러 수광부(PT2)로 투사된다. 이로써, 제2 포토커플러 수광부(PT2)가 도통하게 되고, 이는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1)의 충전전압에 영향을 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류 트랜스포머(CT) 2차측 전류가 소정 레벨 이상을 유지하는 과전류 상태가 계속되면, 캐패시터(C1)의 충전전압이 순간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Control IC는 캐패시터(C1)의 전압을 센싱하여 충전전압이 감소하는 것이 감지되면, 출력전압을 감소시키도록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출력에너지는 소정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예컨대 정상전압이 5V, 정상전류가 3A로 설정된 경우,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출력 에너지는 5V * 3A = 15W 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이로써, 전원공급장치(100)는 전류 트랜스포머(CT)를 통해 출력전류를 간접 적으로 감지 및 제어함으로써 과전류로부터 보호 가능하다.
한편, 전류 트랜스포머(CT)는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 인턱터 성분을 추가한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리플전류를 감소시키고 부하에 전류가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공급장치 110 : 전원공급부
120 : 정류부 130 : 트랜스포머
140 : 전류감지부 150 : 전압감지부
160 : 스위칭부 170 : 제어부

Claims (16)

  1.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1차측으로 공급되는 입력전원을 변환하여 2차측으로 유기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의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와;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출력전류 및 출력전압의 곱으로 이루어진 출력에너지가 일정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감지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전류를 권선비에 따라 유기하는 전류 트랜스포머와,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의 2차측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포토커플러 발광부와, 상기 포토커플러 발광부의 광을 수광하며 상기 제어부의 피드백측에 연결되는 포토커플러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출력전류에 따라 상기 출력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출력에너지가 일정 레벨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커플러 수광부와 병렬연결되며, 상기 포토커플러 수광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충전전압이 변동되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전압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감지부는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의 2차측 전류의 레벨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도통되는 제너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는 상기 권선비에 의해 1차측 전류를 감소시켜 2차측으로 유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감지된 출력전류에 따라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감지부는,
    상기 출력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이상이면 발광하는 포토커플러 발광부와;
    상기 포토커플러 발광부로부터 광을 감지하여 수광하는 포토커플러 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토커플러 수광부에 의해 감지된 광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전압이 기설정된 전압보다 낮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이상이면, 전압이 수신되도록 상기 포토커플러 발광부와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커플러 수광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포토커플러 수광부 내의 전류흐름에 의해 변화하는 충전전압을 가지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감지된 출력전류에 따라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4.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1차측으로 공급되는 입력전원을 변환하여 2차측으로 유기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의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와;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출력전류 및 출력전압의 곱으로 이루어진 출력에너지가 일정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감지부는 출력전압이 기설정된 제1 설정값 이상이면 발광하는 제1 포토커플러 발광부와,상기 제1 포토커플러 발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는 제1 포토커플러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감지부는 출력전류이 기설정된 제2 설정값 이상이면 발광하는 제2 포토커플러 발광부와, 상기 제어부의 피드백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제2 포토커플러 발광부로부터 빛을 수광하는 제2 포토커플러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토커플러 수광부 및 제2 포토커플러 수광부와 병렬로 연결되는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전압 및 상기 캐패시터의 충전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5.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트랜스포머의 2차측의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2차측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출력전류 및 출력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2차측의 출력에너지가 기설정된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트랜스포머의 1차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접속된 전류 트랜스포머의 권선비에 따라 상기 출력전류를 유기하는 단계와,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의 2차측 전류에 의해 포토커플러 발광부가 발광하는 단계와, 피드백측에 연결된 포토커플러 수광부가 상기 포토커플러 발광부로부터 광을 수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제어방법.
  16.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1차측으로 공급되는 입력전력을 변환하여 2차측의 출력전류 및 출력전압으로 유기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의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의 출력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
    상기 감지된 출력전류 및 출력전압에 따라 상기 트랜스포머의 출력에너지가 기설정된 레벨 이내가 되도록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감지부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접속되며 상기 출력전류를 권선비에 따라 유기하는 전류 트랜스포머와, 상기 전류 트랜스포머의 2차측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포토커플러 발광부와, 상기 포토커플러 발광부의 광을 수광하며 상기 제어부의 피드백측에 연결되는 포토커플러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20070084069A 2007-08-21 2007-08-21 전원공급장치 KR101135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069A KR101135893B1 (ko) 2007-08-21 2007-08-21 전원공급장치
US12/103,731 US8085560B2 (en) 2007-08-21 2008-04-16 Power supply apparatus
CN2008101471317A CN101373925B (zh) 2007-08-21 2008-08-20 供电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069A KR101135893B1 (ko) 2007-08-21 2007-08-21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547A KR20090019547A (ko) 2009-02-25
KR101135893B1 true KR101135893B1 (ko) 2012-04-13

Family

ID=4038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069A KR101135893B1 (ko) 2007-08-21 2007-08-21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85560B2 (ko)
KR (1) KR101135893B1 (ko)
CN (1) CN1013739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1929B2 (en) * 2009-09-24 2012-10-30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ower regulator for power supply output adjustment
WO2011081255A1 (en) * 2009-12-30 2011-07-07 Smart Power Solutions, Inc. Switching mode power supply
KR101677731B1 (ko) * 2009-12-31 2016-11-18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자동 재 시작 회로 및 그 방법
US20130151319A1 (en) 2011-12-07 2013-06-13 Yang Pan Predictable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during Peak Demand
CN102904457B (zh) * 2012-08-29 2015-05-27 华为技术有限公司 高频开关电源和高频电流检测方法
CN102969918B (zh) * 2012-11-06 2016-03-02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三相桥式逆变器系统及紧急下短路保护电路
CN105790560A (zh) * 2016-03-21 2016-07-20 成都天进仪器有限公司 一种应用于智能电网变电站继电保护测试仪的电源电路
JP2020188615A (ja) * 2019-05-16 2020-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7578A (en) 1996-02-07 1998-02-10 Emerging Technologies Corporation Constant current source employing power conversion circuitry
US6023155A (en) 1998-10-09 2000-02-08 Rockwell Collins, Inc. Utilizing a combination constant power flyback converter and shunt voltage regulator
US6813170B2 (en) * 2002-08-19 2004-11-02 Semtech Corporation Multiple output power supply having soft start protection for load over-current or short circuit condi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623B1 (ko) * 1998-12-18 2004-06-18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일정전력유지제어회로를가진스위칭모드파워서플라이
CN2678241Y (zh) * 2004-01-17 2005-02-09 缪耀东 高压钠灯电子直流驱动器
JP4033850B2 (ja) * 2004-03-31 2008-01-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用半導体装置
US7839662B2 (en) * 2004-09-20 2010-11-23 Adc Dsl Systems, Inc. Power supply having a flyback topology and current sense transform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7578A (en) 1996-02-07 1998-02-10 Emerging Technologies Corporation Constant current source employing power conversion circuitry
US6023155A (en) 1998-10-09 2000-02-08 Rockwell Collins, Inc. Utilizing a combination constant power flyback converter and shunt voltage regulator
US6813170B2 (en) * 2002-08-19 2004-11-02 Semtech Corporation Multiple output power supply having soft start protection for load over-current or short circuit condition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논문(제목: A Nnovel Single Stage Single Switch PFC Converter with Constant Power Control for Ballast for Medium HID Lamps) 논문발표 2000년 10월 *
IEEE 논문(제목: A Nnovel Single Stage Single Switch PFC Converter with Constant Power Control for Ballast for Medium HID Lamps) 논문발표 2000년 10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3925A (zh) 2009-02-25
CN101373925B (zh) 2013-03-13
US8085560B2 (en) 2011-12-27
KR20090019547A (ko) 2009-02-25
US20090052212A1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893B1 (ko) 전원공급장치
US8331111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KR100692557B1 (ko) 에너지 절감형 스위칭 전원장치 및 그의 에너지 절감방법
JP505639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0296635B1 (ko) 저전압보호회로를갖는스위칭모드전원공급장치
KR100636241B1 (ko) 능동적 로드 검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및 그 스위칭방법
US8976545B2 (en) Current resonance power supply for detecting overcurrent based on an output from a current compensation unit
KR101262954B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US20140104894A1 (en) Switching power supply system
US7394675B2 (en) Power supply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ing method
JP200918910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7286330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having a spark prevention function
KR101568855B1 (ko) Led 컨버터 lc 피드백 안정화 회로
KR100332799B1 (ko) 인버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KR102059204B1 (ko) Ac-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공급장치
KR20070045458A (ko) 과전압 보호 장치
KR100994456B1 (ko) 위상제어용 발광다이오드 드라이버
KR20000015607A (ko) 모니터의 과전압 보호 회로
KR100742248B1 (ko) 안정기 및 그를 위한 역률 보상 회로
KR20060086473A (ko) 과전압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050035376A (ko)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에서의 전원안정화 회로
KR0122729B1 (ko)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 검출회로
KR0129031Y1 (ko) 과전류 보호회로
KR200158248Y1 (ko) 전원 공급 장치의 과전압 보호 회로
KR19980030298A (ko) 모니터의 과전압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