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733B1 -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 - Google Patents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733B1
KR101452733B1 KR1020140076314A KR20140076314A KR101452733B1 KR 101452733 B1 KR101452733 B1 KR 101452733B1 KR 1020140076314 A KR1020140076314 A KR 1020140076314A KR 20140076314 A KR20140076314 A KR 20140076314A KR 101452733 B1 KR101452733 B1 KR 101452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magnetic field
ultraviolet
field genera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김흥성
박노현
Original Assignee
하림 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림 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하림 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4007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733B1/ko
Priority to PCT/KR2015/003695 priority patent/WO20151993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유도 자기장에 의해 자외선을 생성하는 가스가 내부에 봉입된 적어도 하나의 엔벨로프, 및 엔벨로프의 외부에 결합되며, 외부 전원 인가에 의해 유도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생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열로 인해 엔벨로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며,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엔벨로프의 수리 또는 교체시에 소요되는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다양한 형상의 엔벨로프를 자기장 생성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반사갓을 구비하지 않고도 엔벨로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조향성을 개선 가능하며, 조명광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조명광의 광출력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광효율을 증대시키며, 설치 공간에서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조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무전극 램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Electrodeless lamp Structure, and Envelope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장 생성부를 엔벨로프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발열로 인해 엔벨로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며,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엔벨로프의 수리 또는 교체시에 소요되는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다양한 형상의 엔벨로프를 자기장 생성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반사갓을 구비하지 않고도 엔벨로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조향성을 개선 가능하며, 조명광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조명광의 광출력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광효율을 증대시키며, 설치 공간에서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조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전극 램프는 종래의 가열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램프들에 비해 램프의 효율이 높고 수명도 현저하게 길어서 실내외의 조명용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무전극 램프 또한 일반 램프와 마찬가지로 램프의 사용에 따른 열의 발생 정도와 제품의 수명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종래 기술에 따른 무전극 램프는 엔벨로프의 내부에 자기장 생성부를 일체로서 설치하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엔벨로프 내부에서의 열의 발생이 과도하게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무전극 램프는 무전극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향성을 개선하기 위해 별도의 반사갓을 설치해야 함으로써, 광효율 감소, 제품의 대형화, 생산 원가의 증대 등과 같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무전극 램프는 구형 엔벨로프를 구비함으로써, 구형 엔벨로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출력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분만 아니라, 다양한 조명 효과를 위해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장 생성부를 엔벨로프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발열로 인해 엔벨로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내구성을 높이며,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엔벨로프의 수리 또는 교체시에 소요되는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하고, 다양한 형상의 엔벨로프를 자기장 생성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반사갓을 구비하지 않고도 엔벨로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조향성을 개선 가능하며, 조명광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조명광의 광출력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광효율을 증대시키며, 설치 공간에서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조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는, 유도 자기장에 의해 자외선을 생성하는 가스가 내부에 봉입된 적어도 하나의 엔벨로프; 및 상기 엔벨로프의 외부에 결합되며, 외부 전원 인가에 의해 상기 유도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생성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벨로프 내부의 상면에는 자외선이 조사된 경우에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형광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벨로프 내부의 하면에는, 상기 엔벨로프의 하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엔벨로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자외선 반사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반사체는 삼각 프리즘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상기 엔벨로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벨로프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엔벨로프의 측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엔벨로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판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엔벨로프는 상기 자기장 생성부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상기 반사 가이드부의 내부에 일체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장 생성부 및 상기 엔벨로프는 판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벨로프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벨로프의 상부에 설치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전극 램프에서 구비된 엔벨로프는, 상기 엔벨로프의 외부에 설치되는 자기장 생성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엔벨로프 내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자외선이 조사된 경우에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형광물질이 코팅 처리된 코칭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벨로프 내부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엔벨로프의 하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엔벨로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자외선 반사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반사체는 삼각 프리즘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벨로프의 외측면에는, 상기 엔벨로프의 측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엔벨로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가이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판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엔벨로프는 상기 자기장 생성부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상기 반사 가이드부의 내부에 일체로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장 생성부 및 상기 엔벨로프는 판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벨로프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벨로프의 상부에는 상기 엔벨로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굴곡시키는 렌즈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벨로프 내부에 자기장 생성부를 설치하지 않고, 자기장 생성부를 엔벨로프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자기장 생성부에서의 발열로 인해 엔벨로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엔벨로프 내부에서 생성되는 자외선 중 엔벨로프의 하부면 또는 측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모두 엔벨로프의 상면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별도의 반사갓을 구비하지 않고도 엔벨로프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조향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갓의 설치로 인한 광효율 감소, 제품의 대형화, 생산 원가 증대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엔벨로프의 상면을 평평하게 제작함으로써 조명광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엔벨로프의 상면으로부터의 광출력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엔벨로프 내부에 자기장 생성부를 설치하지 않고, 자기장 생성부를 엔벨로프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엔벨로프의 내구성을 높이고,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벨로프의 수리 또는 교체시에 소요되는 유지 관리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상의 엔벨로프를 자기장 생성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엔벨로프와 자기장 생성부를 모두 판형으로 제조함으로써, 설치 공간에서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조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명 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의 하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판형 코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판형 자성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엔벨로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에서의 엔벨로프(100)의 상부면의 변형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엔벨로프의 상부에는 광학 렌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9에서의 엔벨로프의 변형 구조에서의 형광 코팅층의 형성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엔벨로프를 이용한 대형 조명 기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는 엔벨로프(100)(envelope), 자기장 생성부(200), 및 반사 가이드부(300)를 포함한다.
엔벨로프(100)에는 외부의 유도 자기장에 의해 자외선을 생성하는 가스인 수은 기체 등이 봉입되어 있으며, 엔벨로프(100)의 상면의 내부면에는 소정의 형광물질이 코팅처리된 코팅층(110)이 구비되어 있다.
엔벨로프(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자외선 중 엔벨로프(100)의 상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은 엔벨로프(100) 내부의 상면에 코팅 처리되어 있는 형광물질에 조사되게 되며, 그에 따라 형광물질로부터 발광된 가시광선은 엔벨로프(100) 내부의 상면을 통해 엔벨로프(100) 외부로 조사된다.
즉, 엔벨로프(100) 내부의 상면에 코팅 처리되어 있는 형광물질은 자외선이 조사되는 경우에 가시광선을 방사하는 물질로서, 코팅층(110)은 자외선에 대해 적색광을 방출하는 Y2O2S:Eu층, 자외선에 대해 녹색광을 방출하는 BAM(BaAl12O19:Mn)층, 자외선에 대해 청색광을 방출하는 BAM(BaMgAl10O17:Eu)층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조자는 엔벨로프(100) 내부의 상면에 코팅 처리되는 형광물질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거나, 복수의 형광물질을 혼합 코팅 처리함으로써, 엔벨로프(100)의 상면을 통해 조사되는 가시광선의 파장 영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엔벨로프(100)의 상면은 평행하게 제조함으로써, 엔벨로프(100)의 상면을 통해 조사되는 가시광선의 직진성을 확보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자기장 생성부(200)는 코일(210)과 코일(2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산화 제2철을 주원료로 하는 고주파용 자성재료인 훼라이트 코어(Ferrite Core) 등의 자성체(230)를 포함하며, 코일(210)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면 코일(210)과 자성체(230) 간에 유도 자기장이 형성되고, 형성된 유도 자기장에 의해 엔벨로프(100) 내부의 전자가 수은 원자와 충돌함으로써 자외선이 방출된다.
한편, 엔벨로프(100) 내부에서 생성되는 자외선 중 엔벨로프(100)의 하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은 엔벨로프(100) 내부의 하면에 설치된 자외선 반사체(130)에 의해 반사되어 엔벨로프(100)의 상면으로 조사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엔벨로프(100)의 내부의 하면에 삼각 기둥 형태의 삼각 프리즘 구조체를 연속하여 설치함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엔벨로프(100)의 하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이 인접 설치된 두 개의 삼각 프리즘 구조체 사이에서의 'U'자형 반사를 통해 엔벨로프(100)의 상면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엔벨로프(100) 내부의 하면에 삼각 프리즘 구조체를 설치하지 않고, 엔벨로프(100)의 내부의 하면에 자외선 반사 유리를 부착하거나, 엔벨로프(100)의 하부면을 자외선 반사 유리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자외선 반사체인 산화마그네슘을 엔벨로프(100)의 외측에 코팅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자외선 반사 유리는 합성 석영(fused silica)을 진공증착 방식으로 코팅 처리한 진공증착 코팅 유리로서, 삼성 테크노 글라스사에서 제조 및 판매하는 제품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반사 가이드부(300)는 엔벨로프(100)의 경사진 외측면에 결합되며, 반사 가이드부(300)의 내면에는 자외선 반사 유리 등의 자외선 반사 재료가 구비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엔벨로프(100) 내부에서 생성되는 자외선 중 엔벨로프(100)의 측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은 도 1에서와 같이 반사 가이드부(300)에 의해 반사되어 엔벨로프(100)의 상면으로 조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엔벨로프(100) 내부에서 생성되는 자외선 중 엔벨로프(100)의 하부면 또는 측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모두 엔벨로프(100)의 상면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별도의 반사갓을 구비하지 않고도 엔벨로프(100)로부터 방사되는 광의 조향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엔벨로프(100)의 상면을 평평하게 제작함으로써 조명광의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평평한 엔벨로프(100)의 상면의 내부면에 형광물질을 균일하게 코팅처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엔벨로프(100)의 상면으로부터의 광출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의 하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은 도 2의 A-A선에서의 절단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의 하부에는 스파이럴 형태의 판형 코일(2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210)의 하부에는 자성체(230)가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엔벨로프(100) 내부에 자기장 생성부(200)를 설치하지 않고, 자기장 생성부(200)를 엔벨로프(100)의 외부에 착탈 가능하게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엔벨로프(100)의 내구성을 높이고,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를 위해서는 자기장 생성부(200)와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가능토록 하는 결합홈, 나사홈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결합부(미도시)가 엔벨로프(100)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조자는 도 5에서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엔벨로프(100)를 자기장 생성부(200)에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제조자는 엔벨로프(100)의 다양한 형상에 부합되는 도 3에서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판형 코일(210) 및 다양한 형상의 판형 코일(210)에 부합되는 도 4에서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판형 자성체(23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엔벨로프(100)와 자기장 생성부(200)를 모두 판형으로 제조함으로써, 설치 공간에서 최소한의 부피를 차지하면서도 조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명 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판형으로 제작된 자기장 생성부(200)의 양면에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엔벨로프(100)를 각각 대칭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양 방향으로의 조명 효과가 동시에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반사 가이드를 제조함에 있어서, 하드 페라이트(Hard Ferrite)를 플라스틱과 혼합하여 고체화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플라스틱 본드 자성체(230)로 반사 가이드를 제조하고, 플라스틱 본드 자성체(230)로 제조된 반사 가이드의 내부에 도 8에서와 같이 코일(210)이 일체로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반사 가이드가 그 자체로서 자기장 생성부(20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극 램프 구조체에서의 엔벨로프(100)의 상부면의 변형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엔벨로프(100)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돌출부(170)가 구비되도록 하여 엔벨로프(100) 상면의 내부 표면적과, 내부 표면적에 코팅처리되는 형광물질의 양을 증대시킴으로써 엔벨로프(100)의 상면으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선의 양이 더욱 증대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엔벨로프(100)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돌출부(170)는 반구형, 원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1에서와 같이 엔벨로프(100)의 상부에는 오목 렌즈 등의 광학 렌즈로 구성된 렌즈부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엔벨로프(100)의 상부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선의 조사 영역을 확장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2에서와 같이 엔벨로프(100)의 내부면 전체에 형광 코팅층(110)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13에서와 같이 대형 조명판의 형태의 자기장 생성부(200)를 설치하고, 자기장 생성부(200)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과 크기의 엔벨로프(100)를 복수개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복수개의 엔벨로프(100)의 하부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코일(210)에의 전원 인가 여부 및 전원 인가 지속 시간을 외부의 조명 제어 장치를 통해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엔벨로프, 110: 형광 코팅층,
130: 자외선 반사체, 150: 아말감 배기구,
170: 돌출부, 200: 자기장 생성부,
210: 코일, 230: 자성체,
300: 반사 가이드부.

Claims (20)

  1. 유도 자기장에 의해 자외선을 생성하는 가스가 내부에 봉입된 적어도 하나의 엔벨로프;
    상기 엔벨로프의 외부에 결합되며, 외부 전원 인가에 의해 상기 유도 자기장을 생성하는 자기장 생성부; 및
    상기 엔벨로프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엔벨로프의 측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엔벨로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상기 반사 가이드부의 내부에 일체로서 구비되고,
    상기 반사 가이드부는, 하드 페라이트(Hard Ferrite)와 플라스틱이 혼합된 플라스틱 본드 자성체(230)이며,
    상기 플라스틱 본드 자성체(230)의 내부에는 전압 인가에 의해 유도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210)이 일체로서 구비되는 것인 무전극 램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 내부의 상면에는 자외선이 조사된 경우에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형광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것인 무전극 램프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 내부의 하면에는
    상기 엔벨로프의 하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엔벨로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자외선 반사체가 구비된 것인 무전극 램프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반사체는 삼각 프리즘 구조체인 것인 무전극 램프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상기 엔벨로프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인 무전극 램프 구조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판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엔벨로프는 상기 자기장 생성부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인 무전극 램프 구조체.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생성부 및 상기 엔벨로프는 판형으로 제조되는 것인 무전극 램프 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무전극 램프 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의 상부에 설치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무전극 램프 구조체.
  12. 무전극 램프에서 구비된 엔벨로프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의 외부에 설치되는 자기장 생성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엔벨로프 내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자외선이 조사된 경우에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형광물질이 코팅 처리된 코팅층
    을 포함하며,
    상기 엔벨로프의 외측면에는, 상기 엔벨로프의 측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엔벨로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상기 반사 가이드부의 내부에 일체로서 구비되며,
    상기 반사 가이드부는, 하드 페라이트(Hard Ferrite)와 플라스틱이 혼합된 플라스틱 본드 자성체(230)이고,
    상기 플라스틱 본드 자성체(230)의 내부에는 전압 인가에 의해 유도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210)이 일체로서 구비되는 것인 엔벨로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 내부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엔벨로프의 하면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엔벨로프의 상면으로 반사시키는 자외선 반사체를 더 포함하는 엔벨로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반사체는 삼각 프리즘 구조체인 것인 엔벨로프.
  15. 삭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생성부는 판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엔벨로프는 상기 자기장 생성부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인 엔벨로프.
  17. 삭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생성부 및 상기 엔벨로프는 판형으로 제조된 것인 엔벨로프.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엔벨로프.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의 상부에는 상기 엔벨로프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굴곡시키는 렌즈부가 설치되는 것인 엔벨로프.
KR1020140076314A 2014-06-23 2014-06-23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 KR101452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314A KR101452733B1 (ko) 2014-06-23 2014-06-23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
PCT/KR2015/003695 WO2015199323A1 (ko) 2014-06-23 2015-04-14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314A KR101452733B1 (ko) 2014-06-23 2014-06-23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733B1 true KR101452733B1 (ko) 2014-10-21

Family

ID=5199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314A KR101452733B1 (ko) 2014-06-23 2014-06-23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2733B1 (ko)
WO (1) WO20151993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326A (ko) * 2019-12-03 2021-06-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에너지 변환물질을 포함하는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2390A (ja) * 1996-06-26 1998-04-10 General Electric Co <Ge> 無電極蛍光ランプ
KR20050103323A (ko) * 2004-04-26 2005-10-31 위순임 무전극 평판 형광 램프
KR20070032997A (ko) * 2004-06-17 2007-03-2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학 필름, 어셈블리 및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854A (ko) *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렌즈가 결합된 공진기를 구비한 무전극 조명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2390A (ja) * 1996-06-26 1998-04-10 General Electric Co <Ge> 無電極蛍光ランプ
KR20050103323A (ko) * 2004-04-26 2005-10-31 위순임 무전극 평판 형광 램프
KR20070032997A (ko) * 2004-06-17 2007-03-2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광학 필름, 어셈블리 및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326A (ko) * 2019-12-03 2021-06-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에너지 변환물질을 포함하는 장치
KR102385132B1 (ko) * 2019-12-03 2022-04-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에너지 변환물질을 포함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323A1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2578B2 (ja) 放電ラ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る画像表示装置
JP4885286B2 (ja) 紫外光照射装置
JP3417160B2 (ja) 無電極放電ランプ
KR101452733B1 (ko)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
EP1063680A1 (en) Fluorescent lamp
KR101582949B1 (ko) 내구성이 보강된 무전극 램프 구조체 및 이에 장착되는 엔벨로프
KR100896035B1 (ko) 고효율 무전극 램프
JP2005174712A (ja) 無電極蛍光ランプ装置
US6979946B2 (e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KR100776042B1 (ko) 무전극 형광램프 및 그 제조 방법
JP2008210561A (ja) 無電極放電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JP3122276U (ja) 小形携帯電灯
JP4581834B2 (ja) 無電極放電灯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JPH06196133A (ja) 無電極蛍光ランプ
JPS63292562A (ja) 無電極放電灯装置
JP2007073254A (ja) 外部電極放電ランプ
EP0550985A1 (en)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and excitation coil configuration
JP2007273137A (ja) 無電極放電灯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100868315B1 (ko) 페라이트코어를 갖는 무전극 형광램프
TWI447776B (zh) 可自行反射的無極燈具
KR100457438B1 (ko) 무방전형 형광램프
JP5330856B2 (ja) 無電極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US20110204782A1 (en) Plasma Lamp with Dielectric Waveguide Body Having a Width Greater Than a Length
KR100731152B1 (ko) 제논 무전극 형광 램프
JPH11329349A (ja) 蛍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