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293B1 - 수륙양용 보트 - Google Patents

수륙양용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293B1
KR101452293B1 KR1020130138815A KR20130138815A KR101452293B1 KR 101452293 B1 KR101452293 B1 KR 101452293B1 KR 1020130138815 A KR1020130138815 A KR 1020130138815A KR 20130138815 A KR20130138815 A KR 20130138815A KR 101452293 B1 KR101452293 B1 KR 101452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haft
driven gear
drive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재
Original Assignee
김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재 filed Critical 김중재
Priority to KR102013013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3/00Equipment forming part of or attachable to vessels facilitating transport over l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characterised by use of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에서 주로 운행하면서 필요 시에 육지에서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륙양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서 운행하는 보트에 모터와 엔진의 2가지 구동수단을 동시에 구비하고 이들의 구동수단에 수상에서 주행되는 스크류수단과 육상에서 주행되는 바퀴구동수단을 각각 연결 구성하되, 이들 구동수단의 상호 연동 작용으로 스크류수단 또는 바퀴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가 또는 두가지 모두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상 또는 육상 어느 곳에서도 구동수단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이동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수륙양용보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륙양용 보트{an amphibious boat}
본 발명은 수상에서 주로 운행하면서 필요 시에 육지에서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륙양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서 운행하는 보트에 모터와 엔진의 2가지 구동수단을 동시에 구비하고 이들의 구동수단에 수상에서 주행되는 스크류수단과 육상에서 주행되는 바퀴구동수단을 각각 연결 구성하되, 이들 구동수단의 상호 연동 작용으로 스크류수단 또는 바퀴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가 또는 두가지 모두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상 또는 육상 어느 곳에서도 구동수단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이동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수륙양용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라 함은 수상(水上)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에 의해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것으로, 이러한 보트는 통상적으로 수상에서 사람이나 화물을 싣고 이동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는바, 별도의 수단이나 장치가 없이는 지상으로 올라오거나 지상에서 운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정박할 수 있도록 별도의 부두나 해안가 근처까지 수상으로 운행하여 이동한 후 보트의 탑승자 또는 화물 등을 내려야만 되었다.
또한, 배를 육로를 통해 이동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트레일러 등과 같은 특수차량에 싣고 소유자의 집으로 이동하거나, 부두에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 보관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이동과 보관 및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용되고 이로 인해 보트의 내구성이나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지에서도 운행이 가능한 보트가 다수 제안되어 왔다.
그 중에 등록실용신안 제20-0398990호의 '조립식 수륙양용 호버크레프트'와, 공개특허 제10-2012-0013753호의 '수륙양용보트' 등이 공지되어 있은바, 이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립식 수륙양용 호버크레프트'는 저면에 다수의 개구부들이 형성된 튜브수용부를 구비하고, 엔진으로부터 강력한 힘의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에어주입백이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몸체, 상기 튜브수용부에 내장되는 튜브, 상기 스커트몸체의 상부면에 펼쳐져서 결합되는 절첩가능한 접이식 몸체지지장치, 상기 접이식 몸체지지장치의 후방에 설치되는 엔진구동장치, 상기 접이식 몸체지지장치의 중앙에 결합되는 의자 지지 및 조절장치, 상기 의자 지지 및 조절장치에 결합 고정되는 의자 및 운전자가 운전을 조종하기 위한 조종레버를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조립식 수륙양용 호보크레프트'는 엔진에서 출력된 공기 일부가 에어주입백과 스커트몸체로 유입되어 수면 또는 지면에서 소정높이 상승되어 이동될 수 있지만, 수면 또는 지면에 밀착되어 운행되지 않다 보니 승차감이 떨어지고, 방향전환 등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어주입백과 스커트몸체가 보관 또는 운행중 파손되면 운행이 힘들고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수륙양용보트'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보트의 선수와 선미에 제1,2바퀴가 각각 고정된 제1,2체결부가 일정각도 회동되며,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수상에서 운항 시에는 보트로 사용되며, 지상에서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선수와 선미 양측에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2바퀴가 구비되어 수상 또는 지상에서 운행 시 탑승자들이 보트 또는 차량과 동일하게 방향전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KR 20-0398990 (등록번호) 2005.10.11. KR 10-2012-0013753 (공개번호) 2012.02.15. KR 20-0130024 (등록번호) 1998.08.27.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수륙양용 호버크레프트'는 엔진에서 출력된 공기 일부가 에어주입백과 스커트몸체로 유입되어 수면 또는 지면에서 소정높이 상승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구성품의 고장 발생 시 수리 또는 교환이 어려워 운영 및 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수륙양용보트' 는 수상 운행시 선두에 설치된 바퀴를 이용하여 방향조정이 안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 수상 또는 육상으로 운행 시 이들을 자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운영상 많은 불편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륙양요보트 등은 수상에서 육상으로 이동 시, 역으로 육상에서 수상으로 이동 시에 스크류에서 바퀴로 또는 그 역으로 구동수단의 전환이 용이하지 않아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륙양용보트 등은 구동수단의 고장 시에 이동이 어려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상에서 운행하는 보트에 모터와 엔진의 2가지 구동수단을 동시에 구비하고 이들의 구동수단에 수상에서 주행되는 스크류수단과 육상에서 주행되는 바퀴구동수단을 각각 연결 구성하되, 이들 구동수단의 상호 연동 작용으로 스크류수단 또는 바퀴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상 또는 육상 어느 곳에서도 구동수단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륙양용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름 목적은 보트가 수상에서 육지로 또는 육지에서 수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수상에서 주행되는 스크류수단과 육상에서 주행되는 바퀴구동수단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구동수단이 고장나게 되어도 다른 하나로 육상이나 수상에서 보트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효용성이 극대화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상 또는 육지에서 운행이 가능한 수륙양용보트에 있어서,
인력과 수화물을 적재하는 몸체부와 선수부 및 선미부로 구성되어 수면에서 부력에 의해 부상(浮上)될 수 있도록 된 보트몸체와,상기 선미부에 연결 설치되면서 상기 보트몸체가 수상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스크류가 연결 구비된 수상구동스크류장치, 상기 선수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전방바퀴, 상기 선미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보트몸체가 육상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차동장치에 연결 구비된 후방구동바퀴로 구성되되,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에 구비되는 제2회동축에는 구동모터 또는 엔진의 구동력을 단속(斷續)시켜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에 구비된 상기 스크류를 작동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제2클러치부가 삽설 구비되고, 상기 차동장치에 구비되는 제1회동축에는 상기 구동모터 또는 상기 엔진의 구동력을 단속시켜 상기 차동장치에 연결된 상기 후방구동바퀴를 작동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제1클러치부가 삽설 구비되어, 상기 제1클러치부 또는 상기 제2클러치부의 작동 위치에 따라 수상 또는 육상 운행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보트는 수상에서 주행되는 스크류수단과 육상에서 주행되는 바퀴구동수단을 각각 연결 구성하되, 이들 구동수단의 상호 연동 작용으로 스크류수단 또는 바퀴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상 또는 육상 어느 곳에서도 구동수단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상에서 운행되는 보트가 육상 또는 수상 운행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운전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수상에서 해안가인 육상으로의 연결 운행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으로써 화물의 상하차가 쉬워져 그 활용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수단이 고장나게 되어도 다른 하나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육상이나 수상에서 보트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이동성이 극대화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상에서 육상으로 이동시 또는 역으로 이동시에 스크류수단 과 바퀴구동수단을 동시에 구동하면서 이동할 수 있어 운행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보트의 개략적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보트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연결 상태도로 엔진의 구동으로 보트가 육상에서 운행되는 구동력 전달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보트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연결 상태도로 엔진의 구동으로 보트가 해상에서 운행되는 구동력 전달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보트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연결 상태도로 엔진의 구동으로 보트가 육상으로 또는 해상으로 진입시 스크류수단과 바퀴구동수단으로 동시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보트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연결 상태도로 모터의 구동으로 보트가 육상에서 운행되는 구동력 전달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보트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연결 상태도로 모터의 구동으로 보트가 해상에서 운행되는 구동력 전달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보트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연결 상태도로 모터의 구동으로 보트가 육상으로 또는 해상으로 진입시 스크류수단과 바퀴구동수단으로 동시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보트(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력과 수화물을 적재하는 몸체부(111)와 선수부(112) 및 선미부(113)로 구성되어 수면에서 부력에 의해 부상(浮上)될 수 있도록 된 보트몸체(110)와,
상기 보트몸체(110)가 수상(水上)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상기 선미부(113)에 연결 설치되어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131)가 구비된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
상기 선수부(112)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조향장치(114)에 의해 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 설치된 전방바퀴(140)와,
상기 선미부(113)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엔진(160)의 구동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면서 지면으로 하강하여 육상(陸上)에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후방구동바퀴(15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상기 수륙양용보트(100)는 수상(W)에서 운행할 경우 상기 후방구동바퀴(150)는 그 후방 상부측으로 회전하여 상승한 상태로 고정되고, 이어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이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에 전달되어 상기 스크류(131)가 회전되어 상기 선미부(113)에 추력을 가해 주면서 상기 선수부(112)에 구비된 상기 조향장치(114)를 이용하여 그 방향을 조절 운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구동바퀴(150)를 접어올리거나 내려주는 구성은 공지 기술에 의거 구성되는 바,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상에서 운행하는 중에 해안가에 정박하여 육상(P)으로 운행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보트몸체(110)가 육상에 점점 가까워지면서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가 구동되는 동시에 상기 후방구동바퀴(150)가 지면으로 회전하여 안착되면서 회전하여 구동되게 된다.
이는 보트몸체(110)가 수상에서 지상으로 나오거나 지상에서 수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120)에 의해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가 구동되고 동시에 상기 엔진(160)의 구동력으로 상기 후방구동바퀴(150)가 구동되어 2가지의 구동수단을 모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수상에서 육상으로 또는 육상에서 수상으로 진입하는 경계면에서는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와 상기 후방구동바퀴(150)가 동시(함께)에 구동되면서 그 이동성능을 높여 주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C)에서 상기 보트몸체(110)가 수면에서 이탈되면 이를 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의 작동을 정지하고 반대로 수상으로 진입하면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구동바퀴(150)의 회전력은 감속기 등을 통해 조절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트가 육상 운행 시,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는 그 하단부에 공회전되는 보조롤러(132)가 구비되어 있어 이를 지면에 지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에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육상 운행시에 지면과는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고정하여 상기 보조롤러(132)가 설치되지 않거나 또는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트몸체(110)의 몸체부(111)에는 상기 구동모터(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배터리(170)와, 상기 후방구동바퀴(150)로 상기 엔진(160)의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끊어줄 수 있도록 단속하는 차동장치(180)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170)는 상기 엔진(160)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구동바퀴(150)는 상기 보트몸체(110)의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후방구동바퀴(151)와 제2후방구동바퀴(15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동장치(180)는 엔진의 구동축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수직으로 변경하여 양측 바퀴로 전달하도록 하는 일반적 장치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상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160)에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축(161)이 구비되고, 상기 제1구동축(161)의 단부에는 그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162)와 이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피동기어(163)가 구비되며, 또 상기 제1구동축(161)의 끝단에는 수스플라인축부(164)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동장치(180)에 구비되는 제1회동축(181)에는 상기 수스플라인축부(164)와의 회전력을 단속(斷續)시켜줄 수 있도록 제1작동로드(165)가 연결된 제1클러치부(166)가 삽설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클러치부(166)는 상기 제1회동축(181)의 외부측에 삽설되면서 이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작동로드(165)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클러치부(166)가 상기 제1회동축(181)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수스플라인축부(164)와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클러치부(166)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수스플라인축부(164)와 연결되면 상기 제1구동축(161)의 회전력이 상기 차동장치(180)에 전달되고 이어 상기 차동장치(180)에 의해 상기 후방구동바퀴(150)가 구동되면서 상기 엔진(160)에 의해 상기 보트(100)가 운행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회동축(181)은 그 외부에 수스플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1클러치부(166)의 내부에는 암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회동축(181)을 따라 상기 제1클러치부(166)가 용이하게 슬라이딩되게 된다.
즉, 상기 제1클러치부(166)가 상기 제1회동축(181)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수스플라인축부(164)까지 슬라이딩하게 되면 상기 제1구동축(161)의 회전력이 상기 제1회동축(181)에 전달되고, 상기 제1클러치부(166)가 상기 수스플라인축부(164)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상기 제1구동축(161)의 회전력이 상기 제1회동축(181)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클러치부(166)는 상기 제1작동로드(165)의 일단부가 연결 설치되면서 상기 수스플라인축부(164)가 그 내부로 삽설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몸체부(166a)와, 상기 작동몸체부(166a)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이 상기 차동장치(18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종동기어(166b)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에는 이를 작동시켜 주는 제2회동축(13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회동축(133)에는 이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면서 상기 제1구동축(161)의 회전력을 상기 제2회동축(133)에 전달하거나 끊어줄(단속) 수 있도록 하는 제2작동로드(134)가 연결된 제2클러치부(135)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클러치부(135)는 상기 제2작동로드(134)의 일단부가 설치되면서 상기 제2회동축(133)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몸체부(135a)와, 상기 작동몸체부(135a)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엔진(160)의 구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종동기어(135b)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피동기어(163)는 제1피동축(167)의 일단부에 설치 구비되고, 상기 제1피동축(167)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종동기어(135b)에 치합되는 제2피동기어(168)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피동기어(163)의 회전력은 상기 제1피동축(167)을 통해 상기 제2종동기어(135b)를 거쳐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에 전달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클러치부(166)의 상기 제1작동로드(165)와 상기 제2클러치부(135)의 상기 제2작동로드(134)의 단부에는 이들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레버(19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20)는 그 양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축(121)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구동축(121)의 양단부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인 제1,2풀리(121a,121b)와 이들에 설치되는 제1,2구동벨트(121ab,121ba)가 각각 설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벨트(121ab)에는 상기 제2구동축(12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회동축(122)이 연결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3회동축(122)에는 그 일단부에 상기 제1구동벨트(121ab)가 설치되는 제3풀리(123)가 설치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종동기어(166b)와 치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3종동기어(124)가 설치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종동기어(124)가 상기 제1종동기어(166b)에 맞물리게(치합)되면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이 상기 차동장치(180)로 전달될 수가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제1작동로드(165)에 의해 상기 제1클러치부(166)가 상기 제1회동축(181)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1종동기어(166b)가 상기 제3종동기어(124)에 물려다 해제되었다 하는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벨트(121ba)에는 상기 제2구동축(12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4회동축(125)이 연결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4회동축(125)에는 그 일단부에 상기 제2구동벨트(121ba)가 설치되는 제4풀리(126)가 설치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2종동기어(135b)와 치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4종동기어(127)가 설치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4종동기어(127)가 상기 제2종동기어(135b)에 맞물리게(치합)되면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이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로 전달될 수가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제2작동로드(134)에 의해 상기 제2클러치부(135)가 상기 제2회동축(133)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2종동기어(135b)가 상기 제4종동기어(127)에 물려다 해제되었다 하는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작동로드(134)와 상기 작동레버(190)의 연결부에는 이들이 상호 탄성적으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191)이 더 설치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작동로드(134)가 상기 탄성수단(191)을 이용하여 작동될 때에는 상기 제1클러치부(166)의 작동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상기 제2작동로드(134)가 탄성적으로 회전되고, 이때 상기 제2클러치부(135)가 상기 제2회동축(133)을 따라 약간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2종동기어(135b)가 상기 제2피동기어(168)와 맞물려져 상기 엔진(160)의 구동력이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로 전달되면서 상기 스크류(131)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상기 엔진(160)의 구동력에 상기 차동장치(180)와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수류양용보트(100)가 해상에서 육상으로 또는 육상에서 해상으로 진입하는 경계면상에서 작동되게 된다. 여기서 경계면이란, 상기 후방구동바퀴(150)는 갯벌 등의 지상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131)는 수중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이동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바퀴(140)는 상기 조향장치(114)에 의해 회전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고, 그 외부측으로는 상부측으로 유속의 저항력을 줄여 수중운행이 용이하도록 전면의 형상이 유선형상으로 된 상부커버(141)가 더 설치 구비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조향장치(114)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상부커버(141)와 상기 전방바퀴(140)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상기 상부커버(141)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유속에 대한 저항을 줄여주면서 상기 보트몸체(110)의 주행 방향을 간편하게 조절 운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륙양용보트(100)에 설치된 상기 구동모터(120)나 상기 엔진(160)의 구동축 또는 회동축 등은 일반적인 공지 기술에 의한 베어링이 구비 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111)에 구비된 각각의 해당 브라케트(200)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트몸체(110)의 상부측에는 태양열집열판(미도시)을 설치하여 상기 배터리(170)와는 별개로 또는 병행하여 발전 활용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상세 구성 및 회로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보트(100)가 상기 구동보트(120) 또는(함께) 상기 엔진(160)을 구동하여 운행되는 작동절차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수륙양용보트(100)가 상기 엔진(160)을 구동하여 육상(P)에서 운행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160)이 구동되면 상기 제1구동축(161)과 상기 구동기어(162), 상기 수스플라인축부(164), 상기 제1피동기어(163), 상기 제1피동축(167) 및 상기 제2피동기어(168)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190)와 상기 제1작동로드(165) 및 상기 제2작동로드(134)가 회전되면서 작동되면, 상기 제1클러치부(166)와 상기 제2클러치부(135)가 화살표 A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그러면 상기 수스플라인축부(164)가 상기 제1클러치부(166)의 상기 작동몸체부(166a)에 삽설되면서 상기 제1구동축(161)의 회전이 상기 제1회동축(181)을 통해 상기 차동장치(180)로 전달되고 이어 상기 후방구동바퀴(150)가 구동되면서 육상에서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클러치부(135)에 구비된 상기 제2종동기어(135b)는 상기 제2피동기어(168)와 떨어져 상기 제2피동기어(168)의 회전을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에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엔진(160)의 구동력으로만 상기 차동장치(180)가 작동되고 이어 상기 후방구동바퀴(150)가 구동되면서 육상에서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륙양용보트(100)가 상기 엔진(160)을 구동하여 해상(W)에서 운행할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19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작동로드(165) 및 상기 제2작동로드(134)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클러치부(166)와 상기 제2클러치부(135)가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클러치부(166)는 상기 수스플라인축부(164)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차동장치(180)로의 회전력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2클러치부(135)의 상기 제2종동기어(135b)가 상기 제2피동기어(168)와 치합되게 되면서 상기 엔진(160)의 회전력이 상기 제1피동축(167)과 상기 제2회동축(133)을 따라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에 전달되면서 상기 스크류(131)가 작동되어 수상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륙양용보트(100)가 상기 엔진(160)을 구동하여 해상에서 육상으로 또는 육상에서 해상으로 그 경계면에서 운행할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C)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190)와 상기 제1작동로드(165) 및 상기 제2작동로드(134)가 회전되면서 작동되면 상기 제1클러치부(166)와 상기 제2클러치부(135)가 화살표 C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때 상기 제2클러치부(135)에 구비된 상기 제2작동로드(134)가 상기 탄성수단(191)을 이용하여 탄성적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제2클러치부(135)의 상기 제2종동기어(135b)가 상기 제2피동기어(168)와 치합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클러치부(166)는 상기 수스플라인축부(164)과 연결되어 상기 차동장치(180)로 상기 엔진(160)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동시에 상기 엔진(160)의 회전력이 상기 제1피동축(167)과 상기 제2회동축(133)을 통해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로도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피동기어(168)의 폭은 상기 제2종동기어(135b)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종동기어(135b)의 일부가 상기 제2피동기어(168)의 일부에 치합되면서(상기 제2클러치부(135)가 작동되는 상태) 동력을 전달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제2작동로드(134)가 상기 탄성수단(191)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작동될 때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엔진(160)을 구동하여 상기 차동장치(180)와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를 동시에 구동하면서 해상에서 육상으로 또는 육상에서 해상으로 그 경계면에서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스크류(131)가 수면에서 이탈 또는 침수하게 되면 수(水) 감지센서(미도시)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2클러치부(135)를 자동으로 ON/OFF(연결 또는 차단)시키게 된다.
이어, 상기 수륙양용보트(100)가 상기 구동모터(120)을 구동하여 육상에서 운행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C)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190)와 상기 제1작동로드(165) 및 상기 제2작동로드(134)가 작동되면, 상기 제1클러치부(166)와 상기 제2클러치부(135)가 화살표 D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제1클러치부(166)는 상기 수스플라인축부(164)에서 이탈되고, 상기 제1클러치부(166)에 형성된 상기 제1종동기어(166b)가 상기 제3회동축(122)에 구비된 상기 제3종동기어(124)에 치합되면서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을 상기 차동장치(180)로 전달하여 상기 후방구동바퀴(150)를 구동시키면서 육상에서 운행이 가능하도록 된다.
이때 상기 제2클러치부(135)에 구비된 상기 제2종동기어(135b)는 상기 제2피동기어(168)와 제4종동기어(127)에서 모두 이탈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수륙양용보트(100)가 상기 구동모터(120)을 구동하여 해상에서 운행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C)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190)와 상기 제1작동로드(165) 및 상기 제2작동로드(134)가 작동되면, 상기 제1클러치부(166)와 상기 제2클러치부(135)가 화살표 E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제1클러치부(166)는 상기 제3종동기어(124)에서 이탈되고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은 상기 차동장치(180)로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2클러치부(135)에 형성된 상기 제2종동기어(135b)는 상기 제4종동기어(127)와 치합되면서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은 상기 제2클러치부(135)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가 작동되면서 수상에서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이 상기 제1구동벨트(121aa)와 상기 제4풀리(126) 및 상기 제4회동축(125)를 통해 상기 제2클러치부(135)에 형성된 상기 제2종동기어(135b)에 전달되고 이어 상기 제2종동기어(135b)는 상기 제4종동기어(127)의 회전력을 상기 제3회동축(133)에 전달하면서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에 구비된 상기 스크류(131)를 회전시켜 수상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륙양용보트(100)가 상기 구동모터(120)을 구동하여 해상에서 육상으로 또는 육상에서 해상으로 그 경계면에서 운행할 경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C)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190)와 상기 제1작동로드(165)가 회전되면서 상기 제1클러치부(166)가 화살표 F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그러면 상기 제1클러치부(166)에 구비된 상기 제1종동기어(166b)가 상기 제3회동축(122)에 구비된 상기 제3종동기어(124)와 맞물리게 되면서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이 상기 차동장치(180)에 전달되어 상기 후방구동바퀴(150)가 구동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클러치부(135)에 형성된 상기 제2종동기어(135b)에는 상기 제4종동기어(127)가 물려지게 되어,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이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에 전달되어 상기 스크류(131)가 회전되면서 수상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131)가 수면에서 이탈 또는 침수하게 되면 수(水) 감지센서(미도시)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2클러치부(135)를 자동으로 ON/OFF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륙양용보트(100)가 상기 구동모터(120)을 구동하여 해상에서 육상으로 또는 육상에서 해상으로 그 경계면에서 운행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륙양용보트(100)가 수상(W)에서 운행할 경우, 상기 후방구동바퀴(150)는 그 후방 상부측으로 회전하여 상승한 상태로 고정되고, 이어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이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130)에 전달되어 상기 스크류(131)가 회전되어 상기 선미부(113)에 추력을 가해 주면서 상기 선수부(112)에 구비된 상기 조향장치(114)를 이용하여 그 방향을 조절하면서 운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수륙양용보트는 인력과 화물을 수상에 육상으로 또는 그 역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가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륙양용보트는 수상에서 운행하는 보트에 모터와 엔진의 2가지 구동수단을 동시에 구비하고 이들의 구동수단에 수상에서 주행되는 스크류수단과 육상에서 주행되는 바퀴구동수단을 각각 연결 구성하되, 이들 구동수단의 상호 연동 작용으로 스크류수단 또는 바퀴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상 또는 육상 어느 곳에서도 구동수단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트가 수상에서 육지로 또는 육지에서 수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수상에서 주행되는 스크류수단과 육상에서 주행되는 바퀴구동수단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수단이 고장나게 되어도 다른 하나로 육상이나 수상에서 보트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높여줄 수가 있다.
100:수륙양용보트
110:보트몸체 111:몸체부 112:선수부 113:선미부
114:조향장치
120:구동모터
121:제2구동축 121a:제1풀리 121aa:제1구동벨트 121b:제2풀리
121ba:제2구동벨트 122:제3회동축 123:제3풀리 124:제3종동기어
125:제4회동축 126:제4풀리 127:제4종동기어
130:수상구동스크류장치
131:스크류 132:보조롤러 133:제2회동축 134:제2작동로드
135:제2클러치부 135a:작동몸체부 135b:제2종동기어
140:전방바퀴
150:후방구동바퀴 151:제1후방구동바퀴 152:제2후방구동바퀴
160:엔진
161:제1구동축 162:구동기어 163:제1피동기어 164:수스플라인축부
165:제1작동로드 166:제1클러치부 166a:작동몸체부 166b:제1종동기어
167:제1피동축 168:제2피동기어
170:배터리
180:차동장치 181:제1회동축
190:작동레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수상 또는 육지에서 운행이 가능한 수륙양용보트에 있어서,
    인력과 수화물을 적재하는 몸체부와 선수부 및 선미부로 구성되어 수면에서 부력에 의해 부상(浮上)될 수 있도록 된 보트몸체와,
    상기 선미부에 연결 설치되면서 상기 보트몸체가 수상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스크류가 연결 구비된 수상구동스크류장치,
    상기 선수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전방바퀴,
    상기 선미부의 하부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보트몸체가 육상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차동장치에 연결 구비된 후방구동바퀴로 구성되되,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에 구비되는 제2회동축에는 구동모터 또는 엔진의 구동력을 단속(斷續)시켜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에 구비된 상기 스크류를 작동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제2클러치부가 삽설 구비되고,
    상기 차동장치에 구비되는 제1회동축에는 상기 구동모터 또는 상기 엔진의 구동력을 단속시켜 상기 차동장치에 연결된 상기 후방구동바퀴를 작동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제1클러치부가 삽설 구비되어, 상기 제1클러치부 또는 상기 제2클러치부의 작동 위치에 따라 수상 또는 육상 운행이 구분되며,
    상기 엔진의 출력부에 구비된 제1구동축에는 그 단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에는 이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피동기어가 구비되며, 또 상기 제1구동축의 끝단에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수스플라인축부가 형성 구비되어, 상기 수스플라인축부에 상기 제1클러치부가 단속되면서 상기 엔진의 구동력이 상기 차동장치에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클러치부는 상기 차동장치에 구비되는 제1회동축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설되고 이를 작동시켜 주는 제1작동로드의 일단부가 연결 설치되면서 상기 수스플라인축부가 그 내부로 삽설되어 상기 엔진의 구동력이 상기 차동장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작동몸체부와, 상기 작동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차동장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종동기어로 구성되는 수륙양용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러치부는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를 구동시켜 주는 제2회동축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삽설되면서 이를 작동시켜 주는 제2작동로드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작동몸체부와, 상기 작동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 또는 상기 엔진의 구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종동기어로 구성되는 수륙양용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의 측면에는 그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제1피동축이 설치 구비되되, 상기 제1피동축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상기 제1피동기어가 구비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제2종동기어에 치합되는 제2피동기어가 설치 구비되어,
    상기 제1구동축의 구동력을 상기 제1피동축을 거쳐 상기 제2클러치부를 통해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에 전달될 수가 있도록 구성되는 수륙양용보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그 양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축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축의 양단부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인 제1,2풀리와 이들에 설치되는 제1,2구동벨트가 각각 설치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벨트에는 상기 제2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회동축이 연결 구비되되, 상기 제3회동축에는 그 일단부에 상기 제1구동벨트가 설치되는 제3풀리가 설치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1종동기어와 치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3종동기어가 설치 고정되어,
    상기 제3종동기어가 상기 제1종동기어에 맞물리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차동장치로 전달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구동벨트에는 상기 제2구동축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4회동축이 연결 구비되되, 상기 제4회동축에는 그 일단부에 상기 제2구동벨트가 설치되는 제4풀리가 설치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제2종동기어와 치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4종동기어가 설치 고정되며,
    상기 제4종동기어가 상기 제2종동기어에 맞물리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로 전달될 수가 있게 되어,
    상기 제1클러치부 또는 상기 제2클러치부의 작동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차동장치 또는 상기 수상구동스크류장치로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륙양용보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러치부의 상기 제1작동로드와 상기 제2클러치부의 상기 제2작동로드의 단부에는 제어부에 의해 이들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레버가 더 구비되는 수륙양용보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에는 상기 제2작동로드가 탄성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수단이 더 삽설 구비된 수륙양용보트.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동기어의 일부가 상기 제2피동기어의 일부에 치합되면서 동력을 전달시킬 수가 있도록 상기 제2피동기어의 폭은 상기 제2종동기어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수륙양용보트.
KR1020130138815A 2013-11-15 2013-11-15 수륙양용 보트 KR101452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815A KR101452293B1 (ko) 2013-11-15 2013-11-15 수륙양용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815A KR101452293B1 (ko) 2013-11-15 2013-11-15 수륙양용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293B1 true KR101452293B1 (ko) 2014-10-22

Family

ID=5199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815A KR101452293B1 (ko) 2013-11-15 2013-11-15 수륙양용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437B1 (ko) * 2021-12-31 2022-08-02 (주)지엠아이그룹 수륙양용 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4204A (ja) 2001-02-01 2004-08-12 ギブズ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水陸両用車両
JP2007503360A (ja) 2003-05-19 2007-02-22 ギブズ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水陸両用車用の推進システム
JP2011073672A (ja) * 2004-10-15 2011-04-14 Gibbs Technologies Ltd 水陸両用車の変速伝動装置
JP2012171363A (ja) 2011-02-17 2012-09-10 Mitsubishi Heavy Ind Ltd 水陸両用車の車両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4204A (ja) 2001-02-01 2004-08-12 ギブズ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水陸両用車両
JP2007503360A (ja) 2003-05-19 2007-02-22 ギブズ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水陸両用車用の推進システム
JP2011073672A (ja) * 2004-10-15 2011-04-14 Gibbs Technologies Ltd 水陸両用車の変速伝動装置
JP2012171363A (ja) 2011-02-17 2012-09-10 Mitsubishi Heavy Ind Ltd 水陸両用車の車両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437B1 (ko) * 2021-12-31 2022-08-02 (주)지엠아이그룹 수륙양용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609B1 (ko) 수륙양용보트
CN1170697C (zh) 水陆两用车
KR101473570B1 (ko) 엔진내장형 수륙양용 에어보트
KR101923495B1 (ko) 수륙양용 보트
WO2009033153A3 (en) High water-speed tracked amphibian
KR101540582B1 (ko) 육상 또는 해상에서의 조향구동력 자동변환장치를 갖는 수륙양용보트
CN105774445A (zh) 一种船型水陆两栖车
KR20160056049A (ko) 조향 구동용 유압 자동변환장치가 구비된 수륙양용보트
US20120315812A1 (en) Snowmobile conversion kit for amphibious service
US6666735B2 (en) Jet drive assist for off-road vehicle with flotation
CN201703214U (zh) 水陆两用车
KR101028825B1 (ko) 수륙 양용 캠핑카
KR101452293B1 (ko) 수륙양용 보트
CN201484097U (zh) 多功能变形休闲车
CN216659476U (zh) 一种两栖船
KR101815811B1 (ko) 수륙양용버스
EP2532538B1 (en) Tracked recreational snow vehicle being converted to a personal watercraft by a conversion kit
CA2771211A1 (en) Amphibious vehicle that tilts while floating to facilitate climbing onto sea ice
US6431924B1 (en) Amphibious caravan
KR20160137492A (ko) 수륙양용 보트
CN111391587B (zh) 一种固定式两栖载物登陆船
CN201665137U (zh) 水陆浮具摩托车艇
CN102145642A (zh) 水陆浮具摩托车艇
CN215944219U (zh) 一种新型载车船
CN109367333A (zh) 一种喷水推进轮式两栖无人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