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155B1 -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 - Google Patents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2155B1 KR101452155B1 KR1020140026772A KR20140026772A KR101452155B1 KR 101452155 B1 KR101452155 B1 KR 101452155B1 KR 1020140026772 A KR1020140026772 A KR 1020140026772A KR 20140026772 A KR20140026772 A KR 20140026772A KR 101452155 B1 KR101452155 B1 KR 1014521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power supply
- water
- roller
- be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흘러가면서 자연스럽게 파생되는 수력에 의해 자체 회전이 실시됨에 따라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수면상 내지 물속에 분포하고 있는 부유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유수(流水)의 흐름으로 회전 순환되는 동력공급부(10);와, 동력공급부로부터 전해지는 회전력을 부여받아 일방향 회전 실시되면서 수면상에 떠 있는 부유물을 걷어올리는 승강유도부(20);와, 승강유도부로부터 획득된 부유물을 분리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30);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력을 이용하여 부유물의 제거가 실시되는 일련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흘러가면서 자연스럽게 파생되는 수력에 의해 자체 회전이 실시됨에 따라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수면상 내지 물속에 분포하고 있는 부유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강줄기나 하천을 비롯하여 비교적 공간이 협소한 농로 내지 기타 물이 흐르는 각종 수로에는 관광객이나 등산객이 버린 플라스틱병, 알루미늄 캔 등은 물론 온갖 쓰레기 및 자연 현상에 기인한 찌꺼기 등의 부유물이 떠다니는 것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렇듯, 수로 상에 각종 쓰레기를 포함한 이물질들이 장시간 방치될 경우 불가피하게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수로의 원 기능이 발휘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수량이 많은 시기인 장마철이나 이로 인한 홍수의 발생시 각종 부유물로 인한 범람의 우려는 물론, 해당 부유물들이 물과 함께 하류로 떠 내려와 결국 호수나 댐, 저수지 등으로 유입되므로 또 다른 수자원의 오염을 발생시키는바, 이는 환경 보호를 추구하는 현 실정에 전혀 부합되지 않아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관리기관에서는 인력을 동원하여 막대한 예산을 낭비하면서 호소, 댐, 저수지 등으로부터 부유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소각 처리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나, 이마저도 농촌 노동 인력의 고령화로 인해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아울러 장마철이나 홍수 시에는 늘어난 물로 인해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더욱 높아 부유물 제거 작업시 상당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종래에는 다양한 구조와 방식의 부유물 제거 장치 내지 관련 기기, 방법들이 개시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62064호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는 태양광을 동력원으로 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수위 변화에 상관없이 수면에 항상 일정한 높이에서 구동되도록 부력체가 내장되어 수면 위를 전진하고, 양측의 회전형 브러쉬로 벽면의 부착성 이물질을 청소하고, 부유물은 여과판에 수집되는 구조로 별도의 배출용 배관설비가 필요 없어 부유물 제거에 소요되는 처리수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기술사상이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를 포함한 모든 종래의 기술사상은 태양광 내지 별도의 동력원을 반드시 필요로 하므로 이와 관련한 제반 구성요소가 확충되어야만 하고, 이는 해당 제품의 설치 및 생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또 다른 요인이 되므로, 제품의 특성을 감안하여 소요 단가를 최소화하면서도 구성의 복잡함이 없는 형태의 부유물 제거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자체 수력에 기인하여 부유물의 제거가 실시될 수 있도록 관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수로를 비롯한 기타 설치 공간이 협소한 지점에서도 보다 쉽고 빠른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적용하고, 최소한의 제반 구성요소로만으로 실시됨에 따라 설치 후 유지 보수 측면에서도 크나큰 비용이 소모되지 않는 부유물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제거기(100)는 유수(流水)의 흐름으로 회전 순환되는 동력공급부(10);와, 동력공급부로부터 전해지는 회전력을 부여받아 일방향 회전 실시되면서 수면상에 떠 있는 부유물을 걷어올리는 승강유도부(20);와, 승강유도부로부터 획득된 부유물을 분리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30);으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동력공급부(10)는 수개의 회전익(11)을 연속 배열하여 유수의 유동에 따른 저항력으로 무한 회전이 실시되게 한 이송벨트(12);와, 이송벨트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해당 이송벨트의 내부 공간과 면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동일한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회전롤러(13);와, 한 쌍의 회전롤러 각 단부에 체결되어 회전롤러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이격링크(19);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중 승강유도부에 인접되는 회전롤러(14)는 구동벨트(15)에 의해 승강유도부(20)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이때의 승강유도부(20)는 회전롤러(14)로부터 기인한 회전 구동력을 부여받아 자체 회전하도록 유도되는 연동롤러(21);와, 연동롤러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승강벨트(22);와, 연동롤러와 이격 배치되면서 승강벨트의 내부 공간과 면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로 위치되는 구동롤러(23);와, 구동롤러와 연동롤러의 각 단부에 체결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이격링크(24); 및 승강벨트 외면에 연속 배열되고 유수 상에 포함된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승강벨트의 연직 상방으로 개별 연장 형성되는 레이크(25);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크(25)는 승강벨트(22) 외면의 동일 수평선상에서 직선 타입 또는 그물 형태의 교차 타입으로 돌출 형성되는 입설대(26);와, 입설대의 단부에서 절곡 형상을 갖는 만곡부(27);를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유수의 표면과 유수의 내부에서 유동 중인 부유물이 수집될 수 있도록 승강유도부(20)와 동력공급부(10) 사이 공간에 포집수단(40)을 더 개재하여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집수단(40)은 승강유도부(20) 또는 동력공급부(10)와 선택적으로 연계 형성되는 지지대(41);와, 지지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유수 표면이나 유수 내부 공간에서 유동 중인 부유물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걸림즐치(42);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고, 상기 걸림즐치(42)는 직선 타입 또는 그물 형태의 교차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공급부(10)는 수면과의 평행한 배치가 유지되도록 승강유도부(20)의 전방에서 고정 위치되고, 상기 승강유도부(20)는 동력공급부의 동일 수평선상에서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위치 배열됨에 따라 수거된 부유물의 상방 슬라이드가 실시되면서 상하 위치 역전에 의한 부유물의 탈거를 유도하며, 상기 수거함(30)은 승강유도부의 회전 구동에 기인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부유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승강유도부(20)의 상단보다 하향된 수평선상에서 함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13) 각 양측 단부에는 수로 상에서 동력공급부(10)의 입설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이격지지체(18)를 더 채용하되, 상기 이격지지체(18)는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연동롤러(21)와 구동롤러(23)의 각 양측 단부에는 수로 상에서 승강유도부(20)의 입설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이격지지체(28)를 더 채용하되, 상기 이격지지체(28)는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이 흐르면서 발생하는 자체 수력에 기인하여 부유물의 제거가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동력원이 전혀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관련 구조의 개선으로 인해 수로를 비롯한 기타 설치 공간이 협소한 지점에서도 보다 쉽고 빠른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최소한의 제반 구성요소로만으로 실시되는 구조의 특성으로 설치 후 유지 보수 측면에서도 크나큰 비용이 소모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부유물 제거기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부유물의 순차적인 처리가 실시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부유물의 순차적인 처리가 실시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수력을 이용하여 부유물의 제거가 실시되는 일련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이 흘러가면서 자연스럽게 파생되는 수력에 의해 자체 회전이 실시됨에 따라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수면상 내지 물속에 분포하고 있는 부유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100)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부유물 제거기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부유물 제거기(100)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것처럼 그 구성 및 작동 개요에 따라 크게 동력공급부(10);와, 승강유도부(20);와, 수거함(30);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포집수단(4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 기재하면, 상기 부유물 제거기(100)는 유수(流水)의 흐름으로 회전 순환되는 동력공급부(10);와, 동력공급부로부터 전해지는 회전력을 부여받아 일방향 회전 실시되면서 수면상에 떠 있는 부유물을 걷어올리는 승강유도부(20);와, 승강유도부로부터 획득된 부유물을 분리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공급부(10)는 통상의 컨베이어 방식으로 운용되는 것을 포함하고, 물이 흘러가면서 발생하는 유동 힘에 의하여 이와 대립되는 저항력의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이러한 저항력에 기초한 동력원으로 자연스럽게 컨베이어의 회전 구동이 실시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동력공급부(10)는 수개의 회전익(11)을 연속 배열하여 유수의 유동에 따른 저항력으로 무한 회전이 실시되게 한 이송벨트(12);와, 이송벨트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해당 이송벨트의 내부 공간과 면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동일한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회전롤러(13);와, 한 쌍의 회전롤러 각 단부에 체결되어 회전롤러의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이격링크(19);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벨트(12)는 주지한 바와 같이 물의 흐름으로 발생하는 일정 힘을 수개의 회전익(11)으로 전달함으로써 자체 회전이 실시되게 한 제반 요부로, 물의 유동력이 가장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물이 흘러가는 방향을 기점으로 정확히 교차되는 영역 선상에 배치한다. 결국, 수로 상에서 일정 방향으로 흘러가던 물은 동력공급부(10)의 회전익에 의해 방해받게 되면서 앞으로 나아가려 하고, 이러한 힘은 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원동력이 되는바 관련 동력은 물의 존재로 인해 끊임없이 무한 공급된다.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중 승강유도부에 인접되는 회전롤러(14)는 구동벨트(15)에 의해 승강유도부(20)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의 승강유도부(20)는 회전롤러(14)로부터 기인한 회전 구동력을 부여받아 자체 회전하도록 유도되는 연동롤러(21);와, 연동롤러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승강벨트(22);와, 연동롤러와 이격 배치되면서 승강벨트의 내부 공간과 면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로 위치되는 구동롤러(23);와, 구동롤러와 연동롤러의 각 단부에 체결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이격링크(24); 및 승강벨트 외면에 연속 배열되고 유수 상에 포함된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승강벨트의 연직 상방으로 개별 연장 형성되는 레이크(25);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레이크(25)는 승강벨트(22) 외면의 동일 수평선상에서 직선 타입 또는 그물 형태의 교차 타입으로 돌출 형성되는 입설대(26);와, 입설대의 단부에서 절곡 형상을 갖는 만곡부(27);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승강유도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력공급부(1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하여금 자체 회전을 실시하여 수로 상에 머물던 부유물들을 별도의 공간(본 발명에서는 수거함(30))에 분리 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수개의 레이크(25)가 채용될 수 있는바 상기 레이크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입설대(26)를 수개 연속 배치하여 부유물이 이를 지나면서 걸려 멈출 수 있게 하고, 승강벨트(22)의 위치 가변에 따른 부유물의 상승 배치를 유도하기 위하여 일정 각도로 절곡시킨 만곡부(27)가 더 형성된다. 이때, 만곡부(27)의 절곡 범위는 입설대(26)를 기점으로 상향 9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물에 떠 있거나 가라앉아 있는 부유물을 보다 쉽게 획득하면서도 획득된 부유물이 승강유도부(20)에 의한 상향 이동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수의 표면과 유수의 내부에서 유동 중인 부유물이 수집될 수 있도록 승강유도부(20)와 동력공급부(10) 사이 공간에 포집수단(40)을 더 개재된다.
상기 포집수단(40)은 보다 쉽고 정확한 부유물의 수거를 위하여 구비되는 구성요소로, 승강유도부의 레이크가 위치 변화를 일으키는 해당 영역 상에 배치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즉, 레이크가 회전되면서 지나치는 영역에 포집수단의 걸림즐치를 배치하여 이미 걸림즐치로 하여금 이동이 멈춘 부유물을 본 발명의 레이크가 쉽게 획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포집수단(40)은 승강유도부(20) 또는 동력공급부(10)와 선택적으로 연계 형성되는 지지대(41);와, 지지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유수 표면이나 유수 내부 공간에서 유동 중인 부유물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걸림즐치(42);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고, 상기 걸림즐치(42)는 직선 타입 또는 그물 형태의 교차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걸림즐치(42)와 입설대(26)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해당 구성요소가 허용하는 각 사이 공간으로 교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거함(3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수집된 부유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고, 보다 나은 사용을 위해 하나의 함체형으로 구축하여 부유물의 외부 이탈됨이 없이 외부로부터 격리된 상태가 되게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13) 각 양측 단부에는 수로 상에서 동력공급부(10)의 입설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이격지지체(18)를 더 채용할 수 있으며, 역시 동일하게 상기 연동롤러(21)와 구동롤러(23)의 각 양측 단부에도 승강유도부(20)의 입설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이격지지체(28)를 더 채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격지지체(18,28)의 구성을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비하였는바, 도면에 별도 도시하진 않았으나 나사 결합에 의한 승강 작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9는 지지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간은 동력공급부의 회전롤러(14)와 승강유도부의 연동롤러(21)를 지지하면서 이들 간 일정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부유물의 순차적인 처리가 실시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부유물 제거기(100)는 보다 나은 효율성을 위해 각 제반 구성요소의 위치 특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위치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동력공급부(10)는 수면과의 평행한 배치가 유지되도록 승강유도부(20)의 전방에서 고정 위치되고, 상기 승강유도부(20)는 동력공급부의 동일 수평선상에서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위치 배열됨에 따라 수거된 부유물의 상방 슬라이드가 실시되면서 상하 위치 역전에 의한 부유물의 탈거를 유도하며, 상기 수거함(30)은 승강유도부의 회전 구동에 기인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부유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승강유도부(20)의 상단보다 하향된 수평선상에서 함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기인하여 최초 물이 흐르면서 동력공급부의 회전익(11)을 가압하게 되면 이송벨트(12)가 회전 실시되고, 이송벨트의 회전은 결국 이에 권취 배치된 회전롤러(14)의 회전을 유도하게 됨으로써 해당 회전롤러(14)와 구동벨트(15)에 의해 연계된 승강유도부의 연동롤러(21)를 제자리 회전시키게 된다.
이로써, 승강유도부의 승강벨트(22)가 구동됨에 따라 레이크(25)의 위치 가변이 초래되면서 물에 분포하고 있던 다량의 부유물들이 레이크 상에 연속적으로 걸리게 되고, 레이크에 걸린 부유물들은 계속된 승강벨트의 위치 변화로 상승하게 된 후 재차 하강하게 되는바,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레이크(25)로부터의 부유물 이탈이 전개되면서 수거함 내부에 격리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부유물 제거기(100)에 의하면, 물이 흐르면서 발생하는 자체 수력에 기인하여 부유물의 제거가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동력원이 전혀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관련 구조의 개선으로 인해 수로를 비롯한 기타 설치 공간이 협소한 지점에서도 보다 쉽고 빠른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최소한의 제반 구성요소로만으로 실시되는 구조의 특성으로 설치 후 유지 보수 측면에서도 크나큰 비용이 소모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동력공급부 20. 승강유도부
30. 수거함 40. 포집수단
100. 부유물 제거기
30. 수거함 40. 포집수단
100. 부유물 제거기
Claims (10)
- 유수(流水)의 흐름으로 회전 순환되는 동력공급부(10);와, 동력공급부로부터 전해지는 회전력을 부여받아 일방향 회전 실시되면서 수면상에 떠 있는 부유물을 걷어올리는 승강유도부(20);와, 승강유도부로부터 획득된 부유물을 분리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30);으로 구성되는 부유물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공급부(10)는 수개의 회전익(11)을 연속 배열하여 유수의 유동에 따른 저항력으로 무한 회전이 실시되게 한 이송벨트(12);와, 이송벨트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해당 이송벨트의 내부 공간과 면 접촉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롤러(13);와, 한 쌍의 회전롤러 각 단부에 체결되는 이격링크(19);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중 승강유도부에 인접되는 회전롤러(14)는 구동벨트(15)에 의해 승강유도부(20)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유도부(20)는 회전롤러(14)로부터 기인한 회전 구동력을 부여받아 자체 회전하도록 유도되는 연동롤러(21);와, 연동롤러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승강벨트(22);와, 연동롤러와 이격 배치되면서 승강벨트의 내부 공간과 면 접촉이 이루어진 상태로 위치되는 구동롤러(23);와, 구동롤러와 연동롤러의 각 단부에 체결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이격링크(24); 및 승강벨트 외면에 연속 배열되고 유수 상에 포함된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승강벨트의 연직 상방으로 개별 연장 형성되는 레이크(25);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유도부(20)와 동력공급부(10) 사이 공간에는 포집수단(40)을 더 개재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25)는 승강벨트(22) 외면의 동일 수평선상에서 직선 타입 또는 그물 형태의 교차 타입으로 돌출 형성되는 입설대(26);와, 입설대의 단부에서 절곡 형상을 갖는 만곡부(27);를 더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수단(40)은 승강유도부(20) 또는 동력공급부(10)와 선택적으로 연계 형성되는 지지대(41);와, 지지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유수 표면이나 유수 내부 공간에서 유동 중인 부유물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걸림즐치(42);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13) 각 양측 단부에는 수로 상에서 동력공급부(10)의 입설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이격지지체(18)를 더 채용하되, 상기 이격지지체(18)는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롤러(21)와 구동롤러(23)의 각 양측 단부에는 수로 상에서 승강유도부(20)의 입설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이격지지체(28)를 더 채용하되, 상기 이격지지체(28)는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6772A KR101452155B1 (ko) | 2014-03-06 | 2014-03-06 |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6772A KR101452155B1 (ko) | 2014-03-06 | 2014-03-06 |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2155B1 true KR101452155B1 (ko) | 2014-10-22 |
Family
ID=5199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6772A KR101452155B1 (ko) | 2014-03-06 | 2014-03-06 |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215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5280A (ko) * | 2018-10-22 | 2020-05-04 | 문성군 | 유체흐름 및 제진 효과를 확대한 제진기 |
CN111705758A (zh) * | 2020-06-28 | 2020-09-25 | 刘洪明 | 一种带垃圾过滤收集装置的水利闸门及其控制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7249A (ja) * | 1997-09-30 | 1999-04-20 |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 余水路を備えた幹線水路に設置された水力駆動式除塵機の水車の配置 |
JPH11131453A (ja) * | 1997-10-31 | 1999-05-18 |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 水力駆動式除塵機の水車装置 |
KR100969824B1 (ko) * | 2010-03-29 | 2010-07-13 |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 준설물 종합 처리 시스템 |
KR101236773B1 (ko) * | 2013-01-14 | 2013-02-25 | 주식회사삼영이앤티 | 로터리 제진기 |
-
2014
- 2014-03-06 KR KR1020140026772A patent/KR10145215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7249A (ja) * | 1997-09-30 | 1999-04-20 |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 余水路を備えた幹線水路に設置された水力駆動式除塵機の水車の配置 |
JPH11131453A (ja) * | 1997-10-31 | 1999-05-18 |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 水力駆動式除塵機の水車装置 |
KR100969824B1 (ko) * | 2010-03-29 | 2010-07-13 |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 준설물 종합 처리 시스템 |
KR101236773B1 (ko) * | 2013-01-14 | 2013-02-25 | 주식회사삼영이앤티 | 로터리 제진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5280A (ko) * | 2018-10-22 | 2020-05-04 | 문성군 | 유체흐름 및 제진 효과를 확대한 제진기 |
KR102137881B1 (ko) * | 2018-10-22 | 2020-07-24 | 문성군 | 유체흐름 및 제진 효과를 확대한 제진기 |
CN111705758A (zh) * | 2020-06-28 | 2020-09-25 | 刘洪明 | 一种带垃圾过滤收集装置的水利闸门及其控制方法 |
CN111705758B (zh) * | 2020-06-28 | 2021-06-18 | 刘洪明 | 一种带垃圾过滤收集装置的水利闸门及其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372825B1 (es) | Sistema y método para reducir el impacto ambiental aguas abajo de aguas extraídas de una presa hidráulica. | |
CN104817209A (zh) | 地埋式高效初期雨水处理装置 | |
CN203692209U (zh) | 池塘网箱自动清污养殖装置 | |
KR101452155B1 (ko) | 수력을 이용한 부유물 제거기 | |
CN104631610A (zh) | 一种雨水颗粒分离及调蓄系统 | |
KR100980723B1 (ko) | 무언체 전도 수문 | |
CN204590230U (zh) | 一种雨水颗粒分离及调蓄系统 | |
KR101304128B1 (ko) | 무동력 빗물 처리장치 | |
KR100576147B1 (ko) | 하천 부유물 제거장치 | |
KR101775222B1 (ko) | 수상 회전식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 |
KR20010106335A (ko) | 하천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무동력 자동 스크린 시스템 | |
KR101827506B1 (ko) | 취수장의 부유물 제거장치 | |
KR101069425B1 (ko) |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 | |
KR101222075B1 (ko) | 수중 부유물 제거장치 | |
KR101182753B1 (ko) | 부유식 고속스크린 장치 | |
CN204589960U (zh) | 一种水上清污装置 | |
KR101709908B1 (ko) | 친환경 다목적 댐 | |
KR20100133159A (ko) |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 |
KR101547856B1 (ko) | 침전물 부양형 수질 정화시스템 | |
JP5430790B1 (ja) | 流路式浮上油回収装置 | |
CN112227313B (zh) | 一种利用水流动能作用的消力井除污装置 | |
CN110528453B (zh) | 智能化水面清理及循环装置 | |
KR20090131813A (ko) | 제진기 | |
CN212294580U (zh) | 一种水利施工大坝拦污装置 | |
CN212223751U (zh) | 一种海绵城市水循环利用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