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313B1 -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 - Google Patents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313B1
KR101451313B1 KR1020120098362A KR20120098362A KR101451313B1 KR 101451313 B1 KR101451313 B1 KR 101451313B1 KR 1020120098362 A KR1020120098362 A KR 1020120098362A KR 20120098362 A KR20120098362 A KR 20120098362A KR 101451313 B1 KR101451313 B1 KR 101451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 gear
sprocket
change
gear body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7158A (ko
Inventor
마코토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3003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Spr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짧은 체인 피치의 체인에 대응 가능한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을 제공하기 위해, 스프로킷 톱니(121, 131)를 구비한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120, 130)가 스프로킷 본체(110)의 외주에 등피치로 형성한 복수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112)에 대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100)에 있어서, 스프로킷 본체(110)가,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120, 130)에 대응하는 수의 변을 가진 다각형의 외주 형상(114)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120, 130)가, 스프로킷 본체(110)의 둘레 방향으로 각각 인접하는 체인지 기어체(120, 130)끼리 접촉해서 배치되어 있는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100).

Description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CHANGE GEAR SPROCKET}
본 발명은 스프로킷 본체와 이 스프로킷 본체 대해서 착탈 가능한 체인지 기어체를 구비한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프로킷 본체와 이 스프로킷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체인지 기어체를 구비하는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으로서,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500)이 있다.
종래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500)은 스프로킷 본체(510)의 외주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체인지 기어체(520)를 끼워 넣어 볼트(530)에 의해서 고정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로킷 본체(510)의 외주를 잘라내어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에 대해 경사진 둘레방향 측면 부분(51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나의 체인지 기어체(520)의 둘레 방향 양측에도, 직경 방향 및 둘레 방향에 대해 경사진 둘레 방향 측면 부분(5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로킷 본체(510)의 둘레 방향 측면 부분(511)에, 체인지 기어체(520)의 둘레 방향 측면 부분(521)을 면 접촉시켜 볼트(530)로 고정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보 제2883557호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500)은 스프로킷 본체(510)의 외주에 있어서, 하나의 체인지 기어체(520)가 다른 체인지 기어체(520)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구조였기 때문에, 기어형 피치가 커져 짧은 체인 피치의 체인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짧은 체인 피치의 체인에 대응 가능한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스프로킷 톱니(sprocket teeth)를 구비한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가 스프로킷 본체의 외주에 등피치로 형성한 복수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에 대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 본체가, 상기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에 대응하는 수의 변을 가진 다각형의 외주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가,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둘레 방향에 각각 인접하는 체인지 기어체끼리 접촉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의 구성에 부가해서, 상기 체인지 기어체가,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한 걸어맞춤 돌기를 둘레 방향 양측에 갖고 있는 제 1 체인지 기어체와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해서 제 1 체인지 기어체의 걸어맞춤 돌기와 끼워 맞춰지는 피걸어맞춤 홈을 둘레 방향 양측에 갖고 있는 제 2 체인지 기어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체인지 기어체와 제 2 체인지 기어체가,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에 동일한 수만큼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의 구성에 부가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외주측 걸어맞춤 폭 및 내주측 걸어맞춤 폭의 어느 한쪽이, 다른쪽보다 좁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피걸어맞춤 홈의 외주측 피걸어맞춤 폭 및 내주측 피걸어맞춤 폭의 어느 한쪽이,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걸어맞춤 폭에 대응해서 다른쪽보다 좁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의 구성에 부가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외주측 걸어맞춤 폭이,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내주측 걸어맞춤 폭보다 좁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피걸어맞춤 홈의 외주측 피걸어맞춤 폭이, 상기 피걸어맞춤 홈의 내주측 피걸어맞춤 폭보다 좁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의 구성에 부가해서,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링 부재가, 상기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와 걸어 맞춰져 있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과제를 또한 해결하는 것이다.
본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은 스프로킷 톱니를 구비한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가 스프로킷 본체의 외주에 등피치로 형성한 복수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에 대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에 있어서, 스프로킷 본체가,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에 대응하는 수의 변을 가진 다각형의 외주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가, 스프로킷 본체의 둘레 방향에 각각 인접하는 체인지 기어체끼리 접촉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종래에 비해 톱니형 피치가 작아지기 때문에, 더욱 짧은 체인 피치의 체인에 대응할 수 있다.
또, 스프로킷 본체의 외주 가장자리의 하나의 변에 대해 하나의 체인지 기어체를 꽉 눌러 장착하기 때문에, 체인지 기어체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은 청구항 1에 관한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이 갖는 효과에 부가해서, 체인지 기어체가,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한 걸어맞춤 돌기를 둘레 방향 양측에 갖고 있는 제 1 체인지 기어체와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 1 체인지 기어체의 걸어맞춤 돌기와 끼워 맞춰지는 피걸어맞춤 홈을 둘레 방향 양측에 갖고 있는 제 2 체인지 기어체로 구성되고, 제 1 체인지 기어체와 제 2 체인지 기어체가, 스프로킷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에 동일한 수만큼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1 체인지 기어체와 제 2 체인지 기어체가 스러스트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규제해서 일체적으로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일체적으로 서로 끼워 맞춰져 있는 제 1 체인지 기어체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걸어맞춤 돌기를 피걸어맞춤 홈에 끼워 맞출 때, 예를 들면 제 1 체인지 기어체를 부착한 후에, 제 2 체인지 기어체를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중심측을 향해 꽂아 넣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제 1 체인지 기어체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의 부착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분리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은 청구항 2에 관한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이 갖는 효과에 부가해서, 걸어맞춤 돌기의 외주측 걸어맞춤 폭 및 내주측 걸어맞춤 폭의 어느 한쪽이, 다른쪽보다 좁게 되어 있는 동시에, 피걸어맞춤 홈의 외주측 피걸어맞춤 폭 및 내주측 피걸어맞춤 폭의 어느 한쪽이,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걸어맞춤 폭에 대응해서 다른쪽보다 좁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1 체인지 기어체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의 한쪽이, 다른쪽의 상대적인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 한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해서 제 1 체인지 기어체와 제 2 체인지 기어체가 일체적으로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일체적으로 끼워 맞춰져 있는 제 1 체인지 기어체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에 있어서의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관한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이 갖는 효과에 부가해서, 걸어맞춤 돌기의 외주측 걸어맞춤 폭이, 걸어맞춤 돌기의 내주측 걸어맞춤 폭보다 좁게 되어 있는 동시에, 피걸어맞춤 홈의 외주측 피걸어맞춤 폭이, 피걸어맞춤 홈의 내주측 피걸어맞춤 폭보다 좁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 2 체인지 기어체가 제 1 체인지 기어체의 상대적인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제 1 체인지 기어체와 제 2 체인지 기어체가 일체적으로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일체적으로 끼워 맞춰져 있는 제 1 체인지 기어체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에 있어서의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의 어느 한 항에 관한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이 갖는 효과에 부가해서, 스프로킷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링 부재가,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와 걸어 맞춰져 있는 것에 의해,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더욱 강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직경 방향뿐만 아니라, 둘레 방향 및 스러스트 방향으로의 체인지 기어체의 유지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체인지 기어체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본 제 1 체인지 기어체의 측면도, 정면도 및 둘레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본 제 2 체인지 기어체의 측면도, 정면도 및 둘레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의 둘레 방향에서 본 확대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의 둘레 방향에서 본 확대측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의 정면도.
본 발명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은 스프로킷 톱니를 구비한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가 스프로킷 본체의 외주에 등피치로 형성한 복수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에 대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에 있어서, 스프로킷 본체가,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에 대응하는 수의 변을 가진 다각형의 외주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가, 스프로킷 본체의 둘레 방향에 각각 인접하는 체인지 기어체끼리 접촉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종래에 비해 톱니형 피치가 작아지고, 더욱 짧은 체인 피치의 체인에 대응 가능해지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은 부착되는 체인지 기어체의 수가 몇 개라도 좋다.
또, 1개의 체인지 기어체에 형성되는 스프로킷 톱니의 수가 몇 개라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1개의 체인지 기어체가 체인 피치 1개분에 대응하고 있어도 좋고, 2개분 이상의 체인 피치에 대응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1종류의 체인지 기어체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접촉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2종류의 체인지 기어체가 교대로 연속해서 접촉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체인지 기어체를 스프로킷 본체에 부착하는 수단 또는 구조는 체인지 기어체를 스프로킷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면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실시예 1]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100)에 대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100)의 정면도이고, 도 2(a)는 제 1 체인지 기어체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제 2 체인지 기어체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본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의 측면도이며, 도 3(b)는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의 정면도이고, 도 3(c)는 둘레 방향에서 본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의 측면도이며, 도 4(a)는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본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의 측면도이고, 도 4(b)는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의 정면도이며, 도 4(c)는 둘레 방향에서 본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100)의 둘레 방향에서 본 확대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100)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로킷 본체(110)와 체인지 기어체의 일예인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와 이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와 동수의 제 2 체인지 기어체(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스프로킷 본체(110)는 중심이 축지지되는 것에 의해 중심을 지점으로 회전하는 부재이며, 스프로킷 본체(110)의 외주 가장자리(114)의 형상은 제 1 체인지 기어체(1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120)의 총수에 대응하는 수의 변을 가진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체인지 기어체(1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130)가, 교대로 접촉하여 연속적으로 스프로킷 본체(110)의 외주에 착탈 가능하게 테이퍼 볼트(140)와 너트(160)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에 비해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100)의 톱니형 피치가 작아진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로킷 본체(110)의 외주에 체인지 기어 장착부(112)가 등 피치로 형성되어 있고, 체인지 기어 장착부(112)에는 테이퍼 볼트(140)가 삽입통과되는 제 1 구멍(111)이, 제 1 체인지 기어체(1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에는 스프로킷 톱니(121)와 피장착부(122)와 걸어맞춤 돌기(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스프로킷 톱니(121)는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피장착부(122)는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의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고, 체인지 기어 장착부(112)와 걸어 맞춰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장착부(122)에는 테이퍼 볼트(140)가 삽입되는 제 2 구멍(123) 및 스프로킷 본체(110)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112)가 꽂아 넣어지는 삽입 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 돌기(124)는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에 있어서의 스프로킷 본체(110)의 둘레 방향 양측에 있어서, 스프로킷 본체(1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에는 스프로킷 톱니(131)와 피장착부(132)와 피걸어맞춤 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스프로킷 톱니(131)는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의 스프로킷 톱니(121)와 마찬가지로,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의 외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피장착부(132)는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의 피장착부(122)와 마찬가지로,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의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고, 체인지 기어 장착부(112)와 걸어 맞춰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장착부(132)에는 테이퍼 볼트(140)가 삽입되는 제 2 구멍(133) 및 스프로킷 본체(110)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112)가 꽂아 넣어지는 삽입 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피걸어맞춤 홈(134)은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에 있어서의 스프로킷 본체(110)의 둘레 방향 양측에 있어서, 걸어맞춤 돌기(124)와 끼워 맞춰지도록 스프로킷 본체(1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와 제 2 체인지 기어체(130)가 스러스트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규제하여 일체적으로 끼워 맞춰진다.
또한, 걸어맞춤 돌기(124)의 외주측 걸어맞춤 폭 W1 및 내주측 걸어맞춤 폭 W2의 어느 한쪽이 다른쪽보다 좁게 되어 있는 동시에, 피걸어맞춤 홈(134)의 외주측 피걸어맞춤 폭 W3 및 내주측 피걸어맞춤 폭 W4의 어느 한쪽이 걸어맞춤 돌기(124)의 걸어맞춤 폭 W1, W2에 대응해서 다른쪽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체인지 기어체(1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의 한쪽이, 다른쪽의 상대적인 스프로킷 본체(110)의 직경 방향 한쪽으로의 이동을 규제해서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와 제 2 체인지 기어체(130)가 일체적으로 끼워 맞춰진다.
본 제 1 실시예에서는 걸어맞춤 돌기(124)의 외주측 걸어맞춤 폭 W1이, 걸어맞춤 돌기(124)의 내주측 걸어맞춤 폭 W2보다 좁게 되어 있는 동시에, 피걸어맞춤 홈(134)에 있어서의 외주측 피걸어맞춤 폭 W3이 피걸어맞춤 홈(134)의 내주측 피걸어맞춤 폭 W4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체인지 기어체(130)가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의 외주측으로의 상대적인 이동을 규제하여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와 제 2 체인지 기어체(130)가 일체적으로 끼워 맞춰진다.
계속해서, 제 1 체인지 기어체(1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의 부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스프로킷 본체(110)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112)가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의 피장착부(122)의 삽입 홈(125)에 꽂아 넣어지도록 해서,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의 피장착부(122)를, 스프로킷 본체(110)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112)에 걸어 맞추고, 제 2 구멍(123)의 위치를 제 1 구멍(111)의 위치에 대응시키는 동시에, 제 1 체인지 기어체(120)를 스프로킷 본체(110)의 다각형의 외주 가장자리(114)의 1변에 대응시켜 이 1변에 꽉 누른다.
다음에, 테이퍼 볼트(140)를 제 2 구멍(123) 및 제 1 구멍(111)에 삽입하여, 제 1 체인지 기어체(120)를 스프로킷 본체(110)에 부착한다.
이 때, 제 2 구멍(123)의 위치는 제 1 구멍(111)의 위치의 위치보다 스프로킷 본체(110)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 테이퍼 볼트(140)의 삽입 방향에 슬릿이 설치된 공지의 슬리브(150) 및 와셔(170)를 통해 테이퍼 볼트(140)와 너트(160)로 체결하여, 제 1 체인지 기어체(120)를 스프로킷 본체(110)에 고정시킨다.
테이퍼 볼트(140) 및 너트(160)에 의해서 체결되면 슬리브(150)가,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제 2 구멍(123)의 위치와 제 1구멍(111)의 위치가 동일한 위치로 되도록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와 스프로킷 본체(110)의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힘이 작용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에 있어서 스프로킷 본체(110)의 직경 방향 중심측을 향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의 삽입 홈(125)의 바닥이 스프로킷 본체(110)의 외주 가장자리(114)와 확실하게 면 접촉하기 때문에, 제 1 체인지 기어체(120)를 스프로킷 본체(110)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체인지 기어체(130)를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와 인접하게 하고, 스프로킷 본체(110)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112)가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의 피장착부(132)의 삽입 홈(135)에 꽂아 넣어지도록 해서,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의 피장착부(132)를 스프로킷 본체(110)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112)에 걸어 맞춘다.
그리고, 제 2 구멍(133)의 위치를 제 1 구멍(111)의 위치에 대응시켜, 테이퍼 볼트(140)를 삽입하여, 제 2 체인지 기어체(130)를 스프로킷 본체(110)에 부착한다.
이 때, 제 2 체인지 기어체(130)를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에 대해 스프로킷 본체(110)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중심측을 향해 꽂아 넣는 것만으로, 걸어맞춤 돌기(124)가 피걸어맞춤 홈(134)에 끼워 맞춰진다.
이와 같이 해서, 마지막 하나까지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가령,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볼록부와 둘레 방향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는 오목부를 끼워 맞추는 구조인 경우에는 마지막 하나를 직경 방향 외측에서 중심측을 향해 꽂아 넣도록 해서 부착하는 것이 곤란하지만, 이러한 구조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마지막 하나까지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걸어맞춤 돌기(124)의 걸어맞춤 폭 W1, W2와 피걸어맞춤 홈(134)의 피걸어맞춤 폭 W3, W4의 관계상, 먼저 모든 제 1 체인지 기어체(120)를 스프로킷 본체(110)에 부착하고 나서, 제 2 체인지 기어체(130)를 스프로킷 본체(110)에 부착하면, 마지막 하나까지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제 1 체인지 기어체(1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130)를 분리할 때에는 먼저 모든 제 2 체인지 기어체(130)를 스프로킷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고 나서, 제 1 체인지 기어체(120)를 분리하면, 마지막 하나까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제 1 실시예인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100)은 스프로킷 본체(110)이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120, 130)에 대응하는 수의 변을 가진 다각형의 외주 가장자리(114)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120, 130)가, 스프로킷 본체(110)의 둘레 방향에 각각 인접하는 체인지 기어체끼리 접촉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종래에 비해, 더욱 짧은 체인 피치의 체인에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체인지 기어체(120, 130)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스프로킷 본체(1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한 걸어맞춤 돌기(124)를 갖는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와 스프로킷 본체(11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해서 제 1 체인지 기어체(120)의 걸어맞춤 돌기(124)와 끼워 맞춰지는 피걸어맞춤 홈(134)을 갖는 제 2 체인지 기어체(130)가, 스프로킷 본체(110)의 외주 가장자리(114)에 동일한 수만큼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일체적으로 서로 끼워 맞춰져 있는 제 1 체인지 기어체(13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에 있어서의 스러스트 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스프로킷 본체(110)에 대한 제 1 체인지 기어체(1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의 착탈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 돌기(124)의 외주측 걸어맞춤 폭 W1 및 내주측 걸어맞춤 폭 W2의 어느 한쪽이, 다른쪽보다 좁게 되어 있는 동시에, 피걸어맞춤 홈(134)의 외주측 피걸어맞춤 폭 W3 및 내주측 피걸어맞춤 폭 W4의 어느 한쪽이, 걸어맞춤 돌기(124)의 걸어맞춤 폭 W1, W2에 대응해서 다른쪽보다 좁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일체적으로 서로 끼워 맞춰져 있는 제 1 체인지 기어체(1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에 있어서의 스프로킷 본체(110)의 직경 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걸어맞춤 돌기(124)의 외주측 걸어맞춤 폭 W1이, 걸어맞춤 돌기(124)의 내주측 걸어맞춤 폭 W2보다 좁게 되어 있는 동시에, 피걸어맞춤 홈(134)의 외주측 피걸어맞춤 폭 W3이, 피걸어맞춤 홈(134)의 내주측 피걸어맞춤 폭 W4보다 좁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일체적으로 서로 끼워 맞춰져 있는 제 1 체인지 기어체(1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에 있어서의 스프로킷 본체(110)의 직경 방향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심히 크다.
[실시예 2]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200)에 대해,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내는 것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200)의 둘레 방향에서 본 확대측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200)은 제 1 실시예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100)의 체인지 기어체(120, 130)의 피장착부(122, 132)와 스프로킷 본체(110)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112)의 암수 관계를 반대로 하는 동시에 링 부재(280)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 것이며, 대부분의 요소에 대해 제 1 실시예의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100)과 공통되므로, 공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아래 2자리수가 공통되는 200번대의 부호를 붙이는 것만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체인지 기어체(1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130)에 형성되어 있던 삽입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스프로킷 본체(21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링 부재(280)와, 스프로킷 본체(210)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212)에 의해서, 제 1 체인지 기어체(220)의 피장착부(222)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230)의 피장착부(232)를 사이에 두도록 해서, 제 1 체인지 기어체(2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230)가 스프로킷 본체(210)에 부착되어 있다.
링 부재(280)는 제 1 구멍(211)과 대응하는 개소에 제 1 구멍(211)과 마찬가지의 제 3 구멍(281)을 갖고 있고, 제 3 구멍(281), 제 2 구멍(223) 및 제 1 구멍(211)에 삽입된 테이퍼 볼트(240)와 너트(260)에 의해서 체결되어 제 1 체인지 기어체(2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230)가 스프로킷 본체(210)에 고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링 부재(280)는 스프로킷 본체(210)에 장착된 제 1 체인지 기어체(2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230)와 걸어 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체인지 기어체(2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230)가 장착된 상태에서 더욱 강고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제 1 체인지 기어체(220)의 피장착부(222)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230)의 피장착부(232)가, 링 부재(280)와 스프로킷 본체(210)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212)에 의해서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로킷 본체(210)의 직경 방향, 둘레 방향 및 스러스트 방향으로의 제 1 체인지 기어체(2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230)의 체결력이 향상한다.
또한, 링 부재(280)를 이용하지 않고, 링 부재(280)의 분을 스프로킷 본체(210)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스프로킷 본체(210)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212)에 있어서의 부호‘213’의 개소에 삽입 홈을 형성하고, 제 1 체인지 기어체(220) 및 제 2 체인지 기어체(230)의 피장착부(222, 232)가 삽입 홈(213)에 꽂아 넣어지는 구조로 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제 2 실시예인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200)은 스프로킷 본체(210)가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220, 230)에 대응하는 수의 변을 가진 다각형의 외주 가장자리(214)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220, 230)가, 스프로킷 본체(210)의 둘레 방향에 각각 인접하는 체인지 기어체끼리 접촉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종래에 비해, 더욱 짧은 체인 피치의 체인에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체인지 기어체(220, 230)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스프로킷 본체(21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링 부재(280)가,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220, 230)와 걸어 맞춰져 있는 것에 의해, 직경 방향뿐만 아니라, 둘레 방향 및 스러스트 방향으로의 체인지 기어체(220, 230)의 유지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그 효과는 심히 크다.
100, 200…체인지 기어 스프로킷
110, 210…스프로킷 본체
111, 211…제 1 구멍
112, 212…체인지 기어 장착부
114, 214…외주 가장자리
120, 220…제 1 체인지 기어체
121, 221…스프로킷 톱니
122, 222…피장착부
123, 223…제 2 구멍
124…걸어맞춤 돌기
125…삽입 홈
130, 230…제 2 체인지 기어체
131, 231…스프로킷 톱니
132, 232…피장착부
133, 233…제 2 구멍
134…피걸어맞춤 홈
135…삽입 홈
140, 240…테이퍼 볼트
150, 250…슬리브
160, 260…너트
170, 270…와셔
213…삽입 홈
280…링 부재
281…제 3 구멍
500…체인지 기어 스프로킷
510…스프로킷 본체
511…둘레 방향 측면 부분
520…체인지 기어체
521…둘레 방향 측면 부분
530…볼트
W1…걸어맞춤 돌기의 외주측 걸어맞춤 폭
W2…걸어맞춤 돌기의 내주측 걸어맞춤 폭
W3…피걸어맞춤 홈의 외주측 피걸어맞춤 폭
W4…피걸어맞춤 홈의 내주측 피걸어맞춤 폭

Claims (5)

  1. 스프로킷 톱니를 구비한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가 스프로킷 본체의 외주에 등피치로 형성한 복수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에 대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 본체는 상기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에 대응하는 수의 변을 가진 다각형의 외주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는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둘레 방향에 각각 인접하는 체인지 기어체끼리 접촉해서 배치되며,
    상기 체인지 기어체는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한 걸어맞춤 돌기를 둘레 방향 양측에 갖고 있는 제 1 체인지 기어체와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해서 제 1 체인지 기어체의 걸어맞춤 돌기와 끼워 맞춰지는 피걸어맞춤 홈을 둘레 방향 양측에 갖고 있는 제 2 체인지 기어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체인지 기어체와 제 2 체인지 기어체는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에 동일한 수만큼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외주측 걸어맞춤 폭 및 내주측 걸어맞춤 폭의 어느 한쪽이, 다른쪽보다 좁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피걸어맞춤 홈의 외주측 피걸어맞춤 폭 및 내주측 피걸어맞춤 폭의 어느 한쪽이,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걸어맞춤 폭에 대응해서 다른쪽보다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
  2. 스프로킷 톱니를 구비한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가 스프로킷 본체의 외주에 등피치로 형성한 복수의 체인지 기어 장착부에 대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 본체는 상기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에 대응하는 수의 변을 가진 다각형의 외주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는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둘레 방향에 각각 인접하는 체인지 기어체끼리 접촉해서 배치되며,
    상기 체인지 기어체는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한 걸어맞춤 돌기를 둘레 방향 양측에 갖고 있는 제 1 체인지 기어체와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해서 제 1 체인지 기어체의 걸어맞춤 돌기와 끼워 맞춰지는 피걸어맞춤 홈을 둘레 방향 양측에 갖고 있는 제 2 체인지 기어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체인지 기어체와 제 2 체인지 기어체는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둘레 가장자리에 동일한 수만큼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외주측 걸어맞춤 폭이,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내주측 걸어맞춤 폭보다 좁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피걸어맞춤 홈의 외주측 피걸어맞춤 폭이, 상기 피걸어맞춤 홈의 내주측 피걸어맞춤 폭보다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 본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링 부재는 상기 복수의 체인지 기어체와 걸어 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
  4. 삭제
  5. 삭제
KR1020120098362A 2011-10-05 2012-09-05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 KR101451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20767 2011-10-05
JP2011220767A JP5483370B2 (ja) 2011-10-05 2011-10-05 替歯スプロケ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158A KR20130037158A (ko) 2013-04-15
KR101451313B1 true KR101451313B1 (ko) 2014-10-15

Family

ID=4801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362A KR101451313B1 (ko) 2011-10-05 2012-09-05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83370B2 (ko)
KR (1) KR101451313B1 (ko)
CN (1) CN103032551A (ko)
TW (1) TWI5062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4498A (zh) * 2016-08-26 2016-12-14 无锡市恒达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矿山机械组合式输送链轮
JP7427152B2 (ja) * 2019-06-12 2024-02-05 ゼクサスチェン株式会社 チェーンスプロケットホイ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65A (en) * 1976-06-23 1978-01-05 Michio Tsujiura Formed tooth gear
JPH0380145U (ko) * 1989-12-05 1991-08-16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5962U (ko) * 1975-02-24 1976-08-25
JPS5782244U (ko) * 1980-11-07 1982-05-21
JPS6315360U (ko) * 1986-07-17 1988-02-01
JP2883557B2 (ja) * 1995-02-28 1999-04-19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替歯スプロケット
CN2893327Y (zh) * 2006-05-18 2007-04-25 田鸿彬 一种链轮
CN201436424U (zh) * 2009-07-12 2010-04-07 青岛达能环保设备有限公司 单齿可拆、分度圆直径可调链轮
CN201671318U (zh) * 2010-04-30 2010-12-15 福建工程学院 立榫横卯承插卡扣连接脚手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65A (en) * 1976-06-23 1978-01-05 Michio Tsujiura Formed tooth gear
JPH0380145U (ko) * 1989-12-05 1991-08-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06216B (zh) 2015-11-01
JP5483370B2 (ja) 2014-05-07
CN103032551A (zh) 2013-04-10
TW201315915A (zh) 2013-04-16
JP2013079697A (ja) 2013-05-02
KR20130037158A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477B1 (ko)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
TWI672245B (zh) 自行車曲柄總成
US20110286813A1 (en) Fastening means for pre-assembly of a pin-shaped joining means in a through-hole of a structural element
EP2048075A3 (en) Bicycle rear sprocket assembly
JP6003392B2 (ja) 取付板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
KR101451313B1 (ko) 체인지 기어 스프로킷
JP2008095814A (ja) パイプ接続構造
JP5078832B2 (ja) チェーン伝動装置及び汚泥掻寄装置
TWI657008B (zh) 鏈輪
US20100038202A1 (en) Freewheel cage
US9364774B2 (en) Chain structure
US20150300400A1 (en) Component for fastening on a carrier component of an automobile
KR101364699B1 (ko) 조립식 치차 절삭용 호브
WO2018024307A2 (en) Multi part sprocket wheel
JP6529988B2 (ja) 張力素子を意図に反する解除に対して固定する装置
JP6035661B2 (ja) 伝動装置用チェーン
KR20130017737A (ko) 체결하기 쉬운 자동차용 토크컨버터
JP5278171B2 (ja) 燃料タンクへの部材取付構造
JP6222286B2 (ja) 取付板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5325328B2 (ja) チェーン伝動装置
JP6739034B2 (ja) チェーン伝動装置用ホイール
KR101605416B1 (ko) 부트 조립구조
JPS591900Y2 (ja) 多段スプロケットの組立体
JP7427152B2 (ja) チェーンスプロケットホイール
JP5861951B2 (ja) チェーン伝動装置用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