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606B1 -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 - Google Patents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606B1
KR101450606B1 KR1020130006272A KR20130006272A KR101450606B1 KR 101450606 B1 KR101450606 B1 KR 101450606B1 KR 1020130006272 A KR1020130006272 A KR 1020130006272A KR 20130006272 A KR20130006272 A KR 20130006272A KR 101450606 B1 KR101450606 B1 KR 101450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heat exchange
cap
assembled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689A (ko
Inventor
김세길
Original Assignee
김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길 filed Critical 김세길
Priority to KR102013000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6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3/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28D3/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with tubula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은, 열교환세관(110, 細管)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은 다수개의 끼움공(121)이 타공된 나선형 배기유도구(120)에 끼워져 정렬되며, 열교환세관(110)의 양측으로 제1캡(130)과 제2캡(133)이 끼워지되, 상기 제1캡(130)은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이 끼워지도록 제1통공(131)이 다수개 타공되고, 측부에는 실내공기가 배기되도록 제1측부통공(13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캡(133)은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이 끼워지도록 제2통공(134)이 다수개 타공되고, 측부에는 실내공기가 배기 되도록 제2측부통공(135)이 형성되며, 장볼트(140)와 너트(141)를 통해 조립된 열교환세관(110), 배기유도구(120) 및 제1,2캡(130, 133)의 외주면으로 열교환시 단열을 유지시키기 위한 단열통(111)이 끼워지고, 상기 제2캡(133)의 측방으로 제1댐퍼(150), 제2댐퍼(153), 필터(143)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되, 제1반원통부(151)가 형성된 제1댐퍼(150)의 저면에는 제1모터(142)가 장착되고, 제1모터(142)의 축에는 구동기어(152)가 장착되며, 상기 제1댐퍼(150)의 측방으로 제2반원통부(154)가 형성된 제2댐퍼(153)가 설치되고, 제2댐퍼(153)의 내부에는 종동기어(155)가 형성되어, 상기 제1댐퍼(150)의 구동기어(152)와 치합되며, 상기 제2댐퍼(153)의 측방에는 먼지를 여과시켜주는 필터(143)가 장착되고, 상기 제2댐퍼(153)의 외주면으로는 일측에 급기입구(161)가 형성되고, 타측에 끼움홈(162)이 형성된 보호캡(160)이 끼워지며, 일측 외주면으로 간격구(171)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고무링(172)이 외주면에 외삽되는 외장통(170)은 상기 단열통(111)을 에워싸면서 조립되며, 상기 외장통(170)의 간격구(171)와 보호캡(160)의 끼움홈(162)이 서로 결합되면서 세관형열교환유닛(100)이 조립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The heat exchanging type bidirectional ventilator inserting a side wall}
본 발명은 열교환식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켜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고자, 외부공기의 유입과 실내공기의 배출 과정에서 서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 아니라, 환풍기 내부에 퇴적된 먼지의 제거작업을 포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측벽에 삽입 장착한 다음 탈거가 가능하도록 한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실내공기 순환을 위한 덕트와 열교환기가 설치된 평면도로서, 종래에는 실내공기의 정화 내지 외부공기와의 순환공급을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가정을 비롯하여 사무실이나 건물의 천장에 덕트가 매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외부공기의 공급을 담당하는 덕트(510)와 실내공기의 배출을 담당하는 덕트(510)가 양분되어 설치되며, 이 2개의 덕트(510)는 외벽 근처에 설치된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와 외부공기가 서로 열을 교환한 후, 각각의 실내공간으로 분기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덕트가 천장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관계로, 덕트 내부의 청소는 거의 불가능하여 환기수단으로 설치된 덕트가 오히려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부상됨에 따라 덕트 내부의 청소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선결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6916호(2010. 06. 30)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468호(2006. 02. 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환풍기 내부의 먼지제거를 포함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자, 측벽에 삽입 장착한 다음 탈거가 가능하도록 한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열교환세관(110, 細管)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은 다수개의 끼움공(121)이 타공된 나선형 배기유도구(120)에 끼워져 정렬되며, 열교환세관(110)의 양측으로 제1캡(130)과 제2캡(133)이 끼워지되, 상기 제1캡(130)은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이 끼워지도록 제1통공(131)이 다수개 타공되고, 측부에는 실내공기가 배기되도록 제1측부통공(13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캡(133)은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이 끼워지도록 제2통공(134)이 다수개 타공되고, 측부에는 실내공기가 배기 되도록 제2측부통공(135)이 형성되며, 장볼트(140)와 너트(141)를 통해 조립된 열교환세관(110), 배기유도구(120) 및 제1,2캡(130, 133)의 외주면으로 열교환시 단열을 유지시키기 위한 단열통(111)이 끼워지고, 상기 제2캡(133)의 측방으로 제1댐퍼(150), 제2댐퍼(153), 필터(143)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되, 제1반원통부(151)가 형성된 제1댐퍼(150)의 저면에는 제1모터(142)가 장착되고, 제1모터(142)의 축에는 구동기어(152)가 장착되며, 상기 제1댐퍼(150)의 측방으로 제2반원통부(154)가 형성된 제2댐퍼(153)가 설치되고, 제2댐퍼(153)의 내부에는 종동기어(155)가 형성되어, 상기 제1댐퍼(150)의 구동기어(152)와 치합되며, 상기 제2댐퍼(153)의 측방에는 먼지를 여과시켜주는 필터(143)가 장착되고, 상기 제2댐퍼(153)의 외주면으로는 일측에 급기입구(161)가 형성되고, 타측에 끼움홈(162)이 형성된 보호캡(160)이 끼워지며, 일측 외주면으로 간격구(171)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고무링(172)이 외주면에 외삽되는 외장통(170)은 상기 단열통(111)을 에워싸면서 조립되며, 상기 외장통(170)의 간격구(171)와 보호캡(160)의 끼움홈(162)이 서로 결합되면서 세관형열교환유닛(100)이 조립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세관형열교환유닛(100)의 외장통(170)의 선단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제1배기공(211)이 형성된 임펠러설치구(210)가 구비되고, 임펠러설치구(210)의 중앙에는 제1임펠러(220)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임펠러(220)는 하부에 급기공(231)이 형성된 급기하우징(230)으로 덮여지고, 제2모터(232)는 상기 급기하우징(230)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부에 제2배기공(241)이 형성된 배기저판(240)은 상기 제2모터(232)의 측방에 위치되고, 제2임펠러(250)는 배기저판(240)과 중앙에 제3배기공(261)이 형성된 배기상판(260) 사이에 조립되며, 상기 배기상판(260)이 임펠러설치구(210)에 조립되면서 임펠러유닛(200)으로 조립되어, 상기 제2모터(232)의 구동시 제1,2임펠러(220, 250)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유입바람과 배출바람을 만들어 내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임펠러유닛(200)이 전방에 장착된 세관형열교환유닛(100)이 측벽(320)에 관통될 수 있도록, 측벽(320)의 콘크리트 타설시 측벽(320)에 매립되어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벽체슬리브(310)가 구비되되, 상기 벽체슬리브(310)의 선단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볼트내장부(311)가 돌출 형성되어, 벽체슬리브(310)의 전방으로 조립되는 간격슬리브(330)와의 볼트(321) 조립시, 조립공간이 벽체슬리브(310)에 확보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측벽(320)의 외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역U자형 후드(410)와 후드(410)의 하부에 조립되는 형상유지구(420)가 구비되되, 끈(430)이 후드(410)와 형상유지구(420)의 구멍(411)에 관통되어, 벽체슬리브(310)와 간격슬리브(330)를 조립시켜주는 다수개의 볼트(321)에 끈(430)이 묶여진 상태에서, 후드(410)의 테두리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후드(410)와 형상유지구(420)를 옆으로 비스듬히 틀어 벽체슬리브(310)를 통과시켜, 측벽(320)의 외면에 위치시키고, 끈(430)으로 지지되고 있는 후드(410)를 벽체슬리브(310)와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기 묶여있던 끈(430)을 더욱 팽팽하게 잡아당기며, 접착제가 고착되는 과정에서 역U자형 후드(410)의 형상이 뒤틀리지 않도록 후드(410)의 하부에 형상유지구(420)가 조립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를 아파트, 빌딩, 공장 등의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게 되면, 규칙적으로 환풍기를 용이하게 탈거하여 내부의 먼지를 말끔하게 청소하거나, 고장 부품들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신선한 실내공기를 조성하는데 큰 장점이 있다. 또한, 측벽의 외면에 설치되는 후드를 실내에서 작업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시간 및 작업의 위험성을 현저하게 낮추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실내공기 순환을 위한 덕트와 열교환기가 설치된 평면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중 세관형 열교환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중 임펠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중 벽체 슬리브, 간격 슬리브, 격자를 설명하기 위한 각종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중 측벽 외면에 설치되는 후드를 설명하기 위한 각종 사시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중 세관형 열교환유닛, 임펠러 유닛을 측벽에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사시도
본 발명의 특징적 기술의 요지는 외부공기와 실내공기가 서로 교차하면서 열교환이 발생되는 환풍기가 건물의 측벽(320)에 용이하게 삽입 장착될 뿐 아니라, 유지보수를 위해 실내에서 측벽(320)에 삽입된 환풍기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중 세관형 열교환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사시도로서, 도 2에서 보듯이 외부공기와 실내공기의 교차적인 흐름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한 열교환세관(110, 細管)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은 다수개의 끼움공(121)이 타공된 나선형 배기유도구(120)에 끼워진 후 정렬된 다음, 열교환세관(110)의 양측으로 제1캡(130)과 제2캡(133)이 끼워지는 구성이다.
열교환세관(110)의 일측에 끼워지는 제1캡(130)은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이 끼워지도록 제1통공(131)이 다수개 타공되고, 측부에는 실내공기가 배기되도록 제1측부통공(132)이 형성된다. 또한, 열교환세관(110)의 타측에 끼워지는 제2캡(133)에도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이 끼워지도록 제2통공(134)이 다수개 타공되며, 제2캡(133)의 측부에도 실내공기가 배기 되도록 제2측부통공(135)이 형성된다.
한편, 외부공기의 유입경로를 설명하면, 제2캡(133)의 제2통공(134)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1캡(130)에 타공된 제1통공(131)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며, 이와 동시에 실내공기는 제1캡(130)의 제1측부통공(132)을 통해 유입된 후,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의 외주면 사이를 흐르면서 나선형 배기유도구(120)를 따라 회전한 다음, 제2캡(133)의 제2측부통공(135)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나선형 배기유도구(120)로 인해 실내공기의 배출 유로 경로가 길게 확보됨에 따라, 열교환세관(110)의 내부로 공급되는 외부공기와의 마찰시간이 증대됨으로써, 열교환의 효율이 증대된다.
도 3은 장볼트(140)와 너트(141)를 통해 조립된 열교환세관(110), 나선형 배기유도구(120) 및 제1,2캡(130, 133)의 외주면으로 열교환시 단열을 유지시키기 위한 단열통(111)이 끼워진다. 상기 단열통(111)은 연질의 가요성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캡(133)의 측방으로 제1댐퍼(150), 제2댐퍼(153), 필터(143)가 순차적으로 조립된다.
상기 제1댐퍼(150)의 저면에는 제1모터(142)가 장착되고, 제1댐퍼(150)를 관통하는 제1모터(142)의 축에는 구동기어(152)가 장착된다. 또한, 제1댐퍼(150)의 측방으로는 제2댐퍼(153)가 설치되되, 도 3에서와 같이 제2댐퍼(153)의 내부에 종동기어(155)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댐퍼(150)의 구동기어(152)와 외치 형태로 치합되면서 조립된다. 한편, 제2댐퍼(153)에는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미세먼지를 여과시켜주는 필터(143)가 장착된다.
한편, 도 4의 상부에는 제1댐퍼(150)와 제2댐퍼(153)의 방향을 돌려놓은 도면이 도시되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제1댐퍼(150)에는 반원으로 형성된 제1반원통부(151)가 형성될 뿐 아니라, 제2댐퍼(153)에도 반원으로 형성된 제2반원통부(154)가 형성된다. 이는 제2댐퍼(153)가 제1댐퍼(150)에 설치된 제1모터(142)의 구동에 따라 180°회전되는 과정에서 제1,2반원통부(151, 154)가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제1,2반원통부(151, 154)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로써, 본 발명에 따른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의 미작동시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공기의 유입이 물리적으로 차단된다. 그러나, 환풍기에 작동 신호가 부여되어, 제1댐퍼(150)에 설치된 제1모터(142)에 구동신호가 전달되면, 제1모터(142)의 축이 180°회전되고, 제1모터(142)의 구동으로 인해 제2댐퍼(153)가 180°회전되면서 제1,2반원통부(151, 154)가 개방상태가 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중 세관형 열교환유닛의 보호캡(160)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보호캡(160)은 측벽(320)의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제2댐퍼(153)를 에워싸면서 설치됨에 따라, 제2댐퍼(153)의 제2반원통부(154)를 통해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도 5의 하부에는 보호캡(160)의 방향을 돌려놓은 도면이 도시되었는바, 보호캡(160)의 일측 하방에는 급기입구(161)가 지면을 향하여 일정크기로 개방되어 형성됨으로써, 자유낙하 하는 빗물, 눈, 이물질 등이 제2댐퍼(153)쪽으로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중 세관형 열교환유닛의 외장통(170)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에서와 같이 단열통(111)의 외주면으로 외장통(170)이 조립되고, 상기 외장통(170)의 외주면에는 고무링(172)이 외삽된다. 상기 고무링(172)은 후술하는 벽체슬리브(310)의 내부로 세관형열교환유닛(100)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벽체슬리브(310)와 외장통(170)의 틈새를 막아줌으로써, 바람과 기타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외장통(170)의 일측 외주면에는 간격구(171)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간격구(171)와 보호캡(160)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홈(162)이 서로 결합되어 조립이 되면서 도 7과 같은 세관형열교환유닛(100)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중 임펠러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사시도로서, 도 8에서와 같이 임펠러유닛(200)은 내부에 설치된 1개의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외부공기의 공급과 실내공기의 배출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임펠러 유닛이다. 도 8의 (a)에서와 같이 일측에 제1배기공(211)이 형성된 임펠러설치구(210)가 구비되고, 도 8의 (b)에서와 같이 임펠러설치구(210)의 중앙에는 제1임펠러(220)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임펠러(220)는 급기하우징(230)을 통해 덮여지면서 도 8의 (c)와 같이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제1임펠러(220)의 기능은 전술한 세관형열교환유닛(100)의 열교환세관(110)의 내부를 통과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급기하우징(230)의 하부에 형성된 급기공(231)을 통해 외부공기를 실내로 불어 넣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 9의 (a)에서와 같이 제2임펠러(250)는 상부에 제2배기공(241)이 형성된 배기저판(240)과 중앙에 제3배기공(261)이 형성된 배기상판(260) 사이에 조립된다. 또한, 도 9의 (b)에서와 같이 제2모터(232)는 급기하우징(230)의 외면에 설치되고, 제2모터(232)는 양측에 2개의 모터축이 형성됨으로써, 각각 제1임펠러(220)와 제2임펠러(250)가 동시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모터(232)의 구동시 제1,2임펠러(220, 250)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유입바람과 배출바람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한편, 도 9의 (c)에서와 같이, 배기저판(240)을 상기 제2모터(232)의 측방에 위치시키고 배기상판(260)을 이용하여 임펠러설치구(210)에 조립하면, 임펠러유닛(200)이 조립된다.
도 10은 앞서 설명한 세관형열교환유닛(100)의 외장통(170)과 임펠러유닛(200)의 임펠러설치구(210)를 맞대어 조립한 구성이며, 도 10의 (b)에 실선 화살표로 표시한 것은 외부공기의 유입경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보호캡(160)의 급기입구(161)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제1,2댐퍼(150, 153), 제2캡(133), 열교환세관(110)의 내부, 제1캡(130), 제1임펠러(220), 급기하우징(230)의 급기공(231)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실내로 유입된다.
한편, 도 10의 (b)에 일점쇄선 화살표로 표시한 것은 실내공기의 배출경로를 나타낸 것으로서, 배기상판(260)의 제3배기공(261)으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제2임펠러(250), 제1,2배기공(211, 241), 열교환세관(110)의 외주면, 제2캡(133)의 제2측부통공(135), 보호캡(160)과 외장통(170)의 사이공간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중 벽체 슬리브, 간격 슬리브, 격자를 설명하기 위한 각종 사시도로서, 상기 벽체슬리브(310)란 본 발명에 따른 세관형열교환유닛(100)을 벽체에 관통시킬 수 있도록, 도 11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시 측벽(320)에 매립되어 관통구멍을 만드는 구성이다. 벽체슬리브(310)의 전방에는 간격슬리브(330)가 조립되는바, 간격슬리브(330)와의 볼트(321)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자, 벽체슬리브(310)의 선단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볼트내장부(31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립공간이 벽체슬리브(310)에 확보됨으로써 간격슬리브(330)와 벽체슬리브(310)와의 조립공정이 용이하게 진행되는 것이다.
또한, 도 12에서와 같이 간격슬리브(330)는 콘크리트 측벽(320)의 내측으로 쌓아 올리는 조적벽과 단열재의 시공 공간의 벽두께에 맞추어 위치되는 것이고, 격자(340)는 실내공간에서 육안으로 인식되는 것으로서, 상기 격자(340)가 간격슬리브(330)의 선단에 조립된다. 상기 격자(340)의 하부에는 외부공기의 공급 출구에 해당되는 급기출구(3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격자(340)의 외주면으로 격자하우징(350)이 조립되되, 상기 격자하우징(350)의 중앙에는 실내공기의 배출 입구에 해당하는 배기입구(351)가 형성된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중 측벽 외면에 설치되는 후드(410)를 설명하기 위한 각종 사시도로서, 도 1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설치되는 측벽(320)의 외면에는 벽체슬리브(310) 내부로 빗물, 눈,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드(410)가 설치되는바, 종래에는 이와 같은 후드(410)의 설치작업을 측벽(320)의 외부에서 진행하였다. 그러나, 아파트와 고층빌딩에서의 후드(410)의 설치작업은 위험한 고공작업으로 분류되어, 안전상 위험과 작업의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후드(410)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후드(410)의 설치 작업이 실내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 13에서와 같이 가요성이 우수한 역U자형 후드(410)를 비스듬히 옆으로 틀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오므린 상태로 벽체슬리브(310)를 통과시킨다. 또한, 후드(410)를 통과시킨 이후 형상유지구(420)를 비스듬히 틀어서 벽체슬리브(310)를 통과시키면, 도 14에서와 같이 측벽(320)의 외부에 후드(410)와 형상유지구(420)가 위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후드(410)와 형상유지구(420)를 벽체슬리브(310)에 통과시키기 전, 도 15에서와 같이 미리 4개의 끈(430)을 이용하여 후드(410)와 형상유지구(420)의 구멍(411)을 통과시켜 연결시킨 다음, 끈(430)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슬리브(310)와 간격슬리브(330)를 조립시켜주는 4개의 볼트(321)에 여유있게 묶어준 상태에서 후드(410)와 형상유지구(420)를 벽체슬리브(310)에 통과시키면, 벽체슬리브(310)를 통과한 후드(410)와 형상유지구(420)가 하방으로 자유낙하 되지 않고 측벽(320)의 외부에 메어 달린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후드(410)를 벽체슬리브(310)에 관통시키기 전에 후드(410)의 테두리부에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관통된 후에도 끈(430)으로 지지되는 후드(410)를 벽체슬리브(310)쪽으로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편리하게 후드(410)를 벽체슬리브(310)와 접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끈(430)을 팽팽하게 잡아당겨줌으로써, 견고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후드(410)의 하부에는 형상유지구(420)를 조립함으로써, 접착제가 고착되는 과정에서 역U자형 후드(410)의 형상이 뒤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중 세관형 열교환유닛, 임펠러 유닛을 측벽에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각종 사시도로서, 도 1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세관형열교환유닛(100)과 임펠러유닛(200)을 조립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조립유닛을 도 17,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슬리브(310)의 안쪽으로 삽입시킨 다음, 격자하우징(350)을 격자(340)에 조립하면 도 19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가 조립 완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를 아파트, 빌딩, 공장 등의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게 되면, 규칙적으로 환풍기를 용이하게 탈거하여 내부의 먼지를 말끔하게 청소하거나, 고장 부품들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신선한 실내공기를 조성하는데 큰 장점이 있다. 또한, 측벽의 외면에 설치되는 후드를 실내에서 작업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시간 및 작업의 위험성을 현저하게 낮추게 되는 장점이 있다.
100 : 세관형열교환유닛
110 : 열교환세관
111 : 단열통
120 : 배기유도구
121 : 끼움공
130 : 제1캡
131 : 제1통공
132 : 제1측부통공
133 : 제2캡
134 : 제2통공
135 : 제2측부통공
140 : 장볼트
141 : 너트
142 : 제1모터
143 : 필터
150 : 제1댐퍼
151 : 제1반원통부
152 : 구동기어
153 : 제2댐퍼
154 : 제2반원통부
155 : 종동기어
160 : 보호캡
161 : 급기입구
162 : 끼움홈
170 : 외장통
171 : 간격구
172 : 고무링
200 : 임펠러유닛
210 : 임펠러설치구
211 : 제1배기공
220 : 제1임펠러
230 : 급기하우징
231 : 급기공
232 : 제2모터
240 : 배기저판
241 : 제2배기공
250 : 제2임펠러
260 : 배기상판
261 : 제3배기공
310 : 벽체슬리브
311 : 볼트내장부
320 : 측벽
321 : 볼트
330 : 간격슬리브
340 : 격자
341 : 급기출구
350 : 격자하우징
351 : 배기입구
410 : 후드
411 : 구멍
420 : 형상유지구
430 : 끈
500 : 열교환기
510 : 덕트

Claims (4)

  1. 열교환세관(110, 細管)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은 다수개의 끼움공(121)이 타공된 나선형 배기유도구(120)에 끼워져 정렬되며, 열교환세관(110)의 양측으로 제1캡(130)과 제2캡(133)이 끼워지되, 상기 제1캡(130)은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이 끼워지도록 제1통공(131)이 다수개 타공되고, 측부에는 실내공기가 배기되도록 제1측부통공(13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캡(133)은 다수개의 열교환세관(110)이 끼워지도록 제2통공(134)이 다수개 타공되고, 측부에는 실내공기가 배기 되도록 제2측부통공(135)이 형성되며, 장볼트(140)와 너트(141)를 통해 조립된 열교환세관(110), 배기유도구(120) 및 제1,2캡(130, 133)의 외주면으로 열교환시 단열을 유지시키기 위한 단열통(111)이 끼워지고, 상기 제2캡(133)의 측방으로 제1댐퍼(150), 제2댐퍼(153), 필터(143)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되, 제1반원통부(151)가 형성된 제1댐퍼(150)의 저면에는 제1모터(142)가 장착되고, 제1모터(142)의 축에는 구동기어(152)가 장착되며, 상기 제1댐퍼(150)의 측방으로 제2반원통부(154)가 형성된 제2댐퍼(153)가 설치되고, 제2댐퍼(153)의 내부에는 종동기어(155)가 형성되어, 상기 제1댐퍼(150)의 구동기어(152)와 치합되며, 상기 제2댐퍼(153)의 측방에는 먼지를 여과시켜주는 필터(143)가 장착되고, 상기 제2댐퍼(153)의 외주면으로는 일측에 급기입구(161)가 형성되고, 타측에 끼움홈(162)이 형성된 보호캡(160)이 끼워지며, 일측 외주면으로 간격구(171)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고무링(172)이 외주면에 외삽되는 외장통(170)은 상기 단열통(111)을 에워싸면서 조립되며, 상기 외장통(170)의 간격구(171)와 보호캡(160)의 끼움홈(162)이 서로 결합되면서 세관형열교환유닛(100)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관형열교환유닛(100)의 외장통(170)의 선단에 조립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제1배기공(211)이 형성된 임펠러설치구(210)가 구비되고, 임펠러설치구(210)의 중앙에는 제1임펠러(220)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임펠러(220)는 하부에 급기공(231)이 형성된 급기하우징(230)으로 덮여지고, 제2모터(232)는 상기 급기하우징(230)의 중앙에 설치되며, 상부에 제2배기공(241)이 형성된 배기저판(240)은 상기 제2모터(232)의 측방에 위치되고, 제2임펠러(250)는 배기저판(240)과 중앙에 제3배기공(261)이 형성된 배기상판(260) 사이에 조립되며, 상기 배기상판(260)이 임펠러설치구(210)에 조립되면서 임펠러유닛(200)으로 조립되어, 상기 제2모터(232)의 구동시 제1,2임펠러(220, 250)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유입바람과 배출바람을 만들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유닛(200)이 전방에 장착된 세관형열교환유닛(100)이 측벽(320)에 관통될 수 있도록, 측벽(320)의 콘크리트 타설시 측벽(320)에 매립되어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벽체슬리브(310)가 구비되되, 상기 벽체슬리브(310)의 선단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볼트내장부(311)가 돌출 형성되어, 벽체슬리브(310)의 전방으로 조립되는 간격슬리브(330)와의 볼트(321) 조립시, 조립공간이 벽체슬리브(310)에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벽(320)의 외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역U자형 후드(410)와 후드(410)의 하부에 조립되는 형상유지구(420)가 구비되되, 끈(430)이 후드(410)와 형상유지구(420)의 구멍(411)에 관통되어, 벽체슬리브(310)와 간격슬리브(330)를 조립시켜주는 다수개의 볼트(321)에 끈(430)이 묶여진 상태에서, 후드(410)의 테두리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후드(410)와 형상유지구(420)를 옆으로 비스듬히 틀어 벽체슬리브(310)를 통과시켜, 측벽(320)의 외면에 위치시키고, 끈(430)으로 지지되고 있는 후드(410)를 벽체슬리브(310)와 접착시키는 과정에서 기 묶여있던 끈(430)을 더욱 팽팽하게 잡아당기며, 접착제가 고착되는 과정에서 역U자형 후드(410)의 형상이 뒤틀리지 않도록 후드(410)의 하부에 형상유지구(420)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
KR1020130006272A 2013-01-21 2013-01-21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 KR101450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272A KR101450606B1 (ko) 2013-01-21 2013-01-21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272A KR101450606B1 (ko) 2013-01-21 2013-01-21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689A KR20140094689A (ko) 2014-07-31
KR101450606B1 true KR101450606B1 (ko) 2014-10-17

Family

ID=5174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272A KR101450606B1 (ko) 2013-01-21 2013-01-21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78A1 (ko) * 2016-07-01 2018-01-04 김태중 환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2414A (zh) * 2017-07-19 2019-01-29 侍家(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壁挂式新风机
CN108105927B (zh) * 2017-12-25 2024-02-13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加湿效果均匀的室内净化器用加湿组件
CN108826569B (zh) * 2018-08-06 2023-12-08 北京世纪天创智业系统集成技术有限公司 一种坎墙换气耦合窗户系统
JP6847212B2 (ja) * 2018-10-12 2021-03-24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7433A (ja) * 1990-05-15 1992-08-17 Berner Erling 換気及び熱交換装置
JPH05157308A (ja) * 1991-12-11 1993-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型換気装置
KR100747801B1 (ko) 2005-11-11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팬제어방법
KR100952956B1 (ko) 2009-11-19 2010-04-15 (주)엘포에스 축사 환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7433A (ja) * 1990-05-15 1992-08-17 Berner Erling 換気及び熱交換装置
JPH05157308A (ja) * 1991-12-11 1993-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型換気装置
KR100747801B1 (ko) 2005-11-11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팬제어방법
KR100952956B1 (ko) 2009-11-19 2010-04-15 (주)엘포에스 축사 환기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78A1 (ko) * 2016-07-01 2018-01-04 김태중 환풍기
US11209179B2 (en) 2016-07-01 2021-12-28 Tae Joong Kim Venti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689A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606B1 (ko) 측벽 삽입형 열교환식 양방향 환풍기
CN105896346B (zh) 防水控温电力柜
SI23299A (sl) Prezračevalna naprava
CN105977827A (zh) 防雨电力柜
CN206754002U (zh) 一种用于安装离心风机的风道壳体
CN210430638U (zh) 一种室外用简易型通风散热的配电柜
JP4811052B2 (ja) 外壁端末換気口
CN203824040U (zh) 套管式换热螺旋断续翅片空调通风装置
KR101962854B1 (ko)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JP6467623B2 (ja) 空気清浄装置
CN204084798U (zh) 一种中央空调过滤网装置
CN105783127A (zh) 一种空气净化器
CN105757793A (zh) 一种空调室内机
CN211422960U (zh) 一种便于自清理的通风机
CN106785964A (zh) 一种户外防水防腐型智能电力控制柜
CN107458392A (zh) 机车用正压自动排尘通风系统
CN211082393U (zh) 一种风机的导流机构
CN210154019U (zh) 一种建筑施工用通风装置
CN206637641U (zh) 一种冷却锅炉的烟囱
CN203102757U (zh) 显示屏的安装装置和显示装置
KR101029335B1 (ko) 급배기 일체형 후드
CN221055191U (zh) 一种建筑工地自动换风设备
CN110500763A (zh) 冷风机防尘装置及设置其的冷风机
KR200477593Y1 (ko) 배기파이프용 흡출기
CN214841446U (zh) 一种用于无尘室的高效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