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335B1 - 급배기 일체형 후드 - Google Patents

급배기 일체형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335B1
KR101029335B1 KR1020090104965A KR20090104965A KR101029335B1 KR 101029335 B1 KR101029335 B1 KR 101029335B1 KR 1020090104965 A KR1020090104965 A KR 1020090104965A KR 20090104965 A KR20090104965 A KR 20090104965A KR 101029335 B1 KR101029335 B1 KR 101029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intake
air
duc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김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철 filed Critical 김경철
Priority to KR1020090104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급배기 일체형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에 일정간격 이격설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후드에 배기팬을 장착한 배기덕트와 급기팬을 장착한 급기덕트가 함께 설치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급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덕트를 통해 원할히 배출시킬 수 있는 동시에 냉난방 효율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배기급기 일체형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력배기팬의 배기흡입력에 의해 건물 내부의 오염물질을 배기하는 배기부와, 상기 배기부의 배기작동시 동력을 동력전달수단으로 전달받아 건물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로 흡기하여 배기 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기덕트, 급기덕트, 후드, 설치공, 홀

Description

급배기 일체형 후드{A KITCHEN HOOD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IR}
본 발명은 급배기 일체형 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일정간격 이격설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후드에 배기팬을 장착한 배기덕트와 급기팬을 장착한 급기덕트가 함께 설치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급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덕트를 통해 원할히 배출시킬 수 있는 동시에 냉난방 효율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배기급기 일체형 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다층 건물이나 공장, 일반 음식점, 일반 사무실 등과 같은 대형 건물에는 실내공간의 공조를 목적으로 내부 공기를 건물 밖으로 자연배기하거나 강제 송풍시킬 수 있도록 후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후드는 오염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함으로써 깨끗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후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설치공(110)이 형성된 후드 본체(100)와, 중공형상으로 상하부가 개구되어 이루어진 배기덕트(200)와, 상기 배 기덕트(200)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모터 및 배기팬(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후드는 건물 내부 천장에 이격설치되고, 상기 배기덕트(200) 상단부에는 배기관(미도시)이 건물 외부와 통하도록 연통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기팬(300)을 작동시키게 되면, 배기팬(300)의 흡입력을 통해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배기덕트(200) 입구로 유입되어 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오염된 공기가 원할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배기팬(300)을 작동시키게 되면 배기팬(300)의 흡입력으로 배기덕트(200)를 통해 실내의 공기가 잘 빨려들어가다가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게 되면 실내에 많은 양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배출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 냉난방기기 작동시 냉난방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급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덕트를 통해 원할하게 배출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냉난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외부에서 배기를 위해 작동되는 동력배기팬의 흡입력으로 건물 내부의 오염물질을 배기하는 후드에 있어서, 상기 동력배기팬의 배기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무동력 배기팬(21)이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관으로 배기부(20)를 형성하고, 상기 무동력 배기팬(21)이 회전할 때 동력전달수단(40)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건물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무동력 흡기팬(31)이 내부에 설치되는 흡기관(32)이 배기관(22)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흡기덕트(33)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흡기관(32)을 통해 흡기덕트(33)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흡기덕트(3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통기홀(34)을 통해 유동 후, 외부공기가 상/하부 및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다수 개의 배출홀(35)이 형성되는 배출덕트(36)가 흡기덕트(33)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흡기부(30)를 형성하여, 상기 배기부(20)를 통해 실내의 오염물질의 배기하는 동시에 흡기부(30)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배기 효율이 감소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기팬을 장착한 배기덕트와 급기팬을 장착한 급기덕트가 함께 설치되어 작동할 수 있는 후드를 형성함으로써 급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기덕트를 통해 원할히 배출시켜 배출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겨울철 또는 여름철에 냉난방기를 작동시킬 경우 실내 공기의 빠른 순환으로 인해 냉난방의 효율을 높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팬에는 모터가 설치되고, 급기팬에는 상기 모터와 연결설치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모터 작동시 배기팬과 급기팬이 동시에 작동되므로 냉,난방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급배기 일체형 후드는 건물 외부에서 배기를 위해 작동되는 동력배기팬의 흡입력으로 건물 내부의 오염물질을 배기하는 후드에 관한 것으로, 동력배기팬(10)의 배기흡입력에 의해 건물 내부의 오염물질을 배기하는 배기부(20)와, 상기 배기부(20)의 배기작동시 동력을 동력전달수단(40)으로 전달받아 건물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30)로 흡기하여 배기 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급배기 후드(100)를 구성한다.
상기 배기부(20)는 동력배기팬(10)의 배기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무동력 배기팬(21)이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관(22)으로 형성한다.
상기 흡기부(30)는 무동력 배기팬(21)이 회전할 때 동력전달수단(40)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건물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무동력 흡기팬(31)이 내부에 설치되는 흡기관(32)이 배기관(22)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흡기덕트(33)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덕트(33)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통기홀(34)로 유동되어 상/하부 및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다수 개의 배출홀(35)이 형성되는 배출덕트(36)이 흡기덕트(33)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된다.
이때, 상기 흡기덕트(33)와 배출덕트(36)는 통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기홀(34)은 흡기덕트(33)의 하부 외주면을 관통하여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통기홀(34)은 배출홀(35)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 흡기부(30)의 외부 공기를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홀(35)이 형성되는 배출덕트(36)의 테두리 하부면에 바깥쪽보다 안쪽이 더 하부로 길게 돌출되는 한 쌍의 에어커튼단(37)을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에어커튼단(37)은 판 형태로 흡기부(30)의 흡기덕트(33) 하부면에 한 쌍으로 배출홀(35)을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바깥쪽에 위치되는 에어커튼단(37)은 길이가 짧고, 안쪽에 위치되는 에어커튼단(37)은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흡기부(30)의 흡입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배출될 때 에어커튼단(37)에 안내되어 하부로 진행하여 오염물질과 혼합되어 재 배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수단(40)은 무동력 배기팬(21)의 배기회전축(21a)에 연장 설치되는 제1수직축(41)의 끝단에 수평연결축(42)이 직각 연결되며, 상기 수평연결축(42) 끝단에 무동력 흡기팬(31)의 흡기회전축(31a)과 연결되는 제2수직축(43)을 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축(41), 수평연결축(42), 제2수직축(43)이 직각으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직각동력변환수단(44)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직각동력변환수단(44)은 베벨기어를 이용하거나 플렉시블 축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회전축(21a)의 회전력이 제1수직축(41), 수평연결축(42), 제2수직축(43), 흡기회전축(31a)으로 직각방향으로 전환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급배기 일체형 후드의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배기 후드(100)는 배기부(20)의 배기관(22)을 건물 내부와 건물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며 건물 외부에 위치되는 배기관(22)의 끝단에는 동력으로 배기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배기팬(1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22)의 외측으로 통기홀(34)과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흡기덕트(33)의 외측면을 감싸는 배출덕트(36)가 결합된 흡기덕트(33)를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흡기덕트(33)나 배출덕트(36)를 건물 내부의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동력 배기팬(21)과 무동력 흡기팬(31)은 동력전달수단(40)으로 연결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이후, 상기 실내 내부에 오염물질이 발생되어 배기를 위해 동력배기팬(10)을 가동시키면 배기관(22)을 통해 실내의 오염물질을 배기하기 위한 배기흡입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상기 배기흡입력에 의해 유동되는 실내 공기에 부딪혀 무동력 배기팬(21)이 회전하게 되어 동력배기팬(10)과 무동력 배기팬(21)에 의해 오염물질은 배기관(22)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무동력 배기팬(21)이 회전력은 배기회전축(21a)에 연결되는 제1수직축(41)으로 수직 전달 -> 직각동력변환수단(44) -> 수평연결축(42) -> 직각동력변환수단(44) -> 제2수직축(43) -> 흡기회전축(31a)으로 전달되어 무동력 흡기팬(31)을 회전시킨다.
즉, 상기 무동력 흡기팬(31)은 무동력 배기팬(2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건물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무동력 흡기팬(31)에 의해 유입된 실외 공기는 흡기덕트(33)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통기홀(34)을 통해 배출덕트(36)의 내부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덕트(36)로 유동된 외부 공기는 배출홀(35)을 통해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홀(35) 중 배출덕트(36)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홀(35)을 통해 배출되는 실외 공기는 한 쌍의 에어커튼단(37)의 사이를 통해 하부로 이동된다.
즉, 상기 에어커튼단(37)에 의해 일정 거리 하부로 이동되는 실외 공기는 내부 공기 또는 오염물질에 혼합되어 배기부(20)의 배기흡입력에 의해 재 배기된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실내로 유입된 실외의 차가운 공기는 밑으로 가라앉으면서 실내의 따뜻한 공기를 위로 밀어 올려 배기부(20)의 배기관(22)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오염된 공기가 원활히 배출되므로 효율적으로 배출효율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흡기부(30)의 흡기량이 배기부(20)의 배기량보다 작게 함으로써 밀폐된 공간에서 원활하게 배기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실내공기가 원활히 순환됨에 따라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 냉난방기기를 작동시킬 경우 냉난방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배기팬(10)의 배기흡입력을 이용하여 무동력 배기팬(21)과 무동력 흡기팬(31)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동을 위한 동력 에너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구입 및 설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후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배기 일체형 후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배기 일체형 후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력배기팬 20 : 배기부
21 : 무동력 배기팬 22 : 배기관
30 : 흡기부 31 : 무동력 흡기팬
32 : 흡기관 33 : 흡기덕트
34 : 통기홀 35 : 배출홀
36 : 배출덕트 40 : 동력전달수단
41 : 제1수직출 42 : 수평연결축
43 : 제2수직축 44 : 직각동력변환수단
100 : 급배기 후드

Claims (3)

  1. 건물 외부에서 배기를 위해 작동되는 동력배기팬의 흡입력으로 건물 내부의 오염물질을 배기하는 후드에 있어서,
    상기 동력배기팬(10)의 배기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무동력 배기팬(21)이 내부에 설치되는 배기관(22)으로 배기부(20)를 형성하고,
    상기 무동력 배기팬(21)이 회전할 때 동력전달수단(40)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건물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무동력 흡기팬(31)이 내부에 설치되는 흡기관(32)이 배기관(22)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흡기덕트(33)의 내부공간으로 삽입 결합되고, 상기 흡기관(32)을 통해 흡기덕트(33)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흡기덕트(3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통기홀(34)을 통해 유동 후, 외부공기가 상/하부 및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다수 개의 배출홀(35)이 형성되는 배출덕트(36)가 흡기덕트(33)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흡기부(30)를 형성하여,
    상기 배기부(20)를 통해 실내의 오염물질의 배기하는 동시에 흡기부(30)로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배기 효율이 감소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 일체형 후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40)은 무동력 배기팬(21)의 배기회전축(21a)에 연장 설치되는 제1수직축(41)의 끝단에 수평연결축(42)이 직각 연결되며, 상기 수평연결축(42) 끝단에 무동력 흡기팬(31)의 흡기회전축(31a)과 연결되는 제2수직축(43)을 직각 연결되며,
    상기 제1수직축(41), 수평연결축(42), 제2수직축(43)이 직각으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직각동력변환수단(4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배기회전축(21a)의 회전력이 제1수직축(41), 수평연결축(42), 제2수직축(43), 흡기회전축(31a)으로 직각방향으로 전환 전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 일체형 후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30)의 외부 공기를 하부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홀(35)이 형성되는 배출덕트(36)의 테두리 하부면에 바깥쪽보다 안쪽이 더 하부로 길게 돌출되는 한 쌍의 에어커튼단(37)을 부착시켜,
    상기 흡기부(30)의 흡입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배출될 때 에어커튼단(37)에 안내되어 하부로 진행하여 오염물질과 혼합되어 재 배기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기 일체형 후드.
KR1020090104965A 2009-11-02 2009-11-02 급배기 일체형 후드 KR10102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65A KR101029335B1 (ko) 2009-11-02 2009-11-02 급배기 일체형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65A KR101029335B1 (ko) 2009-11-02 2009-11-02 급배기 일체형 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335B1 true KR101029335B1 (ko) 2011-04-13

Family

ID=4405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965A KR101029335B1 (ko) 2009-11-02 2009-11-02 급배기 일체형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3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372A (ko) * 2020-08-25 2022-03-04 설철환 무휀 배기장치
KR102442592B1 (ko) * 2022-05-08 2022-09-13 세일산업 주식회사 급배기 후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2735A (ja) * 1991-03-19 1992-10-16 Matsushita Seiko Co Ltd レンジフード
JP2001027437A (ja) 1999-07-13 2001-01-30 Daikin Ind Ltd トルネード型吸気・送風装置
JP2001091007A (ja) 1999-09-24 2001-04-06 Daikin Ind Ltd トルネード型吸気・送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2735A (ja) * 1991-03-19 1992-10-16 Matsushita Seiko Co Ltd レンジフード
JP2001027437A (ja) 1999-07-13 2001-01-30 Daikin Ind Ltd トルネード型吸気・送風装置
JP2001091007A (ja) 1999-09-24 2001-04-06 Daikin Ind Ltd トルネード型吸気・送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372A (ko) * 2020-08-25 2022-03-04 설철환 무휀 배기장치
KR102468323B1 (ko) 2020-08-25 2022-11-16 설철환 무휀 배기장치
KR102442592B1 (ko) * 2022-05-08 2022-09-13 세일산업 주식회사 급배기 후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99860A (zh) 通风设备
KR101990355B1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CN106207787A (zh) 一种恒温干燥电力配电柜
CN103090436A (zh) 一种可实现厨房空调环境的隔烟隔热新风系统
KR101101201B1 (ko) 양방향 송풍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TWI548843B (zh) 氣流交換裝置及其通風除塵方法
KR101029335B1 (ko) 급배기 일체형 후드
KR101241529B1 (ko) 이중관 구조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순환장치
CN104390279A (zh) 空调器
CN104197489A (zh) 空调器
CN203824040U (zh) 套管式换热螺旋断续翅片空调通风装置
KR100965814B1 (ko) 이중관을 이용한 환기장치
CN201858765U (zh) 一种室内通风风机
JP2003130417A (ja) 換気装置
CN109654648A (zh) 一种用于三区的新风、取暖装置
CN201748560U (zh) 分体式空气对流机
KR200457985Y1 (ko) 댐퍼 내장형 환기장치
CN105509221A (zh) 一种空气对流式自动化排风系统
CN207081103U (zh) 空气处理模块及空调器
JP4788776B2 (ja) 排気システムの構築方法及び給排気システムの構築方法
JP5531770B2 (ja) 換気装置
CN205066157U (zh) 空气能热水器室外机及具有其的空气能热水器
KR20200005871A (ko) 흡배기장치
CN107388379A (zh) 空气处理模块及空调器
KR100660162B1 (ko) 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