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206B1 - Food waste disposer by ozonization - Google Patents

Food waste disposer by ozoniz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206B1
KR101450206B1 KR1020130086242A KR20130086242A KR101450206B1 KR 101450206 B1 KR101450206 B1 KR 101450206B1 KR 1020130086242 A KR1020130086242 A KR 1020130086242A KR 20130086242 A KR20130086242 A KR 20130086242A KR 101450206 B1 KR101450206 B1 KR 101450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ozone
sink
crushing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경태
서우람
Original Assignee
서경태
서우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태, 서우람 filed Critical 서경태
Priority to PCT/KR2013/00670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20404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2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Particularly, because the food waste is ground primarily on a grinding plate and ground secondarily through a cutting ring as the grinding plate and the cutting ring are equipped on an accommodating room of a grinding device, provided is the food waste grinding and processing apparatus by ozonization which can improve efficiency of grinding and cutting the food wast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waste grinding and processing apparatus by ozonization, which can progress treatment, discharge, and collecting works without contamination in atmospheric environment or a bad influence upon a human body as simultaneously conducted are a grinding process and an ozonizing process with regard to food waste passing through a drain. Particularly, because the food waste is ground primarily on a grinding plate and ground secondarily through a cutting ring as the grinding plate and the cutting ring are equipped on an accommodating room of a grinding device, provided is the food waste grinding and processing apparatus by ozonization which can improve efficiency of grinding and cutting the food waste.

Description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FOOD WASTE DISPOSER BY OZONIZATION}[0001] FOOD WASTE DISPOSER BY OZONIZATION [0002]

본 발명은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쇄처리와 오존처리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함에 따라 오존의 강한 산화력을 이용한 오존처리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살균 및 악취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배출, 수거작업이 대기환경의 오염이나 인체에 대한 악영향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use in a sink using oz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osal apparatus for disinfecting food waste passing through a sink of a sink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a pulverizing process and an ozone disposal process, Disinfection and odor removal of food garbage by ozone treatment can effectively be carried out so that the treatment, discharge and collection of food garbage can proceed without pollution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or adverse effect on the human body. .

특히, 김치, 채소 등의 섬유질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구의 수용공간에 분쇄판과 절단링을 구성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판에서 1차적으로 분쇄되고, 절단링을 통해 2차적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절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Particularly, since the crushing plate and the cutting ring are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rushing mechanism for crushing the fibrous food such as kimchi and vegetables, the food waste is first crushed in the crushing plate and is secondly cut through the cutting ring, To an apparatus for grinding food garbage for a sink using ozone, which can increase the grinding and cutting efficiency of the garbage.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는 가정이나 음식점의 주방에 배치되는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삽입고정되는 오물통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제거하는 종래 싱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작업의 불편함을 개선한 것으로, 필요시 음식물 쓰레기가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통과하면서 미세하게 분쇄되도록 한 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a sink is installed in a lower part of a sink disposed in a kitchen of a home or a restaurant. This kind of garbage disintegration treatment apparatus for sink improves inconvenience of the garbage disposal work of the conventional sink when collecting and removing the garbage filled in the garbage which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drain hole of the sink, To be finely pulver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discharge pipe.

이와 같은 싱크대용 음식물 분쇄 처리장치와 관련한 기술로는 특허문헌 1의 씽크대 부착과 탈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압착 분리 수거 장치 및 비료, 사료화장치, 특허문헌 2의 음식물 찌꺼기 분쇄분리기, 특허문헌 3의 씽크대 오물(음식물쓰레기) 자동처리기, 특허문헌 4의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특허문헌 5의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특허문헌 6의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장치 및 특허문헌 7의 음식물 처리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
Examples of the technology relating to such a food waste grinding device for a sink include a food waste squeezing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sink, a food waste grinding and separating device of Patent Document 2, a sink waste sludge of Patent Document 3 (Food waste) automatic disposer of Patent Document 4, food waste treatment device for kitchen of Patent Document 5, food waste treatment device for sink of Patent Document 5, food waste grinding and dewatering device for sink counter of Patent Document 6, .

이와 같이 종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상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판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하도록 하고 있지만,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상태에서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감소되는 것은 아니어서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는 한계가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garbage disintegration apparatus for a sink is installed on a drainage port of a sink, receives food waste through a drainage port, grinds the food waste using a crushing plate rotated by a motor, However, since the amount of food waste is not reduced due to the fact that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state of being crushed, it is possibl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water pollution There was a limit.

이를 개선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동시에, 미생물의 투입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특허문헌 8의 부엌쓰레기 처리장치, 특허문헌 9의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특허문헌 10의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특허문헌 11의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고, 본 출원인도 특허문헌 11의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특허문헌 12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특허문헌 13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특허문헌 14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 장치 등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Techniques for decomposing food garbage by breaking down food garbage and decomposing food garbage by microbial input have been developed. The related arts include a kitchen garbage disposal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8,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using microorganisms of Patent Document 9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microorganisms of Patent Document 10 and a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microorganisms of Patent Document 11 have been proposed and the present applicant has also proposed a food waste grinding machine for a sink using microorganisms of Patent Document 11 A device for treating garbage in the sink of the patent document 12, a garbage disposal device for a sink in the patent document 13,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microorganisms in the garbage disintegration device for a sink in the patent document 14.

한편, 현재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국내의 정책을 살펴보면, 장치에 투입되어 처리된 후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투입량에 대해 20% 미만이 될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장치들은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히 분해하여 액상의 상태로 최종 배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이와 같은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고 있다.
On the other hand, domestic policies on devices that can treat food waste generated in kitchens such as homes and restaurants are as follows: the amount of food waste discharged after being put into the apparatus is less than 20% The apparatus proposed b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thoroughly decomposing the food waste and finally discharging it in a liquid state, and satisfies this demand sufficiently.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관리와 관련한 정부기관의 정책 동향을 살펴보면, 각종 주택 정책과 관련된 정부기관에서는 주거환경의 개선 차원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입에 적극적인 반면, 하폐수 처리와 같은 환경 정책과 관련된 정부기관에서는 하폐수 처리상의 어려움과 수질환경의 오염을 고려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입에 소극적이다. 즉, 김치와 같이 염분이 많이 함유된 한국 음식의 특성에 따라 높은 염분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가 하수도로 직접 유입되어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처리될 경우, 많은 양의 염분을 처리하기 위한 시설설비나 오폐수의 화학적 처리를 위한 화학약품, 오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미생물의 투여 등에 비용이 많이 들고,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염분에 의해 강이나 바다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어 하폐수 처리와 같은 환경 정책과 관련된 정부기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수거하지 않고 장치를 이용하여 분쇄/분해한 후 하수도로 배출시키는데 반대하는 입장이다.
In addition, government agencies related to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food waste are actively involved in the introduction of food waste disposal devices in order to improve housing environment, while government agencies related to various housing policies are involved in environmental policies such as wastewater treatment Government agencies are reluctant to introduce food waste disposal systems in consideration of the difficulty of wastewater treatment and pollution of the water environment. That i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s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salt such as kimchi, food wastes having a high salinity ar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sewage and treated in the sewage treatment facility, the chemical equipment for treating a large amount of sa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costly to administer chemicals for treatment of microorganisms for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and contamination of rivers and oceans due to untreated salt. Therefore, government agencies related to environmental policies such as wastewater treatment, Is disinfected by the device without being collected separately, and then discharged to the sewer.

따라서, 주거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수질환경도 개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처리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하는 염분도 효과적으로 분해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현재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mprove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 development of a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decomposing the salt included in the food waste as well as grinding of the food waste is currently required.

한편, 오존(ozone:O₃)은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산화반응을 이용하는 각종 처리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오존을 활용한 오존처리(ozonization)는 산화에 의한 분해처리, 살균처리, 표백처리, 탈취처리 등에 적용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존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에도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특허문헌 15의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특허문헌 16의 음식물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 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ozone (O 3) has a strong oxidizing power and is often used in various treatments using an oxidation reaction. Such ozone treatment using ozone is a process of decomposing by oxidation, sterilization treatment, bleaching treatment , Deodorization treatment, and the like. Such ozone is also applied to a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 Examples of related technologies include a kitchen garbage disposal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15, a method of automatically treating food residue and its apparatus,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오존을 활용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오존이 공기정화장치나 탈취장치에 적용되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여 주변 대기환경을 개선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어서 수질환경의 개선을 위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분해 처리에는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오존이 가지는 다양한 산화작용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using ozone, ozone is applied to an air purifier or a deodorizer to remove odors generated from food waste, thereby improving the ambient air environmen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can not be applied to the pulverization / decomposition treatment of food waste for improvement. In addition, it has been required to develop a technique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various oxidizing actions of ozone in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17의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제안하였는 바, 배수구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고 배출관과 접속하게 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분쇄기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외기(外氣)를 공급받아 오존(ozone:O₃)을 발생시키게 되고 배출구를 포함하는 분쇄기구의 내부와 배출구와 접속하게 되는 배출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통되어 오존을 공급하게 되는 오존발생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분쇄기구를 통과하게 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오존처리되면서 분해, 살균, 악취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7, which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a drain hole so that food waste flowing through a drain hole is crushed and connected to a drain pipe A grinding mechanism which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generate ozone (O3) by supplying outside air a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and the outlet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including the discharge port And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communicates with the ozone generating unit to supply the ozone to the ozone generating unit. The ozone treat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food waste to be passed through the crushing unit so that the ozone is decomposed, sterilized and remov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음식물 쓰레기가 오존처리되면서 분해, 살균, 악취 제거에 효과적이지만, 김치, 채소 등의 섬유질 음식물을 분쇄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technology has been effective in decomposing, sterilizing, and removing offensive odors while food waste is treated with ozone, but it has been difficult to crush fiber foods such as kimchi and vegetables.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김치, 채소 등의 섬유질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었는 바, 특허문헌 18의 개수대의 배수관용 음식 찌꺼기 분쇄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체(1)의 내부에 요부(7)와 철부(8)가 환성된 음식 찌꺼기 분쇄기와, 특허문헌 19의 믹서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602)와 접속되는 분쇄판(604)의 상측에 위치되고,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분쇄돌기(606)가 형성되는 분쇄링(608)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8 및 19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는 본체 내에 충전된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판의 회전력에 의해 분쇄링에 부딪히면서 음식물이 파쇄되는 원리를 이용한 분쇄기이나 섬유질 음식물이 많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에는 원심력에 의해 분쇄링에 부딪혀 짖눌려지기 때문에 섬유질과 같은 음식물은 잘게 절단되지 아니하여 효과적으로 분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of such a problem, a technique for crushing fiber foods such as kimchi and vegetables has been proposed. The food waste pulverizer for a drainage pipe in the water supply line of Patent Literature 18 has a recess 7 And a food garbage disposer having a mixer function of Patent Document 19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ushing plate 604 connected to the motor 602 as shown in Fig. 2, And a crush ring 608 in which a plurality of crush projections 606 ar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food waste grinding machine of Patent Documents 18 and 19, when the food waste charged in the main body collides with the grinding ring due to the rotating force of the rotary plate, the food waste is crushed by the principle that the food is crushed or the food waste containing a lot of fibrous food is centrifuged The foodstuff such as fiber is not cut well and can not be effectively crushed because it is hit by the crush ring and pressed.

특허문헌 1 :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38188호 "씽크대 부착과 탈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압착 분리 수거 장치 및 비료, 사료화장치"[Patent Document 1] Published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998-038188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for squeezing food wastes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특허문헌 2 :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1180호 "음식물 찌꺼기 분쇄분리기"Patent Document 2: Publish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9-001180 entitled "Food Waste Grinding Separator" 특허문헌 3 :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32129호 "씽크대 오물 (음식물쓰레기) 자동처리기"Patent Document 3: Disclosure of Utility Model No. 1998-032129 "Sink Dust (Automatic Garbage Disposal) Automatic Processor" 특허문헌 4 :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92430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Patent Document 4: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292430 "Kitchen garbage disposal device" 특허문헌 5 :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192950호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Patent Document 5: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192950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 for sinks" 특허문헌 6 :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1647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장치"Patent Document 6: 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1647 "Grinding and Dewatering Device for Food Waste for Sinks" 특허문헌 7 :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9423호 "음식물 처리장치"Patent Document 7: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5-0099423 entitled " 특허문헌 8 :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10827호 "부엌쓰레기 처리장치"Patent Document 8: Registration No. 10-0710827 entitled "Kitchen waste disposal apparatus" 특허문헌 9: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8258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Patent Document 9: Registratio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8258 entitled "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 using microorganisms " 특허문헌 10 :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36834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Patent Document 10: Publishe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36834 entitled " Device for treating food waste using microorganisms " 특허문헌 11 :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0491호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Patent Document 11: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10491 "Garbage Discharging Device for Countertop Using Microorganisms" 특허문헌 12 : 등록번호 제20-0440511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Patent Document 12: Registration No. 20-0440511 "Food waste disposal device for sink" 특허문헌 13 :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39021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Patent Document 13: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39021 "Food waste treatment device for sinks" 특허문헌 14 : 등록번호 제10-0838717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 장치"Patent Document 14: Registration No. 10-0838717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Microorganisms in a Food Waste Grinder for Sinks" 특허문헌 15 : 등록번호 제10-0179418호 "주방쓰레기 처리장치"Patent Document 15: Registration No. 10-0179418 "Kitchen garbage disposal device" 특허문헌 16 : 등록번호 제10-0421187호 "음식물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 장치"Patent Document 16: Registration No. 10-0421187 "Automatic Treatment of Food Waste and Its Apparatus" 특허문헌 17 : 등록번호 제20-0461309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Patent Document 17: Registration No. 20-0461309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Food Waste for Sinks Utilizing Ozone" 특허문헌 18 : 공고번호 실1986-2697호 "개수대의 배수관용 음식 찌거기 분쇄기"Patent Document 18: Announcement No. 1986-2697 "Food Waste Granulator & 특허문헌 19 : 등록번호 제10-1130121호 "믹서 기능을 갖는 음식물찌꺼기 처리기"Patent Document 19: Registration No. 10-1130121 "Food waste remover with mixer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쇄처리와 오존처리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함에 따라 오존의 강한 산화력을 이용한 오존처리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살균 및 악취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배출, 수거작업이 대기환경의 오염이나 인체에 대한 악영향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s the grinding treatment and the ozone treatment for the food waste passing through the drain port of the sink are made to proceed simultaneously, ozone treatment using strong oxidizing power of ozon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a sink using a new type of ozone capable of effectively disinfecting and removing bad odors so that the treatment, discharge and collection of garbage can proceed without pollution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or adverse effects on the human body The purpose.

특히, 김치, 채소 등의 섬유질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구의 수용공간에 분쇄판과 절단링을 구성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판에서 1차적으로 분쇄되고, 절단링을 통해 2차적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절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articularly, since the crushing plate and the cutting ring are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rushing mechanism for crushing the fibrous food such as kimchi and vegetables, the food waste is first crushed in the crushing plate and is secondly cut through the cutting ring,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a sink using a new type of ozone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grinding and cutting garbage.

또한, 오존발생기구를 분쇄기구의 하측과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분쇄기구의 하측으로 공급되는 오존은 분쇄기구의 분쇄판의 하부로 공급됨에 따라 음식물의 파쇄시 착즙되는 착즙액 내에 오존이 용존되어 살균 및 악취제거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ozone supplied to the lower side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is su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pulverizing plate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by connecting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to the lower side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so that ozone is dissolved in the juice to be juiced when the food is broken, And to provide a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a new type of ozone capable of further improving the effect of removing dus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고, 배출관과 접속하게 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분쇄기구와;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외기(外氣)를 공급받아 오존(ozone:O₃)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분쇄기구의 내부와 상기 배출구와 접속하게 되는 상기 배출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통되어 오존을 공급하게 되는 오존발생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분쇄기구는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갖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모터와 접속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판과; 상기 챔버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분쇄판의 상측에 위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food waste disposed in communication with a drain port of a sink so that food waste flowing through the drain can be crushed and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is formed, A pulverizing mechanism for discharging the fluid; The ozone generating apparatus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generate ozone by supplying outside air and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inside of the crushing mechanism including the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 ozone generator for supplying ozone; Wherein the crusher has a hopper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a drain port of the sink and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food waste; A chamb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and having a motor therein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a drain port of the sink; A crushing plate disposed in a receiving space of the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motor, the crushing plate being rotated by operation of the motor to crush food waste; And a cutting ring positioned above the crushing plate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hamber for cutting food wast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상기 챔버는 수용공간의 내주면 상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링은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절단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수용공간에 상기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pparatus for crushing food garbage using the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has a plurality of fasteners protruding inwardl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cutting ring has a plurality of cutting protrusions And is fixed to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hamber by the fixtur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상기 절단링은 외주면 상에 상기 챔버의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고정구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pparatus for grinding food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ozone, the cutting ring has a fix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hamber,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hole .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상기 절단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절단링의 상측에 적층되는 적층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절단링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돌기는 상기 적층링의 내주면에 비해 돌출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pparatus for grinding food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tacking ring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ring and stacked on the cutting ring, And the cutting protrusion formed is protrude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mination ring to cut food wast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상기 오존발생기구는 화학 반응을 일으켜 오존을 형성하기 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와;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의해 형성된 오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존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pparatus for crushing food garbage for a sink using ozone, the ozone generator includes a body for generating a chemical reaction to form ozone; An air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air; And an ozone outle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for discharging the ozone formed by the body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상기 분쇄기구의 배출구와 연통되어 분쇄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함유한 배출수를 공급받게 되고,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제외한 배출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하게 되는 스트레이너(strainer)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트레이너는 개방된 일측면과 연통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분쇄기구의 배출구와 연통되는 입구와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는 출구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몸체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면을 개폐시키게 되는 덮개 및: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수집하게 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탈리되면서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제거하게 되는 거름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apparatus for crushing food waste using the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water containing the crushed food waste is supplied to the outlet of the crusher, and the discharge water excluding the food waste, Wherein the strainer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an opened side surface thereof and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of the crushing mechanism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i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cover which is coupled to the body frame to open and close an opened side face of the body frame; and a cover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receiving space of the body frame to filter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rainage water Collected and released from the receiving sp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eve which removes the waste from the plant receiving spa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의하면,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쇄처리와 오존처리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함에 따라 오존의 강한 산화력을 이용한 오존처리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살균 및 악취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배출, 수거작업이 대기환경의 오염이나 인체에 대한 악영향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inding process and the ozone treatment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on the food waste passing through the drain of the sink, ozone treatment The disinfection of the food waste and the removal of the bad smell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so that the processing, discharge and collection of the food waste can be carried out without adversely affecting the environment or the pollution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특히, 김치, 채소 등의 섬유질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구의 수용공간에 분쇄판과 절단링을 구성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판에서 1차적으로 분쇄되고, 절단링을 통해 2차적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절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crushing plate and the cutting ring are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rushing mechanism for crushing the fibrous food such as kimchi and vegetables, the food waste is first crushed in the crushing plate and is secondly cut through the cutting r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grinding and cutting efficiency of the garbage.

또한, 오존발생기구를 분쇄기구의 하측과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분쇄기구의 하측으로 공급되는 오존은 분쇄기구의 분쇄판의 하부로 공급됨에 따라 음식물의 파쇄시 착즙되는 착즙액 내에 오존이 용존되어 살균 및 악취제거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ozone supplied to the lower side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is su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pulverizing plate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by connecting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to the lower side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so that ozone is dissolved in the juice to be juiced when the food is broke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ffect of removal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결합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분쇄기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분쇄기구의 절단링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분쇄기구의 절단링과 적층링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오존발생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1 오존배출호스가 분쇄기구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1 오존배출호스가 분쇄기구와 배출관의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1 오존배출호스가 분쇄기구에 연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2 오존배출호스가 상수도관에 연결되는 수도꼭지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결합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이루는 스트레이너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or art,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a food garbage disintegration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a food garbage disintegration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lverizing mechanism in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cutting ring of a grinder in a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tting ring and a stacking ring of a pulverizing mechanism are stacked in a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ozone generator used in a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ozone discharge hose of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is coupled to the crushing mechanism in the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b)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ozone discharge hose of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in the apparatus for crushing food waste for use in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crushing mechanism and the discharge pipe Drawings for showin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ozone discharge hose of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is connected to the crushing mechanism in the apparatus for crushing food garbage for a kitchen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cond ozone discharge hose of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is coupled to a faucet connected to a water pipe in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ood garbage disintegration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ploded view of a food garbage disintegration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a food garbage disintegration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strainer constituting an apparatus for crushing food garbage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는 싱크대(1)의 배수구(2)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분해한 후 배출관(3)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되 음식물 쓰레기가 오존처리되도록 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스트레이너(strainer, 40))에서 분쇄/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제거하게 된다.
The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10 for use in ozone using the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drain hole 2 of the sink 1. The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10 for crushing and disassembling the food waste flowing through the drain hole 2 The food wast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 to the outside, and the food waste is treated by ozone, and the strained food waste is collected and removed by the separately provided strainer 4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는 오존발생기구(30)가 구비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쇄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분쇄기구(20) 또는 분쇄기구(20)와 연통되는 배출관(3)에 오존(ozone:O₃)이 공급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오존처리가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쇄작업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해, 살균, 악취제거 효율이 증대되고 위생환경이 향상된다.
The apparatus for grinding waste food garbage 10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so that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or the crushing mechanism for grinding food garbage, (Ozone)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pipe 3 communicating with the food waste 20, the ozone treatment for the food waste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crushing operation for the food waste. As a result, the decomposition, disinfection and odor removal efficiency of food waste is increased and the hygiene environment is improved.

여기서, 오존발생기구(30)는 싱크대(1)의 내부공간 조건이나 사용자의 요구나 작동 편의성 여부에 따라 분쇄기구(20)에 일체로 결합되게 설치될 수도 있고, 분쇄기구(2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분쇄기구(20)와 접속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Here,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crushing mechanism 20 depending on the internal space condition of the sink 1, the user's demand or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Or may be provid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in the state of FIG.

한편, 오존발생기구(30)가 적용되는 분쇄기구(20)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쇄/분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의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분쇄기구는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특허문헌 11의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특허문헌 12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특허문헌 13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특허문헌 14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 장치, 특허문헌 15의 음식물 쓰레기 분해처리장치, 특허문헌 16의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특허문헌 17의 음식물 쓰레기 분해 처리장치에서 개시되고 있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rushing mechanism 20 to which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is applied may be of various configurations capable of performing crushing / decomposing work on food waste. Such a crushing machine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1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a sink in Patent Document 12,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a sink in Patent Document 13, and a microorganism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food waste disintegration processor for a sink in Patent Document 14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15, a food waste disposal system for a sink having a drainage purification function of Patent Document 16, and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of Patent Document 17 can be applied.

이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관련 기술이 분쇄기구에 적용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구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와 오존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효율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where the technology relating to the garbage disposal apparatus for a kitchen sink is applied to the grinding apparatus, the disintegration of the food garbage by the microorganism and the decomposition of the food garbage by the ozone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mposition efficiency of the waste can be increas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분쇄기구, 오존발생기구, 스트레이너(strainer)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5 attached hereto. 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 is a brief description and a description of the constitution and operation which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a general food garbage disintegration apparatus, a crushing apparatus, an ozone generating apparatus, a strainer, Respectively.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there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and only the technical featur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or described only briefly. Respectively.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결합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ood garbage disintegration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FIG. 5 is an exploded view of a food garbage disintegration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는 싱크대(1)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수구(2)와 연통되는 것으로, 분쇄기구(20)와 오존발생기구(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3 to 5, a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10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ink 1 and communicates with the drain hole 2 A crushing mechanism 20, and an ozone generator 30.

분쇄기구(20)는 싱크대(1)의 배수구(2)의 하측에 설치되어 배수구(2)와 연통되는 것으로, 배수구(2)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분쇄기구(20)는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분쇄기구(20)의 수용공간(224)으로 미생물이 투입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생물학적으로 분해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is disposed below the drain hole 2 of the sink 1 and communicates with the drain hole 2 so that food waste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2 is introduced.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pulverizes the introduced food waste. Here, the microorganisms are injected into the receiving space 224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so that the food waste can be decomposed biologically.

그리고, 분쇄기구(20)는 도 4에서와 같이 배출구(212)가 형성되어 배출관(3)이 접속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분쇄/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구(212)과 결합된 배출관(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배출구(212)는 분쇄기구(20)의 호퍼(21)의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배출관(3)이 끼움결합되도록 한다.
4, the discharge port 212 is formed to connect the discharge pipe 3, so that the ground / disassembled food wast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 coupled with the discharge port 212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ort 21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pper 21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so that the discharge pipe 3 can be fitted and fitted.

오존발생기구(30)는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분쇄기구(20)의 외주면에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오존발생기구(30)는 오존을 생성시켜 분쇄기구(20)의 수용공간(224)나 분쇄기구(20)와 배출관(3)의 연결부위에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오존발생기구(30)는 배출구(212))를 포함하는 분쇄기구(20)의 수용공간(224)이나 배출구(21)와 접속하게 되는 배출관(3)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또한 오존발생기구(30)는 싱크대(1) 상에 설치되어 상수도관(5)으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게 되는 수도꼭지(4)로도 오존을 공급하여 수도꼭지(4)로부터 오존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ushing mechanism 20 as shown in FIGS. 4 and 5 or may be separately installed. Such an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generates ozone, 20 to the connection space between the crushing mechanism 20 and the discharge pipe 3. To this end,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space 224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including the discharge port 212 and the discharge pipe 3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21.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may also supply ozone to the faucet 4 installed on the countertop 1 and supplied with tap water from the tap water pipe 5 to supply the ozone water from the faucet 4.

상기와 같이 오존발생기구(30)가 구비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기구(20)를 통과하면서 분쇄/분해처리되는 동시에 오존처리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살균, 악취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는 오존을 발생(생성)시켜, 분쇄와 동시에 벤츄리(venturi)관을 이용해 흐르는 물속에 용존시키도록 하므로써, 오존이 발생되어 기체상태로 투입되어 사용되지 않고 벤츄리 관을 이용해 발생 즉시 물속에 용존시키므로써 물속에서 산화가 이루어지고, 이후 시간이 흐르면 산소로 환원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오존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As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is crushed / decomposed while being passed through the crushing mechanism 20, and at the same time, the ozone treatment is performed to effectively sterilize food waste and remove odors. At this time, the apparatus for crushing garbag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generates) ozone, dissolves the water in the flowing water by using a venturi tube at the same time as crushing, It is used in a gaseous state. It is not used. It is dissolved in water immediately after it is produced by using a venturi tube. Oxidation is carried out in water, and after that, it is reduced to oxygen, so that more stable ozone treatment is possible.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분쇄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분쇄기구의 절단링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분쇄기구의 절단링과 적층링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nding apparatus in a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using a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cutting ring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in the pulverizing apparatus,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utting ring and the lamination ring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are stacked in the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분쇄기구(20)는 싱크대(1)의 배수구(2)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호퍼(21)와, 호퍼(21)의 하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모터(222)가 설치되고,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224)을 갖는 챔버(22)와, 챔버(22)의 수용공간(224)에 위치되어 모터(222)와 접속되고, 모터(222)의 작동으로 회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판(23)과, 챔버(22)의 수용공간(224)에 위치되는 분쇄판(23)의 상측에 위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링(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6 to 8,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includes a hopper 21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port 2 of the sink 1, a motor 222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21, A chamber 22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224 for accommodating food wastes introduced through a drain port 2 of the sink 1 and a receiving chamber 224 for accommodating food waste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224 of the chamber 22 A crush plate 23 connected to the motor 222 for crushing food waste by being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222 and a crush plate 23 for crushing the upper side of the crush plate 23 loc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224 of the chamber 22 And a cutting ring (24) for cutting food waste.

호퍼(21)는 싱크대(1)의 배수구(2)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외주면으로 돌출되어 배출관(3)이 접속되어 분쇄/분해된 음식물이 배출관(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212)를 갖는다.
The hopper 21 is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 port 2 of the sink 1 and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3 so as to protru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discharge the ground / ).

챔버(22)는 내부에 모터(222)가 설치되고, 상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224)이 형성된다. 이 수용공간(224)의 중심측에 모터(222)의 회전축(2222)이 위치되고 후술하는 분쇄판(23)이 모터(222)의 회전축(2222)에 결합되어 모터(222)의 동작으로 회전하면서 음식믈 쓰레기를 분쇄/분해시키게 된다. 한편, 챔버(22)의 수용공간(224)의 내주면 상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구(226)가 형성된다.
The chamber 22 is provided with a motor 222 therein, and an accommodation space 224 is formed in the upper part to accommodate food. A rotation shaft 2222 of the motor 222 is positioned on the cent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24 and a crushing plate 23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2222 of the motor 222, And the food waste is crushed / disassembled.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fixtures 226 protruding inward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224 of the chamber 22.

분쇄판(23)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중심측에 챔버(22)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222)의 회전축(2222)에 결합되도록 결합홀(23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음식물을 분쇄/분해하기 위한 절단날(234) 및 파쇄날(236)이 형성된다.
The crush plate 23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has a coupling hole 232 formed to be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2222 of the motor 222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22 on the center side, A cutting edge 234 and a shattering edge 236 are formed.

절단링(24)은 챔버(22)의 수용공간(224)에 설치되는 분쇄판(23)의 상측에 위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수용공간(224)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고정구(226)에 의해 끼움되어 고정된다. 이때, 절단링(24)은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절단돌기(242)가 형성된다.The cutting ring 24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rush plate 23 provid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24 of the chamber 22 and is for cutting food waste. The cut ring 24 is provided with a fixture 226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24 And is fixed. At this time, the cutting ring 24 has a plurality of cutting protrusions 242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여기서, 절단돌기(242)는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절단하기 위해 날형상으로 구성하였지만,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Here, the cutting protrusions 242 are formed in a blade shape for effectively cutting food waste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y can be formed variously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idea.

한편, 절단링(242)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 상에 챔버(22)의 수용공간(224)에 형성되는 고정구(226)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고정홈(244)이 형성되어 챔버(22)의 수용공간(224)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7, the cutting ring 242 has a fixing groove 244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le 226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224 of the chamber 2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절단링(24)의 내주면을 따라 절단돌기(242)를 형성함으로써 챔버(22) 내부에 설치된 모터(222)의 동작으로 분쇄판(23)이 회전하게 되고, 분쇄판(23)의 회전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원심력에 의해 절단링(24)에 절단되기 때문에 김치, 채소 등의 섬유질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을 것이다.
By forming the cutting protrusion 242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tting ring 24 as described above, the crushing plate 23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222 installed inside the chamber 22, and the rotation of the crushing plate 23 The food garbage is cut into the cutting ring 24 by the centrifugal force, so that the fibrous food such as kimchi, vegetables, etc. can be effectively cu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는 김치, 채소 등의 섬유질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한 분쇄기구(20)의 수용공간(224)에 분쇄판(23)과 절단링(24)을 구성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판(23)에서 1차적으로 분쇄되고, 절단링(24)을 통해 2차적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절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10 for a sink using the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rushing plate 20 in the receiving space 224 of the crushing mechanism 20 for crushing the fibrous food such as kimchi, The food waste is primarily crushed in the crushing plate 23 and is cut secondarily through the cutting ring 24 by constituting the cutting ring 23 and the cutting ring 24 so that the efficiency of crushing and cutting of the food trash is increased There is an effect to be able to.

그리고, 분쇄기구(20)는 절단링(24)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절단링(24)의 상측에 적측되는 적층링(2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적층링(25)은 내주면이 절단링(24)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돌기(242)에 비해 외측으로 형성되어 진다. 즉, 절단링(24)의 절단돌기(242)가 적층링(25)의 내주면에 비해 돌출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시키도록 형성된다.
The grinding mechanism 20 further includes a stacking ring 25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ring 24 and being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tting ring 24. At this time, the laminated ring 25 is formed so that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outward relative to the cutting protrusion 242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tting ring 24. That is, the cutting protrusion 242 of the cutting ring 24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mination ring 25 to cut the food waste.

한편, 절단링(24)과 적층링(25)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다수개가 적층되어 챔버(22)의 수용공간(224)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김치, 채소 등의 섬유질 음식물 뿐만 아니라 분쇄판(23)에서 분쇄/분해되지 않은 단단한 음식물 역시 절단링(24)을 통하면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8, a plurality of the cutting ring 24 and the lamination ring 25 may be sequentially stacked and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224 of the chamber 22. In this case, This is effective not only for the fiber foods such as kimchi and vegetables but also for the hard food that has not been crushed / decomposed in the crushing plate 23 while passing through the cutting ring 24.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오존발생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n ozone generator used in a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오존발생기구(30)는 몸체(31)의 일측면에 공기유입구(32)가 형성되어 공기유입호스(36)가 연결되도록 하고, 몸체(31)의 타측면에 한쌍의 오존배출구(33a, 33b)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 1 오존배출호스(37a)와 제 2 오존배출호스(37b)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공기유입호스(36)를 통해 오존발생기구(30)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 중의 산소가 오존발생기구(30)의 몸체(31)의 내부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오존으로 변환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오존은 제 1 오존배출호스(37a)와 제 2 오존배출호스(37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9,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includes an air inlet 32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31 to connect the air inlet hose 36, and a pair of The ozone discharge ports 33a and 33b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ozone discharge hose 37a and the second ozone discharge hose 37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xygen in the outside air flowing into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through the air inlet hose 36 is converted into ozone by a chemical reaction inside the body 31 of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The generated ozon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zone discharge hose 37a and the second ozone discharge hose 37b.

여기서, 오존발생기구(30)는 몸체(3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플랜지(35)가 형성되도록 하여 분쇄기구(20)의 외주면 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별도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오존발생기구(30)는 별도로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ushing mechanism 20 so as to form a flange 35 along the periphery of the body 31, There will be.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may be a separately manufactured ozone generator, but it is also possible to purchase and use the ozone generator 30 which is generally used at present.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1 오존배출호스가 분쇄기구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1 오존배출호스가 분쇄기구와 배출관의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10 (a)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ozone discharge hose of a ozone generating mechanism is coupled to a crushing mechanism in a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ozone discharge hose of the ozone generator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ulverizing mechanism and the discharge pipe in the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Fig.

도 10의 (a)을 참조하면, 오존발생기구(30)는 제 1 오존배출호스(37a)가 분쇄기구(20)의 챔버(22)의 수용공간(224)의 하측과 연결되어 수용공간(224)으로 오존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때, 수용공간(224)의 하측으로 공급되는 오존은 분쇄판(23)의 하부로 공급됨에 따라 음식물의 파쇄시 착즙되는 착즙액 내에 오존이 용존됨으로써, 살균 및 악취제거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10 (a),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ozone discharge hose 37a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ing space 224 of the chamber 22 of the crushing mechanism 20, The ozone supplied to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224 is suppl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rushing plate 23 so that ozone is dissolved in the juice to be juiced when the food is crushed,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effect of removing odor.

이와 달리,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오존발생기구(30)는 제 1 오존배출호스(37a)가 배출관(3)의 끝단부를 이루는 관이음구에 형성된 호스결합구(6)에 고정되도록 하여 분쇄기구(20)와 배출관(3)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오존을 공급할 수 있다.
10 (b),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ozone discharge hose 37a is fixed to the hose coupling hole 6 formed in the pipe joint forming the end of the discharge pipe 3 The ozone can be supplied to the portions where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and the discharge pipe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에서 오존발생기구(30)의 제 1 오존배출호스(37a)는 분쇄기구(20) 수용공간(224)의 분쇄판(23) 중심 하부(a), 분쇄판(23)의 원주변 하측부(b) 또는 분쇄판(23)의 원주변 상측부(c)에 연결되어 분쇄기구(20)의 수용공간(224)에 오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ozone discharge hose 37a of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in the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10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ushing mechanism (A) of the crushing plate 23 of the accommodating space 224 of the crushing plate 20, the lower peripheral portion b of the crushing plate 23 or the circular peripheral upper portion c of the crushing plate 23 So that ozone can be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224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

이와 같이 분쇄기구(20)와 배출관(3)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오존이 공급되면 분쇄기구(20)의 수용공간(224)과 배출관(3)의 내부로 오존이 동시에 유입되는데, 이 경우 분쇄기구(20)의 수용공간(224)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오존처리가 수행하는 한편, 배출관(3)의 내부에서는 배출관(3)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추가적인 오존처리와 함께 배출관(3)의 내벽에 점착되는 오물질의 오존에 의한 제거도 수행되게 된다. 이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효율이 증대됨과 아울러 배출관(3)의 내벽에 기름진 음식물 쓰레기가 점착되면서 발생되는 배출관(3)의 막힘 현상이나 배출수의 유동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When ozone is supplied to a portion where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and the discharge pipe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zone is simultaneously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224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and the discharge pipe 3. In this case, Ozone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food waste in the accommodation space 224 of the mechanism 20 while the ozone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food waste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ipe 3 in the discharge pipe 3, Ozone adhering to the inner wall is also removed by ozone. As a result, the degradation efficiency of the food waste is increased, and the clogging of the discharge pipe (3) caused by adhering oily food waste to the inner wall of the discharge pipe (3) and the deterioration of the flow efficiency of the discharge water can be prevented.

특히, 분쇄기구(20)의 챔버(22)의 수용공간(224) 하측과 오존발생기구(30)가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모터(222)의 동작으로 분쇄판(23)이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는 상측으로 이동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오존이 포함되어 효과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오존처리를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
In particular, since the ozone generation mechanism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24 of the chamber 22 of the crushing mechanism 20, the crushing plate 23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222, The ozone treatmen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on the food waste.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2 오존배출호스가 상수도관에 연결되는 수도꼭지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cond ozone discharge hose of the ozone generating device is coupled to a faucet connected to a water pipe in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2를 참조하면, 오존발생기구(30)는 제 2 오존배출호스(37b)가 상수도관(5)과 연결되는 수도꼭지(4)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수도꼭지(4)와도 연통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수도꼭지(4)를 통과하는 수돗물에 오존이 용해되면서 생성되는 오존수가 싱크대(1)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도꼭지(4)로 공급되는 오존은 반드시 수돗물에 용해되도록 함으로써 오존이 기체상태로 누출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12,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can be connected to the faucet 4 by fixing the second ozone discharge hose 37b to the faucet 4 connected to the water pipe 5, , The ozone water generated by dissolving ozone in the tap water passing through the faucet (4) can be supplied to the sink (1). Here, the ozone supplied to the faucet 4 is dissolved in tap water so that the ozone leaks into the gaseous state so as not to adversely affect the human body.

이와 같이 싱크대(1)로 공급되는 오존수는 싱크대(1)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음식물이나 식기 세정시 음식물이나 식기에 침투한 대장균, 살모넬라균 등의 유해 미생물을 제거되는 한편, 채소나 과일 등에 잔류하고 있는 농약 등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음식물과 식기의 위생이 향상되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ozonated water supplied to the sink 1 can remove harmful microorganisms such as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which have penetrated into food or tableware during cleaning of dishes and dishes, and pesticide residues such as vegetables and fruits So that the sanitation of food and tableware is improv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결합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이루는 스트레이너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food garbage disintegration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 FIG. 15 is an exploded view of a food garbage crushing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ood garbage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trainer constituting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a sink using ozone.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는 분쇄기구(20), 오존발생기구(30), 스트레이너(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3 to 16, a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10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nder 20, an ozone generator 30, a strainer 40, .

분쇄기구(20), 오존발생기구(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스트레이너(40)는 분쇄기구(20)의 배출구(212)와 연통되어 분쇄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함유한 배출수를 공급받아 배출수로부터 음식물 쓰레기만을 수거하게 되고, 배출관(3)과 연통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제외한 배출수를 배출관(3)으로 배출하게 된다.The pulverizing mechanism 20 and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have the structure and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ir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At this time, the strainer 40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to receive the waste water containing the pulverized food waste, collects only the food waste from the discharge water, communicates with the discharge pipe 3, To the discharge pipe (3).

그리고, 제2실시예의 경우에도 오존발생기구(30)의 제 1 오존배출호스(37a)는 제 1 실시예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기구(20)의 수용공간(224)의 하측(a), 분쇄판(23)의 하측(b) 또는 분쇄판(23)의 상측(c)에 연결되어 분쇄기구(20)의 수용공간(224)에 오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ozone discharge hose 37a of the ozone generating mechanism 30 is disposed below the accommodating space 224 of the crushing mechanism 20 as shown in Fig. 11 of the first embodiment (b) of the crushing plate 23 or the upper side (c) of the crushing plate 23 so that ozone can be supplied into the receiving space 224 of the crushing mechanism 20.

여기서, 분쇄기구(20)와 스트레이너(40)는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도 14와 도 15에서와 같이 싱크대(1)의 저면에 고정되는 브래킷(50)에 분쇄기구(20)와 스트레이너(40)가 각각 고정되어 지지되도록 하므로써 서로 결합된 분쇄기구(20)와 스트레이너(40)가 자체 중량에 의해 결합력이 약화되거나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The crushing mechanism 20 and the strainer 4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integral body. The crushing mechanism 20 is attached to the bracket 50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1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strainer 40 and the crushing mechanism 20 coupled to each oth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weaken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due to their own weight.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이루는 스트레이너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16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strainer constituting an apparatus for crushing food garbage for a sink using oz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스트레이너(40)는 몸체프레임(41), 덮개(42), 거름망(4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the strainer 40 may include a body frame 41, a lid 42, and a sieve 43.

몸체프레임(41)은 개방된 일측면과 연통되는 수용공간(411)이 형성는 것으로 분쇄기구(20)의 배출구(212)와 연통되는 입구(412)와 배출관(3)과 연통되는 출구(413)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The body frame 41 has an inlet 412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pulverizing mechanism 20 and an outlet 413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ipe 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덮개(42)는 몸체프레임(41)과 결합되어 몸체프레임(41)의 개방된 일측면을 개폐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덮개(42)는 몸체프레임(41)의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몸체프레임(41)의 개방된 일측면을 개폐시키게 된다.
The lid 42 is coupled with the body frame 41 to open and close one open side of the body frame 41. The lid 42 is hinged to the body frame 41, 41 to open and close the open side.

거름망(43)은 몸체프레임(41)의 수용공간(4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수집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거름망(43)은 수용공간(411)으로부터 탈리되면서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공간(411)으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거름망(43)을 몸체프레임(41)의 수용공간(411)으로부터 탈리시킬 경우 덮개(42)을 회전시켜 몸체프레임(41)의 일측면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ltering net 43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411 of the body frame 41 to collect and collect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ischarged water. The collected food waste is remov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411. When the sieve 43 is removed from the receiving space 411 of the body frame 41, the lid 42 is rotated so that one side of the body frame 41 can be opened.

한편, 분쇄기구(20)의 배출구(212)와 스트레이너(40)의 입구(412)는 서로 직렬로 직접 결합되어 분쇄기구(20)와 스트레이너(40)가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분쇄기구(20)의 배출구(212)는 끝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스트레이너(40)의 입구(412)에 삽입된 후 고정너트에 의해 조여지면서 스트레이너(40)와 결합되도록 한다.
The outlet 212 of the crushing mechanism 20 and the inlet 412 of the strainer 40 are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in series so that the crushing mechanism 20 and the strainer 40 are integrated. 20 are inserted into the inlet 412 of the strainer 40 so as to be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while forming a thread at the end of the strainer 40. The outlet 212 is tightened by a fixing nut to be coupled with the strainer 4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는 분쇄기구(20), 오존발생기구(30), 스트레이너(40)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제조, 분해,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10 for grinding food waste for a kitchen using ozone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grinder 20, the ozone generator 30, and the strainer 40 are detachably assembled Thus, the manufacturing, disassembling and maintenance work of the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 can be carried out easily and easil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pparatus for crushing garbag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oz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not limitativ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오존을 활용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20 : 분쇄기구 21 : 호퍼
22 : 챔버 23 : 분쇄판
24 : 절단링 25 : 적층링
30 : 오존발생기구 31 : 몸체
32 : 공기유입구 33 : 오존배출구
40 : 스트레이너 41 : 몸체프레임
42 : 덮개 43 : 거름망
50 : 브래킷
10: Food waste disposal system using ozone
20: milling device 21: hopper
22: chamber 23: crush plate
24: Cutting ring 25: Lamination ring
30: ozone generator 31: body
32: air inlet 33: ozone outlet
40: strainer 41: body frame
42: lid 43:
50: Bracket

Claims (6)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고, 배출관과 접속하게 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분쇄기구와;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외기(外氣)를 공급받아 오존(ozone:O₃)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분쇄기구의 내부와 상기 배출구와 접속하게 되는 상기 배출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통되어 오존을 공급하게 되는 오존발생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분쇄기구는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갖는 챔버와;
상기 챔버의 수용공간에 위치되어 모터와 접속되고, 상기 모터의 작동으로 회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분쇄판과;
상기 챔버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분쇄판의 상측에 위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링을 포함하되,
상기 챔버는 수용공간의 내주면 상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링은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절단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수용공간에 상기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며, 외주면 상에 상기 챔버의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고정구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절단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절단링의 상측에 적층되는 적층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단링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절단돌기는 상기 적층링의 내주면에 비해 돌출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A pulverizing mechanism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port of the sink for discharging the food waste flowing through the drain port and discharging the pulverized food waste through a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The ozone generating apparatus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generate ozone by supplying outside air and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inside of the crushing mechanism including the discharge port and the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 ozone generator for supplying ozone;
Wherein the crusher has a hopper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a drain port of the sink and having an outlet for discharging food waste;
A chamb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pper and having a motor therein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food waste introduced through a drain port of the sink;
A crushing plate disposed in a receiving space of the chamber and connected to the motor, the crushing plate being rotated by operation of the motor to crush food waste;
And a cutting ring positioned above the crushing plate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hamber for cutting food waste,
The chamber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ers protruding inwardl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utting ring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utting protrusion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cutting ring is fixed to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hamber by the fixture, and a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ture form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hamber A fixing member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ture,
Further comprising a stacking ring form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ring and stacked on the cutting ring,
And the cutting protrusion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tting ring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cking ring to cut food was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기구는 화학 반응을 일으켜 오존을 형성하기 위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와;
상기 몸체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의해 형성된 오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존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zone generator includes a body for generating a chemical reaction to form ozone;
An air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air;
And an ozone outle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for discharging ozone formed by the body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구의 배출구와 연통되어 분쇄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함유한 배출수를 공급받게 되고,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제외한 배출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하게 되는 스트레이너(strainer)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트레이너는 개방된 일측면과 연통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분쇄기구의 배출구와 연통되는 입구와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는 출구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몸체프레임의 개방된 일측면을 개폐시키게 되는 덮개 및:
상기 몸체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수집하게 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탈리되면서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제거하게 되는 거름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rainer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crushing device to receive discharge water containing food waste that has been pulverized, and to discharge drainage water excluding food waste to the discharge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ipe,
Wherein the strainer has a body frame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communicating with an open side thereof and having an inlet communicating with an outlet of the crushing mechanism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A cover coupled to the body frame to open and close an open side of the body frame;
And a filtering net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dy frame to collect and collect food waste contained in the discharged water and to remove the collected food waste from the receiving space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pace. A device for disposing garbage in a sink using ozone.
KR1020130086242A 2013-06-19 2013-07-22 Food waste disposer by ozonization KR1014502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6703 WO2014204045A1 (en) 2013-06-19 2013-07-26 Apparatus for grinding food waste utilizing ozone for s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319 2013-06-19
KR1020130070319 2013-06-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206B1 true KR101450206B1 (en) 2014-10-14

Family

ID=5199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242A KR101450206B1 (en) 2013-06-19 2013-07-22 Food waste disposer by ozoniza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0206B1 (en)
WO (1) WO2014204045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9120A (en) * 2015-07-21 2015-1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Grinding cavity and waste food processing device
KR102210967B1 (en) 2020-09-09 2021-02-01 이순우 Food waste disposal system for sink
CN113144697A (en) * 2021-04-17 2021-07-23 江阴澄云达建设工程有限公司 Municipal sewage treatmen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3600B (en) * 2015-10-30 2018-03-20 艾迪机器(杭州)有限公司 A kind of sewage-treatment pla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5608A (en) 2002-03-27 2003-09-30 Aichi Electric Co Ltd Grinding treatment apparatus
KR200461309Y1 (en) * 2010-06-15 2012-07-05 서우람 Food waste disposer by ozonization
KR20130055923A (en) * 2011-11-21 2013-05-29 아인텍(주) Food treater with which the assistant crush mea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7599B2 (en) * 2003-06-06 2009-10-27 Emerson Electric Co. Food waste reduction mechanism for disposer
KR100792024B1 (en) * 2007-01-08 2008-01-04 석순길 A kitchen waste pulverizer of sink
KR101130121B1 (en) * 2010-03-02 2012-03-28 하이에나 (주) An Equipment For Garb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5608A (en) 2002-03-27 2003-09-30 Aichi Electric Co Ltd Grinding treatment apparatus
KR200461309Y1 (en) * 2010-06-15 2012-07-05 서우람 Food waste disposer by ozonization
KR20130055923A (en) * 2011-11-21 2013-05-29 아인텍(주) Food treater with which the assistant crush mea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9120A (en) * 2015-07-21 2015-11-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Grinding cavity and waste food processing device
KR102210967B1 (en) 2020-09-09 2021-02-01 이순우 Food waste disposal system for sink
CN113144697A (en) * 2021-04-17 2021-07-23 江阴澄云达建设工程有限公司 Municipal sewage treatment device
CN113144697B (en) * 2021-04-17 2021-12-28 江阴澄云达建设工程有限公司 Municipal sewage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4045A1 (en)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4590A (en) Canister for receiving food waste
KR101450206B1 (en) Food waste disposer by ozonization
CN212581778U (en) Kitchen waste treatment device
KR20070059033A (en) The disposer with twice grinding stage and self septic tanks for housewares
KR101202272B1 (en) Food treatment apparatus using bio pe ball
KR101131935B1 (en) Apparatus of resolving food waste
KR20150124295A (en) Food waste disposal device
KR20140060609A (en) Apparatus for clean up food waste made with three time reducer
JP2006231329A (en) Garbage disposer
CN210765041U (en) Kitchen garbage crushing and drying device
KR101445111B1 (en) Equipment for treating food waste in the toilet
CN210827714U (en) Multifunctional kitchen garbage disposer
KR101181384B1 (en) Method of resolving food waste
KR20080065945A (en) Foodwaste disposing system
KR101136849B1 (en) Food treater with which the food waste water and vestige processing means of the food trash are equipped
KR200461309Y1 (en) Food waste disposer by ozonization
KR101388560B1 (en) Food waste processing apparatus for seperating food waste from food cooking water and dishwater
KR102530299B1 (en) Automatic food waste disposer combined and assembled with sink
KR100294364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posing food garbage
CN212315806U (en) Kitchen wastewater treatment device
CN208533648U (en) A kind of kitchen household garbage recycling equipment
KR200245093Y1 (en) A Garbage disposer
KR20170102663A (en) A filtering apparatus, a foo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eating a food garbage
CN110374173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kitchen refuse garbage disposer and its implementation
KR101858670B1 (en) Eco-friendly sewage dispos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