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189B1 - 리벳 체결구조 및 리벳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리벳 체결구조 및 리벳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189B1
KR101449189B1 KR1020120151532A KR20120151532A KR101449189B1 KR 101449189 B1 KR101449189 B1 KR 101449189B1 KR 1020120151532 A KR1020120151532 A KR 1020120151532A KR 20120151532 A KR20120151532 A KR 20120151532A KR 101449189 B1 KR101449189 B1 KR 101449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corrosion
joining
joining member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1596A (ko
Inventor
유윤하
서민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1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1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81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45Blind rivets fastened by a pull - mandrel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0Particular elements, e.g. supports; Suspension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riveters
    • B21J15/32Devices for inserting or holding rivets in position with or without fee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구조는 접합부재에 제공되는 접착성의 내식부재 및 상기 내식부재에 인접하여 상기 접합부재에 삽입되는 리벳을 포함하며, 상기 내식부재는 용융되어 상기 리벳과 상기 접합부재 사이에 응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장치는 상기 리벳 체결구조에서 용융된 상기 내식부재의 이탈을 방지토록, 리벳, 상기 리벳이 삽입되는 리벳건 및 상기 접합부재에 밀착되게 상기 리벳건에 제공되는 밀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벳 체결구조 및 리벳 체결장치{Rivet connecting structure and rivet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리벳 체결구조 및 리벳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부재를 접착성의 내식부재가 용융되어 응착되게 제공함으로써, 내식성 및 접합성을 향상시킨 발명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전자기기, 각종 산업용기구 및 산업구조물에서 리벳 체결을 통한 부품의 접합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종 금속 부품 간의 접합부에서는 상기 금속 부품뿐만 아니라 리벳과 금속 부품 간에 전기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전기화학적 전위차에 의해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이 발생할 수 있다.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기도장 된 부품의 경우에도 리벳 체결을 위한 홀의 전단 가공시에 전단면은 내부 금속이 노출되어 전기적 접촉에 의한 갈바닉 부식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된다.
이렇게 발생하는 갈바닉 부식은 리벳이 체결된 부분의 외관을 저하시킬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체결 강도도 저하시켜, 구조적인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접합 부품의 리벳 체결부에 갈바닉 부식을 방지하며 내식성(Corrosion resistance)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기도장, 상온 경화형 접착제 또는 방청유(Anticorrosive oil)를 도포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기도장을 도포하는 경우 기존에 부착되어 있던 도막(Paint film)과의 부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연속성 있는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각이 진 모서리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도막 두께가 얇아져 불균일한 도막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내식성을 확보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또한, 상온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하는 경우 최종 경화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리벳 체결시 압착에 의해 리벳 주변 또는 부품의 접합면 틈으로 빠져나오는 접착제에 의해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방청유를 도포하는 경우 접합 부품의 사용 환경에 따라 방청유의 변질 또는 소실에 의해, 장기적인 내식성을 확보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으며, 접합면 사이의 마찰력 감소에 의해 접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리벳이 체결되는 구조에서 내식성을 확보하면서도 접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성의 내식부재를 접합부재에 제공함으로써, 리벳이 체결되는 구조에서 내식성 및 접합성을 향상시키는 리벳 체결구조 및 리벳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구조는 접합부재에 제공되는 접착성의 내식부재 및 상기 내식부재에 인접하여 상기 접합부재에 삽입되는 리벳을 포함하며, 상기 내식부재는 용융되어 상기 리벳과 상기 접합부재 사이에 응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구조의 상기 내식부재는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구조의 상기 내식부재는 접하여 있는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 외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구조의 상기 내식부재는 상기 접합부재 중에 하측에 제공되는 접합부재 보다 상측에 제공되는 접합부재에 더 두껍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장치는 상기 리벳 체결구조에서 용융된 상기 내식부재의 이탈을 방지토록, 리벳, 상기 리벳이 삽입되는 리벳건 및 상기 접합부재에 밀착되게 상기 리벳건에 제공되는 밀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장치의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리벳건에 연결되는 외부지지부재, 상기 외부지지부재와 상기 리벳건 사이에 입출되게 제공되는 내부지지부재 및 상기 내부지지부재가 상기 접합부재에 밀착되도록, 상기 내부지지부재에 연계되어 제공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장치의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내부지지부재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장치는 상기 내식부재를 용융시키도록, 상기 리벳을 가열하게 상기 리벳건에 제공되는 가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벳 체결구조 및 리벳 체결장치는 접착성의 내식부재를 리벳과 상기 리벳이 결합되는 접합부재 사이에 응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리벳과 상기 접합부재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갈바닉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상기 접합부재의 부식으로 인해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리벳이 체결되는 부분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식부재는 접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 사이의 결합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접합부재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일한 접합 강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리벳의 체결수를 줄일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발생한다.
도 1a 내지 도 1c은 본 발명의 리벳 체결구조의 제1실시예에 대한 구성도, 작동상태도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리벳 체결구조의 제2실시예에 대한 구성도, 작동상태도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리벳 체결구조 및 본 발명의 리벳 체결구조에 대하여 부식이 발생한 것을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리벳 체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리벳 체결장치의 가열수단을 포함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벳 체결구조 및 리벳 체결장치는 서로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부재(10)를 접착성의 내식부재(20)가 용융되어 응착되게 제공함으로써, 내식성 및 접합성을 향상시킨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갈바닉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접합부재(10)의 부식으로 인해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식부재(20)는 접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의 결합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접합부재(10)의 결합력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일한 접합 강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리벳(30)의 체결수를 줄일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a 내지 도 1c은 본 발명의 리벳 체결구조의 제1실시예에 대한 구성도, 작동상태도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a는 본 발명의 리벳 체결구조의 제1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1b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1c는 후술할 내식부재(20)가 용융되어 유동(f)이 퍼지는 것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또한, 도 3은 종래의 리벳 체결구조 및 본 발명의 리벳 체결구조에 대하여 부식이 발생한 것을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구조는 접합부재(10)에 제공되는 접착성의 내식부재(20) 및 상기 내식부재(20)에 인접하여 상기 접합부재(10)에 삽입되는 리벳(30)을 포함하며, 상기 내식부재(20)는 용융되어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에 응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구조의 상기 내식부재(20)는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재(10)는 접합되기 위해 제공되는 부재로써,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내식부재(20) 내지 리벳(30)에 의해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10)가 접합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재(10)는 상측에 제공되는 상측 접합부재(10a) 및 하측에 제공되는 하측 접합부재(10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합부재(10)가 제공되는 위치는 상측 및 하측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접합부재(10)에는 후술할 리벳(30)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홀은 리벳(30)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상기 홀은 리벳(30) 직경에 대하여 0.2mm에서 0.5mm 크게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내식부재(20)가 용융되어 유동(f)될 수 있는 경로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접합부재(10)는 상기 내식부재(20)가 제공될 수 있는 부분의 모서리를 곡선으로 가공하여, 상기 내식부재(20)의 용융시에 유동(f)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일례로써, 상기 모서리의 곡률 반경을 0.2mm 내지 0.5mm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식부재(20)는 상기 접합부재(10)를 접합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후술할 리벳(30)이 삽입되는 부분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식부재(20)는 접착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접합부재(10)를 접합하는 것과 동시에, 용융되어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에 응착되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식부재(20)는 후술할 리벳(30)을 가열(H)하여 그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으며, 별도의 가열수단(60)에 의해 가열(H)되어 용융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전자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쉴딩함으로써, 갈바닉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의 공간에 수분 등의 부식을 유발하는 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식부재(20)는 접착성의 소재로 형성되게 때문에, 용융되어 응착시에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10)를 결합시키는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접합부재(10)가 후술할 리벳(30)에 의한 결합에 더하여 상기 내식부재(20)에 의해 결합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식부재(20)는 열(H)에 의해 용융될 수 있도록, 열가성의 폴리머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머 소재는 비교적 저온의 용융온도를 가지며, 발수,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의 폴리머 계열의 소재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내식부재(20)가 열경화성의 소재로 제공되면 열에 의한 용융이 일어나지 않아,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의 응착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내식부재(20)는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에 제공되어 열(H)에 의한 용융시에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에 응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에 위치하던 상기 내식부재(20)가 용융되어 상기 접합부재(10)의 외측으로 유동(f)하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동(f)의 시뮬레이션 과정을 도 1c에 도시하였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실제 소재의 실측 물성을 대입하였으며, 형상 설계는 실제 리벳(30) 체결 부품 시험편의 형상을 바탕으로 상기 내식부재(20)의 두께를 0.5mm, 상기 접합부재(10)의 두께를 각각 1mm, 상기 내식부재(20)가 유동(f)하는 상기 접합부재(10) 모서리의 곡률 반경은 0.3mm, 상기 접합부재(10)와 상기 리벳(30) 사이의 간격을 0.3 mm로 설계하였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상기 내식부재(20)가 상기 접합부재(10)와 상기 리벳(30) 사이로 유동(f)하여 틈을 완전히 채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상기 내식부재(20)는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10)의 외측면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접착성의 내식부재(20)에 의해 상기 리벳(30)과 결합된 상기 접합부재(10)의 부분에서 내식성이 향상되는 효과는 도 3에 나타낸 사진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즉, 도 3의 (a) 및 (b)는 종래의 리벳 체결구조에 의한 사진이고, 도 3의 (c) 및 (d)는 본 발명의 리벳 체결구조에 의한 사진이다.
제시된 상기 접합부재(10)로는 탄소강 판재와 마그네슘 합금 판재가 제공되었으며, 상기 리벳(30)으로는 스테인리스강 재질의 소재가 사용되었다. 한편, 실험은 48시간 동안 염수분무시험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여기서, 도 3의 (a)에 나타난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벳(30)의 주변에 부식생성물이 넓은 범위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상기 부식생성물을 제거한 도 3의 (b)에 나타낸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합부재(10)의 표면이 넓게 부식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3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벳 체결구조에서 접착성의 내식부재(20)를 구비함으로써, 부식생성물이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도 3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식생생물을 제거한 경우에도 상기 접합부재(10)의 표면에서는 거의 부식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를 상기 내식부재(20)가 쉴딩함으로써, 서로를 격리시켜 갈바닉 부식을 방지하였기 때문이다.
상기 리벳(30)은 상기 접합부재(1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접합부재(10)에 형성된 홀에 상기 리벳(30)을 삽입하고, 상기 리벳(30)의 일측에 충격을 가하여 삽입된 홀의 직경보다 큰 폭의 머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리벳(30)이 상기 접합부재(10)를 고정시킬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리벳(30)은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상기 리벳(30)이 상기 접합부재(10)에 결합되어 상기 접합부재(10)를 압착(P)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온의 상기 리벳(30)에 의하여, 상기 내식부재(20)가 용융될 수 있으며, 용융된 상기 내식부재(20)는 상기 리벳(30)에 의한 압착(P)시에 유동(f)되어, 상기 접합부재(10)와 상기 리벳(30) 사이를 쉴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리벳(30)은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리벳 체결장치에 의해 상기 접합부재(1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리벳 체결구조의 제2실시예에 대한 구성도, 작동상태도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a는 본 발명의 리벳 체결구조의 제2실시예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b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2c는 후술할 내식부재(20)가 용융되어 유동(f)이 퍼지는 것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구조의 상기 내식부재(20)는 접하여 있는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10) 외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구조의 상기 내식부재(20)는 상기 접합부재(10) 중에 하측에 제공되는 접합부재(10) 보다 상측에 제공되는 접합부재(10)에 더 두껍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식부재(20)는 상기 접합부재(10)를 접하는 동시에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에 제공되어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10) 외측면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두 개 이상의 접합부재(10)가 제공되는 경우에, 최외측면에 상기 내식부재(2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리벳(30)이 가열(H)되어 상기 내식부재(20)가 용융되면, 용융된 상기 내식부재(20)는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로 유동(f) 침투하여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를 쉴딩할 수 있다.
다만, 용융된 상기 내식부재(2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후술할 본 발명의 리벳 체결장치에 의해 상기 내식부재(20)가 제공되는 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리벳 체결장치에 제공되는 내부지지부재(52)가 상기 접합부재(10)와 밀착하여, 상기 접합부재(10) 외측면에 제공되는 상기 내식부재(20)의 용융시에도 상기 내식부재(20)의 외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내식부재(20)가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에 제공되는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를 쉴딩하는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두 실시예는 상기 내식부재(20)가 최초에 제공되는 위치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한편, 상기 내식부재(20)가 외측면에 제공되는 경우는 상기 내식부재(20)의 제공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식부재(20)는 복수의 접합부재(10) 중에 상측에 제공되는 상측 접합부재(10a)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상측 내식부재(20a)가 하측에 제공되는 하측 접합부재(10b)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하측 내식부재(20b)보다 더 두껍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내식부재(20)가 용융되어 유동(f)되는 경우에, 상측 내식부재(20a)가 하측으로 유동(f)되어 전파되는 것이 하측 내식부재(20b) 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상기 내식부재(20)를 상하측에 분배하여 제공하는 동시에, 최대한 빠르게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를 쉴딩할 수 있는 이점을 발생시킨다.
한편, 이와 같은 유동(f)의 시뮬레이션 과정을 도 2c에 도시하였다. 형상 설계는 실제 리벳(30)의 형상을 바탕으로 상기 상측 내식부재(20a)의 두께를 1mm, 상기 하측 내식부재(20b)의 두께를 0.3mm, 상기 접합부재(10)의 두께를 각각 1mm, 상기 내식부재(20)가 유동(f)하는 상기 접합부재(10) 모서리의 곡률 반경은 0.3mm, 상기 접합부재(10)와 상기 리벳(30) 사이의 간격은 0.3mm, 상기 리뱃과 상기 내부지지부재(52) 사이의 간격을 0.2 mm로 설계하였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상기 내식부재(20)가 상기 접합부재(10)와 상기 리벳(30) 사이로 유동(f)하여 틈을 완전히 채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리벳 체결장치에 대하여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리벳 체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장치는 상기 리벳 체결구조에서 용융된 상기 내식부재(20)의 이탈을 방지토록, 리벳(30), 상기 리벳(30)이 삽입되는 리벳건(40) 및 상기 접합부재(10)에 밀착되게 상기 리벳건(40)에 제공되는 밀착수단(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장치의 상기 밀착수단(50)은 상기 리벳건(40)에 연결되는 외부지지부재(51), 상기 외부지지부재(51)와 상기 리벳건(40) 사이에 입출되게 제공되는 내부지지부재(52) 및 상기 내부지지부재(52)가 상기 접합부재(10)에 밀착되도록, 상기 내부지지부재(52)에 연계되어 제공되는 탄성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장치의 상기 밀착수단(50)은 상기 내부지지부재(52)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기밀부재(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벳(3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리벳 체결구조의 리벳(30)으로써,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에 응착되어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를 쉴딩하는 내식부재(20)가 제공되는 구조에 제공되는 리벳(30)이다.
한편, 상기 리벳(30)은 가열(H)된 후에, 후술할 용접건(40)에 의해 상기 접합부재(10)를 접합시킬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H)된 상기 리벳(30)이 상기 접합부재(10)에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접합부재(10)에 제공되는 상기 내식부재(20)를 용융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리벳건(40)은 상기 리벳(30)을 상기 접합부재(1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리벳건(40)은 상기 리벳(30)을 삽입시킨 후에 상기 리벳(30)의 머리를 뭉툭하게 형성하여 상기 리벳(30)이 삽입된 상기 접합부재(10)의 홀보타 큰 폭으로 형성하여, 상기 접합부재(10)를 결합시키게 한다.
한편, 상기 리벳(30)이 상기 접합부재(10)를 완전히 결합시키면, 상기 리벳건(40)은 상기 리벳(30)의 리벳못 끝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접합부재(10)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밀착수단(50)은 상기 내식부재(20)가 용융되는 경우에, 상기 리벳(30)과 상기 접합부재(10) 사이로 상기 내식부재(20)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밀착수단(50)은 외부지지부재(51), 내부지지부재(52), 탄성부재(53) 내지 기밀부재(5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지지부재(51)는 상기 리벳건(4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리벳건(40)과의 연결은 나사결합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리벳건(40)과 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외부지지부재(51)과 상기 리벳건(40)의 결합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부지지부재(51)가 상기 리벳건(40)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면, 본 발명의 외부지지부재(51)가 될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부재(52)는 입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지지부재(51)와 상기 리벳건(4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지지부재(51)의 일단부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지지부재(52)의 일단부는 외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지지부재(52)가 입출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후술할 탄성부재(53)에 의해서 상기 내부지지부재(52)는 외측으로 탄성력을 받으며, 상기 접합부재(10)와 접할 때 상기 내부지지부재(52)가 상기 접합부재(10)에 밀착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53)는 상기 내부지지부재(52)의 일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내부지지부재(5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53)의 일단부는 상기 내부지지부재(52)와 접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타단부는 상기 리벳건(40) 내지 상기 외부지지부재(51)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3)는 판 프링, 코일 스프링 내지 고무부재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내부지지부재(5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탄성부재(53)가 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54)는 상기 내부지지부재(52)와 상기 접합부재(10) 사이의 밀착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밀부재(54)는 상기 내부지지부재(52)의 일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밀부재(54)는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무재질의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써, 상기 내부지지부재(52)에 끼워져 제공될 수 있는 고무재질의 오링(O-ring)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리벳 체결장치의 가열수단(60)을 포함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으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체결장치는 상기 내식부재(20)를 용융시키도록, 상기 리벳(30)을 가열(H)하게 상기 리벳건(40)에 제공되는 가열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리벳 체결장치는 가열수단(60)을 더 포함하여 상기 가열수단(60)에 의해 상기 리벳(30)을 가열(H)할 수 있으며, 가열된 상기 리벳(30)에 의해 상기 내식부재(20)를 용융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열수단(60)은 상기 리벳건(40)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리벳(30)의 리벳 카트리지(30a)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리벳(30)이 삽입되는 상기 리벳건(40)의 헤드에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수단(60)이 리벳 카트리지(30a)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벳 카트리지(30a)가 상기 리벳건(40)에 장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60)이 상기 리벳건(40)의 헤드에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벳(30)이 상기 리벳건(40)의 헤드에 삽입되면, 상기 리벳(30)을 가열(H)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60)에 의한 가열온도는 상기 내식부재(20)가 용융될 수 있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H)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접합부재(10)의 표면 코팅의 손상 방지 및 미세조직 변화를 고려하여 110℃ 미만의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접합부재 20: 내식부재
30: 리벳 40: 리벳건
50: 밀착수단 51: 외부지지부재
52: 내부지지부재 53: 탄성부재
54: 기밀부재 60: 가열수단

Claims (8)

  1. 접합부재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접착성의 내식부재; 및
    상기 내식부재에 인접하여 상기 접합부재에 삽입되는 리벳;
    을 포함하며,
    상기 내식부재는,
    접하여 있는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 중에 하측에 제공되는 접합부재 보다 상측에 제공되는 접합부재에 더 두껍게 제공되며,
    가열에 의해 용융되어 상기 리벳이 삽입되는 홀과 상기 리벳 사이의 전체면을 쉴딩하게 응착되는 리벳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식부재는 복수의 상기 접합부재 사이에도 제공되는 리벳 체결구조.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의 리벳 체결구조에서 용융된 상기 내식부재의 이탈을 방지토록,
    상기 리벳;
    상기 리벳이 삽입되는 리벳건; 및
    상기 접합부재에 밀착되게 상기 리벳건에 제공되는 밀착수단;
    을 포함하는 리벳 체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리벳건에 연결되는 외부지지부재;
    상기 외부지지부재와 상기 리벳건 사이에 입출되게 제공되는 내부지지부재; 및
    상기 내부지지부재가 상기 접합부재에 밀착되도록, 상기 내부지지부재에 연계되어 제공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리벳 체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내부지지부재의 일단부에 제공되는 기밀부재;
    를 더 포함하는 리벳 체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식부재를 용융시키도록, 상기 리벳을 가열하게 상기 리벳건에 제공되는 가열수단;
    을 더 포함하는 리벳 체결장치.
KR1020120151532A 2012-12-21 2012-12-21 리벳 체결구조 및 리벳 체결장치 KR101449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32A KR101449189B1 (ko) 2012-12-21 2012-12-21 리벳 체결구조 및 리벳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32A KR101449189B1 (ko) 2012-12-21 2012-12-21 리벳 체결구조 및 리벳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596A KR20140081596A (ko) 2014-07-01
KR101449189B1 true KR101449189B1 (ko) 2014-10-08

Family

ID=5173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532A KR101449189B1 (ko) 2012-12-21 2012-12-21 리벳 체결구조 및 리벳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1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491B1 (ko) * 2016-12-22 2023-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종재질 접합용 마찰리벳
CN114346216B (zh) * 2022-01-10 2024-05-03 中桥科建(德州)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热铆设备及铆钉铆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622A (ja) * 1996-08-23 1998-03-06 Tokyo Tungsten Co Ltd 気密継手
KR20000002496U (ko) * 1998-07-07 2000-02-07 나택무 리벳 결합구조
JP2003305530A (ja) * 2002-04-15 2003-10-28 Nissan Motor Co Ltd リベット打ち込み方法およびリベット打ち込み装置およびリベットによる結合構造
JP2005254717A (ja) * 2004-03-15 2005-09-22 Nissan Motor Co Ltd 異種金属パネル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ならびにシール剤塗布ノズル
KR100877721B1 (ko) * 2007-11-05 2009-01-07 (주)건양트루넷 리벳팅장치
JP2009002406A (ja) * 2007-06-20 2009-01-08 Shimizu Corp 部材の接合方法およびパネル構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622A (ja) * 1996-08-23 1998-03-06 Tokyo Tungsten Co Ltd 気密継手
JP3812973B2 (ja) * 1996-08-23 2006-08-23 株式会社アライドマテリアル 気密継手
KR20000002496U (ko) * 1998-07-07 2000-02-07 나택무 리벳 결합구조
JP2003305530A (ja) * 2002-04-15 2003-10-28 Nissan Motor Co Ltd リベット打ち込み方法およびリベット打ち込み装置およびリベットによる結合構造
JP2005254717A (ja) * 2004-03-15 2005-09-22 Nissan Motor Co Ltd 異種金属パネル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ならびにシール剤塗布ノズル
JP4396335B2 (ja) * 2004-03-15 2010-01-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異種金属パネル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JP2009002406A (ja) * 2007-06-20 2009-01-08 Shimizu Corp 部材の接合方法およびパネル構造
JP4881798B2 (ja) * 2007-06-20 2012-02-22 清水建設株式会社 部材の接合方法およびパネル構造
KR100877721B1 (ko) * 2007-11-05 2009-01-07 (주)건양트루넷 리벳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596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8667B2 (ja) 抵抗溶接ファスナ、装置及び方法
US8476549B2 (en) Method for bonding a seal member and dissimilar materials made from metals
US20080149256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inimize adhesive induced distortion
ATE342785T1 (de) Schweissverfahren unter verwendung von reibrührschweissen von flächen mit polymerdichtungsmitteln
US9855623B2 (en) Method for connecting a tubular cable lug to a strand produced from aluminium
US10388426B2 (en) Pane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and a flexible connection cable
JP6576467B2 (ja) 電気接続エレメントおよびこれに取り付けられた結合エレメントを備えたガラス板
US10196092B2 (en) Structure for fixing motor vehicle roof module
KR101449189B1 (ko) 리벳 체결구조 및 리벳 체결장치
US201700286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inforced adhesive bonding
JP4223515B2 (ja) 金属板接合構造
JP6280834B2 (ja) 異種材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70259370A1 (en) Method of assembling two sheet metal components such as vehicle bodywork components
JP5625524B2 (ja) 異種金属の接合体および異種金属接合体の製造方法
CN107667000B (zh) 热塑性塑料的复合焊接
US20160151965A1 (en) Coupling Components to One Another Utilizing Electromagnetic Energy
KR102004733B1 (ko) 웰드볼트
KR101780735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스택의 쿨링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쿨링 플레이트
JP2010127426A (ja) アルミニウム製扁平管と銅管と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US20080263853A1 (en) 3c frame manufacturing method
WO2008105163A1 (ja) シール性に優れた異種金属材料の接合部を形成する方法、及び異種金属複合体
JP4923309B2 (ja) 金属電解製錬用の電極
KR20180010301A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스택의 쿨링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쿨링 플레이트
KR101558208B1 (ko) 패널의 스폿 용접 방법
US9585279B2 (en)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