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798B1 -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 Google Patents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798B1
KR101448798B1 KR1020140063072A KR20140063072A KR101448798B1 KR 101448798 B1 KR101448798 B1 KR 101448798B1 KR 1020140063072 A KR1020140063072 A KR 1020140063072A KR 20140063072 A KR20140063072 A KR 20140063072A KR 101448798 B1 KR101448798 B1 KR 101448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amp
inverter
barrier discharge
dielectric barrier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윤관
최병노
김건래
정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익큐엔씨
Priority to KR102014006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량 조절이 원활하면서도 최대 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공진주파수의 매칭이 용이하면서 최대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유전 장벽 방전 램프를 제공한다.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장치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자와 병렬접속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개별전원 접속부; 상기 개별전원 접속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인버터의 교류 출력 전압을 2차측으로 전달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의 출력단자와 접속되는 유전 장벽 방전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 장벽 방전 램프는, 복수 개의 제1 전극이 상호 절연되어 형성되는 분할 전극면; 상기 개별 절연 전극면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투광창과 그물 형태의 도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HAVING DIVISIONAL ELECTRODE}
본 발명은 자외선을 방사하는 유전 장벽 방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개별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전 장벽 방전 램프는, 예를 들면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 및 액정 기판 제조 공정 등에 있어서, 세정 처리, 에싱(ashing) 처리 및 성막 처리 등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행해지는 표면 처리의 자외선 조사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금속, 유리, 그 외의 재료로 이루어진 피처리체에 파장 200nm 이하의 진공 자외광을 조사함으로써, 진공 자외광 및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의 작용에 의해 피처리체를 처리하는 기술, 예를 들면, 피처리체의 표면에 부착된 유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세정 처리 기술이나, 피처리체의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산화막 형성 처리 기술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진공 자외광을 조사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유전 장벽 방전에 의해 유전 장벽 분자를 형성하고, 그 유전 장벽 분자로부터 방사되는, 예를 들면, 파장 170nm 부근의 광을 이용하는 유전 장벽 방전 램프를 광원으로서 구비하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전 장벽 방전 램프에 있어서는, 보다 고강도의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방사하기 위해서 많은 시도를 하고 있다.
즉, 유전 장벽 방전 램프의 메커니즘은 주입 가스의 압력, 램프 내부 패스의 형상, 전극간의 거리, 유전체의 종류, 램프 내부 방전 전후의 회로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데, 유전 장벽 방전 램프의 등가회로는 도 1과 같다. 따라서, 최대 효율을 나타내기 위하여 전원과 램프의 임피던스 매칭을 이루어야 하고, 램프 전원장치의 동작 주파수가 등가회로의 임피던스 값에 따른 공진 주파수와 같을 때 최대 광량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유전 장벽 방전 램프는 사용 용도에 따라 광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광량을 50% 또는 100%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도 1의 종래기술에 따른 유전체 배리어 방전 램프와 같이, 투광창 전체를 하나의 전극으로 형성하면, 입력전력을 50% 또는 100%로 조절하여야 한다. 이 경우, 아크가 불균일하게 발생하여 방전이 불안정해지며, 조도가 불균일하고, 이에 따라 최대 효율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0717704호 유전체 배리어 방전 램프 등록특허 10-1175387호 엑시머 램프
본 발명은 광량 조절이 원활하면서도 최대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유전 장벽 방전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진주파수의 매칭이 용이하면서 최대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유전 장벽 방전 램프를 제공한다.
본원의 제1 발명에 따른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장치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자와 병렬접속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개별전원 접속부; 상기 개별전원 접속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인버터의 교류 출력 전압을 2차측으로 전달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의 출력단자와 접속되는 유전 장벽 방전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 장벽 방전 램프는, 복수 개의 제1 전극이 상호 절연되어 형성되는 분할 전극면; 상기 개별 절연 전극면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투광창과 그물 형태의 도전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유전 장벽 방전 램프의 임피던스 값에 따른 공진 주파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 중 일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의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 전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의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와 다르다.
또한, 본원의 제2 발명에 따른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는, 복수 개의 제1 전극이 상호 절연되어 선택적으로 스위칭 가능하게 형성되는 분할 전극면; 상기 분할 전극면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투광창과 도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 중 일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의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 전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의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광창에 배치된 도전체는 그물 형태, 스트라이프 형태, 방사 형태, 및 육각 형태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유전 장벽 방전 램프에 따르면, 광량 조절이 원활하면서도 최대 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공진주파수의 매칭이 용이하면서 최대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최대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광량을 선택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에 의한 손상을 줄일 수 있어 램프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전 장벽 방전 램프 모식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 장벽 방전 램프 장치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 장벽 방전 램프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 장벽 방전 램프 장치는, 직류 전원(210), 인버터(220), 개별전원 접속부(230), 변압부(240), 분할 전극면(250), 및 접지 전극면(260)을 포함한다.
직류 전원(210)은 상용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인버터(220)는 두쌍의 스위칭소자(S1, S3)(S2, S4)를 번갈아 스위칭함으로써 직류 전원(210)을 소정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인버터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칭 제어부는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당연한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개별전원 접속부(230)는 두개의 스위치(231, 232)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온시키는 방식으로 인버터(220)의 교류 출력 전압을 후단에 전달한다. 여기서, 개별전원 접속부(230)의 스위치(231, 232)는 기계식의 릴레이일 수 있으며, 릴레이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릴레이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변압부(240)는 개별전원 접속부(230)를 통해 인가되는 인버터(220)의 교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2차측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 전극면(250)에는 램프의 일면에 두 개의 개별 전극이 서로 절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개별 전극은 솔리드부(251), 그물 형태의 도전체(252), 투광창(253), 및 솔리드부(254)로 형성되고, 투광창(253)의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c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바, 이 정도면, 자외선 강도를 측정하기에 충분한 자외선이 투광창(253)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투광창(253) 부분에는 그물 형태의 도전체(253)가 배치되고, 그물 형태의 도전체(253)는 투광창 주위의 솔리드부(251, 2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투광창에 배치된 도전체의 형상은 그물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스트라이프형, 방사형, 육각형 등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별 절연 전극면에는 램프의 일면에 세개 또는 네개의 개별 전극이 서로 절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 전극면(260)에는 램프의 타면에 하나의 접지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접지 전극은 솔리드부(261), 그물 형태의 도전체(262), 투광창(263), 및 솔리드부(264)로 형성되고, 투광창(263)의 면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c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바, 이 정도면, 자외선 강도를 측정하기에 충분한 자외선이 투광창(263)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210: 직류 전원
220: 인버터
230: 개별전원 접속부
240: 변압부
250: 분할 전극면
260: 접지 전극면

Claims (5)

  1.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220);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자와 병렬접속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개별전원 접속부(230);
    상기 개별전원 접속부를 통해 인가되는 상기 인버터의 교류 출력 전압을 2차측으로 전달하는 변압부(240);
    상기 변압부의 출력단자와 접속되는 유전 장벽 방전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 장벽 방전 램프는,
    복수 개의 제1 전극이 상호 절연되어 형성되는 분할 전극면(250);
    상기 개별 절연 전극면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면(2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투광창(253)과 도전체(252)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 중 일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의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 전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의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유전 장벽 방전 램프의 임피던스 값에 따른 공진 주파수인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장치.
  3. 삭제
  4. 복수 개의 제1 전극이 상호 절연되어 선택적으로 스위칭 가능하게 형성되는 분할 전극면(250);
    상기 분할 전극면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전극면(2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투광창(253)과 도전체(252)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 중 일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의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 전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의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창에 배치된 도전체는 그물 형태, 스트라이프 형태, 방사 형태, 및 육각 형태 중 어느 하나인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KR1020140063072A 2014-05-26 2014-05-26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KR101448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072A KR101448798B1 (ko) 2014-05-26 2014-05-26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072A KR101448798B1 (ko) 2014-05-26 2014-05-26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798B1 true KR101448798B1 (ko) 2014-10-10

Family

ID=5199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072A KR101448798B1 (ko) 2014-05-26 2014-05-26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7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399A (ko) * 2001-09-28 2004-06-01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 그리고 상기 램프를 점화하고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회로
KR20060052338A (ko) * 2004-10-29 2006-05-19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방전램프 제어장치
KR100732779B1 (ko) 2004-02-23 2007-06-27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
KR20130123358A (ko) * 2010-09-30 2013-11-12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유전체 배리어 방전 램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399A (ko) * 2001-09-28 2004-06-01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 그리고 상기 램프를 점화하고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회로
KR100732779B1 (ko) 2004-02-23 2007-06-27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
KR20060052338A (ko) * 2004-10-29 2006-05-19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방전램프 제어장치
KR20130123358A (ko) * 2010-09-30 2013-11-12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유전체 배리어 방전 램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harmby Electrodeless lamps for lighting: a review
US10784084B2 (en) Energy-efficient plasma processes of generating free charges, ozone, and light
JP5624142B2 (ja) ワイヤレス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装置
JP7346687B2 (ja) 放電ランプおよびオゾン生成方法
KR20050079004A (ko) 플라즈마 코일
KR101448798B1 (ko) 분할 전극을 가진 유전 장벽 방전 램프
TWI451472B (zh) Ultraviolet radiation device
US9640380B1 (en) Electrodeless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with wave-launcher
US20020180381A1 (en) Device for operating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Davari et al. Analysing DBD plasma lamp intensity versus power consumption using a push-pull pulsed power supply
JP6319008B2 (ja) エキシマ光照射装置
US11299405B2 (en) Purification apparatus with electrodeless bulb and methods of operation
KR102313624B1 (ko) Uv조사범위 가변형 자외선 방전 램프
US20150022082A1 (e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s and methods
US9485845B2 (en) Electrical discharge lighting
JP5768653B2 (ja) ロングアーク型放電ランプ、及び光照射装置
Facta et al. Implementation of photovoltaic and simple resonant power converter for high frequency discharge application
JP3234361B2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
RU23935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актерицид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мещений
KR101000873B1 (ko) 전자식 안정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전극 램프 구동 장치
JP2004253200A (ja) エキシマランプ及びエキシマランプ照射装置
US20130069529A1 (en) Electronic device containing noise shield
CA2068160C (en) Shielded starting coil for an electrodeless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JP5909884B2 (ja) 放電ランプ点灯装置
KR20230151324A (ko) 방열 기능을 갖는 원자외선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