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667B1 - Cosmetics for Containing Physiological,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and Thereof Method - Google Patents

Cosmetics for Containing Physiological,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and Thereof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667B1
KR101448667B1 KR1020120098047A KR20120098047A KR101448667B1 KR 101448667 B1 KR101448667 B1 KR 101448667B1 KR 1020120098047 A KR1020120098047 A KR 1020120098047A KR 20120098047 A KR20120098047 A KR 20120098047A KR 101448667 B1 KR101448667 B1 KR 101448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group
dau
dialysis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2046A (en
Inventor
강상모
윤정희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667B1/en
Publication of KR2014003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0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6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2Urine; Urinary tract, e.g. kidney or bladder; Intraglomerular mesangial cells; Renal mesenchymal cells; Adrenal gl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뇨(尿)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활성 및 항균 활성 성분은 3-7세 어린이의 오줌을 수거하여 투석막에서 투석한 뇨를 동결건조기로 농축한 후, 분말을 만들어 생리,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을 얻는다.
뇨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은 DPPH 라디칼 소거능,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및 FRAP능력이 우수하여 이 들 뇨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여성의 노화피부 개선, 안면과 목의 부위별 홍반 , 멜라닌, 황색도 변화 등 피부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사춘기의 여드름이 많이 나는 청소년의 얼굴 여드름의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hysiological,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components separated from urine are collected by collecting the urine of 3-7 year old children, concentrating the urine dialyzed on the dialysis membrane with a freeze dryer, and then making powder to produce physiological, antioxidant, .
The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isolated from urine showed excell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otal flavonoid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FRAP ability, and cosmetics containing this urinary component showed improvement of aging skin of women, It provides a useful effect for skin improvement such as erythema, melanin, yellow color change.
It can provide a useful effect in improving the face acne, especially in adolescents with a lot of acne.

Description

뇨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그의 제조방법{Cosmetics for Containing Physiological,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and Thereof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 separated from uri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0002] Cosmetics for Containing Physiological,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and Thereof Method,

뇨(尿)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3-7세 어린이의 오줌을 수거하여 투석막에서 투석한 뇨를 동결건조기로 농축한 후, 분말을 만들어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을 얻는다. 이를 이용하여 화장수 및 로션을 제조하여 피부개선을 원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거나, 여드름 억제나 개선에 사용한다.Physiology separated from urine, cosmetics containing antioxidative active ingredient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urine collected from 3-7 year-old children is collected, and the urine dialyzed on the dialysis membrane is concentrated by a freeze dryer, and then powder is produced to obtai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It is used to make lotions and lotions for women who want to improve their skin, or to suppress or improve acne.

뇨의 생리,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은 여성의 안면과 목의 멜라민, 피부색, 각질, 유분, 수분의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사춘기의 여드름이 많이 나는 청소년의 얼굴 여드름의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Cosmetics containing the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of urine provide beneficial effects for improving the melamine, skin color, keratin, oil and moisture of women's face and neck, and also for the treatment of acne vulgaris And provides useful effects for improvement.

뇨(尿, urine)는 오줌이라고도 하며, 동물의 물질대사 결과 체내에서 생긴 여러 노폐물을 수용액의 형태로 축적하여 방광에 저장되어 있다가 한계에 달하면 체외로 배출된다. 오줌의 성분 중에는 물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그 다음은 요소로서 성인 남자가 하루에 약 30g을 배출한다. 이외에도 미량의 요산, 아미노산, 무기염류 등이 들어 있다. 오줌은 질소화합물의 노폐물인 암모니아를 요소로 바꾸어 배출하는 작용 이외에도 체내의 삼투압 조절, 수분함량의 조절 등 매우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Urine (urine), also known as urine, is an accumulation of various waste products in the body as a result of the metabolism of the animal, and is stored in the bladder, and when it reaches the limit, it is discharged outside the body. Water constitutes more than 90% of the constituents of the urine, and as a next element, an adult man emits about 30 g per day. In addition, trace amounts of uric acid, amino acids, inorganic salts and contains. In addition to excretion of ammonia, which is the waste of nitrogen compounds, into the urea, urine has important physiological functions such as regulating the osmotic pressure of the body and controlling the water content.

뇨에는 백혈구, 적혈구, 상피세포, 원주 등의 세포와 유형 성분, 포도당, 과당, 갈릭토스 등 당질, 색소물질인 미오글로빈, 헤모글로빈, 피브린 분해산물 등 화학물질, 아밀라아제, 펩티다아제, 유로키나제 등 25개 이상의 효소, 성 호르몬, 아드레날린, 엔도르핀 등 다수의 호르몬, 디렉틴, 안티네오플라스톤, 3-메틸글리옥살, 베타인돌아세틱산 등의 화학물질 등 극미량의 생리활성물질이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항산화, 항암, 강장 작용 등 우리 몸에 꼭 필요한 기능들은 수행한다(Oser, 1965). 특히 디렉틴(directin)이란 물질은 1996년 미국 실험생물학협회지에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환원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안티네오플라스톤(anti neoplaston)이란 성분은 1960년대 미국의 의사 부르진스키가 발견했는데, 정상 세포에는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펩티다아제 물질로 암 환자들에게 꾸준히 활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3-메틸글리옥살 (3-Methylglyoxal)은 암세포를 파괴하는 성질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김성필, 2005). Urine contains more than 25 enzymes such as leukocytes, red blood cells, epithelial cells, columnar cells, and other chemical substances such as type components, glucose, fructose, galactose, and carbohydrates, myoglobin, hemoglobin and fibrin degradation products such as galactose, amylase, peptidase, and urokinase , Hormones such as sex hormones, adrenaline, and endorphins, and chemical substances such as derectin, antineoplaston, 3-methylglyoxal, betaine turnic acid, and the like. These materials perform functions essential to our bodies such as antioxidant, anti-cancer, and tonic effects (Oser, 1965). In particular, directin has been reported to have the effect of reducing cancer cells to normal cells in 1996 i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Laboratory for Experimental Biology. An anti neoplaston was discovered by the American physician Bourgeinsky in the 1960s and has been steadily used by cancer patients as a peptidase agent that selectively destroys cancer cells without damaging normal cells. In addition, 3-methylglyoxal is known to destroy cancer cells (Kim, 2005).

오줌을 질병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동의보감 탕액편(湯液篇)의 추석(秋石)에는 성호르몬이 함유되어 있으며, 인중백(人中白)은 뇌출혈에도 효과가 있으며, 정력제로도 사용된다고 기록되었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 의하면 10세 이하의 건강한 아동의 요(尿)를 처음과 마지막의 것을 제외하고 중간의 것을 취한 것이 가장 좋다고 하였다. 오줌을 상처의 치료 목적으로는"피부에 문질러 씻으면 파열된 피부가 윤택해지고, 충(??)과 벌레나 개에게 물렸을 때는 열뇨(熱尿)로 상처를 씻는다"라고 하였다. 이시진의 본초강목(이시진, 1996)에는 뱀이나 개에게 물렸을 때 따뜻한 요(尿)에 환부를 담그도록 하였다. 최근에 중국에는 요(尿)에서 추출하여 만든 CPAⅡ라는 암 치료약이 생산되고 있다(홍성권, 2008). The use of urine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Dongbogobon (汤液 篇) 胡石 (秋 石) contains sex hormones, and the white blood of menstrual blood is effective in the brain hemorrhage is also used as a tincture . According to 鄕 药 集成 方, the 鄕 medicine 成 方 방 방 方 鄕 鄕 鄕 鄕 集 集...............................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of wounds, it is said that "when rubbing on the skin, the ruptured skin becomes soft, and when the worm is bitten by insects or dogs, it is wiped with hot urine". In Ishin's baseline gangmok (Ishinjin, 1996), the snake or a dog bites the affected part in warm urine. Recently, in China, cancer drug called CPA II, which is extracted from urine, has been produced (Hong Sung-kwon, 2008).

이 중 역사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 된 것은 비누 대신으로 로마, 영국, 프랑스, 한국, 지역에서는 요(尿)를 가지고 손을 씻거나 빨래하는데 세척제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18세기 초에 프랑스 치과의사들은 치과질환을 치료하는데 활용하여 치아미백이나 치주염과 치약대용으로 사용하였다. 이 외에도 기독교 성경, 불교 경전, 고대 종교의 경전 등에도 요(尿)에 대한 기록들이 많이 있으며 그중 B.C 3,000년의 코란 경전에는"요(尿)를 마시지 않는 것이 죽어가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요(尿)는 오랜 역사를 통해 광범위하게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활용되어 왔었다. 1939년 독일의 부테난트(Adolf Friedrich Johann Butenandt) 박사는 소변에서 성호르몬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다. 1940년대의 독일의 한 의사는 천연두에 걸린 아이에게 소변관장을 한 경험을 책으로 기록하여 남겼으며 1960년대에 비타민C의 발견자로 노벨상을 받은 센트졸즈 박사가 요(尿)중의 3-메틸글리옥살(3-methyl glyoxal)이라는 물질을 분리해 내어 암세포를 파괴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The most widely used of these was historically used as a cleanser for washing hands or washing clothes with urine in Rome, England, France, Korea, and in place of soap. In the early 18th century, French dentists used teeth whitening, periodontitis and toothpaste as a substitute for treating dental diseases. There are also many records of urine in Christian Bible, Buddhist scriptures, and ancient religious scriptures, among which the 3,000-year-old Koran scripture is one of the reasons why "not drinking urine is dying" . As such, urine has been used extensively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through its long history. In 1939, Dr. Adolf Friedrich Johann Butenandt was awarded the Nobel Prize for Chemistry for his discovery of sex hormones in the urine. A German doctor in the 1940s wrote a book on the experience of having a child with smallpox in his urine, and Dr. St. Jolz, a Nobel prize winner in the 1960s as a discoverer of vitamin C, (3-methyl glyoxal) from cancer cells and destroy cancer cells.

국내에서 요를 활용한 선행 연구로는 남정식(2000)의 요료법의 효능에 대한 과학적 조사 및 응용, 강선미(2002)의 요료법이 혈압과 소변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강국희(2004)의 요료법의 역사와 초과학성, 김기일(2006)의 요료법이 고혈압과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등의 연구들이 있다. 또한 국내 의사들이 요료법을 권장하는 문헌에서 명의 333인의 저서에 소개된 요료법의 효능을 보면 갱년기 이후의 여성이 요(尿)를 마시면 피부의 주근깨가 없어지고 원기가 왕성해 진다고 기술하였고(강선미, 2003), 김익달(1982)의 명의 333일(Ⅱ) 현대의학 제 6권 594페이지에는 요가 건강과 정력에 효과적이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이규태(1995)의 저서 한국인의 성과 미신에서도 요의 이용에 관한 내용들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오줌에서 추출하여 만든 유로키나제(urokinase)는 뇌혈전증ㅇ뇌경색, 말초동ㅇ정맥폐색증, 급성심근경색, 폐색전증의 대표적인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들 종래기술은 대부분 식이를 통한 요의 활용에 대한 연구로서 아직까지 피부 미용에 활용한 사례는 없는 실정이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on the effect of urine on the blood pressure and urine blood components of Kang Sun-hee (2002) (2006), and the effect of the method on hypertension and serum lipid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fficacy of the lavage method introduced in the book of 333 people in the literature recommending the domestic medicine to the doctors, it is described that when the woman after the menopausal period drinks urine, freckles of the skin disappear and the skin becomes strong (Kang, ) And Kim, Ik-dal (1982), 333 (Ⅱ), Modern Medicine, Vol. 6, No. 594, are effective on yoga health and vigor. Also in this book, Lee Gyu-tae (1995) has introduced the contents of the use of urine in Korean myths and myths. In addition, urokinase extracted from urine is used as a representative treatment for cerebral hemorrhage, cerebral infarction, peripheral vascular occlusi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pulmonary embolism. However, most of these prior arts have not been applied to skin care as a study on utilization of urine through diet.

뇨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부분 식이를 통한 건강 개선 활용에 대한 연구로서 아직까지 피부 미용에 활용한 사례가 없는 실정이다. Most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related to urine have been used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through diet.

뇨에는 체내에서 대사되어 생긴 여러 혈액 세포와 유형 성분, 당질, 색소물질, 효소, 성 호르몬 등의 생리활성물질, 수분, 요소, 무기염류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들 중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피부에 유용한 성분을 분리하는 데 있다.
Urine contains various blood cells that have been metabolized in the body and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such as type components, carbohydrates, pigment substances, enzymes, sex hormones, moisture, urea, and inorganic salts. Therefore, .

본 발명은 수거한 당일 뇨와 3일숙성한 뇨의 효능 비교를 통하여, 당일 요에 비해 3일 숙성 요가 단백질이나 알부민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투석 후, 동결 건조한 투석 당일 뇨와 투석 3일 숙성 뇨도 같이 비교하였다. 그러나 투석과정을 거쳐도 단백질과 알부민은 많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밖에도 투석과정을 통해 제거되지 않는 뇨 속의 다양한 성분들이 안면피부의 상태를 호전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어 투석 뇨를 화장품 원료로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he efficacy of collected day urine and 3-day-old mature urine, and compared with that day, it contained more mature yogurt protein and albumin at 3 days. Based on these results, we compared the results of freeze - dried dialysis day urine and dialysis day 3 days after dialys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osmetic raw materials for skin improvement. However, there are many proteins and albumin remaining after the dialysis process, and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ingredients of urine which are not removed through the dialysis process improve the condition of the facial skin, so that the urine is supplied as a cosmetic raw material.

본 발명의 뇨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은 DPPH 라디칼 소거능,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및 FRAP능력이 우수하여 이 들 뇨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여성의 노화피부 개선, 안면과 목의 부위별 홍반 지수 변화, 멜라닌 지수 변화, 부위별 황색도 변화, 피부색, 각질, 유분, 수분의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사춘기의 여드름이 많이 나는 청소년의 얼굴 여드름의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The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isolated from the ur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cellent in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total flavonoid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FRAP ability, and thus cosmetics containing the urinary component can improve the aging skin, It provides a beneficial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rythema index, melanin index change, change in yellowness degree, skin color, keratin, oil, and moisture in each part of the neck. It provides a beneficial effect for the improvement of the face acne, especially for adolescents with a lot of acne.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당일 투석한 요(DU), 3일 숙성 후 투석한 요(DAU)로부터 분리한 활성성분을 이용하여 만든 화장품을 바른 피부변화를 나타낸다(The change of skin image DU & DAU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 before of DU group; B, after of DU group; C, before of DAU group; D, after of DAU group).
1 show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skin changes of cosmetics prepared using active ingredients isolated from dialyzed urine (DU) and dialyzed urine (DAU) after 3 days of a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 of skin image DU & DAU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 before of the group, B, after of the group, C, before of the DAU group;

본 발명은 뇨(尿)에서 생리, 항산화 및 항균활성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method for separating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components from urine.

본 발명은 뇨(尿)를 투석막에 넣고 물로 투석하는 단계와, 투석된 뇨의 활성성분을 동결건조기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뇨에서 생리, 항산화 및 항균활성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parating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components in urine, comprising the steps of putting urine into a dialysis membrane and dialyzing with water, and concentrating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dialyzed urine with a freeze dryer.

상기에서 뇨의 투석은 뇨 1중량부에 대하여 1∼500배 되는 수도물, 정제수 또는 증류수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요산 농도가 30(mg/dL) 이하가 될 때까지 투석할 수 있다.The dialysis of urine can be carried out until the uric acid concentration reaches 30 (mg / dL) or less with any one selected from tap water, purified water or distilled water which is 1 to 500 times the urine weight per 1 part by weight of urine.

상기에서 뇨의 투석은 뇨 1중량부에 대하여 1∼500배 되는 수도물, 정제수 또는 증류수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요산 농도가 10∼30(mg/dL)가 될 때까지 투석할 수 있다.Dialysis can be carried out until the uric acid concentration reaches 10 to 30 (mg / dL) with any one selected from tap water, purified water or distilled water which is 1 to 500 times as much as urine per 1 part by weight of urine.

상기에서 뇨의 투석은 뇨 1중량부에 대하여 1∼500배 되는 수도물, 정제수 또는 증류수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요산 농도가 1∼30(mg/dL)가 될 때까지 투석할 수 있다.Dialysis can be carried out until the uric acid concentration reaches 1 to 30 (mg / dL) with any one selected from tap water, purified water or distilled water which is 1 to 500 times as much as urine per 1 part by weight of urine.

상기에서 뇨의 투석은 뇨 1중량부에 대하여 1∼500배 되는 수도물, 정제수 또는 증류수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요산 농도가 0.01∼30(mg/dL)가 될 때까지 투석할 수 있다.In the above, dialysis of urine can be carried out until the concentration of uric acid reaches 0.01 to 30 (mg / dL) with any one selected from tap water, purified water or distilled water which is 1 to 500 times as much as urine per 1 part by weight of urine.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뇨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isolated from urine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상기에서 생리,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은 DPPH 라디칼 소거능,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및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능을 갖을 수 있다.
In the above,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may hav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flavonoid, polyphenol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뇨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smetics containing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상기에서 화장품은 뇨에서 분리되며 DPPH 라디칼 소거능,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및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리,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s may be separated from urine and may contain one or more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selected from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flavonoid, polyphenol and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ability.

상기에서 화장품은 화장수, 로션, 크림, 연고 및 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cosmetic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lotion, lotion, cream, ointment and pack.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뇨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여드름치료제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ne remedies containing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뇨(尿)를 투석막에 넣고 정제수, 수도수 또는 증류수로 희석하여 투석하는 단계와, 투석된 뇨의 활성성분을 동결건조기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뇨에서 생리, 항산화 및/또는 항균활성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 or antimicrobial agent in urine, comprising the steps of putting urine into a dialysis membrane and diluting it with purified water, tap water or distilled water to dialyze and concentrating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dialyzed urine with a freeze- Lt; RTI ID = 0.0 > active ingredient.

투석(dialysis, 透析)은 반투막(半透膜)을 써서 콜로이드ㅇ고분자용액을 싸고, 이것을 순수 내지는 다량의 용매에 담가 두어 저분자나 이온으로 섞여 있는 불순물이 막 밖으로 확산하는 것을 이용하여 콜로이드ㅇ고분자용액을 정제하는 조작이다. 반투막이나 동물막은 저분자나 이온은 자유로이 통과시키지만, 콜로이드입자나 고분자는 통과시키지 않는다. Dialysis is carried out by using a semipermeable membrane to encapsulate the colloidal polymer solution and immersing it in a pure or large amount of solvent so that impurities mixed with low molecular weight or ion are diffused out of the membrane, . Semipermeable membranes or animal membranes are free to pass small molecules and ions, but not colloidal particles or polymers.

뇨의 투석작용은 콜로이드입자나 고분자의 확산속도가 용질의 확산속도보다 느린 원리를 이용하여 뇨 중에 포함된 과잉의 요산이나 암모니아와 같이 피부에 부작용을 줄 수 있는 성분을 제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뇨를 투석을 하게 되면 피부의 부작용을 완화시켜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The dialysis effect of urine is aimed at eliminating components that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excessive uric acid or ammonia contained in urine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diffusion rate of colloidal particles or polymer is slower than the diffusion rate of solute. Therefore, dialysis of the urine will reduce the side effects of the skin.

상기에서 투석한 뇨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동결건조기로 농축하여 사용하면 효과가 좋아지고 작업의 간편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dialyzed urine may be used as it is, but if it is concentrated by using a freeze dryer, the effect is improved and the operation can be simplified.

상기에서 뇨(尿)에서 분리한 항산화활성 성분은 3-7세 어린이의 오줌을 수거하여 투석막에서 투석한 뇨를 동결건조기로 농축한 후, 분말을 만들어 생리,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을 얻는다. 이를 이용하여 화장수 및 로션을 제조하여 피부개선을 원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거나, 여드름 억제나 개선에 사용한다.
In the above, the antioxidant active ingredient isolated from urine is collected from urine of 3-7 year-old children, and the urine dialyzed on the dialysis membrane is concentrated by a freeze dryer, and powder is prepared to obtain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It is used to make lotions and lotions for women who want to improve their skin, or to suppress or improve acne.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뇨(尿)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또는 항균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 or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본 발명의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뇨(尿)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또는 항균 활성 성분은 DPPH 라디칼 소거능,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및 FRAP능을 갖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 or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by the above-mentioned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components having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flavonoid, polyphenol and FRAP ability.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뇨(尿)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또는 항균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represents a cosmetic comprising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 or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상기에서 화장품은 뇨(尿)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또는 항균 활성 성분을 포함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및 FRAP능을 갖을 수 있다.The cosmetic may hav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flavonoid, polyphenol and FRAP ability, including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 or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상기에서 뇨(尿)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또는 항균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화장수, 로션, 크림, 연고, 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화장품일 수 있다.The cosmetics containing the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 or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separated from the urine may be cosmetics selected from lotions, lotions, creams, ointments and packs.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뇨(尿)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또는 항균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여드름치료제를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represents an acne remedy comprising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 or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본 발명의 뇨(尿)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또는 항균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여드름치료제는 연고, 액상제, 패치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cne remedy comprising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 or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isolated from ur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to any one form selected from ointments, liquid agents and patches.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험예,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perimental examples and examples. However, these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험예 1>; 뇨의 투석 &Lt; Experimental Example 1 > Dialysis of urine

실험재료는 요(尿) 성분의 생리, 항산화 및 항균능력과 요에 함유된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당일 요(U), 3일 숙성 요(AU), 투석한 당일 요(DU), 투석한 3일 숙성 요(DAU)를 사용하였다. In order to analyze the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urine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urine, the urine (U), the 3 day maturation (AU), the dialyzed day (DU) (DAU) was used.

요(尿)의 수집은 2011년 10월 서울시 월계동에 위치한 Y어린이집에서 3∼7세 사이 남자 어린이 50여명으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고, 투석 당일요(DU)와 투석 3일 요(DAU)는 투석막[MWCO 12,000-14,000 Da (Viskase, IL USA)]에 넣고 요(尿)의 부피 1∼500배 되는 수도물, 정제수 또는 증류수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를 유동식으로 흘려 주어 불순물을 정제하였다. 또한 고정식으로 정제할 때는 1∼8시간 마다 물을 교환하여 주었다. 시료 중에 요산농도가 30(mg/dL) 이하로 될 때 까지 투석을 완료하였다. 이렇게 투석된 요는 시료의 성분들을 농축하기 위하여 동결건조기(VFDPH-0050 Soitech, Korea)를 이용하여 분말형태로 만들어 시료로 사용하였다.
Urine collection was provided by 50 male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and 7 at Y day care center in Wolgye-dong, Seoul, Korea in October 2011. The dialysis day (DU) and dialysis day 3 (DAU) MWCO 12,000-14,000 Da (Viskase, IL USA)] and one of tap water, purified water or distilled water having a volume of 1 to 500 times the volume of urine was flowed in a fluid manner to purify the impurities. In addition, water was exchanged every 1 to 8 hours when it was fixedly purified. The dialysis was completed until the concentration of uric acid in the sample became 30 mg / dL or less. The dialyzed urine was used as a sample in powder form using a freeze dryer (VFDPH-0050 Soitech, Korea) to concentrate the components of the sample.

<뇨의 성분 분석><Component analysis of urine>

요소성분의 농도 측정을 위해 DAM-TSC 시약, phosphoric acid를 사용하였고, 기기는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였다. 기타 성분분석으로 단백질 정량 분석은 Benzethonium, 요산 측정은 uricase(enzyme), 마이크로알부민과 크레아틴은 TIA 방법으로 하였으며, 사용기기는 Hitachi P module(Japan)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각 분석방법에 필요한 특정 시약은 Roche(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microscope로 적혈구, 백혈구, 상피세포의 함량을 현미경(Olympus TL4, Japan)으로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당일 요(U), 3일 숙성한 요(AU), 투석한 당일 요(DU), 투석한 3일 숙성 요(DAU)를 대상으로 성분 분석한 표 1의 요소 농도를 살펴보면 U군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AU > DU > DAU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투석 후에는 투석 전에 비하여 5배 정도 감소되어 20% 정도 남아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요산 함량은 숙성한 AU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U > DAU > DU 순으로 나타났으며 투석 후에는 거의 제거되어 0.03∼0.06% 정도 남아 있었고 숙성 후에는 함량이 조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크레아틴 농도는 U가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 AU > DAU > DU 순으로 나타났고 투석 후 10배 이상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단백질과 마이크로알부민은 AU가 가장 높았으며 그다음 U > DAU > DU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두 성분은 투석 후에도 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숙성 후에는 함량이 증가하였다(표 1). 이와 같은 결과로 각각의 요에 함유된 요소, 요산, 단백질, 알부민, 크레아틴의 함량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투석과정 후 저분자인 요소(60.06), 요산(168), 크레아틴(131.1)의 함량은 상당수 감소하는 것과 반면 고분자인 단백질이나 알부민(16,000)의 경우는 투석 후 거의 변화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AM-TSC reagent and phosphoric acid were us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urea component, and a spectrophotometer was used. Other components were benzethonium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proteins, uricase (enzyme) for uric acid measurement, TIA for microalbumin and creatine, and Hitachi P module (Japan) was used for the instrument. Specific reagents required for each assay method were purchased from Roche (USA), and the contents of erythrocytes, leukocytes, and epithelial cells were observed with a microscope (Olympus TL4, Japan). The U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U (group 1), 3 days (AU), 3 days (U), dialyzed day (DU) Followed by AU> DU> DAU. After the di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decreased about 5 times compared with that before dialysis and remained about 20%. The uric acid content was highest in aged AU, followed by U> DAU> DU. After dialysis, it was almost removed and remained 0.03 ~ 0.06%, and the content increased slightly after aging. The creatinine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U, followed by AU> DAU> DU and decreased by 10 times or more after dialysis. Protein and microalbumin showed the highest AU, followed by U> DAU> DU. These two compon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dialysis and increased after fermentation (Table 1). As a result, contents of urea, uric acid, protein, albumin and creatine contained in each urine were found. After dialysis, the content of low-molecular urea (60.06), uric acid (168) and creatine (131.1) de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protein or albumin (16,000), a polymer, showed almost no change after dialysis.

뇨에 함유된 성분(mg/dL)<자료: 이원의료재단>Ingredients in urine (mg / dL) <Source: LeeWon Medical Foundation> 구 분division UU AUAU DUDU DAUDAU ProteinProtein 19.6919.69 19.7319.73 14.0414.04 15.8115.81 Uric AcidUric Acid 60.260.2 61.4961.49 0.020.02 0.060.06 MicroalbuminMicroalbumin 0.310.31 0.420.42 0.280.28 0.450.45 CreatineCreatine 79.7979.79 63.9963.99 0.490.49 0.730.73 Micro RBCMicro RBC 0-10-1 0-10-1 0-10-1 0-10-1 Micro WBCMicro WBC 0-10-1 0-10-1 0-10-1 0-10-1 Micro Epithelial CellMicro Epithelial Cell 0-10-1 0-10-1 0-10-1 0-10-1

<약어; U:당일뇨, AU:3일숙성뇨, DU:당일투석뇨, DAU:3일숙성투석뇨>
<Abbreviation; U: daytime urine, AU: 3 day maturation urine, DU: dialysis day, DAU: 3 day maturation dialysis>

<실험예 2>; 항산화 활성 측정&Lt; Experimental Example 2 > Antioxidant activity measurement

1)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1) Measurement of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DPPH의 측정을 위해 유리라디칼인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은 Sigma-Aldrich(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Jeong(2006) 등의 방법에 준하여 각각 시료 0.1 mL에 4.1×10-5M의 DPPH용액 0.9mL를 가한 후 상온 암소에서 25분간 반응시켜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Trolox를 사용하였다.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was purchased from Sigma-Aldrich (USA), an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using 0.1 mL Was added 0.9 mL of 4.1 × 10 -5 M DPPH solution, and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25 minutes. The absorbance at 517 nm was measured. The control group, Trolox, well known as an antioxidant, was used.

각 시료의 라디칼 소거능은 {(무첨가군의 흡광도)/(첨가군의 흡광도)}×100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으로 계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The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each sample was expressed as a percentage calculated by {(absorbance of no added group) / (absorbance of added group)} × 100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본 실험에서는 U(당일 요), AU(3일 숙성 요), DU(투석 당일 요), DAU(투석 3일 숙성 요) 그리고 비교물질인 Trolox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In this experiment, the percentage of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U (day), AU (3 days of fermentation), DU (dialysis day), DAU (3 days of dialysis) and the comparative substance Trolox were shown.

U의 경우 32.5%로 대조군의 Toroxl 0.5mM 정도의 소거활성이 있음을 보여주었고, AU는 47.3%로 Toroxl 1mM 이상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DU와 DAU는 105.2%, 108.6%의 높은 활성을 보였고, 그 중 DAU가 가장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당일 요(尿)보다는 3일 숙성 한 요(尿)의 활성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일반 요(尿)보다는 투석한 요(尿)가 더 활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U showed 32.5% of cleavage activity of Toroxl 0.5mM in control group, and 47.3% of AU showed cleavage activity of Toroxl 1mM or more. In addition, DA and DAU showed high activities of 105.2% and 108.6%, respectively. Among them, DAU showe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vity of urine aged 3 days is higher than that of urine on the day, and that urinary dialysis is more active than general urine. there was.

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2) Total flavonoid content measurement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위해 사용한 NaNO3는 쇼와화학(일본), AlCl3 Junsei(일본), NaOH는 덕산화학(한국)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D. Marinova(2005)의 방법을 이용하여 시료 0.1 mL에 증류수를 0.4 mL를 넣고 5% NaNO3 0.03 mL와 10% AlCl3 0.06 mL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10분간 실온에 방치하였다. 그다음 1 M의 NaOH 용액을 0.2 mL와 증류수 0.2 mL을 첨가하였다. 반응이 종료된 용액 1 mL를 취해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은 Catechin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을 구해 정량하였다. NaNO 3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 was ShoWa Chemical (Japan), AlCl 3 Junsei (Japan) and NaOH (Duksan Chemical) were use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determined by the method of D. Marinova (2005). 0.4 m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0.1 mL of the sample, 0.03 mL of 5% NaNO 3 and 0.06 mL of 10% AlCl 3 were added, mixed well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s Respectively. Then 0.2 mL of 1 M NaOH solution and 0.2 mL of distilled water were added. 1 mL of the reaction-terminated solution was taken and the absorbance at 510 nm was measured. Standard curves were prepared by using Catechin.

본 발명에서 U, AU, DU, DAU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카테킨을 표준물질로 사용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환산한 결과 AU 2.68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그다음 U는 2.27 mg/mL, 그리고 DU는 1.80 mg/mL로 모두 카테킨 0.5 mM 이상의 함량을 나타낸 반면 DAU는 1.27 mg/mL로 카테킨 0.5 mM보다는 조금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당일 요보다는 3일 숙성 한 요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투석 후에는 페놀함량에 비해서는 많이 감소하지 않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vonoid content of U, AU, DU, and DAU was calculated from a standard curve using catechin as a standard substance. As a result, the content was the highest at AU 2.68 mg / mL, followed by U at 2.27 mg / 1.80 mg / mL of catechin contained more than 0.5 mM catechin, while DAU was 1.27 mg / mL, slightly lower than catechin 0.5 mM.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flavonoid content of the yogurt aged 3 day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ay, and did not decrease much after the dialysis compared to the phenol content.

3)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3) Total polyphenol content measurement

총 페놀 함량측정에 사용된 Na2CO3은 Sigma-Aldrich(미국)에서 구입하였으며, Folin-Ciocalteu 시약은 하야시순수화학공업(일본)의 것을 사용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Gutfinger(1981)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Na 2 CO 3 used in the measurement of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purchased from Sigma-Aldrich (USA), and Folin-Ciocalteu reagent from Hayashi Pure Chemical Industries (Japan) was used. Total phenolic content was determined by the method of Gutfinger (1981).

시료 0.5mL에 2% Na2CO3 용액 0.5 mL을 혼합하여 3분간 반응시킨 후, 50% Folin-Ciocalteu 시약을 0.1 mL를 넣고 30분간 상온에 방치한다. 이 용액 1mL을 취하여 7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표준시약으로 갈릭산(Gallic acid)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구해 나타내었다. 0.5 mL of sample is mixed with 0.5 mL of 2% Na 2 CO 3 solution, reacted for 3 minutes, then 0.1 mL of 50% Folin-Ciocalteu reagent is added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1 mL of this solution was taken and absorbance was measured at 750 nm. The total phenol content was determined using a standard curve using gallic acid as a standard reagent.

본 발명에서 U, AU, DU, DAU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갈릭산을 표준물질로 사용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환산하여 측정한 결과 AU는 36.87mg/mL, U는 32.51mg/mL로 갈린산 10mM의 3배 이상의 함량을 보였으며, 그 다음 투석한 DAU가 4.66mg/mL로 갈린산 5mM과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DU는 2.72mg/mL 가장 낮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당일 요보다는 3일 숙성 한 요의 폴리페놀 함량이 약간 높았으며, 투석한 요의 경우도 같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U, AU, DU, and DAU was measured as 36.87 mg / mL of AU and 32.51 mg / mL of U, And DAU was 4.66mg / mL,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5mM of gallic acid. And DU had the lowest polyphenol content of 2.72 mg / mL. As a result, the polyphenol content of the urin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day, and the dialyzed urine was also the same.

4)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측정4)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measurement

FRAP 측정에 사용된 K3[Fe(CN)6]와 FeCl3ㅇ6H2O는 삼천화학(한국), C2HCl3O2는 덕산화학(한국)의 제품을 사용하였고, 대조군으로 사용한 Trolox, 카테킨, 갈린산은 모두 Sigma-Aldrich(미국)에서 구입하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Synergy, Biotek)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0.1mL의 phosphate buffer(0.2M, pH 6.6)에 0.1mL의 시료와 1%(w/v) K3[Fe(CN)6] 용액 0.1mL를 가하고 이 혼합물을 50℃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10%(w/v)용액 C2HCl3O2 0.1mL을 넣고 10,000×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원심 분리하여 얻은 상층액 0.5mL에 증류수 0.5mL를 넣고 0.1% FeCl3ㅇ6H2O용액 0.05mL를 가하여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환원력은 표준물질로 Trolox를 사용하여 표준곡선(0∼1000μM)에 의해 계산하여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TEAC)로 나타내었다. The products of K 3 [Fe (CN) 6 ] and FeCl 3 ㅇ 6H 2 O used in FRAP measurement were Samchon Chemical (Korea) and C 2 HCl 3 O 2 were used in Duksan Chemical (Korea) , Catechin, and gallic acid were purchased from Sigma-Aldrich (USA). Using a Microplate reader (Synergy, Biotek) instrument. To 0.1 mL of phosphate buffer (0.2M, pH 6.6), 0.1 mL of sample and 0.1 mL of 1% (w / v) K 3 [Fe (CN) 6 ] solution were added and the mixture was reacted at 50 ° C for 20 minutes , 10% (w / v) solution C 2 HCl 3 O 2 ( 0.1 mL) and centrifuged at 10,000 × g for 10 minutes. 0.5 m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0.5 mL of the supernatant obtained by centrifugation, 0.05 mL of a 0.1% FeCl 3 O 6 H 2 O solution was added, and the absorbance at 700 nm was measured. The reducing power was calculated as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by standard curve (0-1000 μM) using Trolox as a standard.

본 발명에서는 U, AU, DU, DAU의 항산화 활성을 환원력과 연관하여 살펴본 결과를 Trolox 표준물질로서 비교하여 나타낸 결과 AU의 경우 3.37μmol/L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고 U는 3.00μmol/L로 나타나 AU와 U는 Trolox 1mM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우수한 항산화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투석한 경우의 DAU 역시 2.11μmol/L로 대조군보다 높은 환원력을 보였고, DU는 0.17μmol/L로 가장 낮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U, AU, DU, and DAU was compared with Trolox as a reference material. As a result, AU showed the highest reducing power of 3.37 μ mol / L and U showed 3.00 μ mol / L, AU and U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rolox 1mM. The dialyzed DAU was 2.11 ĩmol / L,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DU was 0.17 ĩmol / L.

본 발명에서는 생체친화적 성분인 요성분의 항산화 활성 능력 측정 결과 DPPH-radical은 모든 그룹에서 소거 능력을 보였으며 그중 DAU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석 전 보다 투석 후 활성이 더 높아지는 것과 숙성 후에는 2배 이상 소거능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요의 다양한 성분 중 DPPH와 반응하기에 적합한 입체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투석과정과 숙성과정 시 이와 같은 결과를 나타낸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DPPH radical was observed in all groups, and DAU was the highest. It was also found that the activity after dialysis was higher than that before dialysis, and that the ability to erase more than twice was increased after aging. It is presumed that this result is obtained during the dialysis process and the aging process due to the presence of a compound having a stereostructure suitable for reacting with DPPH among various components of urine.

<실시예 1>; 피부적용 예비실험&Lt; Example 1 > Preliminary experiment for skin application

인천에 거주하는 20대 대학생 16명을 대상으로 일반 요(U)를 활용한 실험군1과 투석 요(DU)를 활용한 실험군2를 각각 8명씩 선정하여 2주 동안 예비 실험을 시행하였다. 피부도포제는 화장수 타입으로 각각의 요에 알코올 3%를 희석하여 지급한 후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 냉장보관 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사용 2주후에 피부의 홍반, 부드러움, 만족도, 이상반응의 문항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이를 점수화한 평균값으로 비교하였다. Sixteen students in 20 college students living in Incheon were selected for experimental group 1 using general urine (U) and experimental group 2 using dialysis urine (DU). The skin application agent was a lotion type and diluted with 3% of alcohol in each urine, and then stored in the refrigerator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evening. After 2 weeks of use, questionnaires were made on the items of skin erythema, softness, satisfaction, and adverse reaction and compared with the mean value scored.

예비 실험 결과는 일반 요(U군)와 투석 요(DU군)를 적용한 피부도포제를 2주 동안 사용한 후 안면피부의 홍반(Erythema), 부드러움(Softness), 만족도(Satisfaction), 기타반응 등의 피부 변화를 알아본 결과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experiment showed that the use of the skin application agent applied with the general urine (U group) and the dialysis urine (DU group) for 2 weeks resulted in a decrease in skin erythema, softness, satisfaction, Table 2 shows the results.

먼저 U군의 경우 총평균점수가 10점인 반면, 투석 요를 활용한 DU군은 14점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타 사항에 있어서 DU군은 반응이 없었던 반면 U군은 홍반과 발진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U군과 DU군 모두 피부에 부드러운 느낌은 있었고 반면 전체적인 만족도는 DU군이 투석 처리 후 냄새가 조금 제거되어 사용하는데 있어서 U군에 비하여 더 높은 점수를 받았을 것이라 생각되었다. 또한 DU군이 U군에 비해 기타 반응에서 안정성을 나타내어 향후 피부 개선을 위해 투석 처리를 한 요를 화장품 원료로서 무리함이 없이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In the first group, the total average score was 10 points, while the DU group using dialysis was 14 points higher. In addition, DU group did not respond to other factors, whereas U group described erythema and rash.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U and DU patients had a soft feeling on the skin, whereas the overall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DU group than in the U group after the dialysis treatment. In addition, DU group showed more stability in other reactions than U group, and it was found that dialysis treatment for improvement of skin in the future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of cosmetic without being overstated.

2주후 두그룹의 피부 변화Two weeks after two weeks skin changes 항목Item 홍반Erythema 부드러운soft 만족도satisfaction system 기타Etc UU 33 44 33 1010 홍반,발진Erythema, rash DUDU 55 44 55 1414 없음none

약어: U, 뇨; DU, 투석뇨
Abbreviations: U, Urine; DU, dialysis urine

<실시예 2>; 요의 노화피부 개선에 미치는 영향 &Lt; Example 2 >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ging skin of urine

연구대상 및 기간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40-60대 여성들로 현재 피부에 문제가 있거나 좋지 않아 피부 개선을 희망하는 대상자 30명을 선정하였고, 평소 병원치료를 받았거나 질환이 없으며 특별한 약이나 건강식품을 복용하지 않는 자들로 구성하여 투석 처리한 일반 요를 적용한 DU군, 투석 처리한 3일 숙성 요를 적용한 DAU군 그리고 대조군(증류수 사용 군)을 각각 10명씩 랜덤으로 선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1년 11월 7일부터 2012년 1월 3일까지 8주 동안 실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요를 함유한 화장수와 로션을 제조하여 DU군과 DAU군에게 2주마다 지급하여 아침, 저녁 1일 2회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대조군은 요 대신 증류수를 함유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들은 본 연구기간동안은 의약품이나 기능성 화장품 등의 다른 피부 개선을 위한 성분들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의료시술이나 과도한 음주나 흡연은 금지하도록 하였다. 각 그룹별 제공한 화장수와 로션은 냉장 보관하여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피부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전과 8주 사용 후에 안면과 목 피부의 홍반 지수, 멜라닌 지수, 피부색, 각질함량지수, 눈가주름 수, 모공 수, 색소 수, 유분량, 수분량, pH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정확한 결과를 위해 피부 측정 시 동일한 세안제로 세안하고 30분 후에 측정하였다. 재료는 실험예에서 사용한 요와 동일한 것으로서 시료를 3배 농축시켜 요를 주성분으로 한 화장수와 로션(유액) 2가지 타입이다.
The subjects and period of the study were 30-60 years old wom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 selected 30 patients who had problems or bad skin because of their skin problems. They were usually hospitaliz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did not take the health food, the group that was dialyzed with DU, the group that was dialyzed with DAU that was 3 days old, and the control group (with distilled water). The study period was conducted from November 7, 2011 to January 3, 2012 for 8 weeks. In the present invention, lotion and lotion containing yoghurt were prepared and given to the DU group and the DAU group every 2 weeks, and used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evening, and the control group was prepared containing distilled water in the urine.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not allowed to use other ingredients for skin improvement such as medicines or functional cosmetics during the study period, and medical procedures, excessive drinking or smoking were prohibi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kin improvement effect, the skin lotion and the lotion provided by each group were used. Before and after 8 weeks of use, the erythema index, melanin index, skin color, keratin content index, Water, pigment, water content, and pH were measured. For accurate results in this study, skin was cleaned with the same cleanser and measured 30 minutes later. The material is the same as the one used in the Experimental Example. The sample is concentrated three times and two kinds of lotion (lotion) are mainly composed of yogurt and lotion.

<화장수 제조><Production of lotion>

본 발명에 사용한 요를 함유한 화장수에 대한 성분비는 표 3에 나타내었다. (A)상에 (B)상을 가한 후 (C)상을 실온에서 혼합한 후 호모믹서 3,000 rpm에서 10분간 교반한 후 화장수 제형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제조된 화장수를 임상실험 대상자에게 나누어 주고 4℃ 이하 냉장 보관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The composition ratios of the lotion containing the uri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3. (B) was added to the mixture (A), (C) was mixed at room temperature, and the homomixer was stirred at 3,000 rpm for 10 minutes. The manufactured lotion was distributed to clinical subjects and stored in a refrigerator at 4 ° C or below.

요 함유 스킨토너(화장수)의 배합비(mL)Compounding ratio of urine-containing skin toner (lotion) (mL) 성 분ingredient 대조구 Control
CC
투석요  Dialysis
DUDU
3일투석요Three days of dialysis.
DAUDAU
AA 증류수Distilled water Up to   Up to
100 mL100 mL
-    - --
 Yo -- Up to  Up to
100 mL 100 mL
--
숙성요 Aging -- -- Up to Up to
100 mL100 mL
BB 히얄루론산Hyaluronic acid 1One GSE GSE 0.30.3 CC 레몬유Lemon oil 0.50.5

<로션 제조> <Lotion manufacturing>

본 실험에 사용된 로션 제형은 아래 표 4에 따라 제조하였다. (A)상과 (B)상을 각각 75℃까지 가온하여 완전 용해한 후, (A)상을 (B)상에 가하고 호모믹서 3,000rpm에서 15분간 교반하여 유화시키고 40℃ 이하로 냉각시켰다. 그리고 (C)상을 가하여 5분 동안 3,000rpm으로 교반한 후 로션 제형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제조된 로션을 임상실험 대상자에게 나누어 주고 4℃ 이하 냉장 보관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Lotion formulation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prepared according to Table 4 below. The phase (A) and the phase (B) were heated to 75 ° C and completely dissolved. The phase (A) was added to the phase (B) and emulsified by stirring the mixture at 3,000 rpm for 15 minutes. Then, (C) phase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3,000 rpm for 5 minutes, and the lotion formulation was prepared and used. The prepared lotion was distributed to the subjects of the clinical experiment and stored in a refrigerator at 4 ° C or below.

요함유 에멀전(로션)의 배합비(mL)Compounding ratio (mL) of yore-containing emulsion (lotion) 성 분ingredient 대조군 Control group
CC
당일투석요Dialysis on the same day.
DU DU
3일투석요Three days of dialysis.
DAUDAU
AA 증류수 Distilled water Up to   Up to
100 mL 100 mL
-   - -    -
 Yo -    - Up to Up to
100 mL100 mL
-    -
숙성요Aging -    - -   - Up to   Up to
100 mL 100 mL
BB Jojoba oilJojoba oil 10                    10 Shea butterShea butter 5                     5 유화된왁스Emulsified wax 1.5                    1.5 CC 히얄루론산Hyaluronic acid 1                     One GSE GSE 0.3                    0.3 레몬유Lemon oil 0.5                    0.5

<이마, 왼쪽볼, 오른쪽볼, 턱 부위별 홍반 지수 변화> <Forehead, left-handed, right-handed,

40-6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요 성분이 홍반 지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모든 그룹에서 각 부위별 실험 전ㅇ후 변화량과 총 평균의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아래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rinary components on the changes of the erythema index in 30 women aged 40-60 years,

이마부위의 DU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DAU군에서는 사전 333.6에서 사후 289.4로 13%로 감소해 이마의 홍반수치를 낮추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 group in the forehead region. On the other hand, in the DAU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in reducing the erythema level of the forehead by decreasing from 333.6 in the pre-injury to 289.4 in the post-

왼쪽 볼에서는 대조군의 경우사전 277.3에서 사후 323.0으로 16% 증가하였고(p<0.05), DU군은 사전 361.0에서 사후 312.5로 13%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또한 DAU군에서도 사전 325.7에서 사후 285.8로 12%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In the left hand group, the control group increased 16% from 277.3 to 323.0 (p <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1) in the DU group by 13% from 361.0 to 312.5. In the DAU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from the pre-325.7 to post-285.8, 12% decrease.

오른쪽 볼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사전 292.4에서 사후 321.9로 10% 수치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DU군의 경우 사전 346.0에서 사후 301.8로 홍반의 수치가 13%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DAU군에서도 사전 326.4에서 사후 286.6으로 12%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In the right ball, the control group showed a 10% increase from the pre-292.4 to the post-321.9,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DU group, the erythema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346.0 before to 301.8 after the injury. In the DAU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턱 부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DU군에서는 사전 461에서 사후 419.1로 수치가 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p<0.05), DAU군에서도 사전 446.2에서 사후 402.9로 10% 수치가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aw area. On the other hand, in the DU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between the pre-461 and post-mortem 419.1 (p <0.05) 0.05).

그리고 부위별 홍반 지수 총 평균 결과 대조군의 경우 사전 324.7에서 사후 343.9로 6%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또한 DU군의 경우 사전 373.9에서 사후 337.45로 10%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p<0.01), DAU군도 사전 357.98에서 사후 316.18로 12%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01). The mean total erythema index of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6% from 324.7 to 343.9 (p <0.05). In the DU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1) between the pre - 373.9 and post - mortem 337.45 (p <0.01)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AU group and the post - mortem group from 357.98 to 316.18.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요를 함유한 화장품이 40-60대 여성 피부의 홍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라 사료되었다.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smetics containing yogur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rythema of women 40-60 years old.

<그룹별 홍반 지수 변화> <Changes in erythema index by group>

그룹별 홍반 지수의 변화는 이마, 왼쪽볼, 오른쪽볼, 턱 및 전체적인 변화에서 모두 실험군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anges in the erythema index of each group were found to be different in the forehead, the left ball, the right ball, the jaw, and the overall change.

이마에서는 대조군의 경우 5.5의 감소를 보인 반면 DU군은 11.2, DAU군은 44.2의 감소를 보여 DAU군이 이마의 홍반 지수 감소가 가장 크고 DU군, 대조군 순으로 나타났다(p<0.05). In the forehead, the decrease was 5.5 in the control group, 11.2 in the DU group, and 44.2 in the DAU group. The DAU group showed the highest reduction of the forehead erythema index in the order of the DU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 <0.05).

왼쪽 볼에서는 대조군의 경우 실험 후 45.7의 증가를 보인반면 DU군은 48.5 감소하였고, DAU군도 39.9 유의하게 감소하여 DU군과 DAU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In the left-hand group, there was a 45.7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a 48.5 decrease in the DU group,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AU group (39.9),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U group and the DAU group (p <0.001).

오른쪽 볼에서는 대조군의 경우 29.5의 증가를 보인반면 DU군은 44.2 감소하였고 DAU군도 39.8 감소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In the right-hand group, the increase was 29.5 in the control group, 44.2 in the DU group, and 39.8 in the DAU group (p <0.05).

턱에서는 대조군의 경우 7.2 증가를 보인반면 DU군과 DAU군은 각각 41.9와 43.3의 감소를 보여 이는 턱의 홍반지수를 낮추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p<0.05). In the jaws, the control group showed an increase of 7.2, whereas the DU and DAU groups showed a decrease of 41.9 and 43.3, respectively (p <0.05).

또한 전체적인 총 평균 결과 대조군의 경우 19.9의 증가를 보인반면 DU군은 36.4 감소, DAU군은 41.8 감소하여 DAU군이 홍반 지수 감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01) in the DAU group compared with the DAU group, with a decrease of 36.9 and a decrease of 41.8, respectively.

<실시예 3>; 안면 피부 멜라닌 지수 변화 &Lt; Example 3 > Change of facial skin melanin index

요성분이 노화피부의 안면 피부 멜라닌 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조군 10명, DU군 10명, DAU군 10명의 총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의 화장수와 로션을 아침, 저녁 1일 2회 8주간 사용한 후 피부 멜라닌 지수를 실험 전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urine components on the facial skin melanin index of the aged skin, a total of 30 subjects of 10 control group, 10 DU group, and 10 DAU group were administered with the lotion and lotion of Example 1 in the morning and evening 1 day The skin melanin index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부위별 멜라닌 지수 변화><Change of melanin index by site>

이러한 과정과 여러 요인으로 피부에 생성되는 멜라닌이 요(尿)를 함유한 화장품 사용 후 피부 변화에 대한 결과로서 이마부위에서는 대조군의 경우 사전 177.9에서 사후 183.4로 3% 증가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DU군의 경우 사전 164.5에서 사후 150.3으로 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DAU군에서는 사전 168.1에서 사후 150.4로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DU군에 비해 DAU군이 멜라닌 지수를 더 낮추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of this process and various factors, the melanin produced in the skin was increased 3% from 177.9 in the control group to 183.4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use of cosmetics containing the urin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On the other hand, in the DU group, the DAU group showed a decrease of 9% from 164.5 to 150.3 (p <0.05). In the DAU group, the DAU group showed a decrease of 11% Effective.

왼쪽 볼의 경우 대조군은 사전 142.9에서 사후 148.6으로 4%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DU군에서는 사전 164.3에서 사후 142.3으로 13% 감소하였다(p<0.05). DAU군에서도 사전 154.4에서 사후 120.6으로 22%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In the case of the left ball, the control group increased by 4% from 142.9 to 148.6,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DU group, it decreased by 13% from 164.3 to 142.3 (p <0.05). In the DAU group, there was a 22% significant decrease from pre-154.4 to post-mortem 120.6 (p <0.01).

오른쪽 볼의 경우 대조군은 경우 사전 128.8에서 사후 145.9로 13%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DU군에서는 사전 156.5에서 사후 138.6으로 멜라닌 수치가 1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DAU군에서도 사전 150.3에서 사후 113.8으로 멜라닌 수치가 24%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In the case of the right ball, the control group increased by 13% from 128.8 to 145.9,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in the DU group, the melanin level decreased by 11% (p <0.05) from the pre-156.5 to post-mortem level of 138.6. In the DAU group, the melanin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24% (p <0.01).

턱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사전 191.9에서 사후 205.6으로 7%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나타난 반면 DU군의 경우 사전 204.2에서 사후 179.6으로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DAU군에서는 사전 188.8에서 사후 163.3으로 14%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In the control group, 7% increase from pre-191.9 to post-205.6,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in the DU group, it decreased from pre-204.2 to post-179.6 by 12% (p <0.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1) by 14% from 188.8 to 163.3.

또한 전체적인 총 평균 결과에서 대조군의 경우 사전 160.38에서 사후 170.88로 7% 증가한 반면 DU군에서는 사전 172.38에서 사후 152.70으로 11% 감소하였고(p<0.01), DAU군은 사전 165.40에서 사후 137.03으로 17%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보아 DAU군, DU군 순으로 요를 함유한 화장품이 멜라닌 지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DAU group decreased 17% from the pre-165.40 to the post-death rate of 137.03 from the pre-172.38 to the post-152.70 (11%) decrease in the DU group (P <0.01),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smetics containing urine in the order of DAU and DU decrease the melanin index.

<그룹별 멜라닌 지수 변화> <Changes in Melanin Index by Group>

그룹간 멜라닌 지수 변화와 총 평균을 분산 분석한 결과 이마 부위에서는 대조군은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에 5.5 증가한 반면 DU군에서는 14.2 감소하였고 DAU군도 17.7 감소하여 DU군과 DAU군이 멜라닌 수치를 낮추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As a result of analysis of variance of melanin index and total average of the groups, the control group was increased by 5.5 in post-experiment compared to pre-experiment, 14.2 in the DU group and 17.7 in the DAU group, and the DU and DAU groups decreased the melanin levels statistically (P <0.01), respectively.

왼쪽 볼의 대조군은 경우 실험 후 5.7 증가하였으나 DU군은 22 감소하였고 DAU군도 33.8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In the control group of the left ball, the DAU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33.8 (p <0.01).

오른쪽 볼 역시 대조군은 17.1 증가한 것에 비해 DU군은 17.9 감소, DAU군은 36.5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In the right-hand ball, 17.1%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DU group and 36.5% in the DAU group, compared with 17.1%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p <0.01).

턱의 경우 대조군은 13.7 증가한 반면 DU군은 24.6 감소하였고 DAU군은 25.5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In the case of the jaw,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1) in the DA group compared to the DA group.

전체적인 총 평균 결과는 대조군은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에 10.5 증가한 반면 DU군은 19.68 감소, DAU군은 28.38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The mean total results were significantly (p <0.001)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experimental group (10.5), in the DU group (19.68) and in the DAU group (28.38).

이 결과로 보아 DAU군이 멜라닌 지수 감소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AU group was the most effective for reducing the melanin index (p <0.001).

<부위별 황색도(SCE b*) 변화><Change in yellowness (SCE b *) by site>

각 그룹의 화장품 사용 전과 후의 황색도(SCE b*)의 부위별 변화와 총 평균 변화는 이마부위의 경우 대조군과 DU군은 실험 전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DAU군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DU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n the forehead region,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AU group .

이마의 경우 사전 21.87에서 사후 23.97로 10%의 증가를 보였고(p<0.05), 오른쪽 볼은 사전 21.59에서 사후 23.54로 9%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In the case of forehead, there was a 10% increase from pre - 21.87 to post - 23.97 (p <0.05) and a significant increase of 9% from right 21.59 to post 23.54.

또한 턱에서도 사전 20.03에서 사후 23.87로 19% 유의미하게 증가 하였다(p<0.01). Also, the jaw was significantly increased 19.0% from 20.03 to 23.87 (p <0.01).

전체적인 총 평균 결과에서도 DAU군은 사전 21.34에서 사후 23.64로 11%의 증가함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In the overall average, the DAU group increased by 11% from 21.34 to 23.64,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p <0.01).

<실시예 4>; 요의 여드름 피부 개선에 미치는 영향&Lt; Example 4 > The effect of urine on acne skin improvement

<연구대상 및 방법> <Subjects and Methods>

본 연구에 앞서 연구 대상자들에게 설문조사 및 사용방법, 피부측정 등의 연구 활동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에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 중에서, 조사를 통해 질병이나 과거 질환경험이 있는 사람이거나 의약품이나 호르몬제 복용을 하는 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선정된 연구대상자들은 20대 대학생 30명으로 현재 여드름 피부로 문제가 있는 자 로써 이들은 실험 전에 설문지를 통한 문진과 여드름 등급 평가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별 대조군 10명(C군), 투석한 당일요 10명(DU군), 투석후 3일 숙성요 10명(DAU군)으로 배정하였다. Prior to this study, research subjects such as questionnaires, methods of use, and skin measurements were explained. Among thos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ose who had experience of illness or past disease or who were taking medicines or hormon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The selected subjects were 30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and currently have problems with acne skin.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acne grade evaluation before the experiment.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0 control subjects (group C) Ten patients (DU group) and 10 patients (DAU group) were matured three days after dialysis.

여드름 등급 평가는 여드름 상태에 따라 육안으로 관찰 후 등급을Ⅰ∼Ⅵ의 네 단계로 평가하는 방법인 Dr. Donald Pillsbury의 여드름 분류표를 기준으로 사용하였고 연구기간은 2011년 11월 7일부터 2012년 1월 3일까지 8주 동안 실행하였다.
Acne rating is a method of evaluating the grade after visual observ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acne in four stages of I-VI. The study was based on Donald Pillsbury's acne classification table. The study period was 8 weeks from November 7, 2011 to January 3, 2012.

<안면 피부 여드름 등급 평가 단계 측정> <Measurement of facial skin acne grade evaluation step>

Dr. Donald Phillsbury의 4가지 여드름 분류표를 기준으로 하여 피부 상태에 따라 등급을 분류하였다. 평가는 얼굴의 다섯 부위(이마, 좌ㅇ우측 볼, 턱과 코 부위)의 여드름 형태에 따라 비염증성 여드름, 염증성 여드름으로 구분 하여 부위별로 blac head, white head, papule, pustule, nodule, cyst, scar 종류에 따라 육안으로 보이는 개수를 세었으며, 그 수에 따라 GradeⅠ(가장 약한 등급의 상태로 black head, white head가 복합적으로 되어 있으며 안면 피부에 약 10개 정도 존재하고 흉터나 염증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부분이다), Grade Ⅱ(white head가 주로 많이 있고 papule을 포함하여 안면에 10∼25개 정도 존재하고 경미한 흉터와 염증부위의 존재, 직경 5 mm 이내의 여드름을 말한다), Grade Ⅲ(25개 이상 papule과 pustule이 혼합되어 있고, 약간의 nodule도 보이는 경우도 있다), Grade Ⅳ( Cyst, nodule, papule, pustule, white head, black head가 복합적으로 보이며 극도로 심한 흉터와 직경 5mm 이상의 염증부위가 존재하는 여드름 상태를 말한다)의 4 단계로 평가하였다. 측정은 실험전과 사용 8주 후 총 2회에 걸쳐서 동일인이 측정하였다.
Dr. The four acne classification tables of Donald Phillsbury were used to classify the skin according to the skin condition. The evaluation is divided into the non-inflammatory acne and the inflammatory acne according to the five types of acne on the face (left forehead, right side of the cheek and nose area), blac head, white head, papule, pustule, nodule, cyst and scar , The number of which is visible to the naked eye. Grade I (the weakest grade, black head, white head complex, approximately 10 facial skin, scar and inflammation are rarely seen ), Grade Ⅱ (there are a lot of whiteheads, including 10 to 25 facial papules including mild scars and inflammation sites, acne less than 5 mm in diameter), Grade Ⅲ (more than 25 Pistula, pustule, pustule, pustule, pustule, pustule, pustule, pustule, white head, black head, Was evaluated in four stages of acne condition says that the site exists). Measurements were taken by the same person twice before and 8 weeks after use.

<여드름 등급 변화> <Acne rating change>

요를 적용한 화장수와 로션 사용 후 여드름 피부의 여드름 등급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여드름을 지닌 20대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사용 전후 여드름 등급을 측정하였다. 여드름 등급의 호전은 염증성 여드름 개수의 호전을 의미한다. 여드름 발생기전에 의거해서 분석해보면 피부 생리학적 해부학적으로 각질제거, 피지제거, 항균 작용, 항염증 작용, 진정 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윤은재, 2006). 여드름 피부의 개선 및 진행 상태에 따라 여드름 대상자의 화장품 사용전과 사용 후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사전 2.7에서 사후 3으로 10% 증가하여 Grade Ⅲ에서 GradeⅡ로 변화되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DU군의 경우 사전 2.7에서 사후 1.6으로 68% 감소해 Grade Ⅱ에서 GradeⅠ로 유의하게 개선되었고(p<0.001), DAU군도 사전 2.9에서 사후 1.8로 61% 감소하여 Grade Ⅱ에서 GradeⅠ로 개선되어 DU군과 DAU군은 여드름의 등급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lotion and lotion applied on the acne skin on the change of the acne grade, 30 students in their twenties with acn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using acne grade. Improvement in acne grade means improvement in the number of inflammatory ac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case of acne vulgaris, there is no evidence of acne vulgaris.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and progress of acne skin, before and after cosmetic use of the subject of acne, in the control group, it was changed from Grade Ⅲ to Grade Ⅱ by 10% increase from pre-2.7 to post-3, but thi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U, the DA group was improved from Grade Ⅱ to Grade Ⅰ (p <0.001) and decreased from Grade Ⅱ to Grade Ⅰ by decreasing 61% from 2.9 to 1.8 The group and DAU group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lowering acne grade (p <0.001).

<그룹별 여드름 등급 변화> <Changes in acne rating by group>

8주간 실험 전후 차이의 평균을 그룹별로 비교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0.3 증가한 것에 비해 DU군과 DAU군 모두 등급이 1.1 씩 감소하여 DU군과 DAU군은 여드름 등급을 낮추는 데에 유의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p<0.001). 이상의 결과에서 요성분이 여드름 등급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라는 것과 DU군과 DAU군의 효과적 비교는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8 weeks, the DA and UU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U and DAU groups, (P <0.001),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urine is effective in lowering acne grade and that the effective comparison between DU and DAU group is insignificant.

<여드름 등급 변화> <Acne rating change>

여드름 등급 측정 결과 대조군의 경우 10% 증가하여 Grade Ⅲ에서 GradeⅡ로 변화되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DU군의 경우 사전 2.7에서 사후 1.6으로 68%(P=0.000) 감소해 Grade Ⅱ에서 GradeⅠ로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DAU군도 사전 2.9에서 사후 1.8로 61%(P=0.000) 감소하여 Grade Ⅱ에서 GradeⅠ로 개선되어 DU군과 DAU군은 여드름의 등급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그룹별 비교에서는 대조군의 경우 0.3 등급 증가한 것에 비해 DU군과 DAU군 모두 1.1 등급씩 감소하여 DU군과, DAU군은 여드름 등급을 낮추는데 유의하게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As a result of acne grade measurement, the control group increased by 10% and changed from Grade Ⅲ to Grade Ⅱ, but thi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U group, there was a 68% (P = 0.000) decrease from the prior 2.7 to the posterior 1.6, and the Grade Ⅱ to Grade Ⅰ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DAU group decreased from 61% (P = 0.000) Grade I, and the DU and DAU group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lowering the grade of acne (p <0.00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DU group and the DAU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cuity grade of the DU group and the DAU group by 1.1 level, respectively (p <0.001).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예,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뇨에서 분리한 생리,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성분은 DPPH 라디칼 소거능,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및 FRAP능력이 우수하여 이들 뇨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여성의 노화피부 개선, 안면과 목의 부위별 홍반, 멜라닌, 황색도 변화 등 피부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사춘기의 여드름이 많이 나는 청소년의 얼굴 여드름의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The physiologic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e ingredients isolated from the ur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cellent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flavonoid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FRAP ability, and these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urinary components are useful for improving aging skin of women, Of the skin, such as erythema, melanin, change in yellowness. Especially, it is industrially applicable because it provides a useful effect for improvement of face acne in adolescents who have a lot of acne in adolescence.

Claims (6)

수거한 뇨를 3일간 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숙성된 뇨를 투석막에 넣고 물로 투석하는 단계와, 및
상기 투석된 뇨의 활성 성분을 동결건조기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활성 성분이 플라보노이드 또는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뇨에서 생리 및 항산화 활성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
Collecting the collected urine for 3 days,
Placing the aged urine in a dialysis membrane and dialyzing with water, and
And concentrating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dialyzed urine with a lyophilizer, wherein the active ingredient contains a flavonoid or polyphenol.
제 1항에 있어서, 투석은 뇨 1중량부에 대하여 1∼500배 되는 수도물, 정제수 또는 증류수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요산 농도가 30(mg/dL) 이하가 될 때까지 투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뇨에서 생리 및 항산화 활성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The urine of claim 1, wherein the dialysis is performed by dialysis until the uric acid concentration reaches 30 (mg / dl) or less with any one selected from tap water, purified water or distilled water which is 1 to 500 times the urine weight A method for separating physiological and antioxidant active ingredient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98047A 2012-09-05 2012-09-05 Cosmetics for Containing Physiological,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and Thereof Method KR1014486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047A KR101448667B1 (en) 2012-09-05 2012-09-05 Cosmetics for Containing Physiological,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and Thereof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047A KR101448667B1 (en) 2012-09-05 2012-09-05 Cosmetics for Containing Physiological,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and Thereof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046A KR20140032046A (en) 2014-03-14
KR101448667B1 true KR101448667B1 (en) 2014-10-13

Family

ID=50643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047A KR101448667B1 (en) 2012-09-05 2012-09-05 Cosmetics for Containing Physiological,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and Thereof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6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281A (en) 2021-09-28 2023-04-04 이상희 Method for fermentative urine produ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108B1 (en) * 2020-02-19 2021-11-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preparing cosmetic composition using urine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al. Chem., Vol.72, pp.1503-1509 (2000) *
Anal. Chem., Vol.72, pp.1503-1509 (2000)*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Vol.4, pp.393-399 (1995) *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Vol.4, pp.393-399 (1995)*
Tropical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Vol.7, No.3, pp.1089-1099 (2008) *
Tropical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Vol.7, No.3, pp.1089-1099 (2008)*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7-187002호(1982.11.17.)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7-187002호(1982.11.1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281A (en) 2021-09-28 2023-04-04 이상희 Method for fermentative urine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046A (en)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7579B2 (en) Use of a compound comprising D-mannoheptulose and/or perseitol for treating and preventing innate immunity modification diseases
JP4542300B2 (en) Hyaluronic acid accumulation promoter
US20080194476A1 (en) Medicament Comprising A Peptide Extract Of Avocado, Which Is Intended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Illnesses That Are Linked To An Immune System Deficiency
BRPI0808065B1 (en) NEW COSMETIC AND /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IR APPLICATIONS
EP1924270A2 (en) Iron (iii) complex compounds for treating iron deficiency in patients with chronic inflammatory intestinal diseases
TWI784229B (en) Lonicera japonica thunb ferment,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and anti-aging
KR101448667B1 (en) Cosmetics for Containing Physiological,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gredients Separated from Urine and Thereof Method
KR102594286B1 (en) Moisturizer
CN103463627A (en) Or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heat-resistant superoxide dismutase and growth factors
US20220152147A1 (en) Use of polylysine dendrimers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cne-prone skin and acenic skin
WO2014203883A1 (en) Hyaluronic acid production promoter
WO2012010022A1 (en) New use of hesperetin
CN112386655A (en) Use of phalaenopsis amabilis extract for preparing composition for resisting saccharification and improving skin appearance
CN114366692B (en) Oil-control acne-removing composition and application thereof
RU2326681C2 (en) Method of various suppulative-inflammatory skin and mucous process treatment
CN115429738A (en) Acne-removing repairing revitalizing essen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020006892A1 (en) Serum albumin compositions for use in cleansing or dermatological products for skin or hair
RU2481834C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wounds and burns
HUE035436T2 (en) Composition for rectal use containing honey and glycerine
JPH01163114A (en) Hair tonic
JP5955631B2 (en) Hyaluronic acid production promoter
JP2010229118A (en) Lipase inhibitor
WO1996027365A1 (en) Gentle anti-acne composition
CN114377079B (e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kin-moistening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P5955632B2 (en) Hyaluronic acid production promo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