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439B1 -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439B1
KR101448439B1 KR1020140109264A KR20140109264A KR101448439B1 KR 101448439 B1 KR101448439 B1 KR 101448439B1 KR 1020140109264 A KR1020140109264 A KR 1020140109264A KR 20140109264 A KR20140109264 A KR 20140109264A KR 101448439 B1 KR101448439 B1 KR 101448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rrugated
soundproof
block
soundproof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영
Original Assignee
(주)월드피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피씨 filed Critical (주)월드피씨
Priority to KR1020140109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3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undulated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8Moulds provided with means for tilting or inver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8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fitted in grooves of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14Sound-absorbing elements with non-planar face, e.g. curved, egg-crate 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 및 감쇄가 뛰어나도록 방음블록을 주름형으로 제작하고, 거푸집의 형체결 및 개폐가 용이하고 강성이 뛰어나며, 방음벽의 시공시 앞뒤 방향이 없고 인양고리의 장애를 받지 않고 적층 조립식으로 시공되도록 한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름있는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에 있어서, 하부에 배치되어 성형될 방음블록의 밑면을 지지하는 몰드 베이스와; 상기 몰드 베이스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좌,우측 몰드 개폐날개와; 상기 한 쌍의 몰드 개폐날개에 각기 접합되어 닫힘시 성형 원료를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상부 형성하여 성형될 방음블록의 성형 챔버를 형성시키는 주름형 분할몰드와; 상기 주름형 분할몰드의 닫힘을 잠금시키거나 잠금을 해제시키는 몰드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 베이스의 상면 2개소에는 제작될 방음블록의 하면에 견인고리 인입홈을 형성하기 위한 견인고리 인입형성용 초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Corrugated soundproof block manufacturing mold, method for manufacturing orrugated soundproof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of soundproof wall}
본 발명은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음 및 감쇄가 뛰어나도록 방음블록을 주름형으로 제작하고, 거푸집의 형체결 및 개폐가 용이하고 강성이 뛰어나며, 방음벽의 시공시 앞뒤 방향이 없고 인양고리의 장애를 받지 않고 적층 조립식으로 시공되도록 한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서 발생되는 소음원을 차단 흡수하여 그 주변을 소음공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음벽이 시공된다. 방음벽은 소음을 반사시켜 방음벽의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반사용 방음벽, 소음을 자체적으로 흡수하여 소멸시키는 흡음용 방음벽, 소음 간의 간섭원리를 적용하여 그 원리를 통해 소음을 소멸시키는 소음간섭용 방음벽 등의 다양한 형태가 있다.
한편, 방음벽의 시공시 시공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시공이 간편하여야 하고, 제작 비용이 저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514122호(방음블록 및 그것을 사용한 방음벽)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제안된 방음블록은 내부가 비어 있는 그리고 양단이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는 흡음재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마감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는 그 형상이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전면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서로 이웃하는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부에는 끼움돌기와 하부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 그리고 상기 전면판들이 고정되는 제1고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이 전자의 배경기술은 흡음재에 의해 소음의 흡수가 이루어짐과 함께 그 내부의 공명공간에서 반복되는 공명에 의해 소음의 감쇠가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데 반해,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과 시공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82995호( 방음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방음벽 및 이의 시공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사각판의 일단에 사각형상으로 관통되게 파인 끼움홈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한 기초블록, 연결블록, 마감블록을 각각 구성하고; 사각판의 일단에 사각형상으로 관통되게 파인 끼움홈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한 지지판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의 형성된 타측에 돌출된 지주를 일정 높이로 형성하되, 그 지주의 양측면을 따라 일정 깊이로 파인 가이드홈을 형성한 지주블록으로 구성한 방음블록과; 소리를 차단, 흡음하는 방음패널이 구성되어, 상기 연결블록, 연결블록, 마감블록 및 지주블록을 순차로 배열, 조적하되, 상·하 서로 교차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상기 방음패널을 끼워 방음벽을 조립식으로 일체화하여 방음벽을 구성하여, 시공이 용이한 방음벽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방음벽을 제공한다.
따라서 후자의 배경기술은 내구성과 내후성을 높이고, 각 방음블록과 콘크리트의 타설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데 반해, 다양한 용도의 블록들이 제작되어야 하므로 제작 비용이 상승하고, 현장에서의 시공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514122호(방음블록 및 그것을 사용한 방음벽)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82995호( 방음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방음벽 및 이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흡음 및 감쇄가 뛰어나도록 방음블록을 주름형으로 제작하고, 거푸집의 형체결 및 개폐가 용이하고 강성이 뛰어나며, 방음벽의 시공시 앞뒤 방향이 없고 인양고리의 장애를 받지 않고 적층 조립식으로 시공되도록 한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주름있는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에 있어서,
하부에 배치되어 성형될 방음블록의 밑면을 지지하는 몰드 베이스와;
상기 몰드 베이스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좌,우측 몰드 개폐날개와;
상기 한 쌍의 몰드 개폐날개에 각기 접합되어 닫힘시 성형 원료를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상부 형성하여 성형될 방음블록의 성형 챔버를 형성시키는 주름형 분할몰드와;
상기 주름형 분할몰드의 닫힘을 잠금시키거나 잠금을 해제시키는 몰드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 베이스의 상면 2개소에는 제작될 방음블록의 하면에 견인고리 인입홈을 형성하기 위한 견인고리 인입형성용 초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몰드 베이스는 형강으로 제작되어 있고 양측면 2개소에 고정측 힌지 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몰드 개폐날개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고정측 힌지 브라켓에 힌지 연결된 하부채널과, 하부채널의 상방에 위치된 상부채널과, 일단이 하부채널에 접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부채널에 접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수직 각파이프와, 상,하부채널의 각기 내면측에 접합되어 있는 상,하부 수평 각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몰드 잠금수단은,
마주보는 상부채널의 상면 양측 2개소에 각기 입설되어 상향으로 개구된 체결봉 거치홈을 갖는 좌,우측 체결봉 거치대와;
상기 체결봉 거치홈에 걸침되어 너트와의 체결로 좌,우측 체결봉 거치대를 체결하는 체결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형 분할몰드는,
금속판으로 제작된 파형의 몰드 기대와, 몰드 기대의 일면에 경질의 우레탄으로 부착 합성되어 표면에 파형의 주름부를 형성하고 있는 파형 수지판으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형 분할몰드의 양단측에 복수개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용 플랜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은,
상기 거푸집을 구비하고;
상기 거푸집의 좌,우측 몰드 개폐날개를 닫아 주름형 분할몰드를 상호 폐합한 후 몰드 잠금수단을 이용하여 형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주름형 분할몰드의 내부로 성형 원료인 경량기포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충진 타설함과 동시에 타설된 성형 원료의 상면 2개소에 인양고리를 매입시켜 놓는 단계와;
성형 원료의 양생 후 몰드 잠금수단을 풀어 좌,우측 몰드 개폐날개를 열은 후 주름형 분할몰드의 형체결을 해체, 탈형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 방법은,
방음구간이 필요한 장소에 H빔으로 제작된 지주를 일정 간격마다 시공한 후 주름형 방음블록을 크레인으로 인양고리에 걸어 인양하여 이웃한 지주의 사이에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해나가면서 시공되며;
상기 주름형 방음블록은 경량기포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제작되어 판상형으로 앞뒷면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파형의 주름부, 주름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주 견착부, 상면의 2개소에 매입된 인양고리, 하면의 2개소에 타측의 인양고리를 인입시키기 위한 견인고리 인입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기포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제작되어 앞뒷면에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되는 파형의 주름형태가 형성되어져 소음흡수 및 감쇄가 뛰어난 경량의 방음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앞뒷면에 파형의 주름형태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져 거푸집의 제작이 용이하고, 거푸집의 형체결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방음벽의 시공시 방음블록은 앞뒤가 대칭형이므로 설치 방향이 없고 인양고리의 장애를 받지 않으므로 불량 시공없이 적층 조립되어 간편하게 방음벽을 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형체결된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일측면도.
도 4는 도 1의 거푸집이 형개폐된 상태에서의 일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방음블록의 사시도.
도 5b는 도 1의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정면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거푸집(10)은 도 5와 같이 양측면에 파형으로 주름진 주름부를 갖는 방음블록(5)을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와 같이 주름형 방음블록(5)은 경량기포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제작된 것으로 판상형으로 앞뒷면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파형의 주름부(5a,5a), 주름부(5a,5a)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주 견착부(5b,5b), 상면의 2개소에 매입된 인양고리(6), 하면의 2개소에 타측의 인양고리(6)를 인입시키기 위한 견인고리 인입홈(5c)을 갖는다.
거푸집(1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하부에 배치되어 성형될 방음블록(5)의 밑면을 지지하는 몰드 베이스(12)가 구비된다. 몰드 베이스(12)는 본 실시 예에서 ㄷ자 단면의 형강으로 제작되어 있다. 몰드 베이스(12)는 양측면의 각기 2개소에 고정측 힌지 브라켓(122)이 설치되어 있다.
몰드 베이스(12)에는 한 쌍의 좌,우측 몰드 개폐날개(14a,14b)가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좌,우측 몰드 개폐날개(14a,14b)는 몰드 베이스(12)의 양측면 2개소에 접합된 고정측 힌지 브라켓(122)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몰드 베이스(12)의 상면 2개소에는 제작될 방음블록의 하면에 견인고리 인입홈(5c)을 형성하기 위한 견인고리 인입형성용 초크(12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몰드 개폐날개(14a,14b)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구조적 강성을 갖기 위해, 몰드 베이스(12)의 고정측 힌지 브라켓(122)에 힌지 볼트(125)로 연결된 하부채널(141)과, 하부채널(141)의 상방에 위치된 상부채널(142)과, 일단이 하부채널(141)에 접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부채널(142)에 접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수직 각파이프(143)와, 상,하부채널(141,142)의 각기 내면측에 접합되어 있는 상,하부 수평 각파이프(144,145)로 구성되어 있다.
이같이 한 쌍의 몰드 개폐날개(14a,14b)는 채널형과 각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져 휨이나 비틀림 없는 구조적 강성을 갖게 된다.
한 쌍의 몰드 개폐날개(14a,14b)에는 각기 주름형 분할몰드(16a,16b)가 접합되어 있다. 주름형 분할몰드(16a,16b)는 한 쌍의 몰드 개폐날개(14a,14b)에 각기 접합되어 도 2와 같이 닫힘시 성형 원료를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상부에 형성하여 성형될 방음블록의 성형 챔버를 형성시킨다.
주름형 분할몰드(16a,16b)는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상기 상,하부 수평 각파이프(144,145)에 접합되어 있는 파형의 몰드 기대(161)와, 몰드 기대(161)의 일면에 경질의 우레탄으로 부착 합성되어 표면에 파형의 주름부(162a)를 형성하고 있는 파형 수지판(162)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같이 주름형 분할몰드(16a,16b)는 파형 수지판(162)으로 제작되어 주름부(162a)의 형성이 용이하고 몰드를 경량화시킨다.
주름형 분할몰드(16a,16b)의 닫힘을 잠금시키거나 잠금을 해제시키는 몰드 잠금수단(18)이 설치된다. 몰드 잠금수단(18)은 본 실시 예에서 마주보는 상부채널(142,142)의 상면 양측 2개소에 각기 입설되어 상향으로 개구된 체결봉 거치홈(181a,182a)을 갖는 좌,우측 체결봉 거치대(181,182)와, 상기 체결봉 거치홈(181a,182a)에 걸침되어 너트(184)와의 체결로 좌,우측 체결봉 거치대(181,182)를 체결하는 체결봉(18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주름형 분할몰드(16a,16b)의 양단측에 복수개 이상의 체결공(163a)이 형성된 체결용 플랜지(16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체결공(163a)에는 도시안된 체결볼트가 조립되어져 형체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10)은 좌,우 대칭적인 구조를 이루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거푸집의 형체결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거푸집(10)을 이용한 방음블록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2와 같이 거푸집(10)의 주름형 분할몰드(16a,16b)를 상호 합체한 후 몰드 잠금수단(18)을 이용하여 주름형 분할몰드(16a,16b)를 형체결한다. 즉, 도 1과 같이 주름형 분할몰드(16a,16b)를 닫은 후 체결봉(183)을 체결봉 거치홈(181a,182a)에 걸침시킨 후 너트(184)를 체결봉(183)에 조임하여 형체결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 주름형 분할몰드(16a,16b)의 내부로 성형 재료(예로, 경량기포콘크리트, 몰탈 등)를 타설함과 동시에 타설된 예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상면 2개소에 인양고리(6)를 매입시켜 놓는다. 인양고리(6)는 방음블록의 중립면상에 좌우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성형 재료는 그 이외에 일반적인 콘크리트가 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잔골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 다음,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 4와 같이 몰드 잠금수단(18)을 풀고 주름형 분할몰드(16a,16b)의 형체결을 해체하여 방음블록(5)을 탈형한다. 즉, 몰드 잠금수단(18)인 체결봉(183)에 조여진 너트(184)를 풀어 거푸집(10)의 좌,우측 몰드개폐날개(14a,14b)를 도 4와 같이 열어서 벌려 놓는다.
이같이 제작된 도 5의 방음블록(5)은 도 6a 및 도 6b와 같이 방음벽 지주(2,2)에 설치되어져 방음벽을 시공하는데 적용된다. 즉, 방음구간이 필요한 장소에 H빔으로 제작된 지주(2,2)를 시공한 후 주름형 방음블록(5)을 크레인으로 인양고리에 걸어 인양하여 이웃한 지주(2,2)의 사이에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해나가면서 조립시공된다. 이때 상하로 이웃한 방음블록(5와 5)간에는 인양고리(6)가 견인고리 인입홈(5c)에 인입되어져 방음블록(5와 5)간의 틈새가 없어진다.
한편, 상대적으로 상층의 주름형 방음블록(5)의 견인고리 인입홈(5c)에는 이웃한 하층의 주름형 방음블록(5)의 인양고리(6)를 제거한 위치에 설치된 조각블록(60)이 끼워져 시공될 수 있다. 조각블록(60)을 사용하게 되면 인양고리(6)에 비해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양고리(6)를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조각블록(60)은 원형 또는 사각 형태의 블록몸체(61)에 인양고리(6)를 제거한 홈에 삽입되는 핀부(62)를 갖는다.
이같이 방음블록(5)은 앞뒤가 대칭형이므로 설치 방향이 없고 인양고리(6)의 장애를 받지 않으므로 적층 조립시 불량 발생이 없이 간편하게 방음벽을 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몰드 베이스
14a,14b: 좌,우측 몰드 개폐날개
16a,16b: 좌,우측 주름형 분할몰드
18: 몰드 잠금수단

Claims (7)

  1. 주름있는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에 있어서,
    하부에 배치되어 성형될 방음블록의 밑면을 지지하는 몰드 베이스(12)와;
    상기 몰드 베이스(12)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좌,우측 몰드 개폐날개(14a,14b)와;
    상기 한 쌍의 몰드 개폐날개(14a,14b)에 각기 접합되어 닫힘시 성형 원료를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상부 형성하여 성형될 방음블록의 성형 챔버를 형성시키는 주름형 분할몰드(16a,16b)와;
    상기 주름형 분할몰드(16a,16b)의 닫힘을 잠금시키거나 잠금을 해제시키는 몰드 잠금수단(18)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 베이스(12)의 상면 2개소에는 제작될 방음블록의 하면에 견인고리 인입홈(5c)을 형성하기 위한 견인고리 인입형성용 초크(121)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베이스(12)는 형강으로 제작되어 있고 양측면 2개소에 고정측 힌지 브라켓(12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몰드 개폐날개(14a,14b)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고정측 힌지 브라켓(122)에 힌지 연결된 하부채널(141)과, 하부채널(141)의 상방에 위치된 상부채널(142)과, 일단이 하부채널(141)에 접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부채널(142)에 접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수직 각파이프(143)와, 상,하부채널(141,142)의 각기 내면측에 접합되어 있는 상,하부 수평 각파이프(144,1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3. 제 2항에 있어서,
    몰드 잠금수단(18)은,
    마주보는 상부채널(142,142)의 상면 양측 2개소에 각기 입설되어 상향으로 개구된 체결봉 거치홈(181a,182a)을 갖는 좌,우측 체결봉 거치대(181,182)와;
    상기 체결봉 거치홈(181a,182a)에 걸침되어 너트(184)와의 체결로 좌,우측 체결봉 거치대(181,182)를 체결하는 체결봉(18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형 분할몰드(16a,16b)는,
    금속판으로 제작된 파형의 몰드 기대(161)와, 몰드 기대(161)의 일면에 경질의 우레탄으로 부착 합성되어 표면에 파형의 주름부(162a)를 형성하고 있는 파형 수지판(162)으로 제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형 분할몰드(16a,16b)의 양단측에 복수개 이상의 체결공(163a)이 형성된 체결용 플랜지(16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6. 청구항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된 거푸집(10)을 구비하고;
    상기 거푸집(10)의 좌,우측 몰드 개폐날개(14a,14b)를 닫아 주름형 분할몰드(16a,16b)를 상호 폐합한 후 몰드 잠금수단(18)을 이용하여 형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주름형 분할몰드(16a,16b)의 내부로 성형 원료인 경량기포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충진 타설함과 동시에 타설된 성형 원료의 상면 2개소에 인양고리(6)를 매입시켜 놓는 단계와;
    성형 원료의 양생 후 몰드 잠금수단을 풀어 좌,우측 몰드 개폐날개(14a,14b)를 열은 후 주름형 분할몰드(16a,16b)의 형체결을 해체, 탈형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7. 방음구간이 필요한 장소에 H빔으로 제작된 지주(2)를 일정 간격마다 시공한 후 주름형 방음블록(5)을 크레인으로 인양고리(6)에 걸어 인양하여 이웃한 지주(2와 2)의 사이에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적층해나가면서 시공되며;
    상기 주름형 방음블록(5)은 경량기포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제작되어 판상형으로 앞뒷면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파형의 주름부(5a,5a), 주름부(5a,5a)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주 견착부(5b,5b), 상면의 2개소에 매입된 인양고리(6), 하면의 2개소에 타측의 인양고리(6)를 인입시키기 위한 견인고리 인입홈(5c)을 갖고;
    상대적으로 상층의 주름형 방음블록(5)의 견인고리 인입홈(5c)에는 이웃한 하층의 주름형 방음블록(5)의 인양고리(6)를 제거한 위치에 설치된 조각블록(60)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 방법.
KR1020140109264A 2014-08-21 2014-08-21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KR101448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264A KR101448439B1 (ko) 2014-08-21 2014-08-21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264A KR101448439B1 (ko) 2014-08-21 2014-08-21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439B1 true KR101448439B1 (ko) 2014-10-10

Family

ID=5199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264A KR101448439B1 (ko) 2014-08-21 2014-08-21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4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390A (ko) * 2018-06-29 2020-01-08 삼성물산 주식회사 기존 철근망과 틸팅형 거푸집을 이용한 더블월 피씨판넬 제작방법
EP4079968A1 (en) 2021-04-22 2022-10-26 Anas S.p.A. Noise barrier with wave-shaped-sound-absorbing panels and associated assembly method
KR20230077836A (ko) * 2021-11-26 2023-06-02 오피건설 주식회사 케이싱 설치용 콘크리트 가이드 제작을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겹침 주열식 차수성 연속 벽체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117A (ja) * 1993-12-08 1995-06-20 Toyota Motor Corp 蛇腹構造を有するセラミック管の製造方法及びその成形型
KR100676379B1 (ko) 2005-01-20 2007-01-30 정갑철 저회의 경량골재를 이용한 흡음형 방음패널의 제조방법
KR100886146B1 (ko) 2007-07-11 2009-02-27 강현숙 차량 방음벽 구조
KR101137260B1 (ko) 2011-09-01 2012-04-20 한국전력공사 발전용 석탄회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공경량골재를 포함하는 흡음판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117A (ja) * 1993-12-08 1995-06-20 Toyota Motor Corp 蛇腹構造を有するセラミック管の製造方法及びその成形型
KR100676379B1 (ko) 2005-01-20 2007-01-30 정갑철 저회의 경량골재를 이용한 흡음형 방음패널의 제조방법
KR100886146B1 (ko) 2007-07-11 2009-02-27 강현숙 차량 방음벽 구조
KR101137260B1 (ko) 2011-09-01 2012-04-20 한국전력공사 발전용 석탄회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공경량골재를 포함하는 흡음판넬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390A (ko) * 2018-06-29 2020-01-08 삼성물산 주식회사 기존 철근망과 틸팅형 거푸집을 이용한 더블월 피씨판넬 제작방법
KR102102037B1 (ko) 2018-06-29 2020-04-17 삼성물산 주식회사 기존 철근망과 틸팅형 거푸집을 이용한 더블월 피씨판넬 제작방법
EP4079968A1 (en) 2021-04-22 2022-10-26 Anas S.p.A. Noise barrier with wave-shaped-sound-absorbing panels and associated assembly method
KR20230077836A (ko) * 2021-11-26 2023-06-02 오피건설 주식회사 케이싱 설치용 콘크리트 가이드 제작을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겹침 주열식 차수성 연속 벽체 시공방법
KR102544641B1 (ko) * 2021-11-26 2023-06-16 오피건설 주식회사 케이싱 설치용 콘크리트 가이드 제작을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겹침 주열식 차수성 연속 벽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439B1 (ko) 주름형 방음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주름형 방음블록의 제작방법 및 주름형 방음블록을 적용한 방음벽의 시공방법
US10422133B2 (en) Precast concrete composite wall
US20230287641A1 (en) Sound attenuation barrier with improved ease of assembly
KR101889644B1 (ko) 보 바닥 형성용 거푸집 패널
KR101726779B1 (ko) 중공슬래브를 위한 중공체의 부력방지장치
JP6276072B2 (ja) 工事現場用仮囲いの防音構造及び先端改良型消音器
JP6418524B2 (ja) 断熱型枠を用いた基礎構造、施工方法及び耐圧版式グリッドポスト基礎の形成方法
KR101098998B1 (ko) 재활용가능한 하이브리드형 철골보 접합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골보 접합방법
KR101547685B1 (ko) Eps벽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17659B1 (ko) 기초 바닥용 패널구조체
KR101639319B1 (ko) 수직부재를 통한 진동 전달 저감을 위한 진동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동차단 바닥시스템
KR101781492B1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200477823Y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KR20140112175A (ko) 형틀 일체형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72189B1 (ko) 슬래브용 방음패널 고정구조
KR20210053741A (ko) 설비배관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JPS5953977B2 (ja) 柱の構築方法
US8656653B1 (en)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and methods
KR101440556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CN112412025B (zh) 二次结构混凝土反坎铝合金模板及成型方法
US2276422A (en) Collapsible core for wall molds
KR100669198B1 (ko) 마감일체형 벽체구조
KR101354597B1 (ko) 고속철도 터널 시공용 흡음벽체
KR101480282B1 (ko) 슬라브 시공방법
KR102039221B1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차음재 및 그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