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244B1 - 피씨게임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피씨게임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244B1
KR101448244B1 KR1020120039260A KR20120039260A KR101448244B1 KR 101448244 B1 KR101448244 B1 KR 101448244B1 KR 1020120039260 A KR1020120039260 A KR 1020120039260A KR 20120039260 A KR20120039260 A KR 20120039260A KR 101448244 B1 KR101448244 B1 KR 101448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coordinate system
coordinate
point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663A (ko
Inventor
오성복
정철수
Original Assignee
오성복
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복, 정철수 filed Critical 오성복
Priority to KR102012003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2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9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aiming at specific areas on the display, e.g. light-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씨게임을 제어하는 절대좌표 방식의 제어장치를 상대좌표 방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상대좌표 방식만 지원하는 게임에서도 절대좌표 방식의 제어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상대좌표 방식의 입력장치만을 지원하는 일반적인 피씨게임에서는 게임건과 같은 절대좌표 방식의 입력장치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게이머를 중심으로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상단 중심부 또는 하단 중심부에 기준점이 되는 적외선 송출장치가 부착되고, 센서가 구비된 게임건에서는 상기 적외선 송출장치에서 송신되는 적외선을 수신하여 목표점의 시작점과 끝점의 포인팅 좌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건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포인팅 좌표는 좌표변환장치를 통해 절대좌표에서 상대좌표로 변환시 중심점을 기준으로 접근하는 동작은 무시하고, 중심점을 기준으로 멀어지는 동작만 상대좌표로 변환하여 게임건의 이동거리로 환산되며, 컴퓨터에서는 상기 좌표변환장치에서 전달되는 이동거리를 내부의 저장장치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게임 소프트웨어에 전달하여 게임건의 조준 위치를 디스플레이 상에서 구동되는 피씨 게임(PC Game)에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는 기존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상대좌표 방식의 FPS 피씨 게임에서 절대좌표를 상대좌표 방식으로 변환하는 체감형 게임건을 사용함으로써 게이머의 체감도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플레이의 이동/조준/사격시 게임건을 입력장치로 사용하게 되므로 실제 시각적으로 조준하는 총구의 방향과 화면의 시점간의 오차를 실제와 동일하게 구현하여 게이머의 현실감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기능키를 부여함으로써 플레이어의 시야 범위를 넘어서는 회전도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씨게임용 제어장치{Apparatus of controll for PC game}
본 발명은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씨게임을 제어하는 절대좌표 방식의 제어장치를 상대좌표 방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상대좌표 방식만 지원하는 게임에서도 절대좌표 방식의 제어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1인칭 슈팅 게임(First-Person Shooter, FPS)이란 게임상의 캐릭터의 시점을 통해 이루어지는 대전 컴퓨터·비디오 게임의 일종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주인공의 바라보는 시점에서 화면을 보며 다양한 무기와 제한된 탄약을 가지고 진행(이동/조준/발사)하는 게임을 의미한다.
현대의 FPS 장르는 1990년대 초기에 3차원 그래픽을 실시간으로 그릴 수 있을만한 성능의 컴퓨터(PC)가 개발되고, 이드 소프트웨어의 울펜슈타인 3D과 둠 등의 게임이 출시되면서 많은 인기를 누렸다.
이때, 게이머(gamer)는 피씨 게임중 주인공의 시점을 전환하기 위해서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등의 상대좌표 방식의 제어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대좌표 방식의 제어장치는 PC환경에서는 보편적이기는 하지만 실제 체감하는 효과가 작기 때문에 체감형 아케이드 게임장에서는 절대좌표(겨냥한 위치에 사격이 되는)방식의 제어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즉, 업소용 아케이드 게임기에서는 게이머의 시각에서 스크린에 화면을 표시하고 게이머는 총을 들고 나타나는 표적을 맞추는 슈팅게임(FPS: First Person Shooter)이 범용화 되어 있으나, 가정용 PC환경에서는 마우스와 키보드를 사용하여 FPS게임을 플레이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부 새로 출시된 게임건의 경우에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지원되는 일부 게임만 사용이 가능했다.
이는 마우스나 스틱형 조이스틱의 경우는 상대적인 움직임 거리를 사용하는 상대좌표 방식이고, 터치 모니터나 게임건의 경우는 겨냥한 화면 상의 절대좌표를 사용하는 절대좌표 방식으로 구현되는 입력장치의 방식 차이에 기인한 것이다.
이때, 절대좌표(absolute coordinate)란 게임건이 향하는 목표점의 위치가 지정된 좌표계의 원점을 기준으로 표현되는 좌표로서, 각각의 위치가 원점을 기준으로 고정되어 있는 있는 방식이므로 임의의 위치에 대한 좌표점은 디스플레이 상의 한 점만이 존재하며, 상대 좌표(relative coordinate)란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가 지적하는 포인팅 좌표가 다른 포인팅 좌표를 기준으로 표현되는 좌표를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대좌표 방식의 입력장치만을 지원하는 일반적인 피씨게임에서는 게임건과 같은 절대좌표 방식의 입력장치를 적용할 수 없었으며, 이런 이유로 게임 개발회사들은 게임건 등의 절대좌표방식 입력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게임 새롭게 개발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피씨게임을 제어하는 절대좌표 방식의 제어장치를 상대좌표 방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상대좌표 방식만 지원하는 게임에서도 절대좌표 방식의 제어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는 게이머를 중심으로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상단 중심부 또는 하단 중심부에 기준점이 되는 적외선 송출장치가 부착되고, 센서가 구비된 게임건에서는 상기 적외선 송출장치에서 송신되는 적외선을 수신하여 목표점의 시작점과 끝점의 포인팅 좌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건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포인팅 좌표는 좌표변환장치를 통해 절대좌표에서 상대좌표로 변환시 중심점을 기준으로 접근하는 동작은 무시하고, 중심점을 기준으로 멀어지는 동작만 상대좌표로 변환하여 게임건의 이동거리로 환산되며, 컴퓨터에서는 상기 좌표변환장치에서 전달되는 이동거리를 내부의 저장장치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게임 소프트웨어에 전달하여 게임건의 조준 위치를 디스플레이 상에서 구동되는 피씨 게임(PC Game)에 구현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는 기존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상대좌표 방식의 FPS 피씨 게임에서 절대좌표를 상대좌표 방식으로 변환하는 체감형 게임건을 사용함으로써 게이머의 체감도를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플레이의 이동/조준/사격시 게임건을 입력장치로 사용하게 되므로 실제 시각적으로 조준하는 총구의 방향과 화면의 시점간의 오차를 실제와 동일하게 구현하여 게이머의 현실감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특정 영역에 기능키를 부여함으로써 플레이어의 시야 범위를 넘어서는 회전도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간편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피씨게임용 제어장치 시스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상대좌표 방식의 입력장치와 절대좌표 방식의 입력장치에서 연속 이동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입력장치의 움직임 범위에 따른 절대좌표를 상대좌표로 변환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좌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입력장치를 조준하는 움직임에 가속도에 편차가 있는 경우 가중치를 통해 이동거리를 변화시키는 설명하는 이동거리/시간 관계분포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입력장치의 조준 위치가 게임화면의 시야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연속된 이동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이 구현된 연속이동 포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탠 모식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의 입력방식 변환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머(gamer)를 중심으로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0)와; 상기 디스플레이(10) 상단 중심부 또는 하단 중심부에 부착되어 기준점이 되는 적외선 송출장치(20)와; 상기 적외선 송출장치(20)에서 송신되는 적외선을 수신하여 목표점의 시작점과 끝점의 포인팅 좌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가 구비된 게임건(30)과; 상기 게임건(30)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포인팅 좌표를 이동거리로 환산하는 좌표변환장치(40)와; 상기 좌표변환장치(40)에서 전달되는 이동거리를 컴퓨터의 저장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게임 소프트웨어에 전달하여 게임건의 조준 위치를 디스플레이(10) 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피씨 게임(PC Game)에 구현하는 컴퓨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적외선 송출장치(20)와 게임건(30)의 거리는 수 미터 정도 떨어진 위치에 있으므로, 적외선 송출장치(20)는 디스플레이(10)의 상단 중심부 또는 하단 중심부 어느 곳에 위치해도 무방하며, 게이머가 손에 들은 총구의 방향에 따라 변동되는 절대좌표값에 해당하는 적외선 신호가 게임건(30)의 센서로 전달된다.
이때, 본 발명은 좌표변환장치(40)에서 게임건(30)의 센서에서 전달된 절대좌표값을 상대좌표값으로 변환하여, 게임건의 조준점을 디스플레이의 영상에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이머는 디스플레이(10)에 구현되고 있는 게임 영상을 보면서 자신의 목표점(적군 등)을 입력장치(마우스 또는 컨트롤러)로 조준하게 되는데, 목표점이 이동하는 경우 조준을 재정렬하기 위해 입력장치는 목표점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짧은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긴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입력장치를 한 방향으로 계속 움직여야 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로서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폭이 제한된 마우스패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마우스패드(61) 위에서 입력장치인 마우스(60)의 버튼누름(a), 이동(b), 버튼뗌(c), 원위치이동(d) 후 다시 버튼누름(a)동작을 반복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입력장치인 게임건(30)에서는 마우스와 같이 버튼을 떼는 동작이 불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10)에서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목표점을 조준하기 위해 게임건(30)을 우측으로 이동(A), 원위치(B), 다시 우측으로 이동(A)하는 반복동작을 진행하여도 한 방향으로 계속 움직일 수 없고 같은 위치에서만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게임건(30)의 센서에서 수신된 조준점의 절대좌표값을 좌표변환장치(40)에서 상대좌표값으로 변환하게 되는데, 상기 좌표변환장치(4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인 게임건(30)의 움직임 범위에 따른 절대좌표를 피씨 게임에서 인식할 수 있는 상대좌표로 변환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먼저,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겨냥한 위치를 시작위치(P1)에서 마지막 위치(P2)로 이동할 때 중심점(O)을 향하는 가로방향 이동거리(x1) 및 세로방향 이동거리(y1)는 무시하고, 중심점에서 외곽으로 멀어지는 가로방향 이동거리(x2) 및 세로방향 이동거리(y2)만 상대좌표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이때, 상대좌표변환시 중심점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x1, y1)을 변환하지 않고 무시하는 이유는 마우스와 같이 버튼을 누르고 떼는 동작이 불가능함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절대좌표 방식에서의 원위치 동작인 화면 중심점 기준으로 가운데를 향하는 움직임(x1, y1)을 무시하게 되므로, 게임건(30)의 조준점을 우측으로 긴거리 이동하기 위해 게임건(30)을 '우측이동 - 중심까지 좌측이동 - 우측이동'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반대로, 게임건(30)의 조준점을 좌측으로 긴거리 이동하기 위해 게임건(30)을 '좌측이동 - 중심까지 우측이동 - 좌측이동'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게임건(30)의 조준점을 좌측 이동후 다시 원위치를 하는 경우에는 게임건(30)을 '좌측이동 - 중심을 지나 우측이동'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중한 정조준 동작과, 신속한 이동 동작을 구분하여 실제 게임환경과 유사하도록 게이머가 게임건(30)을 좌우로 이동하는 속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거리(S)를 나타내는 가로축과, 시간(T)을 나타내는 세로축에 의해 게임건(30)의 이동 속도를 구분하고, 동일한 거리(S1)를 이동하더라도 빠른 시간(T1)안에 움직인 경우에 시간이 오래걸린(T2) 경우보다 가중치를 주어 빠른 시간에 동일거리를 움직인 경우가 상대좌표 방식으로 변환 시에 많은 거리를 이동하도록 처리하였다.
따라서, 게이머는 저격모드 등 게임건(30)의 정조준이 필요한 경우는 천천히, 빠른 이동이 필요한 경우는 게임건(30)를 빠르게 움직여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의 특정 영역을 연속이동 포인트(11)(12)로 지정하고, 게임건(30)이 상기 연속이동 포인트(11)(12)를 조준하는 경우 게임상에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키(Function Key)로 활용하여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보다 용이한 게임 콘트롤이 가능하다.
즉, 방향 전환이 많이 일어나는 게임 환경을 감안하여 디스플레이(10) 가장자리의 좌측 하단의 연속이동 포인트(11)는 게임건(30)이 해당 위치를 향한 경우는 좌측으로 이동동작 신호를 연속해서 발생하고, 디스플레이(10) 가장자리 우측 하단의 연속이동 포인트(12)는 게임건(30)이 해당 위치를 향한 경우는 우측으로 이동동작 신호를 연속해서 발생하도록 하여 게이머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외에, 게임건(30)이 디스플레이(10)의 특정 영역(예를 들어 우측 상단)을 향한 경우, 신속하게 뒤돌아서는 동작을 구현하여 후측에서 접근하는 적군에 대항할 수 있는 후측회전 기능을 부여하는 등 다양한 부가기능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디스플레이 11,12 : 연속이동 포인트
20 : 적외선 송출장치 30 : 게임건
40 : 좌표변환장치 50 : 컴퓨터본체
60 : 마우스 61 : 패드

Claims (4)

  1. 게이머를 중심으로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의 상단 중심부 또는 하단 중심부에 기준점이 되는 적외선 송출장치가 부착되고, 센서가 구비된 게임건에서는 상기 적외선 송출장치에서 송신되는 적외선을 수신하여 목표점의 시작점과 끝점의 포인팅 좌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건(30)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포인팅 좌표는 좌표변환장치(40)를 통해 절대좌표에서 상대좌표로 변환시 중심점을 기준으로 접근하는 동작은 무시하고, 중심점을 기준으로 멀어지는 동작만 상대좌표로 변환하여 게임건(30)의 이동거리로 환산되며,
    컴퓨터(50)에서는 상기 좌표변환장치(40)에서 전달되는 이동거리를 내부의 저장장치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게임 소프트웨어에 전달하여 게임건(30)의 조준 위치를 디스플레이(10) 상에서 구동되는 피씨 게임(PC Game)에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변환장치(40)에서는 게이머가 게임건(30)을 이동시키는 가속도에 비례하여 이동거리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동일거리를 천천히 움직이는 경우보다 빨리 움직일 때 상대좌표 변환시 더 많은 이동거리를 이동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특정 영역을 연속이동 포인트(11)(12)로 지정하고, 게임건(30)이 상기 연속이동 포인트(11)(12)를 조준하는 경우 좌측으로 이동동작 신호를 연속해서 발생하거나 또는 우측으로 이동동작 신호를 연속해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 게임용 제어장치.
  4. 삭제
KR1020120039260A 2012-04-16 2012-04-16 피씨게임용 제어장치 KR101448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260A KR101448244B1 (ko) 2012-04-16 2012-04-16 피씨게임용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260A KR101448244B1 (ko) 2012-04-16 2012-04-16 피씨게임용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663A KR20130116663A (ko) 2013-10-24
KR101448244B1 true KR101448244B1 (ko) 2014-10-10

Family

ID=4963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260A KR101448244B1 (ko) 2012-04-16 2012-04-16 피씨게임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2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204B1 (ko) * 2014-01-13 2014-05-21 오민석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서바이벌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2164143B1 (ko) * 2018-12-24 2020-10-12 신은주 에프피에스 게임기용 총구의 조준점 정렬장치 및 그 방법
CN111973984A (zh) * 2020-09-10 2020-11-24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虚拟场景的坐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851A (ko) * 2006-03-29 2007-10-0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게임 인터페이스를 위한 적외선 엘이디 추적시스템 및추적방법
JP2007267849A (ja) * 2006-03-30 2007-10-18 Namco Bandai Games Inc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JP2011041698A (ja) 2009-08-21 2011-03-03 Taito Corp 赤外線ledおよび単点光センサを使用したカーソル相対位置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11248524A (ja) 2010-05-25 2011-12-08 Taito Corp 位置指示装置、ゲー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851A (ko) * 2006-03-29 2007-10-0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게임 인터페이스를 위한 적외선 엘이디 추적시스템 및추적방법
JP2007267849A (ja) * 2006-03-30 2007-10-18 Namco Bandai Games Inc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JP2011041698A (ja) 2009-08-21 2011-03-03 Taito Corp 赤外線ledおよび単点光センサを使用したカーソル相対位置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11248524A (ja) 2010-05-25 2011-12-08 Taito Corp 位置指示装置、ゲー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663A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2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shooting game
US10864433B2 (en) Using a portable device to interact with a virtual space
KR101582296B1 (ko) 모바일 게임을 위한 자동 조준 시스템 및 방법
CN201267713Y (zh) 一种枪型多功能游戏输入手柄
US8070571B2 (en) Video game controller
JP4792878B2 (ja) 対戦ビデオ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
US20080100825A1 (en) Mapping movements of a hand-held controller to the two-dimensional image plane of a display screen
JP6438198B2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装置
KR101966020B1 (ko) 혼합 현실 기반의 다중 참여형 공간 어뮤즈먼트 서비스 방법 및 다중 참여형 공간 어뮤즈먼트 서비스 시스템
JP2008093309A5 (ko)
KR101929826B1 (ko) 게임 시스템
US10928915B2 (en) Distributed storytelling environment
KR101448244B1 (ko) 피씨게임용 제어장치
CA2901609A1 (en) Storage medium, game system, and control method
US98021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20170006247A (ko) 가상 현실 게임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871442B1 (ko) 에프피에스 게임 전용 제어장치
WO2015056819A1 (ko) 피씨게임용 제어장치
KR20170001539A (ko) 모바일 게임을 위한 자동 조준 시스템 및 방법
CN113663326B (zh) 一种游戏技能的瞄准方法和装置
KR102164143B1 (ko) 에프피에스 게임기용 총구의 조준점 정렬장치 및 그 방법
TWI687257B (zh) 虛擬實境之遊戲系統、處理器及虛擬遊戲場景移動方法
US11691072B2 (en) Aiming display automation for head mounted display applications
KR102197701B1 (ko) 슈팅게임을 위한 에어마우스
TW201524563A (zh) 視角與游標的互動方法及其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