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035B1 - 가상 키보드 - Google Patents

가상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035B1
KR101448035B1 KR1020120119551A KR20120119551A KR101448035B1 KR 101448035 B1 KR101448035 B1 KR 101448035B1 KR 1020120119551 A KR1020120119551 A KR 1020120119551A KR 20120119551 A KR20120119551 A KR 20120119551A KR 101448035 B1 KR101448035 B1 KR 101448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haracter
virtual keyboard
character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524A (ko
Inventor
민병준
Original Assignee
민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준 filed Critical 민병준
Priority to KR1020120119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03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3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됨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영역과는 별도로 그 상단에 문자를 식별하기 위한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배치하며,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었을 때에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변화가 야기되도록 함으로써, 문자 입력의 성공 또는 오류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이동할 필요없이 동일한 위치에서 확인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시선 이동을 최소화하면서도 문자 입력의 오류 여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
본 발명은 적어도 터치 스크린과 터치 스크린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터치 스크린에 가상의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에 따라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 중 선택되는 문자를 입력받는 가상 키보드에 관한 것이며, 터치 스크린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는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상 키보드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단말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 키보드를 구현하고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는 시스템으로서, 현재 다양한 종류의 가상 키보드가 상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가상 키보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아이폰'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상 키보드 화면(1)을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도 1(A)의 가상 보드 화면에서 문자 'S'를 입력하는 상황을 예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S'를 입력하기 위하여 문자 'S'가 결합되어 있는 버턴 이미지(2)를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접촉하여 문자 'S'에 대한 입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턴 이미지(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이미지로서 확장 이미지(3)가 표시된다.
문자 'S'가 결합되어 있는 버턴 이미지(2)는 사용자의 손가락(4)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를 하는 동안에는 버턴 이미지(2)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버턴 이미지(2)의 상방에 확장 이미지(3)를 표시하고 확장 이미지(3)에는 새롭게 확대되어 표시되는 문자 표시(5)를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접촉이 이루어진 문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연속되는 문자들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이동되는 경로를 생각해 보면, 먼저 버턴 이미지(2)를 터치해야 하므로 문자 'S'가 결합되어 있는 버턴 이미지(2)에 시선이 가게 되고(위치ⓐ로 이동), 이후 원하는 문자가 제대로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 1 이동 경로(6)를 따라 확장 이미지(3)의 문자 표시(5)로 시선을 옮겨야 하며(위치ⓑ로 이동), 그 후 다른 문자(예 : 문자'K')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 2 경로(7)를 따라 시선이 이동되어야 한다(위치ⓒ로 이동). 그렇다면, 새로운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 문자당 2번씩의 시선 이동이 필요하게 된다.
도 2는 '갤럭시폰'에 사용되고 있는 가상 키보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문자 'S'를 입력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갤럭시폰'에서는 확장 이미지(3)의 모양이 '아이폰'과 비교하여 약간 다른 점이 있기는 하지만, 시선의 이동 과정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버턴 이미지(2)를 터치해야 하므로 문자 'S'가 결합되어 있는 버턴 이미지(2)에 시선이 가게 되고, 이후 터치한 문자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 1 이동 경로(6)를 따라 확장 이미지(3)의 문자 표시(5)로 시선을 옮겨야 하며, 그 후 다른 문자(예 : 문자'K')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 2 경로(7)를 따라 시선이 이동되어야 한다. 새로운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 문자당 역시 2번씩의 시선 이동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 대표적인 가상 키보드의 입력 방식에 따르면, 입력된 문자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문자당 2번씩의 시선 이동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시선 이동이 번거롭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서는, 확장 이미지(3)를 확인하지 않고 바로 다음 입력할 문자의 버턴 이미지로 시선을 옮겨가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입력된 문자를 확인하기 곤란한 또 다른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특히, 스마트 단말의 화면 사이즈가 작은데도 쿼티 자판과 같이 많은 문자들이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 입력의 확률이 매우 높다. 또한, 가상 키보드에서는 실제 키보드와 달리 사용자가 감촉으로써 위치의 미세한 차이를 느끼거나 하는 등이 불가능하다. 특히, 실제 자판에는 영문자 'F'(한글 'ㄹ') 및 영문자 'J'(한글 'ㅓ')에 돌기가 있으나, 가상 키보드에는 이러한 돌기가 없으므로 입력되거나 입력된 문자를 감촉으로 느끼는 것이 더욱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특히, 종래의 가상 키보드에서 시선 이동의 문제점 등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한 인식으로서 공지 기술이 아님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된 문자의 확인이 가능한 동시에 보다 편리하거나 보다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가상 키보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된 문자의 확인이 가능한 동시에 보다 편리하거나 보다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는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상의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에 따라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 중 선택되는 문자를 입력받는 전자 장치 있어서,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에 대하여, 입력할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이미지인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30)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의 과정에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가려지지 않도록,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상기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상단에 별개로 표시되며, 어느 한 문자에 대한 입력이 감지될 때, 해당하는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있어서 변화가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상의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에 따라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 중 선택되는 문자를 입력받는 전자 장치 있어서,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에 대하여, 입력할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이미지인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30)을 구비하며, 어느 한 문자에 대한 입력이 감지될 때, 해당하는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있어서 변화가 야기되며, 상기 변화가 있기 전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상기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상기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와는 별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상의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에 따라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 중 선택되는 문자를 입력받는 전자 장치 있어서,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에 대하여, 입력할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이미지인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30)을 구비하며, 어느 한 문자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 입력되는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상기 입력되는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로부터 변화된 이미지인 변화 이미지(40)가 상기 입력되는 문자의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의 과정에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상기 변화 이미지(40)가 가려지지 않도록,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적어도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차지하는 영역의 하단에 일정 면적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면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상의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에 따라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 중 선택되는 문자를 입력받는 전자 장치 있어서,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에 대하여, 입력할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 구비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인 접촉 감지 영역(50)이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쌍을 이루어 배치되되, 적어도 쌍을 이룬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차지하는 영역의 하단에 일정 면적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면서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한 문자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입력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있어서 변화가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은, 적어도 터치 스크린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는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문자들에 대하여, 각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이미지인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30)을 구비하는 가상 키보드 화면를 표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이루어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요구되는 문자를 식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식별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식별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대하여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의 과정에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가려지지 않도록, 상기 제 1 단계에서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상기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상단에 별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은, 적어도 터치 스크린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는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문자들에 대하여, 각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이미지인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30)을 구비하는 가상 키보드 화면를 표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이루어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요구되는 문자를 식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식별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식별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대하여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의 과정에서 상기 변화가 있기 전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상기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단계에서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상기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와는 별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일 양상에 따른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은, 적어도 터치 스크린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는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문자들에 대하여, 각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이미지인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30)을 구비하는 가상 키보드 화면를 표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이루어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요구되는 문자를 식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식별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식별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로부터 변화된 이미지인 변화 이미지(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의 과정에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상기 변화 이미지(40)가 가려지지 않도록,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적어도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차지하는 영역의 하단에 일정 면적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면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은, 적어도 터치 스크린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는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문자들에 대하여, 각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적어도 구비하는 가상 키보드 화면를 표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이루어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요구되는 문자를 식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식별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식별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대하여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인 접촉 감지 영역(60)이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쌍을 이루어 배치되되, 적어도 쌍을 이룬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차지하는 영역의 하단에 일정 면적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상의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에 따라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 중 선택되는 문자를 입력받는 전자 장치 있어서,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에 대하여, 입력할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 구비하며,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서 공백 문자에 대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에는 입력이 완료된 문자들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은, 적어도 터치 스크린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는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문자들에 대하여, 각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적어도 구비하는 가상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이루어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요구되는 문자를 식별하는 제 2 단계; 공백 문자에 대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오버레이되도록 상기 제 2 단계에서 식별된 문자를 표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손가락 등이 접촉하기 전의 문자 식별 이미지와 접촉 후 변화 이미지를 가리지 않게 되어, 문자 입력 전후의 모두에 대한 정확한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가 문자 식별 이미지 및 변화 이미지를 인식함에 있어서 시선의 이동 없이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는 시선을 문자 식별 이미지에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자신이 원하는 문자의 입력이 제대로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변화 이미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입력된 문자의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면서도 확인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시선을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없으며, 문자 입력의 정확성과 편리성 또는 신속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가상 키보드 화면의 사이즈가 작은 상황에서 쿼티 자판과 같이 많은 수의 문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문자 입력의 정확성과 편리성 또는 신속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한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상부 경계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다 간명한 가상 키보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한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가이드 선을 이용하여 자신의 손가락등이 접촉해야 할 부분을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가 필요하지 않고 문자 식별 이미지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가 중첩됨으로 인해서 생기는 화면의 복잡함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한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접촉 위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공백 문자를 위한 문자 식별 이미지에 대한 오버레이 표시를 이용함으로써 입력된 문자들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가상 키보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아이폰'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상 키보드 화면(1)을 도시한 것이며, 도 1(B)는 도 1(A)의 가상 보드 화면에서 문자 'S'를 입력하는 상황을 예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갤럭시폰'에 사용되고 있는 가상 키보드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문자 'S'를 입력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가 결합된 이미지 쌍(30)의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식별 이미지(10),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 및 변화 이미지(40)를 예를 들어 표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30)을 도시한 예이며, 도 6(B) 내지 도 6(I)는 도 6(A)에 도시된 이미지 쌍(30)에서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변화가 야기되어 생성되는 변화 이미지(40)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화면에서 문자 'S'를 입력하는 상황을 예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식별 이미지(10),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 및 변화 이미지(4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A)는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변화하기 전 이미지 쌍(30)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B) 및 도 8(C)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변화가 있은 후 변화 이미지(4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식별 이미지(10),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 및 변화 이미지(40) 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A)는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변화하기 전 이미지 쌍(30)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B) 내지 9(D)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변화가 있은 후의 변화 이미지(40)와,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에 변화가 있은 후의 이미지(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상부 경계 이미지(21)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선(15)을 포함하는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배열된 가상 키보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B)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가 더 포함된 가상 키보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는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같은 제어 수단과, 정보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외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심지어 종래의 전자 장치와 비교하여 하드웨어에 있어서는 변경이 없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가상의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에 따라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 중 선택되는 문자를 입력받는 장치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화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각 문자들에 대하여, 입력할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이미지인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30)을 구비한다.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사용자가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는 데 목적을 둔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터치 동작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도록 배치된다.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사용자에게 해당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접촉되어야 할 영역을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알림은 매번의 터치 과정에서 정확히 인식될 필요는 없고,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기준으로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상대적인 위치를 가늠하는 정도이면 족하다. 즉,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수행하면서 구체적으로 그 위치를 정확히 인지하여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를 터치하기보다는,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 및 영역을 미리 숙지하고 있으면, 직접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에 시선을 가져가지 않고 문자 식별 이미지(20)에 시선을 가져가면서도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에 정확히 손가락 등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손가락 끝에 올린다는 생각으로 접촉하면, 대응하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에 손가락을 정확히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의 예에서는 쿼티 자판의 배열 방식에 따라 각 문자에 대한 이미지 쌍(30)이 제 1 행(110), 제 2 행(120), 제 3 행(130) 및 제 4 행(140)의 4개 행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3의 예에 따르면, 제 1 행(110)에 속하는 이미지 쌍(30)의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일부 영역은 제 2 행(120)에 속하는 이미지 쌍(30)의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이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보다 상위의 행에 속하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일부 영역은 바로 아래의 행에 속하는 이미지 쌍(30)의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의해 일부 가려진다.
사용자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의해서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는 것이므로,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터치 중에 구체적으로 식별할 필요는 없다.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일부 영역은 가려져도 문제가 없으며, 나아가 가려지는 부분이 대부분이어서 극히 일부의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만 표시되어도 된다.
도 4의 예에 따르면, 제 1 행(110)에 속하는 이미지 쌍(30)의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와, 제 2 행(120)에 속하는 이미지 쌍(30)의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일부 충첩되어 표시된다. 제 2 행(120)에 속하는 이미지 쌍(30)의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반투과성으로서, 마치 그 뒷쪽에 있는 제 1 행(110)에 속하는 이미지 쌍(30)의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가 일부 투과되어 보여지는 것처럼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상위의 행에 속하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일부 영역은 바로 아래의 행에 속하는 이미지 쌍(30)의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중첩되어 있는 것처럼 표시된다.
나아가, 상위 행의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와 바로 아래 행의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가려지거나 중첩되지 않고 서로 완전히 이격되어도 상관없다. 그러나, 좁은 화면 사이즈를 가진 전자 장치에서는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가상 키보드 화면이 차지하는 면적이 과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해당 문자에 대한 입력을 위해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이미지이다.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실제의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과 정확히 100% 일치시키지는 않아도 된다.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사용자에게 실제 접촉 감지 영역을 가늠할 수 있도록 알려주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것으로서,예를 들면, 실제 접촉 감지 영역은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가 차지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조금 더 확장된 영역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의 과정에서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가려지지 않도록,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상단에 별개로 표시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서로 접하여 결합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하고 있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가 결합된 이미지 쌍(30)의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약간 겹칠 수 있으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약간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해당하는 문자를 정확히 표시하면 되고,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접촉 감지 영역을 가이드하면 되므로 다양한 모양과 표시방법이 가능하다. 그리고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서로 접촉하고 있으나, 도 5(C)에서 예를 든 것과 같이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키보드에서 어느 한 문자에 대한 입력이 감지될 때, 해당하는 문자의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있어서 변화가 야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식별 이미지(10),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 및 변화 이미지(40)를 예를 들어 표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30)을 도시한 예이며, 도 6(B) 내지 도 6(I)는 도 6(A)에 도시된 이미지 쌍(30)에서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변화가 야기되어 생성되는 변화 이미지(40)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변화는 문자 표시(11)가 확대 또는 축소되거나, 문자 표시(11)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자 표시(11)가 파괴되거나, 배경(12)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자 식별 이미지(10) 자체가 확대 또는 축소되거나,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앞으로 또는 뒤로 전도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화 이미지(40)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있어서 문자 표시(11)가 확대된 이미지(도 6(B)),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확대된 이미지(도 6(C)), 문자 표시(11)의 색상이 변화한 이미지(도 6(D)), 배경(12)의 색상이 변화한 이미지(도 6(E)), 문자 표시(11)가 파괴되거나 사라진 이미지(도 6(F)), 문자 식별 이미지(10) 자체가 축소된 이미지(도 6(G)), 문자 표시(110가 축소된 이미지(도 6(H)) 및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뒤쪽 방향으로 전도된 이미지(도 6(I)) 등 다양하게 변화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도 6에서 변화 이미지(40)로서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있으나, 실제 응용에서는 마치 복수의 변화 이미지(40)를 짧은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동영상처럼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의 예에서는 문자 식별 이미지(10)만 변화하고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변화와 함께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도 동시에 변화하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화가 있기 전의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와는 별개로 표시된다.
그리고, 어느 한 문자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될 때, 입력되는 문자의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입력되는 문자의 문자 식별 이미지(10)로부터 변화된 이미지인 변화 이미지(40)가 입력되는 문자의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며,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의 과정에서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변화 이미지(40)가 가려지지 않도록,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적어도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차지하는 영역의 하단에 일정 면적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면서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화면에서 문자 'S'를 입력하는 상황을 예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부분에 손가락 등으로 접촉할 것이므로, 문자 'S'에 대해 접촉하기 전의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접촉 후 변화 이미지(40)를 가리지 않게 된다. 또한, 변화 이미지(40)는 접촉하기 전의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자리에서 표시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변화 이미지(40)를 인식함에 있어서 시선의 이동 없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시선을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자신이 원하는 문자의 입력이 제대로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는 변화 이미지(40)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연속되는 문자들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시선이 이동되는 경로를 생각해 보면, 먼저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터치해야 하므로 문자 'S'가 결합되어 있는 문자 식별 이미지(20)에 시선이 가게 되고, 이후 터치한 문자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선을 옮길 필요없이 그 자리에서 변화 이미지(40)를 확인하며, 그 후 다른 문자(예 : 문자'K')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이동 경로(80)를 따라 시선이 이동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새로운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 문자당 1번씩의 시선 이동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본 발명과 비교하여, 버턴 이미지(2)로부터 확장 이미지(3)로 이동하는 추가적인 시선 이동이 더 필요하며, 새로운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 문자당 2번씩의 시선 이동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시선 이동의 횟수가 반으로 줄어들며, 입력된 문자의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면서도 확인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시선을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없으며, 문자 입력의 정확성과 편리성 또는 신속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식별 이미지(10),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 및 변화 이미지(4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A)는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변화하기 전 이미지 쌍(30)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B) 및 도 8(C)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변화가 있은 후 변화 이미지(4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풍선에 문자가 결합하고 있는 이미지로서, 당초에는 풍선에 공기가 빠져서 납작한 풍선의 이미지이다가(도 8(A)), 문자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풍선에 변화가 있고, 이러한 변화는 풍선이 부풀어 오르는 동작이 되며, 변화가 있은 후의 변화 이미지(40)는 풍선이 부풀어 오른 후의 이미지이다(도 8(B) 및 도 8(C)).
한편, 사용자는 접촉 감지 영역의 중심을 정확히 접촉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접촉 감지 영역의 가장자리를 접촉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가상 키보드 화면에서 문자의 배치 위치에 따라 왼쪽 또는 오른쪽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문자일수록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질 수 있으며, 이는 손가락의 접촉 부분이 달라지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접촉 감지 영역의 중심에 접촉되지 않더라도 해당 문자를 인식하는 것은 문제가 없을 수 있으나, 이러한 어긋남이 심화되면 오타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어긋남이 정해진 수준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어 오타를 사전 예방하는 방법을 구사하는 것이 의미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접촉된 위치 또는 접촉된 영역의 중심 위치에 따라 풍선이 부풀어 오르는 방향을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접촉 감지 영역의 중심을 정확히 접촉한 경우에는 풍선이 정확히 정면으로 부풀어 오른 것처럼 표시하며(도 8(B)), 사용자가 접촉 감지 영역의 좌측에 치우쳐서 접촉한 경우에는 풍선이 좌측 방향으로 부풀어 오른 것으로 표시함으로써(도 8(C)), 사용자로 하여금 접촉이 제대로 되었는지, 접촉이 어떻게 치우쳐서 되었는지 등을 알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식별 이미지(10),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 및 변화 이미지(40) 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9(A)는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변화하기 전 이미지 쌍(30)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B) 내지 9(D)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변화가 있은 후의 변화 이미지(40)와,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에 변화가 있은 후의 이미지(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문자에 대한 입력이라도, 사용자에 의해 접촉된 위치 또는 접촉된 영역의 중심 위치에 따라,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변화를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에 의한 접촉이 있기 전의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가 도시된 도 9(A)와 같은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접촉 감지 영역의 중심에 정확히 접촉된 경우에는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가 후방으로 후퇴한 것처럼 보이는 이미지가 표시되며(도 9 (B)), 사용자가 접촉 감지 영역의 오른쪽에 치우쳐 접촉한 경우에는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가 후방으로 후퇴하되 그 자세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미지가 표시되며(도 9(C)), 사용자가 접촉 감지 영역의 위쪽으로 치우쳐 접촉한 경우에는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가 후방으로 후퇴하되 그 자세가 위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미지가 표시된다(도 9(D)). 또한, 기울어지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표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후방으로 멀어지며, 사용자에 의해 접촉된 위치 또는 접촉된 영역의 중심 위치에 따라,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변화를 달리하며, 후방으로 멀어질 때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자세가 서로 다르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접촉한 위치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상부 경계 이미지(21)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쌍(30)은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상부 경계 이미지(21)를 포함하며,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입력할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이며, 상부 경계 이미지(21)는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의 상부측 경계를 가이드하는 이미지이다.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상부 경계 이미지(21)의 상단에 표시된다.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상부 경계 이미지(21)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하단에 표시된다. 상부 경계 이미지(21)는 전술한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상측 부분 일부만이 표시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그리고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되기 시작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기 전이나,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되기 시작한 후 미리 정해진 갯수의 문자가 입력되기 전에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가 표시되다가,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미리 정해진 갯수의 문자가 입력된 후에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 대신 상부 경계 이미지(21)가 표시되는 것으로 전환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경게 이미지(21)로 전환되거나 변경된 이후에는 가상 키보드 화면이 보다 깔끔해질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및 갯수는 프로그램 또는 하드웨어의 설계시 정해지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가상 키보드 화면의 사이즈가 작은 상황에서 쿼티 자판과 같이 많은 수의 문자를 포함하는 경우,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 대신 상부 경계 이미지(21)를 표시하거나 상부 경계 이미지(21)로 전환하거나 변경하면 보다 인식하기 쉬운 가상 키보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에 대하여, 입력할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 구비하며, 터치 스크린에는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인 접촉 감지 영역(60)이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쌍을 이루어 배치되되, 적어도 쌍을 이룬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차지하는 영역의 하단에 일정 면적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면서 접촉 감지 영역(60)이 배치된다.
각 접촉 감지 영역(60)은 각 문자에 대하여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으로서, 접촉 감지 영역(60)은 아래쪽에 있는 다른 행에 있는 문자의 문자 표시 영역(10)과 중첩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에서 접촉 감지 영역(60)은 점선으로 표시되고 있으나, 이는 이해를 위한 것으로서 실제 가상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 장치가 설정하고 있는 영역이며, 가상 키보드 화면에서 빈공간 없이 이웃하는 접촉 감지 영역(60)이 서로 접하고 있을 수도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접촉 감지 영역(60)이 버턴 이미지(2)와 완전히 중첩되어 일치하거나 포함관계에 있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감지 영역(60)은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하단에 분리되어 있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오히려 다음 행에 있는 문자의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많이 겹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도시한 도면이다.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에 대하여, 입력할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포함하며,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하측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의 상부측 경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선(15)을 구비한다.
가이드 선(15)은 전술한 접촉 감지 영역(60)의 상부측 경계를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가이드 선(15)의 아래에 접촉되어야 함을 알려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런데, 가이드 선(15)은 접촉 감지 영역(60)의 상부측 경계를 가이드하기 위해 표시됨에 있어서, 완벽히 접촉 감지 영역(60)의 상부측 경계와 일치하도록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아니며 대강의 일치가 있도록 표시되면 족하다. 예를 들면, 도 12에 있어서도 가이드 선(15)은 곡선이나 실제 접촉 감지 영역(60)의 상부측 경계는 직선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용자의 손톱 모양이 곡선인 점을 고려하여 가이드 선(15)이 곡선으로 표현되는 것이 더 선호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한 문자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입력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있어서 변화가 야기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선(15)을 포함하는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배열된 가상 키보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B)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가 더 포함된 가상 키보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선(15)을 포함하는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배열된 가상 키보드 화면에서, 사용자는 가이드 선(15)을 이용하여 자신의 손가락등이 접촉해야 할 부분을 정확히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가 필요하지 않고,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920)가 중첩됨으로 인해서 생기는 화면의 복잡함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13(B)에 따른 가상 키보드 화면은,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이미지인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가상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이며, 전술한 접촉 감지 영역은 이러한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와 동일한 위치 또는 거의 유사한 위치에서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되기 시작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되기 시작한 후 미리 정해진 갯수의 문자가 입력된 후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13(B)와 같이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를 포함하는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되기 시작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이나, 표시되기 시작한 후 미리 정해진 갯수의 문자가 입력되기까지는 계속적으로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접촉 감지 영역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이후에는 도 13(A)와 같이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표시되지 않고 가이드 선(15)이 있는 문자 식별 이미지(10)만으로 표시해도 무방하다.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및 갯수는 프로그램 또는 하드웨어의 설계시 정해지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손가락 끝으로 눌렀을 때 남는 자국의 모양, 지문의 모양 등으로 해서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는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단계 S10에서 전자 장치는 가상 키보드 화면을 표시한다.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문자들에 대하여, 각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이미지인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30)을 구비하는 가상 키보드 화면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의 과정에서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가려지지 않도록,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상단에 별개로 표시된다. 또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의 과정에서 변화가 있기 전의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와는 별개로 표시된다.
또는,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문자들에 대하여, 각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의 상부측 경계를 가이드하는 이미지인 상부 경계 이미지(21)로 구성되는 이미지 쌍(30)을 구비하는 가상 키보드 화면를 표시한다. 이 때,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상부 경계 이미지(21)의 상단에 표시된다.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상부 경계 이미지(21)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하단에 표시된다.
또는,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문자들에 대하여, 각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적어도 구비하는 가상 키보드 화면를 표시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에는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인 접촉 감지 영역(60)이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쌍을 이루어 배치되되, 적어도 쌍을 이룬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차지하는 영역의 하단에 일정 면적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면서 접촉 감지 영역(60)이 배치된다.
또는,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문자들에 대하여, 각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적어도 구비하는 가상 키보드 화면를 표시한다. 그리고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하측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의 상부측 경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선(15)을 구비한다.
그리고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이미지인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되기 시작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거나,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되기 시작한 후 미리 정해진 갯수의 문자가 입력된 후 표시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2에서 전자장치는 입력이 요구되는 문자를 식별한다. 구체적으로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이루어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요구되는 문자를 식별한다.
그리고, 단계 S14에서 전자장치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대하여 변화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식별된 문자의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식별된 문자의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대하여 변화를 발생시킨다.
상기한 변화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있어서, 문자 표시(11)가 확대 또는 축소되거나, 문자 표시(11)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자 표시(11)가 파괴되거나, 배경(12)의 색상이 변화하거나,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확대 또는 축소되거나,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전도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된 문자의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식별된 문자의 문자 식별 이미지(10)로부터 변화된 이미지인 변화 이미지(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한 터치 동작의 과정에서 문자 식별 이미지(10) 및 변화 이미지(40)가 가려지지 않도록, 각 이미지 쌍(30)에 있어서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는, 적어도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차지하는 영역의 하단에 일정 면적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면서 표시된다. 그리고, 변화 이미지(40)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있어서 문자 표시(11)가 확대 또는 축소된 이미지, 문자 표시(11)의 색상이 변화한 이미지, 문자 표시(11)가 파괴된 이미지, 배경(12)의 색상이 변화한 이미지,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확대 또는 축소된 이미지,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전도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0에서 표시되는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풍선에 문자가 결합하고 있는 이미지로 한 경우, 상기한 변화는 풍선이 부풀어 오르는 동작일 수 있다. 그리고,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접촉된 위치 또는 접촉된 영역의 중심 위치에 따라 풍선이 부풀어 오르는 방향을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문자에 대한 입력이라도, 사용자에 의해 접촉된 위치 또는 접촉된 영역의 중심 위치에 따라,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상기한 변화를 달리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변화는 문자 식별 이미지(10)에서 문자가 후방으로 멀어지는 것이며, 사용자에 의해 접촉된 위치 또는 접촉된 영역의 중심 위치에 따라,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상기한 변화를 달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후방으로 멀어질 때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자세가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키보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3 내지 14를 통하여 설명된 가상 키보드 및 그 제어 방법의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나아가 입력된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가적인 특징을 가진다.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에 대하여, 입력할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 구비하는 등의 기술적 사상을 동일하게 가진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서 공백 문자에 대한 문자 식별 이미지(10)에는 입력이 완료된 문자들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PHONE'이라는 문자의 입력이 이미 완료된 경우에는 이 문자를 오버레이 이미지(91)로 해서 공백 문자에 대한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표시한다. 그리고, 공백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92)가 그 뒤에 위치하거나 이 문자 표시(92)를 생략할 수도 있다.
가정하여 각 문자를 입력할 때마다 정확히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입력된 문자들, 즉 각 문자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단어 또는 어구는 오버레이 이미지(91)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통상 키보드 입력에서는 몇 개의 문자를 입력한 후 중간 중간에 공백 문자를 입력해야 한다. 그렇다면, 공백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공백 문자에 대한 문자 식별 이미지(10) 쪽으로 시선이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시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최근 입력된 문자들(단어, 어구)을 보여줄 수 있다. 아울러, 공백 문자에 대한 문자 식별 이미지(10)는 좌우 폭이 넓으므로, 이와 같이 입력된 문자들을 오버레이해서 보여주기 쉬운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오버레이는 원래 공백 문자에 대한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온전히 보전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원래 공백 문자에 대한 문자 식별 이미지(10)의 내부에 새로운 창을 만들어거나 배경 색상을 변경하는 등의 표시도 포괄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가상 키보드 제어방법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것을 전제로 앱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한 가상 키보드 제어방법은 일반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단말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 : 문자 식별 이미지 15 : 가이드 선
20 :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 30 : 이미지 쌍
40 : 변화 이미지 60 : 접촉 감지 영역
100 : 가상 키보드 화면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적어도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 가상의 키보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에 따라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 중 선택되는 문자를 입력받는 전자 장치 있어서,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들에 대하여, 입력할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 구비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인 접촉 감지 영역(60)이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쌍을 이루어 배치되되, 적어도 쌍을 이룬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차지하는 영역의 하단에 일정 면적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면서 배치되고,
    상기 접촉 감지 영역(60)은 다음 행에 있는 문자의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겹치며,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상기 접촉 감지 영역(60)을 표시하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대신에, 상기 접촉 감지 영역(60)의 상부측 경계를 가이드하는 상부 경계 이미지(21) 또는 가이드선(15)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한 문자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입력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있어서 변화가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적어도 터치 스크린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가상의 키보드를 구현하는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문자들에 대하여, 각 문자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이미지인 문자 식별 이미지(10)를 적어도 구비하는 가상 키보드 화면를 표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가상 키보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이루어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이 요구되는 문자를 식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식별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있던 위치에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식별된 문자의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에 대하여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영역인 접촉 감지 영역(60)이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쌍을 이루어 배치되되, 적어도 쌍을 이룬 상기 문자 식별 이미지(10)가 차지하는 영역의 하단에 일정 면적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면서 배치되며,
    상기 접촉 감지 영역(60)은 다음 행에 있는 문자의 문자 식별 이미지(10)와 겹치며,
    상기 가상의 키보드 화면은 상기 접촉 감지 영역(60)을 표시하는 접촉 영역 가이드 이미지(20)의 대신에, 상기 접촉 감지 영역(60)의 상부측 경계를 가이드하는 상부 경계 이미지(21) 또는 가이드선(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키보드 제어 방법.
KR1020120119551A 2012-10-26 2012-10-26 가상 키보드 KR101448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551A KR101448035B1 (ko) 2012-10-26 2012-10-26 가상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551A KR101448035B1 (ko) 2012-10-26 2012-10-26 가상 키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919A Division KR20140053801A (ko) 2013-12-17 2013-12-17 가상 키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524A KR20140053524A (ko) 2014-05-08
KR101448035B1 true KR101448035B1 (ko) 2014-10-08

Family

ID=5088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551A KR101448035B1 (ko) 2012-10-26 2012-10-26 가상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0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307A (ko) * 2006-09-06 2009-03-20 애플 인크. 휴리스틱스를 적용하여 명령을 판단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0942825B1 (ko) 2008-02-19 2010-02-18 주식회사 케이투이엔지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9307A (ko) * 2006-09-06 2009-03-20 애플 인크. 휴리스틱스를 적용하여 명령을 판단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장치,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0942825B1 (ko) 2008-02-19 2010-02-18 주식회사 케이투이엔지 가상 키보드가 적용된 기기의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524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9795B2 (en) Ergonomic motion detection for receiving character input to electronic devices
EP2443532B1 (e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US10936086B2 (en) System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utilizing extension key and method thereof
US9740399B2 (en) Text entry using shapewriting on a touch-sensitive input panel
US7502017B1 (en) Handwriting recognizer user interface methods
US109093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10035209A1 (en) Entry of text and selections into computing devices
US20040108995A1 (en) Display unit with touch panel
EP3176687A1 (en)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handheld device
WO2014127671A1 (zh) 连续滑行输入文本的方法、系统及设备
US20140189569A1 (en) User interface for text input on three dimensional interface
WO2013039529A1 (en) Explicit touch selection and cursor placement
US20110025718A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9361022B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KR101646742B1 (ko) 점자 지원 기능이 구비된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557825B2 (en) Finger position sensing and display
JP5997921B2 (ja)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JP2013003803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162243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JPWO2014045414A1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制御プログラム
JP2013003801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448035B1 (ko) 가상 키보드
US20200183531A1 (en) Touchscreen keyboard system
JP6085529B2 (ja) 文字入力装置
KR20140053801A (ko) 가상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