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243B1 -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243B1
KR101162243B1 KR1020090118080A KR20090118080A KR101162243B1 KR 101162243 B1 KR101162243 B1 KR 101162243B1 KR 1020090118080 A KR1020090118080 A KR 1020090118080A KR 20090118080 A KR20090118080 A KR 20090118080A KR 101162243 B1 KR101162243 B1 KR 101162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otion
touch screen
screen panel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433A (ko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 filed Critical 박철
Priority to KR1020090118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2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 이미지들을 표시하며, 터치 동작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은, 드래그 동작의 최초 터치 지점 및 이동 방향에 따라서 미리 정의된 가이드 모션 및 각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된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정의된 가이드 모션 중 입력된 드래그 동작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드래그 동작, 가이드 모션, 가이드 영역, 가이드 이미지, 터치스크린 패널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OF TOUCH SCREEN PANAL}
본 발명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정보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문자의 입력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감압 방식 혹은 정전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감압 방식은 소정의 압력에 의해서 상부 및 하부 전극이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신체의 접촉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정전 방식은 신체의 접촉 혹은 접근에 의해서 저항 전극의 변화하는 정전 용량 값을 측정하여 신체의 접촉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터치스크린 패널은 터치스크린 패널의 상면을 사용자가 손이나 터치 팬을 이용하여 터치(touch)하거나, 드래그(drag) 혹은 드로우(draw)하는 동작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터치스크린 패널을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패널 상에서 터치하여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 들이 이미지화되며, 사용자는 이를 터치하는 동작으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최초 화면에서는 미리 특정된 문자를 버튼 이미지를 통해서 터치스크린 패널의 화면에 표시하는데, 이때, 보다 많은 다양한 문자를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 패널의 평면을 분할할 경우, 버튼 이미지가 너무 작아져 사용자가 터치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비록, 터치스크린 패널 상의 화면을 전환하여, 다른 키 버튼들을 표시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는 있겠으나, 이 역시 화면을 전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제공되는 버튼 이미지에 따른 문자는 물론 그 외에 다양한 문자, 혹은,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기 편리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문자를 버튼 이미지에 모두 표시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 패널 평면을 분할할 경우에, 버튼 이미지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 터치하기 어려워지는 불편함을 극복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 이미지들을 표시하며, 터치 동작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은, 드래그 동작의 최초 터치 지점 및 이동 방향에 따라서 미리 정의된 가이드 모션 및 각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유지하는 단계,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된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정의된 가이드 모션 중 입력된 드래그 동작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스크린 패널이라 함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등의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부에 제공되어 신체의 접촉을 감압, 저항막 혹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센서를 포함하는 기기를 지칭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영상은 투명한 터치패널센서의 상부로 노출되어 특정한 언어의 문자, 숫자, 기호, 그림, 문장부호, 액션 또는 그들의 조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액션이라 함은, 띄어쓰기, 줄 바꾸기, 저장이나 전송 같은 특정 기능 수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센서는 신체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영역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터치 영역은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버튼 이미지의 경계를 따라서 분할되고, 그 분할된 터치 영역 각각에서는 신체가 접촉된 좌표를 읽어 들일 수가 있다.
한편, 버튼 이미지에서 제공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것 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버튼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자는 물론 그 조합, 혹은 그 외에 문자 혹은 그 조합들을 드래그 동작을 통해서 입력할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 동작이라 함은, 버튼 이미지에서 제공하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으로, 각각의 버튼 이미지의 경계 내측에서 탭핑(tapping) 또는 터치(touch)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터치 동작이 버튼 이미지의 경계 내측에서 이루어지는 탭핑 또는 터치하는 동작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각 버튼 이미지의 경계 내측에서 이루어지는 드래그(drag) 혹은 드로우(draw) 동작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드래그 동작이라 함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패널 상에 신체 일부를 접촉시킨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연속적인 궤적을 갖는 동작을 지칭할 수 있으며, 상기 궤적은 버튼 이미지의 경계를 따르거나, 혹은 버튼 이미지의 경계 를 넘나들어, 특정한 문자를 선택하는 터치 동작과는 구분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드래그 동작으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에서는 추가 입력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드래그 동작은 그 최초 터치 지점 및 이동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가이드 모션으로 구분되며, 각 가이드 모션에 따라 미리 정의된 추가 입력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에서는 드래그 동작의 최초 터치 지점 및 이동 방향에 따라서 미리 정의된 가이드 모션 및 각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이드 모션이라 함은, 추가 입력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동작을 지칭하는 것으로, 드래그 동작들은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서 각기 구분될 수 있으며, 구분된 각각의 드래그 동작들은 다른 추가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가이드 모션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조건들은 드래그 동작의 최초 터치 지점 및 이동 방향뿐만 아니라, 드래그 동작의 최종 터치 지점, 드래그의 이동속도, 최종 터치 지점에서의 터치유지시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드래그 동작들을 서로 구분할 수 있는 예를 들면, 드래그 동작이 직선 이동, 곡선 이동 혹은 직선/곡선 이동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하거나, 드래그 동작이 상호 이격, 겹침, 평행, 교차, 분기되도록 하는 조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가지 조건으로 상호 구분될 수 있는 드래그 동작들은 각각 특정한 가이드 모션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정의된 가이드 모션은 그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면, 입력된 드래그 동작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이드 모션을 미리 정의된 가이드 모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그 후에, 선택된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모션을 통해서, 각각의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특정한 언어의 문자, 숫자, 기호, 그림, 문장부호, 액션, 성조(聲調), 발음변화 또는 그들의 조합)를 터치스크린 패널을 통해서 표시함으로써, 최초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제공되는 버튼 이미지에 따른 문자 외에도 다양한 문자, 혹은, 숫자, 기호 등을 드래그 동작을 통해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 모션을 통해서 중국어의 사성(四聲)을 간단하게 선택하거나, 일본어의 탁음, 반탁음, 요음, 촉음 등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문자를 한정된 터치스크린 패널에 모두 표시하지 않고도, 그 문자는 물론 그 외에 이미지화되지 않은 문자들까지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를 모두 표시하기 위하여 버튼 이미지의 크기를 줄여야 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한편, 입력된 드래그 동작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하는 단계는, 가이드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을 터치스크린 패널 상에 정의하 고, 입력된 드래그 동작이 가이드 영역 내에서 수행되는지 판단하고, 입력된 드래그 동작이 가이드 영역에서 수행되는 경우 입력된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영역이라 함은, 드래그 동작이 가이드 모션으로 선택되기 위한 터치패널센서의 영역을 한정한 것으로, 드래그 동작은 터치패널센서 상 어디에서나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이드 모션으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 영역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렇게 드래그 동작이 가이드 영역 내에서 이루어질 경우, 가이드 모션으로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 모션을 위한 드래그 동작의 인식률을 높일 수가 있다.
다만, 가이드 영역의 형태나 위치는 드래그 동작에 의해서 정의되는 가이드 모션을 드래그 동작으로 수행할 때,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가이드 모션은 드래그, 혹은 드로윙 하는 동작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혹여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영역 외부로 조금 벗어나더라도 상술한 동작이 대부분이 가이드 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가이드 모션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영역은 가이드 모션의 주변 일부 영역을 더 포함하도록 터치패널센서 상에서 조금 더 여유로운 면적을 갖도록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된 드래그 동작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이드 모션을 미리 정의된 가이드 모션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여기서,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함은, 가이드 모션을 정의하는 요소가 동일 또는 유사한지를 판단하 는 것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이드 모션이 최초 터치 지점과 이동 방향으로 정의되는 경우, 최초 터치 지점 또는 그 인접한 지점에서 터치가 시작되었는지 및 이동방향과 평행 또는 유사한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가이드 모션이 이동 길이나 이동 궤적 등으로 정의되는 경우 추가된 요소들을 동일 또는 유사 범위에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일 또는 오차 범위를 고려하여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가이드 영역을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정의할 수 있으며, 가이드 모션의 정확한 궤적 및 그 주변을 포함하는 가이드 영역 내에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대응되는 추가 입력정보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에서는 상술한 가이드 모션을 가시화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를 터치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이드 이미지라 함은, 가이드 모션으로 선택되기 위한 드래그 동작을 특정하는 상술한 조건들 예를 들면 최초 터지 지점, 이동 방향, 최종 터치 지점, 드래그의 이동속도, 최종 터치 지점에서의 터치유지시간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가시적으로 표현되는 이미지들을 지칭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이미지는 버튼 이미지와 겹쳐지지 않도록, 평상 시에는 표시되지 않다가,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잠시 표시될 수 있으며, 그 표시는 버튼 이미지보다 어둡거나 얇은 두께로 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버튼 이미지와 혼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가이드 이미지의 표시 여부는 사용자의 숙련도 차이에 의해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추가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가이드 모션에 대한 숙지 정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가이드 모션에 대한 숙지 정도가 좋다면 가이드 이미지를 전혀 표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숙지 정도가 중간 정도라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잠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처음 사용하거나 사용기간이 매우 짧은 사용자의 경우 가이드 모션에 대한 숙지 정도가 매우 낮을 것이므로, 가이드 이미지를 항시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이드 이미지에 의해서 자신이 선택 가능한 다양한 가이드 모션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서 보다 쉽게 원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영역 내에서 드래그 동작을 위한 최초 터치를 감지하고, 가이드 영역 내에서의 최초 터치 지점과 동일한 최초 터치 지점을 갖는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 가능한 다양한 가이드 모션을 미리 보게 되고 이를 통해서 보다 쉽게 원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모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렇게 표시되는 추가 입력정보에 대한 이미지 역시 가이드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특정될 수도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특정한 추가 입력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특정한 가이드 모션을 기억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최초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제공되는 버튼 이미지에 따른 문자 외에도 가이드 모션을 통해서 다양한 문자, 혹은, 숫자, 기호 등을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 모션을 통해서 버튼 이미지에서 제공되는 문자는 물론 그 외에 다양한 문자, 혹은,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다양한 문자를 버튼 이미지에 모두 표시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 패널 상에 문자의 수 보다 적은 버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버튼 이미지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단면도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 패널(100)은 디스플레이(110) 및 터치패널센서(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장치, 액정표시장치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터치패널센서(150)는 일반적인 감압 방식 혹은 정전 방식을 채택하는 것을 두루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터치패널센서(150)는 개인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110) 상에 장착되며,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10) 상에 위치하는 하부 투명필름(122) 및 하부 투명필름(122) 상면에 형성되는 하부 투명전극(124)을 포함하는 하부 시트부재(120), 하부 시트부재(120) 상부에 제공되는 상부 투명필름(132) 및 상부 투명필름(132)의 저면에서 하부 투명전극(124)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상부 투명전극(134)을 포함하는 상부 시트부재(130), 및 상부 투명필름(132) 및 하부 투명필름(122)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 부재(14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을 적용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디스플레이(110)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 이미지(230)들을 표시하며, 버튼 이미지(230)들은 투명한 터치패널센서(150)를 통해서 노출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 이미지(230)에는 한글을 표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버튼 이미지는 한글 외에도 영문이나, 기타 다른 언어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장 부호 혹은 줄 바꾸기와 같은 액션을 입력할 수 있는 버튼 이미지(230)들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터치패널센서(150)는 신체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영역(210)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터치 영역(210)은 디스플레이(110)에서 제공하는 버튼 이미지(230)의 경계를 따라서 분할되어 있으며, 그 분할된 터치 영역(210) 각각에서는 신체가 접촉된 좌표를 읽어 들일 수가 있다.
이에,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를 버튼 이미지(230)를 통해서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손이나 스타일러스팬 등을 이용하여 버튼 이미지(230)를 터치하면, 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분할된 터치 영역(210)의 좌표가 감지되고, 감지된 좌표에 해당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서 선택된 문자 혹은 기호들은 터치 영역(210)과 구분되는 터치패널센서(150)의 상부 영역에 마련된 표시 영역(220)에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터치스크린 패널(100)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서는 터치스크린 패널(100) 상에서 이루어지는 드래그 동작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버튼 이미지(230)에서 제공하는 문자는 물론 그 외의 다른 문자나 숫자, 기호, 그림, 문장부호, 액션(enter 또는 스페이스)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드래그 동작에 의해서 정의되는 가이드 모션 및 가이드 모션이 수행되는 가이드 영역, 및 가이드 이미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100)의 문자입력방법은 드래그 동작의 최초 터치 지점 및 이동 방향에 따라서 미리 정의된 가이드 모션 및 각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유지한다.
터치스크린 패널(100)의 상에 점선으로 표시되는 사각형 및 사각형 내부에 대각선들은 가이드 영역(240)을 제공하며, 가이드 영역(240)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드래그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가이드 영역(240) 내에서 이루어지는 드래그 동작은 드래그 동작의 최초 터치 지점 및 이동 방향에 따라서 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렇게 구분되는 드래그 동작 각각이 가이드 모션에 해당한다.
또한, 드래그 동작은 최초 터치 지점 및 이동 방향은 물론 최종 터치 지점, 드래그의 이동속도, 최종 터치 지점에서의 터치유지시간 등에 의해서도 각각 구분되어 각각 그에 대응하는 가이드 모션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터치패널센서(150)는 이를 감지하고, 입력된 드래그 동작이 가이드 영역(240) 내에서 수행되는지를 판단한 후에, 드래그 동작이 가이드 영역(240)에서 수행되는 경우,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하여,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정의된 가이드 모션 중 입력된 드래그 동작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이드 모션에 대한 드래그 동작의 오차 범위를 고려하여, 가이드 모션의 정확한 궤적 및 그 주변을 포함하는 가이드 영역 내에서 드래그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대응되는 추가 입력정보를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가이드 영역에서 사용자가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도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우측 직선구간을 상부에서 하부로 드래그 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가이드 모션에 의해서 물음표가 선택되며, 물음표는 표시 영역(220)에 표시된다. 다른 예로, 우측 직선구간을 하부에서 상부로 드래그 하는 경우에는 물음표와 띄어쓰기의 조합을 선택하고, 이를 함께 표시 영역(2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영역 내에서 행해지는 가이드 모션에 따라 또 다른 추가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며, 예를 들면, 대각선을 우측 상부에서 좌측 하부로 드래그 하는 경우에는 백 스페이스(back space)를 입력하거나, 반대로 좌측 하부에서 우측 상부로 드래그 하는 경우에는 마침표와 띄어쓰기를 동시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는 사전에 사용자가 미리 특정해 놓을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특정한 추가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특정한 가이드 모션을 보다 쉽게 기억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240)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실지로는 터치스크린 패널(100) 상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는 가이드 영역(240)에 의해서 버튼 이미지(230)들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화면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억에 의존하여 가이드 모션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에서는 가이드 모션으로 선택되기 위한 드래그 동작을 특정하는 조건들 예를 들면 최초 터지 지점, 이동 방향, 최종 터치 지점, 드래그의 이동속도, 최종 터치 지점에서의 터치유지시간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가시적으로 표현되는 이미지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가시적으로 화면상에 표현되는 이미지들을 가이드 이미지라 지칭한다.
다만, 가이드 이미지는 버튼 이미지와 겹쳐지지 않도록, 평상 시에는 표시되지 않다가, 사용자의 터치 동작 혹은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잠시 표시될 수 있으며, 그 표시는 버튼 이미지보다 어둡거나 얇은 두께로 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버튼 이미지와 혼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앞서 설명한 가이드 영역, 가이드 모션, 및 가이드 이미지를 구분하기 용이하게 도시화한 도면으로, 도 4을 참조하면, 가시되지 않아 점선으로 표시되는 가이드 영역 내측에 가이드 이미지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가이드 이미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원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위한 가이드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가이드 이미지는 가이드 모션의 최초 터치 지점과 그 방향을 가시화하여 제공하고, 가이드 영역과 포개지도록 표시되어 사용자가 엉뚱한 부분의 터치패널센서에서 가이드 모션을 위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대략 가이드 모션을 위한 가이드 영역의 위치를 알고 있다면,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하겠지만, 꼭 가이드 모션과 가이드 영역은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도 5에서 가이드 이미지(250)는 버튼 이미지(230)들의 경계를 따라서 제공된다. 도 5에서 가이드 이미지(250)는 여러 가지 가이드 모션의 방향을 표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모션으로 선택될 수 있는 드래그 동작의 이동 방향을 버튼 이미지(230)와 겹쳐지도록 표시하고, 사용자는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구분되는 드래그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추가 입력정보를 갖는 가이 드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이미지(250)는 가이드 모션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 외에도 가이드 모션에 해당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좌측에 배치된 가이드 영역(240) 내에서 위에서 아래로 절반만 드래그 동작할 경우 느낌표(!)에 해당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갖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끝까지 드래그 동작할 경우 물음표(?)에 해당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갖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좌측에 배치된 가이드 영역(240) 내에서 아래에서 위로 절반만 드래그 동작할 경우 마침표(.)에 해당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갖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끝까지 드래그 동작할 경우 쉼표(,)에 해당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갖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우측에 배치된 가이드 영역(240) 내에서 위에서 아래로 절반만 드래그 동작할 경우 띄어쓰기에 해당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갖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끝까지 드래그 동작할 경우 줄바꾸기(enter)에 해당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갖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우측에 배치된 가이드 영역(240)을 아래에서 위로 절반만 드래그 동작할 경우 달러($)에 해당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갖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끝까지 드래그 동작할 경우 원(\)에 해당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갖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각각 가이드 영역(240)의 상부 좌우 및 하부 좌우에서 가이드 영역(240) 터치패널센서의 중앙을 향하여 화살표 표시된 가이드 이미지(250)들은 각 각 서로 다른 추가 입력정보를 갖는 가이드 모션을 가시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물론, 상술한 가이드 이미지(250)의 표시 여부는 사용자의 숙련도 차이에 의해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추가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가이드 모션에 대한 숙지 정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가이드 모션에 대한 숙지 정도가 좋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이미지를 전혀 표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숙지 정도가 중간 정도라면, 가이드 이미지(250)를 터치나 드래그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잠시 표시할 수 있으며, 처음 사용하거나 사용기간이 매우 짧은 사용자의 경우 가이드 모션에 대한 숙지 정도가 매우 낮을 것이므로, 가이드 이미지(250)를 항시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이드 이미지(250)에 의해서 자신이 선택 가능한 다양한 가이드 모션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서 보다 쉽게 원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모션을 보다 쉽게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이미지(250)는 도 6에서는 가이드 영역(240)에 인접하게 표시되지만,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 영역(240) 내부에 배치되어 표시될 수도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사용자가 가이드 영역과 너무 떨어진 엉뚱한 부분에서 가이드 모션을 위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가이드 이미지(250)를 꼭 가이드 영역(240) 내측에 표시하지 않는 것은 가이드 모션을 위한 드래그 동작이 실질적으로 가이드 모션에 해당하면, 그 드래그 동작은 가이드 모션으로 선택되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가이드 이미지(250)는 버튼 이미지(230)를 확인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한도 내에서 가는 실선이나, 점선 혹은 반투명한 이미지를 통해서 가시화시킬 수 있을 것이며, 버튼 이미지보다 어둡거나 얇은 두께로 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버튼 이미지와 혼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영역(240)에서 수행되는 가이드 모션을 통해서, 각각의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특정한 언어의 문자, 숫자, 기호, 그림, 문장부호, 액션 또는 그들의 조합)를 터치스크린 패널(100)을 통해서 표시함으로써, 최초 디스플레이(110) 상에서 제공되는 버튼 이미지(230)에 따른 문자 외에도 다양한 문자, 혹은, 숫자, 기호, 액션 및 그들의 조합을 드래그 동작을 통해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자를 한정된 터치스크린 패널(100)에 모두 표시하지 않고도, 그 문자는 물론 그 외에 이미지화되지 않은 문자들까지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를 모두 표시하기 위하여 버튼 이미지(230)의 크기를 줄여야 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 모션을 통해서 중국어의 사성(四聲)을 간단하게 선택하거나, 일본어의 탁음, 반탁음, 요음, 촉음 등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한정된 터치스크린 패널의 면적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가이드 영역(240)은 터치패널센서(150) 상에 어디든 제공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특정되지 않는다. 다만, 드래그 동작에 의해서 정의되는 가이드 모션을 드래그 동작으로 수행할 때, 사용자가 용이하게 드래그 할 수 있도록 그 형태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가이드 모션은 직선 이동, 곡선 이동 혹은 직선/곡선 이동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모션은 상호 구분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 겹 침, 평행, 교차, 분기 가능하다.
따라서, 가이드 영역은 가이드 모션의 궤적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가이드 영역이 가이드 모션의 궤적을 수용하도록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이는 실질적으로 대부분의 가이드 모션이 가이드 영역 내측에서 수행된다면, 이는 가이드 모션으로 인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영역(240)은 사각형을 이루는 4개의 직선 구간과 사각형 내부에 대각선인 2개의 직선 구간을 포함하여, 총 6개의 직선 구간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영역(240)은 좌우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공된 반원 형태의 2개의 곡선 구간과 4개의 직선 구간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영역(240) 내에서 드래그 동작을 위한 최초 터치를 감지하면, 가이드 영역(240) 내에서의 최초 터치 지점과 동일한 최초 터치 지점을 갖는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느낌표, 쉼표, 물음표와 같은 추가 입력정보를 가이드 이미지(250)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이미지(250)는 소정시간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 가능한 다양한 가이드 모션을 미리 보게 되고 이를 통해서 보다 쉽게 원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가이드 모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이드 영역(240) 우측 상부를 터치하는 순간, 좌측 상부를 최초 터치 지점으로 갖는 느낌표, 쉼표, 물음표에 각각 대응하는 가이드 모션들의 방향과 추가 입력정보가 표시된다.
참고로, 가이드 모션은 가이드 영역(240) 내에서 드래그, 혹은 드로윙 하는 동작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혹여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영역 외부로 조금 벗어나더라도 상술한 동작이 대부분이 가이드 영역(240)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가이드 모션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도 9는 영문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정면도이며,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10)는 영문을 입력할 수 있도록, 6*4의 배열로 소정의 영역을 갖는 버튼 이미지(230)들을 표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버튼 이미지(230) 영역 내부에는 알파벳을 A부터 Z까지 모두 표시하되, 26개의 영자를 모두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비교적 사용이 적은 Q와 Z는 P와 Y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 영역을 일부 분할하여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버튼 이미지(230)에서 제공하는 문자 외에 또 다른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터치스크린 패널(100)의 표시 화면이 한정되어 버튼 이미지(230)의 크기를 줄여야 표시해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이를 극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쉼표, 마침표, 느낌표 등의 문장 부호, 혹은 특수 문자들을 포함하는 추가 입력정보들을 가이드 영역 내에 드래그 동작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추가 입력정보를 위한 키 배열을 생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디스플레이의 공간 내에 배치되는 버튼 이미지의 크기를 크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특수 문자나 혹은 액션의 조합을 한번의 드래그 동작으로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추가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터치스크린 패널 110:디스플레이
150:터치패널센서 210:터치 영역
220:표시 영역 230:버튼 이미지
240:가이드 영역

Claims (11)

  1. 문자 입력을 위한 버튼 이미지들을 표시하며, 터치 동작으로 상기 문자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에 있어서,
    드래그 동작의 최초 터치 지점 및 이동 방향에 따라서 미리 정의된 가이드 모션 및 각 상기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된 드래그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정의된 가이드 모션 중 상기 입력된 드래그 동작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상기 추가 입력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에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모션은 상기 버튼 이미지의 경계를 따라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드래그 동작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을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상에 정의하고,
    상기 입력된 드래그 동작이 상기 가이드 영역 내에서 수행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드래그 동작이 상기 가이드 영역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기 입력 된 드래그 동작에 대응하는 가이드 모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모션은 직선 이동, 곡선 이동 혹은 직선/곡선 이동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가이드 모션은 서로 구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호 이격, 겹침, 평행, 교차, 분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모션은 최종 터치 지점, 드래그의 이동속도, 최종 터치 지점에서의 터치유지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영역 내에서 드래그 동작을 위한 최초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영역 내에서의 상기 최초 터치 지점과 동일한 최초 터치 지점을 갖는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입력정보는 특정한 언어의 문자, 숫자, 기호, 그림, 문장부호, 액션, 성조(聲調), 발음변화 또는 그들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모션을 가시화하기 위한 가이드 이미지를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모션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정보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KR1020090118080A 2009-12-01 2009-12-01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KR101162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080A KR101162243B1 (ko) 2009-12-01 2009-12-01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080A KR101162243B1 (ko) 2009-12-01 2009-12-01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433A KR20110061433A (ko) 2011-06-09
KR101162243B1 true KR101162243B1 (ko) 2012-07-04

Family

ID=4439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080A KR101162243B1 (ko) 2009-12-01 2009-12-01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2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259B1 (ko) * 2011-07-06 2017-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의 문자 입력 방법
US9767076B2 (en) * 2013-03-15 2017-09-19 Google Inc. Document scale and position optimization
US9588675B2 (en) * 2013-03-15 2017-03-07 Google Inc. Document scale and position optimization
KR101511132B1 (ko) * 2013-06-28 2015-04-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자 및 캐릭터 제공을 위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433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8955B2 (ja) 接触エリアの移動させられた表現を用いた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4863211B2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9547430B2 (en) Provision of haptic feedback for localization and data input
KR101364814B1 (ko)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위한 적응형 버츄얼 키보드
US8059101B2 (en)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JP4781957B2 (ja) 携帯端末装置
US20150324060A1 (en) Touch screen overlay for mobile devices to facilitate accuracy and speed of data entry
EP2431853A2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13520860A (ja) 多国語キー入力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10025718A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201501307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1162243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의 문자입력방법
JP5997921B2 (ja)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JP2013222366A (ja) 操作入力装置
US10747335B2 (en) Character and functio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ual function of input and output in character output area
KR20120081422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
KR20110048754A (ko)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정보입력방법
KR20230039741A (ko) 데드 존을 갖는 적응형 터치스크린 키패드
KR101631069B1 (ko) 멀티터치 트랙패드를 통한 심리스한 입력모드 전환을 지원하는 통합 전용 입력 플랫폼
JP2014140236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102161174B1 (ko) 패턴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13033553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102120324B1 (ko) 온스크린 키보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TW201407460A (zh) 手持式電子裝置及其上顯示的虛擬鍵盤之安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