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472B1 -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472B1
KR101447472B1 KR1020120145826A KR20120145826A KR101447472B1 KR 101447472 B1 KR101447472 B1 KR 101447472B1 KR 1020120145826 A KR1020120145826 A KR 1020120145826A KR 20120145826 A KR20120145826 A KR 20120145826A KR 101447472 B1 KR101447472 B1 KR 101447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a
sea water
water
plant
mi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073A (ko
Inventor
김병호
나오수
김기주
강희곤
이현정
강원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12014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4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7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재배에 있어서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함으로써 식물의 생장 촉진, 미네랄 함량의 강화, 당도 등의 품질 향상의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A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Using Mineral Obtained from Desalinized Magma Seawater or the Fermentation Product Thereof}
본 발명은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주도에서도 동부지역(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에만 분포하는 용암해수는 청정하고 수온이 연중 일정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일반 염지하수나 해수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미네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데, 문헌「고기원 등, 제주도 동부지역의 수문지질에 관한 연구(Ⅱ), 2003, 경원대학교」, 문헌「고기원 등, 제주도 동부지역의 지하 지질구조와 지하수위 변동 및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1992,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보, 제3권, P.15~43」, 문헌「고기원 등, 제주도 서귀포층의 지하분포 상태와 지하수와의 관계, 1991, 지질학회지, 제27권 제5호, P. 552」 등을 포함한 기존의 자료로부터 용암해수의 생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즉 외부 해양으로부터 해수가 지하의 용암층을 침투하여 유입하였고, 물의 이동이 어려운 불투수성 퇴적층인 서귀포층(또는 세화리층) 위에서 거대한 해수 수괴가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용암해수는 서귀포층이 엷은 제주도 서부 및 남·북부의 경우는 발견되지 않고, 유일하게 서귀포층이 두터운 제주도 동부지역에서만 발견되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제주도 동부지역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에서 지하 150m를 굴착하여 지하(평균 해수면 기준), 44.35mm, 86.35m 및 126.35m에서 용암해수를 채수하고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성분 분석을 의뢰하여 얻은 수심별 미네랄 함량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제주 용암해수의 수심별 미네랄 농도(ppm)
시험항목 담수 1m 용암해수 44.35m 용암해수 86.35m 용암해수 126.35m
Na 146 11400 11400 10700
Mg 0.49 1510 1520 1390
Ca 9.20 460 490 431
K 38.5 643 540 621
Cu 0.00069 0.00157 0.00113 0.00080
Co - - - -
Sn - - - -
Mo 0.0014 0.011 0.012 0.011
V 0.013 3.28 3.53 0.01
Ge 0.00019 0.0032 0.003 0.0025
Br - - - -
Sr 0.05 1.18 1.31 1.30
Ti - - - -
Ni - - - -
Si(SiO2) 1.21 7.23 6.19 1.21
Zn 0.001 0.0045 0.0039 0.0019
Fe 0.082 0.21 0.26 0.04
Mn 0.01 19.51 20.7 18.9
Cl- 262 16629 18500 19900
B 0.15 3.35 3.73 0.15
Li 0.09 0.37 0.41 0.09
Ba 0.015 0.032 0.019 0.015
Pb 0.00091 0.004 0.0013 0.00065
F - - - -
As - 0.01 - -
Se 0.000049 0.00005 0.00124 0.00086
Hg - - - -
CN- - - - -
Cr - - - -
Cd - - - -
Al 0.14 0.63 0.49 0.47
* 상기 담수는 전기전도도가 1186.58㎲/cm이고 염의 농도가 0.3 퍼밀리인 평균 해수면 하 1m의 지하수의 성분 분석 결과임
상기 [표 1]로부터 용암해수는 염분, 칼슘, 마그네슘 등의 항목에서는 일반 염지하수와 유사한 점을 나타내지만, 바나듐, 게르마늄, 셀레늄 등의 미량원소 항목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얻은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이나 그 탈염 용암해수를 유산균이나 효모에 의하여 발효시켜 얻은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의 발효물을 식물 재배에 이용할 경우 식물의 생장이 촉진되고 식물의 미네랄 함량이 높아짐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듯이, 제주도 동부지역의 지하 86.35m에서 용암해수를 채수하고 그 용암해수를 탈염하여 얻은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과 그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에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서 당밀을 첨가하고 유산균이나 효모를 접종하여 얻은 발효물이 콩나물의 재배 용수로 사용될 때 콩나물의 생장이 촉진되고 콩나물의 미네랄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탈염 용암해수와 그 발효물을 감귤(온주 밀감)의 재배 시에 엽면 살포할 경우 당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식물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식물"이란 생산성의 증대가 인간에게 유용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식물을 말한다. 그러한 식물로서는 일차적으로 농작물인 벼, 밀, 보리, 옥수수, 콩, 감자, 팥, 귀리, 수수, 배추, 콩나물, 청경채, 케일,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열무(young radish), 무, 갓, 고추, 딸기, 토마토, 수박, 오이, 양배추, 참외, 호박, 파, 양파, 당근, 인삼, 담배, 목화, 참깨, 사탕수수, 사탕무우, 들깨, 땅콩, 유채, 사과, 배, 대추, 복숭아, 양다래, 포도, 감귤, 감, 자두, 살구, 바나나 등이 포함될 것이고, 이차적으로 스위치그라스, 억새, 갈대 등과 같은 바이오에너지 작물이 포함될 것이다. 상기 농작물과 바이오에너지 작물 이외에도 생산성의 증대가 인간에게 유용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한 상기 식물의 의미에 포함될 수 있는데, 예컨대 그러한 식물로서는 레드클로버, 장미, 국화, 카네이션, 백합 등의 화훼 작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콩나물 또는 감귤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용암해수"는 발명의 명칭이 "미네랄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미네랄 조성물"인 한국 특허 제0853244호(출원번호: 제10-2008-0027861호)에서 정의되고 설명된 바의 "제주도 동부지역에 부존하고 있는 염지하수"와 같은 의미이다. 구체적으로 "제주도 동부지역"은 행정구역상 제주도 구좌읍, 성산읍 및 표선면을 의미하며, "염지하수"는 일정량 이상 염분이 함유된 지하수를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고기원 등의 논문(고기원 등, 제주도 동부지역의 수문지질에 관한 연구(Ⅱ), 2003, 경원대학교;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된다)에서 사용한 염분 농도에 의거 제주도 지하수를 분류한 기준에 따라 저염지하수(전기전도도가 1,700㎲/cm ~17,350㎲/cm)와 염수지하수(전기전도도가 17,350㎲/cm 이상)를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기전도도가 17,350 ㎲/cm 이상 또는 염의 농도가 30‰(permilliage) 이상(통상 해수의 염분 농도가 32 내지 35‰임)인 염수지하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은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얻어진 결과물로서, 이 결과물은 물과 혼합되어 희석되거나 증발에 의하여 수분이 일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성상이거나 완전히 수분이 증발된 분말상의 성상일 수 있다. 이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은 그 성상이 액상이든 분말상이든 미네랄 성분들의 조성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용암해수 미네랄을 얻기 위해 용암해수를 탈염키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그러한 기술로서는 역삼투압법, 이온교환수지법, 전기투석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발효물"은 그 발효 대상인 액상 또는 분말상의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에 탄소원과 에너지원을 첨가·혼합하고 유산균 또는 효모를 접종하여 배양시켜 얻어진 배양물을 의미한다. 이 배양물은 그대로 이용되거나, 물과 혼합되어 희석되어 이용되거나 여과 등을 통하여 정제된 형태로 이용되거나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시켜 액상 또는 분말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발효물은 발효 대상으로 액상의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을 이용할 경우에는 여기에 탄소원과 에너지원을 첨가·혼합하고 유산균이나 효모를 접종·발효시켜 얻어질 수 있으며, 발효 대상으로 분말상의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을 이용할 경우에는 여기에 탄소원과 에너지원을 첨가·혼합함과 함께 정제수를 첨가·혼합한 후에 유산균이나 효모를 접종·발효시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산균"이란 포도당 등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서 스트렙토코쿠스속 유산균(Streptococcus sp .), 페디오코쿠스속 유산균(Pediococcus sp .), 류코노스톡속 유산균(Leuconostoc sp .), 락토바실루스속 유산균(Lactobacillus sp .) 및 비피도박테리움속 유산균(Bifidobacterium sp.)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세레비세(Pediococcus cerevisiae),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레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레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등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루스속 유산균(Lactobacillus spp.)을 의미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및/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효모"란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로서, 예컨대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ciae), 사카로마이세스 오비폴미스(Saccharomyces oviformis), 사카로마이세스 스테이네리(Saccharomyces steineri)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래의 실시예에서 접종 미생물로 유산균과 효모를 사용하였다고 하더라도 당업계에 알려진 유용 미생물을 사용하더라도 유사한 결과가 얻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한 유용 미생물로서는 누룩균, 고초균, 홍국균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미생물은 2종 이상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가능한 누룩균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소제(Aspergillus sojae) 등을 들 수 있으며, 고초균은 청국장, 된장, 치즈 등 식품의 발효에 관여하는 바실러스속 미생물(Bacillus sp.)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바실러스 섭틸리스(B. subtilis), 바실러스 리크네포르미스(B. lichneform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 megaterium),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낫토(B. natto), 바실러스 안스라시스(B. antharcis), 바실러스렌투스(B. lentus), 바실러스 퍼미러스(B. pumilus), 바실러스 더링지엔시스(B. thuringiensis), 바실러스 알베이(B. alvei), 바실러스 아조토픽산스(B. azotofixans), 바실러스 매세란스(B. macerans), 바실러스 포리믹사(B. polymyxa), 바실러스 파필리에(B. popilliae), 바실러스 코아글란스(B. coagulans), 바실러스 스테아로더모필러스(B. stearothermophilus), 바실러스 파스퇴리(B. pasteurii), 바실러스 패리커스(B. sphaericus), 바실러스 패스티디오서스(B. fastidiosus)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에서 사용 가능한 홍국균(Monascus sp.)으로서는 모나스쿠스 루버(Monascus ruber), 모나스쿠스 퍼퍼레우스(Monascus purpureus), 모나스쿠스 루버반(Monascus rubervan), 모나스쿠스 풀리기노서스(Monascus fuliginosus), 모나스쿠스 필로수스(Monascus pilosus), 모나스쿠스 안카(Monascus anka), 모나스쿠스 바리케리(Monascus barykery), 모나스쿠스 퍼퓨렌스(Monascus purpurens), 모나스쿠스 알비두스(Monascus albidus Sato)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발효물의 제조에서 있어서, 유산균 등의 유용 미생물의 탄소원과 에너지원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통상은 올리고당, 유당, 포도당, 과당, 설탕,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탄소원과 에너지원은 의도한 발효 시간, 발효 정도 등을 고려하여 임의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통상 감귤 분쇄물 100 중량부 기준 3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것이다.
또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발효물의 제조에서 있어서, 상기 발효 시간은 발효 온도, 발효 원료(탈염 용암해수 미네랄과 유용미생물의 탄소원과 에너지원의 혼합물임)의 양, 접종되는 유용 미생물 양 등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당업자는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발효 온도, 발효 원료의 양, 접종되는 유용미생물 양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발효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발효물의 제조에서 있어서, 발효 온도는 15℃~45℃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0℃~40℃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발효 온도가 위 범위보다 낮을 경우 발효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또한 원하지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으며, 발효 온도가 위 범위보다 높을 경우도 발효 미생물의 사멸에 따라 마찬가지로 발효 속도가 느려지거나 원하지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다.
또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발효물의 제조에서 있어서, 발효 후에는 숙성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숙성 단계는 접종된 미생물의 생장이 정지된 후에도 미생물에 의한 발효 산물이 안정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러한 숙성 단계는 10일 내지 12개월 정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의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촉은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엽면 등 식물에 직접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을 분무·살포함에 의해서, 과수가 자라는 토양 등에 살포함에 의해서 가능하다. 또한 비료, 제초제, 살충제 등과 혼합하여 살포하여야 무방하다. 구체적인 접촉 방법은 식물의 종류,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의 성상, 비료 등과의 혼합 살포 여부 등에 따라 당업자가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적절한 방법을 선택·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의 재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의 접촉량은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의 수분이 증발된 분말상으로 이용될 경우를 가정할 때, 1~3,000배, 바람직하게는 500~2,000배까지 희석하여 식물에 접촉시킬 수 있으며, 재배 기간 동안 1~수십회 범위로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의 구체적인 접촉량도 과수의 종류, 희석 농도, 시비(접촉) 횟수, 식물의 생장 정도 등에 따라 당업자가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적절한 접촉량을 선택·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과수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전술한 바의 방법에 따라 얻어진 미네랄 함량이 강화된 식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과수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실의 당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는 방법, 과실의 당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과실의 당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암해수의 의미,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의 의미, 그 발효물의 의미, 접촉의 의미, 접촉 방법, 접촉량 등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본 발명의 식물의 재배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과실의 당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과실은 사람이 식용하는 열매를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 사과, 배, 토마토, 감귤, 수박, 참외, 메론, 포도, 밤, 감, 복숭아, 바나나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바람직하게는 감귤이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전술한 바의 과실의 당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당도가 향상된 과실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고, 식물의 미네랄 함량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당도 등 품질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및 그 발효물의 제조
<실시예 1>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의 제조
제주도 동부지역 제주시 구좌읍 한동리에서 지하 150m를 굴착하여 지하(평균 해수면 기준), 44.35mm, 86.35m 및 126.35m에서 용암해수를 채수하였다. 채수한 용암해수를 한국화학시험연구원(대한민국, 서울 소재)에 의뢰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채취한 용암해수의 전기전도도 및 염분 농도를 측정한 결과 지하 44.35m에서 채수한 용암해수는 전기전도도가 48516.41㎲/cm이고 염분 농도는 14.4‰(permilliage), 지하 86.35m에서 채수한 용암해수는 전기전도도가 50618.4㎲/cm이고 염분 농도는 34.1‰(permilliage)이며, 지하 126.35m에서 채수한 용암해수는 전기전도도가 50474.3㎲/cm이고 염분 농도는 34.1‰(permilliage)로 나타났다.
상기 지하 86.35m에서 채수한 염지하수를 0.2㎛의 필터로 불순물을 걸러낸 후, 전기투석기(ASTOM CO. LTD, 일본)에 의하여 이온 교환막을 이용 1가 이온을 제거함으로써 탈염 과정을 거쳐 탈염 용암해수를 제조하였다. 이 탈염 용암해수에 1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아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발효물의 제조
<실시예 2-1>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의 유산균에 의한 발효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탈염 용암해수 2ℓ에 당밀을 150g 첨가하여 혼합하고, 여기에 MRS(DeMan, Rogosa, and Sharpe) broth에서 준비한 젖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배양액을 5%(v/v) 접종하여 38℃에서 2주 동안 발효시켜 용암해수 미네랄 젖산균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 발효물에 1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아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2>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의 효모에 의한 발효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탈염 용암해수 2ℓ에 당밀을 150g 첨가하여 혼합하고, 여기에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에서 준비한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배양액을 5%(v/v) 접종하여 38℃에서 2주 동안 발효시켜 용암해수 미네랄 효모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이 발효물에 1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아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험예 >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및 그 발효물의 식물 생장 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실험예 1>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및 그 발효물의 식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기 실시예의 탈염 용암해수와 그 발효물이 식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콩나무의 재배 시에 상기 탈염 용암해수와 그 발효물을 재배용수로 사용하여 콩나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 음용수에 콩을 24시간 침지시킨 후에, 대조군은 일반 음용수를 재배용수로 공급하면서 재배하였고, 실험군은 상기 실시예의 탈염 용암해수(실험군 1)와 그 발효물(실험군 2(유산균 발효물 처리군) & 3(효모 발효물 처리군))을 재배용수로 공급하면서 재배하였으며, 콩나무의 재배 온도는 25℃로 하였고 재배기간은 5일로 하였다. 콩나무 재배 5일 후에 각 군에서 20개의 콩나물을 샘플링하여 콩나물의 총 길이(하배축 길이 + 뿌리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MEAN±S.D의 값으로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콩나물의 생장 정도
구분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콩나물의 총 길이(cm) 20.16±1.86 22.04±1.54 24.02±1.53 24.27±1.32
상기 [표 2]의 결과는 실시예의 탈염 용암해수와 그 발효물을 재배용수로 처리한 경우 일반 음용수를 재배용수로 처리한 대조군에 비하여 평균값으로 각각 1.88cm, 3.86cm, 4.01cm 생장이 촉진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생장이 촉진된 이유는 부족한 영양원의 보충으로 콩나물의 생장이 촉진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특히 발효물을 재배용수로 처리한 경우 탈염 용암해수를 재배용수로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1.98, 2.13cm 생장이 촉진되었는데, 이는 발효물에 함유된 미네랄이 발효 미생물에 의하여 섭취·배출 과정에서 콩나물에 의한 생체 이용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 실시예 2>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및 그 발효물의 식물의 미네랄 함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재배 5일째 콩나물에 함유된 미네랄 함량을 살펴보기 위하여 대표적으로 Ca과 Mg의 함량을 ICP 분석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시료를 1g 당 5㎖의 HNO3를 첨가하여 가열하고 시료가 완전히 분해되면 가열하여 HNO3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생성된 펠릿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ICP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를 건조 중량 1g 당 함량으로 환산하여 MEAN±S.D의 값으로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콩나물의 미네랄 함량(ppm)
구분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Ca 3.84±1.86 4.57±1.86 4.87±1.64 4.94±1.86
Mg 2.23±1.86 3.28±1.86 3.71±1.73 3.74±1.86
상기 [표 3]의 결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재배용수로 실시예의 탈염 용암해수를 처리하거나 그 발효물을 처리한 경우 콩나물의 칼슘 농도와 마그네슘 농도가 뚜렷하게 향상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탈염 용암해수의 발효물을 처리할 경우에는 탈염 용암해수를 처리한 경우에 비해서도 칼슘과 마그네슘 농도가 더 향상됨을 보여준다.
< 실시예 3>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및 그 발효물의 감귤의 당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실시예의 탈염 용암해수 및 그 발효물이 감귤(조생 온주 밀감)의 당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주도 제주시 소재 노지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통상의 재배 방법에 따라 재배하되 실험군의 과수에 대해서는 2012년 5월부터 10월까지 월 1회 실시예의 탈염 용암해수 또는 그 발효물을 엽면 살포하게 하고 수확 시기인 11월 중순에 10그루의 과수에서 각 과수당 착색이 우수한 10개의 감귤을 샘플링하여 당도를 측정하였다. 통상의 재배 방법에 따라 재배하되 실시예의 탈염 용암해수 또는 그 발효물을 살포하지 않은 과수를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마찬가지로 10그루의 과수에서 각 과수당 착색이 우수한 10개의 감귤을 샘플링하여 당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평균값으로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온주 밀감의 당도(°Bx)
구분 대조군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당도 11.7 12.4 12.8 12.8
상기 [표 4]의 결과는 실시예의 탈염 용암해수 또는 그 발효물을 엽면 살포할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당도가 각각 0.7°Bx 및 1.1°Bx 상승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탈염 용암해수 발효물을 처리할 경우에 당도가 특히 향상되었다.

Claims (9)

  1.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의 발효물을 식물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효물은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얻어진 미네랄에 접종될 미생물의 탄소원과 에너지원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유산균, 효모, 누룩균, 고초균 및 홍국균 중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재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유산균 또는 효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재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콩나물 또는 감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재배 방법.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
  6.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의 발효물을 식물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효물은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얻어진 미네랄에 접종될 미생물의 탄소원과 에너지원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유산균, 효모, 누룩균, 고초균 및 홍국균 중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생장의 촉진 방법.
  7.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의 발효물을 과수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효물은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얻어진 미네랄에 접종될 미생물의 탄소원과 에너지원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에 유산균, 효모, 누룩균, 고초균 및 홍국균 중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의 당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실은 감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 기재의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당도가 향상된 과실.

KR1020120145826A 2012-12-13 2012-12-13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KR101447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26A KR101447472B1 (ko) 2012-12-13 2012-12-13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5826A KR101447472B1 (ko) 2012-12-13 2012-12-13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073A KR20140077073A (ko) 2014-06-23
KR101447472B1 true KR101447472B1 (ko) 2014-10-06

Family

ID=5112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5826A KR101447472B1 (ko) 2012-12-13 2012-12-13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3390B (zh) * 2015-07-31 2017-10-20 郑礼先 在丘陵坡地上种植香蕉的方法
KR101889482B1 (ko) * 2016-12-23 2018-08-1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된 맥주보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149710B1 (ko) * 2018-11-22 2020-09-16 (주) 미래로 팜 농업회사 황금향 당도향상 및 조기수확 재배방법
KR102481069B1 (ko) * 2019-12-17 2022-12-26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용암해수를 이용한 작약의 재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913A (ko) * 2005-02-15 2005-03-31 대한심층수 주식회사 심층해수성 지하수로 제조되는 농작물 미네랄이온수액과 이의 제조방법
KR20070083161A (ko) * 2006-08-28 2007-08-23 서희동 탈염한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재배방법
KR100853244B1 (ko) 2008-03-26 2008-08-20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미네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미네랄 조성물
KR100873841B1 (ko) 2008-07-03 2008-12-15 (주)창조바이오텍 용암해수를 이용한 미네랄워터의 제조방법
KR101058336B1 (ko) 2008-05-13 2011-08-25 서희동 해양 심층수로부터 생산된 간수를 이용하여 콩나물을재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913A (ko) * 2005-02-15 2005-03-31 대한심층수 주식회사 심층해수성 지하수로 제조되는 농작물 미네랄이온수액과 이의 제조방법
KR20070083161A (ko) * 2006-08-28 2007-08-23 서희동 탈염한 해양 심층수를 이용하여 농작물의 재배방법
KR100853244B1 (ko) 2008-03-26 2008-08-20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미네랄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미네랄 조성물
KR101058336B1 (ko) 2008-05-13 2011-08-25 서희동 해양 심층수로부터 생산된 간수를 이용하여 콩나물을재배하는 방법
KR100873841B1 (ko) 2008-07-03 2008-12-15 (주)창조바이오텍 용암해수를 이용한 미네랄워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073A (ko) 201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i et al. Impact of application of Trichoderma and biochar on growth, productivity and nutritional quality of tomato under reduced NPK fertilization
Eman et al. Minimizing the quantity of mineral nitrogen fertilizers on grapevine by using humic acid, organic and biofertilizers
Sokolova et al. Effect of phytohormones synthesized by rhizosphere bacteria on plants
KR101347694B1 (ko) 탈염 용암해수의 발효물의 제조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발효물 및 그 발효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Gupta et al. Use of a bioaugmented organic soil amendment in combination with gypsum for Withania somnifera growth on sodic soil
KR100729713B1 (ko) 스테비아 추출물 및 광물질을 함유하는 원예용 비료 및 그제조방법
MX2014012524A (es) Uso de microorganismos sinergisticos y nutrientes para producir señales que faciliten la germinacion y la colonizacion de la raiz de la planta por los hongos de micorriza en medios ambientes ricos en fosforo.
KR101447472B1 (ko) 탈염 용암해수 미네랄 또는 그 발효물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 방법
CN111349656A (zh) 酵素及其生产方法和应用
KR101768448B1 (ko)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574719A (zh) 一种多功能复合微生物菌肥及其应用
JP4295806B1 (ja) 植物生長促進剤
Jodeh et al. The study of electrolyte leakage from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pearlmillet using plant growth promotion (PGPR) and reverse osmosis
WO2016108973A1 (en) Planting matrices comprising bacillus spp. microorganisms for benefiting plant growth
KR101463013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한 된장과 간장의 제조방법
KR102281219B1 (ko) 스테비아 발효추출물 및 유용미생물을 포함하여 작물의 생육촉진능을 갖는 토양개량제
JP2023552061A (ja) 大気中の炭素を隔離する方法及びその定量
Vetayasuporn Oyster mushroom cultivation on different cellulosic substrates
Hassouna et al. Biocontrol of soil‐borne plant pathogens attacking cucumber (Cucumis sativus) by Rhizobacteria in a semiarid environment
CN117529538A (zh) 用于保护健康土壤和恢复退化土壤的微生物组合物
JP2006248898A (ja) 作物成長促進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作物の栽培方法
KR20130119681A (ko) 아시네토박터 칼코아세티쿠스 kjg7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한 염류 장해 토양의 복원 방법
AL-Janabi et al. Effect of Biofertilizer (EM-1) and Organic fertilizer (Acadian) on Vegetative Growth of Many Cultivars of Apricot seedling (Prunus armeniaca L.)
KR102660992B1 (ko) 병해충 예방 및 생육촉진을 효과가 우수한 유익균 활성 조성물 제조방법
Fomicheva et al. The effect of the biopreparation of LPB on the yield of vegetable cro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