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371B1 -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371B1
KR101447371B1 KR1020130067535A KR20130067535A KR101447371B1 KR 101447371 B1 KR101447371 B1 KR 101447371B1 KR 1020130067535 A KR1020130067535 A KR 1020130067535A KR 20130067535 A KR20130067535 A KR 20130067535A KR 101447371 B1 KR101447371 B1 KR 101447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ire
curve
shield
fixed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회
Original Assignee
김진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회 filed Critical 김진회
Priority to KR1020130067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02Inspect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18Tools for mounting or demounting ai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8Venting means, e.g. for expelling entrapp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9Testing or calibrating during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각이 방패형(Sheid type)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타이어를 중심으로 외주면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 및 공기차단용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는, 상기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와 상기 공기차단용 고정부가 상기 타이어를 중심으로 결합하여 상기 타이어 내부가 공기차단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 내부로 외부의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타이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외부로의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공기배기 밸브로 이루어진 공기흡입 및 배출단; 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타이어 파손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들은 타이어의 사이즈별로 다른 장치를 써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함으로써, 두 개의 공기 차단을 위한 프레임 형상인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 및 공기차단용 고정부를 이용해 타이어 사이즈와 무관하게 문제가 있는 타이어에 대한 테스트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에 대한 공기 차단 상태에서 내부로 공기 유입시 무리한 압력을 제한함으로써, 타이어가 파손되거나 파손된 부위가 확대 또는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두 개의 공기 차단을 위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 및 공기차단용 고정부에 의해 타이어에 대한 공기 차단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도록 하는 최적화된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damaged tire of vehicle}
본 발명은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이어의 크기와 상관없이 간편한 방법으로 타이어의 균열에 따른 틈새, 외력에 의한 파손 등을 탐지하도록 하기 위한 범용의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타이어는 안전과 직접적 연관성이 있어서, 타이어의 파손을 탐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방식은 선행기술 10-1999-7006303(타이어 테스트용 시스템에 사용되는 자동 폭 조절 가능 척 장치) 등과 같이 타이어의 크기에 따라 별도의 장비가 사용되고 있어서 시스템의 복잡화 내지는 테스트 비용에 대한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 있어서는 종래의 타이어 사이즈별로 파손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해 별도의 장치를 활용하거나, 추가적 장치를 활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타이어 사이즈와 무관하게 검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타이어 파손시 타이어 압력보강장치(Air bag module in the tire) (특허출원번호 제10-2004-0107476호)
2. 타이어 파손 시 차량 안정화 장치 및 방법(Vehicle stabi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amaged tire) (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8986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타이어 파손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들은 타이어의 사이즈별로 다른 장치를 써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함으로써, 두 개의 공기 차단을 위한 프레임을 이용해 타이어 사이즈와 무관하게 문제가 있는 타이어에 대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공기 차단을 위한 프레임에 의해 타이어에 대한 공기 차단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최적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타이어에 대한 공기 유입시 무리한 압력을 제한함으로써, 타이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는, 각각이 방패형(Sheid type)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타이어를 중심으로 외주면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 및 공기차단용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는, 상기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와 상기 공기차단용 고정부가 상기 타이어를 중심으로 결합하여 상기 타이어 내부가 공기차단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 내부로 외부의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타이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외부로의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공기배기 밸브로 이루어진 공기흡입 및 배출단; 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는, 방패형(Shied type)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제 1 방패형 고정단을 베이스로 형성되며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의 내측으로 1자 형태의 원통형 기둥으로 형성되는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의 내면에 형성되는 홀인 "고정홀"로 구분되는 내측형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형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지주와 상기 제 1 방패형 고정단이 맞닿는 지점에 상기 고정지주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4개의 곡선형 보강체로 형성되는 "고정지주 보강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4개의 보강체 각각은 상기 고정지부를 중심으로 90도의 균등한 각도를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 및 배출단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타이어 내부로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타이어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 1 방패형 고정단의 외측에 해당되는 상기 타이어 내부로 제공하기 위해 공기배출구가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기 밸브는 온(ON) 상태로 돌려지는 경우,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공기배출구로부터 상기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오프(OFF) 상태로 돌려지는 경우,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 사이가 막히는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배출구로부터 상기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로의 배출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공기배기 밸브에 대한 오프(OFF) 상태에서의 온(ON) 상태로부터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타이 내부로 30 psi 이상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타이어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방패형 고정단은,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으로부터 원형으로 방사되는 원주의 곡선(RL1)을 중심으로 외주면의 방사되는 방향 상에서 상부와 하부가 구분된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의 곡선에 해당하는 제 1-1 곡선(CL1)은 길이 L1과 곡률 R1, 그리고 상기 하부의 곡선에 해당하는 제 1-2 곡선(CL2)은 길이 L2와 곡률 R2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 L1 : 상기 길이 L2는 1.3 내지 1.5 : 1, 그리고 상기 R1 : 상기 R1는 1.1 내지 1.25 : 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차단용 고정부는, 방패형(Shied type)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제 2 방패형 고정단을 베이스로 형성되며,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의 외측으로 1자 형태의 '나사형 지주'로 형성되는 나사형 고정단을 구비하는 외측형 고정부재;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나사형 고정단은, 상기 내측형 고정부재의 고정지주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고정지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지주의 내측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홀의 암나사 형상과 맞물리는 숫나사 형상으로 외주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형 고정부재는, 상기 나사형 고정단과 상기 제 2 방패형 고정단이 맞닿는 지점에 상기 제 2 방패형 고정단의 내측으로 상기 나사형 고정단을 고정하기 위한 마감부재인 제 1 고정단 보강유닛; 및 상기 제 1 고정단 보강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방패형 고정단(22)의 내측을 타고 8 개의 곡선형 보강체로 형성되는 제 2 고정단 보강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방패형 고정단은,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으로부터 원형으로 방사되는 원주의 곡선(RL2-1) 및 곡선(RL2-2)을 중심으로 제 2 방해형 고정단(12)의 외주면의 방사되는 방향 상에서 구분된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곡선(RL2-1)의 직교선을 잇는 제 2-1 곡선(CL2-1)은 길이 L21과 곡률 R21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선(RL2-1)과 상기 곡선(RL2-2)의 직교선을 잇는 제 2-2 곡선(CL2-2)은 길이 L22와 곡률 R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선(RL2-2)과 최하단의 외주면을 이루는 곡선 사이의 직교선에 해당하는 제 2-3 곡선(CL2-3)은 길이 L23과 곡률 R23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길이 L21 : 상기 길이 L22: 상기 길이 L23는, 2.1 내지 2.2 : 1 : 1.2 내지 1.3이며, 상기 R21 : 상기 R22 : 상기 R23는, 2.3 내지 2.5 : 1.3 내지 1.4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는, 종래의 타이어 파손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들은 타이어의 사이즈별로 다른 장치를 써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함으로써, 두 개의 공기 차단을 위한 프레임 형상인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 및 공기차단용 고정부를 이용해 타이어 사이즈와 무관하게 문제가 있는 타이어에 대한 테스트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는, 타이어에 대한 공기 차단 상태에서 내부로 공기 유입시 무리한 압력을 제한함으로써, 타이어가 파손되거나 파손된 부위가 확대 또는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는, 두 개의 공기 차단을 위한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 및 공기차단용 고정부에 의해 타이어에 대한 공기 차단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도록 하는 최적화된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100)와 타이어(1)에 대한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100)와 타이어(1)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100) 중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100) 중 공기차단용 고정부(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100)가 실제로 제작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100)와 타이어(1)에 대한 결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100)와 타이어(1)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100) 중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100) 중 공기차단용 고정부(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지막으로,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100)가 실제로 제작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100)는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10) 및 공기차단용 고정부(20)의 대칭되는 형상의 두 가지 주요 구성을 포함한다.
먼저,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10)는 내측형 고정부재(11), 공기흡입 및 배출단(12) 및 제 1 방패형 고정단(13)을 포함한다.
내측형 고정부재(11)는 제 1 방패형 고정단(13)의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의 내측으로 1자 형태의 원통형 기둥으로 형성되는 고정지주(11a), 그 밖의 고정홀(11b) 및 고정지주 보강유닛(11c)으로 구분된다.
고정홀(11b)은 제 1 방패형 고정단(13)의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고정지주(11a)의 내면으로 형성되는 홀(hole)로, 후술하는 공기차단용 고정부(20)의 외측형 고정부재(21)가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10)와 결합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고정지주 보강유닛(11c)은 고정지주(11a)와 제 1 방패형 고정단(13)이 맞닿는 지점에 고정지주(11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4개의 곡선형 보강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지주 보강유닛(11c)을 구성하는 4개의 보강체 각각은 고정지부(11a)를 중심으로 90도의 균등한 각도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공기흡입 및 배출단(12)은 제 1 방패형 고정단(13)의 내측에 형성되며 공기흡입구(12a) 및 공기배기 밸브(12b), 그리고 스토퍼(12c)를 구비한다.
공기흡입구(12a)는 외부의 펌프(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10)와 공기차단용 고정부(20)가 타이어(1)를 중심으로 결합시 타이어(1) 내부로 제공하기 위해 제 1 방해형 고정단(13)을 관통한 홀 구조로 형성된다. 공기흡입 및 배출단(12)은 공기흡입구(12a)와 별도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공기흡입구(12a)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제 1 방패형 고정단(13)의 외측에 해당되는 타이어(1) 내부로 제공하기 위해 공기배출구(미도시)가 공기흡입구(12a)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배기 밸브(12b)는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10)와 공기차단용 고정부(20)가 타이어(1)를 중심으로 결합시 공기흡입구(12a)를 통해 타이어(1)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외부로의 배출을 위해 형성된다. 즉 공기배기 밸브(12b)가 온(ON) 상태로 돌려지는 경우, 공기흡입구(12a)와 공기배출구(미도시)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공기배출구로부터 타이어(1) 내부의 공기가 공기흡입구(1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반대로, 공기배기 밸브(12b)가 오프(OFF) 상태로 돌려지는 경우, 공기흡입구(12a)와 공기배출구(미도시) 사이가 막히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공기배출구로부터 타이어(1) 내부의 공기가 공기흡입구(12a)를 통해 외부로의 배출이 차단된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배기 밸브(12b)가 고정지주(11a)와 평행하게 위로 올려지는 경우 오프(OFF) 상태로 설정되며, 반대로 공기배기 밸브(12b)가 고정지주(11a)와 평행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이는 경우 온(ON) 상태로 설정되도록 구조적으로 설계된다.
스토퍼(12c)는 공기배기 밸브(12b)에 대한 오프(OFF) 상태에서의 온(ON) 상태로부터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공기흡입구(12a)로 흡입되는 공기가 타이어(1) 내부로 30 psi 이상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어하여 타이어가 터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방패형 고정단(13)은 방패형(Shied type)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제 1 방패형 고정단(13)의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으로부터 원형으로 방사되는 원주의 곡선(RL1)을 중심으로 제 1 방해형 고정단(13)의 외주면의 방사되는 방향 상에서 상부와 하부가 구분된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부의 곡선에 해당하는 제 1-1 곡선(CL1-1)은 길이 L1과 곡률 R1로 이루어지며, 하부의 곡선에 해당하는 제 1-2 곡선(CL1-2)은 길이 L2와 곡률 R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길이 L1과 길이 L2의 크기 관계는 1.3 내지 1.5 : 1, 그리고 R1과 R2의 크기 관계는 R1 > R2로 형성되며, 비율은 1.1 내지 1.25 : 1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공기차단용 고정부(2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공기차단용 고정부(20)는 크게 두 가지 구성요소인 외측형 고정부재(21) 및 제 2 방패형 고정단(22)을 포함한다.
먼저, 외측형 고정부재(21)는 제 2 방패형 고정단(22)의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의 외측으로 1자 형태의 나사형 지주로 형성되는 나사형 고정단(21a), 그 밖의 제 1 고정단 보강유닛(21b), 제 2 고정단 보강유닛(21c)으로 구분된다.
나사형 고정단(21a)은 내측형 고정부재(11)의 고정지주(11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고정지주(11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정지주(11a)의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홀(11b)의 암나사 형상과 맞물리는 숫나사 형상으로 외주면이 형성된다.
제 1 고정단 보강유닛(21b)은 나사형 고정단(21a)과 제 2 방패형 고정단(22)이 맞닿는 지점에 제 2 방패형 고정단(22)의 내측에서 나사형 고정단(21a)을 고정하기 위한 마감부재에 해당한다.
제 2 고정단 보강유닛(21c)은 제 1 고정단 보강유닛(21b)을 중심으로 제 2 방패형 고정단(22)의 내측을 타고 8 개의 곡선형 보강체로 형성된다. 제 2 고정단 보강유닛(21c)을 구성하는 8개의 보강체 각각은 제 1 고정단 보강유닛(21b)을 중심으로 45도의 균등한 각도를 두고 형성된다.
제 2 방패형 고정단(22)은 방패형(Shied type)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제 2 방패형 고정단(22)의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으로부터 원형으로 방사되는 원주의 곡선(RL2-1) 및 곡선(RL2-2)을 중심으로 제 2 방해형 고정단(12)의 외주면의 방사되는 방향 상에서 구분된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방패형 고정단(22)의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으로부터 곡선(RL2-1)의 직교선을 잇는 제 2-1 곡선(CL2-1)은 길이 L21과 곡률 R2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곡선(RL2-1)과 곡선(RL2-2)의 직교선을 잇는 제 2-2 곡선(CL2-2)은 길이 L22와 곡률 R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곡선(RL2-2)과 제 2 방패형 고정단(22) 상의 최하단의 외주면을 이루는 곡선 사이의 직교선에 해당하는 제 2-3 곡선(CL2-3)은 길이 L23과 곡률 R2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길이 L21과 길이 L22 그리고 길이 L23의 크기 관계는, 2.1 내지 2.2 : 1 : 1.2 내지 1.3 그리고 R21과 R22, 그리고 R23의 크기 관계는, R21 > R22 > R23으로 형성되며, 비율은 2.3 내지 2.5 : 1.3 내지 1.4 : 1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길이와 곡률을 한정한 이유는 8 개의 곡선형 보강체로 이루어진 제 2 고정단 보강유닛(21c)을 포함하는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10)과, 4개의 곡선형 보강체로 형성되는 고정지주 보강유닛(11c)을 포함하는 공기차단용 고정부(20)가 타이어(1)와 결합되어 타이어(1)에 대한 공기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타이어(1) 내부에 대한 공기압 측정결과 가장 오랜 시간에 공기 차단 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하기의 표 1 내지 3과 같이 나타난다.
한편, 공기압 유지시간(sec)은 각 실시예에서 수치 범위에 대한 조합이 가능한 경우 각 조합에 따른 각 시험 결과의 평균값을 나타내며,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전체의 실험결과 중 대조가 명확한 부분적인 결과만을 표시한다.
실시예 L1: L2 R1: R2 L21: L22: L23 R21: R22: R23 공기압 유지시간(sec)
실시예 1 0.4 : 1 1.3 : 1 1.3 : 1 : 1.2~1.3 1.5 : 1.3~1.4 : 1 101
실시예 2 0.5 : 1 1.4 : 1 1.4 : 1 : 1.2~1.3 1.6 : 1.3~1.4 : 1 98
실시예 3 0.6 : 1 1.5 : 1 1.5 : 1 : 1.2~1.3 1.7 : 1.3~1.4 : 1 77
실시예 4 0.7 : 1 1.6 : 1 1.6 : 1 : 1.2~1.3 1.8 : 1.3~1.4 : 1 112
실시예 5 0.8 : 1 1.7 : 1 1.7 : 1 : 1.2~1.3 1.9 : 1.3~1.4 : 1 111
실시예 6 0.9 : 1 1.8 : 1 1.8 : 1 : 1.2~1.3 2.0 : 1.3~1.4 : 1 89
실시예 L1: L2 R1: R2 L21: L22: L23 R21: R22: R23 공기압 유지시간(sec)
실시예 7 1.0 : 1 1.9 : 1 1.9 : 1 : 1.2~1.3 2.1 : 1.3~1.4 : 1 104
실시예 8 1.1 : 1 1.0 : 1 2.0 : 1 : 1.2~1.3 2.2 : 1.3~1.4 : 1 76
실시예 9 1.2 : 1 1.1~1.25 : 1 2.1~2.2 : 1 : 1.2~1.3 2.3~2.5 : 1.3~1.4 : 1 89
실시예 10 1.3~1.5 : 1 1.1~1.25 : 1 2.1~2.2 : 1 : 1.2~1.3 2.3~2.5 : 1.3~1.4 : 1 124
실시예 11 1.6 : 1 1.1~1.25 : 1 2.1~2.2 : 1 : 1.2~1.3 2.3~2.5 : 1.3~1.4 : 1 97
실시예 12 1.7 : 1 1.26 : 1 2.3 : 1 : 1.2~1.3 2.6 : 1.3~1.4 : 1 65
실시예 L1: L2 R1: R2 L21: L22: L23 R21: R22: R23 공기압 유지시간(sec)
실시예 13 1.8 : 1 1.27 : 1 2.4 : 1 : 1.2~1.3 2.7 : 1.3~1.4 : 1 79
실시예 14 1.9 : 1 1.28 : 1 2.5 : 1 : 1.2~1.3 2.8 : 1.3~1.4 : 1 65
실시예 15 2.0 : 1 1.29 : 1 2.6 : 1 : 1.2~1.3 2.9 : 1.3~1.4 : 1 68
실시예 16 2.1 : 1 1.30 : 1 2.7 : 1 : 1.2~1.3 3.0 : 1.3~1.4 : 1 77
실시예 17 2.2 : 1 1.31 : 1 2.8 : 1 : 1.2~1.3 3.1 : 1.3~1.4 : 1 105
실시예 18 2.3 : 1 1.32 : 1 2.9 : 1 : 1.2~1.3 3.2 : 1.3~1.4 : 1 99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타이어
10: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
11: 내측형 고정부재
11a: 고정지주
11b: 고정홀
11c: 고정지주 보강유닛
12: 공기흡입 및 배출단
12a: 공기흡입구
12b: 공기배기 밸브
12c: 스토퍼
13: 제 1 방패형 고정단
20: 공기차단용 고정부
21: 외측형 고정부재
21a: 나사형 고정단
21b: 제 1 고정단 보강유닛
21c: 제 2 고정단 보강유닛
22: 제 2 방패형 고정단
100: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Claims (11)

  1. 각각이 방패형(Sheid type)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타이어를 중심으로 외주면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 및 공기차단용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는,
    상기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와 상기 공기차단용 고정부가 상기 타이어를 중심으로 결합하여 상기 타이어 내부가 공기차단 상태에서 상기 타이어 내부로 외부의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타이어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외부로의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공기배기 밸브로 이루어진 공기흡입 및 배출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 및 배출용 고정부는,
    방패형(Shied type)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제 1 방패형 고정단을 베이스로 형성되며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의 내측으로 1자 형태의 원통형 기둥으로 형성되는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의 내면에 형성되는 홀인 "고정홀"로 구분되는 내측형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형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지주와 상기 제 1 방패형 고정단이 맞닿는 지점에 상기 고정지주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4개의 곡선형 보강체로 형성되는 "고정지주 보강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4개의 보강체 각각은 상기 고정지주를 중심으로 90도의 균등한 각도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 및 배출단은,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타이어 내부로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타이어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 1 방패형 고정단의 외측에 해당되는 상기 타이어 내부로 제공하기 위해 공기배출구가 상기 공기흡입구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기 밸브는 온(ON) 상태로 돌려지는 경우,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공기배출구로부터 상기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오프(OFF) 상태로 돌려지는 경우,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 사이가 막히는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배출구로부터 상기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외부로의 배출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공기배기 밸브에 대한 오프(OFF) 상태에서의 온(ON) 상태로부터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공기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타이어 내부로 30 psi 이상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타이어가 터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패형 고정단은,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으로부터 원형으로 방사되는 원주의 곡선(RL1)을 중심으로 외주면의 방사되는 방향 상에서 상부와 하부가 구분된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의 곡선에 해당하는 제 1-1 곡선(CL1)은 길이 L1과 곡률 R1, 그리고 상기 하부의 곡선에 해당하는 제 1-2 곡선(CL2)은 길이 L2와 곡률 R2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 L1 : 상기 길이 L2는 1.3 내지 1.5 : 1, 그리고 상기 R1 : 상기 R1는 1.1 내지 1.25 : 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차단용 고정부는,
    방패형(Shied type)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제 2 방패형 고정단을 베이스로 형성되며,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의 외측으로 1자 형태의 '나사형 지주'로 형성되는 나사형 고정단을 구비하는 외측형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나사형 고정단은,
    상기 내측형 고정부재의 고정지주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고정지주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지주의 내측으로 형성된 상기 고정홀의 암나사 형상과 맞물리는 숫나사 형상으로 외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외측형 고정부재는,
    상기 나사형 고정단과 상기 제 2 방패형 고정단이 맞닿는 지점에 상기 제 2 방패형 고정단의 내측으로 상기 나사형 고정단을 고정하기 위한 마감부재인 제 1 고정단 보강유닛; 및
    상기 제 1 고정단 보강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방패형 고정단(22)의 내측을 타고 8 개의 곡선형 보강체로 형성되는 제 2 고정단 보강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패형 고정단은,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으로부터 원형으로 방사되는 원주의 곡선(RL2-1) 및 곡선(RL2-2)을 중심으로 제 2 방패형 고정단(22)의 외주면의 방사되는 방향 상에서 구분된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방패 형상의 중앙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곡선(RL2-1)의 직교선을 잇는 제 2-1 곡선(CL2-1)은 길이 L21과 곡률 R21로 이루어지고, 상기 곡선(RL2-1)과 상기 곡선(RL2-2)의 직교선을 잇는 제 2-2 곡선(CL2-2)은 길이 L22와 곡률 R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선(RL2-2)과 최하단의 외주면을 이루는 곡선 사이의 직교선에 해당하는 제 2-3 곡선(CL2-3)은 길이 L23과 곡률 R23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길이 L21 : 상기 길이 L22: 상기 길이 L23는, 2.1 내지 2.2 : 1 : 1.2 내지 1.3이며,
    상기 R21 : 상기 R22 : 상기 R23는, 2.3 내지 2.5 : 1.3 내지 1.4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KR1020130067535A 2013-06-13 2013-06-13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KR101447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535A KR101447371B1 (ko) 2013-06-13 2013-06-13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535A KR101447371B1 (ko) 2013-06-13 2013-06-13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371B1 true KR101447371B1 (ko) 2014-10-06

Family

ID=51996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535A KR101447371B1 (ko) 2013-06-13 2013-06-13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8359A (zh) * 2018-02-05 2018-08-14 三峡大学 一种判别轮胎劳损程度及安全评价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1436A (ja) 2002-09-11 2004-04-02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バースト装置
KR200443533Y1 (ko) 2007-08-28 2009-02-2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파열 시험 장치
KR20120041467A (ko) * 2010-10-21 2012-05-02 장철환 타이어파열시험기
JP2013083549A (ja) 2011-10-11 2013-05-09 Yamato Scale Co Ltd タイヤ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1436A (ja) 2002-09-11 2004-04-02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バースト装置
KR200443533Y1 (ko) 2007-08-28 2009-02-20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파열 시험 장치
KR20120041467A (ko) * 2010-10-21 2012-05-02 장철환 타이어파열시험기
JP2013083549A (ja) 2011-10-11 2013-05-09 Yamato Scale Co Ltd タイヤ検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8359A (zh) * 2018-02-05 2018-08-14 三峡大学 一种判别轮胎劳损程度及安全评价方法
CN108398359B (zh) * 2018-02-05 2020-09-22 三峡大学 一种判别轮胎劳损程度及安全评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961B2 (en) Vacuum chuck
KR101447371B1 (ko) 타이어 파손 테스트 장치
BR112013000953A2 (pt) sistema de enchimento de pneu com circuito de esvaziamento distinto
CN104755764B (zh) 用于轴流式通风机的壳体
CN105004888B (zh) 一种可调集成电路测试治具
US20190337099A1 (en) Abutment, laser cut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048435A1 (en) Device for inspecting canister for vehicle
BR102015009701A2 (pt) Restritores de fluxo e conjunto de válvula
CN1713336B (zh) 受激准分子灯
US20180186145A1 (en) Attachment device,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protection film using attachment system
CN206818350U (zh) 飞机轮胎充气检测装置
CN208737824U (zh) 一种led显示模组的防撞护角
CN109896156A (zh) 一种机械设备运送保护装置
CN109406104A (zh) 一种检测平台及检测装置
CN105043744A (zh) 一种进气旁通阀性能测试仪及其使用方法
CN103424226B (zh) 充气装置
CN104596227B (zh) 风刀
CN203490065U (zh) 截止阀刚性检测系统
CN208204295U (zh) 一种带检测端的快插接头
CN106229183A (zh) 一种断路器保护方法
CN204368038U (zh) 一种可实现车载液晶显示器俯仰角度的安装固定装置
CN205326706U (zh) 一种充气管防护装置及轮胎
CN204447434U (zh) 滤芯和过滤装置
CN206385894U (zh) 充气管路可扩展的充气帐篷
KR20170019256A (ko) 퍼지모듈 및 퍼지모듈이 장착된 대용량 챔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