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945B1 -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945B1
KR101446945B1 KR1020130050521A KR20130050521A KR101446945B1 KR 101446945 B1 KR101446945 B1 KR 101446945B1 KR 1020130050521 A KR1020130050521 A KR 1020130050521A KR 20130050521 A KR20130050521 A KR 20130050521A KR 101446945 B1 KR101446945 B1 KR 101446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lead screw
coupler
motor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세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30050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7Magnetic/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G2401/17Magnetic/Electromagnetic
    • B60G2401/172Hall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마그넷 커플러와 홀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제어를 가능케하고, 제조 용이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가 소개된다. 이러한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리드 스크류 유닛과, 상기 모터와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을 연결하고, 마그넷 감지체를 구비하는 마그넷 커플러와, 상기 마그넷 커플러에 구비된 마그넷 감지체를 감지하는 홀 센서와, 상기 홀 센서로부터 감지된 마그넷 감지체의 감지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ACTUATOR FOR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SUSPENSION)은 차체와 차륜 사이에 존재하면서 차체와 차륜을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스프링과 쇽업소버 및 트레일링 암과 너클, 컨트롤 아암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의 서스펜션은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운전자의 운전 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높여주며,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하게 되는 경우 타이어의 접지면에서의 수직 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킴으써, 차량의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AGCS) 시스템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의 지오메트리를 변경하고 결과적으로 선회시 롤 스티어량을 증대시켜 차량 핸들링 성능을 대폭적으로 개서시켜줄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시스템을 말하며, 차량 선회시 토우 아웃(Toe Out)경향이 나타나서 조정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을 때 토우 인(Toe In)으로 유도하여 차량의 롤(Roll) 발생시 조정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종래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구조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5481, 공개특허공보 제2003-0017668호 등을 통해 자세히 공개되어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2)은 직선운동을 하는 액추에이터(4)와, 이 액추에이터(4)의 작동로드(6)에 연결된 컨트롤 레버(8)와, 이 컨트롤 레버(8)에 연결되어 운동하는 어시스트 암(1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2)은 차속과 조향각, 조향각속도에 따라 액추에이터(4)의 작동로드(6)의 직진운동량을 조절한다.
상기 작동로드(6)의 직진운동에 따라 컨트롤 레버(8)가 회전되며, 컨트롤 레버(8)의 회전에 따라 컨트롤 레버(8)와 어시스트 암(10)의 고정부가 상하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어시스트 암(10)의 운동에 따라 차륜과 어시스트 암 사이에 연결된 너클(12)의 회동이 조절되어, 차륜의 토우각이 조절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은 액추에이터가 과도하게 전진하는 오버 스트로크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부품의 손상이나 장치의 오작동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액추에이터의 모터의 회전 펄스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설치하고,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나 이 리드 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직선운동하는 운동전달부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오버 스트로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모터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오버 스트로크 방지 기능이 추가된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경우 리드 스크류의 모양 및 사양 변화에 따라 추가적인 가공이 요구되어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엔코더에 의해 감지되는 모터의 회전 펄스를 통해 리드 스크류의 이동거리를 계산하였기에 보다 정밀한 제어가 이루어지기에는 부적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마그넷 커플러와 홀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제어를 가능케하고, 제조 용이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리드 스크류 유닛과, 상기 모터와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을 연결하고, 마그넷 감지체를 구비하는 마그넷 커플러와, 상기 마그넷 커플러에 구비된 마그넷 감지체를 감지하는 홀 센서와, 마그넷 감지체의 파형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은, 상기 마그넷 커플러를 매개로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와, 상기 리드 스크류의 외주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가 회전할 때 직선 운동하는 운동 전달 블록과, 상기 운동 전달 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운동 전달 블록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넷 커플러는, 커플러 본체와, 상기 커플러 본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마그넷 감지체를 구비하는 마그넷 설치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는 중심부와, 이 중심부로부터 4방향으로 균분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를 포함하는 십자형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넷 감지체는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에 형성되는 4개의 연장 돌출부의 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플러 본체는 중심부에 축 결합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주형 측면에는 4개의 측면 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의 연장 돌출부의 단부 측면 및 이 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넷 감지체는 상기 커플러 본체에 형성되는 4개의 측면 홈을 통해 상기 커플러 본체의 원주형 측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 감지체는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에 따르면, 마그넷 커플러와 홀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되고, 제조 용이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되며, 제조 비용이 줄어들 수 있게 고, 공간 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에 적용된 마그넷 커플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에 적용된 마그넷 커플러의 마그넷 설치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에 적용된 마그넷 커플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되, 앞서 설명한 도 1을 부분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는 모터(100)와, 리드 스크류 유닛(200)과, 마그넷 커플러(300)와, 홀 센서(400)와, 제어기(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100)는 모터 하우징(M)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200)과 마그넷 커플러(300)와 홀 센서(400)는 트랜스 하우징(T)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는 동력 발생 기구로서, 전기 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하는 축(110)을 구비한다.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200)은 상기 모터(100)의 축(11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10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마그넷 커플러(300)를 매개로 상기 모터(10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210)와, 상기 리드 스크류(210)의 외주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210)가 회전할 때 직선 운동하는 운동 전달 블록(220)과, 상기 운동 전달 블록(220)에 연결되어 상기 운동 전달 블록(220)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230)을 포함한다.
상기 마그넷 커플러(300)는 기본적으로는 커플러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모터(100)와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200)을 연결하여, 상기 모터(100)의 축(110)과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200)의 리드 스크류(210) 사이의 회전 요동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마그넷 커플러(300)는 상기 홀 센서(400)에 의해 감지되는 마그넷 감지체(32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어기(400)를 통한 마그넷 커플러(300)의 회전 상태 내지는 회전수가 파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그넷 커플러(300)는 커플러 본체(310)와, 상기 커플러 본체(310)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마그넷 감지체(321)를 구비하는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플러 본체(310)는 중심부에 축 결합부(312)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축 결합부(312)는 도시된 것처럼, 상기 커플러 본체(310)의 양 측으로 한 쌍이 설치되고, 이 중 하나의 축 결합부(312)에는 상기 모터(100)의 축(110)이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축 결합부(312)에는 리드 스크류(210)의 일측이 결합한다.
또한, 상기 커플러 본체(310)의 원주형 측면(310a)에는 4개의 측면 홈(311)이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중심부(323)와, 이 중심부(323)로부터 4방향으로 균분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322)를 포함하는 십자형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는 가공의 용이성 및 상기 마그넷 감지체(321)의 설치 용이성을 고려할 때,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마그넷 감지체(321)는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 감지체(321)는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에 형성되는 4개의 연장 돌출부(322)의 단부 측면(322a)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4개의 연장 돌출부(322)의 단부 측면(322a) 중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단부 측면(322a)에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마그넷 감지체(321)가 두 개 설치될 경우, 마그넷 감지체(321)가 한 개 설치되는 경우 대비 마그넷 감지체(321)에 대한 감지 싸이클이 단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정밀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의 연장 돌출부(322)의 단부 측면(322a) 및 이 단부 측면(322a)에 설치되는 마그넷 감지체(321)는 상기 커플러 본체(310)에 형성되는 4개의 측면 홈(311)을 통해 상기 커플러 본체(310)의 원주형 측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홀 센서(400)는 마그넷(31)의 극성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홀 센서(400)를 통해 감지되는 신호는 신호의 파형이 하이신호에서 로우신호 혹은, 로우신호에서 하이신호를 변화하게 된다.
상기 제어기(400)는 상기 홀 센서(40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의 파형 변화를 분석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200)의 작동 상태 또는 상기 홀 센서(400)의 회전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모터(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위와 같은 제어기(400)기의 제어에 따라 모터(100)의 축(110)이 회전하면 상기 마그넷 커플러(300)에 의해 연결된 리드 스크류(210)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운동 전달 블록(220)이 직선 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동 전달 블록(220)의 직선 운동은 작동로드(6)에 전달되고, 작동로드(6) 직진 운동을 하면서 컨트롤 레버(8)를 회전시킨다. 커트롤 레버(8)가 회전함에 따라 컨트롤 레버(8)와 어시스트 암(10)의 고정부는 상하 직선 운동을 하게 되며, 이때, 어시스트 암(10)의 상하 직선 운동에 따라 차륜과 어시스트 암 사이에 연결된 너클(12)의 회동이 조절되어, 차륜의 토우각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에 따르면, 마그넷 커플러와 홀센서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되고, 제조 용이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되며, 제조 비용이 줄어들 수 있게 되고, 공간 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0 : 모터 200 : 리드 스크류 유닛
210 : 리드 스크류 220 : 운동 전달 블록
230 : 가이드 레일 300 : 마그넷 커플러
310 : 커플러 본체 320 : 마그넷 설치 구조체
321 : 중심부 322 : 연장 돌출부
400 : 홀 센서 500 : 제어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모터(100);
    상기 모터(100)의 축(11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10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리드 스크류 유닛(200);
    상기 모터(100)와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200)을 연결하고, 마그넷 감지체(321)를 구비하는 마그넷 커플러(300);
    상기 마그넷 커플러(300)에 구비된 마그넷 감지체(321)를 감지하는 홀 센서(400);
    상기 홀 센서(400)로부터 감지되는 마그넷 감지체(321)의 파형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200)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모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500);를 포함하고,
    상기 리드 스크류 유닛(200)은,
    상기 마그넷 커플러(300)를 매개로 상기 모터(10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리드 스크류(210);
    상기 리드 스크류(210)의 외주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210)가 회전할 때 직선 운동하는 운동 전달 블록(220);
    상기 운동 전달 블록(220)에 연결되어 상기 운동 전달 블록(220)의 직선 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230);을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 커플러(300)는,
    커플러 본체(310); 및 상기 커플러 본체(310)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마그넷 감지체(321)를 구비하는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는,
    중심부(323)와, 이 중심부(323)로부터 4방향으로 균분하여 연장 형성되는 연장 돌출부(322)를 포함하는 십자형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넷 감지체(321)는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에 형성되는 4개의 연장 돌출부(322)의 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본체(310)는 중심부에 축 결합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주형 측면에는 4개의 측면 홈(311)이 원주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의 연장 돌출부(322)의 단부 측면 및 이 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마그넷 감지체(321)는 상기 커플러 본체(310)에 형성되는 4개의 측면 홈(311)을 통해 상기 커플러 본체(310)의 원주형 측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7. 청구항 4 있어서,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 감지체(321)는 상기 마그넷 설치 구조체(32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KR1020130050521A 2013-05-06 2013-05-06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KR101446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521A KR101446945B1 (ko) 2013-05-06 2013-05-06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521A KR101446945B1 (ko) 2013-05-06 2013-05-06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945B1 true KR101446945B1 (ko) 2014-10-06

Family

ID=5199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521A KR101446945B1 (ko) 2013-05-06 2013-05-06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9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300A (ko) * 2006-12-12 2008-06-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gcs 액추에이터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64207A (ko) * 2008-12-04 2010-06-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현가장치의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4300A (ko) * 2006-12-12 2008-06-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gcs 액추에이터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64207A (ko) * 2008-12-04 2010-06-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현가장치의 액츄에이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350B1 (ko) 자동차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US6962356B2 (en) Active toe angle adjustment mechanism
US6962355B2 (en) Active toe angle adjustment mechanism
US8753032B2 (en) Friction controlled ball joint
JP2007002904A (ja) 電動ブレーキ装置
JP5154159B2 (ja) 車両用電動ダンパ装置
CN111439298B (zh) 基于超磁致伸缩的转向机构间隙调节装置及其方法
US9517793B2 (en) Method of preventing over stroke in rear-wheel steering system and linear sensor applied thereto
CN112537366A (zh) 用于检测机电式转向系统的方向盘的转向运动的方向盘单元
US20220032885A1 (en) Electric brake, and control device
KR101446945B1 (ko)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US9669680B2 (en) Alignment adjustment device
JPWO2020066735A1 (ja) 電動ブレーキおよび制御装置
KR101860581B1 (ko)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10161227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
JP2018058530A (ja) 電動ブレーキ制御装置
WO2020195921A1 (ja) 電動ブレーキ装置
KR20150022165A (ko) 백래시 저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액추에이터
KR102343224B1 (ko) Tas센서를 이용한 전동식 능동 롤 스태빌라이저 장치
JP2001088527A (ja) 車両の姿勢制御装置
JP7153579B2 (ja) ブレーキ装置
KR100552729B1 (ko) 타이어 간섭 차단용 차량의 가변 랙 스트로크 조향장치
JP4987779B2 (ja) 車両の後輪トー角制御装置
KR20080112463A (ko) 액티브 지오메트리 콘트롤 서스펜션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KR100646476B1 (ko)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용 전동식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