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664B1 - 운동화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운동화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664B1
KR101445664B1 KR1020130035550A KR20130035550A KR101445664B1 KR 101445664 B1 KR101445664 B1 KR 101445664B1 KR 1020130035550 A KR1020130035550 A KR 1020130035550A KR 20130035550 A KR20130035550 A KR 20130035550A KR 101445664 B1 KR101445664 B1 KR 101445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oes
case
wash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광
Original Assignee
서동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광 filed Critical 서동광
Priority to KR1020130035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18Devices for holding footwear during cleaning or shining; Holding devices with stretching effect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다수의 운동화를 동시에 세탁할 수 있도록 하면서 운동화가 세탁 중에 적절히 지지되면서 요동되어 운동화 전체에 걸쳐 대체로 균일하게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동화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세탁장치는 전면에 도어를 가지고, 내부에 다수의 수직격판과 수평격판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구획공간을 가지며, 내측 배면으로 배면판을 가지는 케이스와;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의 내부로 상기 수평격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판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그 상면에 운동화를 거치하는 거치대와;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의 내부로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배치되는 운동화의 양측에 상하로 상호 비스듬하게 한 쌍씩 두 쌍으로 설치되는 스펀지 재질의 원통형의 회전브러시와, 상기 회전브러시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배면판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세탁부와;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의 내측 상부로 상기 배면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물분사관과, 상기 거치대를 향해 상기 물분사관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각각의 상기 물분사관에 관로상으로 연결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물분사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배치된 운동화를 하부로 누르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회전축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화 세탁장치{WASHING APPARATUS FOR SHOES}
본 발명은 운동화를 세탁하는데 사용되는 운동화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다수의 운동화를 동시에 세탁할 수 있도록 하면서 운동화가 세탁 중에 적절히 지지되면서 요동되어 운동화 전체에 걸쳐 대체로 균일하게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동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깅용, 테니스용, 레저용, 등산용 등의 각종 신발을 운동화라고 총칭하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화는 비교적 신체활동이 많을 때 신는 신발이기 때문에 땀에 젖는 일이 많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 자주 착용하기 때문에 때가 많이 타서 빈번하게 세탁을 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운동화는 상반부의 직물재와 바닥의 고무재(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외부모양이 다양한 형태이면서 내부의 안 보이는 부분까지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세탁하게 되며, 이러한 운동화 세탁 작업은 비교적 어렵고 번거롭기 때문에 자주 실시하지 못하게 된다.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동화를 세탁하는 자동 세탁장치가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운동화 세탁장치의 일예로, 공개특허 제2001-0107865호(명칭: 자동 신발세척기)가 있으며, 이를 도 8 및 도 9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신발세척기(10)는 케이스(20) 내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50)에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의 일부가 감겨져 설치되며, 상기 체인의 타부에는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배치되는 다수개의 세척브러시(30)의 일측단부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세척브러시(30)는 케이스(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세척브러시(30) 사이에는 신발(S)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된 신발지지대(40)가 설치된다.
상기 신발지지대(40)에는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배수관(41)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41) 상단부에는 신발(S)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42)이 설치되며, 배수관(4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신발(S) 표면에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4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0) 상부에는 도어(21)가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 폐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21)에는 상기한 신발(S)을 배수관(41)상에 고정시키는 신발고정로드(6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21)를 오픈하고 세척하고자 하는 신발(S)을 배수관(41) 상단부에 결합한 후 상기한 도어(21)를 닫게 되면, 상기 도어(21)에 설치된 선반고정로드(60) 하단부가 신발(S) 상단부에 밀착하게 되어, 상기 신발(S)은 배수관(41)상에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동스위치를 온시키면, 상기한 구동모터(50)가 작동하면서 동력을 체인을 통해 세척브러시(30)에 전달하여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세척브러시(30)의 외측 부분은 신발(S) 외부 표면에 마찰을 일으키면서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제1분사노즐(42)로부터 분사되는 물은 신발(S)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내부를 세척하게 되고, 상기한 제2분사노즐(43)로부터 분사되는 물은 신발(S)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세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2분사노즐(42,43)로부터 물이 분사되는 상태에서 회전하는 세척브러시(30) 끝단부가 신발(S) 표면에 마찰을 일으키면서 통과하게 되면, 상기 신발(S)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되는 동시에 얼룩 등이 제거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운동화 세탁장치는 신발(S)을 신발세척기 내부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세척브러시(30)를 회전시키며 세척작업을 하므로, 신발(S) 전체에 걸쳐 세척작업을 하기가 곤란하여 청결한 작업이 어렵고, 또한 단시간 내에 세척작업을 하기에는 곤란한 결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의 운동화 세탁장치는 장치 자체가 매우 복잡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운동화를 동시에 세탁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크고 복잡한 설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01-0107865호 "자동 신발세척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다수의 운동화를 동시에 세탁할 수 있도록 하면서 운동화가 세탁 중에 적절히 지지되면서 요동되어 운동화 전체에 걸쳐 대체로 균일하게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동화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구획공간으로 주입된 물이 케이스의 외부로 원활히 배수되도록 하는 운동화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화를 미세하게 진동시켜 회전브러시에 의한 세탁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운동화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브러시를 통해 스팀이나 거품세제가 원활히 배출되어 스팀이나 거품세제에 의해 운동화의 세탁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동화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브러시의 분해 및 교체와 이의 설치 및 고정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운동화 세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는, 전면에 도어를 가지고, 내부에 다수의 수직격판과 수평격판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구획공간을 가지며, 내측 배면으로 배면판을 가지는 케이스와;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의 내부로 상기 수평격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판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그 상면에 운동화를 거치하는 거치대와;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의 내부로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배치되는 운동화의 양측에 상하로 상호 비스듬하게 한 쌍씩 두 쌍으로 설치되는 스펀지 재질의 원통형의 회전브러시와, 상기 회전브러시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배면판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세탁부와;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의 내측 상부로 상기 배면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물분사관과, 상기 거치대를 향해 상기 물분사관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각각의 상기 물분사관에 관로상으로 연결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물분사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배치된 운동화를 하부로 누르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회전축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거치대의 일측으로 상하 한 쌍의 상기 회전축의 상기 배면판을 관통하는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1 회전풀리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상기 제1 회전풀리 전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벨트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로 상기 배면판에 설치되는 모터설치판과, 상기 제1 벨트가 연결되는 제1 구동풀리를 가지고 상기 모터설치판에 설치되는 제1 모터와, 상기 거치대의 타측으로 상하 한 쌍의 상기 회전축의 상기 배면판을 관통하는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2 회전풀리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상기 제2 회전풀리 전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벨트와, 상기 제1 구동풀리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제2 벨트가 연결되는 제2 구동풀리를 가지고 상기 모터설치판에 설치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상기 케이스는,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격판에 형성되는 배수공과, 상기 케이스의 하부 일측으로 상기 구획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대의 상면에 배치된 운동화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거치대의 하면에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상기 세탁부는, 상기 회전축의 선단이 밀폐되면서 후단이 개방되게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게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공과, 상기 회전축의 개방된 후단으로 상기 중공부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밀폐되게 장착되는 공급노즐과, 상기 공급노즐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각각의 상기 연결관과 관로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상기 세탁부는, 상기 회전브러시가 상기 회전축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브러시의 배면이 밀착되는 밀착원판과, 상기 밀착원판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브러시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다수의 운동화를 동시에 세탁할 수 있고, 운동화가 세탁 중에 적절히 지지되면서 요동되어 운동화 전체에 걸쳐 대체로 균일하게 세탁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구획공간으로 주입된 물이 케이스의 외부로 원활히 배수되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화를 미세하게 진동시켜 회전브러시에 의한 세탁력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브러시를 통해 스팀이나 거품세제가 원활히 배출되어 스팀이나 거품세제에 의해 운동화의 세탁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스팀이나 거품세제의 투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브러시의 분해 및 교체와 이의 설치 및 고정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의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회전브러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배면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운동화 세탁장치를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운동화 세탁장치를 보인 요부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개략적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는 다수의 사각형의 구획공간(104)을 내부에 가지는 사각 입방체형의 케이스(100)와, 상기 구획공간(104)에 설치되는 다수의 거치대(200)와, 상기 거치대(200)의 둘레로 설치되는 세탁부(300)와, 상기 구획공간(104)의 내부에 설치되는 물분사부(400)와, 상기 세탁부(3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 입방체형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도어(101)가 설치되며, 내부에 다수의 수직격판(102)과 수평격판(103)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구획공간(104)가 형성되고, 내측 배면으로 배면판(105)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101)는 사용자가 운동화(S)를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배출하도록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다수의 유리창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격판(102)과 수평격판(103)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상호 교차되게 장착되어 상기 구획공간(104)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획공간(104)은 운동화(S) 한 짝이 배치되어 세탁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획공간(104)에 의해 본 장치는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운동화(S)를 동시에 세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면판(105)은 상기 구획공간(104)의 배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구동부(500)가 설치되는 장소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104)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격판(103)에 형성되는 배수공(106)과,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 일측으로 상기 구획공간(104)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수관(107)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공(106)은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104)으로 상기 물분사부(400)에 의해 투입된 물이 상기 수평격판(103)을 통해 상기 구획공간(104)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관(107)은 상기 구획공간(104)에서 상기 배수공(106)을 통해 하부측으로 배수된 물이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치대(200)는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104)의 내부로 상기 수평격판(103)의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판(201)에 부착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운동화(S)를 거치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세탁부(300)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는 운동화(S)의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판(201)은 상기 거치대(200)가 상기 수평격판(103)의 상면에서 상부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거치대(200)는 그 하면에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기(20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 진동기(202)는 초음파 발생에 의한 진동으로 상기 거치대(200)의 상면에 배치된 운동화(S)를 미세하게 진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운동화(S)가 미세하게 진동하게 되면 상기 세탁부(300)에 의한 운동화(S)의 세탁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세탁부(300)는 상기 구획공간(104)의 내부로 상기 거치대(200)에 배치된 운동화(S)를 세탁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세탁부(300)는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104)의 내부로 상기 거치대(2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운동화(S)의 양측에 상하로 상호 비스듬하게 한 쌍씩 두 쌍으로 설치되는 스펀지 재질의 원통형의 회전브러시(301)와, 상기 회전브러시(301)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배면판(105)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02)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브러시(301)는 다수의 미세한 공극을 가지는 스펀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회전되면서 운동화(S)의 외부면을 세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축(302)은 상기 회전브러시(301)가 장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이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브러시(301)는 상기 거치대(2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하로 한 쌍씩 설치되고, 운동화(S)를 상기 거치대(200)의 상면에 대응하여 하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상기 거치대(200)의 일측의 상기 회전브러시(301)는 상하 한 쌍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거치대(200)의 타측의 상기 회전브러시(301)는 상하 한 쌍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회전브러시(301)가 운동화(S)를 하부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상기 회전브러시(301)가 운동화(S)를 하부측으로 가압하는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거치대(200)에서 운동화(S)가 대체로 벗어나지 않은 상태로 세탁이 이루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브러시(301)는 상하 한 쌍이 상호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운동화(S)에 불균일한 외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브러시(30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거치대(200)의 상면에 배치된 운동화(S)가 요동을 하는 상태로 브러싱이 이루어져 운동화(S)의 외부면이 대체로 균일하게 세탁될 수 있게 된다(도 3 참조).
상기 물분사부(400)는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104)에 배치된 운동화(S)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물분사부(400)는 상기 거치대(200)의 상면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104)의 내측 상부로 상기 배면판(105)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물분사관(401)과, 상기 거치대(200)를 향해 상기 물분사관(401)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402)과, 각각의 상기 물분사관(401)에 관로상으로 연결되는 급수관(403)을 포함한다.
상기 물분사관(401)은 상기 분사노즐(402)을 통해 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분사노즐(402)은 상기 물분사관(401)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이를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급수관(403)은 수도 등과 연결되어 상기 물분사관(401)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대(200)의 상면에 배치된 운동화(S)를 하부로 누르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회전축(302)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구동부(500)는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회전브러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상기 세탁부(300)는 상기 회전축(302)의 선단이 밀폐되면서 후단이 개방되게 상기 회전축(302)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302a)와, 상기 중공부(302a)와 연통되게 상기 회전축(302)의 외주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공(302b)과, 상기 회전축(302)의 개방된 후단으로 상기 중공부(302a)에 설치되는 베어링(303)과, 상기 베어링(303)에 밀폐되게 장착되는 공급노즐(304)과, 상기 공급노즐(304)에 연결되는 연결관(305)과, 각각의 상기 연결관(305)과 관로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공급관(30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중공부(302a)는 상기 회전축(302)의 단부에서 그 내부로 스팀이나 거품세제가 주입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공(302b)은 상기 중공부(302a)로 주입된 스팀이나 거품세제가 상기 회전브러시(301)로 분사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어링(303)은 상기 회전축(302)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공급노즐(304)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공급노즐(304)은 상기 중공부(302a)로 스팀이나 거품세제가 고압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305)은 상기 공급노즐(304)과 공급관(306)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공급관(306)은 외부의 스팀발생기나 거품발생기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305)으로 스팀이나 거품세제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세탁부(300)는 상기 공급관(306)을 통해 스팀이나 거품세제가 공급되면 상기 연결관(305)을 통해 상기 공급노즐(304)로 스팀이나 거품세제가 상기 중공부(302a)로 고압상태로 주입되고, 상기 중공부(302a)에 주입된 스팀이나 거품세제는 상기 분사공(302b)을 통해 상기 회전브러시(301)로 분사되며, 상기 회전브러시(301)로 분사된 스팀이나 거품세제는 상기 회전브러시(301)의 공극을 통해 상기 회전브러시(301)를 통과하여 운동화에 직접 분사된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상기 회전브러시(301)를 통해 스팀이나 거품세제가 운동화에 분사됨으로써, 운동화의 세탁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노즐(304)을 통해 분사되는 것은 스팀이나 거품세제를 예를 들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세탁 물질이 공급되어 운동화의 세탁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탁부(300)는 상기 회전브러시(301)가 상기 회전축(302)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302)에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축(302)의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브러시(301)의 배면이 밀착되는 밀착원판(307)과, 상기 밀착원판(307)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브러시(301)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돌기(308)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브러시(301)는 상기 회전축(30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회전브러시(301)의 교체 또는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원판(307)은 상기 회전브러시(301)의 교체 시에 회전브러시(301)의 배면을 지지하여 상기 회전축(302)에 대한 상기 회전브러시(301)의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돌기(308)는 스펀지 재질의 상기 회전브러시(301)가 끼워져 상기 밀착원판(307)에 적절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개략적인 요부 배면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세탁장치의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거치대(200)의 일측으로 상하 한 쌍의 상기 회전축(302)의 상기 배면판(105)을 관통하는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1 회전풀리(501)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상기 제1 회전풀리(501) 전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벨트(502)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로 상기 배면판(105)에 설치되는 모터설치판(503)과, 상기 제1 벨트(502)가 연결되는 제1 구동풀리(504a)를 가지고 상기 모터설치판(503)에 설치되는 제1 모터(504)와, 상기 거치대(200)의 타측으로 상하 한 쌍의 상기 회전축(302)의 상기 배면판(105)을 관통하는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2 회전풀리(505)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상기 제2 회전풀리(505) 전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벨트(506)와, 상기 제1 구동풀리(504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제2 벨트(506)가 연결되는 제2 구동풀리(507a)를 가지고 상기 모터설치판(503)에 설치되는 제2 모터(50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터(504)가 구동되면 상기 제1 구동풀리(504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벨트(50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제1 벨트(502)에 연결된 다수의 상기 제1 회전풀리(501)가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다수의 운동화의 일측에 대응되는 다수의 상기 회전축(302)이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2 모터(507)가 구동되면 상기 제2 구동풀리(507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 벨트(50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제2 벨트(506)에 연결된 다수의 상기 제2 회전풀리(505)가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다수의 운동화의 타측에 대응되는 다수의 상기 회전축(302)이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설치판(503)은 상기 배면판(105)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상기 제1 모터(504)와 제2 모터(507)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벨트(502)는 상기 제1 회전풀리(501)에 밀착되고 상기 제2 벨트(506)는 상기 제2 회전풀리(505)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벨트(502)와 제2 벨트(506)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R)가 상기 배면판(10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0 : 케이스
101 : 도어 102 : 수직격판
103 : 수평격판 104 : 구획공간
105 : 배면판 106 : 배수공
107 : 배수관
200 : 거치대
201 : 지지판 202 : 초음파 진동기
300 : 세탁부
301 : 회전브러시
302 : 회전축
302a : 중공부 302b : 분사공
303 : 베어링 304 : 공급노즐
305 : 연결관 306 : 공급관
307 : 밀착원판 308 : 고정돌기
400 : 물분사부
401 : 물분사관 402 : 분사노즐
403 : 급수관
500 : 구동부
501 : 제1 회전풀리 502 : 제1 벨트
503 : 모터설치판
504 : 제1 모터 504a : 제1 구동풀리
505 : 제2 회전풀리 506 : 제2 벨트
507 : 제2 모터 507a : 제2 구동풀리
S : 운동화

Claims (6)

  1. 전면에 도어(101)를 가지고, 내부에 다수의 수직격판(102)과 수평격판(103)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구획공간(104)을 가지며, 내측 배면으로 배면판(105)을 가지는 케이스(100)와;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104)의 내부로 상기 수평격판(103)의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판(201)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201)의 상면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그 상면에 운동화를 거치하는 거치대(200)와;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104)의 내부로 상기 거치대(200)의 상면에 배치되는 운동화의 양측에 상하로 상호 비스듬하게 한 쌍씩 두 쌍으로 설치되는 스펀지 재질의 원통형의 회전브러시(301)와, 상기 회전브러시(301)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배면판(105)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302)을 포함하는 세탁부(300)와;
    상기 거치대(200)의 상면에 대응하여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104)의 내측 상부로 상기 배면판(105)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물분사관(401)과, 상기 거치대(200)를 향해 상기 물분사관(401)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402)과, 각각의 상기 물분사관(401)에 관로상으로 연결되는 급수관(403)을 포함하는 물분사부(4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200)의 상면에 배치된 운동화를 하부로 누르는 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회전축(302)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구동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0)는,
    각각의 상기 구획공간(104)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격판(103)에 형성되는 배수공(106)과,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 일측으로 상기 구획공간(104)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배수관(107)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거치대(200)의 상면에 배치된 운동화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거치대(200)의 하면에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기(20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거치대(200)의 일측으로 상하 한 쌍의 상기 회전축(302)의 상기 배면판(105)을 관통하는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1 회전풀리(501)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상기 제1 회전풀리(501) 전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 벨트(502)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로 상기 배면판(105)에 설치되는 모터설치판(503)과,
    상기 제1 벨트(502)가 연결되는 제1 구동풀리(504a)를 가지고 상기 모터설치판(503)에 설치되는 제1 모터(504)와,
    상기 거치대(200)의 타측으로 상하 한 쌍의 상기 회전축(302)의 상기 배면판(105)을 관통하는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2 회전풀리(505)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다수의 상기 제2 회전풀리(505) 전체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2 벨트(506)와,
    상기 제1 구동풀리(504a)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제2 벨트(506)가 연결되는 제2 구동풀리(507a)를 가지고 상기 모터설치판(503)에 설치되는 제2 모터(5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 세탁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부(300)는,
    상기 회전축(302)의 선단이 밀폐되면서 후단이 개방되게 상기 회전축(302)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302a)와,
    상기 중공부(302a)와 연통되게 상기 회전축(302)의 외주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공(302b)과,
    상기 회전축(302)의 개방된 후단으로 상기 중공부(302a)에 설치되는 베어링(303)과,
    상기 베어링(303)에 밀폐되게 장착되는 공급노즐(304)과,
    상기 공급노즐(304)에 연결되는 연결관(305)과,
    각각의 상기 연결관(305)과 관로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공급관(30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 세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부(300)는,
    상기 회전브러시(301)가 상기 회전축(302)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302)에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축(302)의 둘레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브러시(301)의 배면이 밀착되는 밀착원판(307)과,
    상기 밀착원판(307)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브러시(301)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돌기(30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화 세탁장치.
KR1020130035550A 2013-04-02 2013-04-02 운동화 세탁장치 KR101445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550A KR101445664B1 (ko) 2013-04-02 2013-04-02 운동화 세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550A KR101445664B1 (ko) 2013-04-02 2013-04-02 운동화 세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664B1 true KR101445664B1 (ko) 2014-10-01

Family

ID=5199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550A KR101445664B1 (ko) 2013-04-02 2013-04-02 운동화 세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6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4492A (zh) * 2018-02-26 2018-10-12 郑新 鞋业加工的鞋面清洗装置
CN111345767A (zh) * 2020-03-29 2020-06-30 梅国强 洗鞋机和洗拖鞋和运动鞋的方法
CN113545725A (zh) * 2021-07-27 2021-10-26 王巧灵 一种高效甩干的洗鞋机
KR20220067671A (ko) * 2020-11-18 2022-05-25 이문수 신발닦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482Y1 (ko) 2002-05-09 2002-08-03 송봉학 신발 세탁장치
JP2005218692A (ja) * 2004-02-06 2005-08-18 Nishimatsu Constr Co Ltd 長靴洗浄装置
JP2010099579A (ja) * 2008-10-23 2010-05-06 Kowa Co Ltd ブラシロール及び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482Y1 (ko) 2002-05-09 2002-08-03 송봉학 신발 세탁장치
JP2005218692A (ja) * 2004-02-06 2005-08-18 Nishimatsu Constr Co Ltd 長靴洗浄装置
JP2010099579A (ja) * 2008-10-23 2010-05-06 Kowa Co Ltd ブラシロール及び洗浄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4492A (zh) * 2018-02-26 2018-10-12 郑新 鞋业加工的鞋面清洗装置
CN111345767A (zh) * 2020-03-29 2020-06-30 梅国强 洗鞋机和洗拖鞋和运动鞋的方法
KR20220067671A (ko) * 2020-11-18 2022-05-25 이문수 신발닦이 장치
KR20220068201A (ko) * 2020-11-18 2022-05-25 이문수 신발닦이 장치
KR102409941B1 (ko) 2020-11-18 2022-06-15 이문수 신발닦이 장치
KR102437086B1 (ko) * 2020-11-18 2022-08-25 이문수 신발닦이 장치
CN113545725A (zh) * 2021-07-27 2021-10-26 王巧灵 一种高效甩干的洗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664B1 (ko) 운동화 세탁장치
KR102155066B1 (ko) 운동화 전용 자동 세척기
KR102083363B1 (ko) 운동화 전용 자동 세척기
KR20100031385A (ko) 드럼 세척 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1524503B1 (ko)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KR102026687B1 (ko) 고추 이물질 세척기
US3739417A (en) Industrial carpet and floor conditioner
CN104981564B (zh) 污渍去除装置以及污渍去除单元
KR102201299B1 (ko) 골프 클럽의 자동 세척장치
KR200464231Y1 (ko) 초음파 토양 세척장치
KR101534038B1 (ko) 신발내부세척기능이 구비된 공기방울식 신발세척장치
US3613141A (en) Material conditioning device
JP2004097317A (ja) 回転ドラム式洗濯機
US4016618A (en) Golf ball washing machine
CN201077907Y (zh) 滚筒式洗衣机
KR200480774Y1 (ko) 신발 소제기구
CN110074726A (zh) 清洁装置
KR102245631B1 (ko) 고추 세척기
KR200473298Y1 (ko) 소재 세척장치
US3497898A (en) Fabric cleaning device
KR20050003484A (ko) 마찰롤러를 갖는 세탁기
KR100242493B1 (ko) 당구공 세척장치
CN112545423A (zh) 一种运动鞋清洗装置
JPH10295972A (ja) 衣類等の部分洗い洗浄装置
KR100704780B1 (ko) 발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