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74Y1 - 신발 소제기구 - Google Patents

신발 소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74Y1
KR200480774Y1 KR2020160001395U KR20160001395U KR200480774Y1 KR 200480774 Y1 KR200480774 Y1 KR 200480774Y1 KR 2020160001395 U KR2020160001395 U KR 2020160001395U KR 20160001395 U KR20160001395 U KR 20160001395U KR 200480774 Y1 KR200480774 Y1 KR 200480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cleaning
space
medicine
cleaning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국빈
Original Assignee
이국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국빈 filed Critical 이국빈
Priority to KR2020160001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B08B1/002
    • B08B1/008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을 신은 체로 세척공간에 넣어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별도로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발의 주변을 세척할 수 있는 신발 소제기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신발 소제기구는, 신발이 수용하기 위해 상부와 후방이 개방된 세척공간(110)이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상기 세척공간(110)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세척공간(110)에 신발을 넣은 상태에서 이동될 때 신발의 주변을 문질러 세척하는 세척수단(2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 소제기구{Shoe cleaner}
본 고안은 신발 소제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장의 출입구나 청결을 요하는 산업현장, 또는 군부대 등에 설치되어 작업화나 전투와 등의 신발 주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해주는 신발 소제기구에 관한 것이다.
비가 오거나 눈이 많이 내린 날에 외출을 하게 되면 신발 주변에 진흙 등이 달라 붙어 신발이 지저분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산업현장이나 농,축산업에서는 작업중 작업화가 각종 오염물질로 더럽혀지게 되고, 군부대에서는 훈련 중 전투화나 군화에 많은 이물질이 묻게 된다.
따라서 외출을 하거나 작업을 마치고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에는 신발 주변에 붙은 오염물질을 닦아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신발을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세척솔에 세제 등의 약제를 묻힘 다음 신발을 손으로 잡고 신발의 외부를 일일이 문지르는 번거로운 작업을 거쳐야만 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신발에 묻은 이물질이 손에 묻을 수도 있기 때문에 매우 비위생적이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33087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을 신은 체로 세척공간에 넣어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별도로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발의 주변을 세척할수 있는 신발 소제기구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신발 소제기구는, 신발이 수용하기 위해 상부와 후방이 개방된 세척공간(110)이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상기 세척공간(110)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세척공간(110)에 신발을 넣은 상태에서 이동될 때 신발의 주변을 문질러 세척하는 세척수단(200); 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단(200)은, 상기 세척공간(110)의 전방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1세척솔(210); 상기 세척공간(110)의 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부재(220); 상기 이동부재(220)의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인 일면에 장착되는 제2세척솔(230); 상기 이동부재(220)의 타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세척솔(230)을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240); 상기 이동부재(220)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수단(250); 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수단(250)은 상기 제2세척솔(230) 보다 상기 세척공간(110)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간격 들어가게 배치되며, 신발과 접촉하여 상기 제2세척솔(230)이 일정 길이 이상으로 눌리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지지수단(250)은, 상기 이동부재(220)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고정축(251); 상기 고정축(25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신발과 접촉하여 신발의 이동시 회전하는 회전롤러(252); 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공간(110)의 후방 측부에 구비되며, 신발의 삽입시 신발의 주변에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수단(3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약제공급수단(300)은, 내부에 약제가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100)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약제용기(310); 상기 약제용기(310)의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인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약제용기(310)의 내부의 약제를 흡수하는 심재(321)가 구비되는 흡습부재(320); 상기 약제용기(310)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약제용기(310)를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330);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신발 소제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신발을 상기 세척공간(110)에 넣을 때에 신발을 발에 신은 채로 넣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도로 신발을 손으로 만질 필요가 없으므로, 위생적으로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240)에 의해 상기 제2세척솔(2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신발에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제2세척솔(230)을 일정한 압력으로 문지를 수 있어 세척 효율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200)에 상기 지지수단(25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세척솔(230)과 신발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 상기 제2세척솔(230)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특히, 상기 지지수단(250)에는 신발과 접촉하여 회전되는 회전롤러(252)가 구비됨으로써, 신발의 표면에 기스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고급 구두나 수제화 등도 안전하게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세척시 상기 약제공급수단(300)을 통해 신발의 주변에 세척수 등을 도포할 수 있어 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소제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소제기구에 세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1의 C-Ck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소제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소제기구에 세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1의 C-Ck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신발 소제기구는 케이스(100), 세척수단(200) 및 약제공급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는 대략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신발을 수용하여 세척하기 위한 세척공간(110)이 개방 형성된다.
상기 세척공간(110)은 신발의 형상과 유사한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상면과 후면이 개방된 공간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세척공간(110)에서 떨어진 먼지 등의 이물질일 분리 배출하기 위한 수거공간(120)이 형성된다.
상기 수거공간(120)은 상기 세척공간(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분리판(130)에 의해 상기 세척공간(110)과 분리된다.
여기에서 상기 분리판(13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하로 개방된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세척공간(110)에서 신발을 세척할 때 발생되는 각종 이물질이 상기 수거공간(120)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세척공간(110)의 측부에 제1설치부(140)와 제2설치부(15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설치부(140)는 후술할 상기 세척수단(200)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홈이고, 상기 제2설치부(150)는 후술할 상기 약제공급수단(300)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홈이다.
이러한 상기 제1설치부(140)와 상기 제2설치부(150)는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으로 개방되며, 상기 세척공간(110)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되, 상기 제2설치부(150)가 상기 제1설치부(140)의 후방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세척수단(20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상기 세척공간(110)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세척공간(110)에 신발을 넣은 상태에서 이동될 때 신발의 주변을 문질러 세척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수단(200)은, 제1세척솔(210), 이동부재(220), 제2세척솔(230), 제1탄성부재(240) 및 지지수단(2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세척솔(210)은 신발의 전방 주변을 세척하는 솔이며, 신발의 전방 형성과 유사하게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부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세척솔(210)은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 상면에도 설치되어 신발의 발등 부분 세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세척솔(210)은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신발에 잘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220)는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세척공간(11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설치부(140)에 각각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220)의 가운데에는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으로 돌출되며, 후술할 상기 지지수단(250)이 장착되는 지지돌기(2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세척솔(230)은 신발의 측부를 세척하는 솔이며, 상기 이동부재(220)의 일면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2세척솔(230)은 상기 제1세척솔(210)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구두솔과 같이 각종 동물의 털이나 인조털 등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제2세척솔(230)은 신발의 종류에 따라 솔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재(220)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장착된다.
즉, 구두를 세척할 때에는 고급 말털로 구성된 세척솔을 장착하고, 작업화 등을 세척할 때에는 인조털로 구성된 세척솔을 장착하게 됨으로써, 세척솔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24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220)의 타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세척솔(230)을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부재(220)의 타면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24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제1고정돌기(22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설치부(140)의 내측면에도 상기 제1고정돌기(221)와 대응되도록 제2고정돌기(14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240)는 일단이 상기 제1고정돌기(221)를 감싸게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고정돌기(141)를 감싸게 고정되며, 상기 이동부재(220)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압축 및 팽창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240)는 총 8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공간(110)의 양측에 각각 4개씩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22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세척솔(230)이 상기 이동부재(220)를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제1탄성부재(240)에 의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신발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상기 제2세척솔(230)이 탄성적으로 좌우 이동되어 신발에 밀착되며, 일정한 압력으로 문지를 수 있어 세척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세척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250)은 신발의 세척시 신발에 의해 상기 제2세척솔(230)이 일정 길이 이상으로 눌리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수단(250)은 고정축(251)과 회전롤러(25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축(251)은 상하로 긴 원통형의 축 형상이며, 상기 지지돌기(221)의 끝단에 힌지 결합되어 자전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롤러(252)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축(25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롤러(252)는 신발과 접촉하여 신발의 전후 이동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롤러(252)가 상기 고정축(25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신발이 상기 회전롤러(252)와 접촉할 때 미찰에 의해 표면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252)는 상기 제2세척솔(230) 보다 상기 세척공간(110)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간격 들어가게 배치된다.
즉, 상기 회전롤러(252)는 상기 제2세척솔(230)의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 일단에서 일정 길이 안쪽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수단(250)은 신발이 상기 회전롤러(252)와 접하면 상기 제2세척솔(230)이 상기 세척공간(1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로 인해 상기 제2세척솔(230)과 상기 신발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제2세척솔(230)이 일정 길이 이상 눌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250)은 신발과 접하여 상기 제2세척솔(230)이 일정 길이 이상 눌리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상기 제2세척솔(230)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장기간 일정한 세척률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수명을 연장시키고, 세척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약제공급수단(300)은 상기 세척공간(110)에 신발을 삽입할 대 신발의 주변에 약제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약제용기(310), 흡습부재(320) 및 제2탄성부재(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약제용기(310)는 대략 사각형 형상의 통으로, 내부에 구두약, 세척수 또는 광택제 등의 약제가 수용되며, 상기 제2설치부(150)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상기 흡습부재(320)는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약제용기(310)의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인 일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흡습부재(320)의 상단에는 상기 약제용기(3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약제를 흡수하는 심재(321)가 장착된다.
상기 심재(321)는 상기 약제용기(310)의 내부에 담긴 액체 상태의 약제를 일정하게 흡수하여 상기 흡습부재(320)에 제공하며, 이로 인해 상기 흡습부재(320)는 항상 약제가 머금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흡습부재(320)는 신발이 상기 세척공간(1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때 신발의 측면과 접하여 신발의 측면에 약제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33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설치부(150)에 삽입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제2설치부(150)의 내측면과 상기 약제용기(310)의 타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제2탄성부재(330)는 상기 약제용기(310)를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흡습부재(320)가 상기 신발의 표면에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되어 약제를 바르게 된다,
즉, 상기 세척공간(110)에 삽입된 신발의 크기가 크면 상기 흡습부재(320)와 상기 약제용기(310)가 상기 제2탄성부재(330)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세척공간(1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신발의 크기가 작으면 상기 흡습부재(320)와 상기 약제용기(310)가 상기 제2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신발에 일정하게 밀착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소제기구는,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에 구비되며, 바르는 형태가 아닌 분사 형태로 구성된 약제분사부(400)를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약제분사부(400)는 액체 상태의 약제를 내부에 수용하는 저장용기(410)와, 상기 저장용기(410)의 하단에 구비되는 버튼(420)과, 상기 저장용기(410)의 상단에서 신발의 발등 부분을 향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분사노즐(43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약제분사부(400)는, 세척을 위해 신발을 상기 세척공간(110)으로 넣으면서 신발이 상기 버튼(420)을 누르게 되고, 상기 버튼(420)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저장용기(410)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내부의 약제가 상기 분사노즐(4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서, 일반적인 펌프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분사노즐(430)은 4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세척솔(210)이 배치된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 상측에 구비되며, 좌우로 2개씩 상호 이격 배치된다.
이와 같이 신발의 발등 부위에 약제를 분사하는 상기 약제분사부(400)가 구비됨으로써, 세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특히 상기 버튼(420)이 상기 저장용기(4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어 신발을 상기 세척공간(110)에 넣은 상태에서 쉽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소제기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공간(1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신발을 삽입하게 되고, 상기 지지수단(250)과 상기 흡습부재(320)는 신발과 접하여 신발의 폭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세척공간(110)에 신발을 삽입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반복해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세척솔(210)과 상기 제2세척솔(230)이 신발의 주변을 문질러 세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소제기구는 신발을 상기 세척공간(110)에 넣을 때에 신발을 발에 신은 채로 넣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별도로 신발을 손으로 만질 필요가 없으므로, 위생적으로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240)에 의해 상기 제2세척솔(2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신발에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제2세척솔(230)을 일정한 압력으로 문지를 수 있어 세척 효율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200)에 상기 지지수단(25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세척솔(230)과 신발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 상기 제2세척솔(230)이 휘어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특히, 상기 지지수단(250)에는 신발과 접촉하여 회전되는 회전롤러(252)가 구비됨으로써, 신발의 표면에 기스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고급 구두나 수제화 등도 안전하게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세척시 상기 약제공급수단(300)을 통해 신발의 주변에 세척수 등을 도포할 수 있어 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세척공간
120 : 수거공간 130 : 분리판
140 : 제1설치부 150 : 제2설치부
141 : 제2고정돌기 200 : 세척수단
210 : 제1세척솔 220 : 이동부재
221 : 지지돌기 222 : 제1고정돌기
230 : 제2세척솔
240 : 제1탄성부재 250 : 지지수단
251 : 고정축 252 : 회전롤러
300 : 약제공급수단 310 : 약제용기
320 : 흡습부재 321 : 심재
330 : 제2탄성부재

Claims (4)

  1. 신발이 수용하기 위해 상부와 후방이 개방된 세척공간(110)이 형성된 케이스(1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상기 세척공간(110)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세척공간(110)에 신발을 넣은 상태에서 이동될 때 신발의 주변을 문질러 세척하는 세척수단(200);
    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수단(200)은,
    상기 세척공간(110)의 전방부를 따라 구비되는 제1세척솔(210);
    상기 세척공간(110)의 측부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부재(220);
    상기 이동부재(220)의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인 일면에 장착되는 제2세척솔(230);
    상기 이동부재(220)의 타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세척솔(230)을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240); 및
    상기 이동부재(220)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수단(250);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250)은 상기 제2세척솔(230) 보다 상기 세척공간(110)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간격 들어가게 배치되며, 신발과 접촉하여 상기 제2세척솔(230)이 일정 길이 이상으로 눌리는 것을 저지하고,
    상기 지지수단(250)은,
    상기 이동부재(220)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고정되는 고정축(251); 및
    상기 고정축(25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신발과 접촉하여 신발의 이동시 회전하는 회전롤러(2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소제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공간(110)의 후방 측부에 구비되며, 신발의 삽입시 신발의 주변에 약제를 공급하는 약제공급수단(3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약제공급수단(300)은,
    내부에 약제가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100)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약제용기(310);
    상기 약제용기(310)의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인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약제용기(310)의 내부의 약제를 흡수하는 심재(321)가 구비되는 흡습부재(320);
    상기 약제용기(310)의 타면에 구비되어 상기 약제용기(310)를 상기 세척공간(11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소제기구.
KR2020160001395U 2016-03-15 2016-03-15 신발 소제기구 KR200480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95U KR200480774Y1 (ko) 2016-03-15 2016-03-15 신발 소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95U KR200480774Y1 (ko) 2016-03-15 2016-03-15 신발 소제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774Y1 true KR200480774Y1 (ko) 2016-07-06

Family

ID=5649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395U KR200480774Y1 (ko) 2016-03-15 2016-03-15 신발 소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08887A (zh) * 2018-06-28 2018-12-18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洗鞋方法、装置、洗鞋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619851A (zh) * 2017-04-25 2019-04-16 郑州诚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居家用多功能型鞋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922Y1 (ko) * 1999-09-29 2000-03-15 이종철 신발용 먼지털이 장치
KR200333087Y1 (ko) 2003-08-27 2003-11-12 남기경 신발청소기
KR20050089178A (ko) * 2004-03-04 2005-09-08 성봉석 구두세척기
JP2011161209A (ja) * 2010-02-12 2011-08-25 Joung-Moon Back 靴光沢装置
KR20140006585A (ko) * 2012-07-06 2014-01-16 주식회사 코엘 신발의 먼지떨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922Y1 (ko) * 1999-09-29 2000-03-15 이종철 신발용 먼지털이 장치
KR200333087Y1 (ko) 2003-08-27 2003-11-12 남기경 신발청소기
KR20050089178A (ko) * 2004-03-04 2005-09-08 성봉석 구두세척기
JP2011161209A (ja) * 2010-02-12 2011-08-25 Joung-Moon Back 靴光沢装置
KR20140006585A (ko) * 2012-07-06 2014-01-16 주식회사 코엘 신발의 먼지떨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9851A (zh) * 2017-04-25 2019-04-16 郑州诚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居家用多功能型鞋柜
CN109008887A (zh) * 2018-06-28 2018-12-18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洗鞋方法、装置、洗鞋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3837C2 (ru) Чистящая головка
RU2688975C1 (ru) Насадка пылесоса
KR20130114970A (ko) 세탁기의 세탁조 청소장치
US20040078909A1 (en) Disinfecting mat for cleaning shoes
KR200480774Y1 (ko) 신발 소제기구
GB24802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mop material
US20210345854A1 (en) Apparatus for cleaning footwear
US20080289127A1 (en) Shoe cleaning device
KR102201299B1 (ko) 골프 클럽의 자동 세척장치
CN115135216A (zh) 用于清洁器具的清洁器头
KR101515398B1 (ko) 브러쉬 세척기, 이를 운용하는 방법, 및 브러쉬 세척기를 포함하는 브러쉬 보관함
EA000423B1 (ru) Всасывающее мо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101033753B1 (ko) 기립형 식판공급장치를 구비한 식판 세척장치
CN207640315U (zh) 一种玻璃门窗清洗装置
WO2019135855A1 (en) Apparatus for cleaning cosmetic brushes
EP1857035A1 (en) Floor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445664B1 (ko) 운동화 세탁장치
JP2008023245A (ja) 靴底洗浄装置
WO2014075847A1 (en)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ispenser
KR101870453B1 (ko) 휴대용 얼룩 제거기
KR101892403B1 (ko) 얼룩 제거 장치 및 얼룩 제거 유닛
KR101881670B1 (ko) 신발 세척장치
KR101808983B1 (ko) 신발 세척기구
JP2018187368A (ja) 表面処理装置
CN108430289A (zh) 厕所清洗装置及清洗厕所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