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482B1 -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482B1
KR101445482B1 KR1020130024779A KR20130024779A KR101445482B1 KR 101445482 B1 KR101445482 B1 KR 101445482B1 KR 1020130024779 A KR1020130024779 A KR 1020130024779A KR 20130024779 A KR20130024779 A KR 20130024779A KR 101445482 B1 KR101445482 B1 KR 10144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screen
bubble
screen
lif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453A (ko
Inventor
허승호
Original Assignee
허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호 filed Critical 허승호
Priority to KR102013002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482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8Soap-bubble toys; Smoke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1/00Conjuring appliances; Auxiliary apparatus for conjur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02Arrangements for making stage effects; Auxiliary stage applianc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버블 스크린을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에 연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출입 가능한 본체와, 연속된 둘레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본체에 상기 승강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되, 거품을 생성하기 위한 액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으로 상기 승강부를 상승시키면 상기 승강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연속된 둘레를 갖는 버블 스크린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통 형태의 대형 버블 스크린을 용이하게 생성하고 생성된 버블 스크린의 지속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DEVICE FOR PRODUCING BUBBLE SCREEN}
본 발명은 대형 버블 스크린을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 형태의 대형 버블 스크린을 용이하게 생성하고, 스크린의 내부에 서서 체험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블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폐쇄된 고리를 버블 생성에 필요한 액체에 담근 후 고리에 생성된 버블 스크린 막을 불면 기포 형태의 버블이 생성된다.
현재에는 버블 전용 액체가 생산되어 거대한 버블도 제작이 가능하다. 그런데, 거대한 버블을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직접 고리를 들고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거대한 버블을 생성하는데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대형 버블 스크린을 유지하려면 작업자가 끊임없이 움직이거나 고리를 들고 있어야 하므로 버블 스크린을 유지하기 곤란한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고리를 계속해서 움직이려면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한번 형성된 버블 스크린을 유지하려면 고리를 고정해야 하는데, 사람이 고리를 직접 들고 있어서 고리가 흔들릴 수밖에 없으며 이는 버블 스크린의 유지시간이 짧아지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통 형태의 대형 버블 스크린을 용이하게 생성하고 생성된 버블 스크린의 지속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부에 연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출입 가능한 본체와, 연속된 둘레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본체에 상기 승강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되, 거품을 생성하기 위한 액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으로 상기 승강부를 상승시키면 상기 승강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연속된 둘레를 갖는 버블 스크린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승강부는,
연속해서 형성되고 표면이 매끄러운 고리 및 상기 고리에 설치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흡수부재가 상기 액체를 흡수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부 사이에 표면장력이 커짐으로써 상기 버블 스크린이 잘 생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흡수부재는,
섬유 또는 섬유로 형성된 끈을 상기 고리에 일정 간격으로 감아서 설치하되, 상기 흡수부재가 상기 액체를 흡수하여 상기 고리에 공급함으로써 표면장력이 상승함과 동시에 버블 스크린이 상기 고리에 잘 연결되어 버블 스크린의 지속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또,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롤러와, 일단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롤러를 타고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승강줄 및 상기 승강줄의 타단에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를 당기면 상기 승강줄이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고, 손잡이를 놓으면 상기 승강줄이 본체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승강부가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 상기 승강줄 또는 상기 손잡이를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손잡이 또는 상기 승강줄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승강부를 원하는 높이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원통형의 버블 스크린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둘째, 승강부에 의해서 표면장력이 상승함으로써 버블 스크린의 생성이 용이하고 장시간 지속할 수 있다.
셋째, 스테이지의 둘레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버블 스크린이 안쪽으로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조작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오작동 및 작동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사람이 원통형의 버블 스크린 내부에 서 있음으로써 새로운 체험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아이들의 창의력을 키워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에서 승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1)는, 본체(2), 승강부(3) 및 승강수단(4)을 포함한다. 여기에, 가이드(5) 및 고정수단(6)을 더 포함한다.
본체(2)는, 하부몸체(21), 상부몸체(22), 복수의 기둥(23), 지지프레임(24) 및 보강프레임(25)을 포함한다.
하부몸체(21)는, 대략 원판 형태로 상면에 버블 전용 액체가 수용되는 링 형태의 수용공간(211)이 형성되고, 수용공간(211)을 기준으로 내측은 스테이지(212)가 형성된다. 이때, 스테이지(212)의 상부 둘레는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버블 스크린(B)이 생성될 때, 승강부(3)와 스테이지(212) 사이에 버블 스크린(B)이 생성될 때 버블 스크린(B)의 하단이 스테이지(212)의 상면으로 올라와 버블 스크린(B)의 하단이 가장자리로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상부몸체(22)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몸체(21)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된다.
기둥(23)은, 상부몸체(22)와 하부몸체(21)를 연결하여 상부몸체(22)를 지지하는 것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고, 상부몸체(22) 및 하부몸체(21)의 둘레에 복수가 배치어 설치된다. 이때, 기둥(23)은 상부몸체(22) 및 하부몸체(21)에 용접되거나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둥(23) 사이로 출입하여 스테이지(212)에 설 수 있고, 둘레가 개방되어 외부에서는 스테이지(212)에 서있는 사용자를 볼 수 있고 사용자는 외부환경을 볼 수 있다.
지지프레임(24)은, 대략 사각파이프가 사용되고, 상부몸체(22)의 내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되 후술할 복수의 롤러(41)를 설치하기 위해서 대략 십자형태로 상부몸체(22)에 고정된다.
보강프레임(25)은, 대략 플레이트 형태로, 지지프레임(24)을 보강하기 위해서 지지프레임(24)의 상부에 복수가 배치되고 상부몸체(22)에 고정된다. 그리고, 보강프레임(25)의 하단에는 지지프레임(24)과 보강프레임(25)을 연결하도록 사각파이프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지지프레임(24)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부(3)는, 고리(31) 및 흡수부재(32)를 포함한다.
고리(31)는, 표면이 매끄러운 링 형태의 프레임이 사용되되 하부몸체(21)의 수용공간(211)에 대응하고, 수용공간(211)에 삽입된다. 여기서 표면이 매끄러운 고리(31)를 사용하는 것은 거친 표면보다 매끄러운 표면에서 표면장력이 우수하고, 버블 스크린(B) 생성시 버블스크린과의 연결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고리(31)는 수용공간(211)에 수용된 액체에 침수되고, 후술할 승강수단(4)에 의해서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흡수부재(32)는, 섬유 또는 섬유로 형성된 끈이 고리(31)에 일정 간격으로 감아서 설치한다. 이는, 흡수부재(32)가 액체를 흡수한 상태에서 승강부(3)가 상승하면 흡수부재(32)가 액체를 머금고 있어서 승강부(3)의 표면장력이 상승하고, 흡수부재(32)에 흡수된 액체가 고리(31) 표면으로 공급되어 버블 스크린(B)의 지속시간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고리(31)에서는 버블 스크린(B)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흡수부재(32)는 표면장력의 상승 및 버블 스크린(B)의 지속시간을 늘리는 기능을 한다.
승강수단(4)은, 복수의 롤러(41), 승강줄(42) 및 손잡이(43)를 포함한다.
롤러(41)는, 대략 4개의 도르레 등이 사용되고, 승강줄(42)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지지프레임(24)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때, 롤러(41)는 지지프레임(24)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승강줄(42)이 고리(31)에 연결된 후 승강줄(42)을 한곳으로 용이하게 모으기 위해서 롤러(41)를 지지프레임(24)으로부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즉, 승강줄(42)의 방향을 용이하게 바꾸기 위함이다.
승강줄(42)은, 대략 4개가 설치되고 일단이 고리(31)에 등 간격으로 연결되며, 타단은 각각의 롤러(41)를 타고 후술할 가이드(5)에 삽입되어 본체(2) 밖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승강줄(42)의 타단은 후술할 손잡이(43)와 연결된다. 이때, 4개의 승강줄(42)을 이용하는 것은 승강부(3)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고 승강부(3)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손잡이(43)는, 승강줄(42)의 타단에 연결되고, 본체(2)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43)를 당기면 승강줄(42)이 본체(2)로부터 인출되면서 승강부(3)를 상승시키고, 손잡이(43)를 놓으면 승강부(3)의 자중에 의해서 승강부(3)가 하강한다.
가이드(5)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술한 승강줄(42)들을 한곳에 모으기 위해서 어느 하나의 기둥(23)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승강줄(42)들이 가이드(5)에 의해 한곳에 모이고 손잡이(43)로 승강줄(42)을 동시에 컨트롤할 수 있다.
고정수단(6)은, 손잡이(43) 또는 승강줄(42)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지된 기술을 이용하고 가이드(5)의 끝단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43)를 잡아당긴 후 고정수단(6)을 작동시키면 승강줄(42)들이 고정수단(6)에 고정되어 승강부(3)가 상승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43)를 잡고 있지 않아도 버블 스크린(B)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고정수단(6)은 주지된 기술을 이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승강부(3)가 수용공간(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공간(211)에 액체를 주입한다.
액체 주입이 끝나면 체험자는 스테이지(212)에 올라가 서 있는다.
체험자가 스테이지(212)에 올라서면 손잡이(43)를 잡아당겨 승강부(3)를 상승시킨다.
승강부(3)가 상승하면 스테이지(212)와 승강부(3) 사이에 원통형의 버블 스크린(B)이 생성된다.
계속해서 승강부(3)를 상승시킨 후 고정수단(6)으로 승강줄(42)들을 고정하면 승강부(3)는 상승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체험자는 생성된 버블 스크린(B)을 통해서 외부환경을 볼 수 있어서 마치 유리병에 속에 있는 듯한 체험을 하게 되며, 체험자가 버블 스크린(B)을 향해 바람을 불면 버블 스크린(B)이 변형되면서 색다른 체험을 할 수 있다.
버블 스크린(B)의 지속시간이 끝나서 버블 스크린(B)이 사라지면 고정수단(6)을 해제하고 승강부(3)를 하강시켜 수용공간(211)에 삽입시킨다.
위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면 원통형의 버블 스크린(B)을 계속해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거대한 원통형의 버블 스크린(B)을 생성할 수 있고, 체험자에게 색다른 재미와 체험을 제공함으로써 아이들의 창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작동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소하여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위험요소가 없어서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
2; 본체
21; 하부몸체
211; 수용공간
212; 스테이지
22; 상부몸체
23; 기둥
24; 지지프레임
25; 보강프레임
3; 승강부
31; 고리
32; 흡수부재
4; 승강수단
41; 롤러
42; 승강줄
43; 손잡이
5; 가이드
6; 고정수단
B; 버블 스크린

Claims (5)

  1. 삭제
  2. 하부에 연속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출입 가능한 본체;
    연속된 둘레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상승 또는 하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본체에 상기 승강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거품을 생성하기 위한 액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수단으로 상기 승강부를 상승시키면 상기 승강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연속된 둘레를 갖는 버블 스크린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승강부는,
    연속해서 형성되고 표면이 매끄러운 고리; 및
    상기 고리에 설치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흡수부재가 상기 액체를 흡수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부 사이에 표면장력이 커짐으로써 상기 버블 스크린이 잘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는,
    섬유 또는 섬유로 형성된 끈을 상기 고리에 일정 간격으로 감아서 설치하되, 상기 흡수부재가 상기 액체를 흡수하여 상기 고리에 공급함으로써 표면장력이 상승함과 동시에 버블 스크린이 상기 고리에 잘 연결되어 버블 스크린의 지속시간이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30024779A 2013-03-08 2013-03-08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 KR101445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779A KR101445482B1 (ko) 2013-03-08 2013-03-08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779A KR101445482B1 (ko) 2013-03-08 2013-03-08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53A KR20140110453A (ko) 2014-09-17
KR101445482B1 true KR101445482B1 (ko) 2014-09-26

Family

ID=5175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779A KR101445482B1 (ko) 2013-03-08 2013-03-08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8476B (zh) * 2014-09-05 2017-12-12 万金芬 可构建气泡式城堡的装置
CN114082205A (zh) * 2021-10-22 2022-02-25 李军 一种巨型泡泡成型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175Y1 (ko) * 1980-07-29 1981-09-19 양춘식 비누방울 현출기(顯出器)
KR19980037346A (ko) * 1996-11-21 1998-08-05 송호봉 멤브레인 프레스장치
KR200149746Y1 (ko) 1996-11-07 1999-06-15 엄은희 닥트용 코너플레이트 압착기
KR100989357B1 (ko) 2009-12-30 2010-10-26 김기원 봉 걸레 탈수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175Y1 (ko) * 1980-07-29 1981-09-19 양춘식 비누방울 현출기(顯出器)
KR200149746Y1 (ko) 1996-11-07 1999-06-15 엄은희 닥트용 코너플레이트 압착기
KR19980037346A (ko) * 1996-11-21 1998-08-05 송호봉 멤브레인 프레스장치
KR100989357B1 (ko) 2009-12-30 2010-10-26 김기원 봉 걸레 탈수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53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22147B (zh) 一种建筑用高安全性升降式施工台
KR101445482B1 (ko)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
KR101414928B1 (ko) 버블 스크린 생성장치
CN212660662U (zh) 一种园林绿化种植箱
CN107320261B (zh) 一种具有提升装置的辅助起身床
RU2014147101A (ru) Способ и механ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тклонения направляющего каната для подвесной системы с параллельными мягкими кабелями
KR101478964B1 (ko) 갱폼용 사다리
CN107096166A (zh) 智能调节配重的座椅型健身设备
KR101993439B1 (ko) 운동 지원형 높이 조절 책상
JP5675949B2 (ja) 救助装置
CN203639008U (zh) 一种用于液压提升施工的悬臂钢柱背张拉装置
CN200952247Y (zh) 升降台
KR101568244B1 (ko) 스캐드다이빙 장치
KR101841695B1 (ko) 그물망 권취형 승하강 휀스
JP2019042159A5 (ko)
KR101419026B1 (ko) 다목적 소방호스 건조 타워
JP2004124664A (ja) パレットの昇降装置
CN105836683A (zh) 一种钢管桩高空接桩吊篮
CN210527533U (zh) 一种便于多层调节安置的石英陶瓷坩埚存放架
CN204910003U (zh) 悬棺吊装装置
CN207017959U (zh) 钻具排放装置
CN213710271U (zh) 一种带有物料升降装置的脚手架
CN211664674U (zh) 一种建筑用梯
JP5723932B2 (ja) ボイラ内足場の構築方法
CN104888476B (zh) 可构建气泡式城堡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