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222B1 -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도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도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222B1
KR101445222B1 KR1020120072388A KR20120072388A KR101445222B1 KR 101445222 B1 KR101445222 B1 KR 101445222B1 KR 1020120072388 A KR1020120072388 A KR 1020120072388A KR 20120072388 A KR20120072388 A KR 20120072388A KR 101445222 B1 KR101445222 B1 KR 101445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source
target
drop zone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507A (ko
Inventor
한기남
Original Assignee
(주)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인 filed Critical (주)뉴인
Priority to KR1020120072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2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도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기록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는 멀티미디어 리소스,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상기 각 리소스들이 배치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주편집수단;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배치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실행조건과, 상기 실행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배치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특정 액션을 수행시키는 실행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인터랙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F/DO의 개념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인터랙션을 편집함으로써 저작물의 객체, 메서드 및 속성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직관적인 방법으로 용이하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도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uthoring system for multimedia contents and computer readable storing medium providing authoring tool}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도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용이하게 저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와 그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배포되고 있다. 각 컨텐츠의 실행환경 및 제작 목적에 따라 모바일 북, 각종 전자북,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형태로 제작이 되고 있다.
저작 도구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일반 사용자들에게 영상, 사운드, 애니메이션, 이미지, 그래픽 등을 손쉽게 만들어 시간 공간적으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컴퓨터 화면에 다양한 형태의 것들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저작 도구는 C나 C++처럼 코드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콘이나 스크립트와 같은 고유의 프로그래밍 방법을 가지고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또한 저작 도구는 자체에 그래픽 툴과 같은 각종 툴을 내장하고 있기보다는 외부에서 제작된 각종 미디어 파일들을 불러들여 적절한 위치나 시점에서 재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저작 도구를 사용하여 CD-ROM 타이틀 및 동화상의 디지털 영화 등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저작 도구의 주요 기능은 다양한 미디어 파일 또는 미디어 정치와의 유연한 연결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멀티미디어 요소들의 제어 흐름을 조정할 수 있는 흐름 제어 기능 및 미디어 파일 간의 동기화 정보를 잘 표현하고, 표현된 동기화 정보에 따라 멀티미디어 요소들을 정확하게 결합하여 실행해주는 기능들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는 각 컨텐츠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저작도구가 이용되며, 동일한 저작도구라 하더라도 버전이 업데이트됨에 따라 각종 엘리먼트와 실행환경상의 객체 등이 증가되고 이에 따른 각 객체와 엘리먼트 들의 메서드가 복잡해져 가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자가 목적 및 컨텐츠의 형태에 따라 저작도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컨텐츠에 적합한 저작도구의 사용법에 익숙해져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직관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멀티미디어 저작물을 저작할 수 있는 저작 프로그램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에 관련한 스킬의 습득이 용이한 저작 프로그램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기록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는 멀티미디어 리소스,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상기 각 리소스들이 배치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주편집수단;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배치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실행조건과, 상기 실행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배치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특정 액션을 수행시키는 실행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인터랙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에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상기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상기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상기 이벤트 및 상기 액션들의 아이콘 리스트를 표시하는 리스트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인 소스 아이콘과 이벤트 아이콘 쌍,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아이콘과 액션 아이콘 쌍은 각각 아이콘의 외형, 색채 및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각적인 특징면에서 서로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또한 상기 소스 아이콘과 상기 이벤트 아이콘 쌍, 그리고 상기 대상 아이콘과 상기 액션 아이콘 쌍은 각각 대응하는 직소퍼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소스 아이콘과 상기 이벤트 아이콘 쌍은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소스 엘리먼트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시각적 특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아이콘과 상기 액션 아이콘 쌍은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대상 엘리먼트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시각적 특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소스 아이콘, 상기 이벤트 아이콘, 상기 대상 아이콘 및 상기 액션 아이콘 각각을 드래그앤드롭하는 소스 아이콘 드롭존,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 대상 아이콘 드롭존 및 액션 아이콘 드롭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드래그앤드롭된 드롭존 및 아이콘에 따라 상기 실행조건과 실행명령을 입력받아 인터랙션을 설정하는 인터랙트 설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소스 아이콘 드롭존과 상기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 쌍 또한 상기 대상 아이콘 드롭존과 상기 액션 아이콘 드롭존 쌍은 각각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시스템의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입력장치는 가속도 센서, 터치 스크린, 마우스 및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시스템의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의 가용 메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션은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의 가용 메소드와 상기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의 가용 출력 메소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항 내지 제12항에 따른 저작 도구의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 편집기능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에 소스 아이콘, 상기 소스 아이콘의 시각적 특징에 대응하는 이벤트 아이콘, 대상 아이콘 및 상기 대상 아이콘의 시각적 특징에 대응하는 액션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들을 드롭가능한 소스 아이콘 드롭존,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 대상 아이콘 드롭존 및 액션 아이콘 드롭존을 표시한다.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아이콘들을 상기 드롭존들에 드롭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인터랙션을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소스 아이콘 드롭존과 상기 대상 아이콘 드롭존은 외형상 구분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소스 아이콘과 상기 대상 아이콘 각각은 상기 소스 아이콘 드롭존과 상기 대상 아이콘 드롭존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스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소스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는 제2-1단계; 상기 드롭된 소스 아이콘의 외형에 따라 상기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될 이벤트 아이콘의 외형의 종류를 제한하는 제2-2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드롭된 소스 아이콘의 외형에 대응하는 이벤트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는 제2-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대상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는 제2-4단계; 상기 드롭된 대상 아이콘의 외형에 따라 상기 액션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될 이벤트 아이콘의 외형의 종류를 제한하는 제2-5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드롭된 대상 아이콘의 외형에 대응하는 액션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액션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는 제2-6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대응하는 소스 아이콘이 없거나 불필요한 이벤트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는 제2-1a단계; 및 상기 소스 아이콘 드롭존으로의 드롭을 제한하는 제2-2a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IF/DO의 개념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인터랙션을 편집함으로써 저작물의 객체, 메서드 및 속성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도 직관적인 방법으로 용이하게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적인 연상 효과로 인하여 저작 도구 자체를 이용하는 스킬의 습득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저작 도구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페이지 및 뷰 리스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리소스 리스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배치 또는 포함된 그래픽 리소스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배치 또는 포함된 음악 리소스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이벤트 및 액션 리스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사용자에 의하여 편집된 인터랙션 리스트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엘리먼트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각 페이지에 배치되거나 속하는 개별적인 요소들과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환경상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상호 작용을 통하여 연관되는 구성부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의미의 구분을 위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되는 엘리먼트들은 멀티미디어 리소스라 하고, 실행환경 상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상호 작용을 통하여 연관되는 구성부들을 인터랙션 엘리먼트라 한다. 인터랙션 엘리먼트는 종류에 따라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와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로 구분된다. 이에 관하여는 해당 부분에서 상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엘리먼트, 즉 멀티미디어 리소스에는 크게 오디오 엘리먼트와 그래픽 엘리먼트가 있다. 그래픽 엘리먼트는 다시 이미지와 버튼, 애니메이션, 비디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오디오 엘리먼트는 BGM부터 효과음까지 소리에 관한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포함한며, 그래픽 엘리먼트는 눈에 보이는 시각적인 엘리먼트들을 뜻하며, 이미지와 버튼, 이미지, 애니메이션, 비디오 등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의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10)은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여 저작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물의 실행환경과는 구분된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작하기 위한 도구의 실행환경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200)를 구비하는 범용 컴퓨팅 장치(10)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저작도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저작도구를 위한 전용 컴퓨팅장치를 이용하여 멀티미티어 컨텐츠를 저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주편집수단(110) 등을 포함하는 저작도구(10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웹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플러그인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작도구(100)는 구현방식면에서 제한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의 출력부(200)는 범용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는 모니터 등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작도구(100)에 의하여 저작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물은 다양한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물은 범용 컴퓨팅 장치, 랩탑 컴퓨팅 장치 또는 테블릿 컴퓨팅 장치 등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실행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테블릿 PC의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저작도구(100)는 주편집수단(110), 리스트 표시수단(120), 인터랙션 입력수단(130) 및 라이브러리(140)를 포함한다.
라이브러리(140)는 멀티미디어 리소스,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들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멀티미디어 리소스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물에 포함될 수 있는 컨텐츠 리소스를 의미하며, 그래픽, 애니메이션, 동영상, 오디오 형식의 데이터 파일 등이 해당된다.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물이 실행되는 실행환경 상의 입력 장치들이 해당된다.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에는 오디오 입력부, 터치 스크린의 터치 입력부, 테블릿 PC나 스마트 폰 등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물이 실행되는 실행환경 상의 출력 장치들이 해당된다. 오디오 출력부, 터치 스크린 상의 디스플레이부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라이브러리(140)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물에 포함되거나 포함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리소스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물이 실행될 실행환경 상의 입출력장치와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주편집수단(110)은 출력부(200) 상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편집하는 편집창을 표시하면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상기 각 리소스들이 배치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리스트 표시수단(120)은 출력부(200) 상에 상술한 멀티미디어 리소스,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및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또한 리스트 표시수단(120)은 이벤트 및 액션들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물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리소스와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에 대한 메서드 또는 속성의 변경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리소스가 클릭되거나, 오디오 리소스가 플레이되거나 플레이가 끝나거나, 가속도 입력장치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물의 실행장치가 흔들리는 등의 일이 발생한 경우를 의미한다. 한편, 액션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물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리소스와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에 대한 메서드 또는 속성의 변경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리소스가 이동되거나, 오디오 파일이 실행되거나 중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에 다른 동영상 데이터가 플레이 되는 등의 일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이벤트(Event)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페이지가 열릴 때(ON-LOAD),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어떤 개체(동영상, 그래픽 등)를 눌렀을 때(T-DOWN), 어떤 개체를 눌렀다가 손을 뗐을 때(T-UP), 기기를 흔들었을 때(SHAKE), 특정 영상, 음악이 재생되고 있을 때(PLAYING), 특정 영상, 음악 재생이 끝났을 때(STOPED, FINISHED), 프레임 애니메이션 액션이 끝났을 때(ANI-COM, animation complete), 움직이는 액션이 끝났을 때(MOVE-COM, move complete), 흔들리는 액션이 끝났을 때(SHA-COM, shake complete), 사라지는 액션이 끝났을 때(HIDE-COM, hide complete), 어떤 개체를 왼쪽으로 드래그 했을 때(GESTURE-L), 어떤 개체를 오른쪽으로 드래그 했을 때(GESTURE-R), 어떤 개체를 위로 드래그 했을 때(GESTURE-U), 어떤 개체를 아래로 드래그 했을 때(GESTURE-D)와 같은 이벤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액션(Action)으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랙션 라이브러리(Interaction Library)에 없는 특별한 동작을 지정하여 이용할 때 사용(COMMAND), 다음 페이지로 이동(NEXT-P), 전 페이지로 이동(PREV-P), 특정 페이지로 이동(GOTO-P), 개체가 나타내는 액 션(SHOW), 개체가 사라지는 액션(HIDE), 개체가 이용 가능한 상태로 동작 또는 속성변경(ENABLE), 개체가 이용 불가능한 상태로 동작 또는 속성변경(DISABLE), 영상, 오디오 등이 재생 시작(PLAY), 재생 중인 영상, 오디오 등이 재생 일시 정지(PAUSED), 재생 중인 영사, 오디오 등이 재생 정지(STOP), 개체가 사라지고 나타내는 애니메이션 액션(FADE), 개체가 이동하는 애니메이션 액션(MOVE), 개체 크기가 달라지는 애니메이션 액션(SCALE), 개체가 회전하는 애니메이션 액션(ROTATE) 등이 액션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멀티미디어 리소스,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이벤트 또는 액션의 리스트는 아이콘의 형식으로 출력부(200)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관련하여서는 이하의 인터랙션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인터랙션 입력수단(130)은 멀티미디어 리소스,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이벤트 또는 액션간의 상호 작용을 의미하는 인터랙션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본 실시예에서의 인터랙션은 IF/DO의 개념으로 동작한다. IF/DO 개념의 인터랙션이란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배치된 멀티미디어 리소스와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실행조건과, 실행조건을 만족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배치된 멀티미디어 리소스와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특정 액션을 수행시키는 실행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대상 아이콘과 액션 아이콘 쌍은 각각 아이콘의 외형, 색채 및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각적인 특징면에서 서로 대응하도록 표시된다. 이에 관하여는 인터랙션 입력 프로세스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소스 아이콘은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대상 아이콘은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인터랙션 입력수단(130)은 후술할 인터랙션 편집창(도 8 참조)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인터랙션의 입력 및 편집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과 인터랙션 입력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저작 도구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페이지 및 뷰 리스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리소스 리스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배치 또는 포함된 그래픽 엘리먼트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배치 또는 포함된 음악 엘리먼트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7은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이벤트 및 액션 등 인터랙션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또한 도 8은 사용자에 의하여 편집된 인터랙션 리스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상의 디스플레이 화면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은 주편집창(A1), 페이지 및 뷰 리스트(A2), 멀티미디어 리소스 리스트(A3), 그래픽 엘리먼트 리스트(A4), 인터랙션 리스트(A5), 인터랙션 편집창(A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주편집창(A1)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각종 멀티미디어 리소스들을 배치하거나 포함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 및 뷰 리스트(A2)를 통하여 페이지 또는 뷰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이 때 뷰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물이 실행되는 장치의 실행 각도에 따른 화면구성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리소스 리스트(A3)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리소스 리스트(A3)를 통하여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등의 리소스들을 추가 및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그래픽 엘리먼트 리스트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포함 및 배치시키거나 배제시킬 수 있으며, 포함된 그래픽 리소스의 배열, 크기 및 위치 등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오디오 엘리먼트 리스트를 통하여 배경음악, 효과음, 각 캐릭터의 대사 음원 파일 등을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포함시키고, 그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인터랙션 리스트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인터랙션 리스트로부터 각 아이콘들을 선택하여 드래그 함으로써 해당 아이콘에 대응하는 이벤트 및 액션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인터랙션 편집창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인터랙션 편집창을 통하여 인터랙션을 편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인터랙션 편집창은 다수의 인터랙션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있으며, 각 인터랙션은 제1 영역 내지 제4 영역(I1, I2, I3, I4)4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먼저 제1 영역(I1)에는 소스 아이콘이 드래그앤드롭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스 아이콘에는 멀티미디어 리소스 아이콘과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아이콘이 해당된다. 다음으로 제2 영역(I2)에는 이벤트 아이콘이 드래그앤드롭 될 수 있다. 또한 제3 영역(I3)에는 대상 아이콘이 드래그앤드롭 될 수 있다. 대상 아이콘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리소스 아이콘과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아이콘이 해당된다. 또한 제4 영역(I4)에는 액션 아이콘이 드래그앤드롭 될 수 있다.
소스 아이콘, 이벤트 아이콘, 대상 아이콘 및 액션 아이콘이 각 드롭존 즉, 제1 영역(I1) 내지 제4 영역(I4)에 드롭됨으로써 하나의 인터랙션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나의 인터랙션은 소스 아이콘에 해당하는 객체가 이벤트 아이콘에 대응하는 메서드 또는 속성변화가 일어날 경우 대상 아이콘에 해당하는 객체가 액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메서드 또는 속성 변화를 수행하도록 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영역(I1) 내지 제4 영역(I4)은 직소 퍼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이벤트 아이콘과 액션 아이콘을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직관적으로 판단하여 드래그앤드롭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 편집창은 소스 아이콘, 이벤트 아이콘, 대상 아이콘 및 액션 아이콘이 드롭될 드롭존의 형상과 각 아이콘의 형상을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직관적인 인터랙션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하나의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각각 다른 시각적 특징을 갖도록 표시하고, 이에 각각 대응하는 소스 아이콘, 이벤트 아이콘, 대상 아이콘 및 액션 아이콘들이 각각의 드롭존에 대응하는 시각적 특징을 갖도록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함으로써 직관적인 드롭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시각적 특징으로는 색채, 명도, 아이콘의 형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각 아이콘이 드롭될 수 있는 영역의 색채를 해당 아이콘 그룹과 공통된 색채를 갖도록 표시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아이콘의 형상을 해당 아이콘이 드롭될 수 있는 영역의 형상과 동일하게 표시한다. 이 때 각 아이콘의 형상을 직소 퍼즐과 같이 형성하고, 각 드롭존의 종류별로 퍼즐의 형상을 달리 함으로써 직관적인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때 소스 아이콘 드롭존과 상기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 쌍은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상호 연관성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아이콘 드롭존과 액션 아이콘 드롭존 쌍도 마찬가지의 이유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리소스는 소스 아이콘과 대상 아이콘 양쪽에 드롭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소스 아이콘과 대상 아이콘이 동시에 될 수 있는 리소스는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반면,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와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와 같이 제1 영역(I1) 또는 제3 영역(I3) 중 어느 하나에만 드롭이 가능한 경우에는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와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를 제1 영역(I1)과 제3 영역(I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객체를 드롭할 때 이벤트 또는 액션과 쌍이 맞지 않으면 이벤트 및 액션이 삭제되도록 하거나, 이벤트 또는 액션을 드롭할 때 각 각체와 쌍이 맞지 않으면 드롭이 취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인터랙션의 입력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먼저 디스플레이에 소스 아이콘과 소스 아이콘의 시각적 특징에 대응하는 이벤트 아이콘, 대상 아이콘 및 대상 아이콘의 시각적 특징에 대응하는 액션 아이콘을 표시한다. 또한 아이콘들을 드롭가능한 소스 아이콘 드롭존(제1 영역, I1),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제2 영역, I2), 대상 아이콘 드롭존(제3 영역, I3) 및 액션 아이콘 드롭존(제4 영역, I4)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아이콘들을 각 아이콘들의 시각적 특징에 부합하는 드롭존들에 드롭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인터랙션을 입력받는다.
한편,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나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의 종류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가용(可用) 이벤트 또는 액션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나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를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외형의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나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가 각 드롭존에 드롭된 후에 인접하는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과 액션 아이콘 드롭존의 형상을 이에 대응하도록 변경시키거나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나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가 드롭되고 남은 빈 자리에 부합하는 형상의 이벤트 아이콘과 액션 아이콘만 드롭되도록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로부터 소스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소스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고, 드롭된 소스 아이콘의 외형에 따라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될 이벤트 아이콘의 외형의 종류를 제한하고, 사용자로부터 드롭된 소스 아이콘의 외형에 대응하는 이벤트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사용자로부터 대상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대상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고, 드롭된 대상 아이콘의 외형에 따라 액션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될 이벤트 아이콘의 외형의 종류를 제한하며, 사용자로부터 드롭된 대상 아이콘의 외형에 대응하는 액션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액션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장치가 흔들리는 것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대응하는 소스 아이콘이 없거나 불필요한 이벤트 아이콘이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는 경우에는 소스 아이콘 드롭존으로의 드롭을 제한하거나 드롭할 수 없다는 표시를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도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7)

  1. 멀티미디어 리소스,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상기 각 리소스들이 배치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주편집수단;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배치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실행조건과, 상기 실행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 내에 배치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특정 액션을 수행시키는 실행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인터랙션 입력수단;
    디스플레이에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상기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상기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상기 이벤트 및 상기 액션들의 아이콘 리스트를 표시하는 리스트 표시수단; 및
    사용자가 상기 소스 아이콘, 상기 이벤트 아이콘, 상기 대상 아이콘 및 상기 액션 아이콘 각각을 드래그앤드롭하는 소스 아이콘 드롭존,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 대상 아이콘 드롭존 및 액션 아이콘 드롭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드래그앤드롭된 드롭존 및 아이콘에 따라 상기 실행조건과 실행명령을 입력받아 인터랙션을 설정하는 인터랙트 설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인 소스 아이콘과 이벤트 아이콘 쌍, 그리고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인 대상 아이콘과 액션 아이콘 쌍은 각각 아이콘의 외형, 색채 및 명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각적인 특징면에서 서로 대응하고,
    상기 소스 아이콘 드롭존, 상기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 상기 대상 아이콘 드롭존 및 상기 액션 아이콘 드롭존은 상기 소스 아이콘, 상기 이벤트 아이콘 쌍, 상기 대상 아이콘 및 상기 액션 아이콘의 시각적인 특징을 각각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아이콘과 상기 이벤트 아이콘 쌍, 그리고 상기 대상 아이콘과 상기 액션 아이콘 쌍은 각각 대응하는 직소퍼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아이콘과 상기 이벤트 아이콘 쌍은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소스 엘리먼트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시각적 특징을 갖도록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아이콘과 상기 액션 아이콘 쌍은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대상 엘리먼트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시각적 특징을 갖도록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아이콘 드롭존과 상기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 쌍 또한 상기 대상 아이콘 드롭존과 상기 액션 아이콘 드롭존 쌍은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시스템의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가속도 센서, 터치 스크린, 마우스 및 키보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실행되는 시스템의 출력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및 상기 소스 인터랙션 엘리먼트의 가용 메소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은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의 가용 메소드와 상기 대상 인터랙션 엘리먼트의 가용 출력 메소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3.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저작 도구의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디스플레이에 소스 아이콘, 상기 소스 아이콘의 시각적 특징에 대응하는 이벤트 아이콘, 대상 아이콘 및 상기 대상 아이콘의 시각적 특징에 대응하는 액션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아이콘들을 드롭가능한 소스 아이콘 드롭존,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 대상 아이콘 드롭존 및 액션 아이콘 드롭존을 표시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아이콘들을 상기 드롭존들에 드롭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인터랙션을 입력받는 제2 단계;를 수행하는 인터랙션 편집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소스 아이콘 드롭존과 상기 대상 아이콘 드롭존은 외형상 구분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소스 아이콘과 상기 대상 아이콘 각각은 상기 소스 아이콘 드롭존과 상기 대상 아이콘 드롭존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표시되는 인터랙션 편집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소스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소스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는 제2-1단계;
    상기 드롭된 소스 아이콘의 외형에 따라 상기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될 이벤트 아이콘의 외형의 종류를 제한하는 제2-2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드롭된 소스 아이콘의 외형에 대응하는 이벤트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는 제2-3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편집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대상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대상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는 제2-4단계;
    상기 드롭된 대상 아이콘의 외형에 따라 상기 액션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될 이벤트 아이콘의 외형의 종류를 제한하는 제2-5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드롭된 대상 아이콘의 외형에 대응하는 액션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액션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는 제2-6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랙션 편집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대응하는 소스 아이콘이 없거나 불필요한 이벤트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벤트 아이콘 드롭존에 드롭되도록 입력받는 제2-1a단계; 및
    상기 소스 아이콘 드롭존으로의 드롭을 제한하는 제2-2a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편집기능을 구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도구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KR1020120072388A 2012-07-03 2012-07-03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도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445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388A KR101445222B1 (ko) 2012-07-03 2012-07-03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도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388A KR101445222B1 (ko) 2012-07-03 2012-07-03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도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07A KR20140004507A (ko) 2014-01-13
KR101445222B1 true KR101445222B1 (ko) 2014-11-04

Family

ID=5014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388A KR101445222B1 (ko) 2012-07-03 2012-07-03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도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361A (ko) 2017-09-21 2019-03-29 (주)비콘 저작물을 편집한 프레임 컷으로 애니메이션되며 이동하는 액션 뷰어와 그 저작도구를 구비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0518B (zh) * 2020-06-04 2020-11-17 华人运通(上海)新能源驱动技术有限公司 作品生成和编辑方法、装置、终端、服务器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483A (ko) * 2004-03-26 2005-09-29 주식회사 넷앤티비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이벤트 저작 방법
KR20090000254A (ko) * 2007-02-08 2009-01-07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컨텐츠 편집툴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5483A (ko) * 2004-03-26 2005-09-29 주식회사 넷앤티비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이벤트 저작 방법
KR20090000254A (ko) * 2007-02-08 2009-01-07 리얼네트웍스아시아퍼시픽 주식회사 컨텐츠 편집툴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편집 서비스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361A (ko) 2017-09-21 2019-03-29 (주)비콘 저작물을 편집한 프레임 컷으로 애니메이션되며 이동하는 액션 뷰어와 그 저작도구를 구비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07A (ko) 201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3895B2 (en) Control of background media when foreground graphical user interface is invoked
US7681141B2 (en) Fast scrolling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EP1784709B1 (en) Multi-planar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Creeber et al. Digital culture: Understanding new media: Understanding new media
EP1960990B1 (en) Voice and video control of interactive electronically simulated environment
US8091039B2 (en) Authoring interface which distributes composited elements about the display
US200900837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ollaborating, and presenting software demonstrations, and methods of marketing of the same
US20110169927A1 (en) Content Presentation in a Three Dimensional Environment
US9843823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creation of information modules, including server, media searching, user interface and/or other features
JP2013538505A (ja) 複合プレゼンテーションのストーリーボード表現を提示および編集するためのツール
JP2014511604A (ja) ビデオのコンテキストのポップアップ
Bardzell Creativity in amateur multimedia: Popular culture, critical theory, and HCI
Krauß et al. Elements of xr prototyping: Characterizing the role and use of prototypes in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design
US10296158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features of creation/viewing/utilization of information modules such as mixed-media modules
JP7351877B2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プロトタイプの提供方法および装置
Blečić et al. First-person cinematographic videogames: Game model, authoring environment, and potential for creating affection for places
Eng Qt5 C++ GUI Programming Cookbook: Practical recipes for building cross-platform GUI applications, widgets, and animations with Qt 5
KR10144522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 시스템 및 저작 도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10504555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features of creation/viewing/utilization of information modules such as mixed-media modules
KR20030072374A (ko) 표시 제어 방법, 정보 표시 장치 및 매체
US11099714B2 (en)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creation/display/utilization of information modules, such as mixed-media and multimedia modules
US20110175908A1 (en) Image Effect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JP4674726B2 (ja) ファイルの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orrea Digitopolis II: Creation of video games GDevelop
JP2015203933A (ja) コンテンツ抽出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抽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