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119B1 - 커튼월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튼월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119B1
KR101445119B1 KR1020120138173A KR20120138173A KR101445119B1 KR 101445119 B1 KR101445119 B1 KR 101445119B1 KR 1020120138173 A KR1020120138173 A KR 1020120138173A KR 20120138173 A KR20120138173 A KR 20120138173A KR 101445119 B1 KR101445119 B1 KR 101445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frame
curtain wall
path
cur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094A (ko
Inventor
김윤호
문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20138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1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투된 우수(빗물)를 배수층까지 내려 보내 한꺼번에 배출시키는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커튼월 배수층의 상측 프레임을 형성하며, 커튼월 유니트의 하부 수평재 및 수직재를 포함하는 제 1 프레임부와, 제 1 프레임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커튼월 배수층의 하측 프레임을 형성하며, 커튼월 유니트의 상부 수평재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부와, 제 1 프레임부와 제 2 프레임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수직재를 통해 집수되어 배수층까지 낙하하는 우수의 배수경로를 분리하여 커튼월 배수층의 배수홀을 통해 각각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커튼월 배수 시스템{CURTAIN WALL DRAIN SYSTEM}
본 발명은 커튼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투된 우수(빗물)를 배수층까지 내려 보내 한꺼번에 배출시키는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월(Curtain wall)이란 건축물 외부 마감재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은 비내력벽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축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된 유리벽체와 같은 마감재를 탈부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체이다.
최근에는 건축구조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기 위해 커튼월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시공업체 간의 과도한 경쟁으로 저품질 시공, 비전문 업체의 하도급 시공, 고층 및 초고층 커튼월 시스템의 이해부족 등으로 인해 공사 준공 후 구조적, 기능적인 하자 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커튼월의 하자요인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누수의 경우 보통 작업미비의 원인이 대다수이지만 근본적으로 커튼월 시스템의 우수(빗물) 이동경로 및 원리단계에서 1차적으로 누수를 차단하는 안정된 배수 시스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커튼월에 적용되는 배수 시스템은 건물의 각 층별로 우수를 배출시키는 층배수 시스템과, 침투된 우수를 배수층까지 내려 보내 한꺼번에 배출시키는 통배수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시스템이 적용된 고층건물에서 배수지점은 일반적으로 15~20개 층마다 배수층을 형성한다. 커튼월 시스템의 유니트 상하연결부를 통해 침투된 우수는 커튼월 수직재의 내부 우수통로로 모아져 하부로 낙하되어 배수층에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시스템에서 수직재(13)의 역할은 우수를 모아 하부로 내려 보내는 홈통과 같다. 외부에서 수평재 및 유니트 사이에 배치된 가스켓(14)을 뚫고 침투한 우수(1차 RARRIER 통과)를 커튼월 유니트의 상부 헤드 바아(Head bar)에 가공된 배수홀를 통해 수직재(13)로 유도하여 배수층까지 내려 보내 한꺼번에 배출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통배수 시스템은 층배수 시스템과는 달리 우수가 층별로 배출되지 않아 외벽부 오염도나 누수취약부위가 줄어든 반면, 장기간 이 물질 등의 적체 등으로 인해 배수로의 문제가 발생될 경우 원인부 발견 및 보수가 어렵고, 우수가 내부에 고이거나 역류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10)은 시일 바아(Sill bar)(11)와 헤드 바아(head bar)(12)의 상하 결합으로 구성되며, 1차 장벽(BARRIER)을 침투하여 수직재(13)의 내부 우수통로(13a)를 통해 내려온 우수(①)와 2차 장벽까지 침투한 우수(②)가 유니트 상하연결부(STACK JOINT) 배수층의 배수홀(1)을 통해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설계된 구조로, 2차 장벽에 홀(hole)(12a)을 뚫어줌으로써 2차 장벽까지 우수가 들어올 수 밖에 없는 취약한 수밀 구조를 가진다.
또한, 주배수로(13a)의 위치가 상부 커튼월 유니트의 좌우연결부에 위치하므로 1차적으로 상부에서 모아지며 떨어진 다량의 우수는 하부 유니트 사이의 취약공간과 만나게 되는데, 유니트 사이에 프론트 슬리브(Front sleeve)(12b)를 배치하더라도 실란트(Sealant) 처리 미비 등 취약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커튼월 방식 중 통배수 시스템의 배수부 누수 취약성을 개선하여 우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침투된 우수(빗물)를 배수층까지 내려 보내 한꺼번에 배출시키는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커튼월 배수층의 상측 프레임을 형성하며, 커튼월 유니트의 하부 수평재 및 수직재를 포함하는 제 1 프레임부;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커튼월 배수층의 하측 프레임을 형성하며, 커튼월 유니트의 상부 수평재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부; 및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재를 통해 집수되어 상기 배수층까지 낙하하는 우수의 배수경로를 분리하여 상기 커튼월 배수층의 배수홀을 통해 각각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배수분리부는 상기 수직재의 내부 우수통로를 통해 상기 배수층까지 낙하하는 우수를 제 1 배수경로를 따라 상기 배수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커튼월 내부로 침투하는 우수를 상기 제 1 배수경로와 분리된 별도의 제 2 배수경로를 따라 상기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배수분리부는 상기 제 1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 1 배수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배수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배수경로와 상기 제 2 배수경로는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배수분리부에 의해 분리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배수분리부는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상부 수평재를 형성하는 헤드 바아(Head bar)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배수분리부는 커튼월 유니트 연결부의 누수취약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바아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형태의 장스팬(SPAN)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배수분리부는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하부 수평재를 형성하는 실 바아(Sill bar)와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상부 수평재를 형성하는 헤드 바아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은 배수로를 확대하거나 양분하는 것이 아니라, 1,2,3차 장벽의 손상을 주지 않는 안정적인 이중 배수구조를 적용하여 우수의 내부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누수 취약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시스템이 적용된 고층건물에서 배수 경로를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시스템에서 침투된 우수가 수직재를 통해 한꺼번에 배수층으로 내려 보내지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배수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튼월 배수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100)은 제 1 프레임부(110), 제 2 프레임부(120) 및 배수분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튼월(curtain wall)이란 하중을 지지하지 않은 비내력 칸막이 벽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축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된 유리벽체와 같은 마감재를 탈부착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체이다. 또한, 이 커튼월에는 침투된 우수(빗물)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시스템이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침투된 우수를 배수층까지 내려 보내 한꺼번에 배출시키는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을 적용한다.
제 1 프레임부(110)는 커튼월 유니트 상하연결부(STACK JOINT)의 상측 프레임을 형성한다. 또한, 제 1 프레임부(110)는 커튼월 유니트의 하부 수평재(111) 및 수직재(113)를 포함한다. 수직재(113)는 내부에 우수통로(113a)가 형성되어 침투된 우수가 우수통로(113a)를 통해 집수되어 배수층까지 낙하된다.
제 2 프레임부(120)는 제 1 프레임부(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커튼월 유니트 상하연결부의 하측 프레임을 형성한다. 또한, 제 2 프레임부(120)는 커튼월 유니트의 상부 수평재(121)를 형성하는 헤드 바아(Head bar)(이하, 참조부호 121로 설명함)를 포함한다.
제 1 프레임부(110) 및 제 2 프레임부(120)는 상하로 결합되고, 단면이 대략 사각으로 형성된 관형상의 프레임 부재이다. 또한, 제 1 프레임부(110) 및 제 2 프레임부(120)는 외측면에 복층 유리부재(20)가 각각 장착된다.
배수분리부(130)는 수직재(113)를 통해 집수되어 배수층까지 낙하하는 우수의 배수경로를 분리하여 커튼월 배수층의 배수홀(1)을 통해 각각 배출되도록 이중 배수 역할을 한다.
배수분리부(130)는 제 1 프레임부(110)와 제 2 프레임부(120)의 사이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분리부(130)는 제 1 프레임부(110)의 하부 수평재를 형성하는 실 바아(Sill bar)(111)와 제 2 프레임부(120)의 상부 수평재를 형성하는 메인 헤드 바아(Head bar)(121)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간 수평재를 형성하는 서브 헤드 바아(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분리부(130)는 제 2 프레임부(120)의 상부 수평재를 형성하는 헤드 바아(121)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며, 커튼월 유니트 연결부의 누수 취약부위(3)를 커버할 수 있도록 헤드 바아(121)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형태의 장스팬(SPAN)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 바아(121)에 안착되는 배수분리부(130)는 하부 유니트의 연결부와 관계없이 장스팬으로 배치할 수 있어 취약했던 연결부를 1/4~1/6까지 현저히 줄이고, 배수분리부(130)의 연결부를 유니트 중앙부에 배치함으로써 누수 취약부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배수분리부(130)는 수직재(113)의 내부 우수통로(113a)를 통해 배수층까지 낙하하는 우수를 제 1 배수경로(①)를 따라 배수홀(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커튼월 내부로 침투하는 우수를 제 1 배수경로(①)와 분리된 별도의 제 2 배수경로(②)를 따라 배수홀(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배수분리부(130)는 제 1 프레임부(110)와의 사이에 제 1 배수경로(①)를 형성하며, 제 2 프레임부(120)와의 사이에 제 2 배수경로(②)를 형성하는 이중 배수구조를 가진다. 이때, 제 1 배수경로(①)와 제 2 배수경로(②)는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배수분리부(130)에 의해 분리 차단된다.
또한, 제 1 프레임부(110), 제 2 프레임부(120) 및 배수분리부(130)가 접촉하는 부위에는 가스켓(141, 142, 143, 144)이 설치되어 방품과 방수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프레임부(110, 120)와 복층 유리부재(20) 사이에는 단열재를 삽입함으로써 내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열손실을 차단하여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100)은 수직재(113)의 내부 우수통로(113a)를 통해 배수층까지 낙하된 우수는 누수 취약부위(3)인 유니트 상하연결부가 아닌 배수분리부(130)와 만나게 되어 제 1 배수경로(①)를 따라 배수층의 배수홀(1)을 통해 배출되고, 커튼월 내부로 침투된 우수는 제 1 배수경로(①)와 분리된 별도의 제 2 배수경로(②)를 따라 배수층의 배수홀(1)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1차 장벽(BARRIER)을 통과한 우수가 구조상 2차 장벽(BARRIER)을 넘을 수 없고 특정 경로를 통해 2차 장벽을 넘더라도 1차 배수경로(①)와 간섭되지 않는 별도의 2차 배수경로(②)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100)은 배수로를 확대하거나 양분하는 것이 아니라, 1,2,3차 장벽의 손상을 주지 않는 안정적인 이중 배수구조를 적용하여 우수의 내부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누수 취약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커튼월 배수 시스템
110 : 제 1 프레임부
111 : 실 바아(Sill bar)
113 : 수직재
120 : 제 2 프레임부
121 : 메인 헤드 바아(Head bar)
130 : 배수분리부
131 : 서브 헤드 바아(Sub Head bar)
141, 142, 143, 144 : 가스켓

Claims (7)

  1. 침투된 우수를 배수층까지 내려 보내 한꺼번에 배출시키는 통배수형식의 커튼월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커튼월 배수층의 상측 프레임을 형성하며, 커튼월 유니트의 하부 수평재 및 수직재를 포함하는 제 1 프레임부;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커튼월 배수층의 하측 프레임을 형성하며, 커튼월 유니트의 상부 수평재를 포함하는 제 2 프레임부; 및
    상기 제 1 프레임부와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재를 통해 집수되어 상기 배수층까지 낙하하는 우수의 배수경로를 분리하여 상기 커튼월 배수층의 배수홀을 통해 각각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분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수분리부는
    상기 수직재의 내부 우수통로를 통해 상기 배수층까지 낙하하는 우수를 상기 제 1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제 1 배수경로를 따라 상기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커튼월 내부로 침투하는 우수를 상기 제 2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배수경로와 분리된 별도의 제 2 배수경로를 따라 상기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수경로와 상기 제 2 배수경로는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상기 배수분리부에 의해 분리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분리부는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상부 수평재를 형성하는 헤드 바아(Head bar)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분리부는 커튼월 유니트 연결부의 누수취약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 바아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형태의 장스팬(SPAN)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분리부는 상기 제 1 프레임부의 하부 수평재를 형성하는 실 바아(Sill bar)와 상기 제 2 프레임부의 상부 수평재를 형성하는 헤드 바아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월 배수 시스템.
KR1020120138173A 2012-11-30 2012-11-30 커튼월 배수 시스템 KR101445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173A KR101445119B1 (ko) 2012-11-30 2012-11-30 커튼월 배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173A KR101445119B1 (ko) 2012-11-30 2012-11-30 커튼월 배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094A KR20140070094A (ko) 2014-06-10
KR101445119B1 true KR101445119B1 (ko) 2014-09-29

Family

ID=5112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173A KR101445119B1 (ko) 2012-11-30 2012-11-30 커튼월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837B1 (ko) * 2018-06-28 2020-03-11 (주)에이스금속 커튼월 리모델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리모델링 방법
KR102190764B1 (ko) * 2020-03-02 2020-12-14 (주)에이스금속 커튼월 리모델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리모델링 방법
CN112282154B (zh) * 2020-09-28 2021-12-03 广东伟业铝厂集团有限公司 一种可导水的幕墙系统
CN113882568A (zh) * 2021-10-15 2022-01-04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单元式幕墙竖向龙骨挂接系统
CN116677111B (zh) * 2023-07-28 2023-10-27 湖南美美幕墙装饰有限公司 一种单元幕墙排水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7084A (ja) * 1992-01-13 1993-07-27 Y K K Architect Prod Kk ユニット式カーテンウォールにおける接合部の水密構造
JPH0740834U (ja) * 1993-12-29 1995-07-21 日本建鐵株式会社 カ−テンウォ−ルの止水構造
JP2755898B2 (ja) * 1993-12-22 1998-05-25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ユニット式カーテンウォールの水密構造
KR20120053094A (ko) * 2010-11-17 2012-05-25 (주) 엘지토스템비엠 수직 및 수평 배수수단을 구비한 건식 커튼월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7084A (ja) * 1992-01-13 1993-07-27 Y K K Architect Prod Kk ユニット式カーテンウォールにおける接合部の水密構造
JP2755898B2 (ja) * 1993-12-22 1998-05-25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ユニット式カーテンウォールの水密構造
JPH0740834U (ja) * 1993-12-29 1995-07-21 日本建鐵株式会社 カ−テンウォ−ルの止水構造
KR20120053094A (ko) * 2010-11-17 2012-05-25 (주) 엘지토스템비엠 수직 및 수평 배수수단을 구비한 건식 커튼월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094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119B1 (ko) 커튼월 배수 시스템
US20110017301A1 (en) Facade rainwater harvesting system
US9797130B2 (en) Fire shield flashing system and method
KR101884826B1 (ko) 고강도 커튼월결합구조
KR101172391B1 (ko) 친환경 단열 커튼월 창호
KR100819935B1 (ko)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102021454B1 (ko) 오버드레인 배수구조를 갖는 오픈조인트 내진 패널조립체
CN211080686U (zh) 一种夹心保温外墙板安装缝填充结构
CN110106993A (zh) 装配式建筑预制剪力墙竖向防开裂、防水结构及施工方法
CN103470059A (zh) 一种具有单元化外墙系统的建筑物的建筑施工方法
CN210263453U (zh) 一种预制混凝土外挂墙板结构底部排水结构
KR101072602B1 (ko) 고층건물용 모듈화공법에 적용되는 유니트 커튼월의 프레임 결합구조
KR200482922Y1 (ko) 빗물 유입을 차단시키는 구조를 갖는 커튼 월 복층패널 장착용 프레임
US20200340238A1 (en) Drainage channel for use in a building wall
KR101310406B1 (ko) 수직 및 수평 배수수단을 구비한 건식 커튼월유닛
JP6901296B2 (ja) 配管構造、建物、および配管設置方法
KR101654781B1 (ko) 구조물의 습기 배출 유도 방수 시스템 및 방법
FI126954B (fi) Seinärakenne
JP5947058B2 (ja) 建物における壁排水構造
CN215716264U (zh) 一种建筑工程防水外墙结构
KR20130001581A (ko) 건축구조물의 옥상 방수구조
CN219569993U (zh) 一种双层防排水的纱窗及具有其的微平移单扇门窗结构
CN214576485U (zh) 一种窗下框型材防水结构
KR20190017118A (ko) 마감용 심재가 구비된 단열재
KR200183248Y1 (ko) 지하실 벽체의 누수를 차단하는 배수벽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