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839B1 -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 Google Patents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839B1
KR101444839B1 KR1020130017292A KR20130017292A KR101444839B1 KR 101444839 B1 KR101444839 B1 KR 101444839B1 KR 1020130017292 A KR1020130017292 A KR 1020130017292A KR 20130017292 A KR20130017292 A KR 20130017292A KR 101444839 B1 KR101444839 B1 KR 101444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put module
assembly
connector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640A (ko
Inventor
이원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싸이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싸이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싸이몬
Priority to KR1020130017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83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PLC 조립체 내에 입출력모듈의 조립 안정화와 이를 통한 PLC 상호 간의 접속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PLC 케이스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에서 복수의 홀을 형성한 커넥터와 결합되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로서, 배열된 복수 단자들의 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하는 지지블록이 상기 단자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루어진 베어 플러그와; 상기 베어 플러그가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관통 가능하며 상기 커넥터의 측부를 감싸는 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 위치하도록 내벽으로부터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플러그 케이스;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어느 일측의 상기 지지블록이 상기 걸림턱에 걸쳐짐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쳐진 상기 지지블록의 상대측 방향으로 돌출한 상기 플러그 케이스의 내측은 상기 커넥터 외벽의 안내를 받는 가이드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Assembled plug for input-output module of PLC system}
본 발명은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별 PLC 조립체 내에 입출력모듈의 조립 안정화와 이를 통한 PLC 상호 간의 접속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화 설비 등 산업 전반에 많이 사용되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제어 장치)는 과거 사용되었던 릴레이 제어반의 각종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의 기능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통합시킨 것이다.
즉, PLC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입출력 모듈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프로그램을 작성함으로써 로직,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는 물론 타이밍과 카운팅 등 산술 연산, 논리 연산, 함수 연산, 조절 연산 등 데이터 처리의 기능을 담당한다.
대체로 PLC는 로봇과 PLC 또는 PLC와 PLC 간에 상호 입출력모듈을 통해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상호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로봇과 PLC 또는 PLC와 PLC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입출력모듈(10)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단자(12)들의 묶음으로 이루어진 플러그 조립체(18)와 기판(PCB)에 실장되어 상술한 플러그 조립체(18)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커넥터(2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플러그 조립체(18) 구성은, 이미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대체로 사각 기둥 형상을 갖는 복수 단자(12)들이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한 배열을 이루고, 이들 단자(12)들은 그 길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지블록(14)에 감싸인 형상으로 고정되어 상호 간의 배열이 유지된다.
또한, 지지블록(14)들 사이의 구간에는, 단자(12)들이 외력에 의해 형상 변형을 방지토록 함과 동시에 단자(12)들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간섭 내지 영향을 받지 않도록 커버하는 몸체(16)가 형성되며, 이들 단자(12)들과 지지블록(14) 및 몸체(16)의 결합으로 플러그 조립체(18)를 이룬다.
이러한 플러그 조립체(18) 구성 중 단자(12)들의 길이는, PLC 내의 기판(PCB)에 실장되는 전자부품(P)들의 배치와 그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PLC 케이스(22a, 22b)에 의해 결정되고, 또 지지블록(147)에 대한 단자(12)들의 돌출 길이는 커넥터(20)와의 결합을 위한 길이로 설정된 관계로 지지블록(14)들 사이의 간격은 PLC 케이스(22a, 22b)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단자(12)들의 양단 부위는, 상술한 몸체(16) 또는 지지블록(14)으로부터 돌출하여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는, 상술한 복수 단자(12)들과 지지블록(14) 및 몸체(16)를 포함한 구성을 플러그 조립체(18)라 명명하고, 이 플러그 조립체(18)의 단자(12)들이 각각 대응하여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을 커넥터(20)라 명명하며, 상술한 몸체(16)를 제외한 복수 단자(12)들과 단자(12)들의 배열을 고정하는 두 개의 지지블록(14)만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편의상 베어 플러그(bare plug)(12, 14)라 명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술한 베어 플러그(12, 14)는, 이미 정해진 규격으로 제작 및 판매되는 기성품이다.
상술한 플러그 조립체(18)의 조립관계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하부 케이스(22a)에 커넥터(20)를 포함한 각종 전자부품(P)이 실장된 기판(PCB)이 조립된 상태에서 플러그 조립체(18)의 어느 일측 단자(12)들을 커넥터(20)에 형성된 홀(h)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플러그 조립체(18)의 몸체(16)를 잡고 누르도록 함으로써 커넥터(20)의 각 홀(h)에 대응하여 각 단자(12)들이 끼워지게 하는 것으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20)에 대한 플러그 조립체(18)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커넥터(20)에 대한 플러그 조립체(18)의 조립에 있어서, 플러그 조립체(18)의 각 단자(12)들이 휘어진 상태에서 조립되거나 작업자의 불균일한 힘에 의해 기울어진 상태로 조립될 경우 및 정상적으로 조립된 이후에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커넥터(20)로부터 플러그 조립체(18)가 기울어진 상태로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각 경우는, 도 2c 내지 도 2f의 상부 케이스(22b)의 조립과정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20)에 대하여 플러그 조립체(18)가 비정상적으로 조립된 상태이고, 이후 상부로부터 상부 케이스(22b)가 조립될 경우에는 플러그 조립체(18)의 상부에 위치한 단자(12)들은 외부의 로봇 또는 다른 PLC의 다른 커넥터와의 접속을 위해 상부 케이스(22b)에 이미 마련된 안내홀(H)에 대하여 정렬되어 있지 못하게 된다.
이것은 이후 로봇(도시 안됨) 또는 다른 PLC의 커넥터(20')에 대하여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플러그 조립체(18)의 정렬이 과도하게 틀어진 경우, 플러그 조립체(18)의 상부 단자(12)들은 하부 케이스(22a)와 조립되는 상부 케이스(22b)의 천장에 닿아 눌려짐으로써 손상될 뿐 아니라 커넥터(20)는 물론 기판(PCB)의 손상 내지 파손을 유발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술한 플러그 조립체(18) 구성 중 몸체(16)의 상측 부위에 대하여 상부 케이스(22b)의 천장 부위는 들떠 있는 상태에 있으며, 이러한 상태는 상부 케이스(22b)의 중심 부위가 가장자리 부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출렁거리는(pitching) 현상을 유발하고, 또 이러한 현상은 PLC 간의 연결과정에서 상호 밀착되지 못하고 벌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다시 입출력모듈의 접속관계에 대한 불안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편, 플러그 조립체(18)는, 상술한 조립 관계의 문제 이외에도, 다른 문제점 또는 필요사항이 있다.
우선, 플러그 조립체(18)의 단자(12)들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놓이고, 그 돌출 길이 또한 커넥터(20)에 대한 안정적인 접속을 위해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형성관계의 플러그 조립체(18)들을 보관함에 있어서, 단자(12)들 상호 간에 엉키는 등 노출된 단자(12)들이 외부의 물리적인 힘을 받아 변형될 우려가 있으므로 단자(12)들을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또한, 플러그 조립체(18)의 몸체(16)는, 금형 내에 베어 플러그 조립체(18)를 장착하고, 지지블록(14)들 사이에 수지를 채워 고착시키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인서트 사출 방식은 대량 생산이 어렵고 번거로움이 있어 제조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4750호("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프론트 콘넥터의 커버 조립구조";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은 입출력모듈과 그 조립관계에 있는 PLC 케이스 등의 구성을 변형시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입출력모듈의 조립관계 변형은 기존의 PLC 시스템 구성을 모두 교체할 것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475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그에서 돌출한 단자들의 손상 가능성을 줄이도록 하고,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의 조립이 케이스의 조립관계와 더불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정렬토록 하며, 그 조립 및 정렬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게 하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의 특징적 구성은,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에서 복수의 홀을 형성한 커넥터와 결합되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로서, 배열된 복수 단자들의 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하는 지지블록이 상기 단자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루어진 베어 플러그와; 상기 베어 플러그가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관통 가능하며 상기 커넥터의 측부를 감싸는 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 위치하도록 내벽으로부터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플러그 케이스;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어느 일측의 상기 지지블록이 상기 걸림턱에 걸쳐짐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쳐진 상기 지지블록의 상대측 방향으로 돌출한 상기 플러그 케이스의 내측은 상기 커넥터 외벽의 안내를 받는 가이드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상기 플러그 케이스의 관 형성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 관 형성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베어 플러그의 슬라이딩 이동 간격을 제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케이스는, 한 쌍의 세그먼트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세그먼트들의 결합은, 상기 베어 플러그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상기 지지블록의 측부 둘레에 근접하여 감싸는 관 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대향하는 가장자리 부위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각 세그먼트는, 관 형성 방향에 대한 상기 세그먼트의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가이드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측벽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짐에 따라 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홀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한 쌍의 세그먼트들은 관 형성 방향 양측에서 각각 상호 마주보는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홀이 결합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러그 케이스는, 관 형성 방향 중심 부위에 조립홀을 형성한 단일의 관체로 구성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조립홀을 통해 일단이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 끼워져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각 실시 예의 상기 플러그 케이스의 관 형성 방향 양단에는 부분적으로 돌출한 지지돌기를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베어 플러그의 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플러그 케이스가 지지블록으로부터 돌출하는 어느 일측의 단자 또는 양측 지지블록에 인접한 단자 부위를 가리는 형상으로 설치됨에 따라 단자의 노출 부위에 대한 손상 가능성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케이스는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의 단자를 대응 위치시킨 상태에서 누르게 되면, 플러그 케이스의 내벽이 커넥터 측벽에 안내를 받아 수직으로 하고, 동시에 걸림턱이 지지블록을 눌러 단자들을 커넥터 홀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단자들의 손상 없이 안정적인 조립이 이루어지고, 또 플러그 케이스는 커넥터의 측벽에 대한 계속적인 지지를 받게 됨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도 수직으로 세원진 상태가 안정적이고도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러그 케이스의 상부와 돌기는 상부 케이스의 천장면과 홈 부위에 밀착 대응하여 지지하게 됨에 따라 상부 케이스의 피칭 가능성을 줄여 PLC 간의 결합이 안정적인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구성과 이들 구성에 의한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도 1의 화살표 Ⅱ-Ⅱ 선을 기준으로 하여 커넥터를 포함한 PLC 케이스에 대하여 플러그 조립체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구성과 이들 구성에 의한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Ⅳ-Ⅳ 선을 기준으로 하여 플러그 구성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플러그 조립체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실시 예에 따른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구성 및 이들 구성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실시 예에 따른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구성 및 이들 구성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5의 화살표 Ⅵ-Ⅵ 선을 기준으로 하여 커넥터를 포함한 PLC 케이스에 대하여 플러그 조립체의 조립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하겠으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는, 도 3 내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형식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12)들과 이들 단자(12)들의 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 설치되어 단자(12)들의 배열 및 그 형상을 유지토록 하는 지지블록(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베어 플러그(12, 14)를 구비한다.
또한, 플러그 조립체는, 베어 플러그(12, 14)가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관통 가능하도록 관 형상을 이루는 플러그 케이스(30a, 30b)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베어 플러그(12, 14)는, 대체로 단자(12)들의 배열 형상에 의해 결정되고, 이들 단자(12)들의 배열 형상은 대체적으로 외곽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이들 단자(12)들을 고정하는 지지블록(14)은 단자(12)들의 측면으로부터 더 돌출한 형상의 것으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베어 플러그(12, 14)를 적용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플러그 케이스(30a, 30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세그먼트가 상호 마주보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이들 세그먼트의 결합에 의해 상호 마주보는 내측 부위가 베어 플러그(12, 14)의 측부 둘레에 근접하여 감싸는 관 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술한 세그먼트들은, 관 형성 방향에 대한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체결돌기(34a, 34b)가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가이드 측벽(36a, 36b)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 측벽(36a, 36b)에는 체결돌기(34a, 34b)가 끼워짐에 따라 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홀(38a, 38b)이 형성된 구성을 이룬다.
그리고, 이들 세그먼트들의 결합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사이에 놓이는 베어 플러그(12, 14)를 중심으로 한 회전 대칭 위치에서 두 개의 세그먼트들이 마주보며 근접하게 됨에 따라 상호 마주보는 체결돌기(34a, 34b)가 체결홀(38a, 38b)에 끼워지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3과 도 4에서는, 상술한 체결돌기(34a, 34b)와 체결홀(38a, 38b)의 상호 결합 관계에 대하여 체결돌기(34a, 34b)의 측부에 언더컷 또는 훅 형상을 갖는 구성으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이 억지 끼움으로 끼워진 후 접착제 또는 열융착 등의 방법을 통해 그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세그먼트들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관 형상의 크기는, 상술한 베어 플러그(12, 14)가 그 내부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시에 흐트러지지 않도록 미세한 공차(지지블록의 외곽으로부터 약 +0.5㎜)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세그먼트 내벽에 형성한 걸림턱(32a, 32b)은, 관 형성 방향의 중심에 하나 형성되거나 그 중심을 기준으로 관 형성 방향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둘 이상의 개수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걸림턱(32a, 32b)들은, 베어 플러그(12, 14)가 플러그 케이스(30a, 30) 내에 놓인 상태에서 지지블록(14)들 사이에 놓인다.
이에 더하여 플러그 케이스(30a, 30b) 내벽에 대한 걸림턱(32a, 32b)의 돌출 길이는, 플러그 케이스(30a, 30b)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놓이는 지지블록(14)들에 대하여 그 슬라이딩 이동 구간을 제한하도록 지지블록(14)들 사이의 대향면에 대하여 걸쳐지는 정도 이상으로 돌출할 것과 적어도 대응 위치의 단자(12)들 측부 표면에 접촉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을 것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걸림턱(32a, 32b)의 구성에 의해 베어 플러그(12, 14)는 플러그 케이스(30a, 30b) 내에서 어느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상대측 방향의 지지블록(14)이 걸림턱(32a, 32b)에 걸쳐짐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걸림턱(32a, 32b)에 걸쳐진 지지블록(14)으로부터 상대측 방향으로 돌출한 단자(12)들은 그 방향의 플러그 케이스(30a, 30b) 단부 부위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가려지며, 이렇게 지지블록(14)으로부터 돌출한 플러그 케이스(30a, 30b) 내측은 커넥터(20)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상태를 이룬다.
한편, 도 6a와 도 7b는, 본 발명의 플러그 조립체에 대한 각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6a와 도 6b에 도시한 플러그 케이스(50) 구성은, 관 형상의 것을 관 형성 방향으로 절단한 반 관 형상의 세그먼트 두 개를 베어 플러그(12, 14)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게 위치시키고, 어느 하나의 세그먼트는 하부 금형에 고정하고, 다른 하나는 상부 금형에 장착한다.
이후 이들 상·하부 금형(46, 48)을 통해 상호 마주보는 세그먼트들을 가압하면서 상호 접하는 관 형성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 부위에 대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거나, 열융착, 초음파 융착, 고주파 융착, 플라즈마 융착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접합기(49)를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것으로 상술한 기능의 플러그 케이스와 같이 사용토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한 쌍의 세그먼트들 결합으로 이루어진 플러그 케이스(50) 내벽에는, 단면도로서 도면에 표현하지는 않았으나, 도 4의 표현과 같은 걸림턱(32a, 32b)이 형성되어 위의 일 실시 예의 설명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도 7a와 도 7b에 도시한 플러그 케이스(60) 구성은, 이미 설정된 크기로 제작된 단일의 관체로 이루어지고, 이 관체의 측벽에는 관 형성 방향의 중심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홀(64)이 형성되며, 이 조립홀(64)에는 대응하여 끼워지면서 일단이 관체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턱(62)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때 플러그 케이스(60)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턱(62)의 단부는, 탑재된 베어 플러그(12, 14)의 지지블록(14)들 사이에 놓여, 앞서 설명한 일 실시 예의 설명에서 밝힌 걸림턱(32a, 32b)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각 실시 예의 플러그 케이스(30a, 30b, 50, 60)의 관 형성 방향 양단에는 부분적으로 돌출한 지지돌기(40a, 40b)가 더 형성되며, 이 지지돌기(40a, 40b)의 기능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플러그 조립체의 설치 관계 설명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밝힌 각 실시 예의 플러그 조립체에 있어서, 그 설치 관계는, 도 8a 내지 도 8e에서와 같이, 도면의 표현을 일 실시 예의 구성 중 하나에 기초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하부 케이스(42a)에 커넥터(20, 20')를 포함한 각종 전자부품(P)이 실장된 기판(PCB)이 조립된 상태에서 플러그 조립체의 어느 일측 단자(12)들을 커넥터(20)에 형성된 홀(h)들에 각각 대응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플러그 케이스(30a)를 잡고 누르도록 함으로써 커넥터(20)의 각 홀(h)에 대응하여 각 단자(12)들이 끼워지게 하는 것으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20)에 대한 플러그 조립체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때 커넥터(20)에 대응하는 플러그 케이스(30a)의 하부 내측은, 커넥터(20)의 상측 단부가 삽입 가능한 형상을 이루고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눌려지는 과정에서 커넥터(20)의 외벽의 안내 및 지지를 받아 수직으로 하강하게 되는 가이드부를 이룬다.
또한, 플러그 케이스(30a)의 하강시에 베어 플러그(12, 14)는, 하측 지지블록(14)이 걸림턱(32a)에 의해 눌려지고, 플러그 케이스(30a) 내벽에 수직하게 지지되는 베어 플러그(12, 14)는 안정적으로 하강하면서, 하측 단자(12)들이 커넥터(20)에 형성된 각 홀(h)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끼워지는 관계를 이룬다.
이렇게 설치되는 플러그 조립체는, 커넥터(20)의 지지를 받아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경우에도 그 수직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설치 상태는, 도 8c 내지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후에 상부로부터 조립되는 상부 케이스(42b)에 형성된 안내홀(H)과 또 그 위로 연결되는 다른 하부 케이스(42a)의 안내홀(H') 및 다른 커넥터(20')에 대하여 정렬된 상태로 놓이게 되어 이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지지돌기(40a) 중 하측 부위에 형성된 것은, 기판(PCB) 위에 얹혀짐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수직 상태를 구현토록 하고, 상측 부위에 형성된 것은 상부 케이스(42b)의 천장에 닿도록 함으로써 상부 케이스(42b) 중심 부위의 피칭 현상을 방지토록 하여 안정적인 로봇과 PLC 또는 PLC들 사이의 접속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플러그 베이스(30a)의 상부에 있는 지지돌기(40a)에 대응하는 상부 케이스(42b)의 천장면에는 지지돌기(40a)가 끼워지도록 하여 플러그 조립체의 상측 단자(12)들이 안내홀(H, H')에 대하여 정렬되어 놓이도록 안내하는 안내홈(44)을 더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PLC 내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조립체는 플러그 케이스(30a, 30b, 50, 60)의 구성이 단순하고, 또 이들의 결합이 용이함에 따라 기존의 인서트 사출 방식에 비교하여 제작 비용을 줄이는 효과도 갖는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입출력모듈 12: 단자
14: 지지블록 16: 몸체
18: 플러그 조립체 20, 20': 커넥터
22a, 22b, 42a, 42b: PLC 케이스 30a, 30b, 50, 60: 플러그 케이스
32a, 32b, 62: 걸림턱 34a, 34b: 체결돌기
36a, 36b: 가이드 측벽 38a, 38b: 체결홀
40a, 40b: 지지돌기 44: 안착홈
46: 하부 지그 48: 상부 지그
49: 접합기 64: 조립홀

Claims (6)

  1.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에서 복수의 홀을 형성한 커넥터와 결합되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로서,
    배열된 복수 단자들의 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하는 지지블록이 상기 단자들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이루어진 베어 플러그와;
    상기 베어 플러그가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관통 가능하며 상기 커넥터의 측부를 감싸는 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지지블록 사이에 위치하도록 내벽으로부터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플러그 케이스;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어느 일측의 상기 지지블록이 상기 걸림턱에 걸쳐짐으로써 슬라이딩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쳐진 상기 지지블록의 상대측 방향으로 돌출한 상기 플러그 케이스의 내측은 상기 커넥터 외벽의 안내를 받는 가이드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플러그 케이스의 관 형성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 관 형성 방향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베어 플러그의 슬라이딩 이동 간격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케이스는, 한 쌍의 세그먼트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세그먼트들의 결합은, 상기 베어 플러그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상기 지지블록의 측부 둘레에 근접하여 감싸는 관 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대향하는 가장자리 부위를 통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세그먼트는, 관 형성 방향에 대한 상기 세그먼트의 일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가장자리 부위에는 가이드 측벽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측벽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끼워짐에 따라 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홀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세그먼트들은 관 형성 방향 양측에서 각각 상호 마주보는 상기 체결돌기와 체결홀이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케이스는, 관 형성 방향 중심 부위에 조립홀을 형성한 단일의 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조립홀을 통해 일단이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 끼워져 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케이스의 관 형성 방향 양단에는 부분적으로 돌출한 지지돌기가 더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KR1020130017292A 2013-02-19 2013-02-19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KR10144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292A KR101444839B1 (ko) 2013-02-19 2013-02-19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292A KR101444839B1 (ko) 2013-02-19 2013-02-19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40A KR20140103640A (ko) 2014-08-27
KR101444839B1 true KR101444839B1 (ko) 2014-09-26

Family

ID=5174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292A KR101444839B1 (ko) 2013-02-19 2013-02-19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8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8630A (ja) * 2003-11-28 2005-06-16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2005524941A (ja) * 2002-05-06 2005-08-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介在接地形態を有する高速差動信号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4941A (ja) * 2002-05-06 2005-08-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介在接地形態を有する高速差動信号コネクタ
JP2005158630A (ja) * 2003-11-28 2005-06-16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40A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0601B1 (en) Housing case for electronic circuit board
JP6727103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844933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RU2583042C2 (ru) Модульная клеммная колодка
CN109478750B (zh) 具有端子支承体的电连接器
US10608363B2 (en) Electrical connector involving paired housing halves
US10297994B2 (en) Substrate holding structure, electronic component module,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JP2016040758A (ja) 電子部品
JP6190348B2 (ja) コネクタの支持構造及びアダプタ
US10673180B2 (en) Electrical connector
TWI583064B (zh) 具有固定插件之電氣連接器及插座組件
US9378912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4222576A (ja) コネクタ
KR20150090824A (ko) 커넥터
US11799237B2 (en) Terminal body for high-voltage connection, cable assembly and connector
CN101828311A (zh) 电连接器组件
US20190372247A1 (en) Circuit connection device
US10622743B2 (en) Terminal module with a conductive obliquely wound coil spring held against an electrical contact member and connector having such a terminal module
WO2020057629A1 (zh) 一种转换插头、电源适配器加工方法及转换插头、电源适配器
KR102280995B1 (ko) 커넥터가 설치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6136078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装置
KR101444839B1 (ko)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모듈용 플러그 조립체
JP2009193764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雌雄同形端子
US10348027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