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266B1 -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266B1
KR101444266B1 KR1020140006054A KR20140006054A KR101444266B1 KR 101444266 B1 KR101444266 B1 KR 101444266B1 KR 1020140006054 A KR1020140006054 A KR 1020140006054A KR 20140006054 A KR20140006054 A KR 20140006054A KR 101444266 B1 KR101444266 B1 KR 101444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s
ess
load
ems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재
이윤하
김지수
임승범
이원일
이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온
Priority to KR102014000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ESS 기능이 필요한 첨두부하시,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MS(10)가 입력단의 스위치(SW)를 오프시키고, 스위치(SW)오프에 따라 정전으로 인식한 UPS(20)가 배터리 모드로 동작하여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에 미리 저장된 에너지를 부하(L)로 공급하되, ESS 기능이 필요 없어진 경우, EMS(10)가 입력단 스위치를 온시키고, UPS(20)가 상용전원을 부하(L)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정상 모드로 동작하여 안정적인 전원을 부하에 공급하면서 ESS 기능이 필요한 첨두부하시,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SS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고, 효율적인 전력관리를 제공하고, 종래에 설치되어 있던 UPS에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전력관리를 위해 신규로 ESS를 설치하는 불편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USUA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본 발명은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산업계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무정전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를 활용하여 안정적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력 부족에 따른 순환 정전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하면서 부하 평준화(Load Leveling)를 통한 첨두부하를 분산 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20638호(전력 저장 시스템의 제어장치, 전력 저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는 복수의 셀의 측정 전압 및 측정 전류를 동기화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고, 산업계에서 에너지 저장 장치와 관련하여 다양한 실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13년 이후 ESS 보급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정책이 마련되어 ESS 산업의 확대를 위한 기반이 구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으로, 상용전원의 정전 및 전압 변동에 민감한 산업용 첨단 장비, 의료기기, 컴퓨터, 금융, 사무용기기 등 고도의 디지털 정보 처리기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무정전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ystem; UPS)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UPS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종속성에 의해서 크게 Passive-Standby, Line-Interactive, Double-Conversion 방식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UPS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UPS(정류기, 인버터, 배터리 충전기, 배터리 방전기, 배터리), 부하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정류기와 인버터를 통해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배터리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정전이나 입력전원 불안정시에는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앞서 설명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S(Power Conditioning System), BMS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PCS가 배터리 충전기로 동작해서 배터리를 충전하고, 첨두부하시나 전력 부족시에는 배터리 방전기로 동작해서 미리 저장한 배터리 에너지를 이용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UPS는 정전이나 입력 전원 불량시 등 비상시에 부하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첨두부하시나 전력부족시에 전력 관리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고, 종래의 ESS의 경우 평상시에 인버터는 동작하지 않고 배터리를 충전만 하고 있기 때문에 UPS의 기능인 정전시나 입력 전원 불량시에 부하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두 개의 시스템은 배터리를 이용한 전력 저장 측면에서 동일한 분류의 기술이며, 활용도 측면에서 두 개 분야 모두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에너지 저장 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으나, 에너지 저장 장치의 투자비가 커서 현재의 전력요금체계에서는 투자비를 회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산업계에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UPS를 활용하여 에너지 관리 장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목적이 있다.
세부적으로는, 본 발명은 종래의 UPS에서 사용되는 단수명의 배터리(납축전지)를 장수명의 배터리(리튬이온, 리튬 폴리머, 리튬 인산철, Flow 배터리 등)로 교체하고 별도의 스위치나 절체 스위치를 사용하여, 평상시에는 UPS로 동작하고, ESS 기능이 필요한 첨두부하시,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SS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면서, 효율적인 전력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ESS 기능이 필요한 첨두부하시,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MS(10)가 입력단의 스위치(SW)를 오프시키고, 스위치(SW)오프에 따라 정전으로 인식한 UPS(20)가 배터리 모드로 동작하여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에 미리 저장된 에너지를 부하(L)로 공급하되, ESS 기능이 필요 없어진 경우, EMS(10)가 입력단 스위치를 온상태로 전환하여 UPS(20)가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ESS 기능이 필요한 첨두부하시,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SS 기능을 내장한 하이브리드 UPS(20')가 EMS(10)의 제어에 따라 ESS 모드로 동작하여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에 미리 저장된 에너지를 부하(L)로 공급하되, ESS 기능이 필요 없어진 경우, 하이브리드 UPS(20')가 EMS(10)의 제어에 따라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ESS 기능이 필요한 첨두부하시,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MS(10)가 UPS(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부하(L)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입력단 스위치(SW)의 온/오프를 통해 ESS 기능 동작을 제어하되, EMS(10)가 입력단 스위치(SW)를 온 시키는 시점에 배터리를 충전 시키거나, UPS(20)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충전시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ESS 기능이 필요한 첨두부하시,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MS(10)가 하이브리드 UPS(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부하(L)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대기 상태의 하이브리드 UPS(20')는 ESS 모드 또는 UPS 모드로 대기하되, ESS 모드로 동작하는 하이브리드 UPS(20')의 배터리 잔존 용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대기하던 하이브리드 UPS(20')가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ESS 기능이 필요한 첨두부하시,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MS(10)가 입력단의 스위치(SW)를 오프시켜 UPS(20)의 ESS 동작을 제어하고, EMS(10)가 UPS(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부하(L)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되, ESS 동작 중에 상기 UPS(20)의 고장이나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 대기중인 UPS(20)를 통해 부하(L)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ESS 기능이 필요한 첨두부하시,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하이브리드 UPS(20')가 ESS 모드로 동작하고,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부하(L)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되, ESS 동작 중에 하이브리드 UPS(20')의 고장이나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 대기중인 하이브리드 UPS(20')가 부하(L)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UPS 모드로 동작하여 안정적인 전원을 부하에 공급하면서 ESS 기능이 필요한 첨두부하시,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SS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부하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고, 효율적인 전력관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설치되어 있던 UPS에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전력관리를 위해 신규로 ESS를 설치하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기존의 UPS를 설치 운영하는 모든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ESS를 신규 구축시 필요한 장소, 설치 배전망, 케이블링 등의 투자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UPS는 항시 사용하지 않고 정전이 발생하거나, 입력전원이 불규칙적인 경우의 비상목적 외에는 효용성이 없으므로 설비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UPS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ESS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일반 UPS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UPS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일반 UPS를 병렬로 사용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UPS를 병렬로 사용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일반 UPS를 절체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UPS를 절체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일반 UPS를 통해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일반 UPS를 통해 Catcher Bus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일반 UPS를 통해 인터리브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일반 UPS를 통해 링방식의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UPS를 통해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UPS를 통해 Catcher Bus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UPS를 통해 인터리브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하이브리드 UPS를 통해 링방식의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UPS의 구성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UPS는, ESS 기능이 없는 일반 UPS와 ESS 기능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UPS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UPS 각각은 단독, 병렬 또는 이중화 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되며, UPS의 사용 대수 및 사용 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종속성에 따라 Passive-Standby, Line-Interactive, 또는 Double-Conversion 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일반 UPS를 이용한 단독 시스템 구축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S)의 일반 UPS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도 3의 (a)는 BMS의 구성이 없는 경우, ESS 기능이 필요한 전력부족, 첨두부하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된다.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MS(10)가 입력단의 스위치(SW)를 오프시키고, 스위치(SW)오프에 따라 정전으로 인식한 UPS(20)가 배터리 모드로 동작하여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에 미리 저장된 에너지를 부하(L)로 공급한다.
그리고, ESS 기능이 필요 없어진 경우, EMS(10)가 입력단 스위치를 온시키고, UPS(20)가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기존 방식은 배터리를 바로 충전시키지만 본 발명은 EMS(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시점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의 (b)는 BMS가 있는 경우를 도시한 구성이다.
BMS(30)가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잔존용량이 기 설정한 값 이하인 경우, UPS(20)가 ESS 기능을 정지시키고, EMS(10)의 입력단 스위치(SW)의 온/오프를 통해 온 상태로 전환된 UPS(20)가 부하(L)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배터리의 충전시점은 EMS(10)에 의해 결정된다.
2. 하이브리드 UPS를 이용한 단독 시스템 구축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S)의 하이브리드 UPS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도 4의 (a)는 BMS가 없는 경우로,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하이브리드 UPS(20')가 EMS(10)의 제어에 따라 ESS 모드로 동작하여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에 미리 저장된 에너지를 부하(L)로 공급한다.
그리고, ESS 기능이 필요 없어진 경우, 하이브리드 UPS(20')가 EMS(10)의 제어에 따라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기존 방식은 배터리를 바로 충전시키지만 본 발명은 EMS(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시점을 결정한다.
이는, ESS 기능을 멈추고 UPS 기능으로 동작하자마다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면 전력을 관리할 수 없으므로 전력을 관리하는 ESS의 목적에 맞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EMS(10)가 충전 시점을 결정하여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전력을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EMS(10)에서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배터리의 잔존용량이 미리 설정해놓은 설정값이 되면, UPS의 기본 목적인 정전시나 입력전원 불안정시에 동작하기 위해서 ESS 모드를 멈추고 UPS 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20')는 상용전원과 배터리를 동시에 입력으로 하여 부하(L)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kVA 하이브리드 UPS(20')가 ESS 모드로 동작시에 배터리의 방전량을 50kW로 설정한 경우, 부하가 50kW 이하이면 모두 배터리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70kW이면 50kW는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하고 나머지 20kW는 상용전원에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기능은 배터리의 사용량과 상용전원의 사용량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전력관리가 용이하다.
한편, 도 4의 (b)는 BMS가 있는 경우를 도시한 구성이다.
먼저, BMS(30)가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잔존용량이 기 설정한 값 이하인 경우, 하이브리드 UPS(20')가 ESS 기능을 정지시키고, UPS 모드로 동작하여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한다.
3. 일반 UPS를 이용한 병렬 시스템 구축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S)의 일반 UPS를 병렬로 사용하는 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도 5의 (a)는 BMS의 구성이 없는 경우, ESS 기능이 필요한 전력부족, 첨두부하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된다.
먼저,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MS(10)가 입력단의 스위치(SW)를 오프시키고, 스위치(SW)오프에 따라 정전으로 인식한 UPS(20)가 배터리 모드로 동작하여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에 미리 저장된 에너지를 부하(L)로 공급한다.
이때, UPS(20)는 EMS(10)의 제어에 따라 전체 동작을 통해 부하를 분담하여 동작할 수도 있고, 부하량에 따라 동작할 UPS(20)를 선택할 수 있어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도 있고, 배터리 또한 효율적으로 운영 가능하다.
그리고, ESS 기능이 필요 없어진 경우, EMS(10)가 입력단 스위치(SW)를 온시키고, UPS(20)가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때, 복수개로 구성되는 입력단의 스위치(SW)는 동시에 온/오프 되거나, 개별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충전시점은 EMS(10)에서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오프 함으로써 UPS의 입력전원을 상용전원으로 하거나 배터리로 선택함으로써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UPS(20)에서 충전 시점을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 입력단 스위치(SW)가 온 될 때 충전을 시작하므로, EMS(10)에서 입력단 스위치(SW)의 온 시점을 결정해서 UPS(20)가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b)는 BMS가 있는 경우를 도시한 구성이다.
먼저, BMS(30)가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잔존용량이 기 설정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EMS(10)가 입력단 스위치(SW)의 온/오프를 통해 온 상태로 전환된 UPS(20)가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부하(L)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ESS 모드로 동작하는 UPS(20)의 배터리 잔존 용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EMS(10)가 입력단 스위치(SW)를 온상태로 전환하여 UPS(20)가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도 5의 (a)와 동일하게, 복수개로 구성되는 입력단의 스위치(SW)는 동시에 온/오프 되거나, 개별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충전시점은 EMS(10)에 의해 결정된다.
4. 하이브리드 UPS를 이용한 병렬 시스템 구축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S)의 하이브리드 UPS를 병렬로 사용하는 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도 6의 (a)는 BMS가 없는 경우로,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하이브리드 UPS(20')가 EMS(10)의 제어에 따라 ESS 모드로 동작하여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에 미리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부하(L)로 공급한다.
그리고, ESS 기능이 필요 없어진 경우, 하이브리드 UPS(20')가 EMS(10)의 제어에 따라 상용전원을 부하(L)로 공급한다.
이때, 하이브리드 UPS(20')는 EMS(10)의 제어에 따라 동시에 모두 ESS 기능을 수행하거나 순차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20')는 EMS(10)의 제어에 따라 전체 동작을 통해 부하를 분담하여 동작거나, 부하량에 따라 동작할 하이브리드 UPS(20')를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어 전체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도 있고, 배터리 또한 효율적으로 운영 가능하다.
한편, 도 6의 (b)는 BMS가 있는 경우를 도시한 구성이다.
BMS(30)가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잔존용량이 기 설정한 값 이하인 경우, 하이브리드 UPS(20')의 ESS 기능을 정지시키고, UPS 모드로 동작시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도 6의 (a)와 동일하게, 배터리의 충전시점은 EMS(10)에 의해 결정된다.
5. 일반 UPS를 이용한 절체 시스템 구축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S)의 일반 UPS를 절체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도 7의 (a)는 BMS가 없는 경우로, EMS(10)가 UPS(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온 상태로 전환된 UPS가 부하(L)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고, 입력단 스위치(SW)의 온/오프를 통해 ESS 기능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EMS(10)가 입력단 스위치(SW)를 온 시키는 시점에 따라서 배터리의 충전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고, UPS(20)에 직접 명령을 통해서 배터리의 충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는 BMS가 있는 경우를 도시한 구성이다.
먼저, BMS(30)가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잔존용량이 기 설정한 값 이하인 경우, EMS(10)가 UPS(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온 상태로 전환된 UPS(20)가 부하(L)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대기 상태의 UPS(20)는 ESS 모드 또는 UPS 모드로 대기하되, ESS 모드로 동작하는 UPS(20)의 배터리 잔존 용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EMS(10)가 절체 스위치(SW2)를 스위칭하여 대기하던 UPS(20)가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지속적으로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a)와 동일하게, 복수개로 구성되는 입력단의 스위치(SW)는 동시에 온/오프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충전시점은 EMS(10)에 의해 결정된다.
6. 하이브리드 UPS를 이용한 절체 시스템 구축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S)의 하이브리드 UPS를 절체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구성을 살피면 아래와 같다.
도 8의 (a)는 BMS가 없는 경우로, EMS(10)가 하이브리드 UPS(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온 상태로 전환된 UPS가 부하(L)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이때, 대기 상태의 하이브리드 UPS(20')는 ESS 모드 또는 UPS 모드로 대기하되, ESS 모드로 동작하는 하이브리드 UPS(20')의 배터리 잔존 용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온 상태로 전환되어 대기하던 하이브리드 UPS(20')가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지속적으로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ESS 모드로 동작시 고장이나 이상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출력단에 전력을 공급하지 못할 경우에도 대기중인 예비 하이브리드 UPS(20')를 통해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복수개의 하이브리드 UPS(20')가 교대로 ESS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b)는 BMS가 있는 경우를 도시한 구성이다.
먼저, BMS(30)가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잔존용량이 기 설정한 값 이하인 경우, EMS(10)가 하이브리드 UPS(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온 상태로 전환된 하이브리드 UPS(20')가 부하(L)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대기 상태의 하이브리드 UPS(20')는 ESS 모드 또는 UPS 모드로 대기하되, ESS 모드로 동작하는 하이브리드 UPS(20')의 배터리 잔존 용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EMS(10)가 절체 스위치(SW2)를 스위칭하여 대기하던 하이브리드 UPS(20')가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지속적으로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ESS 모드로 동작시 고장이나 이상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출력단에 전력을 공급하지 못할 경우에도 EMS(10)가 절체 스위치(SW2)를 스위칭하여 대기중인 예비 하이브리드 UPS(20')를 통해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복수개의 하이브리드 UPS(20')가 교대로 ESS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EMS(10)가 하이브리드 UPS(20')에 직접 명령을 통해서 배터리의 충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S)의 예비 UPS 구성에 따른 4가지 방식(이중화, Catcher Bus 이중화, 인터리브 이중화 및 링방식의 이중화)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7. 일반 UPS를 이용한 이중화 시스템 구축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S)의 일반 UPS를 통해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 UPS를 통해 Catcher Bus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 UPS를 통해 인터리브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 UPS를 통해 링방식의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이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의 (a)는 BMS가 없는 경우로, EMS(10)가 입력단의 스위치(SW)를 오프시켜 UPS(20)의 ESS 동작을 제어하고, EMS(10)가 UPS(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부하(L)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되, ESS 동작 중에 UPS(20)의 고장이나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 UPS(20)가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대기중인 UPS(20)를 통해 부하(L)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EMS(10)에서 배터리의 충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의 (b)는 BMS가 있는 경우를 도시한 구성이다.
먼저, BMS(30)가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잔존용량이 기 설정한 값 이하인 경우, EMS(10)가 UPS(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온 상태로 전환된 UPS(20)가 부하(L)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대기 상태의 UPS(20)는 ESS 모드 또는 UPS 모드로 대기하되, ESS 모드로 동작하는 UPS(20)의 배터리 잔존 용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EMS(10)가 절체 스위치(SW2)를 스위칭하여 대기하던 UPS(20)가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지속적으로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ESS 동작 중에 UPS(20)의 고장이나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 UPS(20)가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하(L)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8. 하이브리드 UPS를 이용한 이중화 시스템 구축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S)의 하이브리드 UPS를 통해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를 통해 Catcher Bus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이며, 도 15는 하이브리드 UPS를 통해 인터리브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UPS를 통해 링방식의 이중화 시스템을 구성한 도면이다.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의 (a)는 BMS가 없는 경우로, EMS(10)의 제어에 따라 하이브리드 UPS(20')가 ESS 모드로 동작하고,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부하(L)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되, ESS 동작 중에 하이브리드 UPS(20')의 고장이나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 하이브리드 UPS(20')가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대기중인 하이브리드 UPS(20')가 부하(L)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도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EMS(10)에서 배터리의 충전 시점을 결정할 수 있고, 입력원도 결정가능하다.
한편,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의 (b)는 BMS가 있는 경우를 도시한 구성이다.
먼저, BMS(30)가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잔존용량이 기 설정한 값 이하인 경우, EMS(10)가 하이브리드 UPS(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온 상태로 전환된 하이브리드 UPS(20')가 부하(L)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대기 상태의 하이브리드 UPS(20')는 ESS 모드 또는 UPS 모드로 대기하되, ESS 모드로 동작하는 하이브리드 UPS(20')의 배터리 잔존 용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EMS(10)가 절체 스위치(SW2)를 스위칭하여 대기하던 하이브리드 UPS(20')가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지속적으로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ESS 동작 중에 하이브리드 UPS(20')의 고장이나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 하이브리드 UPS(20')가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하(L)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정리하면, BMS가 있는 경우는 BMS(30)에서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고, 없는 경우에는 UPS(20) 또는 하이브리드 UPS(20')에서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ESS 모드를 제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입력단 스위치(SW)는, 차단기, M/C, 스위치 기어 또는 반도체 소자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수동, 능동적으로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출력단 절체 스위치(SW2)는 ATS(Automatic Transfer Switch), CTTS(Close Transition Transfer Switch) 또는 STS(Source Transfer Switch)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입력은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출력은 1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를 UPS 또는 하이브리드 UPS의 입력원으로 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 10 내지 도 12, 도 14 내지 도 16의 구성은 기본적인 이중화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나, 초기 투자비용을 줄이면서도 이중화 구성에 의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ESS 기능이 없는 UPS의 경우 EMS에서 입력단의 스위치를 오프시켜서 ESS로 동작을 할 수 있고, 예비 UPS나 다른 UPS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하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BMS의 유무에 따라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EMS에서 배터리의 충전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ESS 기능이 있는 하이브리드 UPS의 경우 EMS에서 지령을 내려서 ESS 모드로 동작을 할 수 있고, 예비 하이브리드 UPS나 다른 하이브리드 UPS가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하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도 EMS에서 배터리의 충전 시점을 결정할 수 있고, 입력원도 결정 가능하며, BMS의 유무에 따라서 BMS가 있는 경우는 BMS에서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고, 없는 경우에는 UPS에서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ESS 모드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정리하면, UPS는 부하에 지속인 전력 공급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를 하므로 신뢰성과 안정성이 중요하다. 즉, ESS는 첨두부하시나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목적에 의해서 ESS 기능이 필요한 시기에 동작하는 장비이므로 매일 ESS 기능을 하거나 수시로 동작을 함으로 UPS를 이용해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구축할때에는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므로 이런 이중화 방식이 필요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10: EMS(Energy Management System)
20: UPS(Uninterruptible Power System)
20': 하이브리드 UPS(Uninterruptible Power System)
30: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SW: 입력단 스위치
SW2: 출력단 절체 스위치
L: 부하

Claims (20)

  1. ESS 기능이 필요한 첨두부하시,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MS(10)가 입력단의 스위치(SW)를 오프시키고, 스위치(SW)오프에 따라 정전으로 인식한 UPS(20)가 배터리 모드로 동작하여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에 미리 저장된 에너지를 부하(L)로 공급하고,
    ESS 기능이 필요 없어진 경우, EMS(10)가 입력단 스위치를 온상태로 전환하여 UPS(20)가 상용전원을 부하(L)로 공급하되,
    상기 UPS(20)는 EMS(10)의 제어에 따라 전체 동작을 통해 부하를 분담하여 동작거나, 부하량에 따라 동작할 UPS(20)를 선택하여 동작하고,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잔존용량이 기 설정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EMS(10)의 입력단 스위치(SW) 온/오프를 통해 온 상태로 전환된 UPS(20)가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부하(L)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ESS 모드로 동작하는 UPS(20)의 배터리 잔존 용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EMS(10)가 입력단 스위치(SW)를 온상태로 전환하여 UPS(20)가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하는 BMS(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단의 스위치(SW)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동시에 온/오프 또는 개별적으로 온/오프 되고, 배터리의 충전시점은 상기 EMS(10)의 제어에 따라 충전하고,
    상기 UPS(20)는,
    상기 입력단 스위치(SW)가 온 상태인 경우 충전을 시작하되, 상기 EMS(10)의 제어에 따라 입력단 스위치(SW)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UPS(20)가 하이브리드 UPS(20`)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하이브리드 UPS(20`)가 상기 EMS(10)의 제어에 따라 동시에 모두 ESS 기능을 수행하거나 순차적으로 ESS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UPS(20')는,
    상기 EMS(10)의 제어에 따라 동시에 모두 ESS 기능을 수행하거나 순차적으 ESS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ESS 기능이 필요한 첨두부하시, 전력부족시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ESS 기능이 필요한 경우, EMS(10)가 입력단의 스위치(SW)를 오프시켜 UPS(20)의 ESS 동작을 제어하고, EMS(10)가 UPS(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부하(L)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되,
    ESS 동작 중에 상기 UPS(20)의 고장이나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 대기중인 UPS(20)를 통해 부하(L)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배터리의 잔존용량을 체크하여 잔존용량이 기 설정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EMS(10)가 UPS(20)의 출력단에 설치된 절체 스위치(SW2)의 온/오프를 통해 온 상태로 전환된 UPS(20)가 부하(L)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대기 상태의 UPS(20)는 ESS 모드 또는 UPS 모드로 대기하며, ESS 모드로 동작하는 UPS(20)의 배터리 잔존 용량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EMS(10)가 절체 스위치(SW2)를 스위칭하여 대기하던 UPS(20)가 부하(L)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에 미리 저장된 에너지를 부하(L)로 공급하는 BMS(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15. 삭제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UPS(20)는,
    하이브리드 UPS(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ESS 동작 중에 상기 하이브리드 UPS(20')의 고장이나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 대기중인 하이브리드 UPS(20')가 부하(L)에 전력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17. 삭제
  18. 제1항 또는 제14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 스위치(SW)는,
    차단기, M/C, 스위치 기어 또는 반도체 소자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수동, 능동적으로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 절체 스위치(SW2)는,
    ATS(Automatic Transfer Switch), CTTS(Close Transition Transfer Switch) 또는 STS(Source Transfer Switch)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20. 제1항 또는 제14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UPS(20)는,
    ESS 기능이 없는 일반 UPS, 및 ESS 기능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UPS 모두를 포함하고, 단독, 병렬 또는 이중화 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되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종속성에 따라 Passive-Standby, Line-Interactive, 또는 Double-Conversion 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0140006054A 2014-01-17 2014-01-17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444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054A KR101444266B1 (ko) 2014-01-17 2014-01-17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054A KR101444266B1 (ko) 2014-01-17 2014-01-17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266B1 true KR101444266B1 (ko) 2014-09-30

Family

ID=5176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054A KR101444266B1 (ko) 2014-01-17 2014-01-17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2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0078A (zh) * 2018-12-24 2019-03-08 徐州海伦哲特种车辆有限公司 一种双冗余ups电源车及其控制方法
KR20210135396A (ko) * 2020-05-05 2021-11-15 성실에너지 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US11336112B2 (en) 2016-09-23 2022-05-17 Samsung Sdi Co., Ltd. Power supply device
CN114512955A (zh) * 2022-02-18 2022-05-17 深圳力锐斯电子有限公司 一种ups并机系统的短路保护方法、装置及ups
US11489362B1 (en) 2022-03-10 2022-11-01 Enconnex LLC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with supplemental power apportion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617B1 (ko) * 2013-07-30 2013-10-29 이화전기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를 구비한 무정전전원장치의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1331183B1 (ko) * 2013-06-17 2013-11-20 주식회사 이온 에너지저장 기능을 갖는 무정전전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183B1 (ko) * 2013-06-17 2013-11-20 주식회사 이온 에너지저장 기능을 갖는 무정전전원장치
KR101322617B1 (ko) * 2013-07-30 2013-10-29 이화전기공업 주식회사 배터리를 구비한 무정전전원장치의 에너지저장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6112B2 (en) 2016-09-23 2022-05-17 Samsung Sdi Co., Ltd. Power supply device
CN109450078A (zh) * 2018-12-24 2019-03-08 徐州海伦哲特种车辆有限公司 一种双冗余ups电源车及其控制方法
KR20210135396A (ko) * 2020-05-05 2021-11-15 성실에너지 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KR102371113B1 (ko) 2020-05-05 2022-03-23 성실에너지 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CN114512955A (zh) * 2022-02-18 2022-05-17 深圳力锐斯电子有限公司 一种ups并机系统的短路保护方法、装置及ups
US11489362B1 (en) 2022-03-10 2022-11-01 Enconnex LLC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with supplemental power apportion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0682B1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US6795322B2 (en) Power supply with uninterruptible function
US10298006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10063326A1 (en) Electricity substation standby power supply system
US9570939B2 (en) Double-port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370168B (zh) 电能存储设备
KR101444266B1 (ko) 무정전전원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
CN103296738A (zh) 一种双重备用节约型直流供电系统
CN111725879A (zh) 一种光储联合供电的移动式储能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40082393A1 (en) Hot Swapping Typ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Module
JP2013070551A (ja) マルチ出力無停電電源装置
CN101710728A (zh) 一种通信机房机架设备的供电方法及装置
CN111987792A (zh) 供电设备及其供电方法
KR20170026695A (ko) 하이브리드 에너지저장 시스템
CN205791773U (zh) 不断电电源供应系统
JP2016178757A (ja) 蓄電システム
KR20180007673A (ko) 하이브리드 ess
KR101215396B1 (ko) 방전전류제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스마트그리드 무정전전원장치
WO2018088688A1 (ko) 에너지 저장 장치
EP4254721A1 (en) Arrangement of converters and fast switches to provide bess & ups combined function
JP2018148703A (ja) 無停電電源装置
CN220797869U (zh) 一种配电系统及用户系统
JP2018011487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KR102294554B1 (ko)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및 방법
WO2020149081A1 (ja) 電力制御装置、移動体、及び電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