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847B1 - 식품 조리기 - Google Patents

식품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847B1
KR101443847B1 KR1020130159668A KR20130159668A KR101443847B1 KR 101443847 B1 KR101443847 B1 KR 101443847B1 KR 1020130159668 A KR1020130159668 A KR 1020130159668A KR 20130159668 A KR20130159668 A KR 20130159668A KR 101443847 B1 KR101443847 B1 KR 101443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ntainer
driving body
temperature senso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성
Original Assignee
최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성 filed Critical 최은성
Priority to KR1020130159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847B1/ko
Priority to PCT/KR2014/012450 priority patent/WO20150938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 A47J45/085Heat shields f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하면서 믹싱하여 죽, 이유식, 잼, 묵 등(이하 '식품' 이라 함)을 조리하는 식품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와 접촉되는 경사면을 갖는 히터가 구동본체에 장착된 식품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조리기{food cooking utensils}
본 발명은 가열하면서 믹싱하여 죽, 이유식, 잼, 묵 등(이하 '식품' 이라 함)을 조리하는 식품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와 접촉되는 경사면을 갖는 히터가 구동본체에 장착된 식품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품 조리기는 통상 평평한 수평 안착식 고리형 히터 위에 음식물보관부재의 바닥이 놓여 열이 간헐 또는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동시에 교반해서 음식물을 만든다.
그러나, 음식물보관부재의 바닥과 분쇄 커터 사이의 음식물은 교반되지 않고 계속 열을 받기 때문에 음식물이 눌러 붙는다.
이러한 음식물의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식품 조리기(공보에는 가열믹싱장치)로서, 예컨대 특허문헌(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6102호)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가열믹싱장치(10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음식물보관부재(120)와, 음식물보관부재(120)의 상측을 덮는 덮개부재(110)와, 음식물보관부재(120)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회전 또는 시간 등을 제어하는 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지지부재(130)로 이루어진다.
덮개부재(110)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중앙돌출부 (115)와, 중앙돌출부(115)의 주변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음식물보관부재(120)의 내부로 각종 소금 등과 같은 양념이 주입되거나 음식물보관부재(120)의 내부에 있던 음식물이 가열되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116)과, 덮개부재(110)의 외측면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음식물보관부재(120)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상측외주면돌출부(114)와, 상측외주면돌출부(114)의 일측 하단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측걸이부(112)와, 하측걸이부(112)에 형성되어 있는 걸이구멍(113)과, 덮개부재(110)와 음식물보관부재(120)가 완전히 밀폐되었음을 알려주도록 돌출되어 있는 안전돌출부(118)와, 덮개부재(110)의 일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하단부에 하측걸이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선단돌출부(117)로 구성되어 있다.
음식물보관부재(120)에는 덮개부재(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하측걸이부(112)의 걸이구멍(113)에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고정돌출부(127)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124)와, 음식물보관부재(120)의 외측 일측면에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도록 감싸고 있는 외측면지지부(126)와, 음식물보관부재(120)의 하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히터(154)에 의해 쉽게 열전달이 되어 빠른 시간에 가열될 수 있도록 하단부 외측면을 감싸고 있는 열전달부재(156)와, 음식물보관부재(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구동수단(17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음식물을 믹싱하게 되는 믹싱칼날(135)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지지부재(130)의 내부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170) 및 중앙제어부(180)가 형성되어 있으며, 먼저 구동수단(170)에 대해서 언급하면, 외부의 전원을 입력받아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172)와, 모터(172)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회전하게 되는 구동과 종동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풀리(174)와, 복수개의 풀리(174)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175)와, 벨트(175)에서 전달된 회전력을 종동 풀리(174)를 매개로 전달하는 축(176)과, 상기 축(176)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77)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베어링(178)과, 상기 베어링(178)의 상측에 형성되어 동력을 온/오프하는 클러치(179)와, 음식물보관부재(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열전달부재(156)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열을 전달하는 히터(154)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히터(154)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식 고리형 히터이다.
즉, 끼움식 고리형 히터(154)는 링 형상이면서 약간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음식물보관부재(120)의 하단부 외측면이 그 내부에 끼워져 열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끼움식 고리형 히터(154)는 통상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이고, 음식물보관부재(120)는 음식물을 담는 것으로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질의 차이는 열팽창계수도 다르게 되어,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해 음식물보관부재(120)가 끼움식 고리형 히터(154)에 붙어 빠지지 않게 되는 고착현상으로 착탈이 매우 어렵다.
또한, 음식물보관부재(120)가 끼움식 고리형 히터(154) 내부로 끼워져야 하기 때문에, 갭(gap)이 이어야 하고, 이 갭으로 인해 완전 밀착이 되지 않아 열 손실이 발생한다.
무엇보다도 갭의 형성으로 인해 열팽창 또는 열수축의 반복으로 뒤틀림이 생겨 붙어있는 정도가 더 강해 빼내기 어려울 정도이다.
이러한 끼움식 고리형 히터(154)의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양산에는 실패하였다.
또한, 끼움식 고리형 히터(154)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까지 열이 가열되게 세팅되어 있다.
따라서 음식물보관부재(120)의 내부 온도에 따라 히터(154)의 정밀한 제어가 불가능하다.
물론, 음식물보관부재(120)에서 나오는 수증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도 있지만, 간접적인 온도 감지로서 정밀 제어는 불가하다.
한편, 덮개부재(110)를 열 때 하측걸이부(112)를 힌지 중심으로 하여 한 손은 손잡이(124)를 잡고 다른 한 손은 안전돌출부(118) 쪽을 잡고 들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124)와 마주하는 쪽이 힌지 역할을 하는 덮개부재(110)를 열 때, 온도가 매우 높은 음식물의 수증기(죽 종류는 160℃ 정도)가 들어올린 쪽으로 순식간에 빠져나오면서 화상을 입게 할 우려가 매우 크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5610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눌러 붙지도 않으면서 고착을 방지하고 높은 밀착률로 열효율을 높인 식품 조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식품 조리기는, 회전동력전달부재가 탑재된 구동본체; 상기 구동본체에 장착되는 히터; 상기 구동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히터와 접촉한 채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재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믹싱부를 갖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히터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이 상기 용기의 외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식품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상기 경사면을 갖는 고리형 히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식품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본체에는 상기 용기의 접촉 유무에 따라 상기 히터를 하강 또는 복원을 허용하는 업소버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식품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업소버는 상기 구동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히터용 로어 시트; 상기 히터의 밑면과 상기 히터용 로어 시트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히터용 로어 시트의 관통공 하면에 걸리는 머리부와, 상기 히터용 로어 시트의 관통공과 상기 스프링을 통해 상기 히터의 밑면에 체결되는 축부를 갖는 나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식품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온도센서부는 어퍼 시트를 갖는 온도센서봉과; 상기 온도센서봉의 어퍼 시트를 위로 미는 스프링과; 상기 히터용 로어 시트를 지지한 채 상기 구동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센서용 로어 시트와, 상기 어퍼 시트를 막는 스토퍼를 가져 상기 온도센서봉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안내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식품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폐단면 형상의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하면에는 열차단판이 더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히터의 경사면이 용기의 외면과 접촉되기 때문에, 밀착과 취급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히터의 경사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고리형 히터로 이루어짐으로써, 밀착과 취급이 매우 우수하고 안정적인 경사면을 제공한다.
또한, 구동본체에는 용기의 접촉 또는 안착 유무에 따라 히터를 하강 또는 복원을 허용하는 업소버가 더 설치됨으로써, 용기의 무게에 따라 누르면서 히터에 밀착되기 때문에 밀착효율을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부가 상하로 승강하면서 접촉을 확실하게 함으로써, 비접촉에 따른 불량한 온도 감지를 방지한다.
또한, 손잡이의 하면에 열차단판이 더 설치됨으로써, 경사 안착식 고리형 히터의 레이 아웃에 따른 손잡이로의 열 전달을 차단하여 안전하게 손잡이를 잡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전면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외형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구동본체와 용기 어셈블리를 분리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4-4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5-5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구동본체에서 주요 부분을 분리한 사시도.
도 7은 용기 어셈블리의 주요 부분을 분리한 사시도.
도 8은 도 4의 덮개가 열린 직후의 단면도.
도 9는 용기의 원통관체가 볼에 걸린 상태의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업소서의 작용 전후의 단면도.
도 11은 경사 안착식 고리형 히터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온도센서부의 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가열믹싱장치에 대해 조립되어 있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
도 15는 도 13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일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의 전면 외형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외형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동본체와 용기 어셈블리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4-4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5-5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6은 구동본체에서 주요 부분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용기 어셈블리의 주요 부분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덮개가 열린 직후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용기의 원통관체가 볼에 걸린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업소서의 작용 전후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경사 안착식 고리형 히터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온도센서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 조리기(1)는 외형을 이루는 구동본체(A)와 이 구동본체(A)에 착탈되는 용기 어셈블리(B)를 포함한다.
구동본체(A)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0)과, 본체하우징(10) 내에 탑재되는 회전동력전달부재(20)와, 본체하우징(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히터(30)로 구성하여 있다.
회전동력전달모터(20)에는 본체하우징(10) 내에 탑재되는 모터(21)와, 후술된 피동회전축(43a)과 맞물리는 모터의 구동회전축(23)으로 구성되어 있다.
히터(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31)를 갖는 고리형 히터(3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고리형 히터(30)의 경사면(31)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작은 깔때기 형상의 기울기를 갖는다.
이러한 기울기는 대략 40~60도 정도로서 용기본체(41)의 외면과 접촉과 동시에 안착되어 지지하게 되는 기울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사면을 갖는 고리형 히터(30)는 외형 단면이 대략 직각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고리형 히터(30)는 2개의 단자(33)를 갖는 고리형 시즈 히터(32)와, 고리형 시즈 히터(32)를 인서트 한 다이캐스팅한 직각 삼각형의 열전도체(34)로 이루어진다.
고리형 시즈 히터(32)는 단자(33)로 인해 일부가 개방된 고리형이다.
용기 어셈블리(B)는 용기(40)와, 용기(40)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50)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40)는 컵 형상의 용기본체(41)와, 용기본체(41)의 바닥의 내부에 배치되는 믹싱부(43)와, 용기본체(4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손잡이(45)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본체(41)의 외주면에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눌려 형성된 내측 융기편(42)이 소정 간격마다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융기편(42)은 음식물을 저을 때 와류를 일으켜 위에서 아래로 유도하여 잘 교반하게 한다.
믹싱부(43)는 용기본체(41)의 바닥의 아래에 있는 피동회전축(43a)에 지지되어 있다.
믹싱부(43)는 도면에서와 같이 칼날 형태로 분쇄와 교반을 행하는 커터 또는 교반만을 행하는 패들로 구현될 수 있다.
용기본체(41)의 외면이 고리형 히터(30)의 경사면(31)에 접촉 놓이게 되는 것으로서, 용기본체(41)의 바닥과 용기본체(41)의 측벽이 만나는 모서리를 모따기한 챔퍼(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챔퍼(41a)가 경사면(31)에 밀착 놓이게 됨으로써, 용기본체(41)의 바닥보다 약간 위쪽에서 열을 전달받으면서 믹싱부(43)의 회전에 의해 분쇄 또는 교반하기 때문에, 용기본체(41)의 바닥에 있는 음식물이 눌러 붙지 않게 된다.
또한, 챔퍼(41a)가 경사면(31)에 안착됨으로써, 틈새가 없어 밀착효율을 높이고, 끼워지지 않아 취급이 매우 간편하다.
더욱이, 밀착효율을 더욱더 높이기 위해서 구동본체(10)에는 용기(40)의 접촉 안착 유무에 따라 고리형 히터(30)를 하강 또는 복원을 허용하는 업소버(6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업소버(60)는 도 7,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히터용 로어 시트(61)와, 고리형 히터(30)의 밑면과 히터용 로어 시트(61)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63)과, 히터용 로어 시트의 밑면에 체결되는 나사(65)로 이루어진다.
히터용 로어 시트(61)는 고리 형상의 판 형상이며, 특히 고리형 히터(30)의 외면을 감싸는 측판(62)이 더 형성되어 있다.
히터용 로어 시트(61)에는 단자(33)가 인출되는 단자인출공(67)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65)는 히터용 로어 시트(61)의 관통공(61a) 하면에 걸리는 머리부(65a)와, 히터용 로어 시트(61)의 관통공(61a)과 스프링(63)을 통해 경사 안착식 고리형 히터(30)의 밑면에 형성된 암나사 브라켓(35)에 체결되는 축부(65b)를 갖는다.
암나사 브라켓(35)은 직각 삼각형인 고리형 히터(30)의 밑면에서 아래로 돌출한 구조이기 때문에 축부(65b)와 더불어 스프링(63)의 안정적 지지에 기여하고, 안정적인 체결에도 좋다.
따라서, 용기(40) 또는 용기 어셈블리(B)가 고리형 히터(30)의 경사면(31)에 접촉되지 않은 도 10a의 상태에서는 스프링(63)이 고리형 히터(30)를 위로 탄성력을 가하여 머리부(65a)가 히터용 로어 시트(61)의 관통공(61a) 하면에 걸려 있다.
도 10a의 상태에서, 용기(40) 또는 용기 어셈블리(B)가 고리형 히터(30)의 경사면(31)에 접촉 안착되면, 그 무게 만큼 고리형 히터(30)를 누르면서 아래로 더 내려가면서 정지할 때까지 안착되게 된다.
이것은 마치 그냥 올려놓는 것보다 약간 누른 상태로 올려놓는데 그 밀착효율이 더 높은 것과 같은 원리이다.
한편, 구동본체(10)의 상부에는 용기(4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70)가 더 설치되어 있다.
온도센서부(70)는 도 3과 같이 구동회전축(23)과 고리형 히터(30) 사이에 배치 설치되어, 용기본체(41)의 바닥에 접촉하여 온도를 감지한다.
이처럼, 접촉한 상태로 바닥의 온도를 감지하기 때문에, 비접촉에 따른 온도의 불균일한 측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온도센서부(70)는 도 3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퍼 시트(72)를 갖는 온도센서봉(71)과, 온도센서봉(71)의 어퍼 시트(72)를 위로 미는 스프링(73)과, 온도센서봉(71)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안내편(75)으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안내편(75)은 히터용 로어 시트(61)를 지지한 채 구동본체(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스프링(73)의 하단을 지지하는 센서용 로어 시트(76)와, 어퍼 시트(72)를 막는 스토퍼(77)로 이루어진다.
센서용 로어 시트(76)의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단이 진 계단부(7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단부(78)의 상면과 히터용 로어 시트(61)의 밑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나사(65)의 하강을 허용하도록, 센서용 로어 시트(76)는 히터용 로어 시트(61)를 지지한다.
계단부(78)에는 단자(33)의 케이블이 인출되는 케이블인출공(78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블인출공(78a)이 형성된 부분의 계단부(78)에는 배기를 위한 배기홀(79a)이 형성되어 있다.
배기홀(79a)은 구동본체(10)의 상부 테두리의 일측에 형성된 반원의 홈(15)과 서로 통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센서용 로어 시트(76)가 구동본체(10)의 상부에 고정되면, 반원의 배기홀(79a)과 반원의 홈(15)이 하나의 구멍인 연통공을 구성하여, 내부의 압력을 외기로 배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계단부(78)의 외주연에는 위로 돌출한 외측벽(79)이 형성되어, 히터용 로어 시트(61)의 측벽(62)을 감싸는 구조를 취한다.
한편, 용기본체(41)의 하면에는 원통관체(80)가 더 장착되어 있다.
원통관체(80)는 구동본체(10) 보다 상세히는 센서용 로어 시트(76)의 계단부(78)의 측면에 착탈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관체(80)의 외측면에 제1착탈편(81a)이 형성되고, 계단부(78)의 하면에는 제2착탈편(81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원통관체(80)가 계단부(78)의 하면 내부에 위에서 아래로 끼운 후 회전시키면 제1착탈편(81a)이 제2착탈편(81b)을 타고 들어가 압입 형태로 물어 고정되게 된다(믹서기에서 흔히 사용되는 착탈 구조임).
또한, 원통관체(80)는 온도센서부(70)와 고리형 히터(30) 사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원통관체(80)가 구동회전축(23) 및 피동회전축(43a)과 온도센서부(70)를 하는 감싸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고리형 히터(30)의 열이 온도센서부(70)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온도 감지 성능을 매우 향상시킨다.
원통관체(80)는 체결공(81)을 통해 용기본체(41)의 바닥에 형성된 암나사 브라켓에 나사 체결된다.
또한, 원통관체(80)의 측면에는 관통공(83)이 역U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83)은 도 5와 같이 구동회전축(23)의 회전에 따라 원통관체(80)의 상승된 내부 압력을 배기공인 연통공(79a)(15)으로 흐르게 하여, 불필요한 내부 압력의 상승을 방지한다.
한편, 제1착탈편(81a)과 제2착탈편(81b)의 착탈 구조에 더하여 진동 등에 의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방지부재(90)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풀림방지부재(9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용 로어 시트(76)의 상면에 형성된 홀(76a)에 일부가 위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볼(91)과, 홀(76a)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연장통(76b)에 장착되어 볼(91)을 위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93)과, 원통관체(80)의 밑면에 형성되어 노출된 볼(91)이 걸리는 걸림홈(9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어셈블리(B)를 회전시키면 원통관체(80)의 밑면은 볼(91)을 누르면서 회전하다가 걸림홈(95)이 볼(91)의 위치에 오면 탄성에 의해 튀어 올라 걸리게 된다.
한편, 덮개(50)는 일측이 힌지 역할하면서 타측이 들어 올려지거나 내려지는 개폐구조를 진다.
이러한 개폐구조 인해, 본 실시예의 덮개(50)의 타측 하면에는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로 연장되는 날개편(5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죽과 같이 뜨거운 수증기가 갑자기 날개편(59) 쪽으로 나와도 차단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 화상을 방지한다.
덮개(50)는 중심에 돌출관(52)을 갖는 메인 덮개(51)와, 돌출관(52)에 삽입되어 걸터앉는 캡(53)으로 이루어진다.
캡(53)의 바닥(53a) 중심에는 벤트홀(54)이 형성되어, 용기의 내부 압력을 해소하면서 넘치는 음식물을 허용한다.
캡(53)의 바닥(53a)은 벤트홀(54)을 향해 아래로 경사져 있다.
메인 덮개(51)는 돌출관(52)의 하측을 향해 아래로 경사져 있어, 넘침 음식물은 다시 벤트홀을 통해 용기 내부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즉, 메인 덮개(51)의 경사는 메인 덮개(5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해 아래로 경사지는 제1경사(51a)와, 제1경사(51a)에서 돌출관(52)의 하측을 향해 아래로 경사지는 제2경사(51b)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경사(51a)는 제2경사(51b)보다 더 큰 기울기를 갖게 함으로써, 는 식품 조리기. 처음에는 제2경사(51b)가 넓은 면적을 더 확보하여 넘친 음식물을 모아두는 양이 많게 하고, 제1경사(51a)는 둑과 같이 음식물을 가두는 것에 치중하게 된다.
메인 덮개(50)의 일측에는 용기본체(4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턱(55a)에 걸리는 걸림턱(55b)과, 용기본체(41)의 상단에 밑면이 받쳐지는 피받침편(55c)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덮개(50)의 타측에는 용기본체(41)의 타측에 설치된 손잡이(45)의 록킹레버(56a)에 록킹되는 록킹편(56b)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편(56b)은 반쪽 화살촉의 모양으로 되어 있다.
록킹레버(56a)는 엄지손가락으로 누르면 힌지 작용에 의해 록킹편(56b)의 록킹을 해제시킨다.
한편, 구동본체(10)의 타측에는 안전스위치(S)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45)는 폐단면 형상으로서, 용기본체(41)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안전스위치(S) 작동부(46)와, 이 작동부(46)의 위아래에서 역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본체(48)로 이루어진다.
작동부(46)에는 안전스위치(S)를 누르는 누름봉(46a)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동부(46)의 상면에는 록킹편(56b)이 인출되는 인출공(46b)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50)가 닫히면 인출공(46b)을 통해 록킹편(56b)이 누름봉(46a)을 눌러 안전스위치(S)를 작동시키면 전원을 온 시킨다.
반대로 덮개(50)가 열리면 록킹편(56b)은 인출공(46b)을 통해 나와 누름봉(46a)의 누름을 해제하여 안전스위치(S)와 떨어져 전원을 오프 한다.
다른 한편, 용기(40) 보다 정확히는 용기본체(41)의 외주면에는 실리콘 커버(40A)가 손잡이(4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커버(40A)는 커버체(41A)와, 커버체(41A)의 양단에 형성되는 착탈편(43A)으로 이루어진다.
착탈편(43A)은 ㄱ자의 갈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한, 착탈편(43A) 근처에는 실리콘 커버(40A)를 잡기 편리한 돌기(45A)가 형성되어 있다.
착탈편(43A)은 작동부(46)의 착탈홈(43B)에 착탈된다.
즉, 착탈편(43A)를 착탈홈(43B)에 넣고 아래로 당기면 걸리는 구조이고, 반대로 위로 들어서 바깥으로 빼내면 된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41)의 외주면에 실리콘 커버(40A)가 손잡이(45)의 작동부(46)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스테인리스 재질인 용기본체(41)의 단열 및 용기본체(41)에 닿을 때 화상 등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식품 조리기
A : 구동본체 10 : 본체하우징
15 : (배기)홈 20 : 회전동력전달부재
21 : 모터 23 : 구동회전축
30 : 히터 31 : 경사면
32 : 고리형 시즈 히터 33 : 단자
34 : 열전도체 35 : 암나사 브라켓
B : 용기 어셈블리 40 : 용기
41 : 용기본체 41a : 챔퍼
42 : 내측 융기편 43 : 믹싱부
43a : 피동회전축 45 : 손잡이
46 : 작동부 46a : 누름봉
46b : 인출공 48 : 손잡이본체
40A : 실리콘 커버 41A : 커버체
43A : 착탈편 45A : 돌기
50 : 덮개 51 : 메인 덮개
51a : 제1경사 51b : 제2경사
52 : 돌출관 53 : 캡
53a : 바닥 54 : 벤트홀
55a : 돌출턱 55b : 걸림턱
55c : 피받침편 56a : 록킹레버
56b : 록킹편 59 : 날개편
60 : 업소서 61 : 히터용 로어 시트
61a : 관통공 62 : 측판
63 : 스프링 65 : 나사
65a : 머리부 65b : 축부
67 : 단자인출공 70 : 온도센서부
71 : 온도센서봉 72 : 어퍼 시트
73 : 스프링 75 : 승강안내편
76 : 센서용 로어 시트 76a : 홀
76b : 연장통 77 : 스토퍼
78 : 계단부 78a : 케이블인출공
79a : 배기홀 80 : 원통관체
81 : 체결공 81a : 제1착탈편
81b : 제2착탈편 83 : (배기)관통공
90 : 풀림방지부재 91 : 볼
93 : 스프링 95 : 걸림홈
S : 안전스위치

Claims (6)

  1. 회전동력전달부재가 탑재된 구동본체;
    상기 구동본체에 장착되는 히터;
    상기 구동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히터와 접촉한 채 상기 회전동력전달부재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믹싱부를 갖는 용기;
    상기 용기의 상면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히터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용기의 외면이 접촉 놓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상기 경사면을 갖는 고리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본체에는 상기 용기의 접촉 유무에 따라 상기 히터를 하강 또는 복원을 허용하는 업소버가 더 설치되는 식품 조리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업소버는 상기 구동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히터용 로어 시트; 상기 히터의 밑면과 상기 히터용 로어 시트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히터용 로어 시트의 관통공 하면에 걸리는 머리부와, 상기 히터용 로어 시트의 관통공과 상기 스프링을 통해 상기 히터의 밑면에 체결되는 축부를 갖는 나사;를 포함하는 식품 조리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동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용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온도센서부는 어퍼 시트를 갖는 온도센서봉과; 상기 온도센서봉의 어퍼 시트를 위로 미는 스프링과; 상기 히터용 로어 시트를 지지한 채 상기 구동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의 하단을 지지하는 센서용 로어 시트와, 상기 어퍼 시트를 막는 스토퍼를 가져 상기 온도센서봉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안내편;으로 구성되는 식품 조리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폐단면 형상의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하면에는 열차단판이 더 설치되는 식품 조리기.
KR1020130159668A 2013-12-19 2013-12-19 식품 조리기 KR101443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668A KR101443847B1 (ko) 2013-12-19 2013-12-19 식품 조리기
PCT/KR2014/012450 WO2015093835A1 (ko) 2013-12-19 2014-12-17 식품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668A KR101443847B1 (ko) 2013-12-19 2013-12-19 식품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847B1 true KR101443847B1 (ko) 2014-09-23

Family

ID=5176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668A KR101443847B1 (ko) 2013-12-19 2013-12-19 식품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8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9111A (zh) * 2016-07-04 2018-01-12 飞利浦(嘉兴)健康科技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制造方法
KR101829813B1 (ko) 2018-01-05 2018-02-19 김홍배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118U (ko) * 1997-04-25 1998-11-25 이영서 적외선 가스기기의 버너 캡 구조
JP3677290B2 (ja) * 1994-04-28 2005-07-27 フォルヴェルク・ウント・ツェーオー、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 混合容器及びその混合容器内の攪拌器用の駆動機構を具備するフード・プロセッサ
KR100819826B1 (ko) * 2006-12-20 2008-04-0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분쇄 가열 겸용 구조의 식품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식품가공방법
JP2011529713A (ja) * 2008-08-01 2011-12-15 セブ ソシエテ アノニム 食品を準備および料理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する家庭用電気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7290B2 (ja) * 1994-04-28 2005-07-27 フォルヴェルク・ウント・ツェーオー、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 混合容器及びその混合容器内の攪拌器用の駆動機構を具備するフード・プロセッサ
KR19980064118U (ko) * 1997-04-25 1998-11-25 이영서 적외선 가스기기의 버너 캡 구조
KR100819826B1 (ko) * 2006-12-20 2008-04-07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분쇄 가열 겸용 구조의 식품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식품가공방법
JP2011529713A (ja) * 2008-08-01 2011-12-15 セブ ソシエテ アノニム 食品を準備および料理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する家庭用電気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9111A (zh) * 2016-07-04 2018-01-12 飞利浦(嘉兴)健康科技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制造方法
KR101829813B1 (ko) 2018-01-05 2018-02-19 김홍배 분쇄, 혼합, 가열기능을 갖는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식품가공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681B1 (ko)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조리기
JP6336205B2 (ja) 温度センサ付きブレンダ
US8230779B2 (en) Deep fryer for cooking foodstuff
US8931401B2 (en) Appliance for simultaneous cooking and stirring
EP1859717B1 (en) A device for cooking in indirect heating
KR101432704B1 (ko) 식품 조리기
KR101443847B1 (ko) 식품 조리기
US8297181B2 (en) Deep fryer for cooking foodstuff
WO2014067252A1 (zh) 带有加热装置的食物处理器
CA1264017A (en) Food processors
JP4799271B2 (ja) 炊飯器
KR101461546B1 (ko) 식품 조리기
KR20070101972A (ko) 간접 가열 방식의 복합 조리 장치
JP2000237054A (ja) 電気湯沸かし器
CN205107378U (zh) 一种搅奶器发热盘结构
CN214017225U (zh) 搅拌杯组件和料理机
CN213046396U (zh) 一种加热均匀的保温碗
CN210043738U (zh) 搅拌机
KR20170140047A (ko) 유리조리용기를 구비한 조리기기
CN209391783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CN211432535U (zh) 杯盖组件和食物处理器
CN211432571U (zh) 杯盖组件和食物处理器
JP3112647U (ja) 省エネルギー型調理鍋用袴
JPH062615Y2 (ja) 電気炊飯器
CN210697333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