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951B1 -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 Google Patents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951B1
KR101442951B1 KR1020130005654A KR20130005654A KR101442951B1 KR 101442951 B1 KR101442951 B1 KR 101442951B1 KR 1020130005654 A KR1020130005654 A KR 1020130005654A KR 20130005654 A KR20130005654 A KR 20130005654A KR 101442951 B1 KR101442951 B1 KR 101442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work
glove
binding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400A (ko
Inventor
전병욱
Original Assignee
전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욱 filed Critical 전병욱
Priority to KR102013000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9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5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elongated or extended handles
    • A01G3/0255Tree pruners, i.e. pruning shears carried at the end of a po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37Retaining means for fastening an article to the glo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갑에 일체 또는 부착한 후 가위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위작업과 함께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과수 또는 원예용으로 사용되는 작업용 가위(10)를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작업보조구로서, 상기 작업보조구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하는 장갑(15)의 손바닥면 또는 손가락부에 일체 또는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몸체(20)와, 그 몸체(20)의 일측에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0)가 장갑(15)의 손바닥면에 구비된 경우, 상기 결속부(30)는, 상기 장갑(15)의 엄지손가락 방향을 향하는 몸체(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끼움홀(32)과, 그 끼움홀(32)을 통해 끼워지는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가 삽입 결속되도록 몸체(20)의 내부에 형성된 손잡이삽입홈(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Work auxiliary unit with Scissors}
본 발명은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갑에 일체 또는 부착한 후 가위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위작업과 함께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예용 각종식물의 가지를 절단하거나, 과실을 채취하거나, 화초의 잎을 다듬는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한 가위가 있으며, 이는 각종 작물을 재배하는 농촌은 물론, 일반 가정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가위는 손으로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나무가지 등을 절단하기 때문에 작업시 항상 손잡이를 쥐고 있어야 함으로써 힘이 많이 들고, 장시가 지속적인 작업시 손바닥과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체력손실이 많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가위는 가위작업과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없었다. 즉 종래의 전지가위는 가지치기 등 작업을 하다가 다른 작업 예로서, 사다리를 오르내리는 등 작업을 할 경우에 가위를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사다리 또는 바구니 등의 물건을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가위를 땅에 놓고 작업을 하여야 함에 따라 사다리 또는 바구니 등의 물건을 이동시킨 후 다시 가위를 집어야 함에 따라 시간 소요 및 번거로움으로 인해 작업능률을 높이지 못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0177028호(과채류 절취가위, 등록일:2000.1.20)가 개시되어 있다.
위 고안은 절취가위의 손잡이에 작업자의 손가락에 감아 부착할 수 있는 밴드를 구비하여 가지치기 등 절취작업 외에 다른 작업을 하는 경우 가위를 놓은 채 작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밴드를 구비한 것에 불과하여 절취가위가 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는 있으나 절취가위가 이리저리 움직이면서 오히려 작업에 방해가 됨은 물론, 자칫 절취가위의 칼날에 작업자의 손이나 다른 부위가 다칠 수 있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밴드가 손잡이부에 체인 등으로 연결됨으로써 칼날의 마모 등으로 인해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가위 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 즉 일회용으로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갑과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그 장갑에 손바닥면에 형성된 결속부에 가위의 손잡이부를 삽입시켜 사용하고, 장갑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벨크로 등 부착수단으로 장갑에 부착시킨 후 결속부에 가위의 손잡이부를 삽입시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적과 또는 전지작업 등 가위작업은 물론 가위를 손에서 내려놓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월등히 높이도록 한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과수 또는 원예용으로 사용되는 작업용 가위(10)를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작업보조구로서, 상기 작업보조구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하는 장갑(15)의 손바닥면 또는 손가락부에 일체 또는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몸체(20)와, 그 몸체(20)의 일측에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0)가 장갑(15)의 손바닥면에 구비된 경우, 상기 결속부(30)는, 상기 장갑(15)의 엄지손가락 방향을 향하는 몸체(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끼움홀(32)과, 그 끼움홀(32)을 통해 끼워지는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가 삽입 결속되도록 몸체(20)의 내부에 형성된 손잡이삽입홈(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작업보조구는 상기 장갑(15)의 손바닥면에 하나 또는 두 개 마련되고, 상기 작업보조구의 몸체(20) 일측에는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종류 및 규격에 상관없이 사용하도록 상기 손잡이부(12) 간의 간격조절을 위해 간격조절밴드(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보조구는 상기 장갑(15)의 손바닥면에 두 개 이상 마련되어 서로 이격되어 부착되고, 각 작업보조구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작업보조구와 동일한 형태로 보조결속부(6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보조구가 상호 일정 거리로 이격되게 마련된 경우, 그 작업보조구 간에는 간격유지를 위해 간격유지부(6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20)는 후면 중앙부가 상기 장갑(15)의 손바닥면에 일체 또는 상기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일정 면적의 판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30)는, 상기 몸체(20)의 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 형성되어 서로 접착되는 조임용 벨크로(40)와, 상기 몸체(20)의 전면에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가 놓여지도록 형성되는 결속면(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20)가 장갑(15)의 손가락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결속부(30)는,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두 개 이상 네 개 이하로 형성되고 안쪽으로 관통홀(46)을 형성하는 결속밴드(45)와, 상기 몸체(20)의 하부에 상기 결속밴드(45)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 단부가 삽입 결속되는 결속홈(48)을 형성하는 마감캡(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20)는 두 개 이상 네 개 이하의 단위몸체(22)로 분할되어 상기 장갑(15)의 손가락부 각각에 부착되고, 그 단위몸체(22) 중 새끼손가락부에 부착되는 단위몸체에 상기 마감캡(47)이 형성되고, 나머지 단위몸체에는 상기 결속밴드(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장갑(15)의 손바닥면 또는 손가락부와 상기 몸체(2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20)를 장갑(15)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용 벨크로(70)이거나, 상기 몸체(20)에 도포되어 장갑(15)의 손바닥면 또는 손가락부에 접착하는 접착제(7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적과 또는 전지작업 등 가위작업과 함께 가위를 손에서 내려놓지 않은 채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 및 노동력 감소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고, 가위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으며, 장갑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간단한 절차를 거쳐 장갑에 부착시킨 후 가위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하고, 고무재질로 형성하여 장갑에 부착시킨 경우에는 가위작업 외 다른 작업을 하는 경우 미끌림이 방지되어져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갑에 일체로 형성된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를 보인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작업보조구에 간격조절밴드가 형성되어 사용되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에서 보조결속부가 형성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에서 두 개의 작업보조구가 간격유지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태도,
도 8은 도 7의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에서 몸체가 장갑의 손가락부에 형성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가 장갑에 부착용 벨크로로 결합되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가 장갑에 접착제로 결합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갑에 일체로 형성된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작업보조구에 간격조절밴드가 형성되어 사용되는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에서 보조결속부가 형성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에서 두 개의 작업보조구가 간격유지부에 의해 연결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에서 몸체가 장갑의 손가락부에 형성된 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가 장갑에 부착용 벨크로로 결합되는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가 장갑에 접착제로 결합되는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장갑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그 작업보조구에 적과가위나 전지가위 등 과수용 또는 원예용으로 사용되는 작업용 가위(10)를 장착하여 작업할 수 있음으로써 힘들이지 않고도 가위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용 가위(10)는 작업보조구에 장착된 상태에 있음으로써 작업자는 가위를 직접 쥐고 있지 않아도 되며,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쥐고 사용하면 되므로 불필요하게 가위를 쥐고 있지 않아도 되며, 가위를 손에서 분리하지 않은 채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작업보조구는 장갑(15)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되어져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보조구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하는 장갑(15)의 손바닥면 또는 손가락부에 일체 또는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몸체(20)와, 그 몸체(20)의 일측에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0)는 천이나 고무 등 재질에 상관없이 형성될 수 있고,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은 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무재질로 형성된 경우에는 가위작업 외에 다른 작업을 하는 경우에 미끌림이 방지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속부(30)는 일 실시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갑(15)의 엄지손가락 방향을 향하는 몸체(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끼움홀(32)과, 그 끼움홀(32)을 통해 끼워지는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가 삽입 결속되도록 몸체(20)의 내부에 형성된 손잡이삽입홈(3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끼움홀(32)을 통해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을 끼워넣어 상기 손잡이삽입홈(34)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작업용 가위(10)를 장착할 수 있게 되며, 작업자가 작업용 가위를 쥐고 있지 않아도 손잡이삽입홈(34)에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됨으로써 가위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가위작업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용 가위를 장착한 상태로도 손가락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어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끼움홀(32)과 대향되는 몸체(20)의 타측 단부에는 이물질 등의 배출을 위해 구멍이 형성된 채 구비할 수도 있고, 구멍이 형성되지 않도록 마감면(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면(36)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의 끝단부가 몸체(20)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삐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작업보조구는 장갑(15)의 손바닥면에 한 개 또는 두 개 마련될 수 있다.
즉, 장갑의 손바닥면에 작업보조구를 하나만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업용 가위(10)의 두 개의 손잡이부(12) 중 어느 하나만 삽입시킨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고, 장갑의 손바닥면에 두 개의 작업보조구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손잡이부(12)를 각각 삽입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손잡이부를 삽입시키지 않고 하나의 손잡이부만 삽입한 채 다른 하나의 작업보조구의 결속부에는 칼이나 쪽가위 기타 수공구를 삽입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용 가위(10)는 그 종류 및 규격에 따라 크기도 상이하고, 손잡이부(12) 간의 간격도 상이하게 되는데, 성인 남성의 경우는 가위를 쥐는 경우 특별히 제약을 받지 않으나 손이 상대적으로 작은 여성의 경우는 가위를 쥐기가 불편하거나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보조구의 몸체(20) 일측에는 상기 손잡이부(12) 간의 간격조절을 위해 간격조절밴드(5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조절밴드(50)로 손잡이부(12)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그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용 가위를 쥐고 있지 않더라도 그 간격이 유지되고, 다른 작업을 한 후 가위작업시에도 손쉽게 쥐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보조구가 장갑(15)의 손바닥면에 두 개 마련되어 서로 이격되어 부착되는 경우, 그 각각의 작업보조구 내측 또는 외측에는 작업보조구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보조결속부(60)가 일체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결속부(60)를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간격조절밴드(50)로 손잡이부(1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나, 간격조절밴드(5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없는 경우 손잡이부(12)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즉, 두 개의 작업보조구 각각에 보조결속부(60)가 형성된 경우, 총 네 개의 결속부재가 형성되게 되는데, 작업시 작업자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를 끼워넣어 손잡이부 간격을 조절한 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예로서, 손잡이부(12)의 간격을 넓게 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장 외측의 결속부재에 손잡이부를 각각 끼워 삽입하여 사용하면 되고, 간격을 좁게 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장 내측의 결속부재에 손잡이부를 각각 끼워 삽입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두 개의 작업보조구를 상기 장갑(15)에 부착수단으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 자신의 손에 맞게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작업용 가위의 평균적인 손잡이부 이격거리가 있으므로 작업보조구간의 상호 이격거리를 설정하여 그 간격을 유지하도록 작업보조구간에는 간격유지부(65)가 형성되어져 하나의 작업보조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65)는 두 개의 작업보조구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중앙부가 상기 장갑(15)의 손바닥면에 일체 또는 상기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일정 면적의 판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부(30)는 상기 몸체(20)의 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 형성되어 서로 접착되는 조임용 벨크로(40)와, 상기 몸체(20)의 전면에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가 놓여지도록 형성되는 결속면(42)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속면(42)에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가 위치되게 한 상태로 몸체(20)를 말아 조임용 벨크로(40)를 서로 접착함으로써 손잡이부(12)를 조여 결속부(30)에 결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를 장갑(15)의 손가락부에 부착되게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결속밴드(45)와 마감캡(47)으로 결속부(30)를 형성하여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를 끼워 결속하게 된다.
상기 결속밴드(45)는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되, 안쪽으로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가 끼워져 관통되도록 관통홀(46)이 형성되도록 말아서 몸체(20)에 결합시켜 형성한다.
상기 마감캡(47)은 상기 몸체(2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밴드(45)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 단부가 삽입되어져 그 내부에 결속되도록 결속홈(48)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마감캡(47)은 결속홈(48)에 삽입된 손잡이부(12)가 이탈될 수도 있으므로, 마감캡(47)의 개구부에는 고무밴드 등 탄성재질의 조임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는 단위몸체(22)로 분할되어져 상기 장갑(15)의 손가락부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밴드(45)는 새끼손가락부에 부착되는 단위몸체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부에 부착되는 단위몸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마감캡(47)은 새끼손가락부에 부착되는 단위몸체에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몸체(20)를 단위몸체(22)로 분할하여 각각의 손가락부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손가락부의 움직임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됨으로써 보다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보조구는 장갑(15)의 제작과정에서 장갑 손바닥면에 부착한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게 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수단을 매개로 장갑(15)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의 일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갑(15)의 손바닥면 또는 손가락부와 상기 몸체(2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20)를 장갑(15)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용 벨크로(7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갑(15)에는 상기 부착용 벨크로(70)의 암수 벨크로 어느 것을 설치하여도 무방하고, 예로서 암형 벨크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수단은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0)에 도포되어 장갑(15)의 손바닥면 또는 손가락부에 접착하는 접착제(75)일 수 있다.
이때, 접착제(75)는 보호비닐 등으로 씌워져 있는 상태로, 상기 장갑(15)에 부착하는 경우, 보호비닐을 떼어내고 장갑(15)의 손바닥면에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업보조구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용 가위를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특히 과수 또는 원예작업시 가위작업 후 가위를 손에서 놓지 않고도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어 가위를 떨어뜨리거나 잃어버리는 일이 없고, 작업능률도 높일 수 있게 된다.
10: 작업용 가위 12: 손잡이부
15: 장갑 20: 몸체
22: 단위몸체 30: 결속부
32: 끼움홀 34: 손잡이삽입홈
36: 마감면 40: 조임용 벨크로
42: 결속면 45: 결속밴드
46: 관통홀 47: 마감캡
48: 결속홈 50: 간격조절밴드
60: 보조결속부 65: 간격유지부
70: 부착용 벨크로 75: 접착제

Claims (10)

  1. 과수 또는 원예용으로 사용되는 작업용 가위(10)를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작업보조구로서,
    상기 작업보조구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하는 장갑(15)의 손바닥면 또는 손가락부에 일체 또는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몸체(20)와, 그 몸체(20)의 일측에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0)가 장갑(15)의 손바닥면에 구비된 경우,
    상기 결속부(30)는, 상기 장갑(15)의 엄지손가락 방향을 향하는 몸체(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끼움홀(32)과, 그 끼움홀(32)을 통해 끼워지는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가 삽입 결속되도록 몸체(20)의 내부에 형성된 손잡이삽입홈(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보조구는 상기 장갑(15)의 손바닥면에 두 개 마련되고,
    상기 작업보조구의 몸체(20) 일측에는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종류 및 규격에 상관없이 사용하도록 상기 손잡이부(12) 간의 간격조절을 위해 간격조절밴드(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보조구는 상기 장갑(15)의 손바닥면에 두 개 마련되어 서로 이격되어 부착되고,
    각 작업보조구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작업보조구와 동일한 형태로 보조결속부(6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보조구가 상호 일정 거리로 이격되게 마련된 경우, 그 작업보조구 간에는 간격유지를 위해 간격유지부(6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6. 과수 또는 원예용으로 사용되는 작업용 가위(10)를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작업보조구로서,
    상기 작업보조구는, 작업자의 손에 착용하는 장갑(15)의 손바닥면에 일체 또는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몸체(20)와, 그 몸체(20)의 일측에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20)는 후면 중앙부가 상기 장갑(15)의 손바닥면에 일체 또는 상기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일정 면적의 판체로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30)는, 상기 몸체(20)의 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 형성되어 서로 접착되는 조임용 벨크로(40)와, 상기 몸체(20)의 전면에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가 놓여지도록 형성되는 결속면(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가 장갑(15)의 손가락부에 구비된 경우,
    상기 결속부(30)는, 상기 몸체(20)의 일측에 두 개 이상 네 개 이하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고 안쪽으로 관통홀(46)을 형성하는 결속밴드(45)와, 상기 몸체(20)의 하부에 상기 결속밴드(45)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작업용 가위(10)의 손잡이부(12) 단부가 삽입 결속되는 결속홈(48)을 형성하는 마감캡(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는 두 개 이상 네 개 이하의 단위몸체(22)로 분할되어 상기 장갑(15)의 손가락부 각각에 부착되고,
    그 단위몸체(22) 중 새끼손가락부에 부착되는 단위몸체에 상기 마감캡(47)이 형성되고, 나머지 단위몸체에는 상기 결속밴드(4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장갑(15)의 손바닥면 또는 손가락부와 상기 몸체(2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20)를 장갑(15)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용 벨크로(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몸체(20)에 도포되어 장갑(15)의 손바닥면 또는 손가락부에 접착하는 접착제(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KR1020130005654A 2013-01-18 2013-01-18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KR101442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654A KR101442951B1 (ko) 2013-01-18 2013-01-18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654A KR101442951B1 (ko) 2013-01-18 2013-01-18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400A KR20140093400A (ko) 2014-07-28
KR101442951B1 true KR101442951B1 (ko) 2014-09-23

Family

ID=5173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654A KR101442951B1 (ko) 2013-01-18 2013-01-18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9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447Y1 (ko) * 2007-05-10 2008-04-14 양병갑 줄자가 부설된 낚시용 장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447Y1 (ko) * 2007-05-10 2008-04-14 양병갑 줄자가 부설된 낚시용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400A (ko) 2014-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1653B1 (en) Pruning shears having both tree branch hanger and shock-absorbing functions
US20170156260A1 (en) Convertible tool
US20140338201A1 (en) Clipper
KR101681866B1 (ko)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EP3375276B1 (en) Pruning shears having both functions of hanging on tree branch and absorbing shock
US20170238633A1 (en) Multifunctional tool glove
KR101430904B1 (ko)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KR101442951B1 (ko)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CN107371390A (zh) 一种铁铲
US20180289086A1 (en) Modular Utility Glove
US20130019367A1 (en) Gardening glove having a cutting tool
US20110302693A1 (en) Tool Holding Glove
KR101229427B1 (ko) 가위날을 교체할 수 있는 인간공학적인 전동식 가위
US20140013516A1 (en) Gardening Implement
CN211982761U (zh) 一种茶叶种植用茶叶修剪设备
KR20140133368A (ko) 작업용 가위
KR101564930B1 (ko) 농업용 가위
WO2017096496A1 (zh) 多功能工具手套
JPH0719242Y2 (ja) 掴持装置付鋏具
CN217389466U (zh) 一种多功能型修树枝剪刀
JPH09268589A (ja) 辷止めを施したスコップ、シャベル、すき、くわ類
KR102295313B1 (ko) 과수트리머
KR101711330B1 (ko) 나무가지 걸이 및 충격완화 기능을 겸비한 전지가위
KR20140128687A (ko) 가위 장착용 작업보조구
TWI571362B (zh) 多功能工具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