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803B1 - 신발장 - Google Patents

신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803B1
KR101442803B1 KR1020140064702A KR20140064702A KR101442803B1 KR 101442803 B1 KR101442803 B1 KR 101442803B1 KR 1020140064702 A KR1020140064702 A KR 1020140064702A KR 20140064702 A KR20140064702 A KR 20140064702A KR 101442803 B1 KR101442803 B1 KR 10144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main body
unit
seating unit
sl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권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06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발을 벗거나 신을 때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유닛이 일체로 구비된 신발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장은 상기 본체(10)에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유닛(30)과, 상기 착석유닛(30)에 연결되어 상기 착석유닛(30)이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출몰구동수단(40)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상기 출몰구동수단(40)을 이용하여 착석유닛(30)을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착석유닛(30)에 앉은 상태에서 신발을 벗거나 신을 수 있음으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신발장{shoes close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발을 벗거나 신을 때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유닛이 일체로 구비된 신발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의 현관부분에는 신발장이 구비되어, 현관에 신발을 벗은 후, 신발장에 신발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현관에서 신발을 벗거나, 신발은 신을 때는 현관에 연결된 마루 바닥에 앉아서 신발을 신거나 벗어야 함으로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소파를 출몰가능하게 구비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소파를 꺼내어 앉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신발장이 개발되었다.(공개특허 10-2012-0112969호)
그런데, 이러한 신발장은 하측에 상기 소파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여야 함으로, 신발을 수납할 공간이 줄어들게 될 뿐 아니라,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려 소파를 꺼내거나 소파를 공간부로 수납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잊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일측에는 신발장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구비되고 전면 타측에는 거울이 구비된 신발장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거울은 신발은 신은 사용자가 신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단이 상기 신발장의 전면 하측까지 연장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발이 수납되는 공간부가 줄어들지 않으면서, 신발을 벗거나 신을 때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유닛이 구비된 새로운 구조의 신발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신발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박스형태로 구성되고 전면 일측에 도어(11)가 구비된 본체(10)를 포함하는 신발장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유닛(30)과, 상기 착석유닛(30)에 연결되어 상기 착석유닛(30)이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출몰구동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전면 타측에는 거울(12)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승강구동수단(20)에 의해 승강되고, 상기 착석유닛(30)은 상기 거울(12)이 상승되었을 때 거울(1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15)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노출부(15)에는 전면이 개방된 수납부(16)가 형성되며, 상기 착석유닛(3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납부(16)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6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착석패널(31)과, 기단부가 상기 착석패널(31)의 하측면에 힌지결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면 하단이 현관의 바닥면(1)에 닿아 상기 착석패널(31)을 지지하고 후방으로 회동상승되면 상기 착석유닛(30)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지지대(32)와, 상기 지지대(32)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32)가 후방으로 회동상승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하며, 상기 출몰구동수단(40)은 상기 수납부(16)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블록(4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1)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1)을 전후진시키는 구동유닛(40)과, 상기 지지대(32)와 슬라이드블록(41)을 연결하는 커넥팅로드(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수단(50)과, 상기 조작수단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20)과 출몰구동수단(4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장은 상기 본체(10)에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유닛(30)과, 상기 착석유닛(30)에 연결되어 상기 착석유닛(30)이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출몰구동수단(40)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상기 출몰구동수단(40)을 이용하여 착석유닛(30)을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착석유닛(30)에 앉은 상태에서 신발을 벗거나 신을 수 있음으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신발장의 일반적인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장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2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장의 요부를 확대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장의 착석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장의 회로구성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장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장을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신발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박스형태로 구성된 본체(10)를 포함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전면 일측에는 도어(11)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11)를 열어 본체(10)의 내부에 신발을 수납할 수 있으며, 전면 타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거울(12)이 구비된다.
상기 거울(12)은 하단이 상기 본체(10)의 전면 하단까지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거울(12)에 자신이 신발을 신은 상태를 비춰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울(1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승강구동수단(20)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의 전면 우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3)이 구비되고, 상기 거울(12)은 상기 가이드레일(13)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수단(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울(12)의 후측면에 부착고정된 지지블록(21)과, 상기 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중간부에 상기 지지블록(21)이 결합된 리드스크류(22)와, 상기 리드스크류(22)에 연결된 구동모터(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드스크류(22)와 구동모터(23)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상하방향의 장공(14)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21)은 상기 장공(14)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드스크류(22)의 중간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3)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리드스크류(22)가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지지블록(21)과 거울(12)이 승강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유닛(30)과, 상기 착석유닛(30)에 연결되어 상기 착석유닛(30)이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출몰구동수단(40)과,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수단(50)과, 상기 조작수단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20)과 출몰구동수단(4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착석유닛(30)은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울(12)이 상승되었을 때 거울(1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15)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노출부(15)에는 전면이 개방된 수납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16)는 전면이 개방된 사각박스형태의 수납함(17)을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매입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착석유닛(3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납부(16)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6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착석패널(31)과, 기단부가 상기 착석패널(31)의 하측면에 힌지결결합된 지지대(32)와, 상기 지지대(32)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32)가 후방으로 회동상승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착석패널(31)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2)가 상기 수납부(16)의 외부로 완전히 돌출되도록 전진되면, 더 이상 전진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2)는 기단부가 상기 착석패널(31)의 하측면에 구비된 브라켓(31a)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것으로, 수직이 되도록 전방으로 회동하강되면 하단이 현관의 바닥면(1)에 닿아 상기 착석패널(31)을 지지하고, 후방으로 회동상승되면 상기 착석유닛(30)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접히게 된다.
상기 출몰구동수단(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16)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블록(4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1)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1)을 전후진시키는 구동유닛(40)과, 상기 지지대(32)와 슬라이드블록(41)을 연결하는 커넥팅로드(43)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유닛(40)은 상기 수납부(16)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 상기 슬라이드블록(41)이 결합된 리드스크류(42a)와, 상기 리드스크류(42a)에 연결된 구동모터(42b)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42b)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드블록(41)이 리드스크류(42a)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유닛(40)은 상기 착석패널(31)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납부(16)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착석패널(31)의 중앙부에는 상기 커넥팅로드(43)가 관통하는 절개부(31b)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팅로드(43)와 착석패널(31)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착석유닛(30)과 출몰구동수단(4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석유닛(30)이 상기 수납부(16)의 내부로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착석패널(31)은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해 상기 지지대(32)가 후방으로 회동상승되도록 가압되어, 상기 지지대(32)가 상기 착석패널(31)의 하측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몰구동수단(40)의 구동모터(42b)를 구동시켜 상기 슬라이드블록(41)이 전진되도록 하면, 상기 착석유닛(30) 전체가 전방으로 밀려나가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석유닛(30)의 착석패널(31)이 상기 가이드레일(16a)의 끝부분까지 전진되어 착석패널(31)이 상기 가이드레일(16a)에 걸려 더 이상 전진되지 않게 되며, 이때, 상기 슬라이드블록(41)이 더 전진되면, 상기 지지대(32)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때, 상기 지지대(32)는 하단이 현관의 바닥면(1)에 밀착되어 상기 착석패널(31)의 하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석패널(31)에 앉았을 때 착석패널(31)이 하측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반대로, 상기 착석유닛(30)이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대(32)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블록(41)이 후진되면, 상기 탄성부재(33)에 의해 상기 지지대(32)가 먼저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착석패널(31)의 하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41)이 더욱 후진되면, 상기 착석유닛(30) 전체가 상기 수납부(16)의 내부로 후퇴되어 수납된다.
상기 조작수단(50)은 상면에 돌출버튼이 구비된 푸쉬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현관의 바닥면(1)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상면을 밟으면 상기 돌출버튼이 눌리면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조작수단(5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수단(50)을 밟으면, 상기 승강구동수단(20)과 출몰구동수단(40)을 제어한다.
즉, 상기 착석유닛(30)이 상기 수납부(16)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거울(12)이 하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수단(50)을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6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20)을 제어하여 상기 거울(12)이 상승되도록 하여 상기 노출부(15)가 드러나도록 한 후,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출몰구동수단(40)을 제어하여, 상기 착석유닛(30)이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착석유닛(30)이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수단(50)을 조작하면,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출몰구동수단(40)을 제어하여 상기 착석유닛(30)이 본체(10)의 내부로 수납되도록 한 후, 상기 승강구동수단(20)을 제어하여 상기 거울(12)이 하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발장은 상기 본체(10)에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유닛(30)과, 상기 착석유닛(30)에 연결되어 상기 착석유닛(30)이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출몰구동수단(40)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상기 출몰구동수단(40)을 이용하여 착석유닛(30)을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착석유닛(30)에 앉은 상태에서 신발을 벗거나 신을 수 있음으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타측에 구비된 거울(12)은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승강구동수단(20)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착석유닛(30)은 상기 거울(12)이 상승되었을 때 거울(1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15)에 구비됨으로, 평상시에는 상기 착석유닛(30)이 보이지 않게 되어 신발장의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착석유닛(30)이 수납되었을 때는 상기 거울(12)이 하강되어, 사용자가 신발을 신은 모습을 거울(12)에 비춰 볼 수 있으며, 신발장을 사용하고자 할 때만 거울(12)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됨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노출부(15)에는 전면이 개방된 수납부(16)가 형성되며, 상기 착석유닛(3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납부(16)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6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착석패널(31)과, 기단부가 상기 착석패널(31)의 하측면에 힌지결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면 하단이 현관의 바닥면(1)에 닿아 상기 착석패널(31)을 지지하고 후방으로 회동상승되면 상기 착석유닛(30)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지지대(32)와, 상기 지지대(32)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32)가 후방으로 회동상승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3)로 구성되며, 상기 출몰구동수단(40)은 상기 본체(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블록(4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1)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1)을 전후진시키는 구동유닛(40)과, 상기 지지대(32)와 슬라이드블록(41)을 연결하는 커넥팅로드(4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출몰구동수단(40)을 이용하여 상기 착석유닛(30)을 전방으로 돌출시키면 상기 지지대(32)가 자동으로 수직으로 펴져 상기 착석패널(31)을 지지하고, 착석유닛(30)이 상기 수납부(16)로 수납될 때는 상기 지지대(32)가 자동으로 접히게 됨으로, 상기 수납부(16)가 차지하는 공간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상기 거울(12)의 후방공간중에서 상기 수납부(16)가 차지하는 공간 이외의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수단(50)과, 상기 조작수단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20)과 출몰구동수단(4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이 구비됨으로, 사용자가 상기 착석유닛(30)이 돌출되거나 수납되도록 조작하는 것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10. 본체 20. 승강구동수단
30. 착석유닛 40. 출몰구동수단
50. 조작수단 60. 제어유닛

Claims (4)

  1. 내부에 신발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박스형태로 구성되고 전면 일측에 도어(11)가 구비된 본체(10)를 포함하는 신발장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된 착석유닛(30)과,
    상기 착석유닛(30)에 연결되어 상기 착석유닛(30)이 상기 본체(10)의 전방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출몰구동수단(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타측에는 거울(12)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승강구동수단(20)에 의해 승강되고,
    상기 착석유닛(30)은 상기 거울(12)이 상승되었을 때 거울(1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15)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15)에는 전면이 개방된 수납부(16)가 형성되며,
    상기 착석유닛(3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납부(16)의 내부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6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착석패널(31)과,
    기단부가 상기 착석패널(31)의 하측면에 힌지결결합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면 하단이 현관의 바닥면(1)에 닿아 상기 착석패널(31)을 지지하고 후방으로 회동상승되면 상기 착석유닛(30)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지지대(32)와,
    상기 지지대(32)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32)가 후방으로 회동상승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하며,
    상기 출몰구동수단(40)은
    상기 수납부(16)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블록(41)과,
    상기 슬라이드블록(41)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41)을 전후진시키는 구동유닛(40)과,
    상기 지지대(32)와 슬라이드블록(41)을 연결하는 커넥팅로드(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수단(50)과,
    상기 조작수단(50)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승강구동수단(20)과 출몰구동수단(4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
KR1020140064702A 2014-05-28 2014-05-28 신발장 KR10144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702A KR101442803B1 (ko) 2014-05-28 2014-05-28 신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702A KR101442803B1 (ko) 2014-05-28 2014-05-28 신발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803B1 true KR101442803B1 (ko) 2014-10-30

Family

ID=5199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702A KR101442803B1 (ko) 2014-05-28 2014-05-28 신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94U (ko) * 2016-10-11 2018-04-20 주식회사 동영 Tv매립형 슬라이드 책장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2625U (ko) * 1988-10-07 1990-04-16
JPH0898725A (ja) * 1994-09-30 1996-04-16 Sekisui Chem Co Ltd 玄関収納具
KR20120043846A (ko) * 2010-10-27 2012-05-07 신장공업주식회사 빌트인 신발장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2625U (ko) * 1988-10-07 1990-04-16
JPH0898725A (ja) * 1994-09-30 1996-04-16 Sekisui Chem Co Ltd 玄関収納具
KR20120043846A (ko) * 2010-10-27 2012-05-07 신장공업주식회사 빌트인 신발장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94U (ko) * 2016-10-11 2018-04-20 주식회사 동영 Tv매립형 슬라이드 책장
KR200489780Y1 (ko) * 2016-10-11 2019-10-22 주식회사 동영 Tv매립형 슬라이드 책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4492B (zh) 一种带自动抽屉的装置
TWI293871B (ko)
KR101442803B1 (ko) 신발장
CN104958154A (zh) 设有自动升降马桶的床
KR101439526B1 (ko) 병원침대
US11219315B1 (en) Beautification practitioner's chair
WO2020259409A1 (zh) 内藏式座椅腿托及座椅
KR20120043846A (ko) 빌트인 신발장 의자
CN209827437U (zh) 一种新型口腔检查用的多功能座椅
JP2001333946A (ja) ロールアップ前垂れの安全装置
CN203084601U (zh) 用于按摩椅的嵌入式手控器装置
CN104783985A (zh) 多功能护理床
US20200277770A1 (en) Height-adjustable sink
CN211511105U (zh) 一种自动化休息系统装置
CN210672667U (zh) 一种具有自动升降功能的分离式抽屉的床头柜
JP2007000377A (ja) 洗面化粧台
US3253283A (en) Sofa bed constructions
JP2006325949A (ja) 洗面化粧台
JP4293171B2 (ja) 昇降式収納装置
JP2006325782A (ja) 食器洗浄機
CN201906158U (zh) 按摩椅扶手结构
CN106136621A (zh) 一种抽屉可侧拉式医用床头柜
CN106921100A (zh) 一种新型转换器
CN204132787U (zh) 一种鞋柜
JP4604972B2 (ja) キャスター付ワゴ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