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555B1 -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555B1
KR101442555B1 KR1020130011097A KR20130011097A KR101442555B1 KR 101442555 B1 KR101442555 B1 KR 101442555B1 KR 1020130011097 A KR1020130011097 A KR 1020130011097A KR 20130011097 A KR20130011097 A KR 20130011097A KR 101442555 B1 KR101442555 B1 KR 101442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service
paging
terminal
request message
accep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923A (ko
Inventor
차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라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라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라넷
Priority to KR1020130011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5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9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수행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접수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기대 위치 정보를 포함함-, 상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접수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호출 서비스 단말로 수락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수락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기대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함-, 상기 수락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호출 서비스 단말로부터 수락 여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락 여부 메시지에 상응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 중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서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로 호출 성공 여부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락 여부 메시지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출 서비스 단말은 자신의 위치 정보와 상기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적어도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락 여부 메시지를 상기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BASED ON MOBILE NETWORK}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용자의 호출 요청을 트리거로 하여 모든 호출 단말로 수락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며, 적어도 하나의 수락 여부 메시지를 바탕으로 최적 호출 대상을 선택하여 통지하는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출 서비스는 이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 원격에 위치하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 중 특정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며, 선택된 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에게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일체의 과정을 의미한다. 통신망을 이용한 호출 서비스로 가장 활성화된 분야가 택시 호출 서비스이다. 택시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택시 호출 센터와 직접 통화를 하거나, 택시 호출 센터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택시 호출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용자로부터 택시 호출 서비스를 요청받은 택시 호출 센터는 복수의 택시를 회원으로 관리하면서 주파수 공용 통신 시스템(Trunked Radio System, TRS)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복수의 회원 택시 내에 장착된 모든 TRS 단말에 호출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한다. TRS 통신 방식으로 전달되는 호출 요청 메시지에는 이용자가 원하는 배차 장소, 배차 시간 및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택시 기사는 TRS 통신 방식으로 브로드캐스트된 호출 요청 메시지를 바탕으로 자신이 호출 대상으로 선택되기를 원하는 경우, TRS 통신 방식으로 택시 호출 센터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택시 호출 센터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통지를 바탕으로 호출 대상을 선택하며, 호출 대상의 선택의 경과를 이용자 및 해당 택시 기사에게 통지한다. TRS 통신 방식이 모든 TRS 단말에 호출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호출 서비스에 이용되기 적당하나, TRS 통신 서비스의 이용자 감소, TRS단말의 비용 상승 및 TRS 통신 서비스 지역의 제약 등의 원인으로 최근 호출 서비스의 기반 통신 방식으로서 이동 통신 방식에 그 역할을 넘겨주고 있다.
이동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호출 서비스, 특히 택시 호출 서비스의 경우(공개특허공보 제 10-2003-0091639호,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참조), 택시 호출 센터는 택시 내에 장착되거나 택시 기사가 소지하는 호출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호출 단말에 상응하는 위치 정보를 제공받은 상태에서, 이용자가 택시 호출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배차 장소에 인접한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호출 단말을 선택한다. 이동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호출 서비스, 특히 택시 호출 서비스의 경우, 주기적으로 호출 단말로부터 서버로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망에 부하를 증가시키며, 결과적으로 통신 비용의 증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동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호출 서비스, 특히 택시 서비스의 경우, 호출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점에서 호출 단말의 실시간 위치 정보가 아니라, 주기적으로 보고된 것 중 직전 보고된 위치 정보가 사용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수 ㎞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오차에 의하여 최적의 호출 단말이 선택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호출 서비스 단말이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의 요청에 트리거되는 호출 서비스의 개시에 따라 실시간으로 획득함으로써 주기적 보고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부하를 최소화하여,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트리거되는 호출 서비스의 개시에 따라 실시간으로 호출 서비스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위치 정보의 오차없이 최적의 호출 서비스 단말을 선택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복수의 호출 서비스 단말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결합하는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수행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접수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이용자 단말의 기대 위치 정보를 포함함-; 상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접수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호출 서비스 단말로 수락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수락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기대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함-; 상기 수락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호출 서비스 단말로부터 수락 여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락 여부 메시지에 상응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 중 상기 기대 위치 정보에 가장 근접한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을 선택하는 방식 및 가장 먼저 도달한 상기 수락 여부 메시지에 상응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을 선택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로 호출 성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락 여부 메시지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출 서비스 단말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호출 서비스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 수신부,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통신부 및 GPS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GPS 신호를 바탕으로 산출된 자신의 위치 정보와 상기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 알고리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신의 위치 정보와 상기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적어도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락 여부 메시지를 상기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락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상기 복수의 호출 서비스 단말은 모든 호출 서비스 가능한 호출 서비스 단말 또는 모든 등록된 호출 서비스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수락 요청 메시지의 송신과 동시에 제1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이머 이내에 도달한 상기 수락 여부 메시지만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라서 호출 서비스 단말이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는 것이 아니라 이용자의 요청에 트리거되는 호출 서비스의 개시에 따라 실시간으로 보고함으로써 주기적 보고에 따른 이동 통신망의 부하를 최소화하여,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이용자의 요청에 트리거되는 호출 서비스의 개시에 따라 실시간으로 호출 서비스 단말의 위치 정보가 보고됨으로써, 위치 정보의 오차에 대한 고려없이 최적의 호출 서비스 단말을 선택할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음성 경로를 통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최소화하여 음성 경로 사용에 따른 과다한 비용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출 서비스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항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시스템은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10), 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서버(120), 적어도 하나의 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단말(130) 및 복수의 호출 서비스 단말(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출 서비스는 이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원격에 위치하는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 중 특정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며, 선택된 서비스 제공자가 이용자에게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일체의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에 따른 호출 서비스는 택시 호출 서비스를 주로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10)은 본 발명에 따른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로서,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 유선전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서버(120)에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를 불문한다. 이용자 단말(110)은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서버(120)에 요청한다. 호출 서비스가 택시 호출 서비스인 경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이용자가 원하는 배차 위치(기대 위치 정보), 배차 시각(기대 시각 정보) 및 이용자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는 호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서버(1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10)로부터의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접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서버(120)는 접수된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단말(130)로 전달한다. 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10)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접수한 경우, 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요청 메시지를 모든 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단말(130)로 전달하며, 가장 먼저 응답한 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단말(130)로 이용자 단말(110)로 부터의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접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서버(120)의 기능이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중추로서, 호출 서비스 요청 정합부(101),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알고리즘부(102), 호출 서비스 단말 통신부(103) 및 호출 서비스 단말 관리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호출 서비스 요청 정합부(101)는 이용자 단말(110)로부터의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집하여 호출 서비스 제공자의 호출 서비스 단말(200)과의 정합 기능을 제공한다. 호출 서비스 단말 관리부(104)는 호출 서비스 단말(200)의 회원으로서의 서비스 등록 여부, 호출 서비스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 호출 서비스 요청 시점에서의 호출 서비스 가능 여부 등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호출 서비스 단말 통신부(103)는 호출 서비스 단말(200)에 포함되는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통신부(203)(도 2 참조)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알고리즘부(102)는 이용자 단말(110)로부터의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접수에 따라서, 모든 호출 서비스 가능한 호출 서비스 단말(200) 또는 모든 등록된 호출 서비스 단말(200)로 수락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며, 수락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호출 서비스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수락 여부 메시지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호출 영역 내에 있는 호출 서비스 단말(200) 중에서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200)을 선택한다. 상기 수락 요청 메시지는 이용자가 원하는 장소인 기대 위치 정보, 이용자가 원하는 시각인 기대 시각 정보 및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호출 서비스 단말(200)은 수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와 호출 서비스 단말(200)의 산출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락 여부 메시지를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기능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알고리즘부(102)는 호출 서비스 단말(200)에서 수행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200)이 호출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호출 서비스 단말(200) 대신 수행할 수 있다. 즉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알고리즘부(102)는 이용자 단말(110)로부터의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접수에 따라서,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모든 호출 서비스 가능한 호출 서비스 단말(200) 또는 모든 등록된 호출 서비스 단말(200)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알고리즘부(102)는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호출 서비스 단말(200)로부터 위치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며,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와 위치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호출 서비스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호출 서비스 단말(200)이 미리 설정된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후,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알고리즘부(102)는 호출 영역에 위치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수락 여부 메시지를 바탕으로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200)을 선택한다. 상기 기능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출 영역은 호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반경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반경에 상응하는 서브 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200)을 선택하는 점은 수락 요청 메시지 및 위치 정보 메시지를 바탕으로 이용자가 원하는 기대 위치 정보, 예를 들어 배차 위치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200)을 선택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장 근접의 의미는 이용자가 원하는 기대 위치 정보, 예를 들어 배차 위치와 위치 정보의 직선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장 근접의 의미는 위치 정보로부터 이용자가 원하는 기대 위치 정보, 예를 들어 배차 위치까지의 산출된 주행 거리가 가장 짧은 것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200)을 선택하는 점은 수락 여부 메시지가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에 가장 먼저 도달한 호출 서비스 단말(200)을 선택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200)을 선택하는 방식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호출 서비스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서비스 단말(200)은 GPS 수신부(201), 호출 서비스 단말 알고리즘부(202),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통신부(203) 및 입출력부(2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출 서비스 단말(200)은 이동 통신 단말기, 특히 스마트 폰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호출 서비스 단말(200)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부분은 호출 서비스 단말(20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GPS 수신부(201)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호출 서비스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는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GPS 수신부(201)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만을 수행함, GPS 신호로부터 호출 서비스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기능은 후출할 호출 서비스 단말 알고리즘부(202)에서 수행될 수 있다. GPS 수신부(201)의 기능은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통신부(203)는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의 호출 서비스 단말 통신부(103)(도 1 참조)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호출 서비스 단말 알고리즘부(202)는 GPS 수신부(201)를 통하여 수신한 GPS 신호를 바탕으로 산출된 호출 서비스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호출 서비스 단말 알고리즘부(202)는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의 수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수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와 산출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후, 호출 서비스 단말 알고리즘부(202)는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그리고 호출 서비스 제공자(예를 들어, 택시 기사)가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경우, 수락 여부 메시지를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호출 서비스 단말 알고리즘부(202)는 수락 여부 메시지에 상술한 위치 정보 메시지를 포함하여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알고리즘부가 호출 서비스 단말(200)이 호출 영역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가 이용자 단말(110)로부터의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접수에 따라서, 모든 호출 서비스 가능한 호출 서비스 단말(200) 또는 모든 등록된 호출 서비스 단말(200)로 브로드캐스트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호출 서비스 단말(200)의 호출 서비스 단말 알고리즘부(202)는 상기 산출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메시지를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 경우,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는 수신한 위치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호출 서비스 단말(200)의 위치 정보와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호출 서비스 단말(200)이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호출 서비스 단말(200)은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에서 송신한 수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 후, 호출 서비스 단말(200)의 호출 서비스 단말 알고리즘부(202)는 호출 서비스 제공자가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경우, 수락 여부 메시지를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100)로 전송한다.
입출력부(204)는 호출 서비스 제공자가 호출 서비스 제공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수단 및 각종 데이터를 호출 서비스 제공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용자 단말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접수한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는 모든 호출 서비스 가능한 호출 서비스 단말 또는 모든 등록된 호출 서비스 단말로 수락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단계301). 상기 수락 요청 메시지는 이용자가 원하는 장소인 기대 위치 정보, 이용자가 원하는 시각인 기대 시가 정보 및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호출 서비스 단말은 수락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와 산출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후, 호출 서비스 단말은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수락 여부 메시지를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단계 303). 호출 서비스 단말은 수락 여부 메시지에 상술한 위치 정보 메시지를 포함하여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는 단계 301에서 수락 요청 메시지의 송신과 동시에 제1 타이머(T1)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제1 타이머(T1) 이내에 도달된 상기 수락 여부 메시지만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는 유효한 모든 수락 여부 메시지를 바탕으로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을 선택하며, 선택된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로 성공의 호출 성공 여부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305). 또한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는 선택된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 이외의 호출 서비스 단말로 실패의 호출 성공 여부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305).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용자 단말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접수한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는 모든 호출 서비스 가능한 호출 서비스 단말 또는 모든 등록된 호출 서비스 단말로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단계 401).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호출 서비스 단말은 산출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메시지를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로 송신한다(단계 403).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는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와 위치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호출 서비스 단말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호출 서비스 단말이 미리 설정된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는 단계 401에서 수락 요청 메시지의 송신과 동시에 제2 타이머(T2)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제2 타이머(T2) 이내에 도달된 상기 위치 정보 메시지만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후,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는 유효한 위치 정보 메시지에 상응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 중 호출 영역에 위치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로 수락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405).
수락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호출 서비스 단말은 호출 서비스 제공자가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선택하는 경우, 수락 여부 메시지를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407).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는 단계 405에서 수락 요청 메시지의 전송과 동시에 제1 타이머(T1)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제1 타이머(T1) 이내에 도달된 상기 수락 여부 메시지만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는 유효한 모든 수락 여부 메시지를 바탕으로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을 선택하며, 선택된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로 성공의 호출 성공 여부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409). 또한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는 선택된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 이외의 호출 서비스 단말로 실패의 호출 성공 여부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409).
100…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110…이용자 단말
120…호출 서비스 접수 서버 130…호출 서비스 요청 접수 단말
200…호출 서비스 단말

Claims (12)

  1.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복수의 호출 서비스 단말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결합하는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에서 수행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접수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이용자 단말의 기대 위치 정보를 포함함-;
    상기 호출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접수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호출 서비스 단말로 수락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수락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기대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함-;
    상기 수락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호출 서비스 단말로부터 수락 여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락 여부 메시지에 상응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 중 상기 기대 위치 정보에 가장 근접한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을 선택하는 방식 및 가장 먼저 도달한 상기 수락 여부 메시지에 상응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을 선택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최적 호출 서비스 단말로 호출 성공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수락 여부 메시지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출 서비스 단말은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호출 서비스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GPS 수신부,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 통신부 및 GPS 수신부를 통하여 수신한 GPS 신호를 바탕으로 산출된 자신의 위치 정보와 상기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호출 서비스 단말 알고리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신의 위치 정보와 상기 호출 영역에 대한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호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적어도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수락 여부 메시지를 상기 호출 서비스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락 요청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상기 복수의 호출 서비스 단말은 모든 호출 서비스 가능한 호출 서비스 단말 또는 모든 등록된 호출 서비스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락 요청 메시지의 송신과 동시에 제1 타이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타이머 이내에 도달한 상기 수락 여부 메시지만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011097A 2013-01-31 2013-01-31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42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097A KR101442555B1 (ko) 2013-01-31 2013-01-31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097A KR101442555B1 (ko) 2013-01-31 2013-01-31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923A KR20140098923A (ko) 2014-08-11
KR101442555B1 true KR101442555B1 (ko) 2014-09-26

Family

ID=5174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097A KR101442555B1 (ko) 2013-01-31 2013-01-31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161B1 (ko) * 2019-12-09 2020-07-09 주식회사 페르미 사용자 정보의 노출을 방지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905A (ko) * 2000-05-10 2001-11-24 이준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추적 시스템을 이용한 콜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87162A (ko) * 2004-02-25 2005-08-3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93408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백산아이티에스 실시간 위치 및 콜 방송을 활용한 배차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7605A (ko) * 2009-10-07 2011-04-13 황준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905A (ko) * 2000-05-10 2001-11-24 이준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추적 시스템을 이용한 콜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87162A (ko) * 2004-02-25 2005-08-3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93408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백산아이티에스 실시간 위치 및 콜 방송을 활용한 배차시스템 및 방법
KR20110037605A (ko) * 2009-10-07 2011-04-13 황준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택시 콜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923A (ko) 201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1226B2 (en) Communication retry method over digital wireless systems
CN101485112B (zh) 为向无线通信设备无线传输信息确定前向信道速率的系统和方法
US8073422B2 (en) Satellite radio warning system and method
US8359048B2 (en) Close proximity aler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US84783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enabling a direct mode operation gateway
US7873345B1 (en) Over-the-air service termination for a telematics device
JP2001501397A (ja) 移動局通信網
US8244291B2 (en)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automatic creation of talk group
JP2008530897A (ja) 移動端末機の特定の位置情報に対するアラートサービス方法とそのための管理装置及び移動端末機
WO2011022127A1 (en)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for delivering location specific content to an ad hoc group of mobil subscribers
US20060270391A1 (en) Method of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965430A (ja) 移動体ボイスメールメッセージ連絡システム
CN102158803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出租车呼叫系统及方法
US20080293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hone book forwarding list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151669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승객 친화형 버스 운행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2555B1 (ko)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2773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도착 알림 서비스 방법
RU2567217C2 (ru) Способ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активировани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профиля услуг дл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го беспров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вязи в любой радиосоте сотовой мобильной сети связи, а такж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KR100601847B1 (ko) 무선 통신망에서 위치기반 고객 연결 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위한 위치정보 송수신 장치
RU68155U1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абонентам 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услуг на основе данных об их местонахождении
US200800207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al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532032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機位置情報の取得方法
KR20010106613A (ko) 이기종 통신시스템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방법
KR100702649B1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EP2647257B1 (en) Femtocell base station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based on a car's sensor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