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078B1 -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078B1
KR101442078B1 KR1020130092164A KR20130092164A KR101442078B1 KR 101442078 B1 KR101442078 B1 KR 101442078B1 KR 1020130092164 A KR1020130092164 A KR 1020130092164A KR 20130092164 A KR20130092164 A KR 20130092164A KR 101442078 B1 KR101442078 B1 KR 101442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ink
laser
stage
ink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영
강희석
이상호
황준영
강경태
유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92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5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using a substrate provided with a shape pattern, e.g. grooves, banks, resist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세 금속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원점이 일치하도록 정렬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은, 레이저와 잉크노즐과 비전카메라가 헤드부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 인쇄장치에서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에 있어서, 소수성막이 코팅된 상기 기판을 스테이지에 배치하는 기판준비단계와;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이동시켜 상기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코팅된 상기 소수성막을 제거하여 레이저패턴을 형성하는 레이저패턴단계와; 상기 레이저패턴단계와 동일하게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이동시켜 상기 잉크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제2잉크패턴을 인쇄하는 제2잉크패턴단계와; 상기 비전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레이저패턴의 위치와 상기 제2잉크패턴의 위치 차이를 측정하여 제2보정값을 산출한 후 저장하는 제2보정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레이저패턴과 상기 제2잉크패턴은 어느 2곳 이상이 상호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 METHOD FOR ALIGNING LASER AND INK NOZZLE }
본 발명은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세 금속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원점이 일치하도록 정렬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및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공정 및 소재비용을 절감하고 손쉬운 대량생산을 위해 잉크젯 프린팅 공정을 통해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학계에서도 이러한 직접인쇄기술분야의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액체 재료 기반인 잉크젯 프린팅 공정의 경우, 기판에 잉크 분사 직후 그 이동 양상에 따라 인쇄품질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표면처리를 통해 잉크가 잘 퍼지지 쉬운 친수성 영역과 잉크가 퍼지지 않는 소수성 영역을 나누어 정밀 패턴을 인쇄하게 된다.
이러한 잉크젯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기판에 미세 금속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기판에 금속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의 과정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수성막(31)이 코팅된 기판(30)을 준비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11)를 이용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형상에 맞게 상기 소수성막(31)을 제거한다.
그 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수성막(31)이 제거된 부위에 잉크노즐(12)을 통해 잉크를 인쇄하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11)로 소결하여 기판(30)에 미세패턴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레이저(11)와 잉크노즐(12)이 상호 이격되어 함께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패턴형성시 레이저(11)의 원점과 잉크노즐(12)의 원점이 일치하도록 정렬하여야 한다.
특히,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잉크노즐(12)을 교체하거나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원점의 정렬이 변경되는바, 작업시 수시로 원점이 일치하도록 정렬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별도의 센서 등을 장착하거나, 기판에 별도의 정렬키를 형성하여, 레이저에 원점과 잉크노즐의 원점이 일치하도록 정렬하였다.
그러나, 원점 정렬을 위한 별도의 센서 또는 정렬키 등을 장착하게 되며,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5634호 (2009년02월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1103호 (2010년11월01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별도의 센서 또는 정렬키 없이 레이저패턴과 잉크패턴을 이용하여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원점이 일치하도록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은, 레이저와 잉크노즐과 비전카메라가 헤드부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 인쇄장치에서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에 있어서, 소수성막이 코팅된 기판을 스테이지에 배치하는 기판준비단계와;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코팅된 상기 소수성막을 제거하여 레이저패턴을 형성하는 레이저패턴단계와; 상기 레이저패턴단계와 동일하게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이동시켜 상기 잉크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제2잉크패턴을 인쇄하는 제2잉크패턴단계와; 상기 비전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레이저패턴의 위치와 상기 제2잉크패턴의 위치 차이를 측정하여 제2보정값을 산출한 후 저장하는 제2보정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레이저패턴과 상기 제2잉크패턴은 어느 2곳 이상이 상호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이저패턴과 제2잉크패턴은 동일한 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판은 친수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은 친수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잉크패턴단계에서 상기 소수성막에 인쇄된 제2잉크패턴의 잉크는 도트(dot)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레이저패턴단계에 의해 상기 소수성막이 제거된 부위에 인쇄된 제2잉크패턴의 잉크는 상기 소수성막이 제거된 상기 레이저패턴을 따라 길게 전개되어 전개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전개부위는 상기 소수성막에 인쇄된 도트 형상의 잉크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다.
상기 제2보정산출단계에서는, 상기 전개부위 중 상기 레이저패턴과 제2잉크패턴이 상호 교차되는 교차지점과, 상기 제2잉크패턴의 꼭지점 중 상기 교차지점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꼭지점 사이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레이저패턴의 위치와 상기 제2잉크패턴의 위치의 X축방향 및 Y축방향 차이값를 측정하고, 그 차이값을 상기 제2보정값으로 산출하여 저장한다.
동일한 크기를 갖는 상기 제2잉크패턴과 레이저패턴을 가상적으로 상호 중첩시켰을 때 미리 설정된 상기 제2잉크패턴의 어느 한 지점을 상기 제2잉크패턴의 원점으로 정하고, 상기 제2잉크패턴의 원점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게 되는 상기 레이저패턴의 어느 한 지점을 상기 레이저패턴의 원점으로 정하되, 상기 제2보정값은 상기 제2잉크패턴의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레이저패턴의 원점의 X축방향 및 Y축방향 이격거리로 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보정산출단계 이후에, 상기 제2보정값만큼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이저를 이용하여 레이저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원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잉크노즐로 상기 제2잉크패턴을 형성하는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확인단계에서는 상기 제2보정값만큼 상기 스테이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레이저패턴단계와 제2잉크패턴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이동시켜 상기 잉크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제1잉크패턴을 인쇄하는 제1잉크패턴단계와; 특정지점으로 미리 설정된 상기 비전카메라의 원점과 특정지점으로 미리 설정된 상기 제1잉크패턴의 원점의 이격거리를 상기 비전카메라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제1보정값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제1보정산출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잉크패턴단계 및 제1보정산출단계는 상기 레이저패턴단계 이전에 수행된다.
상기 제2잉크패턴단계에서는 상기 제1보정값만큼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전카메라의 원점과 상기 제1잉크패턴의 원점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판에 상기 제2잉크패턴을 인쇄한다.
상기 제1잉크패턴단계에서는 상기 스테이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잉크패턴단계에서는 상기 제1보정값만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스테이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판에 상기 제2잉크패턴을 인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별도의 센서 또는 정렬키 없이 레이저패턴과 잉크패턴을 이용하여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원점이 일치하도록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 및 스테이지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보정산출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패턴단계와 제2잉크패턴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인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기판에 금속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의 과정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 및 스테이지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보정산출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패턴단계와 제2잉크패턴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인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은, 레이저(11)와 잉크노즐(12)과 비전카메라(13)가 헤드부(10)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 인쇄장치에서 레이저(11)와 잉크노즐(12)의 원점을 정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판준비단계(S1)와, 제1잉크패턴단계(S2)와, 제1보정산출단계(S3)와, 레이저패턴단계(S4)와, 제2잉크패턴단계(S5)와, 제2보정산출단계(S6)와, 확인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준비단계(S1)는 표면에 소수성막이 코팅된 기판(30)을 상기 스테이지(20)의 상부에 배치한다.
이때, 상기 기판(30)은 친수성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20) 및/또는 헤드부(10)는 수평 및/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테이지(2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헤드부(1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헤드부(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으나,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테이지(2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상기 제1잉크패턴단계(S2)는 상기 스테이지(2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잉크노즐(12)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30)에 제1잉크패턴(42)을 인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잉크패턴은 금속성분으로 이루어져 금속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잉크패턴단계(S2)에서 상기 기판(30)에 사각형상의 상기 제1잉크패턴(42)을 인쇄하였다.
상기 제1보정산출단계(S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전카메라(13)을 이용하여 상기 비전카메라의 원점(41a)과 상기 제1잉크패턴의 원점(42a)의 이격거리를 측정한 후 제1보정값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비전카메라의 원점(41a)은 임의의 특정지점을 원점으로 하여 미리 설정하고, 상기 제1잉크패턴의 원점(42a)는 임의의 특정지점을 원점으로 하여 미리 설정한다.
즉, 상기 제1보정산출단계(S3)에서는 상기 비전카메라(13)를 이용하여 상기 비전카메라의 원점(41a)과 상기 제1잉크패턴의 원점(42a) 사이의 X축좌표 및 Y축좌료를 측정하여, 그 에 따른 차이값인 상기 제1보정값을 산출하여 저장한다.
도 3에서는 상기 비전카메라(13)로 바라본 비전카메라의 뷰(41)를 사각형상으로 도시하였다.
따라서, 차후에 작업자가 상기 비전카메라(13)를 통해 상기 기판(30)의 특정위치를 지정하게 되면, 상기 잉크노즐(12)이 상기 기판(30)에 잉크패턴을 인쇄할 때, 상기 스테이지(20)가 상기 제1보정값만큼 수평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비전카메라(13)를 통해 지정한 특정위치에 상기 잉크패턴이 인쇄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비전카메라(13)와 상기 잉크노즐(12)의 원점이 일치하게 정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레이저패턴단계(S4)는 상기 스테이지(20)를 이동시켜 상기 레이저(11)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30)에 코팅된 상기 소수성막을 제거하여 레이저패턴(43)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레이저패턴단계(S4)는 종래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소수성막을 제거함으로써 패턴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잉크패턴단계(S5)는 상기 스테이지(20)를 이동시켜 상기 잉크노즐(12)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30)에 제2잉크패턴(45)을 인쇄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제2잉크패턴단계(S5)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전카메라의 원점(41a)과 상기 제1잉크패턴의 원점(42a) 사이의 이격거리를 나타내는 상기 제1보정값만큼 상기 스테이지(2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전카메라의 원점(41a)과 상기 제1잉크패턴의 원점(42a)을 일치시킨 후, 상기 스테이지(2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판(30)에 상기 제2잉크패턴(45)을 인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레이저패턴(43)과 제2잉크패턴(45)은 동일한 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레이저패턴단계(S4) 후 상기 제2잉크패턴단계(S5)를 수행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저패턴단계(S4)와 제2잉크패턴단계(S5)는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상기 스테이지(2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호 이격되어 있는 상기 레이저(11)와 잉크노즐(12)을 통해 상기 기판(30)에 상기 레이저패턴(43)과 잉크패턴을 동시에 함께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패턴(43)과 잉크패턴은 그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하게 된다.
상기 기판(30)에 형성된 상기 레이저패턴(43)과 상기 제2잉크패턴(45)은 어느 2곳 이상이 상호 교차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패턴(43)과 상기 제2잉크패턴(45)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2곳에서 상호 교차되고 있다.
상기 제2잉크패턴단계(S5)에서 상기 소수성막에 인쇄된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잉크는 상기 소수성막의 특성 때문에 도트(dot)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패턴단계(S4)에 의해 상기 소수성막이 제거된 부위에 인쇄된 제2잉크패턴(45)의 잉크는 상기 소수성막이 제거된 상기 레이저패턴(43)을 따라 길게 전개되어 전개부위(44)를 형성한다.
위와 같이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잉크가 인쇄되어 전개된 상기 전개부위(44)는 상기 소수성막에 인쇄된 도트 형상의 잉크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비전카메라(13)에서는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잉크가 인쇄되어 형성된 상기 전개부위(44)의 위치를 보다 잘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보정산출단계(S6)는 상기 비전카메라(13)를 이용하여 상기 레이저패턴(43)의 위치와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위치 차이를 측정하여 제2보정값을 산출한 후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보정산출단계(S6)에서는, 상기 레이저패턴(43)을 따라 잉크가 길게 전개된 상기 전개부위(44)와,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꼭지점 사이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레이저패턴(43)의 위치와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위치의 X축방향 및 Y축방향 차이값를 측정하고, 그 차이값을 상기 제2보정값으로 산출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2보정산출단계(S6)에서는, 상기 전개부위(44) 중 상기 레이저패턴(43)과 제2잉크패턴(45)이 상호 교차되는 교차지점과,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꼭지점 중 상기 교차지점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꼭지점 사이의 이격거리를 측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보정값은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레이저패턴(43)의 원점의 X축방향 및 Y축방향 이격거리로 산출하도록 한다.
이때, 동일한 크기를 갖는 상기 제2잉크패턴(45)과 레이저패턴(43)을 가상적으로 상호 중첩시켰을 때 미리 설정된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어느 한 지점을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원점으로 정하고,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원점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게 되는 상기 레이저패턴(43)의 어느 한 지점을 상기 레이저패턴(43)의 원점으로 정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어느 하나의 꼭지점을 상기 제2잉크패턴(45)의 원점으로 정하고, 상기 레이저패턴(43)을 가상적으로 상기 제2잉크패턴(45)에 중첩시켰을 때 상기 제2잉크패턴(45)이 원점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레이저패턴(43)의 꼭지점을 상기 레이저패턴(43)의 원점으로 정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제2보정산출단계(S6)에서 산출 저장된 상기 제2보정값을 통해 차후에 상기 레이저패턴(43)의 형성시에는 상기 스테이지(20)를 상기 제2보정값만큼 수평이동시켜 상기 레이저패턴(43)을 형성하고, 상기 제2잉크패턴(45)이 상기 레이저패턴(43)과 동일한 위치에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보정산출단계(S6) 이후에 상기 레이저패턴(43)과 제2잉크패턴(45)의 원점이 상호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상기 확인단계(S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확인단계(S7)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보정값만큼 상기 스테이지(2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레이저패턴(43)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스테이지(20)를 원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저패턴(43)의 위에 상기 제2잉크패턴(45)을 형성하여, 상기 레이저패턴(43)과 제2잉크패턴(45)이 상호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정렬을 위한 별도의 센서없이, 레이저(11)와 잉크노즐(12)이 상호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레이저(11)와 잉크노즐(12)의 원점이 용이하게 일치되도록 정렬할 수 있으며, 또한 비전카메라의 원점(41a)과 잉크노즐(12)의 원점도 용이하게 일치되도록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S1 : 기판준비단계, S2 : 제1잉크패턴단계, S3 : 제1보정산출단계, S4 : 레이저패턴단계, S5 : 제2잉크패턴단계, S6 : 제2보정산출단계, S7 : 확인단계,
10 : 헤드부, 11 : 레이저, 12 : 잉크노즐, 13 : 비전카메라,
20 : 스테이지,
30 : 기판, 31 : 소수성막,
41 : 비전카메라의 뷰, 41a : 비전카메라의 원점, 42 : 제1잉크패턴 42a : 제1잉크패턴의 원점, 43 : 레이저패턴, 44 : 전개부위, 45 : 제2잉크패턴,

Claims (12)

  1. 레이저와 잉크노즐과 비전카메라가 헤드부에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 인쇄장치에서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에 있어서,
    소수성막이 코팅된 기판을 스테이지에 배치하는 기판준비단계와;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코팅된 상기 소수성막을 제거하여 레이저패턴을 형성하는 레이저패턴단계와;
    상기 레이저패턴단계와 동일하게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이동시켜 상기 잉크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제2잉크패턴을 인쇄하는 제2잉크패턴단계와;
    상기 비전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레이저패턴의 위치와 상기 제2잉크패턴의 위치 차이를 측정하여 제2보정값을 산출한 후 저장하는 제2보정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레이저패턴과 상기 제2잉크패턴은 어느 2곳 이상이 상호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패턴과 제2잉크패턴은 동일한 크기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친수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잉크패턴단계에서 상기 소수성막에 인쇄된 제2잉크패턴의 잉크는 도트(dot)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레이저패턴단계에 의해 상기 소수성막이 제거된 부위에 인쇄된 제2잉크패턴의 잉크는 상기 소수성막이 제거된 상기 레이저패턴을 따라 길게 전개되어 전개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전개부위는 상기 소수성막에 인쇄된 도트 형상의 잉크보다 더 큰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2보정산출단계에서는,
    상기 전개부위 중 상기 레이저패턴과 제2잉크패턴이 상호 교차되는 교차지점과, 상기 제2잉크패턴의 꼭지점 중 상기 교차지점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꼭지점 사이의 이격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레이저패턴의 위치와 상기 제2잉크패턴의 위치의 X축방향 및 Y축방향 차이값를 측정하고, 그 차이값을 상기 제2보정값으로 산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5. 청구항4에 있어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상기 제2잉크패턴과 레이저패턴을 가상적으로 상호 중첩시켰을 때 미리 설정된 상기 제2잉크패턴의 어느 한 지점을 상기 제2잉크패턴의 원점으로 정하고, 상기 제2잉크패턴의 원점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게 되는 상기 레이저패턴의 어느 한 지점을 상기 레이저패턴의 원점으로 정하되,
    상기 제2보정값은 상기 제2잉크패턴의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레이저패턴의 원점의 X축방향 및 Y축방향 이격거리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패턴단계 및 제2잉크패턴단계에서는 상기 스테이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7. 청구항1 내지 청구항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정산출단계 이후에,
    상기 제2보정값만큼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레이저를 이용하여 레이저패턴을 형성한 후,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원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잉크노즐로 상기 제2잉크패턴을 형성하는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에서는 상기 제2보정값만큼 상기 스테이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9. 청구항1 내지 청구항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패턴단계와 제2잉크패턴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10. 청구항1 내지 청구항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이동시켜 상기 잉크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제1잉크패턴을 인쇄하는 제1잉크패턴단계와;
    특정지점으로 미리 설정된 상기 비전카메라의 원점과 특정지점으로 미리 설정된 상기 제1잉크패턴의 원점의 이격거리를 상기 비전카메라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제1보정값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제1보정산출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잉크패턴단계 및 제1보정산출단계는 상기 레이저패턴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11. 청구항10에 있어서,
    상기 제2잉크패턴단계에서는 상기 제1보정값만큼 상기 스테이지 또는 헤드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전카메라의 원점과 상기 제1잉크패턴의 원점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기판에 상기 제2잉크패턴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12.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제1잉크패턴단계에서는 상기 스테이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잉크패턴단계에서는 상기 제1보정값만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스테이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판에 상기 제2잉크패턴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KR1020130092164A 2013-08-02 2013-08-02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KR101442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64A KR101442078B1 (ko) 2013-08-02 2013-08-02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64A KR101442078B1 (ko) 2013-08-02 2013-08-02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078B1 true KR101442078B1 (ko) 2014-09-23

Family

ID=5176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164A KR101442078B1 (ko) 2013-08-02 2013-08-02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0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732B1 (ko) * 2016-03-18 2016-10-31 박민재 평판 인쇄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172343A (zh) * 2019-07-04 2021-01-05 细美事有限公司 液滴喷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427B1 (ko) 2003-02-14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 정렬오차 보정방법
KR20060007137A (ko) * 2004-07-19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사헤드의 얼라인먼트 보상방법 및 장치
KR20060015395A (ko) * 2004-08-14 200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장치의 얼라인먼트 조정방법 및 장치
KR20130059497A (ko)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인쇄 패턴 얼라인 확인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인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427B1 (ko) 2003-02-14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 정렬오차 보정방법
KR20060007137A (ko) * 2004-07-19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사헤드의 얼라인먼트 보상방법 및 장치
KR20060015395A (ko) * 2004-08-14 200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장치의 얼라인먼트 조정방법 및 장치
KR20130059497A (ko) * 2011-11-29 2013-06-07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인쇄 패턴 얼라인 확인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인쇄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732B1 (ko) * 2016-03-18 2016-10-31 박민재 평판 인쇄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172343A (zh) * 2019-07-04 2021-01-05 细美事有限公司 液滴喷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38598B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kjet printing on non-planar substrates
CN108568383B (zh) 液滴排出装置、液滴排出方法、程序和计算机存储介质
CN103552243B (zh) 成型平面与喷嘴移动平面的调校方法
JP6656102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EP3235355B1 (en) 3d ink jet printing method
JP6108544B2 (ja) マスク製造装置
US8348368B2 (en) Method for arraying head assemblies of inkjet printer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CN104614934B (zh) 压印设备和制造物件的方法
KR101442078B1 (ko) 레이저와 잉크노즐의 정렬방법
CN103192602B (zh) 薄膜形成装置及薄膜形成方法
JP2010104978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位置合わせ方法
JP2009291710A (ja) 液体散布装置、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装置、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太陽電池パネルの製造装置、太陽電池パネル、液体散布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159037B (zh) 一种直写式光刻机图形发生器的角度标定方法
KR102438352B1 (ko) 잉크젯 인쇄 방법
TWI688431B (zh) 膜形成方法及膜形成裝置
CN109895392A (zh) 一种在设备工作区域标记和精确定位工作坐标的方法
JP4779410B2 (ja) パターン形成装置、ヘッド調整装置、パターン形成方法、ヘッド調整方法
JP2005262744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ライン型インクジェットノズルの位置調整方法、インクジェットノズルユニットの位置調整方法、及び、配向膜形成装置
JP2021133289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
JP2006204964A (ja) パターン形成装置及び方法
CN113370531B (zh) 补偿失配准的三维(3d)物体打印系统
JP5317844B2 (ja) 吐出装置
JP201006970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17144678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を有するシステム
TW201302488A (zh) 平版印刷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