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688B1 - 액체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체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688B1
KR101441688B1 KR1020080009369A KR20080009369A KR101441688B1 KR 101441688 B1 KR101441688 B1 KR 101441688B1 KR 1020080009369 A KR1020080009369 A KR 1020080009369A KR 20080009369 A KR20080009369 A KR 20080009369A KR 101441688 B1 KR101441688 B1 KR 101441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omposition
liquid detergent
weight
component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529A (ko
Inventor
요시노리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000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68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8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02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1Alcohols;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7/265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알킬글리코시드를 5 ∼ 20 중량%, (B) 히드록시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를 10 ∼ 30 중량%, 및 (C) 폴리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를 1 ∼ 10 중량% 를 함유하고, (A)/(B) 중량비가 0.2 ∼ 1 이며, (B)/(C) 중량비가 1 ∼ 10 인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액체 세정제 조성물{LIQUID DETER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 및 의료의 얼룩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의료(衣料)용의 중질 액체 세정제는, 진흙, 피지, 오일이라는 오염의 오염 제거에 중점을 두어 개발되고 있고, 분뇨, 과즙 등의 이른바 얼룩 오염에 대해서는, 오염 제거가 충분하지 않았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얼룩 오염에는, 산화 표백을 중심으로 한 표백제가 사용되고, 일반 소비자는 이른바 일반 액체 세정제와 표백제를 구분 사용하여 오염을 제거하고 있었다.
한편, 유아용 액체 의료용 세제라는 상품군이 존재하고, 유아용 기저귀, 의료, 침구 등을 세탁하기 위해, 무표백, 무형광, 무인이라는 안전성을 전체면에 내세우고, 표백제는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전술하는 분뇨 얼룩 등이 얼룩 오염에 높은 세정성을 가진 상품군이었다. 이들 유아용 액체 의료용 세제는, 일반적으로, 지방산 비누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를 주성분으로 한 약알칼리 내지 알칼리성의 세정제가 대부분이다.
JP-A2002-138364 에는, 고배합의 킬레이트제, pH10 이상의 고알칼리, 온도 50℃ 이상이라는 특정한 조건으로 수용성 킬레이트제와 표백제를 함유하는 알칼리 성 세정액을 사용하는 기저귀의 세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JP-A5-239493 이나 JP-A6-299191 등에는, 알킬글리코시드 (알킬 다당 계면 활성제) 를 사용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세정력이 우수하고, 의료의 손상의 저감이나 제품의 보존 안정성의 향상에 유효하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JP-A4-292697 에는, 알킬폴리글리콕시드와, 그 밖의 특정한 비이온 표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A) 알킬글리코시드를 5 ∼ 20 중량%, (B) 히드록시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를 10 ∼ 30 중량%, 및 (C) 폴리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를 1 ∼ 10 중량% 를 함유하고, (A)/(B) 중량비가 0.2 ∼ 1 이며, (B)/(C) 중량비가 1 ∼ 10 인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액체 세정제 조성물과 의료를 접촉시키는 의료의 얼룩 오염 제거 방법 및 상기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의료용에 대한 사용에 관한 것이다.
JP-A2002-138364 의 방법은 업무용의 세정 방법으로서는 적합하지만, 일반적인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간이하게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적합하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또, 종래의 유아용 액체 의료용 세제에서는, 원액이 손에 묻었을 때의 미끈거림이나 피부 자극의 발생, 누적 세정에 의한 의료의 뻣뻣함 발생 등의 면에서 더욱 개량이 요망된다. 이 점, JP-A5-239493, JP-A6-299191 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의료의 손상의 저감이나 제품의 보존 안정성의 향상은 발견할 수 있지만, 이러한 효과와 동시에, 유아용 섬유 제품의 세정에 있어서, 대변이나 소변에 의해 발생한 얼룩 오염에 대해서도 우수한 세정력을 얻는다는 점에서는, 더욱 개량이 요망된다. JP-A4-292697 에서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있어서 투명한 외관을 갖고, 또한 안정적인 조성물을 얻는 것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대변, 소변 등의 배설물에서 유래하는 오염이나 과즙 오염 등, 얼룩 오염에 대해, 높은 세정력을 선택하려면, 킬레이트제를 많이 배합하는 것이 유효하지만, 종래, 이러한 킬레이트제 고배합계로 안정적으로 계면 활성제를 배합한 조성물은 발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얼룩 오염, 특히 대변, 소변이라는 배설물에서 유래하는 얼룩 오염에 대해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내고, 원액이 손에 묻었을 때의 미끈거림이나 피부의 거침이 없고, 세정 후의 의료의 뻣뻣함이 없고, 외관이 양호하며, 안정성이 우수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알킬글리코시드와 히드록시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와 폴리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를 특정량, 특정 비율 사용한 세정제 조성물이, 얼룩 오염에 대해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내고, 보존 안정적인 조성물인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 모발 혹은 옷감에 대한 자극, 손상성이 현저히 완화되고, 또한 세정력이 우수하고, 누적 세정에 의한 뻣뻣함 발생이 없는, 저자극성이고 외관이 양호하며 안정성이 우수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유아용 의료, 기저귀, 침구 등에 대한 세정성, 즉 얼룩 오염에 대한 세정성이 우수하다. 상세하게는, 유아용 의료, 기저귀 등의 섬유 제품, 특히 의료용으로서 매우 적합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 및 의료의 얼룩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성분>
(A) 성분으로서는, 다음의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알킬글리코시드가 바람직하다.
R1(OR2)pGq (I)
〔식 중, R1 은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탄소수 8 ∼ 18 의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 또는 알킬 (탄소수 2 ∼ 12) 페닐기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G 는 탄소수 5 ∼ 6 의 환원당(糖)에서 유래하는 잔기이며, p 는 그 평균치가 0 ∼ 5 이다. q 는 그 평균치가 1 ∼ 10 이다.〕
일반식 (I) 에 있어서, R1 은 용해성, 기포성 및 세정성 면에서, 탄소수 9 ∼ 14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R2 는 수용성 등의 면에서 탄소수 2 ∼ 3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p 의 값은 수용성 및 결정성을 조정하고, 이것이 클수록 수용성이 높고 또한 결정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바람직한 범위는 0 ∼ 2, 특히 0 이다. q 는 1 ∼ 4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q 는 R1 의 소수기에서 유래하는 물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R1 이 평균 탄소수 9 ∼ 11 의 소수기인 경우에는 q = 1 ∼ 1.4 를, 평균 탄소수 12 ∼ 14 의 소수기인 경우에는 q = 1.2 ∼ 4.0 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균 당중합도 q 는 프로톤 NMR 로 구할 수 있다. 이 당사슬의 결합 양식은, 1-2, 1-3, 1-4 혹은 1-6 결합, α-혹은 β-피라노시드 결합 또는 푸라노시드 결합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또한, 일반식 (I) 중의 G 는 원료인 단당 또는 다당에 의해 그 구조가 결정되는데, 이 단당으로서는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프 룩토오스, 갈락토오스, 자일로오스, 만노오스, 릭소오스, 아라비노오스 등이, 다당으로서는 예를 들어 말토오스, 자일로비오스, 이소말토오스, 셀로비오스, 겐티비오스,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니게로스, 트라노오스, 라피노오스, 겐티아노스, 멜레지토오스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입수 용이성, 및 저비용성이라는 점에서, 단당류 원료로서는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등이, 다당류 원료로서는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력과 저자극성의 관점에서, (A) 성분을 5 ∼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 중량% 함유한다.
<(B) 성분>
히드록시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란, 히드록시기와 카르복실산을 갖는 킬레이트제이다. (B) 성분으로서는, 시트르산, 글루콘산, 말산, 펩톤산, 락트산, 타르타르산, 히드록시아세트산 (글리콜산)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염이어도 되고,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 알칸올아민염, 지방족 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 글루콘산, 말산 및 타르타르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르산이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력과 안정성의 관점에서, (B) 성분을 10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2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25 중량% 함유한다. 또한, (B) 성분의 함유량은, 염이 아니라 산으로서의 함유량이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세정력, 저자극성, 외관 및 안정성의 관점에서, (A) 성분과 (B) 성분의 중량비는, (A)/(B) 에서 0.2 ∼ 1, 바람직하게는 0.33 ∼ 1, 보다 바람직하게는 0.33 ∼ 0.7 이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추가로 (C) 폴리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 〔이하, (C) 성분이라고 한다〕를 함유한다.
(C) 성분으로서는, 폴리카르복실산계 폴리머 및/또는 그 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 폴리말레산 및 그 염, 및 아크릴산-말레산 코폴리머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염은, 일부이어도 되고, 전부이어도 되며, 염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염이나 유기아민염이 바람직하다.
폴리아크릴산 및 그 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 20,000 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0 ∼ 15,000 이다.
또, 폴리말레산 및 그 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 ∼ 10,000 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 5,000 이다.
아크릴산-말레산 코폴리머 및 그 염으로서는, 무수 말레산과 공중합 가능한 그 밖의 모노머와의 코폴리머나 그 수용성염이며, 하기의 일반식 (II) 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07693603-pat00001
〔식 중, R3, R4, R5,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5 의 알킬기 혹은 알콕시기, 페닐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내고, M 은 수소 원자, 알칼리금속 또는 유기아민이며, x/y (몰비) = 1/10 ∼ 10/1 이고, 평균 분자량은 1,000 ∼ 100,000 이다.〕
상기 일반식 (II) 에 있어서, x/y (몰비) 는 1/10 ∼ 10/1 이고, 바람직하게는 3/7 ∼ 7/3 이다. 또, 식 (II) 로 표시되는 아크릴산-말레산 코폴리머 및 그 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 100,000 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0 이다.
이러한 폴리카르복실산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분자량이 주지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표준 물질로서 사용한 겔ㆍ투과ㆍ크로마토그래피법 (GPC법) 에 의해 측정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력과 안정성의 관점에서, (C) 성분을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8 중량% 함유한다.
또,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서는, 세정력과 안정성의 관점에서, (B) 성분과 (C) 성분의 중량비는, (B)/(C) 에서 바람직하게는 1 ∼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 이다.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원액의 미끈거림 저감의 관점에서, (D)(A) 성분 이외의 다가 알코올〔이하, (D) 성분이라고 한다〕, 그리고 (E) 그 (D) 성분과 반응할 수 있는 붕산 및/또는 그 염〔이하, (E) 성분이라고 한다〕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E)/(D) 중량비는 0.05 ∼ 0.25 가 바람직하고, 0.1 ∼ 0.25 가 더욱 바람직하다.
(D) 성분과 (E)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액체 세정력의 pH 를 조정하고, 세정력을 유지한 상태로, 미끈거림을 저감시킬 수 있다.
(D) 성분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 6 의 다가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수산기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3 ∼ 8 가,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6 가이다. 조성물 중의 (D) 성분의 함유량은, 세정 성능, 점도 거동, 안정성의 관점에서, 1 ∼ 30 중량% 가 바람직하고, 3 ∼ 28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5 ∼ 15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7 ∼ 13 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D) 성분으로서는, 지방족 트리올, 예를 들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헥산트리올 등의 알칸트리올, 지방족 폴리올,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소르비탄, 디글리세린,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의 알칸폴리올 및 그들 혹은 알칸트리올의 분자내 혹은 분자간 탈수물, 그리고 자당,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프룩토오스, 메틸글루코시드 등의 당류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만니톨, 글루코오스 이다.
(E) 성분의 조성물 중의 함유량은, 붕소 원자로서 0.05 ∼ 2 중량% 가 바람직하고, 0.1 ∼ 1.5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0.15 ∼ 1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고, 0.2 ∼ 0.8 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고, 0.2 ∼ 0.4 중량% 가 가장 바람직하다. (E) 성분으로서는, 붕산, 붕사 및 붕산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붕산염으로서는, 붕산 나트륨, 붕산 칼륨, 붕산 암모늄, 4 붕산 나트륨, 4 붕산 칼륨, 4 붕산 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임의 성분으로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D) 성분으로는 배제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재오염 방지제 ; 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셀룰라아제 등의 효소 ; 염화 칼슘 등의 효소 안정제 ;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 벤젠술폰산염, p-톨루엔술폰산염 등의 저급 알킬벤젠술폰산염 ;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 벤조산염, 요소 등의 가용화제 ; t-부틸히드록시톨루엔, 디스틸렌화 크레졸 등의 산화 방지제 ; 그 외의 항균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형광 염료, 블루잉제, 향료, 빌더로서의 인산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하면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외관에 의한 식별의 용이함 및 외관의 미적인 관점에서, 투명한 조성물, 특히 투명한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명이란, 육안으로 관찰하여 균일하고 탁해짐이 없는 것이지만, 측정 기기를 사용했을 경우, 그 투과율은 통상적으로 9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보 다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이다. 투과율의 측정은, 「U-2000A Spectrophotometer」(분광 광도계, HITACHI 제조) 로 석영 셀을 사용하여, 600nm 에 있어서의 정제수의 투과율을 100% 로서 측정한다. 통상적으로는 20□ 에 있어서 관찰 또는 측정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0 ∼ 40□ 의 전체 범위에 있어서 투명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A) 성분 5 ∼ 20 중량%, (B) 성분 10 ∼ 30 중량% 를 함유하고, (A)/(B) 중량비가 0.2 ∼ 1 인 것이, 투명 상태를 유지하고, 높은 세정 성능을 가져오기 때문에 필수이다. 높은 투명성과 세정성 면에서 바람직한 범위는, (A) 성분의 함유량은 5 ∼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0 중량% 이며, (B) 성분의 함유량은 10 ∼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25 중량% 이며, (A)/(B) 중량비는 0.33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0.33 ∼ 0.7 이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A) 성분, (B) 성분, (C) 성분 및 (F) 성분의 물을 함유한다.
(F) 성분의 함유량은, 30 ∼ 80 중량% 가 바람직하고, 30 ∼ 60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B) 히드록시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와 (F) 물의 중량비 ((B)/(F)) 는, 세정력, 안정성의 관점에서, 10/90 ∼ 35/65 가 바람직하고, 15/85 ∼ 30/70 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저자극성의 관점에서, 원액의 pH (20℃) 가 7.6 ∼ 9, 더욱 바람직하게는 7.6 ∼ 8.5, 특히 바람직하게는 7.7 ∼ 8 이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력의 관점에서, 물의 희석에 의해, pH (20℃) 가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로 1000 배 희석시 (체적 기준) 의 pH (20 ℃) 가, 원액의 pH (20℃) 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원액과 1000 배 희석시의 pH (20℃) 의 차이는, 0.1 ∼ 2.0 이 바람직하고, 0.3 ∼ 1.5 가 더욱 바람직하다.
세정력의 관점에서, 사용시 (물로 200 ∼ 5000 배 희석시, 특히 1000 배 희석시 또는 3000 배 희석시 (체적 기준)) 에 pH (사용 온도에 있어서의 pH, 바람직하게는 20℃ 에 있어서의 pH) 가 8.5 를 초과하고 10 미만, 또한 9 이상 10 미만의 세정액, 특히 수용액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시의 pH 는, 물에 의한 희석에 의해 상기 범위를 달성되는 것이어도 되고, 적당히 pH 조정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어도 되고,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물에 의한 희석에 의해 상기 범위를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세정액은, (A) 성분을 0.001 ∼ 0.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5 ∼ 0.05 중량%, (B) 성분을 0.002 ∼ 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 ∼ 0.1 중량%, (C) 성분을 0.0002 ∼ 0.0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3 ∼ 0.03 중량% 함유하는 것이고, 그 농도의 희석액에 있어서 상기 pH 가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조정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A), (C) ∼ (E) 성분을 혼합한 후, (B) 성분을 첨가하고, 마지막에 KOH 나 NaOH 등의 알칼리제로, 원하는 pH 로 조정할 수 있다. 정제수는, (A), (C) 성분의 희석액으로서 배합하거나 전체량이 100부가 되도록, 마지막에 첨 가하여 조정한다. 또,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원하는 점도로 조정하기 위해,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섬유 제품용으로서 매우 적합하고, 의료용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또, 유아용 섬유 제품의 세정에 적합하다. 유아용 섬유 제품으로서는, 의료, 기저귀, 침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사용할 때에는, 통상적인 세탁기를 사용한 세정 외에, 대야, 버킷 등을 사용한 담금 세정에도 사용할 수 있다. 분뇨 얼룩 등이 특히 심한 오염인 경우, 2 ∼ 3 시간 정도 담근 후, 세탁기로 세정하면 특히 높은 세정 효과가 있다.
(의료의 얼룩 오염 제거 방법)
본 발명의 얼룩 오염 제거 방법은 (A) 알킬글리코시드를 5 ∼ 20 중량%, (B) 히드록시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를 10 ∼ 30 중량%, 및 (C) 폴리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를 1 ∼ 10 중량% 를 함유하고, (A)/(B) 중량비가 0.2 ∼ 1 이며, (B)/(C) 중량비가 1 ∼ 10 인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과 섬유 제품, 특히 의료를 접촉시켜, 대변, 소변이라는 배설물에서 유래하는 얼룩 오염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얼룩 오염 제거시에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수돗물 등의 물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는 200 ∼ 5000 배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3000 배로 희석 (체적 기준) 하여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시의 pH 는 상기의 사용시의 pH 와 같이, pH 8.5 를 초과하고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접촉시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 ∼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35℃ 의 온도 (액온) 이며, 2 ∼ 3 시간 정도 담가 두어도 되고, 세탁기로 세정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 모발 혹은 옷감에 대한 자극, 손상성이 현저히 완화되고, 또한 세정력이 우수하고, 누적 세정에 의한 뻣뻣함 발생이 없는, 저자극성이고 외관이 양호하며 안정성이 우수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에 대해 서술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대해 서술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표 1 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하의 방법으로 세정성 (얼룩 오염, 일반 오염), 원액의 감촉, 세정 타올의 뻣뻣함, 보존 안정성, 외관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기재의 각 성분의 양은, 순분 환산치이다.
<실시예 1 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조제>
마이돌 12 25 중량부 (40 중량% 수용액), 올리고머 D 20 중량부 (40 중량% 수용액), 소르비톨 7.5 중량부, 붕산 1.5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3 중량부를 혼합한 후, 시트르산 16 중량부를 첨가하고, 다음으로 KOH (48 중량% 수용액) 를 23.7 중량부 첨가하여, 원액의 pH 가 9.0 이 되도록 조정하고, 마지막으로 정제수 3.3 중량부를 첨가하여, 합계가 100 중량부가 되도록 하였다. 혼합 배합의 조정은 모두 실온에서 실시하였다. 이하 실시예 2 ∼ 6, 비교예 1 ∼ 13 을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1) 세정성
ㆍ세정성 1 (얼룩 오염)
목면 브로드 (8cm × 8cm) 에, 담즙 색소의 주요 성분인 비릴빈〔와코우 순약 (주) 제조〕의 0.06 중량% 클로로포름 용액을 0.4mL 부착시켜 얼룩 오염을 제조하여, 풍건 후, 비릴빈 오염포로 하였다.
표 1 에 나타내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4˚ 경수로 1000 배 희석 (0.5mL/500mL 경수, pH 를 표 1 에 나타낸다) 하고, 실온 (20℃) 에서 상기의 비릴빈 오염포 4 장을 2 시간 담금 세정하고, 그 후, 수돗물로 유수 헹굼을 실시하였다. 세정 전후의 비릴빈 오염포의 반사율을 측정 (측정 파장 460nm) 하고, 다음 식에 의해 세정률을 산출하여, 4 장의 세정률의 평균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08007693603-pat00002
세정성 1 (얼룩 오염) 에 관하여, 상기 방법에 의한 평가에서는, 세정률이 40% 이상은 매우 양호하다고 판단된다.
ㆍ 세정성 2 (일반 오염)
Swiss Federal Laboratories for Materials Testing and Research 제조의 EMPA 101 (카본 블랙/올리브유) 을 일반 오염 오염포로 하였다. 표 1 에 나타 내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4˚ 경수로 3000 배 희석 (0.33mL/1L 경수) 하고, 상기의 일반 오염 오염포 4 장을 세척력 시험기로 85rpm 이고, 세정 시간 10 분 , 수온 25℃, 수돗물로 유수 5 분간의 헹굼 세정 조건으로 세정하였다. 세정 전후의 일반 오염 오염포의 반사율을 측정 (측정 파장 460nm) 하여, 세정성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정률 (4 장의 평균) 을 산출하였다. 세정성 2 (일반 오염) 에 관해서, 상기 방법에 의한 평가에서는, 세정률이 8% 이상은 양호하다고 판단된다.
(2) 원액의 감촉 평가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원액을 손가락 끝에 바르고, 30 초 후 물로 씻어 냈을 때에, 손가락 끝의 미끈거림, 자극 등을 5 명의 패널리스트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5 명 모두 바로 미끈거림이 사라지고 특별히 자극을 느끼지 않았다.
△ : 1 명 ∼ 2 명에게, 미끈거림이 길게 남는 느낌이 있었다. 또는 자극을 느꼈다.
× : 3 명 이상에게 미끈거림이 길게 남는 느낌이 있었다. 또는 자극을 느꼈다.
(3) 뻣뻣함 평가
타올 10 장을 세탁기로 10 회 누적 세탁하고, 세정 후의 타올의 유연성을 5 명의 패널리스트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세탁기에서의 세정은, 액체 세정제 조성물 10mL 을 30L 의 수돗물에 용해하고, 액온 20℃, 10 분 세탁, 3 회 헹굼을 1 사이클로서 10 회의 누적 세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의 액체 세정제 조성물은, 이 희석 농도 및 온도에 있어서 pH 가 모두 8.5 를 초과하고 10 미만이었다.
○ : 5 명 모두 특별히 뻣뻣함을 느끼지 않았다.
△ : 1 ∼ 2 명이 뻣뻣함을 느꼈다.
× : 3 명 이상이 뻣뻣함을 느꼈다.
(4) 보존 안정성
표 1 에 나타내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유리제의 샘플병 (100mL) 에 90g 넣고, 뚜껑을 닫아 0℃ 와 40℃ 에서 3주간 보존하고, 백탁, 분리, 침전의 유무를 20℃ 에서의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 백탁, 분리, 침전 모두 발생하지 않고, 외관이 투명
△ : 분리, 침전 모두 발생하지 않지만, 백탁되고, 외관이 불투명
× : 분리, 침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
(5) 외관
표 1 에 나타내는 액체 세정제 조성물을, 유리제의 샘플병 (100mL) 에 90g 넣고, 뚜껑을 닫아 20℃ 에서 하루 정치(靜置) 하고, 백탁, 분리, 침전의 유무를 20℃ 에서의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 백탁, 분리, 침전 모두 발생되지 않고, 외관이 투명
△ : 분리, 침전 모두 발생되지 않지만, 백탁되고, 외관이 불투명
× : 분리, 침전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발생됨
Figure 112008007693603-pat00003
* 1 마이돌 12, 카오 (주) 제조
* 2 마이돌 10, 카오 (주) 제조
* 3 에마르겐 120, 카오 (주) 제조
* 4 에마르 270J, 카오 (주) 제조
* 5 올리고머 D, 카오 (주) 제조, 중량 평균 분자량 약 8000
* 6 포이즈 521, 카오 (주) 제조, 중량 평균 분자량 약 10000

Claims (8)

  1. (A) 알킬글리코시드를 5 ∼ 20 중량%, (B) 히드록시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를 10 ∼ 30 중량%, (C) 폴리카르복실산형 킬레이트제를 1 ∼ 10 중량%, (D) 탄소수가 3 ~ 20 이고, 수산기의 수가 3 ~ 8 가인 다가 알코올을 1 ∼ 30 중량%, 및 (F) 물을 30 ~ 80 중량% 함유하고, (A)/(B) 중량비가 0.2 ∼ 1 이며, (B)/(C) 중량비가 1 ∼ 10 인 액체 세정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E) 상기 (D) 다가 알코올과 반응할 수 있는 붕산 및/또는 그 염을 함유하고, (E)/(D) 중량비가 0.05 ∼ 0.25 인 액체 세정제 조성물로서,
    (E) 성분이 붕산, 붕사, 붕산 나트륨, 붕산 칼륨, 붕산 암모늄, 4 붕산 나트륨, 4 붕산 칼륨 및 4 붕산 암모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액체 세정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 성분이 다음의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알킬글리코시드인 액체 세정제 조성물.
    R1(OR2)pGq (I)
    〔식 중, R1 은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탄소수 8 ∼ 18 의 알킬기 혹은 알케닐기, 또는 알킬 (탄소수 2 ∼ l2) 페닐기를 나타내고, R2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G 는 탄소수 5 ∼ 6 의 환원당(糖)에서 유래하는 잔기이며, p 는 그 평균치가 0 ∼ 5 이다. q 는 그 평균치가 1 ∼ 10 이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원액의 pH (20℃) 가 7.6 ∼ 9.0 인 액체 세정제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000 배 희석시의 pH (20℃) 가, 원액의 pH (20℃) 보다 높고, 또한 1000 배 희석시의 pH (20℃) 가 8.5 를 초과하고, 10 미만인 액체 세정제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투명한 액체 세정제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과 의료(衣料)를 접촉시키는, 의료의 얼룩 제거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액체 세정제 조성물의 의료용(衣料用)에 대한 용도.
KR1020080009369A 2008-01-30 2008-01-30 액체 세정제 조성물 KR101441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369A KR101441688B1 (ko) 2008-01-30 2008-01-30 액체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369A KR101441688B1 (ko) 2008-01-30 2008-01-30 액체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529A KR20090083529A (ko) 2009-08-04
KR101441688B1 true KR101441688B1 (ko) 2014-09-17

Family

ID=4120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369A KR101441688B1 (ko) 2008-01-30 2008-01-30 액체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6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493A (ja) * 1992-02-28 1993-09-17 Kao Corp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H10204480A (ja) * 1997-01-22 1998-08-04 Kao Corp 台所まわり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6143813A (ja) * 2004-11-17 2006-06-08 Kao Corp 食品製造加工設備用洗浄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493A (ja) * 1992-02-28 1993-09-17 Kao Corp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H10204480A (ja) * 1997-01-22 1998-08-04 Kao Corp 台所まわり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6143813A (ja) * 2004-11-17 2006-06-08 Kao Corp 食品製造加工設備用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529A (ko)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7600B2 (ja) 酸化エチレン/酸化プロピレンブロック共重合体界面活性剤を含む硬質表面洗浄剤
JP2005505661A (ja) 表面を処理する予備湿潤拭き取り用品
KR20110005739A (ko) 항균제 고정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물품
JP3953750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EP3561032A1 (en) Antimicrobial hard surface cleaners comprising alkylpyrrolidones
KR101441688B1 (ko) 액체 세정제 조성물
JP6093280B2 (ja) 硬質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5832813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128104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H05239493A (ja) 衣料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401471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CN111979053A (zh) 具有擦试无水痕的家居清洁湿巾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80130852A (ko) 액체 세제 조성물
MXPA06007022A (es) Etoxilatos de poliamina hidrofobica.
JP4267156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H1072598A (ja) 液体酸素系漂白性組成物
CN102703235B (zh) 液体洗净剂组合物
JP4920213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6093279B2 (ja) 硬質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3634217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CN107922886B (zh) 衣物用液体洗涤剂组合物
CN101486955A (zh) 液体洗净剂组合物
JP2566821B2 (ja) 洗浄剤組成物
JPH1135975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5977139B2 (ja) 食器洗い用液体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