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644B1 -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644B1
KR101441644B1 KR1020130095565A KR20130095565A KR101441644B1 KR 101441644 B1 KR101441644 B1 KR 101441644B1 KR 1020130095565 A KR1020130095565 A KR 1020130095565A KR 20130095565 A KR20130095565 A KR 20130095565A KR 101441644 B1 KR101441644 B1 KR 10144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ic
switch
electric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5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태
손동현
강종헌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주)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주)엔시스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95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7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measuring instru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AC 전원 플러그를 통해 외부 전원 인입 이후, 전원 온(ON) 신호를 감지하여 메인 전원선으로 제 1 단계의 전원 인입을 수행하는 파워스위치;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폐(Close) 신호 상태에 대한 감지시, 2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제 2 단계의 전원 인입이 수행되도록 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전원 온(ON) 신호를 감지시 3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상기 메인 전원선을 통해 전기전자부품으로 사용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 를 포함하는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AC 전원 플러그를 통해 외부 전원 인입되는 제 1 단계; 파워스위치로 전원 온(ON) 신호 입력에 따라 1차 전기 안전 해제를 통해 메인 전원선으로 제 1 단계의 전원 인입이 수행되는 제 2 단계;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리미트 스위치 내지는 압력 센서를 통해 폐(Close) 신호 상태에 대한 감지시, 2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제 2 단계의 전원 인입이 수행되는 제 3 단계; 및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를 통해 전원 온(ON) 상태에 대한 감지시, 3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상기 메인 전원선을 통해 전기전자부품으로 사용 전원이 인가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Description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Panel device for practicing electric circuit, method for practicing electric safet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전자공학용 실습을 위해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시퀀스 실험·실습, PLC 실험·실습, 계장제어 실험·실습, 수배전반 실험·실습, 전기전자회로 실험·실습에 있어서 피교육자가 회로를 직접 배선하고 그에 다른 결과를 확인하는 방식에 있어서, 다중의 안전장치를 구성하여 교육자의 통제 하에 정확한 검사를 행하고 전원 인가를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용전압, 고전압, 고전류 등을 사용하는 산업용 또는 실험·실습용 장비나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감전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 실험·실습용 장치로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경우 오 배선이나 회로 합선 등의 상황이 발생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입히거나 장치에 손상을 가하는 경우가 문제되고 있다.
한편, 실험·실습 시 대부분의 사고는 피교육자가 구성한 회로 배선에 대한 충분한 확인 및 사전 검사를 실시하지 않고 바로 전원을 인가하여 동작하는 상황이나, 최소한의 안전 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사고를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회로 전원 인가 이전 부분에서 적절한 안전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회로에 대한 사전 검사를 행한 후 장치를 구동시킨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술문헌]
1.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ELECTRIC SAFETY TESTING EQUIPMENT AND ELECTRIC SAFETY TESTING METHOD)(특허출원번호 제10-2009-0108164호)
2. 항공전기회로 실습장치(Device for Practicing Airplane Electric Circuit)(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20612호)
3. 다기능 계측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전자실험실습 시스템(A SYSTEM FOR THE ELECTRIC EXPERIMENT)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0489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전자공학용 실습을 위해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시퀀스 실험·실습, PLC 실험·실습, 계장제어 실험·실습, 수배전반 실험·실습, 전기전자회로 실험·실습에 있어서 피교육자가 회로를 직접 배선하고 그에 다른 결과를 확인하는 방식에 있어서, 다중의 안전장치를 구성하여 교육자의 통제 하에 정확한 검사를 행하고 전원 인가를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는, AC 전원 플러그를 통해 외부 전원 인입 이후, 전원 온(ON) 신호를 감지하여 메인 전원선으로 제 1 단계의 전원 인입을 수행하는 파워스위치;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폐(Close) 신호 상태에 대한 감지시, 2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제 2 단계의 전원 인입이 수행되도록 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전원 온(ON) 신호를 감지시 3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상기 메인 전원선을 통해 전기전자부품으로 사용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는, 상기 파워스위치 및 스타트 램프/스위치에 대해서는 한 번의 온(ON)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기전자부품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나 상기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온(ON)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가 유지되어야 상기 메인 전원선을 통해 상기 전기전자부품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의 몸체프레임 상면은, 램프/스위치부 형성부(Area 1), 제어용 부품 형성부(Area 2), 그리고 제 3 구역으론 전기전자부품 탑재부(Area 3)으로 구분되며, 상기 전기전자부품 탑재부(Area 3) 상에는 다수의 전기전자부품 고정대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워스위치는, 상기 램프/스위치부 형성부(Area 1)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메인 전원선을 통해 상기 전기전자부품 탑재부(Area 3) 상의 전기전자부품 고정대에 놓인 전기전자부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은, AC 전원 플러그를 통해 외부 전원 인입되는 제 1 단계; 파워스위치로 전원 온(ON) 신호 입력에 따라 1차 전기 안전 해제를 통해 메인 전원선으로 제 1 단계의 전원 인입이 수행되는 제 2 단계;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리미트 스위치 내지는 압력 센서를 통해 폐(Close) 신호 상태에 대한 감지시, 2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제 2 단계의 전원 인입이 수행되는 제 3 단계; 및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를 통해 전원 온(ON) 상태에 대한 감지시, 3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상기 메인 전원선을 통해 전기전자부품으로 사용 전원이 인가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은, 전기전자공학용 실습을 위해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시퀀스 실험·실습, PLC 실험·실습, 계장제어 실험·실습, 수배전반 실험·실습, 전기전자회로 실험·실습에 있어서 피교육자가 회로를 직접 배선하고 그에 다른 결과를 확인하는 방식에 있어서, 다중의 안전장치를 구성하여 교육자의 통제 하에 정확한 검사를 행하고 전원 인가를 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로 전기전자부품(200)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로 전기전자부품(2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로 전기전자부품(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2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로 전기전자부품(200)이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로 전기전자부품(2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로 전기전자부품(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2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는 몸체프레임(10), 슬릿(11), 연결슬릿(12),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20), 전기전자부품 고정대(30), 메인 전원선(40), 램프/스위치부(50), 제 1 연결선(60), 제 2 연결선(70), 리미트 스위치(80), 제어부(미도시), 전기전자부품(200), 그리고 제어용 부품(300)을 포함한다.
램프/스위치부(50)는 파워스위치(51), 스타트 램프/스위치(52), 스탑 램프/스위치(53),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54), 파워 램프(55) 및 런 램프(56)를 포함하며,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54)를 제외하고 모두 후술하는 램프/스위치부 형성부(Area 1) 상에 형성된다.
제어부(미도시)는 메인 전원선(40), 램프/스위치부(50) 그리고 리미트 스위치(80)와 연결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는 다단계의 스위치 입력 과정을 거쳐야 전기전자부품(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프로세싱(procsssing) 되어 있으며, 제어용 부품(300)에 의해 전기전자부품(2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전기전자부품(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프로세싱을 중심으로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제어부는 파워스위치(51)의 온(ON), 스타트 램프/스위치(52)의 온(ON),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54)의 온(ON)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는 파워스위치(51), 스타트 램프/스위치(52), 그리고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54)에 대한 신호가 모두 온(ON) 인 경우, 메인 전원선(40)을 통해 전기전자부품(2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는 파워스위치(51) 및 스타트 램프/스위치(52)에 대해서는 한번의 온(ON)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기전자부품(200)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나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54)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온(ON)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가 유지되어야 메인 전원선(40)을 통해 전기전자부품(2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프레임(10)의 일 측면에 일렬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리미트 스위치(80)로부터 개(Open)/폐(Close) 신호 중 폐 (Close)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20)에 대한 폐(Close) 신호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대한 판단에 따라 제어부는 폐(Close)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만 메인 전원선(40)을 통해 전기전자부품(2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리미트 스위치(80)는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20)로부터의 외압에 따라 온/오프 되는 일반적인 스위치로 형성되거나,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20)에 대한 압력을 측정하며 구동되는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의 구조적 측면을 살펴보면, 몸체프레임(10)의 상부면은 크게 3개의 구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 1 구역으론 램프/스위치부 형성부(Area 1), 제 2 구역으론 제어용 부품 형성부(Area 2), 그리고 제 3 구역으론 전기전자부품 탑재부(Area 3)로 구분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는 하나의 예시로 당업자 수준에서 배치를 상호 변경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프레임(10) 상면 중 전기전자부품 탑재부(Area 3) 상에는 슬릿(1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슬릿(11)을 따라 다수의 전기전자부품 고정대(3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간격 조절에 따라 전기전자부품(200)이 전기전자 부품 고정대(30)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램프/스위치부 형성부(Area 1)의 상부에 구성된 형성된 파워스위치(51)는 메인 전원선(40)을 통해 전기전자부품 탑재부(Area 3) 상의 전기전자부품 고정대(30)에 놓인 전기전자부품(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전기전자부품 탑재부(Area 3) 상의 전기전자부품 고정대(30)에 놓인 다수의 전기전자부품(200) 간에는 별도의 제 2 연결선(70)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제공받음으로써, 제 2 연결선(70)을 통해 각각의 전기전자부품(200)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기전자부품 탑재부(Area 3)의 몸체프레임(10)과 힌지를 통해 개(Open)/폐(Close)가 수행 가능한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20)의 내측으로 제어용 부품(300)이 형성된다.
제어용 부품(300)은 제 1 연결선(60)을 통해 전기전자부품 탑재부(Area 3) 상의 전기전자부품 고정대(30)에 놓인 전기전자부품(200)과 연결됨으로써, 제 1 연결선(60)을 통해 전기전자부품(200)에 대한 실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제 1 연결선(60)은 제어용 부품 형성부(Area 2)를 구성하는 몸체프레임(10) 일 측 하단에 형성된 연결슬릿(12)을 통과하여 전기전자부품(200)과 연결된다.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20)는 방열 위한 홀(21)이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20) 중 힌지와 체결된 반대단의 하단부의 격벽에는 리미트 스위치(80)가 형성된다.
여기서 리미트 스위치(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폐(Close) 신호 또는 개(Open)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중심으로,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는 파워스위치(51) 및 스타트 램프/스위치(52) 외에 다양한 실험·실습장치의 시스템을 구성시, 전원 인가시 및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구성 및 지점에 각각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54), 리미트 스위치(80), 그 밖의 각종 센서 등의 요소가 구성되도록 한다.
이후,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는 구성된 다중 요소가 정상적인 상태나 미리 설정된 프로세싱(Processing)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기전자부품(200) 상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예컨대, 회로 배선 패널의 개폐가 필요한 실험·실습장치에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패널에 해당하는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20)의 개(Open))/폐(Close)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80)를 내부에 장착하고 회로 배선이 완료되고 패널을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54)로 온(ON) 신호가 입력된 경우 구성된 회로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54)는 필요에 따라 다중 직렬로 형성됨으로써, 교육자와 피교육자가 동시에 스위치를 구동시키거나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구동하는 경우 전기전자부품(2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제어부(미도시) 상에 모듈화될 수 있다.
한편, 회로 배선 패널의 개/폐가 되지 않는 실험·실습장치의 경우 정해진 다중의 스위치(파워스위치(51)의 온(ON), 스타트 램프/스위치(52)의 온(ON) 및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54))를 구동시켜서 회로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으로 회로보호기와 휴즈가 장착되어 합선시 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C 전원 플러그(미도시)를 통한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100)로의 제 1 단계의 전원 인입이 수행된다(S11). 이 경우, 파워 램프(55)와 스탑 램프/스위치(53) 각각은 램프 온(ON: POWER LAMP ON, STOP LAMP ON) 상태가 유지된다.
단계(S11) 이후, 파워스위치(51)로 전원 온(ON) 신호 입력에 따라 1차 전기 안전 해제를 통해 메인 전원선(40)으로 전원 인입이 수행된다(S12). 이 경우, 스타트 램프/스위치(52)는 램프 온(ON: START LAMP ON) 상태가 유지되며, 스탑 램프/스위치(53)는 램프 오프(OFF: STOP LAMP OFF) 상태가 유지된다.
단계(S12) 이후,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2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리미트 스위치(80) 내지는 압력 센서를 통해 폐(Close) 신호 상태에 대한 감지시, 2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제 2 단계의 전원 인입이 수행된다(S13).
단계(S13) 이후,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54)를 통해 전원 온(ON) 상태에 대한 감지시, 3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메인 전원선(40)을 통해 전기전자부품(200)으로 사용 전원이 인가된다(S14). 이 경우 스타트 램프/스위치(52)와 런 램프(56) 각각은 램프 온(ON: START LAMP ON, RUN LAMP ON) 상태가 된다.
한편, 단계(S14) 이후, 메인 전원선(40)을 통해 전기전자부품(200)으로 사용 전원에 대한 차단 조건(런 램프(56) 오프(OFF) 상태)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로, 메인 전원 스위치인 파워스위치(51)에 의한 오프(OFF) 신호 감지시 전원이 차단된다. 둘째로,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20)가 열리면 리미트 스위치(80) 내지는 압력 센서를 통해 개(Close) 신호 상태로 진입하여 전원이 차단된다. 셋째로,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54)에 의한 오프(OFF) 신호 감지시 전원이 차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몸체프레임
11: 슬릿
12: 연결슬릿
20: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
30: 전기전자부품 고정대
40: 메인 전원선
50: 램프/스위치부
51: 파워스위치
52: 스타트 램프/스위치
53: 스탑 램프/스위치
54: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
55: 파워 램프
56: 런 램프
60: 제 1 연결선
70: 제 2 연결선
80: 리미트 스위치
100: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200: 전기전자부품
300: 제어용 부품

Claims (5)

  1. AC 전원 플러그를 통해 외부 전원 인입 이후, 전원 온(ON) 신호를 감지하여 메인 전원선으로 제 1 단계의 전원 인입을 수행하는 파워스위치;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폐(Close) 신호 상태에 대한 감지시, 2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제 2 단계의 전원 인입이 수행되도록 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전원 온(ON) 신호를 감지시 3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상기 메인 전원선을 통해 전기전자부품으로 사용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워스위치 및 스타트 램프/스위치에 대해서는 한 번의 온(ON)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전기전자부품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나 상기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에 대해서는 계속적으로 온(ON)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가 유지되어야 상기 메인 전원선을 통해 상기 전기전자부품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의 몸체프레임 상면은,
    램프/스위치부 형성부(Area 1), 제어용 부품 형성부(Area 2), 그리고 제 3 구역으론 전기전자부품 탑재부(Area 3)으로 구분되며,
    상기 전기전자부품 탑재부(Area 3) 상에는 다수의 전기전자부품 고정대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워스위치는,
    상기 램프/스위치부 형성부(Area 1)의 상부에 구성되며, 상기 메인 전원선을 통해 상기 전기전자부품 탑재부(Area 3) 상의 전기전자부품 고정대에 놓인 전기전자부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5. AC 전원 플러그를 통해 외부 전원 인입되는 제 1 단계;
    파워스위치로 전원 온(ON) 신호 입력에 따라 1차 전기 안전 해제를 통해 메인 전원선으로 제 1 단계의 전원 인입이 수행되는 제 2 단계;
    제어용 부품 장착 커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리미트 스위치 내지는 압력 센서를 통해 폐(Close) 신호 상태에 대한 감지시, 2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제 2 단계의 전원 인입이 수행되는 제 3 단계; 및
    전원공급용 누름 스위치를 통해 전원 온(ON) 상태에 대한 감지시, 3차 전기 안전 해제에 따른 상기 메인 전원선을 통해 전기전자부품으로 사용 전원이 인가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
KR1020130095565A 2013-08-12 2013-08-12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 KR10144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565A KR101441644B1 (ko) 2013-08-12 2013-08-12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565A KR101441644B1 (ko) 2013-08-12 2013-08-12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644B1 true KR101441644B1 (ko) 2014-09-24

Family

ID=5176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565A KR101441644B1 (ko) 2013-08-12 2013-08-12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6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4823A (zh) * 2016-03-21 2016-06-08 国网电网公司 抽拉柜体式电力营销实训装置
CN107369346A (zh) * 2017-07-20 2017-11-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电力系统五防操作专用培训装置
KR20180077640A (ko) 2016-12-29 2018-07-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변전설비 전력제어 실습장치
KR101887646B1 (ko) 2017-04-20 2018-08-10 주식회사 대성기전 원격제어기기를 이용한 수변전설비 원격 전력제어 실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807A (ko) * 1998-10-29 2000-05-15 박용진 브레드보드를 이용한 전기/전자 로직실험장치
KR20030031393A (ko) * 2001-10-13 2003-04-21 주식회사 케이티이엔지 스톱밸브, 전자밸브, 사방밸브 제어식 히트펌프 냉, 난방실험실습 시스템
KR100603861B1 (ko) 2005-01-19 2006-07-24 송기홍 다기능 계측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전자실험실습 시스템
KR20120041330A (ko) * 2010-10-21 2012-05-02 호신환 자동차 엔진의 전자 제어 시스템 교육용 시뮬레이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7807A (ko) * 1998-10-29 2000-05-15 박용진 브레드보드를 이용한 전기/전자 로직실험장치
KR20030031393A (ko) * 2001-10-13 2003-04-21 주식회사 케이티이엔지 스톱밸브, 전자밸브, 사방밸브 제어식 히트펌프 냉, 난방실험실습 시스템
KR100603861B1 (ko) 2005-01-19 2006-07-24 송기홍 다기능 계측장치를 포함하는 전기전자실험실습 시스템
KR20120041330A (ko) * 2010-10-21 2012-05-02 호신환 자동차 엔진의 전자 제어 시스템 교육용 시뮬레이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4823A (zh) * 2016-03-21 2016-06-08 国网电网公司 抽拉柜体式电力营销实训装置
KR20180077640A (ko) 2016-12-29 2018-07-0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변전설비 전력제어 실습장치
KR101887646B1 (ko) 2017-04-20 2018-08-10 주식회사 대성기전 원격제어기기를 이용한 수변전설비 원격 전력제어 실습장치
CN107369346A (zh) * 2017-07-20 2017-11-21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电力系统五防操作专用培训装置
CN107369346B (zh) * 2017-07-20 2021-09-07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电力系统五防操作专用培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644B1 (ko) 전기실습용 패널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전기 안전 실습 방법
US8441766B2 (en) Apparatus for fault tolerant digital outputs
US20170350942A1 (en) Manual and automated non-destructive testing for short-circuit and ground fault conditions in branch motor circuits
EP2187275A1 (en) Apparatus for fault tolerant digital inputs
CN107024628B (zh) 测试装置及其交流电源侦测方法
JP2009232489A (ja) 配電盤の交流電圧回路試験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08760090B (zh) 模拟环境温度测试装置
US20220018903A1 (en) Disconnect Verification
US10613146B2 (en) Test apparatus and methods for arc mitigation device
US9459307B2 (en) ICT fixture auto open and eject system
KR101841728B1 (ko) 화재감지 선로 이상 검출장치
KR101332842B1 (ko) 차량의 쇼트 판단장치
WO2019229534A3 (en) Secure system that includes driving related systems
JP6611668B2 (ja) 計器用変流器二次側配線接続状態の確認装置
KR101552174B1 (ko) 신호 검출 방식의 다중 전원 절연 감시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다중 전원 절연 검사 방법
JP2010276344A (ja) 電気的試験システム及び電気的試験方法
KR200476098Y1 (ko) 전자기기 정특성 입력신호 공급 공구
US20120319707A1 (en) Self-monitoring power supply cord and operating equipment
GB2479222A (en) Diagnostic Device for Testing a Television Set
US10436854B2 (en) Power supply arrangement
CN203882499U (zh) 一种电工培训装置
CN211718408U (zh) 一种测试装置
CN207268766U (zh) 用于无边框光伏组件绝缘耐压设备的检测装置
JP7103130B2 (ja) 定電流調整装置の更新方法
KR100317456B1 (ko) 전자제어식오븐의자체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