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499B1 -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499B1
KR101441499B1 KR1020080018819A KR20080018819A KR101441499B1 KR 101441499 B1 KR101441499 B1 KR 101441499B1 KR 1020080018819 A KR1020080018819 A KR 1020080018819A KR 20080018819 A KR20080018819 A KR 20080018819A KR 101441499 B1 KR101441499 B1 KR 101441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pmipv6
message
optimization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347A (ko
Inventor
김진형
김선기
권대형
홍충선
김진호
이혜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49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4Interdomain routing, e.g. hierarchical ro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 버전 6(PMIPv6) 도메인과 모바일 아이피 버전 6(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제1 도메인의 노드와, 제2 도메인의 노드 간 통신에 따른 이종의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제1 도메인의 앵커(Anchor)가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를 제2 도메인의 라우터(Router)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도메인의 라우터가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에 대응하는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앵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도메인의 라우터가 상기 제1 도메인의 노드가 접속하는 게이트웨이(Gateway)로 경로 최적화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도메인의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도메인의 상기 라우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18819
PMIPv6, MIPv6, LMA, MAG, MN, 경로 최적화, 홉 간 옵션

Description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METHOD FOR ROUTE OPTIMIZATION BETWEEN PROXY MOBILE IPv6 DOMAIN AND MOBILE IPv6 DOMAIN}
본 발명은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 버전 6(PMIPv6) 도메인과 모바일 아이피 버전 6(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internet)에서는 호스트(Host)에게 네트워크 식별자와 호스트 식별자로 구성되는 하나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할당된다. 상기 네트워크 식별자는 호스트가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를 유일하게 나타내기 위한 정보이며, 상기 호스트 식별자는 해당 네트워크에서 호스트를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 호스트는 IP 주소와 전송 계층의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소켓 주소(socket address)를 생성하고, 이러한 소켓 주소를 이용하여 다른 호스트들과 연결을 설정한다. 상기 호스트가 다른 호스트와 연결을 설정하면, 연결이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는 동일한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주소가 고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만일, 상기 호스트가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식별자가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호스트에 이전에 할당된 IP 주소는 변경되어야 한다. 상기 IP 주소의 변경은 소켓 주소의 변경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연결은 해지되며 다시 연결을 시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호스트가 네트워크를 변경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연결 해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노드(MN, Mobile Node)가 자신이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연결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아이피 버전 6(MIPv6, 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 MIPv6 기술에서 노드는 자신이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MIPv6 기술에서 정의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MIPv6 기술은 노드-기반 이동성 지원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상기 MIPv6 기술이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기는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든 노드들이 상기 MIPv6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MIPv6 기능을 구현하고 있지 않은 노드는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을 할 때마다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연결을 종료하고 새로 개설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MIPv6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은 노드가 이동을 하더라도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연결이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액세스 네트워 크(Access Network)에서 노드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 및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을 네트워크-기반 이동성성 관리 기법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MIP, Mobile Internet Protocol)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MIPv6 도메인에 접속해 있는 노드와 MIPv6 도메인에 접속해 있는 노드 간에 발생하는 경로의 복잡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로 최적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를 위한 메시지 시그널링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홉 간 옵션 헤더를 이용한 경로 최적화 메시지를 통해 PMIPv6 도메인에 존재하는 노드와 MIPv6 도메인에 존재하는 노드 간의 통신 시 최적화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경로 최적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1 도메인의 노드와, 제2 도메인의 노드 간 통신에 따른 이종의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제1 도메인의 앵커(Anchor)가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를 제2 도메인의 라우터(Router)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도메인의 라우터가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에 대응하는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앵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도메인의 라우터가 상기 제1 도메인의 노드가 접속하는 게이트웨이(Gateway)로 경로 최적화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도메인의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도메인의 상기 라우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 버전 6(PMIPv6) 도메인과 모바일 아이피 버전 6(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MIPv6 도메인의 앵커(Anchor)가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를 상기 MIPv6 도메인의 노드1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MIPv6 도메인의 라우터가 상기 노드1로 전달되는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를 인터럽트(interrupt)하여, 상기 PMIPv6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PMIPv6 도메인의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MIPv6 도메인의 상기 라우터 사이에 양방향 터널(Bi-directional Tunnel)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 버전 6(PMIPv6) 도메인과 모바일 아이피 버전 6(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MIPv6 도메인에 있는 노드1이 새로운 게이트웨이로 이동 시,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PMIPv6 도메인의 앵커(Anchor)와 터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앵커가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을 포함하는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종의 상기 MIPv6 도메인의 노드2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노드2가 접속하는 상기 MIPv6 도메인의 라우터(Router)에서 상기 노드2의 터널 포인터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라우터가 상기 앵커에 게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에 응답한 후, 상기 게이트웨이에게 경로 최적화 설정 메시지 및 그에 대응하는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라우터와 상기 게이트웨이 간에 양방향 터널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에 따르면,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과 같이 서로 다른 도메인에 존재하는 노드들 간의 통신 경로의 복잡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을 이용한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를 통해 PMIPv6 도메인에 있는 노드와 MIPv6 도메인에 있는 노드 간의 통신 시 단축된 최적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모바일 노드(MN, Mobile Node)의 이동성(mobility)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MN이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 버전 6(PMIPv6, Proxy 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도메인(domain)에서 모바일 아이피 버전 6(MIPv6, non-Proxy Mobile Internet Protocol version 6) 도메인으로 이동할 경우, 로컬 모빌리티 앵커(LMA, Local Mobility Anchor)와 모바일 액세스 게이트웨이(MAG, Mobile Access Gateway) 사이에 터널링으로 발생하는 경로의 복잡성을 해결할 수 있는 경로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네트워크-기반 이동성 관리를 위하여 고려되는 네트워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LMA(130)는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내부에서 MN(100)을 위한 일종의 HA(Home Agent)로서 동작한다. 또한 MAG(110, 120)는 상기 MN(100)을 대신하여 MN(100)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장치이다. 그러면 이하, 네트워크-기반 이동성 지원 기법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MN(100)이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는 하나의 MAG(즉, MAG1)(110)에 접속하면, 상기 MAG1(110)은 상기 MN(100)에게 네트워크 프리픽스(network prefix)를 광고하고, 상기 MN(100)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 주소(address)를 할당 받는다. 상기 MAG1(110)은 상기 MN(100)에게 할당 한 IP 주소와 MAG1(110) 자신의 IP 주소 정보를 상기 LMA(130)에 등록한다.
그러면 상기 LMA(13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N(100)의 IP 주소와 상기 MAG1(110)의 주소에 대한 바인딩 정보(binding information)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MAG1(110)은 상기 MN(100)의 IP 주소와 LMA 주소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저장한다. 즉, LMA(130)와 MAG1(110) 사이에는 MN(100)을 위한 터널이 설정되어, 상기 MN(100)과 임의의 상대 노드(예컨대, CN(Correspondent Node)(140)) 사이에 교환되는 트래픽(traffic)은 상기 터널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만일, 상기 MN(100)이 새로운 네트워크로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MN(100)의 매체 접속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주소와 같은 제2 계층(layer)의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MAG(120)(즉, MAG2)는 상기 MN(100)이 접속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상기 MAG2(120)는 상기 MAG1(110)이 제공한 것과 동일한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상기 MN(100)에게 광고한다. 상기 광고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MN(100)은 비록 자신이 이동을 하였지만, 동일한 네트워크 프리픽스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 있다고 간주한다. 즉, 상기 MN(100)은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의 이동이기 때문에 어떠한 부가적인 동작을 할 필요가 없다.
상기 MAG2(120)는 상기 MN(100)의 IP 주소와 자신의 IP 주소를 상기 LMA(130)에게 등록하고, 상기 LMA(130)와 상기 MN(100)의 IP 주소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LMA(130)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바인딩 캐쉬(binding cache)에 있는 MN(100) 관련 엔트리(entry)를 MAG1(110)에서 MAG2(120) 로 수정한다.
즉, 상기 MN(100)을 위한 터널이 LMA(130)-MAG1(110)에서 LMA(130)-MAG2(120)로 변경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상기 MN(100)의 이동과 관련된 부가적인 기능이 MN(100)에 구현되어 있지 않더라도 네트워크에서 MN(100)의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MIPv6와 같은 노드-기반 이동성 프로토콜(Node Controlled Mobility Protocol)이 아닌 네트워크-기반 이동성 프로토콜(Network Controlled Mobility Protocol)에 의한 PMIPv6은, MIPv6 서비스에서 MN에 부여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MN이 어떠한 IP 이동성 프로토콜 시그널링에도 관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PMIPv6은 MN이 이동성 관리의 주요 역할을 수행하던 기존 MIPv6와는 달리 네트워크 측면에서 MN의 IP 이동성 관리를 처리한다는 것이다.
결국, 기존 MIPv6의 경우 복잡한 표준 사양이 탑재된 노드만이 이동하면서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지만, PMIPv6에서는 IPv6 기능을 가진 어떤 노드라도 이동하면서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도 2는 PMIPv6 도메인1에 있는 MN1과 PMIPv6 도메인2에 있는 MN2 간에 통신 시 라우팅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PMIPv6 도메인1(240)에 있는 MN1(210)은 기존에 접속되어 있던 모바일 액세스 게이트웨이(pMAG1, previous MAG1)(220)에서 새로운 모바일 액세스 게이트웨이(nMAG1, new MAG1)(230)로 이동하면, LMA1(250)과 상기 nMAG1(230) 간에 터널을 설정한다.
즉, 상기 MN(210)이 상기 nMAG1(230)에 접속하면, 상기 nMAG1(230)은 상기 MN(210)의 IP 주소와 자신의 IP 주소를 상기 LMA1(250)에게 등록하고, 상기 LMA1(250)과 상기 MN(210)의 IP 주소에 대한 바인딩 정보를 저장한다. 그러면 상기 LMA1(250)는 상기 바인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N(210)에 관련된 엔트리를 상기 pMAG1(220)에서 nMAG2(230)로 수정한다. 즉, 상기 MN(210)을 위한 터널이 LMA1(250)-pMAG1(220)에서 LMA1(250)-nMAG1(230)로 변경된다.
또한, 상기 PMIPv6 도메인2(280)에 있는 MN2(260) 역시 이동을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터널링 설정 동작에 의하여 LMA2(290)와 MAG2(270) 간에 터널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특정 노드가 자신이 속한 동일한 도메인 내에서 다른 네트워크 영역으로 이동하고, 다른 도메인에 속한 노드와 통신 경로, 즉 상기 도 2에서 통신 중인 상기 MN1(210)과 MN2(260) 사이의 통신 경로는 참조부호 200에 나타낸 바와 같이 MN1(210)-nMAG1(230)-LMA1(250)-LMA2(290)-MAG2(270)-MN2(260)가 된다.
이와 같이, PMIPv6 도메인에서 다른 PMIPv6 도메인에 각각 존재하는 MN들 간 통신 시에는 그 통신 경로가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PMIPv6 도메인에서 상기 MN1(210)의 이동에 따른 상기 nMAG1(230)과 상기 LMA1(250) 간의 터널링에 의한 통신 경로의 복잡성과 같은 라우팅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PMIPv6 환경에서 발생하는 통신 경로의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한 경로 최적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하, PMIPv6 도메인 간 통신 경로의 복잡성을 줄이기 위한 경로 최적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도시한 PMIPv6 환경에서 경로 최적화에 대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도 3과 같은 환경에서 경로 최적화 설정이 완료된 후 MN1과 MN2 간의 통신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3 및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대응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거나, 그 설명을 간략히 하기로 한다.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MPIPv6 도메인1(340)에 존재하는 MN1(310)이 pMAG1(320)에서 nMAG1(330)로 이동하면, 상기 nMAG1(330)은 LMA1(350)에게 상기 MN1(310)의 위치 정보를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PBU, Proxy Binding Update) 메시지를 통해 전달한다(401단계).
그러면 상기 LMA1(350)은 상기 프록시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프록시 바인딩 응답(PBAck, Proxy Binding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상기 nMAG1(330)로 전송한다(403단계). 이러한 절차에 의하여 상기 LMA1(350)과 nMAG1(330) 사이에 양방향 터널이 설정된다.
한편, 상기 MN1(310) 또는 상기 MN1(310)과 통신하는 MN2(360) 중 어느 하나로부터 패킷(packet) 전송이 발생하면, 상기 LMA1(350)은 상기 MN1(310)이 PMIPv6 도메인2(380)에 존재하는 상기 MN2(360)와 라우팅 경로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인지하고 다음과 같은 경로 최적화를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LAM1(350)은 PMIPv6 도메인2(380)의 LMA2(390)에게 상기 MN2(360) 의 MAG2(370)에 대한 주소 정보(address information)를 요청하는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Route Optimization Initialization) 메시지를 전송한다(405단계). 그러면 상기 LMA2(390)는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에 응답하여,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RO Init Ack, Rout Optimization Initialization 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상기 LMA1(350)로 전송한다(407단계).
이때,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는 상기 nMAG1(330)의 주소 정보를,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RO Init Ack) 메시지는 상기 MAG2(370)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LMA1(350)은 상기 LMA2(390)로부터 상기 경로 최적화 응답(RO Init Ack)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MN1(310)의 nMAG1(330)에게 상기 MN2(360)의 MAG2(370)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를 전송한다(409단계). 그러면 상기 nMAG1(330)는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에 응답하여,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RO Init Ack) 메시지를 상기 LMA1(350)로 전송한다(411단계).
다음으로, 전술한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MN2(360)의 MAG2(370) 주소 정보를 획득한 상기 nMAG1(330)은 경로 최적화 설정(RO Setup) 메시지를 상기 MAG2(370)에게 전송하여 터널 설정을 요청한다(413단계). 그리고 상기 nMAG1(330)은 상기 MN1(310)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패킷에 대한 터널 포인트(tunnel point)를 상기 MAG2(370)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RO Setup)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MAG2(370)는 상기 MN2(360)로부터 발생되는 모든 패킷에 대한 터널 포인트를 상기 nMAG1(330)로 설정하고,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 메시지에 응답하여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RO Setup Ack) 메시지를 상기 nMAG1(330)로 전송한다(415단계). 이러한 절차를 통해 상기 nMAG1(330)과 상기 MAG2(370) 간 양방향 터널이 설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nMAG1(330)은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RO Setup Ack)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LMA1(350)에게 경로 최적화 보고(RO Repor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경로 최적화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한다(417단계). 그러면 상기 LAM1(350)은 상기 경로 최적화 보고(RO Report) 메시지에 응답하여 경로 최적화 보고 응답(RO Report Ack) 메시지를 상기 nMAG1(330)에게 전송한다(419단계).
다음으로, 상기 LMA1(350)은 상기 PMIPv6 도메인2(380)의 LMA2(390)에게 경로 최적화 보고(RO Report) 메시지를 전송하여 경로 최적화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한다(421단계). 그러면 상기 LMA2(390)는 상기 경로 최적화 보고(RO Report) 메시지에 응답하여, 경로 최적화 보고 응답(RO Report Ack) 메시지를 상기 LMA1(350)에게 전송한다(423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 3 및 도 4의 시그널링에 의해 서로 다른 P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설정이 완료되면, 이후 서로 다른 PMIPv6 도메인에 각각 존재하는 상기 MN1(310)과 상기 MN2(360) 간의 통신 경로는 상기 도 3의 참조부호 300에 나타낸 바와 같이 MN1(310)-nMAG1(330)-MAG2(370)-MN2(360)가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도 3 및 도 4에서는 초기 패킷이 MN1(310)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초기 패킷이 MN2(360)에 서 발생하는 경우 전술한 도 3 및 도 4의 절차에 대응하여 메시지 시그널링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IPv6의 확장 헤더 중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은 발신 노드의 패킷(packet)이 거치는 모든 라우터(router)에게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라우터들은 운용, 디버깅, 제어 기능들에 관해 알아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된다. 이하, 상기 홉 간 옵션 헤더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홉 간 옵션 헤더의 형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넥스트 헤더(Next Header) 필드는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 헤더의 다음에 올 헤더를 설정하는 필드를 나타낸다. 헤더 길이(Header Length) 필드는 Next Header 필드를 포함한 헤더의 바이트(byte) 단위 길이를 표현하는 필드를 나타낸다. 옵션 유형(Option Type) 필드는 1바이트로 표현되며, 첫 번째와 두 번째 비트는 하기 <표 1>과 같은 의미를 포함한다.
Figure 112008015057875-pat00001
또한, 상기 Option type 필드의 세 번째 비트가 1로 설정되는 경우 데이터그램이 경로 상에 있을 때 옵션의 데이터가 변경되는 것을 허용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세 번째 비트가 0으로 설정되는 경우 옵션 데이터(Option Data)는 변경되지 않는다.
다시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옵션 길이(Opt Length) 필드는 옵션 데이터(Option Data)의 길이를 표현하는 필드를 나타낸다. 옵션 데이터(Option Data) 필드는 중간 라우터에게 전달할 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전술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PMIPv6 도메인 간 통신 경로의 복잡성과 같은 라우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로 최적화 방법을 통해, 상기 PMIPv6 도메인1(340)에 존재하는 상기 MN1(310)과 상기 PMIPv6 도메인2(380)에 존재하는 상기 MN2(360) 간에 최적화된 경로로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각 PMIPv6 도메인(340, 380)은 그 도메인을 관리하는 상기 LMA1(350)과 LMA2(390)가 상기 nMAG1(330)과 상기 MAG2(370) 사이에서 중재 역할을 하면서 경로 최적화 과정이 수행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 MN2(360)가 속하는 네트워크가 PMIPv6이 아닌 기존 MIPv6 도메인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경로 최적화 방법을 적용할 수 없으며, PMIPv6 도메인 및 MIPv6 도메인 간 통신 경로에 복잡성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예시를 하기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사이에 발생하는 라우팅 통신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PMIPv6 도메인(640) 내에 존재하는 MN(610)이 기존에 접속되어 있던 pMAG(620)에서 nMAG(630)로 이동하면, 상기 LMA1(650)과 상기 nMAG(630) 간에 터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MIPv6 도메인의 상기 LMA(650)는 MIPv6 도메인의 상대 라우터(CR, Correspondent Router)(670)의 주소 정보를 인지할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도 3 내지 도 5에 의한 경로 최적화를 수행할 수 없으며, 상기 MN(610)과 CN(660) 간의 통신 경로는 참조부호 600에 나타낸 바와 같이, MN(610)-nMAG(630)-LMA(650)-CR(670)-CN(660)이 된다.
이와 같이, PMIPv6 도메인에 존재하는 노드와 MIPv6 도메인에 존재하는 노드 간 통신 시에는 그 라우팅 통신 경로가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의 통신 시 그 경로의 최적화를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PMIPv6 도메인에 접속해 있는 MN과 MIPv6 도메인에 접속해 있는 MN 간의 통신 경로 복잡성을 해결하기 위한 경로 최적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MIPv6에 대한 개념과 그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이종의 MIP(Mobile IP)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MIPv6의 경로 최적화 방법은, 먼저 PMIPv6 도메인에 있는 MN이 기존에 접속하는 MAG(pMAG)에서 새로운 MAG(nMAG)로 이동하여 LMA와 터널을 설정한다.
이후 상기 LMA가 경로 최적화를 위해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이 추가된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종의 MIP 도메인(MIPv6 도메인)의 CN에게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MIPv6 도메인의 MN이 접속해 있는 CR에서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를 인터럽트(interrupt)하여 상기 MN(MIPv6 도메인의 MN)의 터널 포인트를 상기 nMAG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CR은 상기 LMA에게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RO Init Ack) 메시지로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에 응답한다. 이어서, 상기 CR이 상기 nMAG에게 경로 최적화 설정(RO Setup)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nMAG으로부터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RO Setup Ack)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러한 절차에 의거하여 상기 CR와 상기 nMAG 간에 최적화된 경로의 양방향 터널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PMIPv6 도메인에 접속해 있는 MN과 MIPv6 도메인에 접속해 있는 CN 간의 경로 최적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최적화에 대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상기 도 7과 같은 환경에서 경로 최적화 설정에 따른 시그널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7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N이 PMIPv6 도메인에 존재하고, 상기 MN과 통신하는 MN인 CN이 MIPv6 도메인에 존재할 때, 상기 MN과 CN 간 경로 최적화를 위한 메시지 교환 시나리오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7 및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도 3 및 도 4에 대응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PMIPv6 도메인(740)에 존재하는 MN(710)이 기존에 접속해 있던 pMAG(720)에서 상기 PMIPv6 도메인(740) 내의 nMAG(730)로 이동하면, 상기 nMAG(730)은 전술한 절차에 의거하여 LMA(750)와 양방향 터널(Bi-directional Tunnel)을 설정한다. 이에 의거하여 상기 MN(710)으로 향하는 모든 메시지는 상기 nMAG(730)으로 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터널이 설정된 이후 만약 MIPv6 도메인(780)에 존재하는 CN(760)에서 상기 MN(710) 또는 상기 MN(710)에서 상기 CN(760)으로 향하는 최초의 패킷(packet)이 전달되면(801단계), 상기 LMA(750)는 이를 감지하여 경로 최적화 과정을 시작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CN(760)에서 상기 MN(710)으로 향하는 최초의 패킷이 전달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즉, 상기 LMA(750)는 상기 CN(760)에서 상기 MN(710)으로 향하는 최초의 패킷을 감지하면,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S1)를 상기 CN(760)을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전송한다(803단계). 이때,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S1)는 IPv6 확장 헤더인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 헤더를 포함한다. 즉, 상기 LMA(750)는 경로 최적화를 위해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을 포함하는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S1)를 생성하여 상기 CN(760)을 목적지 주소로 전송한다.
상기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에는 경로 최적화를 위한 정보인 상기 nMAG(730)의 주소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MIPv6 도메인(780)의 CR(770)은 상기 CN(760)으로 전달되는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를 인터럽트(interrupt)하여, 상기 PMIPv6 도메인(740)의 상기 LMA(750)로부터 상기 CN(760)으로 전달되는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CR(770)은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를 획득하면,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 내에 포함된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 헤더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상기 CR(770)은 상기 CN(770)에서 상기 MN(710)으로 향하는 모든 패킷들을 상기 PMIPv6 도메인(740)의 상기 nMAG(730)로 향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에 응답하여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RO Init Ack) 메시지(S2)를 상기 LMA(750)에게 전송한다(805단계).
다음으로, 상기 CR(770)은 상기 PMIPv6 도메인(740)의 nMAG(730)에게 경로 최적화 설정(RO Setup) 메시지(S3) 전송을 통해 경로 최적화를 요청한다(807단계). 그러면 상기 nMAG(730)는 상기 MN(710)으로부터 상기 MIPv6 도메인(780)의 CN(760)으로 향하는 모든 패킷들을 상기 CR(770)로 향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RO Setup) 메시지에 응답하여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RO Setup Ack) 메시지(S4)를 상기 CR(770)에게 전송함으로써 상기 경로 최적화 요청에 대하여 응답한다(809단계).
이러한 절차에 의거하여, 상기 PMIPv6 도메인(740)의 상기 nMAG(730)와 상기 MIPv6 도메인(780)의 상기 CR(770) 사이에 양방향 터널(Bi-directional Tunnel)이 설정되어(811단계), 상기 MN(710)과 상기 CN(760) 간 통신 경로의 경로 최적화 과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이후의 상기 MN(710)과 상기 CN(760) 간 패킷은 상기 설정되는 최적화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813단계).
상기 PMIPv6 도메인(740)의 상기 MN(710)과 상기 MIPv6 도메인(780)의 상기 CN(760) 간의 통신 경로는 상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MN(710)-nMAG(730)-CR(770)-CN(760)이 된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도 7 및 도 8에서는 초기 패킷이 CN(760)에서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초기 패킷이 MN(710)에서 발생하는 경우 전술한 도 7 및 도 8의 절차에 대응하여 메시지 시그널링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IPv6 확장 헤더인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최적화를 위해 PMIPv6 도메인의 LMA가 MIPv6 도메인의 CR에게 전송하는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에 포함되는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의 포맷을 나타낸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IPv6 확장 헤더 중 상기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은 발신 노드의 패킷이 거치는 모든 라우터에게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된다. 상기 IPv6 확장 헤더는 넥스트 헤더(Next Header) 필드, 헤더 길이(Header Length) 필드, 옵션 유형(Option Type) 필드, 옵션 길이(Opt Length) 필드 및 옵션 데이터(Option Data) 필드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옵션 유형(Option Type) 필드는 참조부호 90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옵션 유형(Option Type) 필드에서 첫 번째 비트와 두 번째 비트를 각각 0으로 설정하여, LMA에서 CR로 라우팅 되는 중간 라우터들이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 헤더를 처리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첫 번째 비트와 두 번째 비트의 의미는 전술한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 유형(Option Type) 필드에서 세 번째 비트를 0으로 설정하여 상기 CR로 전달되기 전에 중간 라우터에서 옵션 데이터(Option Data)가 변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옵션 유형(Option Type) 필드에서 네 번째 비트에 경로 최적화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새로운 플래그를 정의한다. 상기 새로운 플래그는 R(Route optimization) 플로그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R 플래그가 1로 설정되면 이하 옵션 데이터(Option Data)는 경로 최적화를 위한 데이터라는 것을 지시한다.
따라서 상기 옵션 데이터(Option Data) 필드는 중간 라우터에게 전달할 정보와 함께, PMIPv6 도메인의 nMAG에 대한 주소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옵션 데이터(Option Data)를 전달받은 CR은 상기 nMAG의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nMAG의 주소 정보에 의해 상기 nMAG에게 경로 최적화 과정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은 옵션 유형(Option Type) 필드에서 첫 번째 비트, 두 번째 비트 및 세 번째 비트를 0으로 설정하고, 새롭게 정의한 네 번째 비트인 R 비트를 1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네 번째 비트를 1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의 옵션 데이터(Option Data) 필드에 경로 최적화를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MIP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PMIPv6 도메인에 있는 MN과 MIPv6 도메인에 있는 CN 간 경로 최적화 과정은, 먼저 상기 PMIPv6 도메인의 LMA가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을 포함하는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를 상기 MIPv6 도메인의 CR에게 전송한다(1001단계). 이때, 상기 LMA는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를 통해 경로 최적화를 위한 상기 PMIPv6 도메인의 nMAG 주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MA는 상기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의 옵션 유형(Option Type) 필드에서 첫 번째 비트, 두 번째 비트 및 세 번째 비트를 0으로 설정하고,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네 번째 비트인 R 비트를 1로 설정하여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션 유형(Option Type)의 네 번째 비트를 비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의 옵션 데이터(Option Data) 필드에 경로 최적화를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 데이터(Option Data) 필드에 포함되는 경로 최적화를 위한 정보는 상기 MN이 현재 접속하고 있는 상기 PMIPv6 도메인의 nMAG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상기 MIPv6 도메인의 CR에게 경로 최적화에 대한 터널 포인터 지점을 통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R은 상기 LMA로부터의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에 대응하여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RO Init Ack) 메시지를 상기 LMA로 전송한다(1003단계). 즉, 상기 LMA는 상기 CR로부터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에 대응하는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RO Init Ack)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CR은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RO Init) 메시지에 의해 상기 MN이 접속하고 있는 상기 PMIPv6 도메인의 nMAG에 대한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CR은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RO Init Ack) 메시지 전송 후, 상기 PMIPv6 도메인에 존재하는 상기 MN으로 향하는 패킷에 대한 바인eld 캐쉬 엔트리(binding cache entry)를 생성한다(1005단계).
이어서, 상기 CR은 상기 MN이 접속되어 있는 PMIPv6 도메인의 nMAG로 경로 최적화 요청을 위해 경로 최적화 설정(RO Setup) 메시지를 전송한다(1007단계). 이때, 상기 CR은 상기에서 획득하는 nMAG에 대한 주소 정보에 의해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RO Setup) 메시지를 해당 nMAG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nMAG은 상기 CR로부터의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RO Setup) 메시지에 대응하여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 메시지(RO Setup Ack) 메시지를 상기 CR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경로 최적화 요청에 대하여 응답한다(1009단계). 즉, 상기 CR은 상기 nMAG로부터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RO Setup) 메시지에 대응하는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RO Init Ack) 메시지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경로 최적화 설정 절차에 의하여 상기 PMIPv6 도메인의 nMAG과 상기 PMIPv6 도메인의 CR 간 최적화된 경로의 양방향 터널을 설정한다(1011단계).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네트워크-기반 이동성 관리를 위하여 고려되는 네트워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PMIPv6 도메인1에 있는 MN1과 PMIPv6 도메인2에 있는 MN2 간에 통신 시 라우팅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도 2의 PMIPv6 환경에서 경로 최적화에 대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도 3의 환경에서 경로 최적화 설정이 완료된 후 MN1과 MN2간의 통신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홉 간 옵션 헤더의 형식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사이에 발생하는 라우팅 통신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최적화에 대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상기 도 7과 같은 환경에서 경로 최적화 설정에 따른 시그널링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종의 MIP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을 도시한 도면.

Claims (25)

  1. 제1 도메인의 노드와, 제2 도메인의 노드 간 통신에 따른 이종의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제1 도메인의 앵커(Anchor)가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를 제2 도메인의 라우터(Router)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도메인의 라우터가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에 대응하는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앵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2 도메인의 라우터가 상기 제1 도메인의 노드가 접속하는 게이트웨이(Gateway)로 경로 최적화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도메인의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도메인의 상기 라우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는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 헤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홉 간 옵션 헤더는 경로 최적화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최적화를 위한 정보는 상기 제2 도메인의 라우터에게 경로 최적화에 대한 터널 포인터를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최적화를 위한 정보는 제1 도메인의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주소 정보는 상기 홉 간 옵션 헤더의 옵션 데이터 필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홉 간 옵션 헤더는 옵션 유형(Option Type) 필드에, 전달되는 옵션 데이터에 경로 최적화를 위한 정보가 포함됨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메인의 상기 앵커는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에 경로 최적화를 위한 상기 게이트웨이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메인 및 제2 도메인은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 버전 6(PMIPv6) 도메인 및 모바일 아이피 버전 6(MIPv6) 도메인의 이종의 도메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제2 도메인의 라우터가 상기 제1 도메인의 앵커에 접속된 노드(Node)를 목적지로 하는 패킷에 대한 바인딩 캐쉬 엔트리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 메시지 및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 메시지 송수신 후, 상기 제1 도메인의 게이트웨이와 상기 제2 도메인의 라우터 간 양방향 터널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들 간 경로 최적화 방법.
  12.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 버전 6(PMIPv6) 도메인과 모바일 아이피 버전 6(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MIPv6 도메인의 앵커(Anchor)가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를 상기 MIPv6 도메인의 노드1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MIPv6 도메인의 라우터가 상기 노드1로 전달되는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를 인터럽트(interrupt)하여, 상기 PMIPv6 도메인의 게이트웨이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PMIPv6 도메인의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MIPv6 도메인의 상기 라우터 사이에 양방향 터널(Bi-directional Tunnel)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는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 헤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홉 간 옵션 헤더는 경로 최적화를 위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PMIPv6 도메인의 노드2가 접속하는 상기 PMIPv6 도메인의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주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홉 간 옵션 헤더의 옵션 데이터 필드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홉 간 옵션 헤더는 옵션 유형(Option Type) 필드에, 전달되는 옵션 데이터에 경로 최적화를 위한 주소 정보가 포함됨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PMIPv6 도메인의 상기 앵커는 상기 경로 최적화 메시지에 상기 게이트웨이의 주소 정보를 홉 간 옵션 헤더에 설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는 상기 노드1이 상기 PMIPv6 도메인의 노드2로 전달하는 패킷을 상기 PMIPv6 도메인의 상기 게이트웨이로 설정하고,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PMIPv6 도메인의 노드2가 상기 노드1로 전달하는 패킷을 상기 MIPv6 도메인의 상기 라우터로 설정하고, 상기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터널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라우터가 경로 최적화 초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앵커로 전송하고, 상기 주소 정보에 대응하는 게이트웨이로 경로 최적화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경로 최적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 메시지를 상기 라우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양방향 터널을 통해 상기 PMIPv6 도메인의 노드2와 상기 MIPv6 도메인의 노드1 간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22.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 버전 6(PMIPv6) 도메인과 모바일 아이피 버전 6(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PMIPv6 도메인에 있는 노드1이 새로운 게이트웨이로 이동 시,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PMIPv6 도메인의 앵커(Anchor)와 터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앵커가 홉 간 옵션(Hop-by-Hop Option)을 포함하는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종의 상기 MIPv6 도메인의 노드2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노드2가 접속하는 상기 MIPv6 도메인의 라우터(Router)에서 상기 노드2의 터널 포인터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라우터가 상기 앵커에게 상기 경로 최적화 초기 메시지에 응답한 후, 상기 게이트웨이에게 경로 최적화 설정 메시지 및 그에 대응하는 경로 최적화 설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라우터와 상기 게이트웨이 간에 양방향 터널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홉 간 옵션은 경로 최적화를 위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노드1이 접속하는 상기 PMIPv6 도메인의 상기 게이트웨이에 대한 주소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정보는 상기 홉 간 옵션의 옵션 데이터 필드에 포함하며, 상기 홉 간 옵션의 옵션 유형(Option Type) 필드에 상기 주소 정보가 포함됨을 지시하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IPv6 도메인과 MIPv6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KR1020080018819A 2008-02-29 2008-02-29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KR10144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819A KR101441499B1 (ko) 2008-02-29 2008-02-29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819A KR101441499B1 (ko) 2008-02-29 2008-02-29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347A KR20090093347A (ko) 2009-09-02
KR101441499B1 true KR101441499B1 (ko) 2014-09-18

Family

ID=4130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819A KR101441499B1 (ko) 2008-02-29 2008-02-29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4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9051B2 (ja) * 2000-10-18 2005-12-21 日本電気株式会社 インタードメインルーティング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70030933A (ko) * 2004-06-29 2007-03-16 노키아 코포레이션 링크 계층 지원형 모바일 아이피 고속 핸드오프를 위한시스템 및 관련 모바일 노드, 외부 에이전트 및 방법
KR20070115823A (ko) * 2007-10-29 2007-12-06 김영한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에서 고속 경로 최적화 기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9051B2 (ja) * 2000-10-18 2005-12-21 日本電気株式会社 インタードメインルーティング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70030933A (ko) * 2004-06-29 2007-03-16 노키아 코포레이션 링크 계층 지원형 모바일 아이피 고속 핸드오프를 위한시스템 및 관련 모바일 노드, 외부 에이전트 및 방법
KR20070115823A (ko) * 2007-10-29 2007-12-06 김영한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에서 고속 경로 최적화 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347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9807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network node, and mobile terminal
JP5362904B2 (ja) PMIPv6に基づくデータ伝送方法、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4607998B2 (ja) 異なるアドレス空間におけるモバイルIPv6のルート最適化
JP4971468B2 (ja) 移動体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インタフェース選択
RU2530694C2 (ru)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с мобильным узлом
KR101400415B1 (ko)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플로우 바인딩 방법
JP5421280B2 (ja) 複数の気付アドレス指定を有するモバイル・ノードに対するトンネル通信の継続性のサポート
JP4990985B2 (ja) プロキシ・モバイルipルーティング
US7522567B2 (en) Router supporting network mobility over nested mobile network and a method for tunneling thereof
US7539773B2 (en) Network system using IPv4/IPv6 translator
US8400980B2 (en) Fast handover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07131404A1 (fr) Méthode et dispositif de transfert rapide
US9629059B2 (en) Mobile node registration method, intercommunication method, switching method and network element
JP2008543120A (ja) パケット転送制御方法及びパケット転送制御装置
US8077661B2 (en) Access gateway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O2018137462A1 (zh) 一种切换方法和装置
KR101441499B1 (ko) 이종의 모바일 아이피 도메인 간 경로 최적화 방법
JP2007281721A (ja) 移動通信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ルータ
KR100700526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100935637B1 (ko)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에서 고속 경로 최적화 방법
Berguiga et al. A fast handover scheme for proxy-based mobilit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JP2010541302A (ja) 移動ネットワークにネストされた移動ノードが最適経路通信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US89953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speed of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KR20070005077A (ko) 모바일 아이피 버전6(MIPv 6)에서의QOS(Quality of Service)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KR20100011250A (ko) 피엠아이피브이6 환경에서의 엠에이지 라우팅 테이블을이용한 엠엔-오엔 간 데이터 패킷 전송 경로 최적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